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115]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1/15) 시장 분석
나스닥
나스닥은 5일선에서 저항맞고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어제 말씀드렸듯 이동평균선 활용 방법에 따라 5일선 매도 대응이 유효했고, 프리장에서 5일선을 터치하였기 때문에 이후에는 매도 위주로 대응이 수월했던 날이었습니다. 일봉상 매도세가 지속되면서 현재 6연속 음봉이 나와주고 있으며, 어제 말씀드렸듯 120일선 지지여부와 하방으로 오버슈팅 시 20300부근까지도 열어두고 체크하는 게 중요한 상황입니다. 240분봉상으로는 MACD가 Signal선을 골든크로스 하였으나 매도세가 나와주는 모습으로, 아직 다시 한번 데드크로스를 하지는 못한 상황입니다. 데드크로스를 발생시키면 매도 3파의 가능성도 존재하지만, 데드크로스 실패 후 반등하는 그림이 만들어지면 역헤드엔숄더 패턴을 형성하는 상황이 되기 때문에 매도 추격은 주의하면서 박스권 대응하는 게 좋겠습니다. 아울러 오늘 CPI 발표가 있기 때문에 아래꼬리 달고 양봉반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오일
크루드 오일은 고점에서 저항맞으며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 79불 부근이 강한 저항라인이고, 이동평균선들과의 이격이 크기 때문에 쉽게 돌파할 수는 없는 상황입니다. 어느정도 조정이 필요한 구간이었고, 고점에서 하락해주었으나 아직 5일선과도 이격이 많이 남아있는 상황이라 추가적인 하락도 가능해보입니다. 일봉상으로 지지라인은 75~76불라인이 될 전망인데, 해당 구간까지 하락할 가능성은 열어두는게 좋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도 MACD의 매도시그널이 발생한 상황이지만 아직 0선과 이격이 있는 상황이라 주요 맥점에서 눌림 시 매수가 유리하겠으며, 79불 부근에서는 고점매도가 유효하겠습니다. 또한 오일은 오늘 재고발표를 앞두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골드
골드는 PPI 지표 소화하며 작은 박스권을 만들며 도지캔들로 마감하였습니다. 오늘 CPI 발표를 기점으로 또 한번의 추세 방향을 잡을 것으로 전망되는데, 최근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낮아지면서 골드 가격이 상승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즉, 오늘의 물가지표에 따른 국채금리의 움직임과 그에 따른 골드의 방향성이 결정되는 날일텐데, 오늘 양봉을 만들어낸다면 MACD와 Signal선 모두 0선 위로 올라오면서 매수 추세를 이어갈 수 있는 그림이 될 전망입니다. 반대로 오늘 음봉으로 하락한다면 당분간은 2625 ~ 2725 박스권을 유지하는 형태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2680 부근을 기점으로 지지반등하면서 MACD가 다시 Signal선을 돌파하려는 상승 시도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골든크로스를 만들어내지 못하면 재차 밀리는 흐름이 만들어질텐데, 지표발표 이후 흐름이 중요하겠습니다. 오늘은 지표발표 전까지 단기적으로 눌림 시 매수 위주의 대응이 유리하겠습니다. 오늘도 성공투자하시기 바랍니다!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 나스닥 - 매도장
매수 - 20840 / 20780 / 20745 / 20570
매도 - 21015 / 21070 / 21120 / 21190 / 21320
· 오일 - 매수장
매수 - 77.50 / 76.90 / 76.50 / 75.70
매도 - 78.60 / 79.10 / 79.65 / 80.10
· 골드 - 박스장
매수 - 2683 / 2674 / 2666 / 2661 / 2654
매도 - 2704 / 2712 / 2717 / 2723 / 2729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Crude Oil WTI
[250114]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1/14) 시장 분석
나스닥
나스닥은 아래꼬리 달고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어제 말씀드렸듯이 주초반 하방으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20700 이하부터는 지지반등하면서 추세를 돌릴 가능성이 높은 구간이었고, 반등에 성공한 모습입니다. 일봉상으로는 MACD와 Signal선까지 0선 아래로 내려오면서 작년 9월 이후 MACD가 처음 0선 아래로 떨어지게 되었습니다. 어제 3일선에서 대응하는 자리였기 때문에 오늘은 5일선에서 매도 대응이 가능한 날입니다. 3일선과 5일선 박스장이 오늘 예상되는데, 프리장에서 먼저 5일선을 터치하러 가준다면 매도대응하는 게 더욱 수월한 장세가 될 전망입니다. 하방으로는 120일선 부근의 지지라인을 테스트할지가 불확실한 상황이나, MACD가 0선 아래로 떨어진 만큼 매도가 가속화될 가능성도 열어두시기 바랍니다. 만약 하방으로 오버슈팅이 나오는 경우 20300부근까지도 열어두는 게 좋겠습니다. 어느정도 지지라인에서 횡보하면서 바닥권을 형성하고 추세를 돌리는 과정이 필요한데, 추세 전환의 시점은 분봉상 이동평균선의 배열을 확인하시면서 대응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매도세가 지속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MACD가 Signal선을 골든크로스 하지 못한 상황으로, 만약 강하게 골든크로스하는 경우 주가가 강하게 반등할 수 있겠으나, 다시 MACD가 하방으로 향하면 추가하락도 가능하니 양방향 열어두고 대응하시기 바랍니다.
오일
크루드 오일은 러시아기업 원유수출 제재에 힘입어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 79불 전고점 라인까지 상승해주었고, 현재 구간에서 5일선과 이격이 큰 상황이라 언제든 조정이 나올 수 있는 구간입니다. 월봉상으로도 볼린저밴드 상단까지 온 상황이라 매수 추격보다는 고점에서 리스크 관리하면서 매도대응하는 것이 유효하겠습니다. 다만 240분봉상으로도 RSI가 과매수에서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현 추세가 강하게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서, 매도대응은 짧게 대응하는 게 좋겠습니다. 또한 240분봉상 MACD와 Signal선의 이격과 각도가 크기 때문에 현재 구간에서 조정을 주더라도 계단식으로 상승해왔던 만큼 주요 맥점에서 반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매물이 많이 모여있는 주요 맥점에서만 눌림 시 매수가 유리하겠으나 언제든 급락이 나올 수 있으니 보수적 관점을 가지는 게 좋겠습니다.
