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주주분들 너무 큰 걱정하지 마시고 현명하게 대응하시길 바랍니다.#국내주식 #삼성전자 #일봉 #토미 #005930
- 최근 연 이은 악재로 강한 하락폭을 보여준 국민 대표 우량주식 삼성전자 일봉 차트입니다. 우리나라 많은 분들이 적금처럼 생각하고 있는 종목인 만큼 최근 나온 급격한 변동 때문에 밤잠을 설치시는 분들이 꽤 계시는 것 같습니다. 차트 관점으로는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 올해 초부터 삼성전자 주가는 초록색 하락 채널을 유지하며 횡보 움직임을 보여주었지만 저점과 고점을 조금씩 낮추어 가다가 7월 초에 파란색 상승 채널 내로 재진입을 했습니다. 제 평행채널 재진입 전략 강의 자료를 보신 분이라면 이때 어느정도 조정장이 다가오고 있었다는 걸 인지하셨을 겁니다. 파란색 채널 내로 다시 들어온 후 8월 5일 초록색, 파란색, 그리고 오렌지색 평행 채널 상단들이 딱 겹치는 구간인 82500원을 찍고 이후 강한 조정세가 나왔습니다.
- 강한 하락세로 초록색 채널도 하단에서도 별다른 지지세를 보여주지 못하고 하방이탈을 한 뒤 현재 파란색 채널 하단, 노란색 내심 추세선, 전 매물대 그리고 상승 파동의 0.382 피보나치 되돌림 레벨이 겹치는 자리까지 도달을 했네요.
- 현재 충분히 반등을 기대해볼 수 있는 자리라고 판단되니 아직 손절 대응 못하셨거나 망설이시는 분들은 조금 더 홀딩을 해보셔도 좋아 보입니다. 만약 지금 구간에서 반등이 출현하게 된다면 초록색 채널 내로 재진입하는 시나리오를 기대 해보시는 게 좋겠습니다. 초록색 채널 하단을 상방돌파 하고 채널 안으로 다시 주가가 들어오게 된다면 78000원 언저리까지는 충분히 열어 둘 수 있겠습니다.
- 하지만 초록색 채널 하단에서 리테스트 저항을 맞거나 파란색 채널 하단도 지지를 성공해주지 못하는 가격 흐름이 나오게 된다면 아쉽더라도 물량을 조금 정리하고 장이 안정될 때까지 더 기다리고 전략이 현명해 보입니다. 현금화한 물량으로 더 밑에서 매수를 받거나 평단을 조금 손해보더라도 초록색 채널 내로 들어왔을 때 진입하는 확인매매가 지금 같은 상황에서는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전략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신규 매수자리, 혹은 위에서 손절 대응하신 물량 밑에서 새롭게 받아 볼만한 자리는 68000원~70000원과 61500원~63500원입니다. 첫번째 구간은 노란색 내심 추세선, 전 매물대, 하락 파동의 1~1.13 확장 레벨, 상승 파동의 0.5 되돌림 레벨이 겹치는 자리입니다. 두번째 구간은 흰색 채널 하단, 전 매물대, 상승 파동의 0.618 되돌림 레벨, 오렌지 채널 하단, 그리고 하락 파동의 1.414 확장 레벨이 겹치는 자리입니다.
Ict
두중 나쁘지 않은 매수자리!#국내주식 #두산중공업 #일봉 #토미
- 두산중공업 일봉입니다. 6~7월에 23000~26000원대 파란색 점선으로 작도한 삼각수렴을 형성함과 동시에 매물대를 만들어주었습니다.
- 이후 삼각형 하방 이탈 후 저점을 한단계 낮추는 파동이 출현한 상황입니다. 단기적으로는 노란색 하락 쐐기 형국으로 움직임이 흘러가고 있으며 1차적으로 쐐기 하단과 상승 파동의 0.618 피보나치 되돌림이 겹치는 자리인 18900~19600 단타 자리로 보고 있습니다.
- 노란색 쐐기 상단 상방돌파 시 단기적인 상승세 염두해볼 수 있겠으며 눈여겨보고 있는 저항구간은 24000~ 24800원과 26100~26900원입니다.
