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203]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2/3) 시장 분석
나스닥
나스닥은 갭을 메워주고 저항받으며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지난주 금요일 말씀드렸듯 21911 부터는 갭을 메우고 저항받을 가능성이 높은 구간이었고, 갭의 성질에 따른 저항이 크게 작용하는 구간이었습니다. 공교롭게도 트럼프 대통령의 멕시코, 캐나다 등에 대한 관세 부과 우려가 커지면서 오후장까지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월봉이 마감된 만큼 월봉분석부터 먼저 진행하자면, 지난달에 월봉상 5일선인 20880까지 하락 후 반등 가능성을 말씀드렸고, 20700에서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월봉상 박스권 돌파 후 3일선, 5일선에서 순차적으로 반등하였기 때문에 이번달은 그 방향성을 잡기가 굉장히 애매한 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상승을 가져갈 수도 있겠으나 월봉상 MACD가 Signal선과 이격을 줄이려는 시도가 이번달에 나타날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즉 추가적인 급등을 한다면 월봉의 볼린저밴드 상단선인 22736을 저항으로 두는 것이 좋겠으며, 하락하는 과정이 나타난다면 월봉상 5일선인 21084를 이달에 이탈하는 과정이 나타날 수 있겠습니다. 양방향 모두 가능한 구간이니 월봉상 추격매수는 주의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주봉상으로는 매도시그널이 유지중이며, MACD가 Signal선을 상승돌파하지 못하고 하락하는 구간입니다. 따라서 추가적인 하락이 가능하다는 관점으로 보는 것이 유효하겠습니다. 일봉상으로는 아직 MACD가 Signal선을 하향돌파하지 못했으나, 오늘 하락하면서 캔들 마감으로 종가상 매도시그널이 출현하게 된다면 볼린저밴드 하단선과 120일선 부근까지 열어두시면서 대응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만약 MACD가 Signal선을 하향돌파하지 않고 주가가 상승하면서 MACD가 상승하는 그림이 만들어지면 21911 부근의 갭을 확실히 양봉으로 돌파마감하는지가 중요하겠습니다. 아직 240분봉상으로는 매수시그널이 유지되고 있으나 갭하락에 따라 곧 매도 시그널로 전환될 것으로 보입니다. 큰 박스권을 그리고 있는 만큼 저점에서 눌림 시 매수 대응이 유리하겠으며, 매도시그널이 발생하게되면 현재 급락의 가능성이 높은 이평배열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주 화요일 구글의 실적 발표와 금요일 고용동향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있으니 최대한 리스크 주의하시는 게 좋겠으며, 트럼프 관세 부과에 따른 시장의 변동성 확대가 예상되니 레버리지를 조절하시면서 변동성 확대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오일
오일은 종가상 보합 마감하였습니다. 다만 장 종료 후 캐나다산 에너지 수입품에도 관세가 부과될 수 있게 되자 시간외에서 급등하는 모습으로 마감하였고, 갭상승하여 출발한 모습입니다. 월봉상 오일은 아직 박스권에 있으나 MACD가 Signal선을 상승돌파하려는 시도가 지속 나타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지난달 월봉을 통해 약 4개월 간 이어졌던 박스권을 돌파하였기 때문에 3일선부터 눌림 시 매수로 대응하는 게 유리하겠습니다. 주봉상으로도 매수시그널이 유지중인 상황에서 눌림받았는데, MACD와 Signal선의 이격이 크기 때문에 하방으로 급락 이탈 가능성은 낮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일봉상으로는 지속 말씀드리듯 72불 부근부터는 매수 접근이 유리한 상황입니다. MACD의 하락 각도가 거센 상황이나 앞선 매물대와 240일선의 지지를 받고 있는 구간이라 약 2주간 급락에 따른 기술적 반등이 강하게 나올 수 있는 구간입니다. 240분봉상으로는 MACD가 Signal선을 밟고 반등하면서 다이버젼스를 만든 상황이라 매수 위주의 대응이 유리하겠으며, 240일선의 특성에 따라 74.50 라인까지의 반등은 기술적으로 기대해볼 수 있는 구간인데, 갭상승으로 달성해준 모습입니다. 박스권 유지할 가능성이 높지만 전반적으로 눌림 시 매수가 유리하겠으며, 국제정세에 따른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골드
골드는 급등에 따른 차익매물로 하락하며 일봉상 3일선 지지받고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월봉상 골드는 박스권을 돌파하는 장대양봉을 세워주었기 때문에 이번달에 3일선인 2770에서 눌림 시 매수 대응이 유리한 달입니다. 월봉상 3일선까지 조정 가능성을 염두해두시는 게 좋겠으며, 주봉상으로도 전주 매수시그널을 만든 상황이지만 저번 고점 부근과 MACD의 위치값이 크게 차이가 나는 상황입니다. 즉 고점은 돌파하였으나 MACD가 추가적인 급등을 만들지 못하면 주봉상 MACD의 다이버젼스가 일어날 수 있는 구간이니 매수 추격에는 주의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일봉상으로도 오늘은 5일선에서 매수 대응 하는 날이기 때문에 조정받을 가능성이 크겠습니다. 하지만 큰 추세는 매수추세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매도로 대응하기보다는 주요 맥점에서 눌림 시 매수 대응이 유리하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고점에서 저항받으며 하락하고 있는데, MACD의 위치가 높기 때문에 데드크로스가 나더라도 추가적인 상승 시도가 지속 나타날 수 있으니 주요 지지라인에서 눌림 시 매수 대응하는게 좋겠습니다.
이번달 트럼프 대통령의 본격적인 행보와 중국의 딥시크 등 변동성 확대가 예상됩니다. 늘 리스크 관리하시면서 안전하게 트레이딩하시기 바라겠습니다. 이번달도 성공투자 하세요!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 나스닥 - 박스장
매수 - 20940 / 20890 / 20850 / 20770 / 20700
매도 - 21200 / 21425 / 21480 / 21535 / 21590
· 오일 - 박스장
매수 - 73.50 / 72.90 / 72.40 / 72.00
매도 - 75.10 / 76.00 / 76.40
· 골드 - 매수장
매수 - 2820 / 2812 / 2807 / 2804 / 2798
매도 - 2838 / 2847 / 2852 / 2856 / 2860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서포트 앤 리지스턴스
비트 96.5k 시나리오시간가격기회 차트로 주요 POC 정리하면,
① 102k : 0.382 비율 및 poc 저항대
② 99k : 0.5 비율 및 poc 지지대
③ 96.5k : 0.618 비율 및 poc 지지대
그럼 현재 주말인데 어떤 주문들이 걸려 있느냐 하면
97~96.8k 주문인데 심하면 96k도 잠깐 깨졌다가 온다 봐야함
일요일에서 월요일 새벽 넘어가서 아침 쯤에 저점을 찍는 일이 잦았으니
사실 새벽 5시부터는 역추세 트라이를 해봐야 한다 생각함
물론 99k~98k도 현재 트라이는 하되 아직 매수세가 안 붙는 느낌이라
비중조절이 관건임
[250131]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1/31) 시장 분석
나스닥
나스닥은 박스권에서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 1월 27일 만들었던 갭 앞에서 저항받는 모습으로, 현 위치에서 추가적인 상승을 하더라도 1월 24일 종가였던 21911 근처에서는 다시 한번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갭을 메우는 성질과 갭을 메웠을 때 강한 지지, 저항이 나오는 원리를 잘 기억해두시기 바랍니다. 일봉상으로 MACD가 매수시그널을 계속 유지중이기 때문에 눌림 시 매수 대응하는 게 유리한 장세입니다. 달러 약세로 인한 움직임으로 풀이되는데, 어제 골드의 강한 상승랠리처럼 나스닥도 추가적인 상승랠리가 펼쳐질 수 있으니 매도는 최대한 고점에서 대응하는 게 좋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MACD가 0선 위로 올라오면서 현재 Signal선을 0선 위로 끌어올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추가적인 상승으로 갭을 매워주는 형태가 나타난다면 MACD와 Signal선 모두 0선 위로 올라오고, 갭 저항에 따른 MACD의 횡보 이후 추가적인 방향성을 잡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눌림 시 매수 위주로 대응하되 매도 대응은 갭 이상의 구간에서 최대한 손절 잡고 리스크 관리하시면서 대응하시기 바랍니다.
