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후의 지지 구간 : 17.721-22.879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TRUMPUSDT.P
27.329 지점에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 거래의 기준 지점에 해당됩니다.
피보나치 비율 1 (17.721) ~ 1 (22.879)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어디까지 하락하게 될지 알 수 없는 구간으로 하락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매물대 구간인 27.329 이상 상승한다면, 37702 ~ 0.618 (41.397)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하여야 상승세가 시작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따라서, 현물 거래시 마음의 여유를 가지고 어떻게 하면 보유 코인(토큰) 갯수를 늘릴 수 있는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선물 거래시에는 빠른 대응만이 살 길입니다.
-
차트의 움직임을 잘 보면, 어느 지점에서 매도하고 어느 지점에 매수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이를 실시간으로 적용하기란 쉽지 않습니다만,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지표들을 눈여겨 보신다면 어느 정도 거래 시점을 찾으실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현물 거래에서는 이러한 파동에서 거래하여 보유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 나가는 방식이 가능한지를 생각해야 합니다.
즉, 매수한 금액을 일부를 매도한 다음 가격이 하락하였을 때 매도 금액만큼 재매수함으로서 보유 코인(토큰) 갯수를 늘리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러한 방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금액 단위로 거래해야 한다는 것 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소수점으로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가능한 방식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Tradingstrategy
관건은 101947.24-103706.66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입니다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월요일 아침에 급변하는 코인 시장에 맞추어 고장난 PC로 인해 난감함을 겪었습니다.
이로 인해 제때 업데이트를 해 드리지 못한 점이 아쉽네요.
다만, 말씀드린 내용을 보셨다면 어느 정도 대응하였을 거라 생각되지만, 아무쪼록 큰 피해가 없었기를 바랍니다.
-
현물 거래시 총 투자금의 약 20% 정도는 언제나 현금으로 보유해야 합니다.
그래야 이번과 같은 급변하는 상황에서 기회를 잡을 수 있습니다.
만일 여유 자금을 사용하였다면, 반드시 매도하여 여유 자금을 다시 확보해야 합니다.
현물 거래 중 손실이 발생한 상태라 하더라도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면 어느 정도 대응해 나갈 수 있습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일부 매도하여 현금을 확보해야 합니다.
이렇게 확보한 현금은 가격이 하락하였을 때 다시 매수하여 보유 수량을 늘리는데 사용해야 합니다.
매도한 자금을 다른 코인(토큰)을 매수하는데 사용하여서는 안됩니다.
현물 거래의 장점을 잘 활용하여 어떻게 하면 보유 코인(토큰) 갯수를 늘릴 수 있는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단, 스캘핑이나 단타 거래(day trading)인 경우는 바로 현금 수익을 얻으면 됩니다.
---------------------------------------------
(DXY 1D 차트)
DXY의 갑작스런 급등으로 인해 2월의 첫번째 월요일날은 큰 변동성을 겪었던 것으로 보여집니다.
-
자금의 흐름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USDT, USDC의 갭 상승은 코인 시장으로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는 증거라 보고 있습니다.
-
BTC 도미넌스가 55.01-62.47 구간 이상을 터치하고 하락한 모습입니다.
BTC 도미넌스가 62.47 이상 상승하게 되면, 알트코인은 큰 하락을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알트코인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USDT 도미넌스가 4.97 이상 상승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이미 하락세를 보이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USDT 도미넌스가 하락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일 USDT 도미넌스가 하락하게 되면, 최대 2.84 부근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BTC 도미넌스가 상승하고 USDT 도미넌스가 하락한다면, BTC만 상승하는 시장을 형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BTC의 상승과 함께 상승하다가 점차 알트코인은 횡보하거나 하락세를 보이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BTCUSDT 1D 차트)
92792.05 이하를 터치하고, 101947.24 부근으로 상승한 모습입니다.
이때,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현재 1W 차트의 M-Signal 지표와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격이 크기 때문에 이 이격을 좁혀가는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HA-High 지표의 박스 구간 내에서 횡보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다만, 101947.24-103706.66 구간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1W 차트의 M-Signal 지표와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사이에서 횡보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101947.24-103706.66 구간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피보나치 비율 지점인 2.24 (1169040.43) 부근으로 상승하기 위한 상승이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
다음 변동성 기간은 2월 9일경부터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차트에 원으로 표시된 구간 부근 중 어느 구간에서 지지 받고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이번 하락으로 인해 HA-High 지표의 박스 구간은 91231.0-109588.0 구간으로 확장되었습니다.
따라서, 위에서 말씀드린 박스 구간이 91231.0-109588.0 구간이라고 생각하고 거래 전략을 만들거나 수정해야 겠습니다.
-
1D 차트의 HA-Low 지표를 이번에서 볼 수 없어 아쉽습니다.
현재까지 이어온 상승 파동이 아직 마감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승에 대한 피로도가 높은 상태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변동성에 의한 변동폭이 클 가능성이 있으므로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
피보나치 비율 2.618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1D 차트)
급격한 상승으로 인해 차트가 깨져 있습니다.
현재 상승 파동으로 알 수 있는 피보나치 비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최고점을 터치한 상태이므로 추가적으로 상승하더라도 피보나치 비율 2.618 (0.484488) 부근이 고점 구간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락이 시작된다면,
1차 : 피보나치 비율 1.902 (0.379635) ~ 2 (0.393986)
2차 : 1.618 (0.338045)
3차 : 0.288000
위의 1차-3차 부근 중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하락시 중요한 것은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을 터치하고 상승할 수 있는지 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 : 2.950-3.403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1D 차트)
2.950-3.403 구간에 1D, 1W, 1M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세를 보일 때, 이 구간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
(30m 차트)
추세 전환하기 위해서는 MS-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MS-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게 되면, 3.922 지점에 BW(100) 지표, 4.033 지점에 HA-High 지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구간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하였다가 상승하였을 때, 2.950-3.403 구간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HA-Low, BW(0) 지표를 만나게 되면, 상승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매수(LONG) 포지션으로 진입이 자연스럽습니다.
