웻지
[패턴이해 #4] 쐐기형 패턴 (Wedge Pattern), 속속들이 알아보자!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지난 시간, 시리즈 에서는 지속형 패턴 (Continuation Pattern)의 한 종류인 "삼각 수렴 패턴" 을 이야기 하였습니다.
오늘 패턴이해 #4에서는, 삼각 패턴과 유사하지만 다른, 쐐기 패턴 (Wedge Pattern)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누구나 읽을 수 있도록 쉽게 작성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및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
------------------------------------------------------------------
< 목 차 >
I. Wedge pattern에 대한 이해
I-1. Wedge pattern의 기초 & 특징
I-2. 왜 쐐기 패턴은 기존 추세와는 반대 방향으로 형성 (반전) 되는가?
I-3. 상승 쐐기 패턴 (Upward, Rising wedge)
I-4. 하락 쐐기 패턴 (Downward, Falling wedge)
II. 사례 분석 & 고찰
II-1. 실제 사례 분석
II-2. 참고 연구 결과 & 단독 적용의 위험
-----------------------------------------------------------------
I. Wedge pattern에 대한 이해
Wedge Pattern 이란?
쐐기 패턴으로도 불리는 Wedge Pattern은 수렴형(Converging) 패턴의 일종으로, 상단 (Upper) + 하단(Lower) 두 추세선으로 이어져 시간 진행 방향으로 수렴하는 패턴을 의미합니다.
이전 시간에 다루었던 Triangular Pattern (삼각 패턴) 과의 차이점은, 두 추세선 (U & L) 의 기울기가 같은 방향 을 지닌다는 점입니다.
-----------------------------------------------------------------
1. Wedge pattern의 기초 & 특징
쐐기 패턴은 <상승 쐐기 (Upward, Rising wedge) & 하락 쐐기 (Downward, Falling wedge)> 2 종류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림과 같이, 상승 쐐기는 수렴의 막바지에서 하방 돌파를, 하락 쐐기는 상방 돌파를 이루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단순 쐐기 타입 만으로 롱 / 숏 포지션 결정하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
1) Wedge Pattern의 구성
① 각 추세선 당 “2개” 이상의 변곡점으로 이루어진 상단 + 하단 추세선으로 이루어집니다.
② 두 추세선의 경사도 (기울기) 는 같은 방향이어야 합니다.
③ 변곡점의 수가 많아질 수록 신뢰도가 상승합니다.
2) Wedge Pattern의 특징
①잠재적으로 Price Action이 반전 (Reversal)을 이룰 것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 상승 쐐기는 하방 이탈을, 하락 쐐기는 상방 이탈을 보일 가능성이 비교적 높습니다.
② 일반적으로 10~50 일¹에 걸쳐 수렴하며 형성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짧게는 며칠 만에, 강하게 나타나는 경우 3~6개월² 까지 연장될 수 있습니다.
③ 수렴의 말단에 가깝게 이탈이 발생할 수록, 그 세기가 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④ 패턴이 진행될 수록, 거래량은 점차 감소합니다.
⑤ 약 70~80% 수렴 진행 시 이탈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⑥ 돌파 후 움직임 범위 (L) 는 형성 시 높이 (L)와 비슷한 경우가 많습니다.
Footnote
¹ : Investopedia 기준, 정확히는 10-50 period of time (Trading Period) 로 제시
² : Scanz 기준, 수 일 ~ 수 개월로 포괄적이며, 강한 쐐기의 경우 3-6개월도 관찰된다고 제시
-----------------------------------------------------------------
2. 왜 쐐기 패턴은 기존 추세와는 반대 방향으로 형성 (반전) 되는가?
1) 왜 추세 “반전”이 일어나는가?
상승추세 (Uptrend) 였던 경우, 그 추세의 막바지에서 상승 쐐기가 나타나게 됩니다.
이는 상승세를 주도하던 개인 및 세력들의 보합세 전환을 의미합니다.
즉, 가격 상승에 따른 이익 실현 (매도) 세력과, 가격을 더욱 끌어올리려는 (매수) 세력이 대치 중인 셈이지요.
그러나 결국 특별한 이슈가 없는 이상 거래량 감소 (투자자들의 관심 감소) 가 동반되며 결국 하락 “반전”을 이루게 됩니다.
하락추세 (Downtrend) 였던 경우 등장하는 하락 쐐기는, 그 반대로 매도 세력과 매수 세력의 대치 결과 하락 모멘텀을 잃기 시작하면서 매수세가 등장함을 나타냅니다. 결국 상승 “반전” 이 일어나게 됩니다.