오일
오일은 종가상 보합 마감하였습니다. 다만 하락채널을 벗기는 유의미한 움직임이 분봉상 나와주면서 일봉상 갭을 만들면서 5일 이동평균선을 돌파한 모습입니다. 그간 트럼프의 석유 시추 확대 발표 등에 따라 원웨이성으로 하락하였는데, 이슈는 가격에 많이 반영되어 현재는 기술적 반등을 노려볼 수 있는 구간입니다. 위로는 74.50라인 근처가 기점이 될텐데, 73불 이하에서는 72불 손절을 잡고 적극적인 매수 노려볼만한 구간입니다. 240분봉상으로는 바닥권에서 MACD의 다이버젼스를 만들며 매수신호가 재차 나타나주었고, 바닥권을 다지는 움직임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매수세를 기대해볼 수 있겠습니다. 전반적으로 아직 박스권 대응이 유효하지만 눌림 시 매수 위주로 대응하는 것이 유리하겠습니다.
골드
골드는 일봉상 급등하며 신고가를 돌파하며 상승마감하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금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어제 말씀드렸듯 MACD가 다시 상승으로 전환되면서 일봉상 추가급등이 나와주었습니다. 신고가를 강하게 돌파하였으나, 오늘은 박스권을 강하게 돌파한 장대양봉을 세워주었기 때문에 3일선에서 눌림 시 매수 대응이 유리한 날입니다. 따라서 프리장에서 조정받는 움직임이 나타나게 되면 3일선까지 눌릴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라며, 강한 급등세로 인해 3일선까지 오지 않고 다시 상승으로 전환되어 오늘 캔들을 양봉으로 마감시키면 3일선을 끌어올리는 효과도 나타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40분봉상으로는 현재 급등세가 나타나며 MACD와 Signal선의 이격이 굉장히 벌어진 상황입니다. 눌림 시 매수대응이 유효하며, RSI도 현재 과매수를 띄고 있어서 매도는 가급적 자제하는 게 좋겠습니다. 골드는 현재 변동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니, 계약수를 조절하거나, 마이크로 혹은 0.01랏 등 레버리지를 조절하여 손익절틱수를 더 길게 가져가는 게 대응하기 수월하겠습니다.
1월의 마지막 거래일이네요. 오늘도 리스크 관리하시면서 한 달 마무리 잘 하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성공투자하세요!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 나스닥 - 박스장
매수 - 21520 / 21475 / 21410 / 21375 / 21290
매도 - 21610 / 21700 / 21770 / 21900
· 오일 - 박스장
매수 - 73.65 / 73.10 / 72.60
매도 - 74.60 / 75.00 / 75.50 / 76.00
· 골드 - 매수장(4월물)
매수 - 2791 / 2787 / 2783 / 2775
매도 - 2804 / 2809 / 2821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250130]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1/30) 시장 분석
나스닥
나스닥은 전일 FOMC 연준 금리동결과 주요 기업들의 실적발표 소화하며 보합마감하였습니다. 원칙상 5일선 매도대응하는 위치가 적중하였고, FOMC와 테슬라, MS 등 실적발표에도 큰 움직임 없이 박스권을 그리게 되었습니다. 일봉상 아직 MACD가 Signal선과 함께 0선 위에 있는 상황이라, 매수시그널이 유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만 급등락이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이격이 크지 않은 모습이라 박스권을 유지하고 있는데, 아직 매수시그널이 살아있기 때문에 1월 27일 만들었던 갭하락을 메우는지 여부를 주시하면서 박스권 대응하는 게 유리하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0선 아래에서 골든크로스 이후 현재 횡보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MACD가 Signal선을 하방으로 이탈하기 위해서는 급락의 모습이 필요한 상황인데, MACD와 Signal선의 이격으로는 급락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다만 횡보하면서 이격을 좁히고 MACD와 Signal선이 붙어주는 모습을 보여주면 매수파동을 한번 더 갈지, 매도파동으로 이어질지 추세가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 GDP 지표발표와 애플 실적발표 등 굵직한 지표에 따른 추세가 만들어질 수 있으니 박스권 대응하는 게 유리하겠습니다.
오일
오일은 74불에서 저항맞으며 하락마감하였습니다. 현재 일봉상 매도시그널이 유지되는 상황에서 5일선을 돌파하지 못하고 하락채널 안에서 하락하는 모습입니다. 72불라인에서 지지받고 있는데, 매수로 보자면 73.60 부근의 하락채널 상단을 강한 장대양봉으로 기준봉을 세우며 돌파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MACD와 Signal선이 모두 0선 아래에서 MACD는 Signal선을 골든크로스 하였지만 급등하지 못하면서 이격을 크게 벌리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72~73불 라인이 과거 매물대가 두터웠다는 점을 감안하여 가급적 눌림 시 매수 대응이 유리하겠는데, 만약 재차 하방돌파가 이어지며 매도시그널이 발생한다면 72불라인이 지지되는지 여부가 중요하겠습니다.
골드
골드는 일봉상 보합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 매수시그널이 유지되고 있는 상황으로 MACD와 Signal선이 이격을 좁히며 붙는 과정을 겪고 있습니다. 아직 MACD와 Signal선의 이격이 있는 상황이라 한번에 매도시그널로 전환되기는 쉽지 않아 보이며, MACD가 상승으로 방향을 잡게되면 추가상승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만약 추가상승하여 주봉상 양봉을 만들며 MACD가 Signal선을 골든크로스하는지가 중요하겠으며, 1차적 2800, 2차 2820라인을 주요 맥점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매수시그널이 유지되고 있으나 이격이 좁아 약한 상황으로 수급도 혼조세를 보이는 박스권입니다. 현재로서는 240분봉에서 매도시그널이 나타나기 전까지는 눌림 시 매수 위주로 대응하되 오늘 지표발표에 따른 프리장 박스권이 나타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 나스닥 - 박스장
매수 - 21470 / 21400 / 21360 / 21285 / 21220
매도 - 21625 / 21680 / 21770 / 21890
· 오일 - 박스장
매수 - 72.60 / 72.00 / 71.40 / 70.50
매도 - 73.40 / 73.85 / 74.40 / 75.00
· 골드 - 매수장(4월물)
매수 - 2793 / 2787 / 2777 / 2773 / 2768
매도 - 2803 / 2809 / 2813 / 2821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250129]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1/29) 시장 분석
나스닥
나스닥은 반등에 성공하며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전일 일봉상 3일선에서 매도대응이 가능한 날이었는데, 3일선까지 반등 후 저항맞고 마무리되었습니다. 중국 딥시크에 대한 과도한 우려로 월요일 과대낙폭에 대한 반등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일봉상으로는 아직 MACD가 Signal선 위에 매수시그널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반등 시도가 나올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오늘 FOMC와 주요 대기업들의 실적발표를 통해 월요일 만들었던 하락 갭을 메워주는지 여부도 중요하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급락 이후 반등하며 MACD가 Signal선을 골든크로스 하려는 모습인데, 골든크로스를 확실히 만들어내지 못하고 다시 밀린다면 쌍바닥을 확인하러 가는 흐름이 만들어질 수도 있으니, 매수 추격에는 유의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다만 골든크로스가 확정지어지게 되면 현재 매수세가 강한 만큼 눌림 시 매수 대응하는 게 좋겠으며, 오늘은 원칙적으로는 5일선 매도 대응하는 날이라 위의 저항대로는 5일선에서 고점 매도하는 게 유리하겠습니다. 상승세가 강했던 부분과 오늘 지표 발표에 따른 프리장 횡보 가능성이 있으니 박스권 대응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오일
오일은 74불 라인에서 저항받으며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현재 일봉상 240일선을 지지삼아 양봉을 만들며 재차 반등을 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는 상황으로, MACD는 매도시그널 유지중이나 지속적인 매수 시도 가능성이 높은 위치입니다. 다만 누차 말씀드리듯 상승하더라도 일정구간부터는 다시 되밀릴 확률이 높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40분봉상으로는 매수시그널이 완성되었고, 아래꼬리 달고 쌍바닥을 만들며 상승하는 구간이라, 눌림 시 매수 대응이 유리하겠습니다. 현재 강한 반등이 나타난다면 10일선인 75.50불 라인까지 열어둬야 하고, 매도 포지션은 가급적 자제하며 눌림 시 매수 대응 관점이 유리하겠습니다. 아울러 오늘 재고발표에 따른 변동성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골드
골드는 일봉상 10일선 지지받으며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 아직 MACD가 Signal선과 이격을 가지고 있고 3일선과 5일선을 회복했기 때문에 눌림 시 매수 전략이 유효한 상황입니다. 골드는 4월물 기준 이번주 주봉상 2815을 돌파하여 양봉을 만들어내는지가 중요하겠는데, 오늘 FOMC 회의 결과에 따른 골드의 변동성 확대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240분봉상 골드는 MACD가 Signal선을 골든크로스 하기 직전입니다. 추가적인 급등을 만들어내지 못하면 헤드엔숄더 패턴의 오른쪽 어깨가 될 수 있는 구간이라, MACD가 추가적인 상승세를 만들어내지 못하고 밀리게 되면 매도3파를 가는 그림도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시나리오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확실한 추세는 오늘 FOMC 이후 골드의 움직임을 봐야 결정될 수 있을듯 합니다.