다만, 앞서 말씀드린대로 MS-Signal 지표를 상향 돌파해야 하기 때문에 이 부근에서의 지지 여부에 따라 대응해야 합니다.
-
어디까지 하락할 것인가 상승할 것인가보다 어느 지점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지점인지를 따져 그 지점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거래 전략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런 다음 가격의 움직임에 맞게 거래를 진행하였다면, 분할 거래로 대응해 나가면 됩니다.
우리는 차트 분석을 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거래를 하여 수익을 얻기 위함이므로 적절한 대응으로 흐름에 맞추어 나가면 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거래 전략은 결단과 기다림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W(100) 지표와 HA-High 지표는 고점 구간을 표시합니다.
즉, BW(100) 지표와 HA-High 지표가 생성되었다는 의미는 고점 구간에서 하락하였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BW(100) 지표와 HA-High 지표로 이루어진 구간을 고점 경계 구간(high boundary zone)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이 구간에서 하락할 때, 매도(SHORT)를 진행할 수 있지만 실제 매도(SHORT) 포지션으로 진입하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어려움을 줄이고자 HA-High 지표를 기준으로 박스 구간을 설정하여 표시하였습니다.
그러므로, 2.9660 지점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일 때 마지막으로 매도(SHORT) 포지션으로 진입이 가능합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보면, 오늘 진입이 가능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
현재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에서 상승한 다음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다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그만큼 하락 강도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만, StochRSI 지표가 다시 과매도 구간으로 하락한 다음 상승하였을 때 어느 지점에서 지지 받고 있는지에 따라 큰 폭의 상승을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2차 구간인 2.5127-2.6031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큰 상승을 보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만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
(30m 차트)
추세 전환을 위해서는 MS-Signal 지표를 기준으로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다만, 그 추세가 지속 가능한지는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즉, 현재 MS-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대로 상승하게 되었을 때,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1D 차트의 M-Signal 지표와 5EMA+StErr 지표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다시 하락하게 될 것 입니다.
따라서, HA-Low 지표와 BW(0)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을 때 매수(LONG)하고 MS-Signal 지표 부근에서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청산하는 대응 방법이 필요합니다.
그렇게 계속 거래를 진행하다면, MS-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한다면, 1D 차트의 M-Signal 지표와 5EMA+StErr 지표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하고 대응하면 됩니다.
그러므로, 30m 차트에서 볼 때는 매수(LONG) 포지션으로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다가 HA-High 지표나 BW(100) 지표를 만나게 되면, 매도(SHORT) 포지션으로 거래를 진행하는 겁니다.
그전에 30m 차트의 HA-High 지표나 BW(100) 지표에서 매도(SHORT) 포지션으로 진행하였다면, 뭐 최고의 선택이였긴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제가 생각하는 트레이딩이란...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좋은 글을 남겨 주신 @TradingBrokersView님께 감사드립니다.
(원본)
🚨 Bitcoin update! 🚨 BTC rejected at MA50 (4h) inside a Channel Down pattern. If history repeats, we could see a Lower Low at 95K (-10.7%), aligning with MA100 (1d) support. RSI (4h) is confirming bearish momentum.
🔥 Trading Plan: Sell now before further downside!
(구글번역)
🚨 비트코인 업데이트! 🚨 BTC가 MA50(4h)에서 채널 하락 패턴 내에서 거부되었습니다. 역사가 반복된다면 MA100(1d) 지원과 일치하는 95K(-10.7%)에서 더 낮은 저점을 볼 수 있습니다. RSI(4h)는 약세 모멘텀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 거래 계획: 더 하락하기 전에 지금 매도하세요!
어떻게 말씀드리는 것이 좋을까 생각하다가 이렇게 아이디어로 말씀드리게 되었습니다.
다시 한번 더 감사드립니다.
------------------------------------
#BTCUSDT 1M
차트에 표시된 것과 같이 많은 상승을 한 상태이니 하락 압력을 받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입니다.
이 하락 압력이 얼마나 크게 올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다만, 제가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자금의 흐름입니다.
좀 더 자세한 흐름을 보기 위해서는 1D 차트에서 갭 발생 상태를 봐야 하지만, 전체적인 자금의 흐름을 볼 때 많은 자금이 코인 시장으로 유입도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러한 자금의 유입에서 모두 매도하는 것은 앞으로 다가올 상승장에서 변동성을 이기지 못하고 오히려 손실을 입을 확률이 증가한다는 것 입니다.
그 이유는 매수 평균 단가가 너무 높게 설정될 가능성이 높고 변동폭 구간에 위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게 대응해야 합니다.
즉, 자신의 투자 스타일이 급하고 빠른 거래를 원하는 스타일이라면 언제든 하락하려는 모습을 보일 때 매도하여 수익을 얻는 전략이 적합할 것 입니다.
그렇지 않고 좀 더 긴 전망을 보거나 현물 거래 위주로 거래를 진행한다면 모두 매도하기 보다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을 남겨 둠으로서 차후 상승장에서 보다 쉽게 매수를 진행할 수 있는 여유를 갖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을 남겨 둔다는 것은 매수 원금이 0인 코인(토큰)을 말합니다.
즉, 매수하여 가격이 상승하였을 때 매수 원금만큼 매도한 것을 말합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BTCUSDT 1M 차트를 볼 때, 피보나치 비율 지점인 1.618 (89050.0) 부근이 상당히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BTCUSDT 1D
이번 변동성 기간은 1월 31일까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이번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101947.24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관건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만일 101947.24 부근에서 지지 받지 못하고 하락하게 된다면, 결국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하면서 추세를 다시 결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저의 아이디어를 계속 읽어 보셨다면, 차트 분석으로 거래 전략을 만들려고 하면 안된다는 것을 이해하였을 겁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 처럼 차트 분석으로 얻은 정보로 본인의 투자 스타일에 맞게 거래 전략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 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이제 하락할 것이니 모두 매도하라는 의견은 보는 사람들마다 다르게 와닫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현재 수익 중인 분들도 있고 손실 중이신 분들도 계실 겁니다.