2) 꼭 “반전” 만 되는 걸까?
아닙니다!
상승세 도중 하락 쐐기가 나타나는 경우, 다시 상승세로 이어지는 연속형 (Continuation) 패턴으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하락세 도중 상승 쐐기는 하락세가 이어지기 위한 숨 고르기 구간일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바로 다음 장에서 알아볼까요?
-----------------------------------------------------------------
3. 상승 쐐기 패턴 (Upward, Rising Wedge)
쐐기 형성 후 하락의 가능성을 높게 생각할 수 있는 패턴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상승 추세 후반부에서 나타나지만, 하락 추세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① 패턴 이후 하락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음
② 급격한 상승 후 하락 반전, 또는 장기간 하락 후 추세 강화 기간 (연속) 에 형성될 수 있음
(주의 : 급격한 상승 후 상승 쐐기로 이어지면서 하락이 아닌, 오히려 ATH 갱신을 시도할 때가 종종 있음)
③ 즉, 하단 추세선이 돌파 시 숏 포지션 진입이 통상적
● 주의점
① 돌파 (Breakout) 전까지 관망 권장
② 삼각형 패턴과 달리 돌파 이후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Target Price 를 설정할 신뢰할 만한 근거가 약함
③ 큰 손실을 피하려면, 후행적 Stop Loss 설정이 중요
1) 반전형 : 상승 추세 (Uptrend) 에서 나타나는 상승 쐐기
2) 연속형 : 하락 추세 (Downtrend) 에서 나타나는 상승 쐐기
** 도식 상 EP / SL / TP 등은 대략적 설정 값으로 성향 및 타 지표를 고려해 변경할 수 있습니다.
----------------------------------------------------------------
4. 하락 쐐기 패턴 (Downward Pattern)
쐐기 형성 후 상승의 가능성을 높게 생각할 수 있는 패턴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하락 추세 후반부에서 나타나지만, 상승 추세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① 패턴 이후 상승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음
(상승 쐐기보다 하락 쐐기가 보다 신뢰도가 높다는 주장이 있음)
② 급격한 하락 후 상승 (반전), 또는 장기간 상승 후 추세 강화 기간 (연속) 에 형성될 수 있음
③ 즉, 상단 추세선이 돌파 시 롱 포지션 진입이 통상적
● 주의점 (상승 쐐기와 동일)
① 돌파 (Breakout) 전까지 관망 권장
② 삼각형 패턴과 달리 돌파 이후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Target Price 를 설정할 신뢰할 만한 근거가 약함
③ 큰 손실을 피하려면, 후행적 Stop Loss 설정이 중요
1) 반전형 : 하락 추세 (Downtrend) 에서 나타나는 하락 쐐기
2) 연속형 : 상승 추세 (Uptrend) 에서 나타나는 하락 쐐기
** 도식 상 EP / SL / TP 등은 대략적 설정 값으로 성향 및 타 지표를 고려해 변경할 수 있습니다.
-----------------------------------------------------------------
-----------------------------------------------------------------
II. 사례 분석 & 고찰
-----------------------------------------------------------------
1. 실제 사례 분석
쐐기 패턴은, 이전 #3에서의 삼각 수렴 패턴과 달리, 등장 빈도가 그리 높지 않은 편 입니다.
낮은 시간 프레임 (1시간 봉 등) 에서 부터, 높은 프레임 (일봉, 주봉) 등으로 복합적으로 판단 후 쐐기 여부를 결정하여야 합니다.
-----------------------------------------------------------------
1) 상승 쐐기 : 연속형 I
- 카카오보통주 / 4시간 봉 / 추세선 : 캔들 꼬리 기준
- 진행 기간 : 2021-08-05 ~2021-09-07 (34일간)
- 이탈 구간 : 77.2 % 구간에서 발생
- 이탈 이슈 : 정치권 / 금융당국의 규제 예상으로 인한 하락
하락 추세가 상승 쐐기 이후 다시 이어지는 “연속형” 쐐기 패턴입니다. 규제 이슈와 맞물려 하방 이탈 후 며칠 간 하락세가 더 이어졌으나 이탈 직후의 낙차는 쐐기 패턴 초반 형성 높이 (① 변곡점 간의 높이) 와 유사하게 형성된 것이 특징적입니다.
