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은 기관이 맞는다, 털지 않는이상 4천달러 안깨진다단기로 진입한 숏 포지션은 더블 탑
넥라인을 돌파해준다면, 추가 하락분은 나올수 있다 보고 있습니다.
(관점 유지중)
위에 말씀드린 것 처럼 CME GAP 4,098.5 - 4,185.5 구간이 하방에 존재
이번에 비트코인 주요 지지 구간과도 겹쳐서 의미가 큽니다.
그렇기 때문에4000달러 부근 부터는 다시 롱 포지션을 늘려갈 계획 입니다.
주요저항 라인 4280 - 4300
4400 - 4500
(메인저항이라 매도세가 강할겁니다.)
주요지지 라인 4000 - 4100
1️⃣ 3880 - 3916 이자리 위에 있으면 상승추세는 여전할것이다.
ETH LONG 2413 5천달러
ETH LONG 3431 1만달러
ETH SHORT 4288 2.5만달러
50% 분할 종료 후 포지션 유지중
X-indicator
비트코인 하락에 대비 2025.08.12 분석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119K - 119.8K 이 구간은 과거 주요 매물대이자 마지막 저항 라인이어서, 돌파 여부가 향후 신고가 가능성을 결정하는 핵심 포인트
다만 주의해야 할 점은, 하락추세선을 6번 넘게 맞고 돌파한 뒤라 하더라도 추세상승으로 직결된다고 확신하기는 이르다는 겁니다.
불장 속에서도 단기 눌림이 크게 나올 수 있다는 걸 잊으면 안 됩니다.
또한, 주요 저항이었던 117.5K - 118K 구간이 현재는 지지는 POC 구간과 결국 중첩이 되는 구간
해당구간에서 방어가 된다면 결국 신고가 돌파 가능하다는 판단
주요저항 라인 119K - 119.8K
120K - 120.5K
121.5K
주요지지 라인 117.5K - 118K
POC와 중첩 지지가 정말 중요
116.6K - 116.9K
이제는 주요지지라인이 이탈하게되면 다시 올라오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 됩니다.
BTC LONG 113,900 5천달러
(소량남기고 포지션 종료)
BTC LONG 109,380 3.5만달러
BTC SHORT 120,848 1.3만달러
비트코인 CME GAP
17750 - 119180
숏 포지션은 일부 차익실현챙겨 두었고,
해당자리는 한번더 117.5K 정도까지는 한번 트라이 해주었다 상승이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상승추세선과 하락추세선에서는 그래도 일부 반등이 나오고 있다
여유를 가지고 지켜봅시다.
지지와 저항 구간 : 114454.57-115854.56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StochRSI 지표의 K가 과매수 구간으로 진입하여 기울기의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에 따라서, 상승에 제약을 받을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
손가락이 가리키는 구간에 해당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로 인해 114454.57-115854.56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관건입니다.
만일 하락하게 된다면,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만날 때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때, 108353.0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번 변동성 기간은 8월 13일경(8월 12일-14일)에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계단식 상승세의 시작은 119177.56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다음 변동성 기간 : 8월 21일경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TSLA
상승 채널을 따라 상승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하락 추세선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311.4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이번 변동성 기간인 7월 25일경을 지나면서 단기 상승 추세선을 따라 상승하여 단기 하락 추세선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따라서, 311.48 부근에서 지지 받고 347.21-382.40 구간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8월 21일경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중요한 것은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는 것 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장기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268.07-311.48 구간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25.08.11 나스닥 분석안녕하세요. 오랜만에 트레이딩뷰에 글을 남깁니다.
나스닥 분석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차트는 4시간봉을 가져왔습니다.
현재 보면 저항추세선을 보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판단 됩니다.
지금 봐야할 것은 신고점이 갱신되느냐 마느냐 입니다.
신고점 가격은 23875입니다.
재밌는 것은 신고점이 미장에서 나온것이 아닌 유럽장에서 나왔습니다.
지금 나스닥은 당일 08.11 월요일 일본이 휴장이면서 아시아장이 끌어올릴 때 추가 상승이 가능해보이는 것 마냥 올렸지만 유럽장에서부터 조정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 차트의 흐름만 봤을 떄 계단식 상승이 나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뚜렷한 지지와 저항이 보이고 있습니다.