수익 중이신 분들은 하락하더라도 기다릴 수 있는 여유가 있을 것이고, 손실 중이신 분들은 심리적인 압박에 시달리실 수 있을 겁니다.
제가 드리고 정보는 이러한 모든 분들에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려는데 있습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제가 굳이 말씀드리는 가격, 즉,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에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본인의 매수 평균 단가가 제가 말씀드리는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 이하에 위치해 있다면 하락의 추세와 강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여유를 갖고 상황을 판단하실 수 있습니다.
만일 그렇지 못하다면, 현재 보유하고 있는 현금의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에 따라 대응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현금 규모가 총 투자금의 20% 미만이고 자신의 심리 상태가 불안하다고 느껴진다면 일부 매도하여 현금을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면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추가 매수할 수 있는 여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심리적인 안정을 어느 정도 보장 받을 수 있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트레이딩이란 이와 같이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게, 자신의 심리 상태에 맞게 대응해 나가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현재 자신의 심리 상태가 어떤지 냉정하게 바라보고 현금 보유를 잘 체크하여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게 대응 전략을 만드셔야 합니다.
이것이 제가 말씀드릴 수 있는 전략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 : 0.31600-0.33591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보조 지표를 하나로 줄이기 위해 BW v3.0 지표에 StochRSI 지표를 추가하였습니다.
--------------------------
0.31600-0.33591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1W 차트의 M-Signal 지표가 근처로 상승 중이기 때문에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단기 상승세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0.37778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에서 기울기 변화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0.31600-0.33591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상승하게 되면,
1차 : 0.37778-0.39641
2차 : 0.42847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대응할 것인가를 생각해야 합니다.
0.42847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된다면, 피보나치 비율 지점인 2.618 (0.61238) 부근으로 상승하기 위한 상승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이러한 움직임이 실제 나오기 위해서는 USDT, USDC가 갭 상승세를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BTC 도미넌스나 USDT 도미넌스가 하락세를 보여야 합니다.
-----------------------------
거래 전략을 만드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 1M, 1W, 1D 차트에서 작도된 지지와 저항 지점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캔들의 배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차트에 대한 공부를 할 때는 여러 번 반복해서 읽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차트 분석가가 되기 위해 공부를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각종 명칭이나 패턴을 외울 필요가 없습니다.
어떠한 흐름을 얘기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가격 이동 평균선입니다.
차트 공부를 하다 보면, 차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평균값이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따라서, 모든 지표는 평균값으로 어떻게 되돌아 오는지를 표현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 입니다.
그러므로, 복잡한 지표에 대한 공부보다 가격 이동 평균선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를 이해하는것이 중요합니다.
복잡한 지표들아 안녕!!!
-
그러한 의미로 본 차트를 보면, 왜 그런지를 알 수 있으실 겁니다.
1. 추세를 나타내는 1M, 1W, 1D 차트의 M-Signal 지표 (MS-Signal 지표)
2. 거래 전략을 만들기 위한 HA-Low, HA-High 지표
3. 세부 대응을 위한 BW(0), BW(100) 지표
이를 1M, 1W, 1D 차트에서 수평선을 그려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하였습니다.
나머지 지표들은 차트 분석을 하기 위해 작성된 것들이기 때문에 거래를 진행할 때는 사실상 필요하지 않는 지표들이라 할 수 있습니다.
피보나치 비율을 그려서 지지와 저항 지점으로 활용할 수 있지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기 위해 작도되는 것이라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거래를 진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피보나치 비율을 사용하지 마세요.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하락하더라도 상승세에 대비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고점 경계 구간(High Boundary Zone)이 101947.24-103706.66 구간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따라서, 103706.00 이상은 고점 구간에 해당됩니다.
다만, 기본 106133.74 지점이 저항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
StochRSI 지표가 50 지점 구간으로 하락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거래시 빠른 대응이 요구됩니다.
그러므로, 106133.74 부근에서 저항 여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었을 때, StochRSI 지표가 50 지점 이하로 하락하게 된다면 101947.24-103706.66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관건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지 받는다면,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만일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하였을 때, 101947.24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BW(0) 지표나 HA-Low 지표를 터치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93576.0-34742.35 구간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USDC를 통해 많은 자금이 코인 시장으로 유입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에 따라서, 코인 시장은 머지않아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계속 말씀드리지만, 알트코인 상승장이 시작되기 위해서는 BTC 도미넌스가 55.01 이하로 하락하여 유지되거나 하락세를 보여야 합니다.
USDT 도미넌스의 최대 하락 지점은 2.84 부근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 이후에 USDT 도미넌스는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코인 시장은 하락 파동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4.97 이상 상승하게 되면 확실하게 하락 파동이 진행 중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
위의 코인 마켓 캡 차트를 종합해 볼 때, 이번에 상승세가 마지막 상승세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따라서,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상승세에 대비하는 거래 전략이 필요합니다.
이번 상승세로 피보나치 비율 지점인 2.24 (116940.43) 부근으로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이번 변동성 기간은 1월 31일까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2월 9일경-16일경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지지와 저항 지점과 피보나치 비율의 해석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아이디어를 작성하는 동안 차트에 변화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아래에 참부된 차트를 참고해 주세요.
-------------------------------------------------
(TRUMPUSDT.P 1D 차트)
차트가 생성된지 얼마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실상 분석을 할 수가 없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에 대한 설명의 연장선에서 설명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
(1D 차트)
1D 차트에서는 피보나치 되돌림(Fib Retracement) 도구를 사용하여 되돌림 비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0m 차트)
30m 차트에서 피보나치 비율을 확인하여 차트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기 위한 차트 도구에 해당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캔들의 배열에 의한 지지와 저항 지점을 작도하여야 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 처럼 차트가 생성된지 얼마되지 않아 1M, 1W, 1D 차트에서 지지와 저항 지점을 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와 저항선을 작도한다 하더라도 그 역할이 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코인(토큰)을 거래하기 위해서는 스캘핑이나 단타 거래(day tradings)으로 짧게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거래 기간을 길게 하게 되면, 그만큼 심리적인 부담감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결국 엉뚱하게 거래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하기 위해서 HA-MS 지표를 활성화하였습니다.