설 명절 연휴 잘 보내시기 바라며, 구독자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성공투자하세요.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 나스닥 - 박스장
매수 - 21520 / 21475 / 21410 / 21375 / 21290
매도 - 21610 / 21700 / 21770 / 21900
· 오일 - 박스장
매수 - 73.65 / 73.10 / 72.60
매도 - 74.60 / 75.00 / 75.50 / 76.00
· 골드 - 매수장(4월물)
매수 - 2791 / 2787 / 2783 / 2775
매도 - 2804 / 2809 / 2821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250128]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1/28) 시장 분석
나스닥
나스닥은 중국의 Deepseek 영향에 따라 급락마감하였습니다. 주봉상 매도시그널이 유지된 상태에서 갭하락하면서 MACD가 하방을 만들면서 나스닥지수가 급락했습니다. 일봉상 시가고가 음봉캔들을 만들며 갭을 만들어버렸는데, 이동평균선의 흐름상 현재 구간에서 120일선을 이탈하면서 하락파동을 만들면 240일선도 위태로워보입니다. 다만 일봉상 MACD가 아직 Signal선을 데드크로스한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현 구간에서 주가가 다시 반등하면서 박스권을 형성할지, 아니면 급락세를 이어갈지 추이를 지켜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일봉상 120일선을 이탈하게 되면 240일선이 깨지는 것도 염두해두어야 하며, 월봉의 10일선과 주봉의 볼린저밴드 하단이 위치한 19800자리까지 열어두시는 게 좋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현재 급락하면서 MACD와 Signal선이 가파르게 하락하여 0선을 하회했습니다. 추가적인 하락세가 가능한 각도이기 때문에 올림 시 매도 대응이 유리하겠으며, 현재 VIX지수도 급등하고 있기 때문에 변동성이 심화된 장세입니다. 기존에 1계약으로 진행하고 있었다면 마이크로나스닥이나 메타트레이더를 통해 0.01랏까지 1/100으로 레버리지를 쪼개어 변동성 장세에 유연하게 대응하시면서 리스크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오일
오일은 240일선에서 지지받으며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 앞선 매물대가 있던 구간이며, 240일선에서 주요 지지가 이뤄지고 있는 구간이라 눌림 시 매수 전략이 유효하겠습니다. 다만 MACD가 Signal선을 데드크로스하며 매도시그널이 유지중이기 때문에 일정부분 반등 이후 되밀릴 가능성이 큰 상황입니다. 주가 반등 시 범위가 큰 박스권을 유지하면서 이동평균선을 끌어올리는 기간조정을 거칠 확률이 높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40분봉상으로는 매도시그널이 나타났는데, 추가적인 하락을 하더라도 240분봉의 240일선이 버티고 있는 구간이라, 240일선의 특징에 따라 60일선까지도 반등할 수 있다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76불 구간이 될텐데, 일봉상 되밀릴 수 있는 자리와도 유사한 구간이니 눌림 시 매수로 대응하시기 바랍니다. 글로벌 증시의 변동성 확대로 인한 달러 강세가 오일 가격에도 영향을 미치는 모습입니다. 다만 AI로 인한 달러강세 영향으로 오일 가격도 영향을 받고 있으나, 파급력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별개의 변동성을 유지하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골드
골드는 변동성 확대로 인한 달러 강세로 급락마감하였습니다. 주봉상 MACD가 다시 하방으로 가는 모습을 보이면서 골드 가격이 급락하고 있는 모습으로, MACD의 특징에 따라 Signal선을 한번에 돌파하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일봉상으로는 현재의 하락세에서 1차적으로 10일선에서 지지받는지 여부가 중요하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MACD 다이버젼스가 나타나며 골드가 급락하였으며, 아직 MACD와 Signal선이 0선 위에 살아있는 만큼 주가의 반등 모멘텀이 아직 남아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2730을 기점으로 지지반등하는지 체크하는 것이 중요하겠으며, 주가가 반등하게 되면 골드의 일봉 추세에 따라 다시 전고점을 노리러 갈 수 있으니 골드는 추격매도를 따라하는 것보다는 눌림 시 매수 대응이 유리하겠습니다. 만약 나스닥의 급락과 더불어 골드가 동반하락하게 되면 추가 하락 시 2700부근까지 열려있게 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전반적으로 눌림 시 매수 대응을 이어가되, 손절 리스크 값은 필수로 지켜나가시길 바랍니다.
중국의 Deepseek 이슈로 인해 미국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었네요. 늘 말씀드리듯 선물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는 건 선물트레이더들에게 기회이자 위기입니다. 본인의 스타일을 잘 절제할 줄 아는 트레이더에겐 돈을 쓸어담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고, 그렇지 못한 트레이더들은 순식간에 계좌가 깡통되기 십상입니다. 늘 리스크 관리하시기 바라며, 이번주 수요일 FOMC 일정과 테슬라, 메타의 실적 발표, 목요일 애플의 실적발표를 앞두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 나스닥 - 박스장
매수 - 21260 / 21140 / 21100 / 21040 / 21890
매도 - 21365 / 21415 / 21480 / 21540 / 21660
· 오일 - 박스장
매수 - 72.60 / 72.00 / 71.40 / 70.60
매도 - 73.55 / 74.40 / 75.00 / 75.95
· 골드 - 매수장
매수 - 2739 / 2733 / 2726 / 2716
매도 - 2754 / 2760 / 2767 / 2776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250124]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1/24) 시장 분석
나스닥
나스닥은 일봉상 3일선 지지받으며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최근 일봉상 급등하면서 볼린저밴드 상단 부근까지 도달한 모습인데, MACD와 Signal선 모두 0선 위로 끌어올리면서 매수신호가 완성되었습니다. 다만 그간 급등에 따른 조정의 가능성이 금일 존재하는데, 일봉상 5일 이동평균선까지 조정받는다면 박스권을 형성하며 기간조정을 거치고 이동평균선이 수렴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5일선 조정 이후 추가하락이 더 나와주게 된다면 21700부근의 갭을 메워줄지가 관건이 되겠으며, 갭을 메우지 않고 상방으로 돌파 시 일봉상 매수시그널을 그대로 유지하며 상승탄력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240분봉상으로는 매도시그널이 출현한 이후 주가 반등에도 계속 매도시그널이 살아있기 때문에 고점에서는 매도 대응이 유리하겠으며, 기간조정을 거치며 MACD가 0선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재차 상승하는 흐름을 만들게 되면 MACD와 Signal선의 골든크로스 여부가 중요하겠습니다. 눌림 시 매수, 고점 매도 중심으로 박스권 대응하되, 5일선까지의 조정 가능성을 염두해두고 대응하는 게 좋겠습니다.