문제는 현재 구간인데 30시간동안 약 4% 가량 빠진 전적이 있기에 이번에도 가능성은 열어두고 시장이 현 구간을 고점이라고 보고 있다는 점은 참고하면서매매하시면 좋겠습니다.
보고있는 전략입니다.
지금 당장 섣부른 매수는 안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1000P 내리고 다시 800P 올린게 이상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 시점에서는 매도 관점만을 보고 있습니다.
단기 상승 추세 이탈 + 매물대 이탈을 보고 있습니다.
구간은 대략 23508 정도로 보고 있으며 매도 진행이 될 경우 파랑색 원형들이 구간 entry가 될 듯 합니다.
목표가는 수평선들로 확인하고 있으며 22775가 깨질 경우 시장의 변곡을 보고 있습니다.
결론
꾸준한 업로드 하겠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미래예측//@version=5
indicator("BTC 4H Elliott+Fibonacci Forecast (Approx)", overlay=true, max_lines_count=200, max_labels_count=200)
// ------------------ Inputs ------------------
pivot_left = input.int(6, "Pivot Left Bars (sensitivity ↑)", minval=1)
pivot_right = input.int(6, "Pivot Right Bars (sensitivity ↑)", minval=1)
show_fib = input.bool(true, "Show Fibonacci Levels")
show_waves = input.bool(true, "Show Elliott-style Wave Labels")
show_scenarios= input.bool(true, "Show Scenario Targets (Bull/Neutral/Bear)")
lookback_swings = input.int(12, "Lookback swing count to collect", minval=5, maxval=50)
// color settings
col_bull = input.color(color.new(color.green, 0), "Bull Scenario Color")
col_neut = input.color(color.new(color.orange, 0), "Neutral Scenario Color")
col_bear = input.color(color.new(color.red, 0), "Bear Scenario Color")
col_fib = input.color(color.new(color.blue, 60), "Fib Line Color")
// ------------------ Helper: find pivots ------------------
// use ta.pivothigh/low with left/right parameters
ph = ta.pivothigh(high, pivot_left, pivot_right)
pl = ta.pivotlow(low, pivot_left, pivot_right)
// We'll collect pivots into arrays (time, price, type)
var float swing_price = array.new_float()
var int swing_index = array.new_int()
var int swing_type = array.new_int() // 1 = high, -1 = low
if (not na(ph))
array.unshift(swing_price, ph)
array.unshift(swing_index, bar_index - pivot_right)
array.unshift(swing_type, 1)
if (not na(pl))
array.unshift(swing_price, pl)
array.unshift(swing_index, bar_index - pivot_right)
array.unshift(swing_type, -1)
// trim array to lookback_swings
while array.size(swing_price) > lookback_swings
array.pop(swing_price)
array.pop(swing_index)
array.pop(swing_type)
// convert arrays to latest swing series for plotting (up to 10)
sCount = array.size(swing_price)
// ------------------ Determine last swing highs/lows and attempt wave mapping ------------------
// We'll attempt a simple wave assignment: use last 5 directional swings as waves 1-5
// This is a heuristic: user should manually inspect and adjust.