1D 차트에서 작도된 피보나치 비율을 활성화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현재 우리가 거래할 수 있는 최대 범위는 28.0-70.654 구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범위에서 벗어나게 되면 새로운 파동을 만들게 되므로 새로운 지지와 저항 지점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때, 차트를 해석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차트 도구로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Trend-Based Fib Extension) 이 있습니다.
-
40.245 지점에 HA-Low 지표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저점 구간이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HA-Low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매수(LONG) 시기에 해당됩니다.
현재 HA-Low 지표 이하로 하락하였기 때문에 최신 저점을 갱신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HA-Low 지표에서 하락할 때 매도(SHORT) 포지션으로 진입이 가능했습니다.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HA-Low 지표가 새롭게 생성되든지 기존의 HA-Low 지표로 상승하여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까지 신규 거래를 진행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만일 HA-Low 지표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되면,
- 46.618
- 63.882-70654
위의 구간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만일 지지 받지 못한다면, 분할 매도 시기에 해당됩니다.
저의 차트에서 추세적으로 중요한 지표는 MS-Signal 지표입니다.
따라서,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MS-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
(12h 차트)
현재 차트가 생성된지 얼마되지 않아 사실상 추세를 알 수가 없습니다.
만일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Trend-Based Fib Extension) 도구로 작도하려면 작도할 수 있는 가장 큰 타임 프레임 차트가 12h 차트입니다.
손가락이 가리키는 지점이 선택 지점입니다.
(30m 차트)
위의 차트는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Trend-Based Fib Extension) 도구로 작도된 차트입니다.
맨 오른쪽에 표시해둔 원들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피보나치 비율을 해석할 때, 0, 0.5, 0.618, 1 비율이 주요 비율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 비율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1.618 (2.198) 부근으로 하락할 수 있으므로 거래시 유의가 필요합니다.
0.618 (35.663) ~ 0.5 (39.612) 구간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마참 이 구간 내에 HA-Low 지표가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지지와 저항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피보나치 비율을 작도하였다 하더라도 1M, 1W, 1D 차트에서 작도된 지지와 저항 지점에 맞추어 해석하여야 거래를 진행 시점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자신의 주관적인 생각이 포함되어 거래를 엉뚱한 방향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지지와 저항 지점은 1M, 1W, 1D 차트에서 캔들의 배열을 보고 작도되어야 지지와 저항 지점으로 활성할 수 있습니다.
그 이하의 타임 프레임 차트에서 작도된 지지와 저항 지점을 그 역할이 약할 수 있기 때문에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이 아이디어의 내용은 피보나치 비율과 지지와 저항 지점을 어떻게 종합적으로 해석할 것인가로 이해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M-Signal 지표가 수렴하기 시작 중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의 이번 변동성 기간은 1월 26일까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BTC의 변동성 기간이 1월 31일까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1월 26일까지의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어느 지점에서 지지 받는지가 중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ETH의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 3265.0-3321.30 에서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빠르게 3265.0-3321.30 부근이나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3136.41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1M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이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이번 변동성 기간에 3136.41-3321.30 구간에서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 위치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3136.41 부근에서 지지 받는다면, 다시 3265.0-3321.30 구간으로 상승하기 위한 시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하락세가 진행되면서 1D, 1W, 1M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수렴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따라서, 1월 26일이나 1월 31일의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다시 발산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차트 분석과 거래 전략에 대한 설명의 예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차트 분석을 하고 그에 맞는 거래 전략을 만들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고 싶다는 문의가 있어서 이에 대한 설명을 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본 글을 읽기 전에 차트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합니다.
즉, 캔들의 이해와 가격 이동 평균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를 먼저 공부하신 다음 본 내용을 읽으신다면, 분명 거래에 대한 이해가 어느 정도 되실꺼라 생각합니다.
---------------------------------------
현물 거래를 하든 선물 거래를 하든 1M, 1W, 1D 차트에서 캔들의 배열에 따라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두는 것이 거래를 하기 전에 먼저 해야 하는 작업입니다.
이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캔들의 배열에 대해서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저의 지표를 사용하기 전에 캔들에 대한 공부를 먼저 하셔서 캔들의 배열에 대한 이해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캔들에 대한 공부를 할 때, 각종 패턴에 대한 명칭이나 모양을 암기하려고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캔들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가 중요하지 캔들의 각종 패턴이 중요한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책으로 공부를 하시던 영상으로 공부를 하시면 최소 3번 정도 읽거나 보시면 캔들에 대한 이해를 하실 수 있을 겁니다.
우리는 거래를 하기 위해 차트 공부를 하는 것이지 차트 분석을 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알려주려고 하는 것이 아닌 만큼 효율적으로 공부를 하여 시간을 단축해야 합니다.
-
캔들에 대한 공부를 하면 자연스럽게 가격 이동 평균선에 대해서 이해를 할 수 있습니다.
가격 이동 평균선에 해당되는 지표는 MS-Signal 지표입니다.
이 MS-Signal 지표는 M-Signal 지표와 S-Signal 지표로 이루어져 있고, 주요 지표는 M-Signal 지표입니다.
따라서, 1D 차트에 1W 차트의 M-Signal 지표와 1M 차트의 M-Signal 지표를 추가하여 전체적인 추세를 알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예제 차트에서 MS-Signal (1M, 1W, 1D 차트의 M-Signal) 지표의 배열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1M 차트의 M-Signal > 1W 차트의 M-Signal 인 상태이므로 역배열(a reverse array)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가격 이동 평균선을 이해하셨다면, 역배열일 때는 거래하지 말고 정배열(a regular array)일 때 거래하라는 말을 이해하셨을 겁니다.
따라서, 현재 예제 차트의 상태가 역배열(a reverse array)이므로 거래하기에 부적합한 상태입니다.
다만, 이러한 상태인 차트를 가지고 온 것은 1M, 1W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수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수렴이 진행하게 되면, 결국 발산하게 됩니다.
따라서, 가격의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므로,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의 지지 여부에 따라 거래를 진행할 수 있는 시기를 포착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
예제 차트에 포함되어 있는 지표들을 수평선으로 작도하여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하였습니다.
