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지표] MACD 추세전환의 지표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
오늘은 장단기 이동평균선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매매신호를 포착하려는 추세지표인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1. 서론
단기 모멘텀(Short-term momentum), 추세를 예측하여 거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적용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특히 이를 적용할 적절한 방법을 알지 못할 때, 난이도는 하급수적으로 상승합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단기 이동평균선의 교차점 (골든크로스 or 데드크로스)을 매매신호로 보는 이동평균기법의 경우 시차 (time lag) 가 생기는 문제 가 있습니다.
즉, MACD는 이동평균선에 비해 조금 더 빠르게 추세 전환을 예측하게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동일한 이동평균기법 중 하나이지만 시차에서 좀 더 유리한 입지를 가질 수 있는 보조지표인 MACD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독자분들께서 이번 컨텐츠를 통해 MACD의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고 보조지표로써 활용하는 방법을 이해하여 TradingView에서 적용하고 매매하실 수 있도록 제작하였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MACD 주요 요약
1️⃣ MACD 선과 Signal선(신호선)으로 구성 (Histogram, Oscillator 부가 활용 가능)
2️⃣ MACD 선 : 단기(12주기) 지수이동평균 - 장기(26주기) 지수이동평균
Signal선 : 9주기 지수이동평균
3️⃣ MACD선이 Signal선 위로 교차하거나 (매수) 아래로 떨어질 때 (매도) 신호 포착
4️⃣ 추세의 변화 예상에 도움을 주며, 과매수/과매도 여부 판단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음
5️⃣ Bullish/Bearish Divergence는 가격 추세 반전을 암시할 수 있음
--------------------------------------------
2. MACD란
Gerald Appel이라는 사람이 1970년대에 이 지표를 개발했으며 그 이름이 매우 복잡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이해하기 그리 어렵지 않은 지표입니다.
장단기 이동평균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매매신호를 포착하려는 기법 으로, 장기 이동평균선과 단기 이동평균선이 서로 멀어지게 되면 (Divergence) 언젠가는 다시 가까워져 (Convergence) 어느 시점에서 교차된다는 성질 을 근거로 합니다.
즉, 이동평균선의 수렴과 확산 - 그 과정속에서 교차되는 지점을 이용하여 매수/매도 타이밍을 찾아내는 지표 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MACD의 가장 큰 장점은, 앞서 설명한 장단기 이동평균선의 교차점을 매매신호로 보는 이동평균기법의 단점인 시차(time lag) 문제(후행성)를 극복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주가의 단기적인 흐름보다는 중장기적인 방향성 결정에 유용한 지표 입니다.
--------------------------------------------
3. MACD의 구성 요소
1) MACD선
: 단기 지수이동평균 - 장기 지수이동평균
2) MACD Signal 선
: MACD의 n일 지수이동평균
3) MACD 오실레이터(≒ MACD histogram)
: MACD선 - 시그널선의 값을 막대로 표현
단기 지수이동평균은 보통 12일 이동평균을 사용하며, 장기 지수이동평균은 보통 26일 이동평균을 사용합니다.
시그널 선의 경우 9일 지수 이동평균을 적용한 선입니다.
MACD는 대부분의 트레이더가 사용하는 표준 변수인 12와 26을 기본 일수로 사용합니다. 그러나 자신에게 맞는 MACD를 설정하기 위해 날짜를 변경 할 수 있습니다
더 짧은 이동평균값을 사용한다면 더 빠르고 민감하게 추세변화를 감지할 수 있지만 동시에 더 많은 false signal을 유발하게 됩니다.
--------------------------------------------
4. MACD의 장단점
가장 큰 장점으로는 앞서 설명한 장단기 이동평균선의 교차점을 매매신호로 보는 이동평균기법의 단점인 시차(time lag) 문제(후행성)를 극복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서 단기적인 매매를 진행할 시 유리한 점 을 가집니다.
또한 매우 직관적 으로 트레이더에게 단기 방향이 자신에게 유리한지 확인하는데 사용하기 쉽습니다.
이 지표를 사용하여 거래 신호를 생성할 때의 단점은 경우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가격 움직임으로도 지표가 방향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여러번의 False negative signal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즉, 트레이더는 왜곡된 신호(Whipsaw)가 나타날 수 있음을 인식 해야 합니다.
MACD의 또 다른 단점은 서로 다른 자산 간의 비교가 불가 하다는 것입니다.
MACD는 같은 자산의 두 이동 평균 사이의 비교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종목을 서로 비교할 때 이용될 수는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단기적인 이동평균을 활용하여 추세를 파악 (장기 이동평균이 26) 함으로써 장기적인 추세나 전환점을 파악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5.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해석을 위해서는 MACD선과 시그널 선의 기울기 와 교차(cross) 를 동시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MACD선과 Signal선이 교차될 때 그 기울기가 가파를 수록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반면에 서로의 기울기가 완만할 수록 변동성이 작고 추세전환이 분명하지않아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MACD선이 Signal선을 상향 돌파할 때를 매수 시점으로 (골든크로스) ,
하향 돌파할 때를 매도 시점으로 (데드크로스) 로 인식합니다.