var label wave_labels = array.new()
// clear old labels if new pivots detected
if barstate.islast
for i = 0 to array.size(wave_labels)-1
label.delete(array.get(wave_labels, i))
array.clear(wave_labels)
// Build a list of the most recent swings (chronological)
sw_prices = array.new_float()
sw_inds = array.new_int()
sw_types = array.new_int()
for i = 0 to array.size(swing_price)-1
array.push(sw_prices, array.get(swing_price, i))
array.push(sw_inds, array.get(swing_index, i))
array.push(sw_types, array.get(swing_type, i))
// Only attempt wave assignment if we have at least 5 swings and alternating high/low
if array.size(sw_prices) >= 5
// take the last 5 swings (most recent)
last5_prices = array.new_float()
last5_inds = array.new_int()
last5_types = array.new_int()
for k = min(4, array.size(sw_prices)-1) to 0 by -1
// build from older->newer for readability
idx = array.size(sw_prices)-1 - k
array.push(last5_prices, array.get(sw_prices, idx))
array.push(last5_inds, array.get(sw_inds, idx))
array.push(last5_types, array.get(sw_types, idx))
// now last5_* arrays contain 5 swings in chronological order
// Label them as Wave1..Wave5
for w = 0 to array.size(last5_prices)-1
p = array.get(last5_prices, w)
pi = array.get(last5_inds, w)
t = array.get(last5_types, w)
lbltxt = "W" + str.tostring(w+1) + " " + str.tostring(math.round(p))
lbl = label.new(pi, p, lbltxt, yloc=yloc.price, style=label.style_label_down if t==1 else label.style_label_up, color=(t==1 ? color.new(color.red, 0) : color.new(color.green, 0)), textcolor=color.white, size=size.normal)
array.push(wave_labels, lbl)
// ------------------ Fibonacci calculations ------------------
// We'll use last major swing high and low from swings to calculate retrace/extension
// pick most recent swing high and preceding low (or vice versa)
float swingHighPrice = na
int swingHighIndex = na
float swingLowPrice = na
int swingLowIndex = na
// find most recent high then previous low (or opposite)
for i = array.size(swing_price)-1 to 0 by -1
typ = array.get(swing_type, i)
if typ == 1 and na(swingHighPrice)
swingHighPrice := array.get(swing_price, i)
swingHighIndex := array.get(swing_index, i)
if typ == -1 and na(swingLowPrice)
swingLowPrice := array.get(swing_price, i)
swingLowIndex := array.get(swing_index, i)
if (not na(swingHighPrice) and not na(swingLowPrice))
break
// if couldn't find both in that order, reverse search
if na(swingHighPrice) or na(swingLowPrice)
// try other order
for i = array.size(swing_price)-1 to 0 by -1
typ = array.get(swing_type, i)
if typ == -1 and na(swingLowPrice)
swingLowPrice := array.get(swing_price, i)
swingLowIndex := array.get(swing_index, i)
if typ == 1 and na(swingHighPrice)
swingHighPrice := array.get(swing_price, i)
swingHighIndex := array.get(swing_index, i)
if (not na(swingHighPrice) and not na(swingLowPrice))
break
// Compute retracement levels (high -> low if high > low)
var float fib_382 = na
var float fib_50 = na
var float fib_618 = na
var float ext_100 = na
var float ext_1618 = na
if not na(swingHighPrice) and not na(swingLowPrice)
top = math.max(swingHighPrice, swingLowPrice)
bot = math.min(swingHighPrice, swingLowPrice)
range = top - bot
fib_382 := top - range * 0.382
fib_50 := top - range * 0.5
fib_618 := top - range * 0.618
// For extension: use last move magnitude (we'll use wave1 length estimate = top - bot)
ext_100 := top + range * 1.0
ext_1618 := top + range * 1.618
// ------------------ Scenario targets ------------------
// We'll define:
// - Bull: extension 1.618
// - Neutral: extension 1.0
// - Bear: retrace to 50% (or to swingLow)
bull_target = ext_1618
neut_target = ext_100
bear_target = fib_50
// Draw scenario horizontal lines & labels
if show_scenarios and not na(bull_target)
line.new(bar_index, bull_target, bar_index + 200, bull_target, xloc=xloc.bar_index, color=col_bull, style=line.style_dashed, width=2)
label.new(bar_index + 4, bull_target, "Bull target " + str.tostring(math.round(bull_target)) + "$", color=col_bull, textcolor=color.white, style=label.style_label_left)
if show_scenarios and not na(neut_target)
line.new(bar_index, neut_target, bar_index + 200, neut_target, xloc=xloc.bar_index, color=col_neut, style=line.style_dotted, width=2)
label.new(bar_index + 4, neut_target, "Neutral target " + str.tostring(math.round(neut_target)) + "$", color=col_neut, textcolor=color.white, style=label.style_label_left)
if show_scenarios and not na(bear_target)
line.new(bar_index, bear_target, bar_index + 200, bear_target, xloc=xloc.bar_index, color=col_bear, style=line.style_solid, width=2)
label.new(bar_index + 4, bear_target, "Bear target " + str.tostring(math.round(bear_target)) + "$", color=col_bear, textcolor=color.white, style=label.style_label_left)
// ------------------ Plot Fibonacci levels ------------------
if show_fib and not na(fib_382)
line.new(swingLowIndex, fib_382, bar_index, fib_382, xloc=xloc.bar_index, color=col_fib, style=line.style_solid)
label.new(bar_index, fib_382, "Fib 38.2% " + str.tostring(math.round(fib_382)) + "$", yloc=yloc.price, style=label.style_label_left, color=col_fib,
비트코인, 힌트 나오기 전까지는 상승비트는 현재 날봉상 중요했던 111.9k를 지지 받고
쭉 상승을 하고 있습니다.