2) 상승 쐐기 : 연속형 II
- 에이다 (ADA) USDT / 1일 봉 / 추세선 : 캔들 꼬리 기준
- 진행 기간 : 2022-07-13 ~2022-08-18 (36일간)
- 이탈 구간 : 62.0% 구간에서 발생
두번째로, 동일한 연속형 상승 쐐기 패턴입니다. 하락세가 길게 이어지지는 않았으나, 하방 이탈이 쐐기 형성 폭과 유사한 정도로 일어남을 알 수 있습니다. 단, 거래량 동반이 미약하여 명확한 상승 쐐기로 보기엔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따라서 보다 보수적으로 SL 구간을 설정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수익률은 높이고, 손실은 최소화 하는 것이 승률을 높이는 지름길이기 때문이지요.
3) 하락 쐐기 : 반전형
- 솔라나 (SOL) USDT / 1일 봉 / 추세선 : 캔들 몸통 기준
- 진행 기간 : 2022-01-12 ~2022-03-18 (65일간)
- 이탈 구간 : 75.2% 구간에서 발생
이번에는 하락 쐐기를 살펴보겠습니다. 60일 넘게 2달 간 지속된 패턴으로 전형적인 “반전형”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오랜 시간 수렴한 만큼, 상방 이탈 후 상승 추세 역시 1주 이상 지속되는 것이 확인됩니다.
마지막으로, 현재 진행 중인 차트를 같이 분석해보면서 과연 쐐기가 전형적인 모습을 그려줄 지 예측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4) 하락 쐐기 : “연속형”이 되어 상승세를 나타낼까? “반전” 되어 하락세가 나타날까?
- 셀트리온보통주 / -4시간 봉 / 추세선 : 캔들 꼬리 기준
- 진행 기간 : 2022-08-03 ~2022-09-20 경 이탈 가능성 (약 40~50일)
- 이탈 구간 : 약 70% 도달
→ 쐐기 패턴의 완성 여부 확인 후, TP, EP, SL 설정 및 진입 가능
마지막으로, 셀트리온을 확인해보겠습니다. 현재 하락 쐐기가 나타나고 있으며 거래량의 감소와 수렴 구간의 막바지에 다다르고 있어 이탈이 조만간 일어날 것으로 기대됩니다. 상승세에서 하락 쐐기로 연결된 만큼, 숨 고르고 다시 상방 이탈 (연속형)을 이룰지,
아니면 하락세를 맞이하여 추세 반전을 이룰지 궁금한 상황이네요!
만약 롱 포지션으로 진입 시 첫 변곡점 간의 거리를 추산하여 TP, EP, SL을 설정하는 것이 보다 도움이 될 것입니다.
----------------------------------------------------------------
2. 참고 연구 결과 & 단독 적용의 위험
1) 일부 연구에서는 쐐기 패턴의 끝에서 결국 추세 반전 (상승 쐐기의 하방 돌파 / 하락 쐐기의 상방 돌파)이 일어날 가능성이 2/3 이상 (약 66 %) 높다고 하였으며, 특히 하락 쐐기가 상승 쐐기보다 더 신뢰도가 높다 고 보고하였습니다.
- 출처 : Investopedia : Technical Analysis Basic Education-Wedge 중 발췌
2) 쐐기 패턴은 추세 반전을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지표이나, 단독 적용 시의 성공률은 그다지 높지 않습니다. 다음은 크립토 시장에서 쐐기 패턴 적용 시 성공률에 대한 연구이며 2년 동안의 후향적 (retrospective - 백테스트 개념) test 로 결과를 도출했습니다.
단독 쐐기 패턴 사용 시
Ascending/Descending Wedges – 38.2%
지지/저항 key level 분석을 같이 한 경우
Ascending/Descending Wedges – 58.6%
보시면 단독으로 지표를 적용할 경우 승률이 50%에 미치지 못하였으나,
다른 지표를 참고한 경우 20% 가량의 성공률 증가 양상을 보입니다.
- 출처 : Advanced Forex Blog : Popular Price Pattern Study and Their Success Rates 중 발췌
이처럼 쐐기 패턴은 반전 경향을 알려줌에 있어 다소 신뢰할 수 있으나, 단독 적용보다는 여러 보조 지표의 활용이 권장됩니다.
여러분들도 이러한 패턴에 여러 기술적 요소들을 적절히 활용하시어 보다 성공적인 투자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BTCUSDT(22.09.01) 하락쐐기형에 대한 이탈주시안녕하세요 👋
WansT 입니다. 😀
비트코인 일봉 입니다.