이러한 작업은 앞서 말씀드린 캔들의 배열에 따라 1M, 1W, 1D 차트에서 작도된 지지와 저항 지점과 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그러므로, 1M, 1W, 1D 차트에서 지표에 수평선을 그려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합니다.
지표가 최소 3캔들 이상, 가능하면, 5캔들 이상 수평을 이루는 지표에 수평선을 그리면 됩니다.
-
HA-MS 지표 중에서 중요한 지표는 HA-Low, HA-High 지표입니다.
HA-Low, HA-High 지표는 하이킨아시 차트에서 거래하기 위해 만든 지표입니다.
따라서, 추세를 알 수 있는 MS-Signal (1M, 1W, 1D 차트의 M-Signal) 지표 다음으로 중요한 지표에 해당됩니다.
HA-Low, HA-High 지표 부근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거래 전략을 만들 수 있습니다.
-
그 다음으로 중요한 지표는 BW(0), BW(100) 지표입니다.
이 지표가 생성되거나 터치하게 되면, 세부적으로 대응할 시기에 해당됩니다.
즉, HA-Low, HA-High 지표에서 만든 거래 전략으로 거래를 진행하고 있을 때, BW(0), BW(100) 지표이 생성되거나 터치하게 되면 분할 거래를 진행할지에 대해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OBV, +100, -100 지표도 분할 거래하기 위한 대응 지점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러므로, OBV, +100, -100 지표에 대한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HA-Low, HA-High, BW(0), BW(100) 지표에 대한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
예제 차트에서 가격의 위치를 보면, 0.03347-0.03485 구간에 위치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구간에 1W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지나가고 있고, 1W 차트의 HA-High 지표가 지지와 저항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0.03485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0.03485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이 확인되면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다만,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가 0.03485-0.03814 사이를 지나고 있기 때문에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를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앞서 말씀드렸지만, MS-Signal 지표를 통과하게 되면 추세 전환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 의미가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단기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0.03814-0.03982 부근에서 지지 받아야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1차 분할 매도 구간이 0.03814-0.03982 부근이 됩니다.
이때, 매도를 할 것인가, 아니면, 홀딩할 것인가는 여러분의 투자 스탈일, 투자 기간에 딸 선택하시면 됩니다.
-
1M 차트의 M-Signal 지표가 0.04341 부근을 지나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때 시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2차 분할 매도 시기는 1M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이 됩니다.
이 또한, 본인이 선택할 수 있습니다.
-
0.03038 부근에 중요한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0.03038 지점은 강한 지지 구간에 해당됩니다.
-
(30m 차트)
거래하는 타임 프레임 차트가 1D 차트 이하일 때는 1D 차트의 5EMA 지표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예제로 30m 차트를 사용했을 뿐입니다. 여러분이 주로 사용하는 어느 타임 프레임 차트에서도 같은 원리입니다.)
이는 1D 차트의 5EMA와 1M, 1W, 1D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하였을 때 변동성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즉, 어느 정도의 지지와 저항 역할을 수행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HA-High, BW(100) 지표를 터치하고 하락하여 MS-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HA-Low나 BW(0) 지표를 터치하게 됩니다.
반대로 HA-Low, BW(0) 지표를 터치하고 상승하여 MS-Signal 지표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HA-High나 BW(100) 지표를 터치하게 됩니다.
하지만, 그렇지 못하고 도중에 상승하거나 하락할 수 있기 때문에 앞서 말씀드린 것 처럼 1M, 1W, 1D 차트에서 작도된 지지와 저항 지점에 필요합니다.
현재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이 0.03347 지점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MS-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하더라도 0.03347 부근에서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0.03485 부근으로 1D 차트의 5EMA, 1W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지나가고 있기 때문에 0.03485 부근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StochRSI 지표가 현재 50 지점 이상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매도할 시기를 찾는데 집중해야 합니다.
BW(100), HA-High 지표 이하로 하락하였기 때문에 매도(SHORT) 포지션으로 거래를 시작하기에는 많이 하락한 상태이긴 합니다.
다만,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면, MS-Signal 지표가 지나가고 있는 0.03411 지점에서 하락하였을 때 매도(SHORT) 포지션으로 진입이 가능합니다.
StochRSI 지표가 50 지점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매수할 시기를 찾는데 집중해야 합니다.
이때,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MS-Signal (1M, 1W, 1D 차트의 M-Signal), 1D 차트의 5EMA, HA-Low, HA-High, BW(0), BW(100) 지표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따라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지만, 거래 전략은 HA-Low, HA-High 지표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그러므로, 가능하면, HA-High 지표 지점인 0.03443 부근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지지와 저항 구간 : 5.907-6.920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DOTUSDT 1M 차트)
추세적인 관점에서 상승세를 시작되기 위해서는 MS-Signal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다만, 9.262 부근에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격적인 상승세 시작은 9.262 이상 상승하였을 때 부터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HA-High 지표가 26.351 지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대로 쭉 상승세를 유지한다면, 26.351 부근을 터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약 183% 상승을 하락 파동없이 그대로 상승하는 경우는 적기 때문에 상승하는 동안 HA-High 지표가 하락하여 새롭게 생성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9.262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확인하여 매수하였다면, 1M 차트의 HA-High 지표를 만날 때까지가 목표 지점이 됩니다.
19.370 부근에 강한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구간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
(1D 차트)
추세적인 관점에서 5.907-6.920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입니다.
이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한다면,
1차 : 7.480
2차 : 8.468-4.704
3차 : 9.262
4차 : 10.131-10.392
위의 1차-4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대응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5.907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4.136-4.495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락이 진행될 때 HA-Low 지표가 새롭게 생성된다면, 그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
9.262 부근에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이 형성되어 있지만, 10.131 부근에도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9.262-10.131 구간을 상향 돌파하여야 본격적인 상승세가 시작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단기 거래를 원하신다면, 6.920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매수하여 앞서 말씀드린 구간에 따라 대응 하시면 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지지와 저항 구간 : 35.71-38.93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AVAXUSDT 1M 차트)
MS-Signal (1M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고 51.54 지점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1D 차트)
35.71-38.93 구간은 추세적인 관점에서 볼 때,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 지지 받고 44.60 부근으로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고 35.71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1M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을 터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하게 된다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하락세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현재 상황에서는 35.71-38.93 구간에서 지지 받을 때 분할 매수를 진행하고 35.71 이하로 하락하였을 때는 매수하지 말고 상황을 지켜보는 것이 좋습니다.