딛을때 날봉상 상승 장악형 캔들이떴습니다.
상승 장악형캔들 은
하락하는 도중에 음봉을 크게 잡아먹는 양봉이 떠야하며,
대신 거래량은 음봉보다 작아야합니다.
즉, 캔들은 음봉 보다 양봉이 큰데 거래량은 양봉이 작아야합니다.
그 뜻은 그만큼 거래'량' 자체는 작은데 힘이 좋다.
그럼으로 추세변곡이 일어날 확률이 높다.
라고 인식하시면 좋습니다.
현재 상황에서 변곡을 정확히 딛어주며 동시에
위에서 말씀드린 장악형 캔들이 떴기 때문에
명확한 피보나치를 셋팅할 수 있습니다.
해당 피보나치에서는 현재
0.382 부근을 잘 딛음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이전에는 꼬리로 계속해서 지지 받았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는건 눌려도 해당 0.382 부근인
116.2k는 잘 지켜줘야하는 중간 지지층임을 확인 이 가능합니다.
또한, 0.618 되돌림 부근인 118.9k는
걸림돌 이 될 수 있겠지만 해당 부근마저 뚫어준다면
다시금 0.886 되돌림 부근인 121.9k까지 충분히 도달 가능성 이 생깁니다.
비트를 한번 4시간봉으로 좁혀보겠습니다.
현재 잘 상승을 도전하고 있으며,
4시간봉에서 초록색 형관팬처럼
약 116.6k 부근을 잘 지지로 딛은 모습도 확인 이 됩니다.
다음 걸림돌은 주황색 체크부근인
120k 부근 입니다.
계속해서 저항을 받았던 부근임을 확인이 가능하신데
그렇다는건 각 가격대들은 현재 진입의 기준이되며, 부분익절의 기준이되고
반대로 리스크관리의 기준 이 됩니다.
지금 브리핑을 공유드리고는 있지만
지금 상황에서는 진입기준을 잡는다기보다는
조금은 기다리셨다가
중요 가격대에 도달할 시에 전략을 짜는게 현명한 전략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직까지는 특별한 아래로 나오는 차트 힌트가 없기 때문에
저는 적어도 120k 까지는 특별한 그림이 없다면
도달할 가능성 을 높게 보고 있습니다.
해당 부근을 잘 참고하시고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항상 트레이딩에서는 100%라는게 없기 때문에
참고자료로만 확인하시고, 이렇게 바라볼 수도 있구나 정도만 인식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서버린] 2025년 8월 4일 비트코인 상승 관점 공유우리는 SeoVereign 트레이딩 팀입니다.
예리한 통찰력과 정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비트코인 및 주요 자산에 대한 트레이딩 아이디어를 정기적으로 공유합니다.
구조(Structure), 심리(Sentiment), 모멘텀(Momentum)을 중심으로 시장을 분석합니다.
🔔 팔로우하시면 관점이 업로드될 때마다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여러분의 부스트와 따뜻한 코멘트는 서버린에게 정말 큰 힘이 됩니다.
아이디어를 읽어보시기 전에 부스트 한 번씩만 눌러주신다면, 진심으로 감사드리겠습니다 :)
이번 아이디어는 지난 8월 1일에 게시한 아이디어와 연계되는 내용입니다.
8월 1일 아이디어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저는 현재 시장의 흐름을 하락 우선으로 보고 있으나, 아직 한 차례의 상승 파동이 남아 있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그 시작 지점을 포착하려는 구간에 있습니다.
당시 제시드렸던 141,100 부근의 지지선 기반 상승 아이디어는 다소 조정을 받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8월 1일 진입한 물량을 여전히 보유 중입니다. 이는 ZIF를 아직 벗어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ZIF(Zone In Fibonacci)란 제가 직접 고안한 개념이며, 피보나치 되돌림을 작도했을 때 1.0 비율과 1.414 비율 사이의 가격 구간을 의미합니다.
이 구간은 아이디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임계 영역으로 작용하며, 해당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한 전략은 여전히 유지 가능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또한, ZIF의 마감 기준은 일봉의 마감 가격입니다.
