210.2-243.5 구간은 매수 구간에 해당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NBUSDT 차트)
큰 그림으로 볼 때, 210.2-353.3 구간에서 벗어나는 방향에 따라 추세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 중에서 210.2-243.5 구간은 강한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을 형성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210.2-243.5 구간을 터치하거나 지지 받는 모습이 확인된다면 매수할 시기에 해당됩니다.
만일 매수하였는데 210.2 이하로 하락하면서 큰 하락으로 이어진다면 대처할 방안이 없다고 생각되신다면, 당연히 매수하시면 안됩니다.
거래를 진행하기 전, 즉, 매수하기 전에 반드시 생각해 두어야 하는 것은 1차 매수 시기, 1차 매도 시기, 손절 지점을 결정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매수한 순간부터 심리적인 압박감에 시달리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서 HA-Low지표와 HA-High지표를 활용하면 됩니다.
HA-Low지표에서 지지 받는다면, 1차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HA-High지표 부근으로 상승하게 되면, 1차 매도 시기에 해당됩니다.
손절 지점은 차트에 표시된 지지와 저항 지점과 분할 매수에 따라 결정하시면 됩니다.
(1M 차트)
1M 차트를 보면, 284.8 지점이 마지막 지지와 저항 지점에 해당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179.2 지점에 1M 차트의 HA-High지표가 수평선을 이루었기 때문에 지지와 저항 지점이 존재하지만, 현재 시점에서 볼 때, 284.8 지점이 마지막 지지와 저항 지점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하락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1W 차트)
1W 차트를 보면, 마지막 지지와 저항 지점은 233.9 지점입니다.
따라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중요한 시기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233.9 지점 부근에 1W 차트의 HA-Low지표(243.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233.9-243.5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이 확인된다면, 1W 차트의 HA-High지표(284.6) 부근으로 상승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므로, 233.9-243.5 부근에서 매수할 근거를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1D 차트)
1D 차트에는 1M, 1W 차트의 지지와 저항 지점까지 함께 표시해 두었기 때문에 많이 어수선해 보입니다.
하지만, 1M, 1W 차트 설명을 기본 바탕으로 보았을 때,
1차 : 210.2-243.5
2차 : 284.8-332.4
위의 1차, 2차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관점에서 거래를 진행한다면, 1차 구간에서 매수하고 2차 구간에서 매도를 진행하면 됩니다.
중장기 및 장기적인 관점에서 매수를 진행한다면, 1차, 2차 구간에 걸쳐 분할 매수를 진행하면 됩니다.
중장기인 관점에서 매도 구간은 427.2 부근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매도 구간은 564.3 부근입니다.
모든 거래 전략의 손절 지점은 179.2 지점입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8월 6일경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BNBUSDT.3S 트레이딩 아이디어
[보조지표] MACD 추세전환의 지표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
오늘은 장단기 이동평균선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매매신호를 포착하려는 추세지표인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1. 서론
단기 모멘텀(Short-term momentum), 추세를 예측하여 거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적용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특히 이를 적용할 적절한 방법을 알지 못할 때, 난이도는 하급수적으로 상승합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단기 이동평균선의 교차점 (골든크로스 or 데드크로스)을 매매신호로 보는 이동평균기법의 경우 시차 (time lag) 가 생기는 문제 가 있습니다.
즉, MACD는 이동평균선에 비해 조금 더 빠르게 추세 전환을 예측하게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동일한 이동평균기법 중 하나이지만 시차에서 좀 더 유리한 입지를 가질 수 있는 보조지표인 MACD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독자분들께서 이번 컨텐츠를 통해 MACD의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고 보조지표로써 활용하는 방법을 이해하여 TradingView에서 적용하고 매매하실 수 있도록 제작하였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MACD 주요 요약
1️⃣ MACD 선과 Signal선(신호선)으로 구성 (Histogram, Oscillator 부가 활용 가능)
2️⃣ MACD 선 : 단기(12주기) 지수이동평균 - 장기(26주기) 지수이동평균
Signal선 : 9주기 지수이동평균
3️⃣ MACD선이 Signal선 위로 교차하거나 (매수) 아래로 떨어질 때 (매도) 신호 포착
4️⃣ 추세의 변화 예상에 도움을 주며, 과매수/과매도 여부 판단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음
5️⃣ Bullish/Bearish Divergence는 가격 추세 반전을 암시할 수 있음
--------------------------------------------
2. MACD란
Gerald Appel이라는 사람이 1970년대에 이 지표를 개발했으며 그 이름이 매우 복잡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이해하기 그리 어렵지 않은 지표입니다.