오일
오일은 75불을 하회하며 하락마감하였습니다. 1월 10일의 장대양봉 중심선인 74.66을 기점으로 종가마감하였는데, 갭으로 더 하락세가 나와준 모습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유가 인하 압박에 따라 이번주 유가가 원웨이 하락을 해준 모습입니다만 현재 일봉상 20일선에 근접한 구간이며, 이번주 초부터 말씀드렸듯 74~75불 라인은 주봉상 5일선의 주요 지지라인이기에 스윙 투자 전략으로 충분히 매수해볼 수 있는 영역대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또한 일봉상 MACD가 Signal선을 데드크로스 하면서 단기적으로 매도신호를 만들었는데, MACD와 Signal선이 0선과 이격이 크기 때문에 일봉상 양봉을 만들며 횡보하는 과정을 거쳐서 다시 상승을 시도하는 흐름이 나타날 것으로 보여집니다. 240분봉상으로는 MACD가 Signal선을 아직 골든크로스 하지 못하였지만 매도 수급이 많이 약화된 상태입니다. 언제든 골든크로스를 만들며 주가가 반등하기 시작하면 급등할 가능성이 있으니 현 구간부터는 매도는 주의하시고, 최대한 눌림 시 매수 위주로 대응하는 게 좋겠습니다.
골드
골드는 주요 지지 라인에서 반등하며 아래꼬리 달고 보합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 아직 매수세가 강하게 유지되는 구간으로, 앞서 매물대가 포진되어 있는 주요 지지라인에서는 눌림 시 매수 위주의 대응이 유리하겠습니다. 주봉상 볼린저밴드 상단 부근까지 터치하고 조정받는 모습이기 때문에, 이번주보다는 다음주에 다시 한번 추세가 나올 것으로 전망됩니다. 240분봉상으로는 고점에서 매도시그널이 만들어지면서 MACD의 다이버젼스가 만들어졌고 주가의 급락을 불러일으켰습니다. 현재 반등하는 모습이나 240분봉에서 매도시그널이 진행중이기 때문에 다시금 되밀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골드는 일봉상 추가 상승을 위해 횡보를 기반으로 에너지를 응축하고 있는 구간입니다. 따라서 오늘은 기본적으로 박스권 대응하면서 고점매도, 저점매수가 유리하겠으며, 본장 개장 전에는 주요 지표 발표 일정들이 많으니 리스크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성공투자하시고 이번주도 잘 마무리하시기 바랍니다!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 나스닥 - 매수장
매수 - 21980 / 21910 / 21870 / 21790 / 21720
매도 - 22040 / 22075 / 22110
· 오일 - 박스장
매수 - 74.10 / 73.40 / 73.00 / 72.40
매도 - 75.10 / 75.70 / 76.20 / 76.75 / 77.10
· 골드 - 매수장
매수 - 2750 / 2743 / 2737 / 2731
매도 - 2770 / 2774 / 2779 / 2785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션타임 아카데미 - GBPUSD(영국 파운드) 추세 분석구독자 여러분 모두 반갑습니다.
개인적 의견 공유는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부스터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키 포인트
-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는 "올해 초에 서비스 인플레이션이 둔화하는지 지켜볼 것"이라 발언하며 금리 동결 가능성을 시사
- 영국 통계청(ONS)에 따르면 영국의 지난해 12월 공공부문 순차입은 178억 파운드로 전년대비 131% 급증했으며, 코로나 팬데믹 발발 당시인 202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
- 트럼프 대통령이 2월 1일부터 멕시코, 캐나다, 중국 등에 추가 관세를 예고한 가운데, 시장에서는 관세 관련 불확실성 속에 대기하는 분위기가 조성
- 일본은행은 오늘부터 금융정책 결정회의를 개최하였으며, 오는 24일에 결과를 발표
이번 주 주요 경제 일정
+ 1월 23일: 트럼프 연설
+ 1월 24일: 일본 금리결정
GBPUSD 차트 분석
이전에 1.21000 라인에서 반등한 이후 1.23000 라인을 돌파하며 현재 상승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가까운 저항선을 돌파하며 추가 상승 가능성을 크게 시사했으며, 이번 상승의 고점은 1.25000 라인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면, 하락 전환할 경우 1.20000 라인까지 하락이 예상됩니다.
[250123]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1/23) 시장 분석
나스닥
나스닥은 트럼프 대통령의 AI 투자 확대 소식에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 볼린저밴드 상단까지 강하게 급등해주면서 MACD를 0선 위로 끌어올리게 되었습니다. 넷플릭스의 실적발표로 인해 나스닥 일봉은 갭이 발생했는데, 추후 조정과정에서 갭을 메꿀 가능성이 생겼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일봉상 아직 Signal선이 0선 아래에 있어 조정의 가능성은 있다고 봐야하겠으나 240분봉상 강한 매수세가 이어짐에 따라 22200~300 부근까지도 추가급등할 여력은 남아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240분봉에서 MACD가 Signal선을 데드크로스 하면서 매도세가 어느정도 나와주어야만 변곡 매도를 볼 수 있을듯 하고, 주봉상 상단선인 22250 부근까지도 상승여력은 열어두시는 게 좋겠습니다. 눌림 시 매수 위주로 대응하나, 분봉상 정배열에서 역배열로 움직임이 전환되면서 240분봉이 데드크로스가 나는 경우 조정가능성이 늘 열려 있으니 분봉상 움직임 참고하시면서 대응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오일
오일은 75불 부근에서 박스권 그리며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앞선 박스권을 돌파했던 1월 10일의 장대양봉이 기준봉이라 볼 수 있겠는데, 장대양봉의 중심선을 지켜주면서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일봉상 반등하기 위해서는 먼저 양봉이 하나 만들어져야 하는데, 오늘 MACD가 Signal선과 거의 맞닿아 있는 상황으로 Signal선을 데드크로스하지 못하고 MACD가 다시 상방으로 방향을 틀게 되면 추가적인 매수3파가 가는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겠습니다. 또한 원유 재고 지표발표가 있으니 이를 바탕으로 추세반등하는지 확인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현재 매도영역에서 MACD가 다시 반등하며 Signal선을 골든크로스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는데, 75불대에서 박스권을 그리며 횡보한 시간이 있는 만큼 주가가 반등하게 되면 강하게 상승할 수 있으니 매도 추격은 주의하시기 바라며, 만약 74불때까지 눌림 시 좋은 매수 기회로 대응하는 게 유리하겠습니다.
골드
골드는 2760 저항라인을 돌파하며 상승마감하였습니다. 2760 저항을 돌파하며 위로는 주봉상 볼린저밴드 상단인 2780 부근까지 고려해볼 수 있겠습니다. 다만 주봉상 MACD와 Signal선 사이의 이격이 있어서 추가적인 골든크로스가 나오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라, 다음주나 그 다음주쯤 골드는 한차례 조정받을 가능성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일봉상으로는 매수 추세가 강하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매도 포지션은 가급적 배제하는 게 좋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 매수3파 골든크로스를 만들고나서 주가가 상승하는 모습인데, 추가적인 급등으로 MACD의 다이버젼스보다 더 상승하는 그림을 만드는 게 좋습니다. 골드가 2780부근을 강하게 돌파하지 못하고 밀리게 된다면 240분봉의 MACD가 다이버젼스를 만들게 되고, 주가의 급락을 가져올 수 있는 부분이니 참고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2760부근을 지지삼아 박스권 대응하되, 고점 돌파의 가능성은 늘 열려 있으니 리스크관리하시기 바랍니다.
새로운 정부 정책과 계획에 따른 시장의 상승 모멘텀이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관세부과,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AI 인프라투자 확대 등 시장의 모멘텀으로 작용할만한 이슈들이 계속 생겨나고 있으니 잘 팔로우업 하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리스크 관리하시면서 성공투자하세요!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 나스닥 - 박스장
매수 - 21920 / 21870 / 21790 / 21720
매도 - 22035 / 22075 / 22135 / 22230
· 오일 - 박스장
매수 - 75.10 / 74.70 / 74.30 / 73.60
매도 - 75.70 / 76.20 / 76.75 / 77.10
· 골드 - 매수장
매수 - 2759 / 2754 / 2748 / 2738
매도 - 2771 / 2778 / 2783 / 2794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션타임 아카데미 - AUDUSD(호주 달러) 추세 분석구독자 여러분 모두 반갑습니다.