단순히 ZIF를 벗어났다고 해서 관점을 폐기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여전히 유효한 범주 내에 있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ZIF의 마지막 임계점에 해당하는 112,415 부근에서 두 번째 진입을 진행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TP(익절가) 또한 조정하여, TP의 평균가를 116,658 부근으로 재설정합니다.
항상 그랬듯이, 시장의 흐름에 따라 관점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서버린 드림.
3900.73-4107.80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이번 변동성 기간은 8월 6일경-14일경(최대 8월 5일-15일)까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3900.73-4107.80 구간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8월 28일경에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그때까지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가격이 하락하게 되면, HA-High ~ DOM(60) 구간인 3708.87-3762.33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3265.0-3321.30 이하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
(1M 차트)
TC(Trend Check) 지표가 0 지점 이상 상승하므로서 추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이에 따라서, 4630.26-4868.0 부근으로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상승세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 StochRSI 지표의 K > D인 상태로 상승세를 유지해야 합니다.
(가능하면, K가 과매수 구간으로 진입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Low Line ~ High Line 채널의 OBV 지표가 상승세를 유지해야 합니다.
(가능하면, OBV > OBVEMA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TC(Trend Check) 지표가 상승세를 유지해야 합니다.
(가능하면, 0 지점 이상에서 유지되어야 합니다.)
위의 조건이 만족되면 상승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중요한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을 상향 돌파하여 상승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 StochRSI 지표의 K가 과매수 구간 이하에 위치해 있고, K > D인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 Low Line ~ High Line 채널의 OBV 지표가 High Line 이상 상승하여 유지되어야 합니다.
- TC(Trend Check) 지표가 상승세를 유지해야 합니다.
(가능하면, 0 지점 이상에서 유지되어야 합니다.)
위의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중요한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을 상향 돌파한 이후에 지지 받고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환경에 맞는 트레이딩을 해야한다. - (Feat. 상승장답지 않은 상승장)안녕하세요 링컨입니다.
오늘은 시황이 아닌 '트레이딩 에티튜드'에 대한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이번 사이클은 '2017년 그리고 2021년 사이클'에 비해 "집샀다." "차샀다." 라는, 소위 투자로 '대박'을 쳤다는 글이나 사례들이 많이 보이질 않습니다.
"왜 상승장인데 상승장다운 분위기가 연출되지 않는 걸까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금리' 때문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암호화폐 시장의 진짜 불장'은 '2017년과 2021년' 이였습니다. 그리고 각 사이클의 금리는 '1%대' 혹은 '제로 금리'였죠. 그야말로 시장에 '유동성'이 넘쳐나던 시기였습니다. 특히 이 시기에는 '개미'들도 돈을 싸들고 시장에 참여하기 떄문에 비트코인뿐만 아니라 '알트코인들에 대한 수요 또한 폭발적'입니다.
그 결과 '포물선 형태의 상승'을 보이며 '솔라나', '엑시인피니티' 같은 말 그대로 '인생을 바꿀 수 있었던 코인들'이 탄생합니다.
하지만 이번 사이클은 "이게 도대체 상승장 맞아?" 하는 '애매한 느낌'의 상승이 진행 중입니다. 그리고 '역포물선'을 그리고 있죠. 이유는 '고금리 시대'이기 때문입니다.
생각해보죠. 금리가 높아져 '부동산 대출', '전세자금 대출'을 갚기도 버거운 시대이며 '물가' 자체도 높아져있습니다. "5000원 하던 국밥이 1만원이 된 시대.." 시장에 유동성이 이전 만큼 넘쳐나기 너무나도 어려운 환경입니다.
이에 따라 알트코인들의 수요는 '당연히' 이전 사이클보다 줄어들 수 밖에 없고 힘 없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우리는 '본질'을 봐야합니다.
이를 인지하고 직전 사이클과 이번 사이클의 움직임을 비교해보면 '빠르고 날카로운 상승과 조정'을 했던 과거와는 달리 상승 이후 '항상 지루한 횡보'가 동반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지난 사이클의 트랜드인 "물려도 살려준다."는 마인드의 '존버'가 아닌 수익을 차곡차곡 쌓아가거나 손실이 난다면 '재빠르게 대응하며 트레이딩' 하는 즉, '줄먹'의 태도로 임해야 합니다.