또한 MACD선의 값 자체가 음(-)에서 양(+)으로 전환하면 상승 추세로의 전환 으로 보고
양에서 음으로 변하면 하락 추세로의 전환으로 판단 할 수 있습니다.
--------------------------------------------
6. Trading Strategies & Examples
1️⃣ MACD 값의 증감
앞서 MACD의 개념에서도 살펴보셨듯이 MACD 값은
단기 이동평균값 - 장기 이동평균값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MACD 값이 증가 혹은 감소 하고 있다는 것은 (기울기가 + 혹은 -)
단기 이동평균과 장기 이동평균의 차이가 생기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양의 값으로 증가하고 있는 경우 상승 추세
음의 값으로 감소하고 있는 경우 하락 추세
또한 증가하던 값이 감소로 추세가 바뀌거나 감소하던 값이 증가로 추세가 바뀌는 경우
상승/하락의 추세가 전환될 가능성이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고
신규 포지션 진입과 기존의 포지션을 청산하는 기준점 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사례
2️⃣ MACD와 시그널
앞서 시그널은 MACD값의 9일 이동평균임을 말씀드렸습니다
MACD값이 시그널을 골든 크로스 / 데드 크로스 하는 경우
가장 최근의 추세가 9일 간의 추세를 상회하거나 하회한다는 의미이므로 각각 신규 롱 포지션, 숏 포지션을 계획 할 수 있습니다.
📌 사례
3️⃣ MACD zero-line 돌파
MACD zero-line은 MACD 값이 0인, 즉 단기 이동평균값과 장기 이동평균값이 동일한 지점 을 의미합니다
⭕️ MACD 값이 음의 값을 가지다가 zero line을 상방 돌파 했다는 것은
단기 이동평균값이 장기 이동평균값을 상회하기 시작한 지점을 의미하고
⭕️ MACD 값이 양의 값을 가지다가 zero line을 하방 돌파 했다는 것은
단기 이동평균값이 장기 이동평균값을 하회하기 시작한 지점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Trading strategy 1에서 말씀드린 것과 병행하면 false signal을 좀 더 걸러내는데 유용 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습니다.
1) MACD가 증가하면서 zero line을 돌파
➡️ 보다 확률 높은 long position의 설정
2) MACD가 감소하면서 zero line을 돌파
➡️ 보다 확률 높은 short position의 설정
📌 사례
4️⃣ MACD with PSAR
현재 추세 및 추세의 전환을 알려주는 지표로 PSAR에 대한 컨텐츠를 발행한 바 있습니다.
PSAR 역시 추세 지표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가격의 하방에 점이 위치한 경우 상승 추세 / 가격의 사방에 점이 위치한 경우 하락 추세
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앞서 살펴본 3가지의 MACD 전략과 같은 방향성을 보인다면 ⭐️ 서로 다른 지표의 결합으로 좀 더 확률 높은 추세 분석을 할 수 있을 것 입니다.
📌 사례
--------------------------------------------
7. TradingView에서 적용하기
실제로 Trader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TradingView 에서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글을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원하는 차트를 불러온 뒤
1️⃣ 상단 바의 지표 클릭
2️⃣ 무빙 애버리지 컨버전스 다이버전스 검색
3️⃣ 클릭하여 적용합니다
기본 세팅은 단기 이동평균 12 / 장기 이동평균 26, 시그널은 MACD 이동평균 9를 이용합니다
이때, 조금 더 길거나 짧은 호흡으로 적용하고 싶어 MA의 기준을 수정하고자 할 때는
위와 같이 접근하여 해당 칸을 같이 수정합니다.
--------------------------------------------
8. 마무리
이번 컨텐츠를 통해 MACD의 개념부터 실전 적용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MACD는 추세에 대한 비교적 정확한 정보와 추세 전환 여부를 알려주는데 도움을 줍니다
그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TF를 더블체크하여 같은 신호를 보이는지 확인해야 하고
맹신하거나 단독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하나의 매매 기준으로 활용하며
다른 지표나 패턴을 ((Ex) PSAR, RSI 등) 함께 활용하는 것이 그 유용성과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긴 글 읽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무빙 애버리지
솔라나 매수 타이밍 : 솔라나 사토시 차트를 이용한 분석0. 서론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솔라나, 메틱, 에이다가 상폐 소식 등으로 많이 내려갔습니다.
사려고 눈독들이는 트레이더들이 많을 것 같은데, 몇가지 관점에서 솔라나의 매수타이밍에 대해 분석해보았습니다.