개인적 의견 공유는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부스터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키 포인트
- 트럼프 미 대통령은 취임식에서는 관세 발표를 보류했지만, 이후 "멕시코와 캐나다에 25%의 관세 부과를 검토 중이며, 그 시점은 2월 1일이 될 것"이라 발언
- 중국 측에서는 "무역 전쟁에는 승자는 없을 거이나, 자국은 더 많은 제품을 수입할 것"이라며 미국에 유화적 제스쳐를 표현
- 미무라 아쓰시 일본 재무성 재무관은 "엔화 약세가 수입 물가를 높여 인플레이션 상승을 유발할 것"이라 말하며 엔화 약세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실질 임금을 플러스로 전환해 소비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덧붙임
- 호주에서는 2025년 회계연도 파산건수가 전년도 대비 50% 이상 급증, 시장에서는 호주중앙은행이 금리를 인하하는 2025년 중반 이전까지는 파산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
이번 주 주요 경제 일정
+ 1월 24일: 일본은행 금리결정
AUDUSD 차트 분석
추세대 지지를 발판 삼아 단기간 강하게 밀어 올리는 모습을 보이긴 했지만, 여전히 0.63000 라인의 저항에 막혀 추가 상승이 제한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 구간에서 하락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며, 예상과 같은 움직임이 나온다면 0.60000 라인까지 낙폭을 키울 것으로 기대됩니다.
반면, 예상과 달리 0.63000 라인을 돌파할 경우 0.66000 라인까지 상승이 유력합니다.
[250122]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1/22) 시장 분석
나스닥
나스닥은 이틀간의 움직임을 하나의 캔들로 마무리하며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예상했듯이 프리장에서는 상승하였으나 본장에서는 하락하는 움직임을 만들어주었습니다. 일봉상 양봉을 만들어주며 어제의 매수신호를 확정시켜준 모습입니다. 일봉상 매수추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데, 현재 3일선과 5일선과의 이격이 큰 상황이다보니 추가상승하더라도 조정받고 다시 매수세가 진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매수 추격보다는 최대한 눌림 시 매수 위주의 대응이 중요하겠습니다. 다만 아직 주봉상 매도시그널이 진행중이고, 일봉상으로도 MACD와 Signal선 모두 0선 아래에 있기 때문에 언제든 다시 하락파동이 나올 수 있다는 점 유의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240분봉상으로도 매수시그널이 발생하여 상승추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수급이 유의미하게 개선되지는 못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즉, 장대양봉이 나와주면서 박스권을 돌파하는 기준봉이 나와주어야 하는데, 현재 그러지 못한 상황이라 혼조스러운 모습이 프리장에 나타날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주요 저항 라인에서는 고점 매도로 박스권 대응이 유리하겠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따른 주가 급등락이 있을 수 있으니 리스크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오일
오일은 75불 라인에서 지지받으며 하락마감하였습니다. 74~75불 라인이 지속 말씀드리듯 주봉상 5일선 라인과도 겹치는 자리이며, 주요 지지라인이기 때문에 매수대응 하기 수월한 자리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79불 고점대비 400틱 이상 하락한 구간이고, 아직 일봉상 MACD가 Signal선을 데드크로스 하지 않은 상황이라, MACD가 Signal선을 지지삼아 다시 재차 상승하는 형태의 그림이 일봉상 만들어질 가능성이 크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MACD와 Signal선이 0선을 하향이탈하면서 매도세가 가속화될 수 있는 구간에 접어들었으나, 240분봉의 60일선이 지속 상승각도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추가 하락에도 매도를 추격하기 보다는 주요 맥점에서 매수 위주의 대응이 유리하겠습니다.
골드
골드는 주요 지지라인에서 아래꼬리달며 상승마감하였습니다. 골드는 주봉상으로는 위로 저항이 남아있지만, 일봉상으로는 추세를 조금 더 이어갈 수 있는 모습이기 때문에 눌림 시 매수 위주의 대응이 유리하겠습니다. 일봉상 MACD와 Signal선이 상승추세를 지속 이어가고 있고, 2760 부근의 저항라인을 돌파하면 2780부근까지 열리게 되는 상황입니다. 주요 분봉상으로도 횡보 이후 재차 MACD가 Signal선을 골든크로스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240분봉상으로도 골든크로스를 만들어주었습니다. 추가적인 상승이 가능한 상황입니다만 240분봉상으로 앞선 MACD와 이격차이가 크기 때문에 어느정도 상승 이후 MACD의 다이버젼스가 나타날 확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급등 이후 추격 매수는 자제하는 것이 좋으며, 주요 지지라인에서 눌림 시 매수 위주로 대응하면서 2760을 돌파하는지 체크하시는 게 유리하겠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한마디 한마디에 시장의 변동성 확대가 극심해지고 있네요. 과거 트럼프 1기 집권 시기에도 트위터를 통한 발언으로 선물 시장에서 비슷한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이번에도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항상 손절 잡고 리스크 관리하시면서 대응하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성공투자하세요.
※메타트레이더 Vantage Markets 가입 문의가 많습니다. 이벤트 기간(~2/14) 전에 신규 가입 시 50USD 지급 이벤트가 사전물량 소진 시 조기종료될 수 있으니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 나스닥 - 박스장
매수 - 21770 / 21710 / 21630 / 21590 / 21530
매도 - 21880 / 21940 / 22040 / 22110
· 오일 - 매수장
매수 - 75.10 / 74.60 / 73.60 / 73.00
매도 - 76.30 / 76.70 / 77.10 / 77.50
· 골드 - 매수장
매수 - 2751 / 2743 / 2738 / 2731
매도 - 2767 / 2777 / 2782 / 2787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션타임 아카데미 - USDJPY(엔화) 추세 분석구독자 여러분 모두 반갑습니다.
개인적 의견 공유는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부스터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키 포인트
- 트럼프 미 대통령은 취임식에서 국가 에너지 및 국경 비상사태 선포, 전기차 의무화 철회, 파리 기후협정 탈퇴 등 다수의 행정명령을 선언했으나 관세와 관련해서는 무역관계만 조사하라고 밝히며 첫날 관세 부과는 보류
- 시장에서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 진행 과정에 따라 가격 되돌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
- 오는 23~24일 예정된 일본은행의 금리결정에서 일본은행이 금리를 25bp 인상할 것으로 전망
이번 주 주요 경제 일정
+ 1월 24일: 일본은행 금리결정
USDJPY 차트 분석
이번 하락에서 지지선을 뚫고 154.500 라인 부근까지 내려왔습니다. 상승 추세의 하단부까지 내려왔기 때문에, 반등을 기대해 볼 수 있는 위치로 보여집니다. 다만,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큰 변수로 작용하고 있어 하락 전환에 대해서도 가능성을 열어두겠습니다. 154.500 라인을 기준으로 해당 구간에서 지지를 받는다면 162 라인까지 상승, 반대로 154.500 라인을 깨고 내려온다면 149.000 라인까지 하락뷰로 보겠습니다.
[250121]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1/20) 시장 분석
나스닥
나스닥은 미국증시 휴장에 따른 선물시장 조기종료로 마감하였습니다. 어제 일봉에 이어 오늘 일봉이 하나로 합쳐지면서 나타날 예정인데, 어제 예상했듯 미국시장이 상승하는 그림을 만들어냈기 때문에 오늘 프리장과 본장에서는 횡보 혹은 하락의 움직임을 가져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봉상으로는 매수시그널을 만들어내었으나 오늘 캔들까지 양봉으로 확실히 확정이 나야지만 매수시그널이 확정날 수 있어서 오늘 캔들 종가까지 보는 게 중요하겠습니다. 또한 앞서 매물대들이 많이 포진되어 있는 만큼 현재 구간에서 장대 양봉으로 MACD와 Signal선의 이격을 벌려주는 과정이 필요한데, 급등을 만들어내지 못한다면 상단 저항에 지속 부딪히면서 하락할 가능성이 높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40분봉상으로는 아직 매도시그널은 나오지 않았으나 앞선 저항구간에서 매물소화 과정을 거치는 모습입니다. MACD의 데드크로스를 통해 매도시그널이 나오게 되면 일봉상 매수시그널이 사그라들면서 다시 매도로 전환될 수 있으니 추격매수는 자제하시면서 대응하시기 바랍니다. 비슷한 맥락이지만 어제 주봉과 일봉 분석을 디테일하게 해두었으니 어제 프리장분석 글을 다시 한 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오일
오일은 10일선 부근까지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 10일선까지 하락조정을 받아주면서 1차 지지라인이었던 76불에서 단기 횡보 후 하락해준 모습입니다. 주요 지지 맥점으로는 74~75불 라인이 있기 때문에 해당 구간에서 눌림 시 매수 대응이 유리한 상황이며, 주봉상 5일선 라인과도 겹치는 구간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라인까지 하락할 것을 감안하고 매수 포지션은 최대한 아래에서 대응하는 게 유리하며, 매도를 보기에는 반등의 리스크가 큰 구간이기 때문에 보수적으로 접근하는 게 좋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MACD가 0선까지 하락하며 Signal선과의 하락각도를 가파르게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되면 오일이 주요 지지라인에서 반등하더라도 다시 되밀릴 가능성이 높은데, 이유는 MACD가 Signal선을 골든크로스 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어제 예상했던 하락세가 나와주었기 때문에 오늘은 최대한 아래에서 매수 대응만 한다는 생각으로 보수적으로 보시는 게 좋겠습니다.