여기서 "9월에 금리를 인하하면 트랜드가 달라지는거냐?" 라는 점이 가장 궁금하실텐데..
잠시 '이전 사이클과 비슷한 흐름'이 연출될 수는 있으나 본질적으로 금리를 인하 한다 하더라도 이전 사이클만큼의 '구조적인 저금리' 환경으로 돌아가기는 어려운 부분이 많다고 생각하며
사이클의 진행도를 고려해 봤을 때 '통화 정책의 변화'는 시장의 추세를 하락으로 뒤집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음 글에서 '사이클에 기간'에 대한 내용으로 이 부분을 보충 설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비트코인 분석 이제 상승분은 단기로 다나왔다 쉬었다 가는구간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결국에는 돌파한다 말씀드리고 돌파가 나왔습니다.
지지해야하는구간도 말씀드리고 강하게 반등이 나왔다는 결과 도출
(114K~114.5K 구간은 반드시 지켜야 하는 Monday’s Low)
이제는 강한 매도세가 이어질 수 있는 구간
1번 차트를 참고하시면 1시간봉 기준으로 하락다이버전스가 컨펌 되었던걸로 확인이 됩니다.
2번째 차트를 보시면
위아래 유동성 확보하기 흐름일 수 있다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이제는 핵심자리 돌파가 중요한부분인데, 만약에 일봉기준으로 위로 안착 못하면 상방 추세는 종료되고 다시 조정으로 전환 될 수 있다 판단
주요저항 라인 118.6K - 118.9K
➡️ 3️⃣2️⃣
(2️⃣번 구간에서는 강한 매도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임)
주요지지 라인 115.7K - 116K
아랫꼬리 포함으로 114.7K - 115.2K
이제는 해당구간이 정말 중요한 구간입니다.
(롱 포지션이 없으신분들은 해당자리에서 SL 짧게 잡으시고 롱 포지션 진입하는것도 좋은방법입니다.)
코인스쿨은 상승에 무게를 두고있다.
BTC LONG 113,900 3.5만달러
순환매로 평단가 조절중
BTC LONG 109,380 3.5만달러
08.08 비트코인 관점안녕하세요. 불금입니다.
지난 주 하락에 이어 현재 반등이 나오고 있어요.
과연 지난 주봉의 하방 압박을 돌려 줄지는 아직 지켜봐야겠지만. 상승은 기분이 좋네요.
상방으로 돌리기 위해서는 조금 더 상승이 필요해 보여요. 노란박스위로 안착이 필요해 보이고 혹시 눌린다면 하단의 노란박스 구간을 지지 해줘야 할 것 같습니다. 아직까지는 그 범위가 좁혀지지 않은 상태라 하단 노란박스는 크게 표시 해둔 상태입니다.
개인적으로 707라인을 돌파 안착이 중요해보이며, 돌파시 다시 한 번 고점 테스트를 해볼 수 있을 거라 생각이 듭니다.
돌파시 목표는 이전부터 보고 있던 126~128k 라인을 보고 있으며, 이 라인마저 돌파한다면 더 위쪽 레벨까지 체크해야 겠죠.
체크포인트1. 상단의 노란박스 돌파 지지 체크
체크포인트2. 707라인 돌파 지지 체크
체크포인트3. 고점 돌파 후 126~128k 돌파 지지 체크.
체크포인트4. 눌림시 하단의 노란박스 지지 체크, 이탈 시 저점 이탈 가능성 존재.
체크포인트5. 주봉상의 상승 시그널 체크.
XRP 결국 분석처럼 가고 있네?? 거기에 항소 취하 놀랍네 놀라워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XRP +300%
말씀드린 가격에서 현물기준 +19% 상승이 나왔습니다.
SEC와 리플, 항소 취하로 XRP 소송 종료
이건 생각보다 정말 센 게 하나 터진겁니다.
결국 족쇄 해제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비트코인 상승에 힘입어 호재까지 나오면서 코인스쿨에서 진입한 단가보다도 크게 상승이 나왔습니다.
0.618 구간에서 단기 하락이 나오고있습니다.
그렇다면? 익절할까?
메인지지라인에서 지지가 나오는지 체크 해야합니다.