설명은 사토시 차트를 기준입니다.
(사토시차트 : BTC/USDT가 아닌, SOL/BTC 즉, USDT대신 비트코인으로 솔라나를 매수할 때의 차트입니다. 즉 솔라나의 상대적인 가치가 높을수록 ,사토시차트는 높아집니다.)
---
1. 이동평균선 관점
현재 솔라나의 사토시 차트는, 20일 이동평균선이 200일 이동평균선을 넘지 못하고 계속해서 하향하고 있습니다.
2022년 2월부터 그랬으니, 벌써 거의 1년 4개월동안 지속되어 온 상황입니다.
즉, 2022년 2월부터는 솔라나보단 비트코인의 평균적인 퍼포먼스가 더 좋았다는 뜻입니다(FTX사태 등이 있었죠)
200일 이동평균선은, 큰 트랜드를 보는 데에 꽤 인정을 받고 있는 이동평균선입니다.
이동평균선의 아버지라고 불리우고 '그랜빌의 법칙'으로도 유명한 그랜빌 역시 200일 이동평균선을 트랜드를 확인할 때 사용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랜빌에 의하면, 200일 이동평균선이 하향하다가 서서히 기울기 하락속도가 감소하고, 동시에 가격이 200일 이평선을 상향돌파하기 시작할 때부터가 매수 타이밍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이러한 관점으로 보면, 아직은 매수 타이밍이 아니고, 최소한 200일 이동평균선이 돌아가기 시작하려고 할 때가 매수 타이밍입니다.
조금 더 크게 보자면, 현재 이동평균선의 속도를 볼 때, '현재 속도를 유지한다면' 대략 2023년 10월 경쯤 위의 차트와 같은 그림이 그려질 수 있습니다.
2. 매물대 관점
0.000405는 역사적인 2020년 8월 솔라나 사토시차트의 고점이 있던 곳입니다.
이러한 곳은 큰 지지와 저항 역할을 합니다.
거기다가 해당 구간에서의 거래량이 많았으면 더욱 강력한 매물대의 역할을 하는데, 0.000405는 그러한 관점에서 충분히 지지를 받기 좋은 자리입니다.
나아가, 현재 며칠 전 하락의 꼬리가 있었던 0.0004953 역시 거래량이 많고 두 번의 꼬리가 생겼던 자리입니다.
따라서 0.000405~0.0004953의 구간 사이로 간다면 역시 수많은 거래들이 또다시 발생할 것이라 생각하고, 해당 자리에서 지지를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꽤 오랜 기간동안(이평선이 모이는 약 10월까지)그 곳에서 횡보를 할 가능성이 높고,
만약 횡보를 한다면 그 때는 '지지 받았다'고 인식하여 서서히 모아가도 좋을 것 같습니다.
3. 채널&되돌림 관점
0.000405는, 2020년 12월의 저점과 2021년 9월의 고점의 0.5되돌림자리입니다.
즉 최저점과 최고점의 중간 자리이기에 역시 '충분한 되돌림'이라고 인식할만한 자리입니다.
나아가, 20일 이평 움직임을 기준으로 하락채널을 그었을 때, 해당 자리는 하락채널의 중간에 위치한 자리입니다.
---
4. 결론
위의 세 가지 근거로, 0.000405~0.0004953의 솔라나 사토시 가격은 매력적인 매수 자리로 보입니다.
실제로 2023년 10월에 해당 자리가, 미리 그려놓은 방식대로 이동평균선이 서서히 모여가면서 온다면, 천천히 솔라나를 매수할 생각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비트코인] 너가 이평선 없으면 뭘 할 수 있는데?안녕하세요, 코줏대감 입니다.
기존 간 팬 브리핑에서의 저항 추세선을 재차 돌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추가적인 상승을 기대할 수 있을지 여부의 확인이 필요해졌습니다.
이번 브리핑에서는 간 팬 툴을 제외하고, 가볍게 이평선 부터 짚어보겠습니다.
기본적인 셋업부터 보시겠습니다.
저는 이평선을 사용할 때 10 20 60 120 200 EMA / 200 MA 이평선을 사용합니다.
이때 일봉 포함 시간봉에서도 중요하게 사용하는 선이 200 EMA / MA 입니다.
EMA : 지수이평
MA : 단순이평
두 이평선의 차이는 지수이평선이 마지막 날짜에 가중치를 둔다는 점을 기억하고 보면 됩니다.
일봉에서는 120 EMA의 지지 테스트가 2차례 이루어 졌습니다.
4월 14일 고점 이후 하락 추세에서 유의미한 지지 움직임이 2차례 나왔다는 점은,
이 26K 구간이 중요한 추세 매물 구간으로 작용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지지를 확인했으나, 최근 움직임은 10 / 20 EMA의 27.2K 상승 저항을 한 차례 확인했습니다.
