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구간이 중요한 이유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차트 분석만으로 모든 것을 설명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여러 이슈에 대한 해석이 필요한 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저는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만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차트 이외의 여러 이슈에 대한 해석은 개인 투자자로서 쉽지 않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
(NAS100USD 1W 차트)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하락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8693.7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이는 중장기적인 관점이라는 것 입니다.
-
(1D 차트)
단기적인 관점에서는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볼 때, 현재의 가격 위치는 중요한 구간에 해당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단기 이상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1W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여야 합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볼 때, 19848.3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한 관건에 해당됩니다.
-
현재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으로 진입한 상태입니다.
따라서, 추가 상승으로 이어진다 하더라도 결국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므로, 19848.3 부근에서 지지 받지 못한다면, 하락에 대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때, 18428.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그 이유는 1D 차트의 HA-Low 지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
HA-Low, HA-High 지표는 하이킨 아시 차트에서 거래하기 위해 만든 지표입니다.
HA-Low 지표가 생성되었다는 의미는 저점 구간에서 상승하였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HA-Low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는다면 그때가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만일 HA-Low 지표에서 지지 받지 못하고 하락하게 된다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다만, HA-Low 지표를 따라 하락세를 보이는 것과 그냥 하락세를 보이는 것은 다릅니다.
HA-Low 지표를 따라 계단식 하락세를 보이는 것은 결국 바닥 구간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4월 29일경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X-indicator
이더리움, 믿고 탔다가 배신당한 느낌 들지? 이더리움, 믿고 탔다가 배신당한 느낌 들지?
기술적 약세는 선 그었고,
지금 반등은... 그냥 숨 고르기일지도 모른다
📌 상황 요약 – 구조적 약세 신호 ON
- ETH/BTC 비율, 중요 피치포크 중간선 하방 이탈
→ 약세 확인, 중장기적으로 BTC 대비 열세 구조
- ETH/USD도 중간선 지지 실패
→ 알고리즘 매수도 밀려나며, 기술적 신뢰 무너짐
- 월봉 기준 5개월 연속 음봉
→ 큰 자금 유입은 아직, *기술적 매수세보다 투자심리 꺾인 구조*
그럼에도 반등 가능성은?
1. ETH/USD 기준 1,605~1,610 구간 지지 유지 시
→ 1차 타깃 1,650, 이후 1,680 ~ 1,705까지 열려 있음
2. 조건부 회복 시나리오
- 1,760 USDT 이상 종가 회복이 중기 상승 조건
- 이 조건 충족시, 구조 전환 가능성 언급 가능
하방 시나리오 – 구조 붕괴 시 열리는 레벨들
1. 1,605 붕괴 시
→ 1,580 → 1,553 → 1,530 순으로 기술적 하락 예상
2. 최악의 시나리오
- ETH/BTC 하락 지속 시, ETH 자체 하락 압력 가중
- 1,480 USDT까지도 열려 있음
중간선 재탈환 전까진 ‘모든 반등은 반등일 뿐’입니다
코멘트
> 지금 이더리움은 기술적 반등이 아니라, 신뢰를 회복할지 말지 기로에 선 상태
- 단타는 1,605~1,610 지지 구간에서만 매수 접근
- 1,595 이하 이탈 시엔 숏 진입 유리
- 중기 보유자는 1,760 회복 전까진 ‘관망’ 유지 추천
- 구조적 관점은 이미 중기 약세 전환 시그널
- 단기 반등이 나오더라도, 강한 매도세와 싸워야 하는 위치
- BTC 상승 없이 ETH 독립 반등은 힘들다
지금은 ‘언제 갈까?’가 아니라 ‘언제 손절할까?’를 고민할 시점일 수도. 살아남는 자만이 다음 상승을 맞이할 수 있다.
돌파 매매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찾는데서 시작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돌파 매매에 대해서 말씀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저의 생각을 적은 것이라 내용이 부실할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이 말하는 내용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 않은 이유는 거래는 심리 싸움이기 때문입니다.
책이나 인터넷에서 올라온 내용들은 대부분 패턴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시간 차트의 움직임을 확인할 때 패턴을 찾기란 쉽지 않다는 것 입니다.
따라서, 패턴을 가지고 설명하는 것보다 왜 그러한 움직임이 나타나게 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패턴을 암기하기 보다 지지와 저항 지점을 찾고 그 지지와 저항 지점에의 지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서 거래 전략을 만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돌파 매매란 어느 지점이나 구간 이상 상승하게 되면, 더 큰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을 때 그 지점이나 구간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하고 거래를 시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돌파 매매를 잘 못 진행하다면 고점에서 매수하느 꼴이 되어 큰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거래시 반드시 손절 지점을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손절을 줄이기 위해서는 매수한 이후에 가격이 상승하면 분할 매도하고 다시 하락하면 분할 매수하여 매수 평균 단가를 낮추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손절 지점은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날 때 입니다.
-
BTCUSDT 1D 차트를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한 이후에 하락한 상태입니다.
현재 가격 위치로 볼 때 더 하락할 것만 같은 느낌이 듭니다.
하지만, 가격이 1D 차트의 HA-Low 지표 부근, 즉, 89294.25 부근으로 상승하게 되면 상승세로 전환될 것만 같은 느낌이 들게 될 것 입니다.
비록 지금은 상승하더라도 그런 마음이 안들 것이다라고 생각이 들더라도 상승하고 나면 그런 마음이 들게 될 것 입니다.
그러므로, 돌파 매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지점을 찾는 것 입니다.
지지와 저항 지점을 찾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캔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캔들에 관한 어떤 책이든 동영상이든 상관없습니다.
그 안에 있는 내용을 암기하려고 하지 말고 여러번 반복해서 읽거나 보기를 추천합니다.
저의 경우 캔들에 관한 동영상을 3번 정도 본 다음부터 차트에 대한 이해가 더욱 편해졌습니다.
지지와 저항 지점을 찾는 이유는 거래 시점을 선정하기 위함입니다.
지지와 저항을 찾는데 필요한 것은 수평선입니다.
수평선이 아닌 사선이나 곡선으로 이루어진 차트 도구로는 거래를 시작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거래를 시작하려할 때 자신의 심리 상태가 추가됨으로서 시기를 놓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
73072.41 지점을 돌파하면서 상승세가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에도 106133.74 지점을 돌파하면서 상승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는 신고가(ATH)을 갱신하면서 상승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 거래를 시작하기 쉽지 않다고 생각되는 지점에 해당됩니다.
즉, 고점이라고 생각되어 거래하기를 꺼려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실제 돌파 매매는 앞서 말씀드린대로 89294.25 지점을 돌파하면서 진행하게 될 것 입니다.
그러면, 106133.74 지점 부근으로 상승하더라도 심리적으로 큰 불안감을 느끼지 않고 안정적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될 것 입니다.
-
하지만, 한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그것은 현재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 위치해 있다는 것 입니다.
따라서, 89294.25 지점 부근으로 상승하여 지지 확인을 할 때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한 상태에서 상승하려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것 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89294.25 지점은 저항 지점으로의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시장이 어수선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시장이라 하더라도 지지와 저항 지점을 찾는데 소울하여서는 안됩니다.
결국 거래를 시작하려면 거래 전략을 만들 수 있는 기준이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자신이 선정한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가능하면 거래 전략을 만들어 대응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록 손실을 보더라도 지속적으로 거래를 진행하다보면, 지지와 저항 지점을 보다 잘 정돈할 수 있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저의 차트에서 거래 전략을 만들 수 있는 지표는 HA-Low, HA-High 지표 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비트코인, 이대로 푹 빠져서 폭망한다? 아니면 이번엔 90K 돌파 후 초대형 불장 시동일지도? 주말장 흔들기, 악랄한 설거지가 시작됐다…
1) 최근 흐름 총정리
- 며칠 전부터 85,000 근처까지 반등 시도가 있었는데, 하필 83,000 돌파 실패 후 바로 하락 반전.