장단기 이동평균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매매신호를 포착하려는 기법 으로, 장기 이동평균선과 단기 이동평균선이 서로 멀어지게 되면 (Divergence) 언젠가는 다시 가까워져 (Convergence) 어느 시점에서 교차된다는 성질 을 근거로 합니다.
즉, 이동평균선의 수렴과 확산 - 그 과정속에서 교차되는 지점을 이용하여 매수/매도 타이밍을 찾아내는 지표 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MACD의 가장 큰 장점은, 앞서 설명한 장단기 이동평균선의 교차점을 매매신호로 보는 이동평균기법의 단점인 시차(time lag) 문제(후행성)를 극복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주가의 단기적인 흐름보다는 중장기적인 방향성 결정에 유용한 지표 입니다.
--------------------------------------------
3. MACD의 구성 요소
1) MACD선
: 단기 지수이동평균 - 장기 지수이동평균
2) MACD Signal 선
: MACD의 n일 지수이동평균
3) MACD 오실레이터(≒ MACD histogram)
: MACD선 - 시그널선의 값을 막대로 표현
단기 지수이동평균은 보통 12일 이동평균을 사용하며, 장기 지수이동평균은 보통 26일 이동평균을 사용합니다.
시그널 선의 경우 9일 지수 이동평균을 적용한 선입니다.
MACD는 대부분의 트레이더가 사용하는 표준 변수인 12와 26을 기본 일수로 사용합니다. 그러나 자신에게 맞는 MACD를 설정하기 위해 날짜를 변경 할 수 있습니다
더 짧은 이동평균값을 사용한다면 더 빠르고 민감하게 추세변화를 감지할 수 있지만 동시에 더 많은 false signal을 유발하게 됩니다.
--------------------------------------------
4. MACD의 장단점
가장 큰 장점으로는 앞서 설명한 장단기 이동평균선의 교차점을 매매신호로 보는 이동평균기법의 단점인 시차(time lag) 문제(후행성)를 극복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서 단기적인 매매를 진행할 시 유리한 점 을 가집니다.
또한 매우 직관적 으로 트레이더에게 단기 방향이 자신에게 유리한지 확인하는데 사용하기 쉽습니다.
이 지표를 사용하여 거래 신호를 생성할 때의 단점은 경우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가격 움직임으로도 지표가 방향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여러번의 False negative signal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즉, 트레이더는 왜곡된 신호(Whipsaw)가 나타날 수 있음을 인식 해야 합니다.
MACD의 또 다른 단점은 서로 다른 자산 간의 비교가 불가 하다는 것입니다.
MACD는 같은 자산의 두 이동 평균 사이의 비교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종목을 서로 비교할 때 이용될 수는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단기적인 이동평균을 활용하여 추세를 파악 (장기 이동평균이 26) 함으로써 장기적인 추세나 전환점을 파악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5.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해석을 위해서는 MACD선과 시그널 선의 기울기 와 교차(cross) 를 동시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MACD선과 Signal선이 교차될 때 그 기울기가 가파를 수록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반면에 서로의 기울기가 완만할 수록 변동성이 작고 추세전환이 분명하지않아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MACD선이 Signal선을 상향 돌파할 때를 매수 시점으로 (골든크로스) ,
하향 돌파할 때를 매도 시점으로 (데드크로스) 로 인식합니다.
또한 MACD선의 값 자체가 음(-)에서 양(+)으로 전환하면 상승 추세로의 전환 으로 보고
양에서 음으로 변하면 하락 추세로의 전환으로 판단 할 수 있습니다.