- 스윙으로 더 길게 포지션을 들고 갈 만한 매수자리는 15500~ 17500원 보고 있습니다. 해당 구간은 전 매물대, 상승 파동의 0.705~0.786 되돌림 레벨, 초록색 장기 하락 추세선 리테스트, 흰색 상승 추세선, 그리고 하락 파동의 1~1.13 프로젝션 확장 레벨이 겹치는 자리입니다.
- 트레이딩 셋업은 다음과 같이 설계해볼 수 있겠습니다.
매수 (10/28까지 유효)
진입가: 17500
손절가: 13500원 (-22.86)
목표가1: 24400원 (+39.43%)
목표가2: 31000원 (+77.14%)
-
비트코인 트리플 탑? 아니면 상방돌파? #비트코인 #바이낸스 #1시간봉 #토미
- 비트코인 1시간봉입니다. 현재 46700 부근에 트리플 탑이 형성됐습니다. 이 천장을 상방돌파 시도 중이며 돌파를 성공해주는 움직임이 나온다면 추가 상승세를 염두해볼 수 있겠습니다.
- 돌파 성공 시 첫번째로 고려해볼 수 있는 저항구간은 노란색 와이드닝 패턴 상단, 상승파동의 1.13 확장레벨, 그리고 파란색 채널 상단이 겹치는 구간인 47.7K~48.1K(15일 14시까지 유효)입니다.
- 그 다음으로 보고 있는 저항구간은 흰색 채널 상단, 반등 파동의 1:1 Projection 확장레벨, 그리고 전 매물대가 겹치는 자리인 50.2K~50.8K(17일 13시까지 유효)입니다.
- 천장 돌파를 실패하고 다시 하방으로 추세가 꺾인다면 파란색 채널 하단, 밑에 쌓인 매물대, 상승 파동의 0.236 피보나치 되돌림 등이 겹치는 44.2K~44.8K(16일 18시까지 유효)를 1차 지지구간으로 보고 있습니다.
- 다음 지지구간은 와이드닝 패턴 하단, 흰색 채널 하단, 작은 상승파동의 0.382 되돌림, 큰 상승파동의 0.236 되돌림, 그리고 노란색 추세선 리테스트 지지구간이 지나가는 42.4k~43.1K(17일 15시까지 유효)입니다.
비트코인 시나리오들 총정리! 조정이 끝났나? 아니면 아직 진행중인가? #비트코인 #바이낸스 #4시간봉 #중단기분석 #시나리오
- 오늘은 오랜만에 엘리엇 파동 이론 관점으로 고려해볼 수 있는 비트코인 진행 흐름 상황을 여러가지 시나리오들로 준비해봤습니다. 엘파 트레이더분들은 각 파동 카운팅이 시사하는 장 추세와 주요 지지/저항 구간들 참고만 해주시길 바랍니다.
- 무수히 많은 카운팅들 중 그나마 조금 유력성, 신빙성, 그리고 타당성이 어느정도 있는 시나리오들을 간추려봤습니다. 제가 준비한 모든 케이스들은 바이낸스 차트 기준 65K 고점에서부터 28K 부근까지 진행된 하락 파동을 ABC 조정 파동, 혹은 1~5 충격 파동(크게 하나의 A파)로 해석해봤습니다.
- 먼저 A 시나리오부터 살펴보겠습니다. 7/21에 만들어진 29K부근 저점 까지의 파동을 하나의 5-3-5-3-5 하락 (초록색) A파로 고려해 이후 출현한 반등 파동을 5-3-5 (초록색) B파로 고려하는 카운팅입니다. 이 경우 현재 (초록색) B파의 노란색 C파동이 진행되고 있다고 볼 수 있겠으며 본 파동 타겟팅은 50.8K~52.0K(8/18까지 유효)와 53.3K~54.5K로 설정해볼 수 있곘습니다.