- 특히 81,200~82,000 구간을 지지로 삼는 흐름이었지만, 고점 갱신이 안 되자 시장이 가파르게 식어버렸어.
- 현재 4시간봉 기준 상승 채널 상단 이탈 시그널이 나와 추세 전환을 의심하는 목소리도 커짐.
2) 단기 채널 이탈, 주말장 변수
- 주말장은 유동성 얇아서 변동성↑. 갑작스런 매도 물량 쏟아지거나, 스위프트한 반등이 나올 수도 있어.
- “노는 물이 적으니 고래들의 쥐락펴락이 쉬워진다”는 게 포인트.
- 상승 추세선 안에 안착하지 못하고 아래로 떨어지면, 생각보다 깊은 눌림이 올 수 있으니 주의.
3) 파동 관점에서 본 긍정 포인트
- 바닥 다지고 올라온 첫 파동 + 일봉 상승다이버전스 잡혀 있다는 건 반가운 소식.
- 추세가 살아있음을 시사하지만, 단기적 숨 고르기는 어쩔 수 없다는 분석 많음.
- 만약 81,000선 깨지 않고 다시 강하게 반등한다면, 다음 목표는 83,500 ~ 84,300 구간으로 볼 수 있어.
4) 상승 시나리오 (빨간)
- 82,500 ~ 83,500 지지 성공 시, 추가 반등 가능성 열림.
- 1차로 84,300 ~ 84,800 저항대 테스트 예상. 그 뒤로 86,500 ~ 87,500까지 시도할 수도 있음
- 만약 83,500 ~ 84,300선 상단을 깬다면, 그때부터 단기 스윙 롱 진입 구간 노려볼 만
- 다만 이 구간 재돌파 실패하면, 다시 하방 압력 재가동될 수 있다는 점 반드시 체크
5) 하락 시나리오 (녹색)
- 83,000선마저 약하면, 81,300 ~ 81,800 지지 테스트 불가피.
- 거기서조차 이탈 시, 79,000 ~ 80,000 구간까지 눈여겨봐야 함.
- 추가 심각 하락 땐 74,500을 마지막 방어선으로 보는 견해도 존재.
- 결국 81,000선 깨지는 순간부터는 “되돌림 반등” 노리면서도, 덤핑 가능성 열어둬야 함.
6) “눌림 구간 대기” 전략 유효?
- 단기 고점 chasing(추격 매수)했다 물릴 위험 크니, 오히려 81,000~82,000 부근 접근 시 매수 대기 세력 노리는 분위기.
- 그 구간 조정 후 반등 시 세게 치고 올라갈 여력 남아있다 판단하는 트레이더 많음.
- 단, 진짜 급락 시 79,000 언저리까지 빠르게 훅 갈 수 있어 손절 라인 미리 잡아둬야 안전.
7) 함정: 83,500~84,300 매물대
- 만약 반등이 제대로 나오더라도 이 구간에서 매도세 쏟아질 확률 높음. 지난 매물 대량 포진했기 때문.
- “짧게 먹고 빠지는 단타” vs “홀딩하다가 또 물리는 상황” 이 갈릴 구간이라 신중 접근 필요.
- 그래서 시장선 “한 번 더 급등하면 저 구간에서 알트들도 잠깐 불꽃 튈 것”이라 기대하지만, 순식간에 매도 터져버릴 수도.
8) 액션 플랜
- 주말장 변동 믿고 무리하게 들어가기보다, 눌림 확인 후 대응이 안전.
- 81,000선 부근 지키면 단기 스윙 롱, 깨지면 하락 파동 계속 이어질 듯.
- 83,500~84,300 돌파 여부가 재차 확인 지점.
- 지금은 “가격 강세 재개 or 추가 하락” 분기점에 서 있으니, 매물대 반응 보고 확실하게 진입하는 게 핵심.
---
> 괜히 고점 추격하다가 물리지 말고, 81K~82K 눌림 지점 대기 후 반등 여부 체크.
> 본격 불장 재개를 기대하더라도, 84K 구간 넘어가기 전까진 단기 스윙 위주가 안전해 보여.
> 시장이 살짝만 흔들어도 변동성 터질 수 있으니, 손절 라인·매수 타이밍 반드시 구분해서 진입하자!
이번 변동성 기간은 4월 18일까지 진행될 것으로 예상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전체 범위에서 HA-Low > 1W 차트의 M-Signal > 1D 차트의 M-Signal 인 경우를 찾아보았으나 비슷한 움직임은 찾을 수 있었지만, 현재와 같은 모습은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 만큼 현재의 움직임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
HA-Low 지표와 HA-High 지표은 쌍을 이루는 지표로서 볼린저밴드와 같이 수축과 확장을 나타냅니다.
현재 HA-Low 지표와 HA-High 지표가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HA-Low 지표 부근으로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한다면, HA-High 지표를 돌파하려는 시도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다만, HA-Low 지표와 HA-High 지표가 거래 전략의 기준이 되는 지표로 정의하여 사용하고 있으므로 HA-Low 지표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가장 중요합니다.
HA-Low 지표 부근으로 상승하여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1D 차트의 M-Signal > 1W 차트의 M-Signal 인 상태, 즉, 정배열 상태를 유지한다면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더 높아지게 될 것 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HA-Low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를 확인하는 것 입니다.
-
이번 변동성 기간은 최대 4월 13일-18일까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때, 89294.25 부근으로 상승하여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만일 89294.25 지점을 터치하고 하락하게 된다면, 피보나치 비율 2.24(83646.12) 부근에서 가격을 유지하고 상승 추세선 (2)을 따라 상승할 수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최대 하락 구간은 손가락이 가리키는 왼쪽 피보나치 비율 1.618(76787.43) 부근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상승 추세선 (2)을 따라 상승하지 못한다면, 추세를 전환하는데 실패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어찌되었든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으로 진입할 것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상승세를 이어가는데 제약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
Fill HA Close 1W-1M 지표는 Heikin Ashi 차트의 1W, 1M 차트의 Close를 표시한 지표입니다.
이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상승세나 하락세를 전환되는 지점을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HA Close on 1W 1M Mid 지표는 Heikin Ashi 차트의 1W, 1M 차트의 Close의 중간값을 표시한 지표입니다.
굳이 HA Close on 1W 1M Mid 지표를 추가하였는지는 가격을 움직임을 보면 알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즉, 지지와 저항 지점으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추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이러한 지표들은 차트를 분석하는 용도로 활용되는 것이 좋습니다.
저의 차트에서 거래 전략은 만드는데 활용되는 지표는 HA-Low 지표와 HA-High 지표 뿐 입니다.
-
(30m 차트)
HA-Low 지표가 생성되면서 그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매수(LONG)하였다면, 현재 수익 중일 것 입니다.
HA-Low 지표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확인하고 Trend Cloud(또는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하면 상승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다가 HA-High 지표 부근에서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이면서 Trend Cloud(또는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하여 가격을 유지하게 되면 하락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HA-Low 지표 부근에서 매수하였다면, HA-High 지표를 만났을 때가 1차 매도 구간에 해당됩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HA-Low ~ HA-High 구간 내에서 거래하는 거래를 진행하게 됩니다.
대부분 HA-Low ~ HA-High 구간 내에서 거래를 하게 됩니다.
그렇지 못하고, HA-Low 지표 이하로 하락하거나 HA-High 지표 이상 상승하면서 추세를 나타내는 경우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때는 더 큰 수익을 얻거나 더 큰 손실을 얻게 될 것 입니다.
그러므로, 1차 분할 매도 구간을 지킴으로서 자신의 심리적인 상태를 안정적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
캔들의 body 색상은 OBV지표의 상태를 표시합니다.
