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점 갱신중인 KB금융 정보 상세 분석1. 회사 개요
설립: 1998년 8월 24일
주요 사업: 금융지주회사, 은행, 증권, 자산관리, 보험 등 금융 서비스 제공
본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3-1
대표이사: 윤종규
종업원 수: 35,999명 (2023년 12월 기준)
결산월: 12월
2. 주요 지표
주가: 67600원 (2024년 2월 11일 기준)
시가총액: 47조 9,500억원 (2024년 2월 10일 기준)
PER: 8.71 (2024년 2월 10일 기준)
PBR: 0.66 (2024년 2월 10일 기준)
EPS: 5,508원 (2023년 12월 기준)
BPS: 72,440원 (2023년 12월 기준)
배당수익률: 4.03% (2023년 기준)
부채비율: 86.4% (2023년 12월 기준)
유동비율: 1.25 (2023년 12월 기준)
3. 신뢰도 높은 지표 분석
PER: 현재 PER은 8.71로, 최근 5년 평균 PER 9.82보다 낮습니다. 이는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었음을 의미합니다.
PBR: 현재 PBR은 0.66으로, 1배 이하로 비교적 저평가된 수준입니다.
배당수익률: 2023년 배당수익률은 4.03%로, 시장 평균 배당수익률 2.5%보다 높습니다.
부채비율: 86.4%는 다소 높은 수준이지만, 유동비율 1.25는 건전한 수준입니다.
4. 통계 기법 분석
주가 변동성: 최근 1년간 주가 변동성은 상대적으로 높은 편입니다.
베타: 1.03으로 시장 평균보다 변동성이 높습니다.
상관계수: KOSPI 지수와 상관계수가 0.87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습니다.
5. 보조 지표 분석
ESG 경영: KB금융은 ESG 경영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MSCI ESG 평가에서 A 등급을 받았습니다.
연구개발 투자: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 투자 비율은 다소 낮은 편입니다.
해외 시장 진출: 해외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 초기 단계입니다.
6. 투자 포인트
금융 시장 호황: 국내외 경기 회복과 금리 인상으로 금융 수익 증가 예상
KB금융의 경쟁력: 국내 최대 규모의 금융지주회사,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 강력한 자본
미래 성장 사업 투자: 디지털 금융, 핀테크, 빅데이터 등 미래 성장 동력 확보
주주 친화 정책: 높은 배당금 지급 정책
7. 투자 시 고려 사항
금융 시장 변동성: 금리 변동, 경제 상황, 정부 정책 등에 따라 변동 가능성
경쟁 심화: 국내외 금융기관과의 경쟁 심화
규제 강화: 금융기관에 대한 규제 강화 가능성
. 최근 뉴스 및 이슈
2024년 1월: KB금융, 2023년 영업이익 4조 2,100억원 달성 (전년 대비 7.8% 증가)
2024년 2월: KB국민카드, 미국 애플페이 결제 서비스 지원 개시
2024년 3월: KB금융, 2024년 주주총회에서 1주당 2,000원의 배당금 지급 제안 예정
9. 투자 전략
장기 투자: 단기적인 주가 변동성에 휘둘리지 않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
포트폴리오 다각화: KB금융 주식을 포트폴리오의 일부로만 보유하여 위험 분산
지속적인 정보 수집: 회사의 재무 상황, 사업 전망, 시장 상황 등을 지속적으로 확인
10. 결론
KB금융은 국내 최대 규모의 금융지주회사이며,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와 강력한 자본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투자 시 금융 시장 변동성, 경쟁 심화, 규제 강화 등의 위험 요소를 고려해야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한다면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KB 트레이딩 아이디어
12월 20일 한국에 1년만에 오니 너무 좋네요. 이렇게 와서 하루이틀 있으니 한국이 좋다~ 생각드네요.
경기는 금리인하로 나름의 상승장을 예상하지만 , 국장은 부동산 pf대출로 또 논란이 이어집니다.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으로 운하 하나가 막힘에도 국장 해운주들은 상승했습니다. 좀 떨어질거라 생각햇는데 흠 . 오히려 막히면 수익이 더 되는건가 .ㅇㅅㅇ
앞에 말들처럼 크게 앞으로 이슈가 된다면, 금융주와 건설사주들이 될거같고, 거기에 대한 생각을 지금 해볼까 합니다.
1. 에이치엠엠
인수로 인한 이슈가 있고나서 근래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기술적인 부분에서는 가틀리를 보았고 , 급락이 아닌 이상 큰자리로 세자리로 분할해서 들어가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2.kb 금융지주
가틀리에 가틀리를 바라보고 / 홍콩 els지수를 제일 많이 판매하고 소상공인도 지원해주는 방안을 검토해 순이익이 감소로 전망된다라는 기사를 보아 / 은행주들 중에 제일 휘청거리는 듯해보입니다.
3.db금융
로그로보면 3200정도 지금차트는 선형인데 2900라인대
둘다 한번에 오기 힘든 자리인데 이정도 자리가 아 들어가보고 싶다 생각하는 자리가 됩니다.
4.sk증권
같은 맥락으로 차트가 비슷한거같습니다.
6.비코
원래는 검은색 화살표를 생각햇는데 지금은 하락은 별생각없어서 짧은 조정으로만 염두하고 보는중.
105560 _ KB금융시나리오는 간단합니다
손절선 아래로 내려갈시 무조건 매도
그 전까지 동그라미 안에서 20% ~ 30% 정도의 자금으로 분할매수
*변수예측 : 손절선을 살짝 깨고 올릴 가능성이 없지 않아 보임
그렇기에 20%~30% 정도의 자금으로 분할 매수 및 짧은 손절 하라는 것
당장의 리스크를 줄이고
손절선 깨고 올라가는건 나중에 판단.
관심종목으로 선정한 이유 : 막 엄청 떡상할 차트는 아니고 5% 정도 단타 매매할수 있는 정도.
-
파란선 주가 예측.
빨강선 이동평균선 예측.
초록선 손절선.
동그라미 매수 구간.
(확률적으로 다른 그림이 나오는 경우가 더 많기에 딱히 참고할 필요는 없으나 참고용)
[105560] KB금융 분석
KB금융 월봉 차트입니다.
16년 2월과 18년 1월의 저점과 고점을 이은 피보나치 비율 0.764 바로 위에서 반등이 나왔으며
피보나치 레벨 0.5를 지나 양운을 뚫고 상승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다음은 주봉 차트입니다.
음운을 장대양봉으로 뚫은 상태이므로 음운 상단부를 리테스트할 때 매수전략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피보나치 0.5 레벨과 음운의 상단부가 거의 유사하므로 해당 구간을 엔트리로 잡고
직전 주봉의 저점을 손절가로 잡고 목표가를 설정해보았습니다.
EP : 48400
TP 1 : 53300
TP 2 : 56700
TP 3 : 59400
SL : 45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