--------------------------------------------
6. Trading Strategies & Examples
1️⃣ MACD 값의 증감
앞서 MACD의 개념에서도 살펴보셨듯이 MACD 값은
단기 이동평균값 - 장기 이동평균값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MACD 값이 증가 혹은 감소 하고 있다는 것은 (기울기가 + 혹은 -)
단기 이동평균과 장기 이동평균의 차이가 생기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양의 값으로 증가하고 있는 경우 상승 추세
음의 값으로 감소하고 있는 경우 하락 추세
또한 증가하던 값이 감소로 추세가 바뀌거나 감소하던 값이 증가로 추세가 바뀌는 경우
상승/하락의 추세가 전환될 가능성이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고
신규 포지션 진입과 기존의 포지션을 청산하는 기준점 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사례
2️⃣ MACD와 시그널
앞서 시그널은 MACD값의 9일 이동평균임을 말씀드렸습니다
MACD값이 시그널을 골든 크로스 / 데드 크로스 하는 경우
가장 최근의 추세가 9일 간의 추세를 상회하거나 하회한다는 의미이므로 각각 신규 롱 포지션, 숏 포지션을 계획 할 수 있습니다.
📌 사례
3️⃣ MACD zero-line 돌파
MACD zero-line은 MACD 값이 0인, 즉 단기 이동평균값과 장기 이동평균값이 동일한 지점 을 의미합니다
⭕️ MACD 값이 음의 값을 가지다가 zero line을 상방 돌파 했다는 것은
단기 이동평균값이 장기 이동평균값을 상회하기 시작한 지점을 의미하고
⭕️ MACD 값이 양의 값을 가지다가 zero line을 하방 돌파 했다는 것은
단기 이동평균값이 장기 이동평균값을 하회하기 시작한 지점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Trading strategy 1에서 말씀드린 것과 병행하면 false signal을 좀 더 걸러내는데 유용 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습니다.
1) MACD가 증가하면서 zero line을 돌파
➡️ 보다 확률 높은 long position의 설정
2) MACD가 감소하면서 zero line을 돌파
➡️ 보다 확률 높은 short position의 설정
📌 사례
4️⃣ MACD with PSAR
현재 추세 및 추세의 전환을 알려주는 지표로 PSAR에 대한 컨텐츠를 발행한 바 있습니다.
PSAR 역시 추세 지표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가격의 하방에 점이 위치한 경우 상승 추세 / 가격의 사방에 점이 위치한 경우 하락 추세
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앞서 살펴본 3가지의 MACD 전략과 같은 방향성을 보인다면 ⭐️ 서로 다른 지표의 결합으로 좀 더 확률 높은 추세 분석을 할 수 있을 것 입니다.
📌 사례
--------------------------------------------
7. TradingView에서 적용하기
실제로 Trader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TradingView 에서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글을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원하는 차트를 불러온 뒤
1️⃣ 상단 바의 지표 클릭
2️⃣ 무빙 애버리지 컨버전스 다이버전스 검색
3️⃣ 클릭하여 적용합니다
기본 세팅은 단기 이동평균 12 / 장기 이동평균 26, 시그널은 MACD 이동평균 9를 이용합니다
이때, 조금 더 길거나 짧은 호흡으로 적용하고 싶어 MA의 기준을 수정하고자 할 때는
위와 같이 접근하여 해당 칸을 같이 수정합니다.
--------------------------------------------
8. 마무리
이번 컨텐츠를 통해 MACD의 개념부터 실전 적용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MACD는 추세에 대한 비교적 정확한 정보와 추세 전환 여부를 알려주는데 도움을 줍니다
그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TF를 더블체크하여 같은 신호를 보이는지 확인해야 하고
맹신하거나 단독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하나의 매매 기준으로 활용하며
다른 지표나 패턴을 ((Ex) PSAR, RSI 등) 함께 활용하는 것이 그 유용성과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긴 글 읽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BNBUSDT 4시간봉 트리플 상승다이버전스?!
INTRO
안녕하세요 터틀코인입니다:)
요즘 바이낸스 관련 이슈가 많은거같은데요.
개인적으로 FTX사태의 트라우마로 인한 시장의 과민반응 + 내일 있을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의 선반영(안 좋게 나올 것이 예견돼있음) 이라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짧게짧게 전저점을 손절구간으로 잡으면서 현물이나 저배율 선물 롱포지션을 모아간다면 아주 손익비 좋은 진입자리라고 생각됩니다.
--------------------------------------
차트적 진입 근거
차트적 진입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4시간봉 트리플 상승 다이버전스
2. 일봉RSI가 17부근까지 하락,
과거 18년2월에 12를 달성한 이래로 가장 깊은 과매도 구간
3. 카운팅상 WXY라고 카운팅 했을 때 피보나치 1:1구간, E파 F.O이후 상승카운팅(18년2월 차트와 비슷)
4. 전저점의 매물대
5. 매우좋은 손익비
6. 진입체크리스트 11中10
--------------------------------------
18년 2월 비슷 한 차트 분석
18년 2월 당시 차트를 보면 상승 근거를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는데요.