골드
골드는 일봉상 5일선 부근에서 지지받으며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어제 분석에서 말씀드렸듯 조정장이 예상되었는데, 5일선까지 강하게 하락해준 모습입니다. 일봉상으로는 5일선을 기점으로 눌림 시 매수 대응하기에 나쁘지 않은 위치인데, 주봉상으로 음봉에 따른 하락세가 거세질 수 있는 구간이라 리스크 관리상 짧게 대응하는 게 유리해보입니다. 또한 240분봉상 매도시그널이 나타나주면서 헤드엔숄더패턴을 만들며 넥라인을 이탈한 모습입니다. 2730라인을 재차 이탈하면서 추가적인 하락이 더 나타난다면 2718라인에서 지지라인 잡고 눌림 시 매수 대응해볼 수 있겠습니다. 아직 240분봉에서 MACD와 Signal선이 0선과 이격을 크게 가져가고 있는 만큼 주요 지지라인에서 지속적인 반등이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매도 추격에 유의하시면서 일봉상 골드가 매수세가 강하게 유지되고 있는 만큼 큰 추세는 매수라는 점을 인지하고 최대한 아래, 주요 저점에서는 눌림 시 매수 위주로 대응하는 게 유리하겠습니다. 리스크 관리하시면서 오늘도 성공투자하시기 바랍니다.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 나스닥 - 박스장
매수 - 21660 / 21620 / 21570 / 21510 / 21480 / 21350
매도 - 21780 / 21880 / 21940 / 22005
· 오일 - 매수장
매수 - 75.70 / 74.95 / 74.50
매도 - 77.45 / 77.85 / 78.25 / 78.65 / 79.10
· 골드 - 매수장
매수 - 2726 / 2716 / 2708 / 2700
매도 - 2738 / 2747 / 2753 / 2758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션타임 아카데미 - EURUSD(유로) 추세 분석구독자 여러분 모두 반갑습니다.
개인적 의견 공유는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부스터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키 포인트
-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통화를 가졌으며, 트럼프는 무역 균형과 펜타닐, 틱톡을 비롯해 여러 주제에 대해 논의했고, 이번 통화가 미국과 중국에 모두 매우 좋은 내용이었다고 발언
- 1월 20일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이 있으며, 시장은 트럼프가 취임 후 관세 및 이민 제한 등 행정명령들을 즉각적으로 추진할지에 대해 주목
- 마틴 루터 킹 데이로 미국 증시는 휴장, 연준은 FOMC 회의를 앞두고 블랙아웃 기간 돌입
- 오는 23~24일 일본은행이 통화정책회의에서 25bp 금리 인상을 할 것으로 전망
- 유로존 1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2.4%로 예상치에 부합
이번 주 주요 경제 일정
+ 1월 20일: 미국 마틴루터킹 쥬니어 추모일, 트럼프 취임식
+ 1월 24일: 일본은행 금리결정
EURUSD 차트분석
1.04500 라인에서 저항을 받은 이후 쭉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EURUSD는 다시 한번 1.02000 라인까지 내려왔습니다. 이 구간만 뚫는다면 1.00000 라인까지 낙폭을 확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이번 주에 트럼프 임기가 시작되기에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때문에, 상방 움직임도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하는데, 상승세 강해진다면 1.06000 라인까지 고점을 열어두고 보겠습니다.
[250120]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1/20) 시장 분석
나스닥
나스닥은 일봉상 추세상단 저항선을 돌파하며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주봉상으로는 아직 매도시그널이 진행중이며, MACD가 Signal선을 상승돌파하지 못한 상황이기 때문에 이번주 초반 상승하더라도 다시 되밀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고점 추격매수에 주의해야 하는 이유가 되겠으며, 일봉상으로는 오늘 캔들을 통해 매수신호를 만들어내었는데, 어제 캔들로 만들어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오늘 다시 음봉으로 하락하게 된다면 매수신호가 다시 사라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오늘 양봉을 만들며 매수시그널을 만들어내는지가 중요하며, 매수시그널을 만들어낸다 하더라도 아직 Signal선이 0선 아래에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주가 급등을 통해 MACD와 Signal선의 이격이 벌어지는 그림을 만들어주어야 의미가 있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장대양봉을 통해 매수3파 가는 그림을 만들어주었습니다. 하락추세 상단선을 돌파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는 상황이나, 추가적인 상승세를 이어가는지는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다만 오늘 마틴루터킹 데이로 미국증시가 휴장하면서 오늘과 내일 일봉이 하나로 나올 예정이기 때문에, 오늘 횡보하며 상승하는 그림을 만들고 내일 본장에서 방향이 결정지어질 가능성이 높으니 참고하시면서, 매수 위주의 대응으로 눌림 시 매수로 대응하되, 고점에서의 추격 매수는 주의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오일
오일은 일봉상 윗꼬리 달고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주봉상 3일선과 5일선과도 이격이 굉장히 큰 상황이기 때문에 이번주도 79불라인을 고점으로 횡보 혹은 하락조정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봉상으로는 5일선을 이탈하면서 5일선과 10일선 사이의 박스권에 갇히게 되었습니다. 좋은 눌림 자리는 74~75불 라인이 될텐데, 이번주 하락조정을 받으면서 해당 구간까지 하락해줄지가 중요하겠으며, 주봉상 5일선 라인과도 겹치는 구간이니 참고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10일선이 위치한 76불 라인부근이 분봉상으로도 주요 맥점이 몰려있는데, 해당구간에서 1차적으로 지지받는지가 중요하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아직 MACD가 0선과 이격을 크게 가지고 있는 상황이라, 눌림을 받더라도 지속 매수대응 하는 게 유리하겠으며, 1차적으로는 76불, 2차적으로는 74~75불 라인에서 지지반등하며 240분봉상 MACD가 재차 Signal선을 돌파하는 상승시도가 나타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증시 휴장에 따른 거래량 감소에 주의하시면서 박스권 대응 이어가는 게 유리하겠습니다.