때문에 단기적인 추가 상승에는 부담이 되는 모습입니다.
4시간봉에서는 200 EMA / MA 의 데드크로스가 눈에 띕니다.
앞에서 말씀드린 지수 / 단순 이평선의 작용은,
지수 이평선이 유사 시그널선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때문에 고점 데드크로스 이후로 추가적인 상승세를 만들지 못했으며,
이후 하락 추세의 진행을 알 수 있습니다.
4시간봉에선 안좋은 이야기만 했으니, 조금 더 살펴보시겠습니다.
마찬가지로 시간을 땡겨온 4시간봉입니다.
그래서 하락 움직임만 나오는 건가? 하면, 현재는 오히려 좋습니다.
위의 200 EMA / MA 구간을 하위 이평선들이 헤집어놓은 구간은
일반 매물대로 판단 할 수 있으며, 이를 5월 29일 테스트 한 모습입니다.
하락 추세에서의 강한 돌파 테스트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가격 하단부에서 지지 보다는 실질적인 매수세가 발생했음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오늘인 2일의 매수 반등이 좀 더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장기 이평선 매물대 보다는 신뢰도가 떨어지지만,
단기 10 / 20 EMA 이평선의 횡보 매물대 또한 중요합니다.
이때는 횡보 구간에서의 강한 지지보다는,
추세적 움직임의 주요 키워드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초록 박스의 10 / 20 EMA 매물대는
하락 이탈에 대한 매수 반등이 출현했습니다.
이후 장기 이평선 매물대의 조정을 받았으나,
재차 단기 이평선 매물대의 지지를 확인 후 2지지 움직임을 알 수 있습니다.
4시간봉 박스를 남긴 상태로 1시간봉 차트를 보겠습니다.
1시간봉에서는 200 EMA 골든 크로스 후 상승했으며,
현재는 재차 이평선 매물대 구간에서 지지를 테스트 했습니다.
이전 브리핑에서는 추세 저항까지 이야기를 했었고,
현재는 추세 저항이 발생했으나, 저점에서 반등 움직임 진행중입니다.
그렇다면 이평선에서는 200 EMA의 골든 크로스 상태가 지속중이라면
아직 상승 여력이 남아있다 추정할 수 있겠습니다.
이제 구체적인 지지 경로를 보겠습니다.
4시간봉 차트입니다.
주요 저항대와 1시간봉 200 EMA 골든크로스를 수평선으로 표시했습니다.
60 EMA의 주요 저항이 지속적으로 발생했었고,
그 위에는 120 EMA 저항 또한 유효하게 작용했습니다.
현재는 60 / 120 EMA 구간이 겹쳐있는 상태이며, 바로 앞 4시간봉 캔들에서 테스트 되었습니다.
때문에 현재 자리에서의 추가 돌파시,
상단의 10 / 20 EMA 데드크로스 + 200 EMA 이평선이 저항 구간이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1시간봉으로 돌아와서, 단기적인 진입 구간을 찾아야 한다.
최근 캔들의 꼬리 움직임을 추정하면, 대강 1.4% 수준의 최대 움직임을 추정할 수 있다.
그렇다면 현재 자리에서 저항 받는다고 해도,
1.4% 구간을 설정한다면 큰 부담 없이 진입을 고려할 수 있다.
그렇게 해서 나온 이평선 근거 손익비는 1.94 수준으로 준수한 포지션을 구할 수 있다.
이제 남은 일은 현재가부터 저항 가정까지 분할 매수를 고려 할 수있다.
230420_비트코인(BTC) : 두 개의 시나리오일단 이번 시나리오의 전제는 일봉 RSI 지표에서 +70% 상단에서 크로스가 발생하는 겁니다.
- 지표 세팅은 이전 글 참고 바랍니다.
- 내용이 길면 해석이 애매해지니까 결론만 짧게 써봅니다.
제가 참고하고 있는 두 시기는 RSI 보조 지표 부분에 구간 표시를 해놓았습니다.
- 불장 초입이라면, 앞의 노란색 구간이 될 테고,
- 이제 하락 전환이라면, 중간의 빨간색 구간이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분기점이라고 생각하는 지점은 대략 25.4k이며,
- 하늘색 ema100선과 캔들이 맞닿을 때입니다.
- 여기서 rsi 크로스가 '1-1'과 '2-1' 중 어디에서 발생하는지 잘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230417_비트코인(btc) : 설마 아직도 숏 잡고 있습니까?네. 도대체 언제까지요?
저도 모르겠습니다만..일봉 rsi가 30% 이하에서 크로스 날 때까지는 잡고 있을 생각입니다.