1. 카운팅상 ABC A:C피보나치 1:1구간
2. 4시간봉 상승 다이버전스
3. 4시간봉 상승다이버전스에 대한 반응이 나온 후 한번 더 저점갱신을 하면서 일봉 상승다이버전스 컨펌 후 원웨이 상승
이번 하락도 1번,2번까지는 나왔으니 3번처럼 4시간 상승다이버전스를 약반등으로 해소 후 일봉 상승다이버전스를 컨펌하면서 상승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대응 전략
이에 착안하여 이번에 잡은 롱포지션 물량은 4시간봉 상승다이버전스를 해소하는 구간을 짧게 먹고 반 익절 후 저점에 손절을 거는 방식으로 저점 갱신을 하지 않고 이대로 상승해도 수익이 나고, 저점갱신을 해도 한번 더 기회를 노려볼 수 있도록 대응하려고 합니다.
이상입니다!
1BNB = 70~120$안녕하십니까 오늘은 BNB를 한번 보겠습니다.
BNB가 거래소 토큰이다보니 BNB 고래들이나 거래소의 대표인 창펑자오의 의지에 의해서 마음대로 가격통제가 가능할 것 같지만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BNB는 나름의 근본있는 추세를 그려왔고 그 추세 안에서의 움직임을 통해 충분히 다음 방향에 대한 메시지를 주고 추세전환을 해왔습니다.
2018-2020년에 걸쳐 3차례의 저점 추세 터치가 있었으며, 이 추세선은 신뢰도가 생깁니다.
코로나 초기에 자산가치 폭락사태가 한번 있었고 이 때 추세이탈을 일시적으로 하게됩니다.
하지만 하방이탈한 추세선에 이어 또다른 평행한 추세선으로부터 지지를 받으며 꾸준히 상승하다가
이렇게 순식간에 BNB의 주가는 뛰어오르게 됩니다.
어떻게보면 코로나초기의 일시적 폭락사태가 Spring이 되었다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그 후로 bnb는 꽤 오랜시간동안 횡보를 하게 되는데 bnb의 가치상승은 일어나지 않지만 바이낸스에서는 BNB네트워크 기반의 동전주들과 아주 다양한 파생상품들을 출시하며 단물을 빨았습니다.
너무 비싼가격까지 한번에 올렸기 때문에 이 코인은 횡보만 하다가 끝내 추세를 이탈하게 됩니다.
일단 작년 12월10일, 비트코인은 바닥을 찍고있을 무렵 여기서 1차이탈이 일어났습니다.
그 뒤에 떨어진 폭도 꽤 컸습니다.
추세를 이탈하고 또 아래서 지지받으면서 올릴 수도 있었는데 지난 5월 18일 2차 이탈까지 발생하였습니다.
상승추세에서 완전히 벗어난 다음 2주간의 아무의미없는 횡보를 하다가 결국 15%정도 하락을 일단 한 상태네요.
앞으로는 상승추세가 아니라 기존의 하락추세에서 지지를 받아봐야 합니다.
그래서 하락추세선을 기준으로 지지값을 보자면 70~120$되는 것입니다.
BNB=거품2020년 초기 코로나 사태 이후 양적완화와 제로금리 정책으로 인해 넘쳐나는 유동성이 알트코인으로 흘러들어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가장 거품이 심하게 낀 자산이 바로 BNB입니다.
BNB의 강세가 영원하리라고 보시는가요? 만일 비트코인이 코로나 이전가격으로 되돌아갈만큼 강하게 내려간다면 BNB도 역시 그 위치로 되돌아갈 것입니다.
지금처럼 거품낀 가격으로는 BNB에 대한 불신과 불안이 해소될수 없습니다. 적게는 18달러에서 크게는 8달러까지 내려야만 거품은 꺼지고 고점을 갱신하는 펀더멘탈에 의한 장기적 우상향이 가능해집니다.