단기 거래를 원하신다면 38.93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매수하고,
1차 : 41.31
2차 : 44.60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분할 매도하는 전략을 추천합니다.
-
어찌되었든 새로운 상승 파동을 만들기 위해서는 51.54 이상 상승해야 합니다.
따라서, 자신의 투자 스타일, 투자 기간에 맞게 설정하여 35.71-38.93 구간에서 어떻게 매수를 진행할 것인가를 선택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Trend-Based Fib Extension) 도구 사용 방법의 예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Trend-Based Fib Extension) 도구를 사용할 때 선택 지점을 어떻게 선택해야 할지에 대한 질문이 있어 제가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여러분이 사용하는 방법과 다를 수 있습니다.
-
그전에 일반적인 피보나치 되돌림(Fib Retracement) 도구와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피보나치 되돌림(Fib Retracement) 도구는 선택한 구간 내에서의 되돌림되어질 비율로 피보나치 비율을 사용하는 것 입니다.
따라서, 최저점과 최고점이 선택 지점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왜 가능성이 높다고 말씀드리냐면, 어느 타임 프레임 차트에서 작도되었느냐에 따라 최저점과 최고점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이렇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는 차트 도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캔들의 배열을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캔들의 배열을 이해하고 있다면, 이를 구성하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작도할 수 있고 그 지지와 저항 지점의 중요도를 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보다 객관화시킨 것이 제가 사용하고 있는 HA-MS 지표입니다.
공개된 HA-MS 지표와 다르게 현재 몇 개가 추가된 상태입니다.
이 추가된 지표들의 수식을 아직 공개할 생각은 없습니다.
다만, 저의 아이디어를 공유받으면 언제든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현재의 피보나치 되돌림(Fib Retracement) 도구를 사용하기 위한 선택 지점은 손가락이 가리키는 지점 입니다.
즉, 1번 손가락은 저점이고, 2번 손가락은 고점입니다.
여기서 한가지 의문이 생길 수 있습니다.
왜 1번 손가락의 위치입니다.
그 이유는 현재의 파동이 시작한 지점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현재의 상승 파동에서의 되돌림 비율을 알 수 있게 됩니다.
사실상 피보나치 비율을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상 어느 정도의 파동을 이르키면서 움직임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하는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 좋기 때문입니다.
다만, 신고가(ATH)나 신저가(ATL)을 갱신하게 되었을 때 피보나치 비율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
피보나치 되돌림(Fib Retracement) 도구는 현재의 파동에서 되돌림되는 비율을 알아 보는 차트 도구였다면,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Trend-Based Fib Extension) 도구는 파동의 연장의 비율을 알아 보는 차트 도구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피보나치 되돌림(Fib Retracement) 도구는 2개의 선택 지점을 지정해야 하는 반면에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Trend-Based Fib Extension) 도구는 3개의 선택 지점을 지정해야 합니다.
그만큼 캔들의 배열을 이해하고 있는지가 중요해집니다.
위의 차트는 상승 파동의 연장 비율을 알아 보기 위해 작도의 예
위의 차트는 하락 파동의 연장 비율을 알아 보기 위해 작도의 예
예제 차트를 보시고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는지 이해하였나요?
-
위의 차트는 1번 손가락 지점을 선택하였을 때의 차트입니다.
위의 차트는 1-1번 손락 지점을 선택하였을 때의 차트입니다.
좀 더 낮은 타임 프레임 차트에서 작도할 때는 유의해야 하는 것은 캔들의 배열이 애매할 때 어느 지점을 선택할 것인가 입니다.
1번 손가락과 1-1번 손가락이 그 예입니다.
1-1번과 1번은 작은 파동으로 해석하느냐 아니냐에 따라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낮은 타임 프레임 차트로 갈수록 이러한 선택의 어려움이 더 많아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가능하면 높은 타임 프레임 차트에서 작도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차트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즉, 거래하기 위해 작도하는 것이 아니라는 겁니다.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1M, 1W, 1D 차트에서 작도된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거래를 진행하게 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21673.4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차트 분석을 할 때 중요한 요소는
- 지지와 저항 지점
- StochRSI 지표
위의 두가지 요소가 있다면 간략하나마 빠르게 차트 분석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지와 저항 지점은 1M, 1W, 1D 차트에서 작도되어야 합니다.
이렇게 작도된 선을 기본적으로 1D 차트에서 StochRSI 지표의 움직임을 참고하면서 지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서 차트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고점 경계 구간으로 표시된 21673.4-22013.5 구간은 저항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런데,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으로 진입한 상태이므로 고점 경계 구간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즉, 고점 경계 구간이 저항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변동성 기간은 1월 29일경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상승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변동성 기간을 지났을 때 고점 경계 구간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결국 하락하게 될 것 입니다.
이때, 관심을 가지고 봐야 하는 것은 StochRSI 지표의 움직임입니다.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 오랜 기간 유지될수록 조금의 가격 하락이 발생하게 되면 StochRSI 지표는 큰 폭의 하락을 보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StochRSI 지표가 50 지점 부근이나 이하로 하락하였을 때, 21673.4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고점 경계 구간을 상향 돌파하는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단기 상승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21068.2-21321.9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
StochRSI 지표의 설정값은 14, 7, 3, 3 (RSI, Stoch, K, D) 입니다.