즉, 진한 녹색은 OBV가 상단선 이상에 위치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진한 빨간색은 OBV가 하단선 이하에 위치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진한 녹색이나 진한 빨간색이 나타나게 되면, 추세의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을 터치하면서 이전 차트를 갱신하고자 다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전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현재 BTCUSD 12M 차트)
현재 작성된 피보나치 비율로 볼 때 최대 3.618(178910.15) 까지 표시되어 있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0.618(44234.54) 이하는 다시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BTCUSDT 12M 차트)
BTCUSDT 차트로 볼 때 42283.58 부근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
다시 BTCUSD 차트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연두색 박스로 표시된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과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을 상향 돌파하기 위해서는 피보나치 비율 1.618(89126.41),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2025년에 최대 상승 구간은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기 위해서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는지를 살펴봐야 겠습니다.
2025년의 불장을 끝으로 하락하게 된다면, 사실 어디까지 하락하게 될지 알 수 없지만, 이전의 하락 폭으로 볼 때 약 -60% ~ -70% 정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피보나치 비율 3.14(157451.83) 부근에서 하락이 시작된다면, 거의 피보나치 0.618(44234.54) 부근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2025.04.14 BTCUSDT 차트분석이전 분석에서 차트의 불확실성이 있어 차트의 어느정도 확실성이 보일 때까지는 대기해야 한다는 얘기를 하였습니다. 현재는 차트에 보이는 분석이 있어 공유하고자 합니다.
현재 차트를 보면 라이징웻지로 차트가 형성된 것으로 보입니다. C와 E 사이에 1시간봉 상 하락 다이버전스가 있어 추세 전환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0.5~0.618 구간까지는 하락 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다만 위의 차트와 같이 한 파동이 더 있는 분석도 가능하기에 손절은 상단 트렌드라인으로 잡는 것이 좋을 꺼 같습니다. 현재 부터 추가적으로 가격이 하락해 웻지 각이 더 벌어져 각이 더 이상 안 나오게 되면 해당 관점은 폐기입니다.
더 큰 파동으로 보면 2가지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1. ABC 파동 종료(하얀색 ABC)
2. C-c 파동 남음으로 추가 하락(파란색 ABC)
1번 60%, 2번을 40% 정도의 확률로 보고 있습니다.
현재의 하락이 한 추세로 강하게 내려오는 경우 1번으로 생각하고 롱 포지션 전환을 해보기엔 다소 위험성이 있어 보이고 ABC 형태로 반등을 주면서 기간이 걸려 하락을 한다면 롱 포지션 전환 하기에 괜찮을 꺼 같습니다.
추가로 1번이 더 확률이 높다고 생각하는데 저점 간 시간 간격이 짧은 느낌이 있긴 하나 일봉 상 상승다이버전스가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현재 하락 파동에 대한 상승 조정 이후 하락하는 것을 메인 관점으로 보고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분석글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팔로우 해주시면 알림을 받고 빠르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분석글이 유용하다면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리플 단기 거래전략, 라이징웻지의 완성? 4파가 수렴으로 나오는 것을 확인했고, 휩쏘식으로 채널과 0.618구간을 뚫는듯 했으나
다시 채널안으로 들어온 상황.
관찰 포인트는 2.18 달러 안에서 채널마감 해야 다이버전스가 확실하게 걸리면서
하락추세로의 준비가 완료될것 같다.
채널 재돌파 및 지지시 rsi 는 상방으로 찢기며 연장 가능성있음.
비트방향성과 맞춰보면 리플은 단기적으로 조정이 올듯하고, 전체 상승분대비 0.618까지 익절을 가져갈수있는 좋은 손익비자리를 분석해 보았다.
현재 평단 2.219
손절라인 : 거래량 실린 채널 재돌파시
손익비 약 1:10
지지 구간 : 1340.12-1935.34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2M 차트)
비행기를 타지 못하고 하락 중 입니다.
현재로서 최대 하락 구간은 피보나치 비율 0(1190.57) 부근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1M 차트)
지지와 저항 구간을 이하로 하락한 상태이므로 마음의 여유를 갖고 턴하는 모습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만일 736.47 부근으로 하락하게 되면, 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 볼 때 생각하지 말고 무조건 매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소 보유 시간은 1년입니다.
-
(1W 차트)
1W 차트에서 볼 때, 1340.12 지점에 1W 차트의 HA-Low 지표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만일 1340.12 이하로 하락한다면, 다시 상승하여 지지 받는 모습이 확인되었을 때가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1M 차트의 설명에서 736.42 부근으로 하락하게 되면 무조건 매수하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이는 최소 1년 이상 보유하는 조건이기 때문에 그렇지 않다면, 1340.12 부근으로 상승하여 지지 받는 모습이 확인되었을 때 매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
(1D 차트)
ETH의 변동성 기간은 4월 5일-7일까지이군요.
ETH의 다음 변동성 기간은 4월 17일경(4월 16일-18일)입니다.
-
ETH 차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상승 추세선 (1)입니다.
따라서, 상승 추세선 (1)을 통과할 때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단기적인 관점에 차트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1D 차트의 HA-Low 지표는 1935.34 지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1935.34 부근으로 상승하여 지지 받는 모습이 확인되었을 때가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그러므로, 현재 보유하고 있는 코인의 매수 평균 단가를 생각하여 대응 방법을 생각해야 합니다.
-
가장 좋은 방법은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가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하락추세일 때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매수별 단가와 금액을 따로 작성해 두었다가 매수별 단가 이상 상승하여 수익이 발생하면 매수별 금액 범위 내에서 매수 금액만큼 매도하여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남겨두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단기적인 관점에서 설명드리는 이유는 단타 거래(day trading)나 단기적인 거래를 진행하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상승세로 전환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거래를 진행하게 되면, 상승세로 전환되었을 때 큰 수익을 얻게 될 것 입니다.
또한, 자금의 압박이 줄어든 상태이기 때문에 본격적인 매수의 기회를 잡을 기회도 얻게 될 것 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을 터치하면서 이전 차트를 갱신하고자 다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전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현재 BTCUSD 12M 차트)
현재 작성된 피보나치 비율로 볼 때 최대 3.618(178910.15) 까지 표시되어 있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0.618(44234.54) 이하는 다시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BTCUSDT 12M 차트)
BTCUSDT 차트로 볼 때 42283.58 부근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
다시 BTCUSD 차트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연두색 박스로 표시된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과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을 상향 돌파하기 위해서는 피보나치 비율 1.618(89126.41),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2025년에 최대 상승 구간은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기 위해서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는지를 살펴봐야 겠습니다.
2025년의 불장을 끝으로 하락하게 된다면, 사실 어디까지 하락하게 될지 알 수 없지만, 이전의 하락 폭으로 볼 때 약 -60% ~ -70% 정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피보나치 비율 3.14(157451.83) 부근에서 하락이 시작된다면, 거의 피보나치 0.618(44234.54) 부근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4월13일]비트코인 관점 브리핑 - 바닥나왔을 확률 높다고 봅니다! - 78.3 이탈 하는지 잘 체크! 안녕하세요! 미니미 입니다!
오전12시50분 기준 관점 브리핑 남기겠습니다!!
현재 저는 76.1 롱 잡고 81.2에서 완익절
그 후 80.2에서 롱 잡고 82k에서 완익절 한 상태이고
현재는 무포지션 상태 입니다!
그럼 차트 관점 시작하겠습니다
팔로우 부탁 드립니다!
주봉상 하락 1~5파동이 다 나온것으로 보이고!
smi cci 모두 과매도 권에 들어온것이 보입니다!
당분간 안올 저점인것 까지는 모르겠지만 1차적으로 바닥이 나왔지 않나 보고 있습니다!
현재 1일봉을 보면 큰 하락쐐기형 패턴이 보입니다!