[알트코인] BNB 차트분석 (2023.04.11.화) • BNB(주봉)
1. BNB(바이낸스코인) 주봉 입니다.
2. BNB는 현재 수렴하고 있고 조만간 큰 방향성이 출현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3. 일목구름 베이스라인(빨간선) 위에서 캔들이 형성되고 있으며, 고점에서 내려오는 검은색 하락 추세선과 캔들의 위치가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4. RSI(매수세)도 수렴 끝자락에 와있으며, MACD 지표는 히스토그램(막대) 위로 올라온 모습은 긍정적인 부분입니다.
5. 이에 추가 상승이 기대되며 매물대를 고려할 때 저항구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저항구간 : 359달러 / 429달러 ~ 450달러 / 500달러
6. 한편, 309달러 아래에서 일봉이 종가 마감이 되면 수렴 연장으로 차트를 다시 살펴봐야겠습니다.
※ 본 포스팅의 정보는 투자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 수축 중...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NBBTC 1W 차트)
하락 추세선에서 벗어나 0.014115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0.009485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
(BNBUSDT 1W 차트)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가 수축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따라서, 1M 차트의 M-Signal지표나 HA-High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1D 차트)
179.2-243.5 구간은 강한 지지 구간으로 적극적으로 매수해 볼 가치가 있는 구간이라 생각합니다.
297.5-316.1 구간은 1D 차트의 -100지표, +100지표가 형성된 구간으로 이 구간에서 벗어나느 방향으로 추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각각의 추세선들의 위치를 고려할 때, 332.4 이상, 상승 추세선 (1) 이하(대략적으로 270)로 하락하여야 형성된 추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됩니다.
348.9-353.3 이상 상승하게 되면, 급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BNBUSDTPERP] 20230220 트렌드 분석Weekly
- 338 부근에 22.08쯤 부터 생성된 저항라인이 있으며 최근에 4번째 돌파 시도가 있었으나 실패
- 현재 주봉은 아랫꼬리가 윗꼬리보다 살짝 더 긴 도지에 근접
- 22.06 대비 저점을 높힌것을 확인 가능
Daily
- 338 부근 2번째 돌파 시도에서 매우 강한 거래량을 동반한 저항이 있었고 윗꼬리가 매우 긴 상황
- 4번째 돌파 시도 실패 이후 과거보다 빠른 속도로 반등의 모습을 보여주는 듯 함
- 하지만 최근 (2월 13)의 하락에서 60일선의 지지를 받고 있음을 확인 가능
4H
- 다행히도 최근 저점이 1월 19일 저점을 뚫고 내려가지는 않았음 -> 현재 분석하고 있는 구간에서 허리 부근이라고 생각되는 부분
- 5일선/20일선의 지지를 이탈
- 매물대 구간이 과거에 비해서 높아지긴 했지만 여전히 비슷한 수준으로 보임
포지션: Long
- 손절라인: 이전 4H 매물대, 307 부근이 뚫리면 손절
중장기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한 변화의 시작!!!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NBBTC 1W 차트)
0.013926-0.014115 이하로 하락하면서 상승의 힘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다만, 0.009485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
(BNBUSDT 1W 차트)
강한 지지 구간 : 179.2-243.5
283.4 부근에 HA-High지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지점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중장기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332.4-353.3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자주색으로 표시된 추세선은 1M 차트에서 그려진 추세선으로 장기 추세를 나타냅니다.
장기 추세가 하락에서 상승으로 전환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243.5 이상(가능하면, 283.4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여 하락 추세선 이하로 하락하지 않는다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어 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1M 차트의 HA-High지표가 427.2 지점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기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427.2 이상 상승하거나 위아래로 흔들어대서 1M 차트의 HA-High지표가 하락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1D 차트)
+100지표 이상, 즉, 316.1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100지표는 CCI의 +100 지점에 대한 해석방법으로 해석하면 됩니다.
따라서, +100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단기적인 관점에서 상승세로 진입하였다는 의미입니다.
다른 의미로는 과매수 구간으로 진입한 상태인 만큼 변동성에 유의해야 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2월 8일경입니다.
이 변동성 기간에 원으로 표시된 지점을 돌파하였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중장기, 장기적으로 283.4 지점은...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NBBTC 1W 차트)
1M 차트의 M-Signal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서, 0.013926-0.014115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BNBUSDT 1W 차트)
283.4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한다면, 중장기 투자 관점이나 장기 투자 관점에서 상승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283.4 지점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지점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D 차트)
243.5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함으로서 단기 상승세로 전환된 것으로 예상됩니다.