왜 고장난 시계도 두 번은 맞다고 하잖아요? 차라리 어쩌다 한번 방향이 맞을 때를 염두에 두고 매매를 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기술적 분석이야 다들 나름의 방식이 있을테니 설명 패스하고)
1) 무조건 10분할 정도로 접근하고,
2) 갑자기 급등한다고 무리하게 물타지 말고, 상황이 진정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판단을 내려도 충분합니다.
3) 끝으로 3배 이하, 증거금의 30% 이하로만 매매를 합니다.
./
이전 글에서 언급했듯이 요즘은 매일 매일 트레이딩 하지 않습니다. 가급적 알람이 울릴 때만 차트를 보려고 하고..
어쩌다 보니, 거의 한달 가까이 숏 포지션을 잡고 있네요. 물론 가만히 있지만은 않습니다. 짧게 짧게 롱 포지션 잡으면서 수익도 내고 있습니다.
숏 포지션은 수익일 때도 있었고, 한참 손실이 나기도 했었고, 다시 수익 중입니다. 그냥 그렇습니다. 이젠 이런 상태가 제법 익숙하다고나 할까요?
음...적게 벌더라도 청산 당할 일 없고, 일상 생활에 아무 지장 없습니다. 사실 적게 버는 것도 아닙니다. 월 기준으로 수익률이 10% 정도는 나오니까요.
./
남이 돈을 잃든 말든 제가 상관할 바는 아닙니다만..그래도 저는 사람들이 많든 적든 돈을 벌 수 있기를 바랍니다. 주변에 코인해서 돈 잃는 사람들을 너무 많이 봐서 그런지, 생판 모르는 사람일지라도 돈을 잃었다고 하면 조금 속상합니다.
회사 일은 바쁘고, 피곤하고, 귀찮고, 졸리고 ...그렇습니다. 이거 정말 일기를 써버렸군요ㅎㅎ
삼성전자 업데이트증권사에서 누가 그런 리포트를 썼더라고요.
'감산 감사합니다. 목표가 8만원'
...?
어림도 없지 ㅎ
리포트 제목 학원 다니시는가봐요 ㅎㅅㅎ
#2023년4월15일 13:30 업데이트
#삼성전자
위에 차트는 일봉입니다. 주봉 먼저 살펴보면,
#주봉
- 쐐기 상단 및 저항구간 67000 - 66400 터치
- 저항 받으면서 주봉 윗꼬리 만들고 마감
- 좋지 않음
#일봉
큰 그림은 하락 관점이고, 작은 그림으로 본다면?
#초단기
- 현재 가격 65000 이탈 시 아래의 구간 차례 차례 테스트
- 63000원(세부적으로는 63500 - 62900 정도)
- 57800원
- 56100 - 54900
- 53000
제 생각과 달리 상승하는 그림이 되려면 6만3천원 또는 최소한 6만원 선을 지켜줘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매매를 한다면 알트보다는 비트#2023년4월11일 23:40 업데이트
#이더리움
- 자금이 비트 쪽으로 흘러들어가면서 비트코인 점유율 상승
- 이더리움은 지난 번에 체크했던 1954 - 1934에서 한번 더 저항받는 중
#저항구간 수정
2009 - 1989
2067 - 2047
- 돌파시 2528 - 2508 까지 저항이 없어보임
- 그러나 상방 돌파하려면 강한 거래량(적어도 1M 이상) 필요
- 지난 번도 그렇고 지금도 보수적으로 보는중
- 조정 진행시 1700불이 중요한 지지라인
- 매매를 한다면 알트보다는 비트가 여러모로 나아보임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비트코인. 여전히 하락관점#2023년4월11일
#비트코인
#큰 방향
-> 여전히 하락 관점
#진행상황
-> 단기 박스권 돌파 밑 1300불 가량 고점 갱신
#복기
-> 다시 살펴보아도 지난 분석이 어긋났다고 생각하지는 않기 때문에 여전히 관점 유지
-> 다만 현재 진행 상황 상 단기적인 흐름은 맞추지 못했음
#대응
-> 다행히 매매를 쉬고 있다보니 피해는 없음
-> 현재는 롱은 좀 위험하고 숏은 무서울 것으로 보임
#숏포지션?
매매를 하는 분은 한번 내리 쏟으면 그 이후 반등에 숏 진입이 낫다고 판단
#도대체 왜 하락관점인지?
큰 방향을 여전히 하락으로 보는 이유는 제 기준에서 매수세가 없다는 점에 있음. 마지막 쥐어짜기로 보고 있음.