골드
골드는 국채금리 상승에 따른 매물대 저항받으며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주봉상으로 MACD가 하방으로 방향을 바꾸면서 매도세가 강하게 나오는 모습이며, 일봉상 MACD는 0선을 올라탔으나 Signal선이 아직 0선위로 올라오지 못하였기 때문에 MACD가 Signal선에 붙으려는 조정을 보이는 상황입니다. 범위를 크게 잡고 박스권 상황이라 볼 수 있으며, 오늘 PPI와 내일 CPI를 앞두고 주가가 박스권 횡보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매도시그널이 출현한 상황이지만 MACD와 Signal선이 0선 위에 존재하며 이격을 보이고 있어서, 하방으로의 급락보다는 2680을 중심으로 한 지지반등 및 횡보의 흐름을 가져갈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박스권 대응을 중점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겠으나 PPI 지표 발표 시간 때 리스크는 주의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시장이 빅테크 기업들의 조정과 트럼프 취임, 그리고 양자컴퓨터 관련주들의 하락으로 어수선한 모습입니다. 또한 VIX 지수도 급등하는 추세를 만들어주고 있는 상황이니, 변동성 확대에 따른 리스크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성공투자하세요!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 나스닥 - 매도장
매수 - 20990 / 20890 / 20840 / 20740
매도 - 21160 / 21200 / 21300 / 21350
· 오일 - 매수장
매수 - 77.70 / 76.60 / 75.70 / 74.50
매도 - 79.45 / 79.90
· 골드 - 박스장
매수 - 2677 / 2672 / 2666 / 2661 / 2654
매도 - 2692 / 2705 / 2712 / 2717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250113]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1/13) 시장 분석
나스닥
나스닥은 비농업고용지표 발표에 따라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전일 분석글을 통해 240분봉상 매도3파의 급락 가능성이 높았다고 말씀드렸는데, 어느정도 적중하였습니다. 또한 이번달 월봉상 5일선(20880)을 지속 강조드렸는데, 해당 구간에서 지지받으며 아래꼬리를 만들어주었습니다. 먼저 주봉을 보자면 MACD가 Signal선을 데드크로스하면서 매도신호가 발생하였습니다. 위로는 3일선과 5일선, 10일선을 두고 있고, 아래로는 20일선을 두고 있어서, 이번주 박스권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즉 주초반 상방으로 먼저 가면 주후반 하방으로 갈 수 있으며, 주초반 하방으로 먼저 진행 시 주 후반 상방으로 반등하는 그림이 만들어지겠습니다. 상방의 기점은 21360~21400이 될 전망이며, 하방의 기점은 20880 이하의 가격이 될 전망입니다. 주초반 움직임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는 게 중요한데, 이번주 수요일 CPI지표발표가 기점이 될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일봉으로 오늘 분석해본다면 현재 MACD와 Signal선이 0선 아래로 이탈하였기 때문에 반등하더라도 3일선, 5일선에서 매도대응 하는게 유리하겠습니다. 아래로는 120일선까지 열려있는데, 주간 시나리오에 따라 아래꼬리달고 반등할 가능성이 높으니 매도 추격은 유의하는 게 좋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도 매도가 강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매도3파가 나오는 상황이니 추가하락이 가능한데, 20700 이하 부근에서는 지지반등하면서 추세를 돌릴 가능성도 높으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전반적으로 오늘은 반등 시 매도 전략이 유리하겠습니다.
오일
크루드 오일은 미국의 러시아 원유수출 제재 가능성에 따라 급등마감하였습니다. 지속 말씀드리듯 오일은 바닥권에서 추세를 반전시켜 급등하는 패턴을 현재 보여주고 있습니다. 프리장에서 벌써 78불을 넘어서는 상승을 보여주고 있는데, 현재 5일선과의 이격이 굉장히 큰 상황이라 오늘은 조정에 유의하는 게 좋겠습니다. 주봉상으로도 현재 5주선과의 이격이 크고 78불대에 전고점이 있는 상황이라 추가 상승을 하더라도 추격매수에 유의해야 하는 구간입니다. 이번주는 5주선에서 눌림 시 대응하는 게 가장 유리한 시나리오인데, 73.4~74불 수준까지 조정받을 수 있으니 추격매수보다 고점매도 대응이 유리하겠습니다. 일봉상으로도 20일선과 60일선 등의 이동평균선을 끌어올리는 시간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240분봉상으로는 MACD가 Signal선을 골든크로스하는 매수시그널을 발생시켰으나, 추가적인 급등을 하지 못하면 MACD의 다이버젼스를 만드는 구간입니다. 매도시그널 발생 시 추가하락에 유의하는 게 좋겠고, 다만 급등에 따른 조정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오늘 프리장에서는 78불을 기점으로는 횡보할 가능성이 높으니 박스권대응하는 게 유리하겠습니다.
골드
골드는 고용 충격에 따른 금리인하 기대함 후퇴로 급등마감하였습니다. 현재 주봉상 양봉을 만들며 주요 단기 이동평균선을 돌파한 모습이지만 MACD와 Signal선의 이격이 크기 때문에 추가적인 상승을 하더라도 2760부근의 전고점을 넘어서는 급등은 쉽지 않아보입니다. 다만 일봉상으로 MACD가 0선을 상회하고, Signal선을 0선위로 끌어올리는 매수추세를 보여주고 있어서 눌림 시 매수 위주의 대응이 단기적으로 유리하겠으며, 5일선과 60일선이 위치하는 2690라인이 강한 지지라인이 될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추가적인 상승이 현재로서는 가능한 상황이니 매수위주의 대응을 하되 이번주 화요일 PPI, 수요일 CPI를 기점으로 변동성 확대될 가능성이 높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40분봉상으로도 강한 매수세가 이어지며 RSI도 과매수권을 형성하고 있어 섣부른 매도는 위험해보입니다.
이번주는 전반적으로 지난주 만들어주었던 추세를 주초반 이어가다가 CPI를 기점으로 변곡이 만들어질 가능성이 높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리스크 관리하시면서 이번주도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 나스닥 - 매도장
매수 - 20945 / 20900 / 20780 / 20740 / 20680
매도 - 21110 / 21210 / 21310
· 오일 - 매수장
매수 - 76.55 / 76.00 / 75.60 / 74.60
매도 - 78.35 / 78.85 / 79.45 / 80.00
· 골드 - 박스장
매수 - 2713 / 2703 / 2695 / 2685 / 2677
매도 - 2726 / 2735 / 2742 / 2753 / 2759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250110]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1/10) 시장 분석
전일 나스닥은 미국증시 휴장 및 선물시장 조기종료로 보합마감하였습니다. 현재 MACD가 0선 아래로 이탈하면서 매도세가 지속되는 모습이기 때문에 오늘 비농업고용지표를 기점으로 60일선을 이탈하면서 하락할지가 중요하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MACD와 Signal선 모두 0선 아래에서 매도추세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에 현재 구간에서 급락을 통한 이격확대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지표발표까지 프리장에서는 박스장이 될 가능성이 높으니 박스권 대응을 중심으로 하되, 비농업고용지표 발표를 앞두고서는 리스크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전일 오일은 일봉상 240일선 부근에서 지지받으며 상승마감하였습니다. 75불 부근에서 1차 저항을 맞고 240일선 부근에서 지지를 받는 모습이기 때문에 다시금 75불 돌파시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일봉상 10일선 부근에서 지지받는 그림이기 때문에 매수파동이 한차례 더 이어질 수 있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MACD가 Signal선으로 붙으려는 매수시도가 나타나는 모습으로, 헤드엔숄더 패턴에서 넥라인을 지지받고 다시 오른쪽 어깨를 만들러가는 그림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75불 부근 라인에서 추가적인 급등이 나와줄지는 아직 미지수인데, 240분봉상 MACD의 이격이 크고, 일봉상으로도 기간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있으니 고점에서 추격매수보다는 확실히 돌파되는지 확인하고 대응하는 게 좋겠습니다. 전반적으로 눌림 시 매수 위주로만 대응하는 게 유리하겠습니다.