7월의 저점인 19k 초중반대에서 잠시 하락을 멈추고 반등하고있는 모습이지만
여전히 장기적인 추세상으로는 하방의 압력(뚜렷한 고점을 높히는 반등이 없는상태) 입니다.
비트코인 4시간봉입니다.
일봉에서 보셨듯 잠시 하락을 멈추고
가격적 수렴을 하며 장기 이평이 내려오는것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입니다.
4시간봉 작도적용
초록색 추세 하단이 터지며 급락하였고
기존 아이디어에 남겨두었던 지지라인들에서 짧게 짧게 지지반등이 나왔지만
고점을 높히는 진짜반등없이 계속해서 계단식 하락을 만들어 내었고
현재는 하얀색 추세선상단과 하단안에 하락쐐기형 패턴을 보여주고있습니다.
1시간봉 작도적용
⭐ 하얀색 추세상단에 계속해서 돌파시도를 하고있는 상황인데 돌파시에는
⭐ 다음 저항라인까지는 진짜 반등의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어
오늘 아이디어를 뉴트럴전략이 아닌
⭐ 롱전략으로 남기게되었습니다.
😀 롱전략에 따른 흰색쐐기패턴의 상단 돌파시에
1차저항 : 20600~20700
2차저항 : 21300~21750 ⭐ 전략대로 가줄시에 반익절 날려볼만 한 자리입니다.
3차저항 : 22380~22510
4차저항 : 23600~23700
5차저항 : 24200 ⭐ 24200을 넘길시에는 기존의 고점인 25.2K를 넘길 확률이 매우 높아진다고 생각합니다.
😀 현시점에서 쐐기 상단을 돌파하지못하고 8월말의 저점인
19.5K 에 대한 하방이탈시에는
⭐ 19.3K~19.2K (일봉상 종가 지지라인)에서
4시간 상승다이버전스와 함께 반등할 가능성이 있으며
19K 이탈시에는 고배율롱은 손절을 계획하고있고 📉
이후의 지지라인은
1차지지 : 19300~19200 ⭐ 4시간 상승다이버+일봉종가지지라인
2차지지 : 18500~18800
3차지지 : 17600
4차지지 : 16100
5차지지 : 14000 ⭐ 주봉 볼린저벤드 하단
의 폭 넓은 지지영역으로
현물 및 저배율 롱포지션으로 대응할 예정입니다.
++++ 나스닥과 이더리움 차트 추가
⭐ 나스닥 차트 현재 1시간봉 하락쐐기의
하단터치 하였고 1시간 다이버전스 컨펌 가능성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ABC(C-5) 엔딩다이어고날의 쐐기라고 보여집니다.
⭐ 이더리움차트
-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아이디어도 변곡점이라고 생각되는 구간 즈음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비트코인 상승 쐐기형 패턴, 목표가 19K
비트코인이 상승 쐐기형 패턴을 만들고 있습니다.
평상시라면 하단의 상승추세선에 3번째 닿았을 때 (하얀색 화살표) 돌파했을테지만 CPI 이슈로 인해 상승을 하였습니다.
미국 CPI 지수가 한 풀 꺾였기 때문에 움츠리고 있던 시장에 매수가 늘었지만 그 상승세가 점점 약해지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상승 파동이 30K 에 근접하지 못했던 것은 첫번째 근거가 됩니다.
두번째 이유는 비트코인 주봉에서 가격이 상승할수록 거래량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거래량이 증가할 때 가격은 하방으로 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 증시 (S&P500) 는 횡보 또는 조정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시장에 좋은 재료들은 모두 소진이 된 상태이며 9월 FOMC 에서 금리 인상 이슈가 아직 시장의 불확실성으로 남아 있습니다.
7,8월에 좋은 상승세를 보여줬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하락세가 강한 9월을 횡보로 마감한다면 10월부터는 강세장을 기대해 볼 만합니다.
일반적으로 비트코인의 가격이 전저점 17K 까지 내려가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과거 여러 차례 지지받았던 19K, 피보나치 비율 0.236 구간을 저점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17K 를 깨고 가격이 더 아래로 내려가는 것은 아직 염두에 두고 있지 않습니다.
