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건율아빠 입니다. 오늘은 조금 재미있는 부분을 먼저 말씀 드리고 분석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위 차트를 보시면 어떤생각이 드시나요? 차트의 상단은 나스닥 컴포지트 인덱스 차트 1년봉 입니다. 차트의 하단은 BTC/USD 차트 1년봉 입니다. 나스닥 지수는 1973년부터 BTC 차트는 2013년부터 기록이 있습니다. 나스닥 지수는 이제 산봉우리 하나 넘고 다음 산봉우리 향해 가고 있습니다. 약 45년동안. 비트코인은? 나스닥에 비교하면 저걸 산봉우리를 넘었다고 할수 있을까요? 오늘의 부제는 BTS is still the BABY 입니다. BABY. 애기란 뜻이죠. 나스닥에 비하면 아직 뒤집기도 못한 갓난애기 입니다....
B값인 93.83 돌파 이후 D점인 95까지 매수로 참여할 수 있으며, D도달 이후 매도로 스위칭 하여 추가 수익을 누릴 수 있다. D값 도달 시 피보나치 수열 0.618 비율인 93.99까지 하락이 가능해보이며, AC 추세선을 하락 이탈할 시 피보나치 수열 1.618까지 추가적인 하락이 가능하다.
bearish alt bat 패턴을 완성시킨 모습입니다. 공격적으로는 94.99에 매도 포지션을, 안정적으로는 94.33에 매도 포지션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1차 목표가는 92.70-93.00 입니다.
1. 94.95에서 95.55 포인트 상에서 매도에 진입합니다. 현재의 모양 같은 경우는 스탑을 걸고 진입하기 좋은 형태입니다. 2. 93.94 포인트까지를 최소한의 수익을 지키는 리스크 자리로 잡습니다. 3. 매도 포지션의 청산은 92.54~92.78에서의 흐름을 지켜본 뒤 결정할 것입니다. 당분간 달러 강세가 유지될 것이며, 급등한 것에 대한 조정이라는 관점으로 차트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그에 따른 단기 매도 포지션 셋업임을 참고해주세요.
DXY (달러인덱스) 메이저 저항레벨 영역 상승 쐐기형 가격이 위로 경사진 지지대와 저항라인 사이에 통합될때 상승쐐기형 패턴이 형성됩니다. 가격이 추세선을 이탈하게 되면 하락세를 예상할수있으며 그에 따른 매도전략을 진행할수있습니다. *엘리어트 5파동 형성구간입니다 메이저 저항레벨 영역에서 가격은 머무르고 있습니다 반전될수있는 매도시그널에 주목해보세요. 가격이 반전된다면 엘리어트 하락국면 조정 3파동의 관점을 생각해봐야합니다.
요약 : SPX와 비트코인과의 유사성에 대해서 다룹니다. 간단히 말해서, 비트코인이 SPX 지수의 향후 행보를 "미리 보여주는" 선행지표의 역할을 현재 하고있는 것이 아닐까? BTCUSD의 일봉 이제 위 차트를 바탕으로 어떠한 유사성이 관측되는지를 알아보도록 합니다. < 명분적 측면 > 1. 의외로 SPX와 BTCUSD는 최고점에서 이른바 "트리거" 역할을 한 특정 대형 사건으로 인해 폭락장이 시작되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a. SPX - (트럼프발) 미중 무역전쟁 우려에 의한 미 증시 급락 b. BTCUSD - (한국발) 정부의 한국 거래소 폐쇄 가능성 시사 이후 급락 2. 이후 반등도 패닉셀의 원인이 된 명분이 어느정도...
DXY / 달러인덱스 엘리어트 파동사이클 분석 내 분석에 의해 당신이 본것에 기초하여 거래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트레이더는 오직 본인만의 지식과 경험 그리고 기준에 근거를 두고 거래해야합니다. 이 분석은 단지 시장에 대한 나의 의견일 뿐이며 , 거래에 대한 조언으로 받아들여서는 안됩니다. 이 분석 정보는 오직 교육적인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Tickmill 입니다. DXY 미국 달러 통화지수는 지지선을 테스트하고 있으며 첫번째 지지선 90.08 라인에서 바운스 효과로 주요 저항선 90.46 라인까지 상승 가능성이 있습니다. 주요 자항선 1.수평 스윙 하이 저항 2.피보나치 조정 비율 76.4% 3.피보나치 확장 100% 4.엘리어트 파동 구조 RSI (89) 지표에서 주요 하강 저항선의 약세 압력에 직면해 있으며 이 수준에서의 돌파는 가격 상승에 대한 한단계의 신호라고 볼수 있습니다. *주의: 보증금 마진 거래에는 투자 리스크가 높으므로 손실은 초기 보증금을 초과 할수 있습니다. 투자하시기전에 거래 리스크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SP 500 지수에 이어서 다우 지수도 분석해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는 SP 500을 더 선호하는 편입니다만, 대부분 사람들이 기준으로 다우 지수를 선호하는 것 같습니다. 다우 지수에서도 매도 관점은 유효합니다. 특히나 예상했던 것과 다르게 매도세가 생각보다 강하게 나오고 있다는 것, 그리고 빠르게 나오고 있다는 것은 주의해야 합니다. 반등도 강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지수는 아무래도 경제나 지수에 포함되어 있는 주가에 영향을 받기 마련이지만, 차트상으로 보았을 때는 리스크 관리 철저하게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흐름을 지켜보고 함께 이야기 나누어보도록 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