ABCDE 모두 나왔고 그중에 E파동은 중간에 절단되면서 올라가는 것으로 보입니다!
E파동이 절단되는 경우는 매수세가 강한경우에 절단되고 올라가는데 그렇게보면
1월부터 이어져온 긴~ 하락 추세선 상단 돌파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추세선을 뚫어주고 위에서 계속 놀아준다면 바닥이 나왔을 확률이 높아보입니다!
1일봉상 smi도 과매도권에서 골든크로스가 나왔습니다! 참고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4시간봉상 FVG만 채우고 바로 반등이 나온걸 볼 수 있습니다.
흔히 보통 상승추세가 강할때에는 FVG만 채우고 올라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렇게 보았을때 지금은 상승힘이 좀더 강하다! 더 반등이 나올 수 있어 보인다로 해석 할 수 있을듯 합니다!
그리고 보시면 아시겠지만 쌍바닥 패턴도 보입니다!
여기까지만 보면 바닥이 나왔다는 확률이 좀더 높아보입니다!
눌림에 롱으로 대응하는게 더 확률적으로 좋아보입니다!
다만 여기서 조금 꺠름직한 부분이 있습니다.
4시간봉상 상승쐐기형 패턴이 보입니다.
smi도 과매수 권에 잇고 cci도 하락다이버전스까지 보일려고 합니다.
이렇게 보면 제가 위에서 말한 1월부터 이어져온 긴~ 하락 추세선 상단을 살짝 뚫어주고나서
다시 추세선 밑으로 내려오는 무빙도 배제할 순 없겠네요..
88.7~92k 까지도 저항이 강해보입니다 ㅠㅠ
이부분이 좀 걸리긴 합니다만 그래도 저는 바닥이 나왔을 확률에 좀더 배팅하고 있습니다!
혹여나 74.5를 이탈하고 저점을 갱신하는 무빙이 나온다고 해도 저는 바닥에 거의 근접 했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계속 "롱" 으로 대응 할 생각 입니다!!
------------매매 계획---------------
일단은 현재 무포지션 상태 입니다.
아쉽게도 아직 특별히 어디가격 오면 매수를 받아야 겠다 결정하진 못했습니다.
그 이유는 바닥이 나온것 같긴 하지만 4시간봉상 쐐기형 패턴과 smi 과매수 들어와 있는 모습을 보고
일단은 저는 현재 자리에서 "관망"을 할 생각 입니다.
쐐기형 패턴을 어디로 이탈 하는지 , smi rsi cci등 과열지표들이 해소되는걸 보고나서 그 부근에서 진입 할 것 같습니다!!
제 아이디어가 도움이 되셨다면 팔로우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팔로우를 하시면 제 아이디어를 계속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거래의 핵심은 지지와 저항 지점 찾기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단기 상승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1D 차트의 HA-High 지표가 89294.25 지점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아직 저점 구간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89294.25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때까지는 스캘핑이나 단타 거래(day trading)와 같이 짧고 빠른 대응으로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승 추세선 (2)는 추세를 전환시키는 중요한 의미가 있는 추세선이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상승 추세선(2)을 따라 상승할 수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그러므로, 다음 변동성 기간인 4월 14일경(4월 13일-15일)을 지나면서 상승 추세선 (2) 이상 상승해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만일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즉, 1W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결국 다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StochRSI 지표가 중간 지점 이상 상승하였기 때문에 매수 시기보다는 매도 시기를 찾는데 집중하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종합해 보면, 89294.25 이상 상승하기 위해서는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과매도 구간으로, 과매도 구간에서 과매수 구간으로 이동하는 파동이 나올 때 1W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여야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고 바로 상승하여 89294.25 부근을 터치하게 되면, 89294.25 부근이 저항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30m 차트)
중요한 것은 어디에서 거래를 시작하여 어디에서 거래를 마감하느냐라 생각합니다.
그 답을 찾기 위해서 활용되는 지표가 HA-Low, HA-High 지표입니다.
처음으로 HA-Low 지표가 생성되었을 때, 지지 받고 상승하여 Trend Cloud 지표가 상승세를 보인다면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즉, HA-Low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가 공격적인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그런 다음 상승하여 HA-High 지표를 만나게 되면, 그때가 1차 매도 시기에 해당됩니다.
HA-High 지표도 HA-Low 지표와 마찬가지로 HA-High 새롭게 생성되었을 때 저항 받고 하락하여 Trend Cloud 지표가 하락세를 보인다면 매도 시기에 해당됩니다.
즉, HA-High 지표 부근에서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일 때가 1차 매도 시기에 해당됩니다.
선물 거래인 경우 공격적인 매도(SHORT) 시기에 해당됩니다.
이로써, HA-Low, HA-High 지표는 거래 전략을 만드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HA-Low ~ HA-High 지표 구간 내에서 움직이는 횡보, 박스 구간에서의 거래가 대부분입니다.
HA-Low 지표 이하로 하락하거나 HA-High 지표 이상 상승하게 되면, 추세에서의 거래 전략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HA-Low 지표 부근에서 매수하였다면, HA-High 지표 부근에서 1차 매도한 이후에 상황에 따라 대응하면 됩니다.
-
어디까지 상승할까 어디까지 하락할까를 생각하여 거래를 시작하기 보다 어느 지점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지점인지를 찾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그 지점을 찾았다면, 과감하게 거래를 시작하고 나머지는 상황에 맞게 대응해 가나면 됩니다.
저는 그 기준을 HA-Low, HA-High 지표로 삼고 있는 겁니다.
거래 전략을 만드는데 가장 중요한 지표는 당연 HA-Low, HA-High 지표 입니다.
HA-Low, HA-High 지표에서 매수하거나 매도하기 위한 참고 지표로 Trend Cloud 지표와 1D, 1W, 1M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활용합니다.
나머지 지표들은 세부 대응 거래를 진행하기 위한 보조 지표에 해당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을 터치하면서 이전 차트를 갱신하고자 다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전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현재 BTCUSD 12M 차트)
현재 작성된 피보나치 비율로 볼 때 최대 3.618(178910.15) 까지 표시되어 있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0.618(44234.54) 이하는 다시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BTCUSDT 12M 차트)
BTCUSDT 차트로 볼 때 42283.58 부근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
다시 BTCUSD 차트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연두색 박스로 표시된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과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을 상향 돌파하기 위해서는 피보나치 비율 1.618(89126.41),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2025년에 최대 상승 구간은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기 위해서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는지를 살펴봐야 겠습니다.
2025년의 불장을 끝으로 하락하게 된다면, 사실 어디까지 하락하게 될지 알 수 없지만, 이전의 하락 폭으로 볼 때 약 -60% ~ -70% 정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피보나치 비율 3.14(157451.83) 부근에서 하락이 시작된다면, 거의 피보나치 0.618(44234.54) 부근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4월 11일 비트코인
4월 11일 비트코인
이전관점 숏포지션 종료 이후 반등이나왔지만 직전고점의 88620 저항대 상단 돌파 실패와함께 추가적인 하락이 지속되며 하락하던 추세를 이어나갔습니다.
하락은 나왔지만 이번 하락에 지지대 72-72.8k 지지대는 닿지못하고 지지대 조금 위에서의 반등한 상황입니다.
현재 81-82구간에 위치해있는데 현재진행중인 상승/반등의 확인매매자리 컨펌은 아직 나오지않은 모습이기 때문에 밑에서 진입한 롱매수자들은 분할익절과 보수적인대응은 계속해서 필요하다고 보입니다.
현재의 이 반등이 다시 88.6k의 저항대를 넘지못하고 하락시그널시 , 확인매매자리의 되돌림을 그리러 조정이나올수잇지만 현재까지의 그림은 전저점이 깨지는 추가적인하락이 좀더 자연스럽다 보이고 추가 하락에 계속 대비..