단기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HA-High 이상 상승해야 하므로 293.2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다만, 297.5-316.1 구간에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구간 상승하여야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1월 10일경부터 시작하여 1월 22일경 기간의 움직임이 중요해 보입니다.
따라서, 1월 9일-11일의 변동성 기간의 움직임을 관찰하여야 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SR_R_C지표는 StochRSI(line), RSI(columns), CCI(bgcolor)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CCI지표는 과매수 구간(CCI > +100), 과매도 구간(CCI < -100)로 표시하였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바이낸스 BNBUSDTPERP 안녕하세요 라이트 제로입니다.
금일 분석은 바이낸스 BNB매수관점 리스크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합니다.
그렇다면 현재 발견되고있는 리스크는 무엇이 있을까?
① 헤드 앤 숄더 패턴에 대한 리테스트가 진행되었다.
② 컵앤핸들 패턴의 발생 현재 진행형
③ 컵핸들 패턴안에 더블탑 패턴
이러한 세가지 패턴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게 된다면
낮은 타임 프레임에 단기적인 매매로 낮은 스탑로스를 걸지 않는
존버형태의 매수포지션은 굉장한 리스크로 돌아올 수 있음을 기억해두세요
추후 움직임에있어 리스크가 감소하는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 더블탑 구간에대한 상향돌파로 더블탑패턴에 대한 무효화 (최소해드엔숄더 넥라인 상향돌파)
ⓑ 헤드앤 숄더패턴에 무효화로는 우측 어깨를 상향 돌파 할것
[BNB] FTX에 이은 또하나의 충격 CZ와 바이낸스의 몰락오늘 퍼블리쉬 해볼 아이디어는 BNB 숏포지션 아이디어입니다.
이전에 연관 아이디어 링크 걸어둔 트론과 마찬가지로 두 코인다 작년 여름 저점부근을 지켜주고있는 코인입니다.
연관 아이디어 링크도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비슷하게도 FTT 코인역시 몰락 이전에 작년 여름 저점부근을 지켜주고 있었습니다.
FTX 붕괴이후 저스틴썬은 바이낸스의 편으로 아예 붙은 상황입니다.
그렇기때문에 BNB와 TRX의 붕괴시점은 비슷할거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FTX가 무너진 지금 개인적으론 BNB의 붕괴 -> 바이낸스의 붕괴 -> 크립토시장의 붕괴라고 생각합니다.
바이낸스나 BNB가 FTX나 FTT처럼 아예 사라질거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아마 BNB와 비트코인 , 대부분의 알트코인이 같이 무너지면서 가격이 안정되는 시점이
2020년 3K 2018년 3K같은 역사적 저점이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뭐 산타랠리 , 2023년 떡상 등등 희망적인 소리가 나오지만 저는 2023년에 바닥이 나올거라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처럼 여러분들이 원하던 원하지않던 가격은 내려갈거고 , 일정기간이상 횡보를 마친후에야 랠리가 시작될겁니다.
차트의 Y축인 가격만 볼것이 아니라 X축인 시간도 같이 봐야하는 이유입니다.
크립토시장의 겨울은 언제까지일지 알수없지만 우리의 생각보다 더 길거라고 생각합니다.
물린사람들은 아마 더 힘든시간을 , 끈기있게 참아내고 현금을 보유한사람들에겐 머지않아 큰 기회가 찾아올거라고 기대하고있습니다.
결과는 시간이 말해줄 것입니다.
BNB LONG 아이디어
일전에 말씀드렸던 것과 같이, TOTAL2는 TOTAL3와 달리 저점을 갱신하지 못했으며, 다이버전스를 유지, ETH BNB 등의 시가총액이 큰 코인의 매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ETH는 이미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BNB의 매수 포지션을 시도해볼 타이밍입니다.
일봉기준으로 봤을 때 BNB는 하락 구조의 후반부에 다다른 모습을 보여주며, 표기해놓은 매물대로의 진입 혹은 돌파로 인한 다이버전스를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이에 맞게 270부근의 liquidity를 확보하는 것을 기준으로, 2가지 정도의 매수 플랜을 세워볼 수 있습니다.
해당 매물대를 돌파하지 못하고 저항을 받는다면, 상승 구조의 check이자 swing failure로서 진입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