전일 골드는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 상승추세를 이어가면서 MACD선도 0선 근처까지 다다른 모습입니다. 오늘 비농업고용지표를 통해 골드는 MACD가 0선 위로 올라오면서 매수추세를 다시 만들어줄지, 아니면 급락을 통해 다시 MACD가 Signal선을 데드크로스하여 매도추세를 만들어줄지 분수령이 되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매수추세가 강하게 이어지고 있는 그림입니다만 오늘 지표와 다음주 CPI 지표 등 이슈를 앞두고 변곡을 만들어낼 가능성도 있는 만큼 추세가 정해지고 대응하는 게 유리하겠습니다. 분봉상 추세가 강하여 눌림 시 매수가 유리하겠으나 프리장에서 박스권 움직임이 나올 수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봉을 마무리 짓는 금요일입니다. 지표발표가 끼어서 변동성 확대가 예상되는데, 리스크 관리하시면서 오늘도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 나스닥 - 박스장
매수 - 21190 / 21120 / 21065 / 20990 / 20945
매도 - 21315 / 21360 / 21410 / 21500
· 오일 - 매수장
매수 - 73.90 / 73.50 / 73.00
매도 - 74.80 / 75.20 / 75.60 / 76.40
· 골드 - 박스장
매수 - 2685 / 2681 / 2676 / 2670 / 2665 / 2661
매도 - 2700 / 2705 / 2710 / 2716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1/8) 시장 분석
전일 나스닥은 엔비디아 신제품 발표에 따른 실망매물로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 MACD가 Signal선에 붙지 못하고 하방으로 방향을 틀면서 매도세가 강하게 나타났습니다. 주봉상 윗꼬리를 단채로 10일선을 하향이탈하게 되면 주봉상 MACD의 데드크로스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일봉상으로도 60일선에서 지지를 2번 받았기 때문에 이번 매도 파동에서 60일선을 하향이탈 시 월봉상 5일선인 20880까지는 열어두는 그림이 나타날 것으로 보입니다. 240분봉상으로는 매도시그널이 나타났는데, MACD 0선을 기점으로 발생한 매도신호라서 추가 하락 시 급락의 가능성도 있어보입니다. 나스닥은 현재 고점을 낮추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매도 위주의 대응이 유리하겠으나 금요일 비농업고용지표를 앞두고 있어 프리장에서는 박스권을 그릴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전일 오일은 5일선 지지받으며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주봉상 3주선까지 눌리진 않았으나, 이번주 지속적인 상승을 통해 주봉을 끌어올린다면 3주선 지지로 보여질 수 있도록 캔들을 만들 가능성도 있습니다. 일봉상으로는 강한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매수 위주의 대응이 유리하겠으며, 앞선 고점인 76불라인 도전 시 고점매도 대응이 가능하겠습니다. 다만 현재 급등에 따른 일봉상 이동평균선들과의 이격이 커서 어느정도 가격조정과 기간조정을 거치면서 이동평균선을 끌어올리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240분봉상으로는 현재 매도시그널 이후 단기반등해주는 흐름을 만들어주었는데, MACD와 Signal선의 이격과 각도를 볼 때 바로 상승돌파하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주가는 상승하더라도 MACD 지표가 골든크로스를 만들어내지 못한다면 재차 밀릴 가능성이 있으니 추격 매수는 주의하시고, 최대한 주요 맥점에서 눌림 시 매수, 고점 매도 대응이 유리하겠습니다.
전일 골드는 윗꼬리 달고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지표발표와 더불어 변동성이 강하게 나타나주었는데, 일봉상으로는 계속 수렴하며 박스권 형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금요일 비농업고용지표 발표를 앞두고 지속적으로 수렴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고점에서의 매수 추격과 저점에서의 매도 추격은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일봉상 MACD와 Signal선의 이격을 크게 만들지 못했기 때문에 현재는 횡보하는 그림이라 볼 수 있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재차 매수시그널이 나타났는데, 지표발표 일정을 고려해본다면 매수시그널에 큰 의미를 두기 보다는 박스권 형태로 대응하는 게 유리하겠습니다. 오늘도 지표발표에 유의하시면서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프리장 대응전략
· 나스닥 - 박스장
매수 - 21280 / 21230 / 21160 / 21060 / 20990
매도 - 21450 / 21505 / 21555 / 21600 / 21680
· 오일 - 매수장
매수 - 74.20 / 73.80 / 73.10 / 72.70
매도 - 74.90 / 75.40 / 76.40 / 77.20
· 골드 - 박스장
매수 - 2659 / 2654 / 2649 / 2644 / 2635
매도 - 2669 / 2676 / 2681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본 채널의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11월 트레이딩 대회 차트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SPX500USD 1D 차트)
상승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5738.2 이상 상승하여 유지되어야 합니다.
현재 StochRSI 지표가 더블 버텀을 만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에서 상승하게 되면, 큰 상승 파동을 만들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이에 따라서, 5738.2 지점은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지점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
(XAUUSD 1D 차트)
BW(100) 지표가 2748.960 지점에 생성되어 있고, HA-High 지표가 2734.472 지점에 생성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2734.472-2748.960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
BW(100), HA-High 지표가 생성되었다는 의미는 고점 구간을 형성하였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BW(100), HA-High 지표에서 저항받고 하락한다면, 기본적으로 BW(0), HA-Low 지표를 만날 때까지 하락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고 대응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2734.472-2748.960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한 이유라 할 수 있습니다.
-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으로 진인한 것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과매도 구간에서 상승하고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를 유지할 때 어느 지점에 위치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
(XAGUSD 1D 차트)
은 차트는 이미 하락이 진행 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상승 채널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눌림목(pull back) 패턴을 만들 가능성을 염두해 두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서, 3188144 부근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HA-High 지표가 32.99790 지점에 생성되어 있고, BW(100) 지표가 34.86 지점에 생성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3299790-34.86 구간을 상향 돌파하는데 제약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EURUSD 1D 차트)
1.08821 지점은 추세상 매우 중요한 구간에 해당된다고 생각됩니다.
1W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할 때까지 상승 추세로 전환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1.08821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확인된 다음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
(WTICOUSD 1D 차트)
오일 차트는 역배열 상태입니다.
이에 따라서, 매도(SHORT) 포지션으로 거래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71.6167 이상 상승하면서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한 상태입니다.
이 상승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71.955 부근에서 유지되어야 합니다.