단기 상승의 숙제는 88.6k의 돌파.. 이후 혹은 현자리에서의 직전저점이 안깨지는 되돌림자리에서의 상승시그널..
현재로서는
88.6k 저항대상단의 돌파전까지와
돌파하더라도, 혹은 현부근에서의 조정이나오더라도 직전저점을깨지않는 상승시그널의 확인매매 컨펌전까지는 숏우세에 가까운그림
현재 바로위의 88.6 저항대상단을 넘는다하더라도 나머지 저항을 한번에 큰장대양봉이 나오면서 돌파하는그림은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있고,
저항을 넘지못하고 내린다면 전저점의 갱신없는 되돌림구간의 확인과 전저점이 깨지면서 연계되는 밑의 지지대의 그림체크는 해야하기때문에 주요구간에서의 시그널에 포지션진입, 짧은시간내 보수적인대응은 계속해야하는 피곤한장이 이어지지않을까 싶습니다.
현재 주요구간
116000~116780
--------------------
101500-103980 저항대 (★파동내 되돌림 마지노 저항)
--------------------
97300-98000 저항대 (★중요저항대)
87245-88620 저항대 (★돌파시 지지체크구간/저항받은구간)
86210-86400 저항대 (★단기 추가상승 조건의 저항대)
81800-83130 지지대 (★현재구간)
72000-73800지지대 (★중요지지대)
67000-69900 지지대 (★중요지지대) 깨지면 관망
지지 구간 : 106.19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NVDA 차트)
1D 차트의 HA-Low 지표가 106.19 지점에 형성되었습니다.
따라서, 106.19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30m 차트)
106.19 이하로 하락한다면,
1차 : 1M 차트의 M-Signal 지표
2차 : 30m 차트의 HA-Low 지표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
(1D 차트)
1D 차트의 HA-Low 지표가 새롭게 생성되었기 때문에 이 부근에서 지지 받고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게 되면, 단기 상승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만일 그렇지 못하다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현재 위치가 중요한 구간에 해당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이더리움, 1,520 달러 지키면 반등? 뚫리면 더 깊은 나락? 1) 어제 흐름 복기
- 어제는 *Prev Week Low*인 1521.57 달러 방어가 핵심 포인트였어.
- 실제로 다중 바닥 + 거래량 증가가 나오면서 단기 반등 흐름이 확인됐지.
- 전체적인 기조는 ‘한 번 더 눌림 후 위로 재돌파할지’ 관망이 필요한 자리로 보임.
2) 현재 시점, 1521~1553 구간 주목
- 지금 이더리움(ETH)은 4시간봉 기준으로 1520~1550 구간 내에서 횡보 중.
- 여길 확실히 지지하면 1580~1600 구간까지 단기 상방이 열릴 수 있다는 관측이 있어.
- 반면, 노란색 ‘추세선’을 깨뜨린다면 반등보다는 추가 하락 쪽 무게가 실릴 가능성 존재.
3) 상승 시나리오 (빨간)
- 1553 이상 지지 + 돌파 시, 바로 1580~1600 구간 테스트 전망.
- 해당 구간은 과거 강한 매도세가 있던 영역이어서 강력한 매물 저항에 부딪힐 수 있음.
- 만약 1580선 부딪히고 하락 전환 시, 다시 1521~1500 사이 지지 여부 재확인 필수.
- 결론: 1553 돌파가 먼저 나와야 추가 랠리 기대 가능.
4) 하락 시나리오 (녹색)
- 반면, 1553을 돌파 못 하거나 지지 실패하면, 1521 전저점 재확인할 수 있음.
- 더 이탈 시 1480 → 1400~1384까지 열리는 급락 시나리오.
- 특히 1400 부근은 과거에도 강한 반등 나온 자리라, 단기 바닥 형성 가능성 높다는 견해 존재.
- 주요 체크: 1530~1553 부근 재돌파 실패면 하락 가속 주의.
5) 왜 눌림 후 반등이 더 깔끔할까?
- 보통 상승 추세는 충분한 조정(눌림) + 매수세 유입이 나와줘야 지속력이 생겨.
- 지금 구간에서 억지로 위로 치솟으면, 매수세 불안정 → 곧바로 되밀릴 위험.
- 그래서 “조금 더 눌렸다가 올라오는 흐름”이 개인적으로 가장 이상적이라고 보는 거야.
6) 오늘 시황 포인트
- 지금은 1520~1550 구간이 핵심 전장이라 생각하면 돼.
- 여기서 확실히 방어하고 지지를 다져주면, 윗단(1580~1600) 테스트 가능성.
- 1580 넘어야 그 이상 목표 노릴 수 있지만, 저항대가 빡세므로 재차 눌림 염두에 둬야 함.
- 반면, 1520마저 깨지면 1480 → 1400까지 빠르게 열릴 수도 있음.
- 즉, ‘올라가도 저항, 내려가도 지지’가 걸려있는 묘한 자리라는 말.
7) 체크리스트
- (가) 1553 돌파 시나리오: 1580까지 ‘단기 스윙’ 노려볼 만, 그 위는 거래량 필수.
- (나) 1521~1500 이탈 시나리오: 하락 가속, 1480 → 1400 순으로 강한 지지 체크.
- (다) 노란 추세선 유지 여부: 깨지면 하락 전환 신호 크게 올라갈 것.
- (라) 눌림 후 반등: 조정 볼륨 + 매수세 동반 확인 시 ‘안정적 롱 진입’ 가능 구간.
8) 최종 정리 & 콜투액션
- 지금 이더리움은 ‘딱 중립 지점’에 걸려 있어서 어느 쪽이든 쉽게 방향 못 잡는 상황.
- 1580~1600 저항을 뚫어야 본격 상승 열릴 듯 보이고,
- 1520 깨지면 하락 가속 → 1400 부근에서 다시 지지 확인 시나리오.
- 결론적으로 “괜히 추격 매수보다, 눌림 지지 or 저항 돌파” 보고 대응하는 게 안전.
- 오늘도 과도한 레버리지보단, 지지·저항 구간별 ‘반응’을 먼저 확인하고 가자는 게 내 의견이야.
---
“ETH, 아직 꿈틀대는 매수세와 ‘추가 하락’ 리스크가 공존하는 시점
도지코인, 결국 1달러 간다는 말 진짜일까? 도지코인, 2025년 진짜 1달러 찍을까?
밈코인인데 시총 200억 달러라니, 이게 말이 돼?
여기서 폭등 시작될지, 그냥 끝날지…
1) 도지코인 근황과 왜 주목할까
- 최근 몇 달간 크립토 시장 자체가 트럼프 관세, 주식 변동성 등 각종 악재로 뒤숭숭했어
- 그 와중에 비트코인(시총 1위)은 버티고, 이더리움(~2천 달러)은 부진,
- 그리고 도지코인(DOGE)은 여전히 밈코인 파워로 상당한 지지층 확보.
- 핵심은 “도지코인, 과연 또다시 전성기를 맞이할 수 있을까?”
2) 최근 차트 흐름 & 기술적 지표
- 시총 약 200억 달러 수준, 최근 24시간 기준 -15%급 하락.
- 1개월 전 대비 약 30% 하락, 연초 대비론 -28% 정도.
- 다만 이전에도 비슷한 급락 뒤 갑자기 폭등(9,000% 랠리)한 전례가 있었음
- 트레이딩뷰 등 차트 지표상, 0.16달러 부근 지지를 지키면 반등한다는 의견 존재
3) 2025년에 주목하는 이유
- 시장 관점: ‘밈코인’ 붐은 아직 죽지 않았다.