만약 상승을 본다면 아래의 저항구간을 참고
#저항구간 (바이낸스 기준)
36002 - 35702
34757.5 - 34457.5
31129 - 30929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비트코인 관점 정리 (알트와는 슬슬 작별해야)#2023년4월9일 21:00 업데이트
#비트코인
#정리
한 달 전에는 헷갈렸으나 지금은 어느 정도 확신이 있음
- 현재는 하락 관점에 대한 신뢰도가 높음
- 최근 2~3주간 거래량이 죽어있음
- 다음 주 CPI 발표가 있어 거래량이 발생할 것
- 다음 주에 별 움직임 없다면 비트의 지루한 횡보와 알트장이 더 진행될 수 있는데 섣불리 매수하면 아프게 물릴 것
#현물
#매수한다면
급할 필요 없지만 미리 생각해본다면,
(1번)
- 대략 16k 부근에서 매수
- 지난 저점인 15.4k 약간 밑을 스탑으로 설정
(2번)
- 지난 저점인 15.4k를 이탈하는 경우
- 10k 이하에서 매수. 이 경우 상황을 좀 더 봐야 함
현 시점 #지지라인
- 24.1k (일봉 마감 기준으로 이탈할 경우 위험)
- 20.8k (신뢰도 낮음)
둘 다 깨질 것으로 판단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삼성전자. 단기 혼조세#2023년4월5일 13:40
#삼성전자
#3일봉
#혼조세
- 지지구간이 뚫릴 것으로 예상했으나
- 생각과 다르게 가까운 지지구간 59400 - 58800에서 반등중
- 다음 저항구간은 67000 - 66400 // 70200 - 69600 첩첩산중
- 65100 - 64500도 있으나 신뢰도 낮음
- 매수세 줄어드는 중
- 패턴상으로도 딱히 좋아보이지 않음
- 지난 고점(65000)을 돌파하고 다시 내려버리면 그림이 더 안 좋을거 같아서 걱정
- 삼성전자가 무너지면 코스피도 같이 내려갈 것
#저항구간 참고
65100 - 64500 (신뢰도 낮음)
67000 - 66400
70200 - 69600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4월2일. 비트코인. 고점구간으로 판단.#2023년4월2일 18:10 업데이트
#비트코인
#하락관점
#고점구간
- 고점을 살짝 올려주었으나 지난 번 제시해드렸던 저항구간 29.35 - 29.15k를 뚫지 못 함
- 현재 자리가 고점 구간인 것으로 판단
- 멀지 않아 변동성이 터질 것으로 보임
- 횡보가 길어지거나 추가 상승이 있으면 더 크게 내릴 것
- 일봉 및 4시간봉 하락 다이버전스 중첩
- 매수는 주의 필요
- 지지/저항 참고
#저항구간
36 - 35.7k
30.1 - 29.85k
29.35 - 28.97k (저항구간 하단이 29.15에서 28.97k로 수정됨)
#지지구간 (단타 가능)
21.3 - 21.1k
20.5 - 20.3k
19 - 18.7k
개인적으로 매수는 올려드린 지지구간 보다 아래에서 고려할 생각입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보조지표] Super Trend : 강력한 추세 추종 지표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
오늘은 추세 추종 (trend-following) 지표의 대표 주자인 Super Trend 지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원리와 내용이 간단하여 쉽게 읽으실 수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 드립니다.😁
-----------------------------------
I. Super Trend란?
II. Super Trend의 적용
III. Super Trend Trading / Practice Example
-----------------------------------
-----------------------------------
I. Super Trend란?
1️⃣ Super Trend 지표
Super Trend는 Olivier Seban에 의해 고안된 기술적 분석 지표입니다. ATR : Average True Range에 기반한 추세 추종 (trend-following) 지표의 일종 으로, 추세 (trend)와 변동성 (volatility)를 감지하여 추세의 방향 전환을 파악하는데 사용합니다.
🔍잠깐! ATR이란?
ATR : Average True range 지표는 변동성(Volatility)의 강도를 평가 할 때 사용되는 기술적 분석 지표로, J. Welles Wilder가 1978년 그의 저서 New Concepts in Technical Trading Systems에서 고안한 지표입니다. ATR은 Price action의 방향을 알려주는 지표는 아닙니다. 오로지 변동성 만을, 그 중에서도 편차 (Gap)을 보이거나 제한된 움직임을 보이는 경우의 변동성을 평가하는 지표이지요.
ATR 지표의 해석은 간단합니다. ATR 수치가 높아지면 변동성이 커지는 것이고, 낮아지면 변동성이 줄어드는 것이지요.
특정 시점의 지표 값은 과거 기간을 토대로 산출되며, 해당 ‘기간’은 임의로 조절 가능하나 일반적으로 14일을 권장합니다.
다양한 시간대에서 활용 가능하나 주로 일일 (1D) 타임프레임 상에서 사용됩니다 .