-
HA-Low, HA-High 지표는 하이킨아시 차트를 이용하여 거래하기 위해 만들어진 지표입니다.
HA-Low 지표가 생성되었다는 의미는 저점 구간을 형성하였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HA-Low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한다면, 기본적으로 HA-High 지표을 만날 때까지 상승을 이어간다고 생각하고 대응 방안을 생각해야 합니다.
HA-Low나 HA-HIgh 지표는 다른 지표와 다르게 박스 구간을 표시하도록 만들었습니다.
따라서, HA-Low 지표로 형성된 저점 구간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HA-Low 지표의 박스 상단 지점 이상 상승하여야 합니다.
그러므로, 피보나치 비율 0.618 (72.606) 이상 상승하여 유지되어야 저점 구간에서 벗어났다고 할 수 있습니다.
-
StochRSI 지표가 만능 지표라 할 수 없지만,
기본적으로
- StochRSI 지표가 50 지점 이상에 위치해 있으면 매도 시기를 찾는데 집중하고,
- 50 지점 이하에 위치해 있을 때는 매수 시기를 찾는데 집중해야 합니다.
그러한 관점에서 보면, 현재 상승이 상승이 아닌 반등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
(BTCUSD 1D 차트)
현재 가격 위치에서 볼 때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71288.90-72322.91
- 68343.64-69795.79
- 65910.71
위의 3개의 구간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
오일 차트에서 설명드렸지만, StochRSI 지표가 50 지점 이하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매수할 시기를 찾는데 집중해야 합니다.
따라서, 신규로 거래를 진행한다면, 68343.64 부근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다만, 현재 추세가 상승 추세이기 때문에 매도(SHORT) 포지션으로 거래를 진행한다면 짧게 빠른 대응이 필요합니다.
-
(ETHUSD 1D 차트)
ETH는 현재 박스 구간에서 횡보(sideways) 중입니다.
따라서, 2272.88-2707.12 구간에서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는지에 따라 추세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기 때문에 박스 구간 내에서 거래를 진행한다고 생각하고 대응 방안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러다가 박스 구간에서 벗어났을 때 추세를 먹기 위한 거래 전략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64K 상승 돌파 실패? 원인은?
■ 기술적 분석
비트코인/테더/1시간봉/바이낸스 차트입니다.
지난 10월 4일 분석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 흐름이 나오는 모습입니다.
예상보다 가파르게 상승 흐름이 나오며
오늘 62.5K 돌파 후 64K 부근까지 상승이 나왔으나
지난 분석에서 말씀드렸던 64~65K 중단기 저항대에 막혀
조정이 나오고 있는 모습입니다.
상승이 막히고 조정이 나오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이어서 시장 분석 파트에서 다루겠지만,
우선 기술적 분석으로서는
지난 9월 상승세에 계속해서 언급드렸던 64~65K 저항대가
3월 이후로 지속적으로 지지/저항이 나왔던 구간이기 때문입니다.
20시 1시간봉 상 62.6K 구간 지지를 받고
소폭 반등이 나왔으나
현재 시각 21시 1시간봉에서 다시 하락세 이어가는 모습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 하락 흐름에서 단기적으로 빠르게 상승 전환이 나오기 위해서는
62.6~62.4K 구간에서 지지 받으며 반등이 나와야 할 것이며,
마지노선은 62K가 되겠습니다.
만약 이 구간에서 지지를 못받는다면
3~10월 하락 박스권의 1/2지점(중앙)에 해당하는
60.6K~60K 구간이 그다음 지지 구간 으로 보이며
이 구간까지 무너뜨린다면
지난 4일 말씀드렸던 57.5K~58K 구간이
중단기적 지지 라인 이 되겠습니다.
다만, 하단에 거래량을 보시면
2~4일 하락 구간에서 나왔던 거래량들이
4일 이후 상승구간에서 충분한 거래량이 안나왔기 때문에
아직은 상승여력이 더 있어보입니다.
만약 다이버전스로 본다면
단기 고점인 이번 64K 부근 이후로 하락하면서 (가격 캔들 검은색 화살표)
거래량이 증가하며 하락했다면 (거래량 캔들 검은색 화살표)
하락 추세 전환에 무게가 더 실릴 수 있겠지만
현 상황에서 시장에 영향을 줄만한 특별한 악재가 없는 한
추가적인 하락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 시장 분석
- 미 10년물 국채금리
- 미 2년물 국채금리
현재 64K 단기 고점 이후로 하락한 이유로는
4일 말씀드렸던
중동 전면전 확대 우려와 미 경제 상황이 섞여서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먼저 금리 인하 부분을 보겠습니다.
지지난주 FOMC 50bp 빅컷을 강행하면서
시장은 환호하는 분위기였습니다.
그런데 지난주 금요일~익일 새벽
고용 지표가 긍정적으로 발표됐음에도
시장에서는 추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줄어들면서
1차적인 영향을 받는 모습 이었고,
추가로,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와
래리 서머스 전 미 재무장관이 한 발언에서
2차적인 영향을 받는 모습 이었습니다.
"이번 50bp 빅컷은 서두른 감이 있다
5.5%의 금리 수준에서도 경제가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줬기 때문에
이전과 다르게 5.5%의 기준금리는
고금리가 아니라 중립 금리로서 작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라는 뉘앙스의 발언이 나왔는데,
굳이 금리 인하를 안하거나
25bp 선에서 인하를 했어도 됐음에도
섣부른 금리 인하가 다시 물가 상승률을 부추기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내용 이었습니다.
오는 10일 CPI와 11일 PPI가 어떻게 나오는 지에 따라
시장이 다시 크게 출렁일 수 있는 상황이 된 것입니다.
따라서 오늘 64K 하락전환에 큰 영향을 끼친 것은
미 10년물과 2년물 국채금리 상승 으로 보여지는데,
방금 말씀드린 대로 추가 금리 인하가 제한적인 상황 이
국채금리 상승이라는 객관적인 지표로 보여지게 되면서
시장의 실망감이 비트코인 가격에 반영된 모습 으로 볼 수 있습니다.
- 달러 익덱스
- WTI 원유 가격
또한 지난 9월 30일 이후로 중동의 긴장감이
전면전 확대라는 우려를 낳고 있는 상황입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WTI 2개월 선물에 대한 하락 베팅 대비 상승 베팅 비율 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원유 공급 차질 유려가 치솟았던
22년 3월 이후 최고를 기록 했습니다.
이란에 대한 보복 공격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란의 석유 수출이 제한될 가능성에
국제 유가 상승 가능성에 투자자들이 몰린 것입니다.
9월 30일 이후로 WTI 원유 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세 를 보여주고 있고,
이에 따라 안전자산인 달러로 수요가 몰리면서
달러 인덱스까지 상승 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러한 흐름은
원유 공급 제한에 의한 유가 상승이
물가 상승을 초래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어
앞서 금리 인하 파트에서 말씀드렸던 것과 더불어
앞으로의 추가 금리 인하에 더욱 큰 제약을 걸 수 있는 내용 입니다.