- 게다가 도지는 ‘OG 밈코인’이라 불릴 정도로 오래되고, 커뮤니티가 엄청남
- 많은 이들이 2024~2025년 부근을 다음 랠리 시점으로 기대,
- 트럼프 관세 쇼크나 세계적 불확실성이 정리되면 투자심리 회복 기대
4) 거래량 감소 & 개발 활동 둔화 우려
- Dogecoin, 이전에 비해 거래량 90%↓라는 보고도 있어 (’24년 11월 대비)
- 현재 가격 0.1572달러, 주요 지지선 0.16달러 근처
- 일부 애널리스트 “개발 둔화 → 장기 가치에 타격”이라 우려
- 반면, “이건 단순한 밈코인, 커뮤니티가 키워가는 것”이라며 가치 유지 가능성 주장도
5) 실제 커뮤니티는 어떨까
- 트위터나 레딧 등에서 여전히 “DOGE to $1” 외치는 사람 많음
- 계속 ‘HODL(홀딩)’하고 버티는 장기 지지자들 존재
- “도지코인은 실패 불가능. 커뮤니티가 너무 강력해서”라는 낙관론도 만만치 않음
6) 투자 포인트 & 타이밍
- 현재 시점에서 매수 타이밍으로 볼 수도 있음:
- “장기 하락 후 바닥 근접, 다시 폭발 랠리 기대” vs. “개발 둔화·거래량 부진” 이슈
- 안전하게 가려면, 차트상 강력 지지선(0.14~0.16 부근) 재확인 후 진입이 합리적
- 만약 0.20달러 이상 돌파 시 → 단기 거래량 폭발 가능성 높음
7) ‘Ramitics’ 등 다른 알트코인 소개
- 영상에서 언급된 Ramitics(‘XRP 대체 가능’이라는 의견) 같은 신규 프로젝트도 있다는데,
- ICO로 1,400만 달러 넘게 모았다거나, 커뮤니티/유틸리티가 뛰어나다고는 하지만…
- 어디까지나 “신중 투자”가 답. 유망 새 코인이든, 도지코인이든, 모든 투자 결정은 본인 몫!
8) 결론: 도지코인, 과연 어디까지?
- 과거에도 무섭게 폭등한 전력이 있으니, “1달러 간다”는 말이 허무맹랑한 건 아님
- 하지만 시장 전체가 아직 회복 안 된 상태고, 개발 둔화·거래량 감소 현실도 무시 못 함
- 최종 판단: 지금은 도지를 매수할지, 다른 코인(예: Ramitics?)을 노릴지, 스스로 차트·지표·커뮤니티 분위기 체크 필요
- 결론적으로 “밈코인이라 단정 짓기엔, 이미 시총 Top급 코인”이라는 점에서 계속 추적할 가치 충분
DOGE, 언젠가 $1 찍을지 말지는 당장 알 수 없지만,
적어도 ‘한방’ 잠재력만큼은 여전히 건재!
너무 FOMO 말고, 지지선·거래량·뉴스 흐름 보면서 단계적 접근이 베스트라고 본다.
금 터지면 끝장? 비트코인 8만 달러대 회복에 쏠리는 눈🌋지금 터지면 끝장? 비트코인 8만 달러대 회복에 쏠리는 눈🌋
1) 야, 비트코인 지금 8만 달러대 턱밑에서 꿈틀대는 거 보이냐?
2) 거래량 슬슬 살아나는 느낌인데, 이거 그냥 넘어갈 흐름이 아닌 듯?
3) 뭔가 폭발 직전의 긴장감이라고 해야 하나… (이어서계속)
1️⃣ 현재시세(80,911.62 USDT)
지금 BTC가 80,911.62 USDT 근처에서 움직이는데, 하루 최저 79,607.30 USDT 찍고 최고 80,915.34 USDT 터치했어. 하루 사이 변동폭이 1,300달러 이상이니 상방이든 하방이든 폭발할 때가 임박한 느낌!
2️⃣ 일일 상승폭(+1.64%)
하루 만에 1.64%나 뛰었다는 건 시장에 유동성이 서서히 들어오는 걸로도 볼 수 있지. 전날 대비 약 1,304.32달러 오른 건데, 단발성 펌핑이냐 추세 전환이냐가 중요한 포인트야.
3️⃣ 최근 1주 –2.75%
그래도 1주 단위로는 아직 -2.75% 빠진 상태야. 한 번 크게 흔들렸다는 의미인데, 오히려 저점 매수 기회가 됐을 수도 있어. 시장 심리적으로는 아직 긴가민가 단계.
4️⃣ 1개월 수익률(-2.42%)
1개월치로 봤을 땐 살짝 지쳐있는 흐름이 보여. 그래도 이거 바닥 다지고 새로운 랠리로 가기 전의 숨 고르기라고 해석해도 재밌을 듯.
5️⃣ 3개월 낙폭(-14.57%)
3개월 동안 14% 넘게 빠졌다가 이제 8만 달러 언저리로 되돌아왔다는 건, 중장기 플레이어들 입장에서는 추가 상승 여지도 있다고 볼 수 있지. 손절물량 다 털렸고 다시 매집 시작할 수도!
6️⃣ 거래량(4.87k)
현재 거래량은 4.87k로, 평소 평균 볼륨(24.57k)에 비하면 여전히 낮은 편이야. 매집 구간으로도 볼 수 있겠지만, 아직 폭발적인 거래는 안 나온 상황이란 뜻이기도 해.
7️⃣ 평균 볼륨(24.57k)
이 수치가 살아나면 진짜 큰 변동이 나올 거라고 보는데, 평소보다 훨씬 많은 거래가 터져야 제대로 된 상승 드라이브가 걸릴 확률이 높지.
8️⃣ 단기 이동평균(20MA: 약 82,287.87)
지금 차트상 20일선이 82,287.87 정도인데, 여길 강하게 돌파하면 단타 세력들은 ‘아 이제 꺾인 거 아냐?’ 하면서 매수 쏠림이 올 수도 있어.
9️⃣ 중기 이동평균(50MA: 약 85,560.48)
50일선까지 올라타면 완전 다른 분위기지. 중기 추세 전환 시그널 잡으려면 적어도 8만5천 달러대 돌파 여부를 체크해야 돼.
🔟 장기 이동평균(100MA: 약 88,039.16)
만약 8만8천 달러 근처까지 뚫어버리면, 진짜 매물대 소화 후에 9만 달러 근접도 노려볼 수 있다고 봐. 그 땐 엄청난 매수세가 들어올 수도!
1️⃣1️⃣ 직전 고점(88,595.03 USDT)
8만8천 선이 직전 고점 근처라 매물대가 꽤 두꺼울 거야. 여기 뚫으면 종가 기준으로도 심리적인 저항선이 크게 없어져서, 상승엔 탄력 붙을 것 같아.
1️⃣2️⃣ Aggregate Funding(-0.0069%)
펀딩비가 음수라는 건 숏 포지션이 좀 몰려 있다는 소리라, 나중에 쇼트 스퀴즈 터지면 위로 더 빠르게 치솟을 가능성도 열려 있지.
1️⃣3️⃣ Binance Liquidation(28,019.64)
최근 큰 폭의 청산 규모가 2만8천 달러 이상 잡혔다는 건데, 변동성 심화 구간이라는 증거로 볼 수 있어. 청산이 줄줄이 터지면 방향 크게 튈 수도 있으니 조심.
1️⃣4️⃣ IO 지표(-9,027.75 외)
-9,027.75, -7,950.04 등등 강한 음수 지표가 나오는 건 숏 포지션 증가나 미결제약정 변동을 시사할 수 있어. 결국 변동이 클 때 세력이 움직일 확률이 높다고 봐야지.
1️⃣5️⃣ 거래 심리
단기적으로 상승 모멘텀에 대한 기대가 살아나는 와중에, 불안감도 동시에 커지고 있어. FOMO(놓칠까 봐 두려움)와 FUD(불안, 의심) 사이에서 시장 분위기가 갈려.