2️⃣ Super Trend의 의의
Super Trend 지표는 메인 차트 상의 가격(price)와 오버랩 되어 표시되며 현재 어떤 추세를 보이는 지 알려줍니다. Daily, Weekly, Intraday 등 다양한 시간대에 적용할 수 있으며 주식, 선물, 외환 등과 같은 다양한 시장에서도 적용 가능합니다. 최소 타임프레임을 15min으로 권장하고 있으나, 도구가 연산을 통해 신호를 생성해낼 수 만 있다면 15sec 등의 짧은 타임프레임에서도 적용이 가능합니다.
Super Trend의 세팅 값은 임의로 조절 가능하므로 트레이더의 성향과 백테스트 결과에 맞추어 지표의 민감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Super Trend 지표는 붉은색🔴 및 녹색🟢 밴드(band)로 이루어져 있으며, 차트 상의 가격 (Candlestick 등)의 위 / 아래에 나타납니다. 가격이 밴드 아래로 떨어지게 되면 붉은색🔴을 보이며 하락세를, 반대로 가격이 곡선 위로 상승하면 녹색🟢을 보이며 상승 추세 를 나타냅니다.
3️⃣ Super Trend의 원리
Super Trend는 핵심적인 두 요소 : ATR과 Multiplier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ATR은 특정 기간 동안의 가격 움직임 (price movement)를 분석하여 시장 변동성을 추정하는 지표라 말씀드렸습니다. Super Trend 연산은 크게 3 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True Range 연산 단계
캔들의 수로 설정한 기간 범위 (lookback range) 내에서, 각각의 캔들에 대한 값을 산출합니다. 아래 3가지 기준 요소 중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는 값을 선별하여, 해당 캔들의 산출 값으로 설정합니다.
① Lookback range 내의 고가 (high)에서 저가 (low)를 뺀 값
② Lookback range 내의 고가 (high)에서 이전 캔들의 종가 (close)를 뺀 값
③ Lookback range 내의 저가 (low)에서 이전 캔들의 종가 (close)를 뺀 값
각각의 캔들에 대한 산출 값이 나온 경우 이를 모두 더해 캔들의 수 (lookback range에 해당)로 나누어 평균 값을 구합니다. 만약 ATR range를 14로 설정했다면 14개의 캔들에 대한 산출 값을 더한 후 14로 나누게 됩니다.
2) 현재 나타난 캔들 (candlestick)의 중간값 (median) 산출 단계
가장 최근에 나타난 (마지막) 캔들의 고가 / 저가 / 종가를 토대로 중간값을 산출합니다.
(high+low+close)÷3
3) Multiplier 적용 단계
(2)에서 얻은 마지막 캔들의 중간값 (median)에 ATR을 몇 번 곱할 것인지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Median of last candle) x ATR x 곱하고자 하는 값
☑️일반적으로 1D Timeframe 상에서 ATR range : 14 / Multiplier : 3 을 주로 사용합니다. 트레이더는 이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 ATR 기간과 Multiplier 값을 작게 설정할 수록 추세 전환 신호가 더욱 자주 나타나며 가격 변동에 더욱 민감해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크게 설정할 수록 민감도가 떨어지며 거래 신호가 적게 나타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포지션 진입 또는 종료가 늦어질 수 있습니다.
-----------------------------------
-----------------------------------
II. Super Trend의 적용
Super Trend는 직관적이고 적용이 간편하여 별다른 추가 해석 없이도 쉽게 트레이딩에 적용이 가능합니다. 만약 가격이 하락하며 Supertrend의 녹색 밴드🟢 아래로 위치하게 되는 경우, 밴드는 붉은 색🔴으로 바뀌며 하락 추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음을 알립니다. 이러한 신호를 활용하여 포지션 진입 시기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기술적 분석 도구가 그러하듯, 단독 적용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이에 Super Trend와 이동평균선 : 5 EMA & 20 EMA를 활용한 트레이딩 전략에 대해 간략히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동평균선을 적절히 활용하면 Super Trend 신호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만약 Super Trend 밴드가 가격 (price) 보다 낮게 위치하면서 (녹색🟢) , 5 EMA와 20 EMA가 골든 크로스를 보이는 경우 매수 신호 (Buy signal)에 해당합니다. 반대로 Super Trend 밴드가 가격 위에 위치하면서 (붉은색 🔴), 5 EMA와 20 EMA가 데드 크로스를 보인다면 매도 신호 (Sell Signal)에 해당합니다.
📈 Buy Signal : Super Trend < Price / EMA Golden cross
📉 Sell Signal : Super Trend > Price / EMA Dead cross
🔔 EMA 뿐 만 아니라, MACD, RSI와 같은 다양한 분석 도구를 곁들임과 동시에 백테스트 (Backtest)를 진행한다면 더욱 근거있는 트레이딩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
-----------------------------------
III. Super Trend Trading & Practice Example
1️⃣ TradingView : Super Trend tools
TradingView 플랫폼의 Super Trend Tool을 기반으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TradingView 공식 테크니컬즈 도구인 “Supertrend : 슈퍼 트렌드” 를 토대로 설명하나, 다양한 이용자가 제작한 스크립트 또한 존재합니다.