- B 시나리오 역시 현재 (초록색) B파 진행중이라는 점이 A 시나리오와 거의 흡사하지만 5-3-5-3-5로 구성된 (노란색) A파동이 7/21이 아닌 6/22에 형성된 저점부터 시작된 케이스입니다. 이 경우 지금 어느정도 저항세가 출현한다면 (초록색) B파의 (노란색) B파 타겟팅을 36.5K~37.7K(8/29까지 유효)와 32.8K~34.0K(9/20까지 유효)로 보고 있습니다.
- 다음은 조금 더 Bearish 관점인 C 카운팅입니다. 아직 하락 5-3-5-3-5 충격파동이 다 끝나지 않았다고 해석하는 시나리오입니다. 3파의 소 5파는 Truncated(단절) Wave가 나올 수 없다는 엘리엇 이론을 적용해 6/22에 출현한 저점을 (노란색) 3파로 보고 현재 나오는 반등 파동을 (노란색) 4파로 간주해봤습니다. 현재 저항이 나온 구간이 (노란색) 1파가 끝나는 부분이며 해당 구간을 상방돌파 해준다면 본 시나리오는 무효화됩니다. (노란색) 5파 타겟팅 구간은 32.8K~34.0K(9/20까지 유효)와 25.6K~26.9K 정도 보고 있습니다.
- 마지막은 제 희망회로인 가장 Bullish한 D 시나리오입니다. (초록색) ABC 조정 파동이 다 끝나고 새로운 상승 충격 파동이 시작되는 카운팅이며 (초록색) C파가 6/22 저점에 끝나던 7/21 저점에 끝나던 현재 진행중인 상승 파동을 (초록색) 1파로 고려해봤습니다. 추후 형성되는 세부 파동 구조에 따라서 타겟 값들이 변하겠지만 추가 상승세가 나온다면 (노란색) 5파 혹은 3파 타겟팅은 50.8K~52.0K(8/18까지 유효)와 53.3K~54.5K로 설정해볼 수 있겠습니다. 추가적인 스윙 하이를 실패하고 여기서 하락 파동이 나온다면 (초록색) 2파는 36.5K~37.7K(8/29까지 유효)와 32.8K~34.0K(9/20까지 유효)로 타겟팅을 해볼 수 있겠습니다.
[기초강의] 차트 입문하시는 분들을 위한 삼각 수렴 패턴 (Triangular Pattern)#토미강의 #기초강의 #삼각수렴 #트라이앵글 #패턴강의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오늘은 차트를 보며 매매를 하는 분이라면 필수로 알고 계셔야 하는 ‘삼각 수렴 패턴(Triangular/Converging Pattern)’에 대한 자료를 준비해봤습니다. 저희는 시간에 따라 가격이 변동하는 상품의 성질을 이용하여 시세차익을 얻는 일을 합니다. 현존하는 대부분의 상품은 아래의 그림처럼 주가가 횡보 움직임과 추세 움직임을 반복하기 마련입니다.
횡보장(Sideway Phase, Rally)이란 비교적 적은 변동폭의 범위 내에서 명백한 상승 혹은 하락 움직임을 보이지 않는 구간을 뜻합니다. ‘박스권’이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죠? 기울기가 거의 없는 평행 채널 내에서, 박스 형태의 범위 내에서 주가가 채널 상단에서는 저항을, 채널 하단에서는 지지를 받으며 위아래가 아닌 오른쪽 방향으로 움직이는 현상을 박스권 횡보라고 합니다. 반대로 추세장(Trending Phase, Rally)이란 횡보장보다는 비교적 더 큰 변동폭으로 명확한 기울기의 상승/하락 움직임이 나오는 구간을 뜻합니다.