3.1853 / 3.0964 이런구간에 롱 포지션을 못잡으신분들에게 받을만한 자리라고 판단
현물기준으로 본다면 4480원 4270원 3950원 이런식으로 매집포인트가 되겠습니다.
이더리움 차트 분석 - "조정을 극복하기 위한 관문"안녕하세요 링컨입니다.
지난주 '피를 철철 흘리던 이더리움'이 주말 부터 현재까지 '소폭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은 '안심'하기 이른 상황이며 아직은 '조정'을 완벽히 극복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오늘은 이더리움의 '전반적인 추세'를 점검하고 '조정의 종결점'을 면밀히 분석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먼저 이더리움의 '큰 추세'를 점검해 보겠습니다.
단기간에 약 '15%' 하락하며 추세를 꺾는 듯한 조정이 있었으나 아직 큰 추세는 아무 문제 없으며 일전에 큰 하락을 만들었던 매물대인 '$3,300 ~ $3,473'를 이탈하지 않았고 지지 구간으로 전환 해놓은 상황입니다.
따라서 해당 수평 지지 구간을 이탈하지 않는다면 '단순 조정'으로 판단해야 하며 다소 크게 밀려 조정이 길어진다 하더라도 궁극적으로 '상승 채널'을 이탈하기 전 까지는 추세 자체는 살아 있다고 간주해야합니다.
하지만 큰 추세가 살아있다 하더라도 위 관점은 '현물 투자' 관점에서 적용해야하며 '선물 트레이딩'에서는 적용이 되지 않는 접근입니다.
따라서 조금 더 '세밀한 상황'을 살펴보겠습니다. 필자는 현재 조정의 형태를 '확장 플랫'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C파동 내부에서 '마지막 하락 5파동'이 진행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 경우 A파동의 '1.618확장 레벨'인 '$3,302' 인근까지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 하락은 '마지막'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다만 파동 관점을 배제하고 '프라이스 액션' 관점으로 접근한다면 $3,302을 이탈할 경우 매물대가 없기 때문에 '3K 초중반'까지 열어두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는 하락이 우세하다고 판단해야합니다.
이 추가 하락 시나리오를을 완전히 지워내기 위해서는 '$3,546 ~ $3,587' 저항을 돌파해내면 됩니다. 필자는 해당 구간을 '마지막 관문'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매매 전략'은 두가지입니다.
1. '$3,302'까지 하락 시 롱 포지션을 진입
2. '$3,546 ~ $3,587' 돌파 시 롱포지션 진입
해당 구간들을 면밀히 관찰하시길 바랍니다.
요약
1. 아직 이더리움의 큰 추세는 '상승 추세'다.
2. 하지만 단기적으로 '저점을 경신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3. 추가 하락이 발생한다면 파동 관점에서 '$3,302'가 종결 지점일 가능성이 높다.
4. 딥하게 밀릴 경우 '3K 초반'까지 열어두자.
5. 조정의 종결은 '$3,546 ~ $3,587 돌파'로 간주해야 한다.
추후 움직임이 발생한다면 빠르게 추가 글 업로드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펌프 갈껄? 상승하기전 고래 매도세 포착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비트코인 리스테이킹 프로토콜인 바빌론의 스테이킹 솔루션 프로젝트로 이용자들의 수익을 극대화하는 프로젝트
중요한건 고래들이 털기 시작하면 제자리로 돌아올 수 있으니 추격매매를 권장하지않는다.
단기적으로는 숏 포지션이 유리
하락추세선 터치시 분할로 정리 권장
상승추세선 이탈하지 않는 조건
빨간색 박스 (0.0028 - 0.0030)을 지켜주면
위 주요 저항라인이 목표가가 된다.
이미 고래들은 수익실현을 하고있는것으로 포착된다
일부 물량을 우리가 조금 받을수 있을것이다.
솔라나 반등 시나리오와 눌림시 받아야 필수 자리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이더리움 3550 구간에서 반등이나오면서 SOL ENA ENA HBAR 등등 매집을 진행했고
실시간분석 받으신분들은 +130% 정도 보지않을까 생각?
추가로 분석해드리자면 삼각수렴 속에 삼각수렴
이런 수렴은 결국 위아래든 분출이 나오게 됩니다.
알트들은 지금 시점에는 분익을 챙길 시점이다 만약에 눌림이 나오면 그때 또 비중을 챙겨야한다
여러번강조드립니다.