정리하자면,
추가 금리 인하가 제한되는 상황들이
이어지면서 발생한 하락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시장은 중기적 관점에서
앞으로 미 대선 가상화폐 정책에 따른 시장 기대감에
상승세가 크게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한편,
경제적, 국제적 이슈가 어떻게 해소되는 지에 따라
상승세에 보탬이 될지, 상승세를 저지하게 될 지가 관건이 되겠습니다.
급격한 친환경에너지 정책이 일으킨 Energy Crisis. 석유, 가스 그리고 원자력에 투자하라!안녕하세요, 1PERCENT 입니다.
2020년 친환경에너지 붐이 일어나며 ESG ( Environment - Social - corporate Governance)가 기업과 국가를 평가하는 지표가 되었습니다.
석탄은 물론, 오일과 가스 산업에 대한 투자는 씨가 마르고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 관련 종목들은 주가가 일년간 2-4배 뛰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2021년 겨울, 기대와는 다른 중간결과가 나왔습니다.
환경오염 주원인으로 꼽히는 석탄 사용량이 일년간 가장 많이 오른 것입니다.
그리고 전세계 적으로 에너지 난이 찾아왔습니다.
오늘은 이 이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Global Energy Crisis
대표적으로 유럽의 예를 들 수 있습니다.
매 겨울마다 에너지가 부족한 불편함은 존재했지만,
유독 바람과 태양광이 적었던 올 겨울, 친환경 정책의 너무나도 체감되고 있습니다.
UK
영국의 천연가스 가격은 지난 코로나 저점으로 부터 4850%(!!!) 상승 후 현재는
역대 평균 고점 (겨울) 대비 여전히 +158%(!!!)나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Germany
독일은 후쿠시마 사태 이후 가장 적극적으로 탈원전 정책을 이행했습니다.
태양광과 풍력발전기에 대대적으로 투자했으나, 충분하지 못해 계속해서 에너지를 수입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전기 요금이 주변 국가 대비 4배나 높은 상태입니다.
그리고 이런 와중에도 최근 정상작동하던 원전 3기를 중단 시켰습니다.
France
프랑스 같은 경우 원자력 발전이 국가 발전의 70%가 넘는 비중을 차지할만큼 원자력 강대국입니다.
후쿠시마 이후 탈원전 정책을 고심했던 프랑스는 친환경에너지의 기술적 현재 한계를 보고 오히려 원전에 더욱 투자를 하기로 결심했습니다.
하지만 노후화된 원전 5기가 최근 동시에 안전상의 이유로 중단되며 올해 초 전기 요금이 급격하게 올라갈거라는 전망이 있습니다.
더욱 안전하고 현대적인 원전이 필요하다는 결론과 함께, 유럽 연합은 독일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원자력발전을 '그린에너지'로 택하기로 했습니다.
수요와 공급이 맞지 않고 있다!
앞서 말씀 드렸다시피, ESG 투자로 인해 현재 "전통" 오일 & 가스 산업에는 신규 투자가 많이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새로운 유전을 파지 않고 있으며, 2021년은 특히 최근 10년간 새로운 유전이 가장 적게 발견된 한 해라고 합니다.
게다가 OPEC+가 말과 다르게 제대로 증산을 실시하고 있지 않아 유가는 계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바이든이 호통을 쳐봤지만 씨알도 먹히지 않았고, 수천만 배럴의 전략적 비축유까지 방출했지만 오히려 유가는 상승했습니다.
펜데믹 저점 대비 400%가 넘게 오르던 유가를 유일하게 하락 시킬 수 있던건 '오미크론'의 대한 두려움입니다. 락다운이 다시 생겨 수요가 급감할거라는 예상이었죠.
하지만 오미크론 변이의 치사율이 낮은걸로 보이며 미국도 락다운을 실시하지 않기로 했고, 유럽도 위드코로나 위주로 돌아서고 있습니다. (계속 왔다 갔다)
따라서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수요는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렇게 이미 무리한 친환경 전환 정책으로 인해 에너지가 부족한 상황에서 더욱 다양한 요소들이 에너지 가격을 상승시키고 있습니다.
1. 미국과 러시아의 힘겨루기
유럽 국가들은 주로 러시아 (그리고 북유럽)에서 천연가스를 수입해 옵니다.
러시아는 유럽에 천연가스 공급을 늘리기 위해 국영회사 가즈프롬 (Gazprom)이 러시아와 독일을 잇는 노드스트림2 파이프라인을 설치했습니다.
하지만 유럽의 러시아 의존도가 높아지는 걸 막고 싶은 미국은 계속해서 러시아를 제재하고 이에 반발하여 러시아는 천연가스 공급을 거의 중단하다시피 하고 있습니다.
(푸틴은 러시아가 공급을 해도 독일이 원래는 자국이 써야하는 천연가스를 더욱 비싸게 폴란드에 팔고 있다고 발언하기도 합니다. 독일은 노 코멘트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발생한 천연가스 가격 급등에 도움을 주기위해 미국이 미국산 천연가스를 LNG 운반선을 이용하여 공급하겠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는 일시적인 방편일뿐, 유럽 입장에서는 바로 옆에 있는 러시아에서 공급을 받는 편이 편합니다.
그리고 유럽과 아시아 국가들이 미국산 천연가스에 경쟁하여 미국산 가스 가격도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 힘겨루기는 우크라이나에서 가장 큰 위험을 보이고 있습니다.
나토와 러시아가 협상 중인 만큼, 협상 결과에 따라 원자재 시장에 또 한번 급격한 움직임이 있을거라 예상됩니다.
현재 영국 천연가스 가격은 미국에 50배에 달하는 상황입니다. 몇 주전 80배에서 조금 내려온 상태입니다.
그리고 근본적인 문제가 또 있습니다.
2. 지나친 양적완화로 인한 인플레이션
펜데믹으로 인해 경기 침체가 우려되자 미국, 유럽, 한국 등 주요 국가에서 경기부양을 이유로 엄청난 규모의 화폐를 찍어냈습니다.
특히 미국의 양적완화 규모는 그 수치가 어마무시하여 기축통화의 devaluation - 평가절하를 피해갈 수 없습니다.
'조'라는 친구가 노트북을 사기 위해 백만원을 모았다고 상상합시다. 갑자기 정부에서
'지원금'을 명목으로 전 국민에게 백만원씩 지급합니다.
'조'의 친구 '제롬'은 그 돈으로 똑같은 노트북을 사려고 합니다.
'조'의 백만원과 '제롬'의 백만원이 이제 노트북을 사기 위해 경쟁해야 하며,
흔해진 원화의 가치 대비 노트북에 가치가 올라가게 됩니다.
인플레이션이 생기는 거죠.
국제 무대에서는 '원자재'를 구입하기 위해 '달러'가 필수입니다. (일부 탈 달러화 추구하는 이란, 러시아, 중국 등 제외)
그런데 엄청난 양의 달러를 연준이 찍어냈으니, 이걸로 무라도 베어야 합니다.