1️⃣6️⃣ 박스권 이탈 시나리오
만약 8만 달러대 박스권을 완전 뚫어주면 큰 상승 추세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져. 반대로 이 박스권 하단 깨지면 매도세가 쏟아져 단기 급락도 배제 못 해.
1️⃣7️⃣ 볼린저밴드 수축
최근 밴드 폭이 살짝 줄어드는 모습이라, 크게 한 번 방향 잡히면 변동성이 확 커질 확률이 높아. ‘폭풍 전야’라고들 하지.
1️⃣8️⃣ 심리적 마지노선 80,000 USDT
8만 달러가 심리적으로 굉장히 중요한 지점. 여기서 장대 양봉 한 번 나오느냐 아니면 무너져버리느냐에 따라 다음 방향이 달라질 거야.
1️⃣9️⃣ 단타 vs 스윙 의견
단타족은 이미 변동성 노리고 숏·롱 왔다 갔다 하면서 재미 보겠지만, 스윙 관점에서는 최소한 8만2천 돌파 전까진 잠잠히 관망하는 사람들도 많아. 시장 방향이 명확하지 않으니까.
2️⃣0️⃣ 다음 목표가(8만5천 ~ 9만 달러)
개인적인 느낌으로는 8만2천, 8만5천만 뚫어주면 9만 달러까지도 노려볼 수 있을 듯. 이 구간 돌파하면 단타 매물 + 새로운 매수세가 겹치면서 더 강하게 밀어붙일 수도 있지.
비트코인, 4시간봉 FVG 범위가 넓다?“비트코인, 4시간봉 FVG 범위가 넓다?
노란 추세선 깨지면 대폭락 온다?
공정가치갭(FVG) & 오더블럭
지금 4시간봉 보로 시면, 노란색 박스로 표시되는 Fair Value Gap이 꽤 넓게 형성돼 있어.
이 내부 흐름을 확인할 때 월요일 레인지와 주요 오더블럭(수요·공급 범위)도 함께 보면 좋아.
쉽게 말해, 이 구간에서 지지·저항이 세게 맞물리므로 단타든 스윙이든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뜻.
노란 추세선(트렌드라인)의 의미
지금 가격이 노란 추세선 안으로 안 들어오고 위에서 놀아주는 게 이번 흐름의 핵심 포인트.
만약 이 추세선 깨진다면?
반등 시나리오보다 추가 하락 가능성이 확 높아져서,
‘의미 있는 매수 포인트 잡기’도 한층 까다로워질 것 같음.
즉, 이 선이 ‘이번 장세에선 절대 뚫리지 말아야 할 방어선’ 느낌이라고 보면 됨.
눌림 후 재상승 시나리오
“조금 더 눌렸다가 갈 때가 가장 깔끔하다” 라는 의견이 많은데,
실제로 이렇게 눌림을 준 뒤 (FVG 일부 메우고) 반등해주면 차트도 이쁘게 살고,
트레이더 입장에서도 저점 매수 기회가 한 번 더 생김.
무리하게 바로 불타기보단, 눌림대 확인 후 들어가는 게 안전해 보이는 이유야.
체크포인트
(1) FVG(노란 박스) 범위: 어느 선에서 가격이 튀거나 밀리는지 세밀 체크
(2) 월요일 레인지 & 오더블럭 위치: 단타/스윙 진입의 기점이 될 수 있음
(3) 노란 추세선: 절대 깨지 말아야 할 선. 깨지면 추가 하락 경고
(4) 적당히 눌림 주고 반등하는 흐름이 이상적 → 고점 추격보다 분할 매수 노려볼 만
한줄 코멘트
“솔직히 FVG 범위가 넓으면 가격이 휙휙 흔들릴 수밖에 없어.
게다가 노란 추세선 깨면 손절물량도 꽤 터질 텐데,
그 전에 눌림 받고 천천히 올리는 그림 나오면 제일 수익내기 좋아 보임.
즉, 고점 추격 매수는 피하고 추세선 지키는지부터 살피자!”
비트코인 4시간봉에서 보이는 공정가치갭 범위가 꽤 넓은 만큼, 추세선 방어 여부가 오늘 장세의 열쇠가 될 것.
손절 라인 명확히 잡고, 오더블럭·월요일 레인지 등 디테일한 구간에서 눌림매수를 노리는 게 현명하다.
비트코인 78K, 여기서 반등 재돌파냐 추락이냐 단칼 결판 날 자리가 왔다어제 흐름 간단 복기
어제 78,000 부근만 이탈 안 하면 상방 여지 열려 있다고 했고, 실제로 그 아래로 크게 내려가지 않고 반등 시도했어.
그 덕분에 79,000~80,000 근처 지지 후 살짝 상승, 현재는 4시간봉 EMA 위에서 눌림 살피는 국면.
오늘 시황 핵심
여전히 78K가 1차 방어선. 여기 깨지면 흐름 확 꺾일 위험 커짐.
반면, 위로는 82,500~83,500 구간이 강력한 저항대. 이 라인 돌파 못 하면 다시 79K대로 흔들릴 수 있어.
일봉상 아직 과매도(오버솔드)는 찍지 않아서, 한 번 더 눌릴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함.
상승 시나리오 (빨간)
77,000~78,000 지지 살아있으면 단기 반등 유지 가능.
반등 시 79,000~80,000 재확인 후, 82,500~83,500 돌파 시도.
⭐️ 만약 82.5K~83.5K 돌파 실패 → 최대 79,000~80,000까지 재하락 가능성.
결론적으로 82.5K~83.5K 통과 여부가 진짜 중요 포인트.
하락 시나리오 (녹색)
77,000~78,000 이탈 시 하방 가속화 주의.
그 아래 75,200~75,850 박스권까지 열릴 수 있음⚠️
최악으론 73,500 근처까지 찍을 수도 있는데, 그땐 분위기 상당히 안 좋아질 듯.
시나리오 요약
지금 시장은 “단기 상승 마무리 후 눌림” vs. “추가 상승” 사이 갈림길.
78K 지지가 무너지지 않으면 82K 부근까지야 갈 수 있겠지만, 거기서 다시 강한 매도 맞을 수도 있다고 봐.
코인스쿨 시각으론 약간 눌렸다가 가는 흐름이 더 이상적이라는 해석이 많아.
한줄 코멘트
“오늘은 무리해서 달려드는 것보다 78K 지지 지켜주는지부터 확인하는 게 먼저.
만약 거기서 반등에 성공하면 82K 재도전 가능하지만,
78K 이하로 훅 빠지면 하락으로 기울며 75K대나 73K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반등이냐 추락이냐, 78K를 중심으로 긴장감이 커지는 시점
82.5K~83.5K 돌파 성공 시 상승 랠리 이어지겠지만, 실패하면 재하락으로 급변 가능성.
오늘은 “눌림대 지지”와 “상단 저항” 둘 다 신중히 지켜보며, 과열 진입보단 안정적 포지션 관리가 우선!
0.2349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MANAUSDT 1D 차트)
0.2349 부근에서 지지 받고
1차 : 0.2636
2차 : 0.3136
위의 1차, 2차 부근으로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0.1066-0.1547 구간에 중요한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0.1066-0.1547 구간은 마지막 매수 구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마음의 여유를 갖고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릴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합니다.
-
MANA 코인이 Collectibles & NFTs, Gaming, Play To Earn, Payments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Ethereum Ecosystem, Solana Ecosystem, Polygon Ecosystem, Gnosis Chain Ecosystem, Fusion Network Ecosystem에 속해 있습니다.
그러므로, 여러 방면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앞으로의 전망이 그리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현재 Gaming에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가격적인 면에서는 아직 큰 메리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Gaming 사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사업이 좀 더 확장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
(30m 차트)
- HA-High 지표 이상 상승,
- Trend Cloud 지표가 상승세,
- 1D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으로 상승,
-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 진입,
위의 조건에서는 다시 HA-High 지표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지점인 0.2349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가 관건입니다.