Super Trend는 크게 “ATR Length”와 “Factor (multiplier)”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ATR Length : 앞서 소개드린 ATR : Average True Range을 기반으로 하는 지표로 연산에 포함할 기간 (lookback)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Factor (multiplier) : 지표의 연산에 적용될 증폭 값을 결정합니다. 밴드 (band)와 가격 (price) 간의 오프셋 (offset)을 조절하게 됩니다.
또한 TradingView에서는 Supertrend를 직접 활용하는 트레이딩 전략 도구를 제공합니다. ‘슈퍼트렌드 전략’ 을 검색, 적용하는 경우 설정 → 속성에서 본인의 트레이딩 상황에 맞춰 롱 / 숏 포지션 진입 신호를 보여줍니다.
🚫 Supertrend는 "특정 추세가 이어질" 가능성을 알려주는 도구이지만 해당 추세가 실제로 이어질 지, 어느 강도로 나타날 지 알 수 없습니다 . 따라서 본 지표의 단독 사용을 지양하고, 다양한 기술적 분석 도구와 결합하여 활용하여야 합니다.
2️⃣ Practice Example
APT USDT 1D Timeframe
- Super Trend Buy Signal📈 + EMA Golden cross : Long Position
APT USDT의 1일 타임프레임입니다.
하락 후 횡보를 보이던 차트는, 1월 9일 거래량을 동반하며 큰 상승을 보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기점으로 Super Trend 역시 상승 추세 신호로 전환🟢됩니다. EMA 5일 선과 20일 선이 동일한 시기에 골든 크로스를 보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슈퍼트렌드 전략’ 도구를 추가하여, 롱 포지션 진입가 : EP를 결정함과 동시에 (장대 양봉 직후의 양봉 시가) 12월 말 부근의 저점을 손절가로, 1:2 손익비를 토대로 목표가를 설정합니다.
🟧EP : 장대 양봉 직후의 양봉 시가 부근
🟥SL : 이전 저점 (Low)에서 SL 설정 (”R” 개념 등으로 리스크 관리)
🟩TP : 임의 설정 / RR Ratio 2
이후 상승 추세는 강하게 나타나며, 포지션 진입 9일 만에 목표가🟩를 달성합니다.
글의 초반부에서 말씀드린 ATR 지표로 변동성 (volatility) 만을 확인하면, 하단부 ATR 지표🔴가 Super Trend 의 상승 신호 이후 점차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해당 상승세가 충분한 강세를 지녔음을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
-----------------------------------
IV. Summary
Super Trend는 훌륭한 지표이지만 종종 잘못된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단독 적용을 지양하고 다양한 지표를 토대로 거래의 근거를 확보하여야 합니다. MA, MACD, Parabolic SAR 또는 RSI와 같은 다른 지표와 함께 사용하실 것을 권장합니다.
✅ Super Trend는 추세 추종 지표로 Buy / Sell Signal을 알려준다
✅ 설정 값을 조정하여 지표의 민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 EMA, RSI, PSAR, MACD 등의 보조 지표를 같이 활용하여야 한다
-----------------------------------
이상 긴 글 읽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비트코인. 4시간봉. 짧은 관점#2023년3월17일 20:50 업데이트
#비트코인
돈의 흐름에 관한 뉴스가 이것 저것 나오고 있습니다.
해석이 다를 수 있는 여지가 있어 보이기도 합니다.
저는 큰 관점은 아직까진 조금 더 지켜보는 쪽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짧은관점
#4시간봉
위에 차트는 비트코인 4시간봉입니다.
눌림 내지 조정이 있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일단 24k 정도까지는 내려올 것으로 보입니다.
매수를 원한다면 아래의 지지구간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지지구간
21.3 - 21.1k
20.5 - 20.3k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비트코인 중장기 주봉 월봉 관점BITSTAMP:BTCUSD
1) 비트코인은 주봉차트에서 단기하락추세를 상승돌파함
2) 하락추세선 저항을 시도하는 흐름의 확률이 높다고 보여짐
- 단기 주봉 56이평선 25~26K 부근애서 현재 다소 지체중이지만,
상방돌파시 매물대없는 구간 30~31K 구간까지는 손쉽게 도달 가능성 높음
3) 주봉 및 월봉상 넥라인 30~31k가 상당히 중요 분기점으로 보여집니다.
4) 만일 도달한다고 하면 그 이후의 비트 눌림이라든가,
추가상승의 여력은 다시 보고 판단해야할 것으로 보여짐.
5) 현재는 눌림 매수전략이 중장기 관점에서 매도대비 유리한 전략으로 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