그리고 하락시 공격적으로 매집할 구간으로 보이는구간은 143 - 151달러 로 보입니다.
이 구간은 절대 깨지면 안되는 구간입니다.
거래를 시작해야 하는 조건의 예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이번에 말씀드리려고 하는 것은 언제 거래를 시작하여 언제 마감해야 하는가에 대한 얘기를 하려고 합니다.
거래는 사실상 시작과 끝이 없습니다.
즉, 언제나 거래를 시작할 수 있고 언제나 거래를 마감할 수 있습니다.
단지 거래를 시작하여 마감할 때까지 수익을 얻을 수 있는지가 문제일 뿐 입니다.
그래서, 거래를 시작해야 하는 이유가 명확하는 것이 좋습니다.
즉, 왜 지금 거래를 시작해야 하는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거래를 시작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왜 지금 거래를 마감하는지, 아니면, 분할 매도하는지에 대해서도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거래 전략이 수립되어 있지 못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거래 전략은 대략적으로 큰 그림에서 수립되어야 합니다.
그 이후에 세부 대응 전략은 가격의 변동성에 따라 자신의 심리 상태를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게 대응해 가면서 거래 전략에 맞게 거래를 끌고 가야 합니다.
그러므로, 기본 거래 전략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 기본 거래 전략은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자신에 맞는 기본 거래 전략은 확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가 사용하는 기본 거래 전략은 DOM(-60) ~ HA-Low 구간에서 매수하고 HA-High ~ DOM(60) 구간에서 매도하는 것 입니다.
------------------------------------------------------------------------------
거래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중요한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한 최적의 구간은 DOM(-60) ~ HA-Low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때 입니다.
이는 하이킨아시 차트에서 거래하기 위한 조건에 해당됩니다.
-
그 다음으로 1M, 1W, 1D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수렴한 상태에서 상향 돌파하여 가격을 유지할 때 입니다.
즉, 현재 가격이 위치한 구간인 0.000010612-0.00011445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때 입니다.
이는 추세 관점에서 볼 때, 중요한 전환점에 해당됩니다.
-
위의 구간에서 매수를 진행하였다면, 매도 구간은 0.00013521-0.00014824 구간입니다.
이 매도 구간은 HA-High ~ DOM(60) 구간으로 고점 구간에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HA-High ~ DOM(60) 구간 이상 상승하여야 비로소 계단식 상승세, 즉, 본격적인 상승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나머지 다른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에서 거래를 시작하게 되면, 가격의 변동성이 발생하였을 때 대응하기가 애매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한한 DOM(-60) ~ HA-Low, HA-High ~ DOM(60) 구간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하고 거래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세 관점에서 볼 때 현재와 같이 1M, 1W, 1D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수렴한 상태에서 상향 돌파하여 가격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일 때 그 부근에 위치한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지지 받는다면 거래가 가능합니다.
이러한 거래 방식이 반드시 수익으로 이어진다고 보장할 수는 없지만, 거래 전략을 만들고 거래를 시도할 만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비트코인은 이제 매집할 구간이 맞다 판단 / 기관들도 쓸어담고 있다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이제는 목표가 도달한자리에서 해당자리 돌파하게되면 목표하는 타겟들 달성 할 수 있다 판단입니다.
결국에는 돌파할겁니다.
단, 단기 하락은 피하지 못 할겁니다.
(시장은 보수적으로 봐야 하는게 정답)
그리고 눌림이 나오더라도 더블 바텀을 만들고 상승한구간 114K - 114.5K를 꼭 지켜줘야 하는 구간
여기를 지키지못하면 그 하단부 8️⃣라인까지도 열어둬야 한다는점 체크 하셔야합니다.
주요저항 라인 115.5K - 116K
➡️ 4️⃣3️⃣2️⃣
(2️⃣번 구간에서는 강한 매도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임)
주요지지 라인 114K - 114.5K
이제는 관점이 달라졌듯 이 구간을 지켜야 상승이 가능한점 체크
(롱 포지션이 없으신분들은 해당자리에서 SL 짧게 잡으시고 롱 포지션 진입하는것도 좋은방법입니다.)
코인스쿨은 상승에 무게를 두고있다.
BTC LONG 113,900 6만달러
순환매로 평단가 조절중
BTC LONG 109,380 3.5만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