바로 달러로 원자재를 사는 것 이지요. (물론 소비재도요)
마지막으로 지정학적 요소입니다.
3. 수니파 vs 시아파, 반미 vs 친미
중동이 아주 복잡하게 엮여있는건 모두 아실겁니다.
바로 어제 밤 이란이 지원하는 예멘 반군이 UAE 유조선과 산업 단지들을 드론으로 폭격했습니다.
그리고 이에 대한 반격으로 사우디가 예멘을 타격했습니다.
바로 몇주전에는 카자흐스탄에서 대규모 반 정부 시위가 일어나며 오일, 우라늄 채광 공장들이 전부 올 스톱 됐었죠?
지정학적 요인들은 유가를 계속해서 높일 수 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어냅니다.
그리고 OPEC+는 높은 유가에 더욱 많은 수익을 낼 수 있죠.
...
수요 vs 공급
미국 vs 러시아
친환경 vs 현실
달러가치 vs 원자재 가치
이 4가지로 인해 아이러니하게 현재 상황이 일어나고 있는 것 입니다.
우리나라는 비교적 괜찮았죠?
OECD 평균 보다는 낮은게 사실이지만 국내에도 작년 기준 에너지 가격이 20%나 상승했다고 합니다.
근데 비교적 낮은 이 가격이 정부에서 대선 전까지 인위적으로 전기요금을 동결한 상황에서 나온걸 알고계셔야 합니다. 대선이 끝나면 더욱 오를거라고 한전에서 발표한 바 있습니다.
그래서 어느 종목에 투자하라는 거나고요?
심플하게는 ETF
에너지 섹터 대표 ETF - XLE
우라늄 채광 대표 ETF - URNM
원자력 발전 대표 ETF - URA
오일 & 가스 쪽을 더욱 파고 들면,
유가가 $35 ~ 45 만 되어도 (현재 $86) 기존 계획댄 CAPEX, 주주환원 그리고 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이 되는 기업을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고유가가 유지되면 이들 기업은 잉여현금을 찍어내는 기계입니다.
글이 매우 길어지는 관계로 이만 마치고 추후에는
현존하는 가장 효율적인 '그린'에너지의 원천인 우라늄과 그 섹터를 한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PERCENT
CRUDE OIL 매매방향성과 롱,숏 시나리오크루드오일 전고점부터 현재 시세까지 하나의 큰 파동으로 가정하여
그 파동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습니다.
매우 단기적인 매매 시나로를 말씀드리자면, 78.59 ~ 79 달러 사이가 PRICE ACTION 구간이 될수있을것같고 매매시나리오도 이 가격을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LONG >>> 롱 진입타점은 아까 위에서 말씀드린 PRICE ACTION 구간인 78.59 ~ 79달러 사이 지지 혹은 이탈 안하는것을 확인하였고, 위 구간을 지지를 받고 올라가는 모습을 보았을때 롱 포지션을 진입합니다. (사실 진입할때도 위 구간에서 분할 진입도 GOOD)
손절 >>> 78.59 이탈시 칼같이 손절
익절 >>> 80달러 이상에서 자유롭게 익절
SHORT >>> 숏진입타점은 78.59~79 사이를 즉 78.59 이탈과 더불어 추세가 깨짐을 확인하였을때 진입합니다.
손절 >>> 78.59 저항 돌파 + 추세가 횡보나 상승으로의 움직임이 보일때
익절 >>> 78.34 ~ 78.21 사이구간에서 자유롭게 익절
크루드오일 얼마까지 갈까??안냐세요
오늘은 코인말구 크루드오일 가져왔어요.
예전에 저 초주린이시절에 개뿔도 모르던시절인데.
어떤걸 보고 오! 했던게 있었어요.
다 알고있는 박스 매매라고 주가가 박스권에 있으면 아래서 사고 위에서 팔아라
그인간은 나중에 이미 그리된거 보고 그렇게 말한건데 (뇌피셜)
그당시에는 와 저렇게 박스권이 형성됐구나
다음에 어떤종목 박스형태처럼 저점 나오면 매수해야지! 했는데 개뿔 떨어져서 물렸죠
아니 박스권이고 나발이고 지나고 나서야 알지 ,
하여간 경제방송나와서 떠드는인간들치고 제대로된사람 못봤네요.
아무튼 말이 샜는데 왜이말했냐면 .크루드오일 72~82 사이 박스권이었잖아요?
이거봤으면 아니 박스권인데 72에매수 82매도 왜못해요??
이렇게 말하면서 전문가인척 하는꼴이 눈에 뻔히보여서 욕좀하려고..ㅋㅋㅋ
암튼 박스권인데요..
상승위한 발판은 82를 넘었어야했고 못넘었어요.
이전에 100불가량 깨질때 이미 63 정도의 저점은 예상됐어요.
지금 박스권은 중간파동이죠.
해서 단기 파동의 저점은 대략 73 정도 보이고요.
장기적으론 63정도의 저점이 보입니다.
어떤 종목이던 어떤 차트던간에 저점이 63으로 예상+확신 된다면 그 중간에서 반등하는거 먹겠다고 롱 치면안돼요.
전에도 글썼지만 눈으로 보이는 패러럴채널링 형성됀거같다고 위아래위아래 먹어야지 했다가 한번에 목표가까지 갈수 있는거 다들 알잖아요?
뭐 손절잘하고 아무튼 그런거 잘 하는 사람이면 모르겠지만 저같이 손절못하고 맨날 물리는 사람들은 머리쓴답시고 이러면안돼요.