골드
골드는 전일 2760라인에서 저항받으며 도지캔들로 마감하였습니다. 주봉상 MACD가 Signal선과 이격을 가지고 있는 상태라 추가적인 상승을 하더라도 2785라인이 저항이 될 전망이며, 주봉상 MACD가 골든크로스를 만들지 못하면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봉상으로는 매수추세가 여전히 강하게 자리잡고 있는 상황이라, 매수 위주의 대응이 유리하겠습니다. 다만 240분봉상으로 데드크로스가 발생하게 되면 단기 조정이 예상되는데, 오늘과 내일 미국증시가 휴장하면서 아래꼬리를 달아줄 때 5일선까지 하락해준다면 눌림 시 매수가 유리하겠습니다. 전반적으로 오늘은 단기적인 하락추세에 따라 고점에서 매도로 대응하되, 주요 매수 맥점에서는 매수로 대응하면서 박스권 대응이 좋겠고, 오늘 프리장 횡보 이후 내일 시장 개장하면서 방향성 잡아갈 가능성 높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월요일 미국증시 휴장이니 거래량 감소에 따른 박스권 매매가 유효하겠으며, 주요 맥점까지 기회를 준다면 충분히 대응해볼만 하겠습니다. 이번주도 리스크 관리하면서 성공투자하시기 바랍니다.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 나스닥 - 박스장
매수 - 21510 / 21480 / 21350 / 21310 / 21270
매도 - 21650 / 21740 / 21780 / 21880
· 오일 - 매수장
매수 - 76.90 / 76.30 / 75.70 / 74.95
매도 - 77.80 / 78.25 / 78.60 / 79.00
· 골드 - 매수장
매수 - 2730 / 2723 / 2719 / 2715
매도 - 2747 / 2753 / 2758 / 2762 / 2777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250117]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1/17) 시장 분석
나스닥
나스닥은 20일선 부근에서 저항받으며 하락마감하였습니다. 1월 7일 만들었던 장대음봉의 중심값이 21570을 중심으로 저항받은 모습인데, 작년 12월 16일 고점인 22450부터 이어지는 추세 상단 저항선이기도 합니다. 21500 부근에서 추세 상단 저항선을 돌파하며 상승하는 흐름이 나올지, 아니면 다시 하락추세의 중심값으로 회귀할지는 지켜봐야하겠습니다. 주봉상으로 매도시그널이 나온 상황에서 일봉상으로도 MACD와 Signal선의 이격이 크기 때문에 추가하락의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다만 수요일 급등했던 장대양봉의 중심을 지지삼아 며칠간 횡보조정을 거친 이후 방향성을 잡아갈 것으로 보입니다. 240분봉상으로는 MACD와 Signal선이 모두 0선 위로 올라왔기 때문에 박스권 조정을 거친 이후 MACD가 Signal선을 지지삼아 매수3파를 갈지, 바로 데드크로스가 나면서 매도로 전환될지는 다음주에 결정되겠습니다. 고점매도, 저점매수 위주의 박스권 대응이 오늘 유효하며, 금요일이기 때문에 더욱 혼조세가 나타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오일
오일은 월봉 상단 저항받으며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으로 이동평균선들과 이격이 크기 때문에 고점에서 추격하기엔 리스크가 큰 구간입니다. 5일선을 이탈하여 조정받을 시 10일선이나 74~75불 라인이 지지라인이 될텐데, 해당 구간까지 내려와준다면 눌림 시 매수가 유효하겠습니다. 일봉상으로 최근 한달 간 급등하며 MACD와 Signal선을 0선에서 많은 이격을 띄워놓았기 때문에 조정 받을 때마다 눌림 시 매수 전략이 좋습니다. 다만 어제 말씀드렸듯 240분봉상 매도시그널이 발생하면서 MACD의 다이버젼스를 만들었기 때문에 추가적인 하락이 나올 가능성이 크며, 79불까지 상승했던 구간이 헤드엔숄더 패턴의 머리 구간으로 단기적으로 인식될 수 있기 때문에 주요 지지라인에서 반등 시 오른쪽 어깨 구간을 저항라인으로 염두해두면서 대응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76불 이하 구간부터는 지지가 두터우니 주요 맥점에서 박스권 대응 이어가시기 바랍니다.
골드
골드는 국채금리 하락 속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 매수추세가 완전히 만들어진 상황이라 무조건 눌림 시 매수만 대응하는 게 유리합니다. 또한 반대급부로 볼 수 있는 국채금리 차트도 매수시그널이 나오면서 국채금리 하락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당분간 골드는 강력한 매수 포지션으로 대응하는 게 좋겠습니다. 일봉상 2755구간을 돌파하게 되면 주봉상 상단라인인 2788라인까지 열려있게 되는데, 해당구간에서 저항받으면서 주봉상 MACD의 골든크로스를 만들지 못하는 그림이 향후 몇주간 펼쳐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240분봉상으로도 현재 강한 매수세가 나타나며 2625에서 2735까지 갔던 파동을 재현하는 매수3파가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금의 골드처럼 명확한 일봉 추세를 바탕으로 원웨이성 움직임이 나와주는 장세가 수익을 크게 내야하는 쉬운 구간입니다. 스윙트레이딩으로 대응한다면 계좌를 살찌울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번주까지 CPI 지표발표를 비롯해 이벤트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다음주 월요일에는 드디어 트럼프 당선인이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하는데, 과거 트럼프 대통령 시절 선물 시장은 큰 변동성을 경험한 바 있습니다. 앞으로 스펙타클한 변동성 장세가 예상되는데, 늘 손절값 지키시면서 리스크 관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이번주도 잘 마무리하시면서 성공투자하시기 바랍니다.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 나스닥 - 박스장
매수 - 21150 / 21090 / 21020 / 20940
매도 - 21330 / 21370 / 21420 / 21490
· 오일 - 매수장(3월물)
매수 - 77.50 / 77.00 / 76.20 / 75.70 / 74.90
매도 - 78.55 / 79.00 / 79.35 / 80.30
· 골드 - 매수장
매수 - 2738 / 2729 / 2722 / 2715 / 2700
매도 - 2757 / 2765 / 2772 / 2780 / 2788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션타임 아카데미 - GBPUSD(영국 파운드) 추세 분석구독자 여러분 모두 반갑습니다.
개인적 의견 공유는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부스터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키 포인트
- 일본은행의 우에다 가즈오 총재는 1월 23~24일 열리는 회의에서 금리 인상 여부를 논의하고 결정할 것이라 발언
- 영국 CPI는 전년동월대비 2.5% 상승하며 예상치를 하회, 서비스물가의 경우 4.4%로 2022년 3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 해당 소식에 길트 수익률이 급락하며 재정 악화 우려가 완화
- 미국 12월 CPI는 전년대비 2.9% 상승으로 예상치에 부합했으나, 코어 CPI가 3.2% 상승하며 예상치를 하회, 시장에서는 코어 CPI에 주목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연준 위원들도 인플레이션 추세가 개선되고 있다고 평가
이번 주 주요 경제 일정
+ 1월 16일: 영국 11월 GDP, 독일 12월 소비자물가지수, 미국 12월 소매판매
+ 1월 17일: 유로존 12월 소비자물가지수
GBPUSD 차트 분석
최근 급락으로 인하여 1.21000 라인까지 하락했던 GBPUSD는 저점을 확인한 이후 강하게 밀어 올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1.23000 라인에서 저항을 받아 상승폭을 반납하였으며, 이는 추가 하락의 여지를 남겨둔 것으로 보입니다. 1.20000 라인까지 저점을 열어두고 하방 우세로 보겠습니다. 다만, 예상과 달리 1.23000 라인을 돌파한다면 상승 우세로 전환되며 1.25000 라인까지 추가 상승이 나올 수 있겠습니다.
[250116]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1/16) 시장 분석
나스닥
나스닥은 CPI 지표발표 소화하며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주봉상 5주선에서 저항받으며 윗꼬리 단 모습인데, 이번주 초반 하락세 이후 크게 반등하는 모습입니다. 일봉상 20일선 부근까지 상승했으나 아직 MACD가 Signal선을 돌파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으로, 상승세가 지속된다 하더라도 MACD의 골든크로스가 나타나기 전까지 매수를 확정짓기는 애매한 상황입니다. 아울러 앞선 저항 매물대가 많이 포진되어 있는 구간이니 고점에서는 매도 전략이 유효하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도 어제 말씀드렸듯 데드크로스 실패 후 반등하는 그림이 만들어지며 역헤드앤숄더 패턴을 형성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MACD가 상승으로 방향을 잡으며 Signal선과 이격을 만들어주고 있는데, 아직 Signal선이 0선 아래 있는 만큼 매수를 단정짓기보다 고점에서 횡보하며 기간조정 거치는 구간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금일은 박스권 중심으로 대응하되 매도는 리스크 관리하시면서 대응하는 게 좋겠습니다.
오일
크루드 오일은 재고발표와 송유관 폐쇄 이슈를 소화하며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 5일선을 지지받은 상황으로, 3월물 기준 월봉 상단인 78불 부근까지 강하게 돌파하는 모습입니다. 현재 일봉상 급등하면서 이동평균선들과 이격이 크게 발생하여 오늘은 조정을 거칠 수 있는 국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40분봉상으로도 매수 신호를 만들어주며 급등하였는데, 아직 MACD가 앞선 MACD의 고점을 넘지 못했기 때문에 추가 급등없이 하락한다면 다이버젼스를 만들 수 있는 그림입니다. 만약 큰 조정을 거치고 지지를 받는다면 기존 저항라인이었든 74~75불라인까지 열어둘 수 있는데,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을 소화하는 시간이 필요할 것 같고, 해당구간까지 조정을 받아준다면 조정 시 매수 전략이 유효하겠습니다. 고점에서는 리스크 관리하며 매도 전략을, 저점에서는 눌림 시 매수 전략으로 박스권 대응이 필요한 구간입니다.