소스값은 ohlc4 입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저의 차트에 있는 StochRSI 지표와 비슷하게 움직임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추세 관점에서 중요한 구간 : 4350-4575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콤은 현재 추세적인 관점에서 중요한 구간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는 1W 차트의 M-Signal > 1M 차트의 M-Signal 인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지, 즉, 장기 이동평균선이 정배열로 전환될 수 있는지 하는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중요한 구간인 4350-4575 구간에서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 가격을 유지하는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4350 이하로 하락하게 된다면,
1차 : 3705-3790
2차 : 3300-3425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다만, 가격이 하락하면서 HA-Low 지표가 새롭게 생성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4575 이상 상승하게 된다면,
1차 : 4710
2차 : 5220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본격적인 상승세가 시작되기 위해서는 5220 이상 상승할 때 부터 시작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이러한 해석으로 거래 전략의 예를 들어 보자면,
1. 4350-4575 구간에서 분할 매수를 진행합니다.
2. 4290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일 때 손절합니다.
3. 4710 부근으로 상승하여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1차 분할 매도합니다.
4. 5.220 부근에서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일 때 2차 분할 매도합니다.
5. 가격이 4710이나 5220 부근을 터치하고 하락하게 되었을 때 1M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분할 매수 합니다.
위의 3번, 4번은 장기 투자가 아닌 분들이 대응하는 방법입니다.
장기 투자를 진행하시는 분들께서는 5220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9080 부근까지 홀딩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상승하다가 도중에 하락하였을 때, 5220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매도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차트를 해석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객관적인 정보가 필요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이번 하락으로 BW(100) 지표가 104556.23 지점에 생성되었습니다.
이에 따라서, 고점 경계 구간(high boundary section)은 101947.24-104556.23 구간이 됩니다.
아쉽게도 101947.24 이하로 하락하였기 때문에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 즉, 98892.0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단기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
제가 사용하는 StochRSI 지표의 설정값은 14, 7, 3, 3 (RSI, Stoch, K, D) 입니다.
소스값은 ohlc4 입니다.
위와 같이 설정하면 저의 차트에 있는 StochRSI 지표와 비슷한 움직임을 나타나게 됩니다.
StochRSI 지표가
-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할 때,
- 50 지점 부근에 위치해 있을 때,
- 과매도 구간에서 상승할 때,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맞는 대응 방안을 생각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StochRSI 지표의 움직임과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 간의 상화 관계를 확인함으로서 거래를 진행할 수 있는 시점을 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선택 지점을 산정할 수 있게 된다면,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게 거래 전략을 만들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추세나 파동으로 앞으로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것도 좋지만, 실제 거래를 진행할 수 있는 지점을 산정할 수 있다면 보다 나은 거래 전략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글을 길게 썼지만,
1.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하게 될 것인가,
2.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에서 지지를 받을 수 있는가,
3. 고점 경계 구간(high boundary section)으로 상승할 수 있는가,
위의 3가지를 집중적으로 살펴봐야 합니다.
---------------------------------
지지와 저항 지점을 그리는 방법은 캔들의 배열에 따라 그리게 됩니다.
이러한 방법은 사실상 주관적인 생각이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숙련되어야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가능하면, TradingView에 유료 회원으로 가입하여 저의 차트를 공유 받아 HA-MS_BW+v2 지표에 의해 1M, 1W, 1D 차트에 나타나는 HA-High, HA-Low, BW(100), BW(0), OBV, +100, -100 지표들을 수평선으로 표시하여 지지와 저항 지점으로 활용하기를 추천합니다.
그렇게 되면, 다른 사람이 차트를 보더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되고 서로의 투자 스타일에 따른 거래 전략에 대해서 의견을 나누기가 수월해 집니다.
이렇게 누구나 사용 가능한 지표를 활용함으로서 객관적으로 차트를 볼 수 있게 될 것 입니다.
다른 사람이 알려주는 내용으로 거래를 진행하는 것은 갑작스런 변동성이 발생하였을 때 빠른 대응을 할 수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거래 전략을 만들 때는 상승할 때와 하락할 때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한 대응 방안을 대략적이나마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능하면 자신의 차트에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기타 참고 자료를 작도해 두고 그에 따른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상책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StochRSI와 BW(100)의 움직임 확인 필요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기울기가 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이번 상승으로 인해 StochRSI 지표가 100 지점을 터치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머지않아 StochRSI 지표는 하락으로 전환될 것 입니다.
그러므로, StochRSI 지표가 하락세를 보일 때, 101947.24-106133.74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BW 보조 지표가 50 지점을 터치하면서 BW(100) 지표가 새롭게 생성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현재의 BW(100) 지표 지점인 106133.74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새롭게 생성되는 BW(100) 지표가 어느 방향으로 생성되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BW(100) 지표가 생성되기 위해서는 BW 보조 지표가 100 지점에서 하락해야 하기 때문에 BW(100) 지표가 생성되면 가격은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될 것 입니다.
현재 BW(100) 지표는 상승세를 보여 왔습니다.
이번에도 106133.74 이상에서 BW(100) 지표가 생성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BW(100) 지표와 BW(0) 지표는 쌍을 이루는 지표입니다.
BW(100) 지표가 생성되면서 하락하여 BW(0) 지표가 생성되었기 때문에 파동이 초기화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BW(0) 지표가 생성되면서 상승 중이기 때문에 이번에 BW(100) 지표가 새롭게 생성된다면, 파동이 초기화될 것 입니다.
이러한 파동은 BW(0) ~ BW(100) 구간에서 움직이는 박스 구간을 말합니다.
실제 파동이나 추세는 BW(0) ~ BW(100) 구간에서 벗어났을 때 시작됩니다.
HA-Low 지표와 HA-High 지표 또한 BW(0), BW(100) 과 같이 해석할 수 있습니다.
다만, HA-Low 지표와 HA-High 지표는 BW(0), BW(100) 지표보다 좀 더 넓은 움직임을 보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거래 전략을 만드는데 좀 더 유리합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볼 때, BW(0) 지표와 BW(100) 지표는 거래 전략에서 세부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지표라 할 수 있습니다.
-
HA-High 지표와 BW(100) 지표가 생성되면서 고점 경계 구간을 형성하였습니다.
이에 따라서, 101947.24-106.133.74 구간 이상 상승하여야 비로소 고점 구간으로 진입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새로운 상승 파동을 시작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반대로 HA-Low 지표와 BW(0) 지표가 생성되면 저점 경계 구간을 형성하게 됩니다.