롱을 쳐도 최소한 반등 필요 자리가 있어요. 아무튼 일일이 말하면 한 100페이지 쓸거같으니 오늘은 여까지 쓸게요 ㅎㅎ
추세 바뀌는 시점 어떤 모습이 나오는 건가?안녕하세요 감론입니다
지난번 매도 관점은 살짝 서둘렀지만 어제까지만 해야 조금 더 확신이 들었습니다
일봉상 상승의 마지막 중추는 우리가 빨간 색으로 표시한다면 오른쪽 첫번째 하락 중추는 역시 파란 색으로 표시했습니다
감론에서 추세 바뀌는 시그널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한 방향의 중추로 움직이다가 반대 방향의 중추로 전환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오일은 어제만 해야 일봉상 상승 중추에서 하락 중추로 전환 시키는 확률이 높아졌습니다
현재 가격은 일봉 하락 중추 하단 라인에 (85~86불) 위치 있습니다
이 라인 잘 깨져 주고 저항 받으면 매도 시도해도 나쁘지 않을 것같습니다
매도 전략 85불 저항 모습 확인 후
손절 93 이상
( 가격상 손절 범위는 크다 보니 본인의 자금 비율에서 분할 진입 조정 부탁드립니다)
목표가
1차 76
2차 68
모두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투자는 본인에게 책임 있습니다
참고만 부탁드립니다
아이디어 도움 되신다면 팔로우 및 부스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오일 과연 어떤 반전을 보여줄 수있을까요 ? 뇌 대신 눈으로 보이는 대로 거래하세요 !!안녕하세요 감론입니다
최근 비트 보단 오일에 더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애지중지인 오일 잘해야 인정 받을 수있을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지난 지지 위치 76 확인하고 반등이 나와서 어떤 분들이 벌써 추세 판단하기 시작했습니다
어떤 가격 가지고 절대 그 이하로 안 팔겠다는 주관적인 소리 하는 거 보니까 답답합니다
일봉상 하락 중추 A 하단 라인 95불 부근 이상으로 돌파하지 못하면 저는 여전히 매도 구조물이 유효하다고 생각합니다
----------오늘이 88불에서 중추 A대한 하방으로 벗어나는 파동이 시발점이 될 지도 모릅니다 (제3 매도 점)
--------그리고 베가스 이평선 저항 맞고 있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고요
이렇게 말을 해봤자 이바닥에서 그냥 각자의 고집에서 사는 겁니닼ㅋㅋㅋㅋ
하지만 절대적인 거 이바닥에서 절대 없는겁니닼ㅋㅋㅋ
그런 어떤 가격 가지고 절대적인 방향 얘기하는 사람도 환호 코인 받을 수있는거 보니까
시장에서 맨날 연막탄 사방에서 던지고 있다는 생각 밖에 안드네요
매도 진입
현재가
손절가 91불 이상 베가스 이평선 지지 역할 전환시
( 가격상 손절 범위는 크다 보니 본인의 자금 비율에서 분할 진입 조정 부탁드립니다)
목표가 76불
손익비 1대3
모두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투자는 본인에게 책임 있습니다
참고만 부탁드립니다
아이디어 도움 되신다면 팔로우 및 부스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원유, 얼마면 돼? (aka. 재정균형유가) 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OPEC+ 하루최대 200만배럴 감산 검토"… WTI, 3.5%↑
최근 수요감소로 인해 러-우 전쟁 직전 수준인 배럴당 76불 까지 떨어졌던 유가가
OPEC+의 감산 소식으로 인해 배럴당 85불 까지 치솟았습니다
산유국들은 어느정도의 유가와 수요를 원하는 것일까요?
오늘은 세계경제의 큰 축을 담당하는 산유국들의 정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재정균형유가(Fiscal breakeven oil prices)’ 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앞으로의 유가의 움직임과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
I. 서론 - 산유국이 유가에 민감한 이유
II. 본론
II.1 재정균형 유가란?
II.2 앞으로의 유가의 향방은?
III. 결론 - 시장에 미치는 영향
---------------------------
서론
원유가 아니어도 국정을 운영하는데 지장이 없는 미국과 같은 선진국을 제외하고
원유 수출이 GDP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국가들을 (주로 중동) 산유국 이라고 통상 지칭합니다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 UAE, 쿠웨이트 등 이 대표적입니다
이 국가들의 GDP대비 원유 수출의 비중은 많게는 40%에 육박합니다
그러나 원유 수출을 통해 얻는 수익은 경제 상황이나 유가에 따라 변동성이 매우 높습니다
대표적인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를 살펴보겠습니다
그래프를 보시면 유가가 최고점을 기록했던 2014년에 대비하여
리먼 사태로 전세계적 경기침체가 있었던 2008년 즈음에는
원유 수익이 절반 수준 으로 떨어졌음을 볼 수 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전체 GDP 대비 원유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이 15% 정도를 차지함을 감안할 때
전체 GDP가 7%나 감소하는 효과 를 일으키는 것이죠
이처럼 산유국들은 유가의 호황과 불황에 따라 국정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책적으로 유가를 조절하는 기구를 만들고, 유가를 조절 하는 것입니다
그들에게 원유 수익 재정정책은 국가의 안정과 경제성장을 위해 필수적인 것이죠
----------------------------
본론
II.1 재정균형 유가란?
그렇다면 산유국들은 얼마의 유가를 원하는 것일까요?
독자분들께서는 산유국들의 패권다툼으로 인한 2020년 사상 초유의 저유가 사태를 기억하실 것입니다
이때 미국의 셰일가스가 대안으로 언급되며 자주 언급되었던 용어가 ‘원유 손익분기가격 (Breakeven oil price)’ 입니다
그러나 이는 사실 생산 원가 와 관련된 내용으로
2020년 같은 특수한 상황이 아니면 사실상 구경하기 어려운 가격 입니다
현실적인 원유 가격의 1차적인 지지선은 ‘재정균형 유가 (Fiscal breakeven oil price)’ 로
각 산유국들의 재정이 적자가 나지 않는 수준의 유가 를 의미합니다
유가가 재정균형 유가 이상의 수준을 유지할 때는
산유국들이 마음껏 오일 머니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 입니다
2022년 국제금융기구 (IMF)의 발표에 의하면
사우디 아라비아의 재정균형 유가는 2022년 배럴당 79.2불 이며
2023년은 배럴당 69불로 예상 됩니다
이 수치를 알면 이제 OPEC+의 감산 이야기가 왜 나왔는지 (유가 80불 이하) 그리고 현재의 유가(85불)가 유지되는 이유가 이해되실 겁니다
II.2 앞으로의 유가의 향방은?