골드
골드는 CPI 지표 소화하며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 MACD와 Signal선이 0선위로 올라온 상황으로 매수추세가 완성되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추가적인 상승이 기대되는 상황으로 일봉의 삼각수렴의 상단 저항선마저 돌파한 모습입니다. 가급적 매수 위주의 대응이 유효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240분봉상으로도 매수시그널을 발생시킨 후 추가상승하는 상황으로, 추가적인 급등으로 MACD와 Signal선의 이격을 확대하는 과정이 나타나준다면 매수에 더욱 확신을 가질 수 있겠습니다. 만약 골드가 추가적인 상승을 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Signal선이 0선 위에 위치하고 수평의 형태를 보이기 때문에 횡보하며 박스권에서 매물소화 과정을 거치는 것이라 이해할 수 있겠습니다. 미국채 10년물 채권금리도 현재 고점을 찍고 내려가는 그림을 만들어가고 있기에 골드의 강한 추세상승에 주목해보시기 바랍니다. 오늘 지표발표가 많으니 주의하시기 바라며, 성공투자하세요!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 나스닥 - 박스장
매수 - 21325 / 21270 / 21190 / 21140
매도 - 21440 / 21500 / 21550 / 21590
· 오일 - 매수장(3월물)
매수 - 78.10 / 77.50 / 76.90 / 76.30
매도 - 79.70 / 80.10 / 80.80 / 81.30
· 골드 - 매수장
매수 - 2717 / 2709 / 2700 / 2696 / 2690
매도 - 2726 / 2732 / 2738 / 2745 / 2754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션타임 아카데미 - AUDUSD(호주 달러) 추세 분석구독자 여러분 모두 반갑습니다.
개인적 의견 공유는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부스터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키 포인트
-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경제팀이 관세를 매달 2~5%씩 점진적으로 올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있으며, 인플레이션 급등을 최소화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되고 있음
- 12월 PPI 헤드라인과 코어가 모두 예상치를 큰 폭으로 하회한 것에 따라 시장에서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안도감이 도는 분위기이며 CPI에 주목함
- 영국의 30년물 국채 수익률이 1998년 이후 최고치로 오르면서 스태그플레이션 리스크와 재정 적자 증가 등에 대한 우려가 지속
- 호주에서는 11월 소매매출이 전월대비 0.8% 상승하며 10개월 만에 최대 증가를 나타냈고, 11월 CPI는 2.3%로 목표치에 근접하며 2월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형성
이번 주 주요 경제 일정
+ 1월 15일: 영국 12월 소비자물가지수, 미국 12월 소비자물가지수
+ 1월 16일: 영국 11월 GDP, 독일 12월 소비자물가지수, 미국 12월 소매판매
+ 1월 17일: 영국 12월 소비자물가지수
AUDUSD 차트 분석
최근 달러의 강한 움직임과 호주 은행의 금리인하 기대감이 형성되며 AUDUSD가 하방으로 강하게 밀려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0.62000 라인을 뚫고 내려오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현재는 지지선에서 올라서며 다시 0.62000 라인 부근까지 회복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다만, 단기적 상승에 그칠 가능성이 높으며, 고점을 확인한 이후 0.60000 라인까지 하락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입니다.
예상과 달리 상방 움직임이 강해진다면, 빠르게 전략을 수정하겠습니다.
[250115]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1/15) 시장 분석
나스닥
나스닥은 5일선에서 저항맞고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어제 말씀드렸듯 이동평균선 활용 방법에 따라 5일선 매도 대응이 유효했고, 프리장에서 5일선을 터치하였기 때문에 이후에는 매도 위주로 대응이 수월했던 날이었습니다. 일봉상 매도세가 지속되면서 현재 6연속 음봉이 나와주고 있으며, 어제 말씀드렸듯 120일선 지지여부와 하방으로 오버슈팅 시 20300부근까지도 열어두고 체크하는 게 중요한 상황입니다. 240분봉상으로는 MACD가 Signal선을 골든크로스 하였으나 매도세가 나와주는 모습으로, 아직 다시 한번 데드크로스를 하지는 못한 상황입니다. 데드크로스를 발생시키면 매도 3파의 가능성도 존재하지만, 데드크로스 실패 후 반등하는 그림이 만들어지면 역헤드엔숄더 패턴을 형성하는 상황이 되기 때문에 매도 추격은 주의하면서 박스권 대응하는 게 좋겠습니다. 아울러 오늘 CPI 발표가 있기 때문에 아래꼬리 달고 양봉반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오일
크루드 오일은 고점에서 저항맞으며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 79불 부근이 강한 저항라인이고, 이동평균선들과의 이격이 크기 때문에 쉽게 돌파할 수는 없는 상황입니다. 어느정도 조정이 필요한 구간이었고, 고점에서 하락해주었으나 아직 5일선과도 이격이 많이 남아있는 상황이라 추가적인 하락도 가능해보입니다. 일봉상으로 지지라인은 75~76불라인이 될 전망인데, 해당 구간까지 하락할 가능성은 열어두는게 좋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도 MACD의 매도시그널이 발생한 상황이지만 아직 0선과 이격이 있는 상황이라 주요 맥점에서 눌림 시 매수가 유리하겠으며, 79불 부근에서는 고점매도가 유효하겠습니다. 또한 오일은 오늘 재고발표를 앞두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골드
골드는 PPI 지표 소화하며 작은 박스권을 만들며 도지캔들로 마감하였습니다. 오늘 CPI 발표를 기점으로 또 한번의 추세 방향을 잡을 것으로 전망되는데, 최근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낮아지면서 골드 가격이 상승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즉, 오늘의 물가지표에 따른 국채금리의 움직임과 그에 따른 골드의 방향성이 결정되는 날일텐데, 오늘 양봉을 만들어낸다면 MACD와 Signal선 모두 0선 위로 올라오면서 매수 추세를 이어갈 수 있는 그림이 될 전망입니다. 반대로 오늘 음봉으로 하락한다면 당분간은 2625 ~ 2725 박스권을 유지하는 형태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2680 부근을 기점으로 지지반등하면서 MACD가 다시 Signal선을 돌파하려는 상승 시도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골든크로스를 만들어내지 못하면 재차 밀리는 흐름이 만들어질텐데, 지표발표 이후 흐름이 중요하겠습니다. 오늘은 지표발표 전까지 단기적으로 눌림 시 매수 위주의 대응이 유리하겠습니다. 오늘도 성공투자하시기 바랍니다!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 나스닥 - 매도장
매수 - 20840 / 20780 / 20745 / 20570
매도 - 21015 / 21070 / 21120 / 21190 / 21320
· 오일 - 매수장
매수 - 77.50 / 76.90 / 76.50 / 75.70
매도 - 78.60 / 79.10 / 79.65 / 80.10
· 골드 - 박스장
매수 - 2683 / 2674 / 2666 / 2661 / 2654
매도 - 2704 / 2712 / 2717 / 2723 / 2729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션타임 아카데미 - USDJPY(엔화) 추세 분석구독자 여러분 모두 반갑습니다.
개인적 의견 공유는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부스터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키 포인트
- 연준의 금리동결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미국 10년물 금리가 2023년 11월 이후 처음으로 4.8%를 상회
- 중국 인민은행과 외환 규제당국은 위안화 가치 방어를 위해 외화 차입 한도를 늘린다고 발표
- 일본에서는 공급 부족 속에 쌀 값이 63% 급등하는 등 물가 상승 압박을 받고 있으며, 32년 만에 기본 급여가 최대 상승률을 보이면서 금리 인상 가능성이 부각
이번 주 주요 경제 일정
+ 1월 14일: 미국 12월 생산자물가지수
+ 1월 15일: 영국 12월 소비자물가지수, 미국 12월 소비자물가지수
+ 1월 16일: 영국 11월 GDP, 독일 12월 소비자물가지수, 미국 12월 소매판매
+ 1월 17일: 영국 12월 소비자물가지수
USDJPY 차트 분석
156~158 구간에서 나왔던 움직임이 조금씩 확장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고점을 159 라인까지 키웠습니다. 현재는 다시 156 라인까지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곧 제대로 된 방향성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에 상승하여 159 라인 돌파할 경우 162 라인까지 상승 우세, 반대로 156 라인을 깨고 내려올 경우 154 라인까지 하락 우세로 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