-
모든 지표의 해석 방법에 맞게 언제가 가격이 움직이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실제 거래를 진행할 때, 매수나 매도를 진행할 수 있는 근거를 찾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뿐 입니다.
이러한 지표들의 움직임은 거래라는 망망대해에서 등대를 발견한 것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다음 변동성 기간은 1월 23일경-30일경 사이입니다.
이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BTC의 움직임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위에서 설명드린대로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이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STochRSI 지표가 하락세를 보이게 될지가 중요합니다.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가 97461.86 부근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단기 상승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240.54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SOLUSDT 1D 차트)
가격이 상승하면서 BW(100) 지표가 새롭게 생성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240.54 지점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기존의 고점 경계 구간은 240.54-256.90 입니다.
-
캔들의 배열상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은 211.64-222.61 입니다.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로 1W 차트의 HA-High 지표 지점(222.61)과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상승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
현재 저점 경계 구간은 182.87-194.46 입니다.
저점 경계 구간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한다면, 거래 전략상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고점 경계 구간 부근에서 저항 받고 하락한다면, 거래 전략상 매도 시기에 해당됩니다.
-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기울기가 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기존 고점 경계 구간인 240.54-256.90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관건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3.2983-3.3750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XRPUSDT 1D 차트)
큰 그림에서 작도된 피보나치 비율의 3.618 (3.2983) 지점이 마지막 지점에 해당됩니다.
이를 보완하고자 작은 그림에서 작도한 포보나치 비율를 추가하였습니다.
이에 따라서, 왼쪽 피보나치 비율 3.618 (3.2983) ~ 오른쪽 피보나치 비율 0.618 (3.3750) 구간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오른쪽 피보나치 비율 0.618 (3.3750)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된다면, 1 (4.2278) 부근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재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은 25102-2.6013 구간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큰 그림상 박스 구간 : 93576.0-106133.74
(제목) 큰 그림상의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서 벗어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
----------------------------------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 시장의 변동성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USDT, USDC가 어떠한 모습을 보이게 될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USDT나 USDC가 갭 상승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코인 시장으로 자금이 유입되었다는 의미입니다.
갭 하락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자금이 코인 시장에서 유출되었다는 의미입니다.
만일 USDT나 USDC가 갭 하락하였다면, 가격을 상승시키면서 자금을 유출하는 수익 실현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결국 코인 시장을 하락시키게 될 것 입니다.
(BTC.D 1D 차트)
BTC 도미넌스가 55.01 이하로 하락하여 유지되거나 하락세를 보인다면, 알트코인 상승장이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USDT.D 1M 차트)
USDT 도미넌스가 4.97 이상 상승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큰 하락폭을 보이면서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USDT 도미넌스가 하락하게 되면, 최대 2.84 부근까지 하락한 이후에 상승세를 보이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84 부근을 터치하고 상승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USDT 도미넌스가 상승한다는 의미는 코인 시장이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
(BTCUSDT 1D 차트)
97461.86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BTC는 단기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때, 저항 구간은
1차 : 101947.24
2차 : 106133.74
위의 1차, 2차 부근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101947.24-106133.74 구간은 고점 경계 구간에 해당됩니다.
-
(1M 차트)
앞서 말씀드린 단기 상승세는 사실 큰 그림에서는 의미가 없습니다.
93576.0 지점에 1M 차트의 BW(100) 지표이 생성되었기 때문에 93576.0 지점이 고점 경계 지점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93576.0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는 의미는 고점 구간에 위치해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93576.0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고점 구간에서 하락하게 되므로 큰 그림상에서 볼 때 하락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93576.0 지점 부근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
(1W 차트)
1W 차트의 HA-High 지표가 94742.35 지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1W 차트의 BW(100) 지표가 104463.99 지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94742.35-104463.99 구간은 1W 차트상에서 볼 때 고점 경계 구간에 해당됩니다.
그러므로,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94742.35-104463.99 구간 이상 상승하여야 됩니다.
그렇지 못하고 94742.35 이하로 하락한다면,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1W 차트의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에 위치해 있으므로 이번 주의 가격 상승으로 인해 StochRSI 지표가 상승으로 전환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StochRSI 지표의 해석 방법 중에 50 지점을 기준으로
- 50 이하에 위치할 때는 매수할 시기를 찾는데 집중해야 하고,
- 50 이상에 위치할 때는 매도할 시기를 찾는데 집중해야 합니다.
특히, 과매도 구간이나 과매수 구간에 진입하였을 때는 가격이 어느 지점 부근에서 지지와 저항을 보이는지 더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
위에서 말씀드린 내용을 종합해 보면, 큰 그림상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은 93576.0-94742.35 구간과 104463.99-106133.74 구간입니다.
이 두개의 구간에서 벗어나야 새로운 추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그전까지는 박스 구간 내 거래 방식을 취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1453.08 이하로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KRW 12M 차트)
환율은 이전부터 이미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1M 차트)
1439.94 이하로 하락한 다음 원으로 표시된 상승 채널을 하향 돌파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상승 추세선을 따라 상승할 수 있습니다.
-
(1W 차트)
1439.94 이하로 하락하여 상승 추세선 이하로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지지 구간은
1차 : 1422.72-1439.94
2차 : 1354.50-1372.40
하락이 진행된다면, 위의 1차나 2차 부근에서 지지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1D 차트)
단기 하락세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1453.08 지점에서 저항 받고 하락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1453.08 부근에서 저항 받고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만일 그렇지 못하고 상승하게 된다면,
1차 : 1468.42
2차 : 1494.70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저항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다음 변동성 기간 : 1월 22일경-25일경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 3265.0-3321.30 구간을 상향 돌파하였습니다.
단기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3438.16 지점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1M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하지 않았지만, 2895.47 부근을 터치하고 상승하였기 때문에 이번에 3438.16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지 못한다면,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3265.0-3438.16 구간에서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단기 상승세를 보이게 된다면, 3831.12-3996.22 구간이 저항 역할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3831.12-3996.22 구간은 고점 경계 구간에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