유가는 중동 경제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실제로 그래프와 같이 유가와 산유국의 건설 발주액은 연관성 을 보입니다
유가가 오르는 시기에 열심히 발주를 넣었다가, 발주 취소를 하는 경우가 허다했죠
최근에도 1300조원 가량의 규모로 거론되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네옴시티’ 프로젝트가
감산 및 유가 상승에 의해 힘을 얻으며 2029년 동계아시안게임 유치에 성공한 사례를 보면
재정균형유가 이상의 원유 가격을 유지하기 위한 OPEC+의 강력한 의지 를 엿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앞으로도 추가적인 유가의 하락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 됩니다
여러 이벤트에 따라 마의 70불 후반 구간 아래로 단기적 하락은 있을 수 있겠으나
기본적으로 79불이 강한 지지선 임을 인지하셔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위에서 언급드렸듯이 IMF에서도 내년 재정균형유가의 하락을 예상 하였습니다
이유는 두 가지를 생각해볼 수 있는데요
1.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통한 산유국의 꾸준한 원유 의존도 탈피 노력
2. 인플레이션의 감소 (경기침체)
중요한 것은 2번 이유입니다
연준이 바라는 연착륙이 이루어지며 인플레이션이 잡히는 시나리오의 가능성은 매우 낮고
내년 경기침체가 올 가능성이 높다는 것 을 아이디어들을 통해 말씀드렸는데요
IMF는 경기 둔화로 인한 원유 수요 감소, 산유국의 경기순응성을 근거 로 재정균형유가의 하락을 예상 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재정균형유가의 수치자체가 하락하여, 원유가격이 낮아진다고 하더라도
재정균형유가 이하로의 유가하락을 방지하기위해 지속적으로 OPEC은 공급을 조절 할 것입니다
이는 역으로 또 다시 원유가격 상승 및 수요 감소를 촉발하며
경기침체를 심화하는 피드백으로 작용 하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
재정균형유가의 방향도, 경기침체를 예상하는 퍼즐에 꼭 맞추어지고 있는 셈 입니다
----------------------------
결론
시장에 미치는 영향
미국발 양적완화로 시작되고 러-우 전쟁으로 인해 심화된 전세계적 인플레이션
그리고 인플레 파이터로서의 미국 연준의 강력한 긴축정책이
현재 국제정세의 가장 키포인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플레가 확실히 꺾이는 것을 확인하기 까지 연준은 긴축의 끈을 놓지 않겠다고 했음을 기억 해야 합니다
감산이슈로 상승한 유가를 반영하여 Inflation nowcasting은
10월 CPI 예상치를 MoM 0.72 (기존 0.41) YoY 8.04 (기존 7.71)로 상승 하였습니다
원유 가격의 상승은 대부분의 원자재 인플레이션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최근에는 강력한 긴축정책과 수요 감소로 인해
유가를 포함한 전반적인 원자재 가격이 하락 안정화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재정균형유가 이상의 유가를 유지하려는 OPEC의 움직임으로 인해
다시 한번 원자재발 인플레이션이 대두 될 가능성 이 높아졌습니다
따라서 현지시간 기준으로 다음주 수요일 발표되는 10월 미국 CPI 발표 가
11월 예정된 FOMC의 금리인상의 키포인트가 될 것으로 생각하며
현재 상황으로 미루어볼 때는 결정적인 인플레이션 감소는 없고
전월과 비슷한 수준 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로 인해 11월 FOMC에서도 75bp 인상이 유력한 옵션 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결론 요약
1. 재정균형유가 이하 (올해 79.2불, 내년 69불)로 유가가 내려가기는 어렵다
(오늘 한국시간 기준 오후 7시 OPEC+ 감산 관련 회의를 잘 지켜보자)
2. 재정균형유가의 예상 추이도 내년 경기침체를 가리키고 있다
3. 10월 CPI 발표 (현지시간 다음주 수요일), 고용지표 (오늘 비농업부문 고용변화 발표 예정)가
10월의 시장 분위기 및 11월 FOMC 금리인상에 가장 키포인트가 될 것이다
감사합니다
오일 단기 조정후 매수 기회 대기하시오안녕하세요 감론입니다
어제 미국 증시 함께 반등 나오는 오일이네요
브리핑 영상에서 언급한 거처럼 오일이 이번 하락은 일단 77불 부근에서 지지 받을 거라고 분석했습니다
일단 30분 레벨에서 하락 중추 2개 완성후 추세 괴리 발생했습니다
이중에 a b 보단 c 파동이 추세 괴리는 현저히 잘 보이실 겁니다
그리고 어제 장중에서 B 중추를 역시 관통시켜 돌파 하고도 올라가는 파동끼리 추세 괴리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이러므로 단기 추세에서 매수 세력이 세다는 판단을 내릴수 있을 겁니다
우리가 매수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30분 레벨에서 이제 조정후 매수 진입 위치를 찾아야 되죠
그리고 상승 중추로 전환시킬 수 있을 지 지켜봐야 됩니다
분할 매수 전략
1차 : 81.23
2차 : 80.89
3차 : 80.12
목표가는 85불입니다
손절 78불 이하
가격상 손절 범위는 크다 보니 본인의 자금 비율에서 분할 진입 조정 부탁드립니다
모두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아이디어 도움 되신다면 팔로우 및 부스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9월 30일 나스닥 US100 해외선물 차트분석입니다.안녕하세요.
비트코인 가이드입니다.
"팔로우" 를 해두시면
실시간 이동경로 및 주요구간에서 코멘트 알림을 받을수있습니다.
나스닥 30분차트입니다.
9시 30분 지표발표는 전부다 악재로 진행했구요
가장 위험한 구간에서 현실적으로 대비하는게 유리해보입니다.
전체적으로 숏 -> 롱 스위칭전략이구요
만에 하나 호재가 나온다면 ,
상단에 표시해드린 Good , Great 구간까지 상승할수있습니다.
표시해드린대로 ,
쌍바닥구간은 하단에 M 부터이니 여기까지 내려가지않으면 제일 좋구요.
초보자분들 또는 무포지션 대기중이신분들은
어디까지 상승하는지 체크하시고 ,
하단에서 실시간 롱대기가 유리해보입니다.
초록색지지선 구간이 유일한 상승추세선이되며
1. 화살표 이동경로 우상향
2. 하늘색 손가락 횡보장
3. 빨간색 손가락 수직하락 정도로 봐주시고
하단에 10891.1불 구간에 최대한 빨리 터치하고
아래꼬리 반등이 나와줘야 다음달 장기하락을 피할수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어려운자리이니 , 현재 주요포지션 참고해주시구요
주요시간대보시면서 운영하시길 바랍니다.
제 분석글은 단순히 참고정도만 부탁드리구요
원칙매매 / 손절가 필수로 안전하게 운영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위 나스닥 전략을 기반으로 , 비트코인 움직임에 적용시켰습니다.
9월 23일 나스닥 US100 해외선물 차트분석입니다.
안녕하세요.
비트코인 가이드입니다.
"팔로우" 를 해두시면
실시간 이동경로 및 주요구간에서 코멘트 알림을 받을수있습니다.
나스닥 30분차트 , 숏포지션 전략입니다.
정확하게는 하늘색 손가락이동경로
숏 -> 롱 스위칭전략이구요.
나스닥경우에는 하방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4시간차트 기준으로 수직하락이 진행중입니다.
핑크색지지선은 마지막 상승추세선이되며 ,
주황색 저항선까지가 횡보장 기준입니다.
다음주 주봉차트 MACD 데드크로스 각인 기준으로본다면 ,
일단 이탈없이 횡보만해줘도 좋습니다.
문제는 나스닥 악재로인해서 , 계속 우하향 하락중인데
나스닥 종목의 성격에맞게 , 좋아하지는 않지만 쌍바닥에 승부를 걸었구요.
3시 지표발표는 크게 중요하지않다고 판단하고
무시헀습니다.
*하늘색 손가락 이동경로시
숏 -> 롱 스위칭전략
1. 11439.6 숏 / 주황색 저항선 돌파시 손절가
2. 10989.1 롱포지션 스위칭 / 하늘색지지선 이탈시 손절가
하늘색 지지선은 시즌 종료 기준이되며 ,
훼손 또는 이탈경우 , 반등이 션찮을때 다음주부터 장기적인 하락세가 나올수있으니 주의해주시구요.
제 분석글은 단순히 참고정도만 부탁드리고
원칙매매 / 손절가 필수로 안전하게 운영하시길 바랄게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