이대로 상승하여 0.2636 부근으로 상승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지만, 그럴만한 거래량이 발생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을 터치하면서 이전 차트를 갱신하고자 다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전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현재 BTCUSD 12M 차트)
현재 작성된 피보나치 비율로 볼 때 최대 3.618(178910.15) 까지 표시되어 있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0.618(44234.54) 이하는 다시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BTCUSDT 12M 차트)
BTCUSDT 차트로 볼 때 42283.58 부근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
다시 BTCUSD 차트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연두색 박스로 표시된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과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을 상향 돌파하기 위해서는 피보나치 비율 1.618(89126.41),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2025년에 최대 상승 구간은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기 위해서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는지를 살펴봐야 겠습니다.
2025년의 불장을 끝으로 하락하게 된다면, 사실 어디까지 하락하게 될지 알 수 없지만, 이전의 하락 폭으로 볼 때 약 -60% ~ -70% 정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피보나치 비율 3.14(157451.83) 부근에서 하락이 시작된다면, 거의 피보나치 0.618(44234.54) 부근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2025.04.10 흐구흐구 쫄지안습니다!!
어제여기서 알싸함이 들어서 조금 헷징롱치고 날리긴했는데
전체파동의 0.618 되돌림이 나오더라구요?
어쨋든 4시간봉상 상승choch가 열려있는상태라 여기서더가면 과감히 숏관점은 포기할생각입니다.
앞에나온a파는 리딩형태로 보이고
b파가 익스팬딩플랫 세부파동 5파 터미널확장으로 보여짐.
cpi죠오늘?
예상치 하회하면 아마 관점폐기해야할수도?ㅋㅋㅋ 다른형태로흘러갈 확율이있음
어쨋든 터미널이면 빠른시간내에 악재로 되돌릴수있다고판단됩니다
현재올라온파동의 0.5에서 헷징롱 일부 열어두되고!~
일단 제가 완전풀뺵이 나올거같아서 어제도 좀 싸함을 느끼고있엇는데
다행히 70치고나올줄알았는데 바로나오더라구요
이렇게되면 오히려 저는 리스크가 좀없어졌다고 판단되네요 만약오늘HH로 안가고
고점이 834여기부근으로 마무리되는거라면~
72부터 담을려고했던 헷징롱은 버립니다
최소 70.3부터 67.2까지 받을생각 롱~
64까지열려있다고 봐짐
USDCAD : 이런 자리가 승률 50% 여도 수익나는 자리입니다.어제 트황의 '관세 90일 유예' 발표로 인해서 나스닥 12%로 급등하였고,
그 여파로 인해서 전 세계의 금융시장이 요동치게 되었습니다.
어떤 종목은 추세와는 정반대의 캔들이 나왔거나, 또 다른 종목은 추세와 같은 캔들이 나왔거나
USDCAD 의 경우 원래 흐름이 하락흐름이였는 데, 어제 관세 90일 유예 발표 이후 장대 음봉이 나오면서 하락의 흐름이 가속화한 상황입니다.
1) 이평선의 역배열
하락추세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게 바로 역배열입니다.
그 역배열에 현재 4시간 차트에서 확인됩니다.
2) 명확한 하락추세
USDCAD는 명확한 단기 하락추세입니다.
고점과 저점이 계속해서 낮아지는 형태이기 때문이죠.
3) 일봉의 하락장악형
어제 트럼프 관세 유예의 여파로 일봉에서 하락장악형 패턴이 완성되었습니다.
이 캔들패턴은 결국 매수세와 매도세의 힘겨루기 중에 매도세의 우위로 만들어진 결과기 때문에
하락추세의 근거가 됩니다.
4) 4시간 차트에서 쌍봉 패턴
심지어 4시간 차트에서 쌍봉 패턴도 확인됩니다.
이 또한 하락장악형 패턴과 마찬가지로 매도세의 우위로 만들어진 결과이기 때문에 하락추세에 대한 근거가 됩니다.
따라서 이 위의 4가지의 근거를 통해서 USDCAD 는 강한 하락추세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저도 매도를 기다리고 있는 자리로써
저의 자세한 매수|매도 진입 타점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프로필 참고해주세요.
+추가로
매일 수익에 도움될 만한 주식 / 코인 / 미국주식 등을 아이디어로 올리고 있으니
1초 팔로우로 최소 100만원 이상의 가치(종목 발굴 / 차트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어가실 수 있을 겁니다.
이번 주도 화이팅입니다.
감사합니다.
##
매수/매도를 추천하는 관점이 아니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 스스로에게 있습니다. 스스로 분석할 때 참고로만 활용해주십시오.
BTCUSDT : 트황빔 이후 방향성 이 '하나' 로 정리 끝최근에 금융시장 전반적으로 움직임이 너무 쉽긴 했습니다.
어제 트황의 ' 90일 관세 유예 ' 발표로 인해
하루만에 나스닥 지수가 12%가 상승 하며, 느슨해진 금융시장에 다시금 긴장감을 '빡💥' 불어넣게 되었습니다.
(아마 어제 하루동안 나스닥뿐만 아니라 비트코인, 외환 등에서 청산당한 사람들 많을겁니다 )
어째든 어제 트황빔으로 인해서 조금은 판도가 바뀐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이런 상황 속에서 과연 어떤 식으로 대응해야 할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아직 하락추세는 남아있다 ]
새벽에 나스닥 12% 급등으로 인해 덩달아 비트도 8%나 급등.
이런 상황에서 제가 보는 뷰는 이렇습니다.
" 아직 단기적인 관점에서 하락추세는 끝나지 않았다 "는 것입니다.
추세를 시각화해주는 대표적인 지표 "이평선"을 보면 아직은 역배열 입니다.
보통 (일봉 기준) 역배열은 몇 주의 걸쳐 만들어지기 때문에, 추세를 나타내는 역배열이 몇주에 걸쳐 만들어졌다는 건
마찬가지로 하락추세 또한 몇 주의 걸쳐 만들어졌다는 걸 의미 합니다.
따라서 새벽에 '관세 유예'로 인해 "뿅"하고 양봉(일봉)이 만들어졌지만, 아직 하락추세의 모멘텀은 남아있다 는 겁니다.
따라서 아직 전 숏으로 대응할 것입니다.
결국 과거 제가 언급했던 저항구간에 도달한 상황 입니다.
저는 아직 숏 관점을 보고 있다고 말씀드렸다시피
현 저항구간에서 만약에 하락 반전형 패턴 (흑삼봉 / 하락장악형 .. 등) 이나 MACD 등 여러가지 지표를 확인해 만약에 매도세가 우세하다고 확인될 경우 숏 포지션 진입할 예정 입니다.
(아예 상승추세로 전환시킨다는 강한 의지 가 있다면, 이 자리에서 consolidation 즉 가격을 횡보하는 움직임을 안주고 크게 올려버리겠죠 )
[ 🌊 결론 ]
아직 단기 하락추세인건 변하지 않았다 . 따라서 저항구간에 도달한 지금 가격의 흐름보고 숏 재차 진입할 예정 이다.
[📌 매매타점 에 관해서 !]
저도 매도를 기다리고 있는 자리로써
저의 자세한 매수 | 매도 진입 타점 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프로필 참고 해주세요.
+추가로
매일 수익에 도움될 만한 주식 / 코인 / 미국주식 등을 아이디어로 올리고 있으니
1초 팔로우 로 최소 100만원 이상의 가치 (종목 발굴 / 차트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어가실 수 있을 겁니다.
이번 주도 화이팅입니다.
감사합니다.
##
매수/매도를 추천하는 관점이 아니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 스스로에게 있습니다. 스스로 분석할 때 참고로만 활용해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