[비트코인] 저점을 지켜준 채 강한 반등 출현!! 거대한 상승쐐기의 운명은??#크랙 #비트코인 #BingX #4H
자주색 중장기지지선 살짝 위에서 강한 반등이 출현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중기 관점에서 저점을 낮추지 않은 채 반등하며 8월13일~14일 강하게 지지해주었던 24365-24448 구간의 저항을 돌파 시도 하고 있는 모습으로 해당 저항을 돌파한다면 하늘색 장기상승채널 상단선과 노란색 중기저항선이 겹치는 25300까지도 상승 가능성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25300 저항구간 위로 오버슈팅이 출현 한다면 노란색 중기저항선과 중기/단기 피보나치 추세 확장 레벨들이 겹치는 25500-25600까지도 상승 가능성은 보여집니다.
이후 하늘색 장기상승채널 상단선의 돌파마감이 진행 된다면 중장기적으론 26748까지의 상승도 기대해 볼 수 있는 모습입니다.
다만 24365-24448 또는 24830-25003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 채 하락 변곡이 된다면 전일 저점을 하회하려는 하락 움직임을 예상해 볼 수 있으며 단기 저점을 하회하며 자주색 중장기지지선의 지지가 실패 한다면 장기상승쐐기의 하향이탈로 큰 하락추세가 진행될 가능성도 존재하니 자주색 중장기지지선의 지지여부를 잘 파악하시기 바랍니다.
자주색 중장기지지선의 지지 실패시 노란색 중기지지선과 장기 피보나치 되돌림 0.382레벨이 위치한 23325-23258 구간의 지지가 중요해 보이며, 지지 성공의 경우 자주색 중장기지지선의 리테스트를 위한 단중기 반등을, 지지가 실패할 경우에는 상술한 큰 하락추세의 시작점이 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 요약
저항구간
24365-24448
24830-25003
25300
25493-25577(오버슈팅 레벨)
지지구간
23900
자주색 중장기지지선(중요)
23325-23258
[08/15]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비트코인이 이전 고점인 24.9k를 뚫고 25k를 도달했습니다. 그 이후 꽤 가파르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는가 싶더니 현재는 새로운 전고점(25k)를 향해 강하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큰 관점에서 앞으로의 대응방향과 현재 출현한 패턴, 중요라인들을 체크해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예전부터 언급드린 32k부터 내려오는 하락 추세선입니다.(파란색 추세선)
32k부터 시작해서 오랫동안 이어오던 하락추세였는데, 최근 비트코인이 상승하다가 이 선에 저항을 한 번 맞았지만, 다시 뚫어내면서 지지까지 받은 모습입니다.
이는 비교적 중장기 하락추세선을 상방 돌파한 것이기 때문에 당분간은 상승에 조금 긍정적인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분석할 수 있을 것 같네요.
두 번째는 보라색 평행 채널입니다.
이 또한 제가 이때까지 시황에서 수도 없이 언급드렸는데요, 크게 반등이 나오기 시작한 20.7k와 22.7k 모두 이 평행 채널 하단선을 맞고 강하게 슈팅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이를 통해 이 채널을 이탈하지 않고 지켜주겠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이 또한 상승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 같습니다.
세 번째는 큰 쐐기 패턴입니다. (주황색)
고점끼리 이어지는 상단선 또한 딱 맞아 떨어지고, 하단선도 깔끔합니다.
쐐기 상단선을 돌파할 경우, 강한 상승이 동반될 것 같고, 하단선을 돌파할 경우 강한 하락이 동반될 것 같습니다.
이 쐐기패턴 위아래선도 잘 체크하셔야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작은 쐐기 형태입니다. (빨간색 쐐기 패턴)
이 쐐기 패턴 위 아래선은 강한 저항과 강한 지지는 아니지만 꽤 유의미한 패턴 같습니다.
하지만, 분석글을 작성하는 동안 상단을 이미 돌파했네요. 추가 상승에 힘을 실어주는 결과 같습니다.
대응이 중요한 구간 같습니다! 참고하셔서 잘 대응하셔요!
[08/02]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비트코인이 24.7k 고점을 찍은 후 계속 약하락이 나오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하락은 여전히 20.7k부터 상승한 양에 대한 조정이라고 생각하고 있고, 하락이 끝날 확률이 높은 자리는 전체 상승분의 피보나치 0.5자리인 22690 또는 0.618자리인 22230자리가 될 것 같습니다.
하락하고 있는 모습을 보면, 위아래 추세선을 확인할 수 있는데 (사진 속 파란색 추세선) 위쪽 선은 저항, 아래쪽 선은 지지로 작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어제 말씀드렸던 빨간색 상승추세선은 원래 지지로 작용하였지만, 하방이탈을 하면서 저항선으로 바뀐 상황입니다.
언급드린 부분들 잘 체크하셔서 매매에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