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C/KRW, ETH/KRW, ETC/KRW, ETH/USD, BCH/USD, XRP/USD
USD/KRW, JPY/KRW, USD/JPY, EUR/USD, 달러지수, AUD/USD
삼성전자, 후성, 신라젠, 동진쎄미켐, SK하이닉스, LG전자
S&P 500, 나스닥 컴포지트, 니케이 225, 항셍, 항셍 차이나 엔터프라이즈, 유로스탁스 50
브렌트유, 원유, 금, 은, 옥수수, 비트코인
미국 10해, 미국 5해, 미국 2해, 일본 10해 배당, 영국 10해, 유로 분트
아시다 싶이 하모닉 패턴은 D지점이 완성됨으로써 매도, 혹은 매수자리가 결정 됩니다. 아직 D지점이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매수 포지션은 적절하지 않으나 하나의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 비트의 변동성이 박스권(혹은 삼각수렴) 형태에서 움직이는 가운데. 박스권 후방으로 갈수록 알트들의 변동성이 증폭되고있습니다. ※ 비트의 움직임을 주시해야겠지만. 알트들의 변동성을 이용한 매매를 하고자. 차트를 분석해봤습니다! ※ 차트는 항상 가변적이고 변동성이 큽니다. 코에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일뿐 후행성 지표로 이를 맹신해서는 안됩니다. 하지만 차트의 흐름.방향예측을 확률적으로 접근하고자 분석했습니다. ◆ IOTA라는 코인을 분석해봤습니다. 차트뷰 - 12시간봉 ◆ 주봉/일봉 분석 - 2017년8월 #피보나치채널 1(0.1427) # 을 달성하고 2017년 11월 까지 일봉상의 삼각수렴 형태를 보여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