이렇듯 주가는 무수히 많은 횡보 -> 추세 구간을 왔다 갔다 하면서 서로 겹치기도 하고 프랙탈 성질처럼 하나의 횡보/추세구간 안에 더 적은 규모/크기의 횡보/추세구간들이 존재합니다. 오늘 다뤄볼 주제인 삼각 수렴은 주가가 추세장에서 횡보장으로 넘어올 때 자주 관찰되는 패턴입니다. 일단 우리는 삼각 수렴이 정확히 어떠한 시장의 수급 원리로 이루어지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삼각 수렴은 매수세와 매도세가 비슷한 힘으로 균형을 이루어져 변동폭이 점차 좁아지는 지속성 패턴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즉 상방과 하방 둘 중 한 방향으로 치우쳐져 있지 않고 밑에서 올리려는 매수세(Bulls)와 위에서 밑으로 내리려는 매도세(Bears)가 균등할 때 나오는 현상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차트 상으로는 정확히 어떠한 메커니즘인지 한번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위 그림처럼 주가가 두 개의 고점 혹은 저점을 형성할 때 우리는 총 세 개의 변곡점을 도출해볼 수 있습니다. 이게 대체 무슨 말 인고하니 두 개의 고점이 만들어졌다는 뜻은 그 사이에 하나의 저점이 존재한다는 뜻이고, 반대로 두 개의 저점이 만들어졌다는 뜻은 그 사이에 하나의 고점이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이 상황에서 우리는 두 개의 고점 혹은 두 개의 저점을 가지고 추세선을 작도해볼 수 있습니다.
자 그러면 다음에 새롭게 나올 변곡점을 활용해 우리는 또 하나의 추세선을 작도할 수 있겠죠? 두 개의 고점과 두 개의 저점이 존재한다면 이론 상 해당 구조의 상단과 하단에 추세선을 각각 그려볼 수 있습니다. 이때 이 두 추세선이 시간이 갈수록 모이는 상황, 다른 말로 두 추세선들의 간격이 점점 좁아질 때 우리는 추세선들이 컨버징(Converging)한다고 표현합니다. 그리고 이게 바로 ‘수렴’의 뜻입니다.
이렇듯 삼각 수렴 패턴은 쉽게 풀이해 컨버징하는 두 개의 추세선으로 이루어진 횡보 구조를 뜻합니다. 위 그림 하단처럼 두 추세선이 모이지 않고 반대로 벌어지는 현상을 다이버징(Diverging)이라고 하며 요즘 제가 애용하는 와이드닝 브로드닝 확장형 패턴의 기본 메커니즘입니다. 본 강의는 수렴 패턴 주제만 커버를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다들 아시다시피 추세선은 뚫리는 방향대로 주가가 발산하는 성질을 지니고 있습니다. 더 많은 변곡점들로 이루어진 추세선일 수록 뚫릴 때 더 큰 변동폭의, 그리고 더 높은 확률로 발산을 기대해볼 수 있으며 삼각 수렴 역시 같은 원리를 적용시켜볼 수 있습니다. 위 그림과 같이 두 개의 고점과 저점으로만 이루어진 수렴패턴보다 열 개의 고점과 저점으로 이루어진 수렴패턴이 이탈 방향이 나올 때 발생하는 Price Action에 더 큰 신빙성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삼각 수렴을 이루고 있는 추세선 둘 다 상승/하락, 하나는 수평 다른 하나는 상승/하락, 그리고 하나는 상승 하나는 하락인 경우에 따라 수렴 패턴의 종류가 정해지며 각 종류마다 이탈 방향의 확률이 상이합니다. 대표적으로 수렴 패턴을 이루고 있는 추세선이 1. 둘 다 상승일 때: 상승 쐐기(Rising Wedge), 2. 상단은 수평, 하단은 상승일 때: 어센딩(Ascending Triangle), 3. 상단은 하락, 하단은 상단일 때: 시메트릭(Symmetrical Triangle), 4. 상단은 하락, 하단은 수평일 때: 디센딩(Descending Triangle), 그리고 5. 둘 다 하락일 때: 하락 쐐기(Falling Wedge)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보편적으로 상승 쐐기는 하방, 어센딩 트라이앵글은 상방, 시메트릭은 반반, 디센딩 트라이앵글은 하방, 하락 쐐기는 상방으로 이탈이 나올 확률이 높다고 많이들 배우셨을 겁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이 말 다 무시하는 게 좋습니다. 제가 맨 위 그림에 각 수렴패턴 종류마다 이탈 방향이 나올 확률을 적어 놓긴 했는데, 그냥 다 50 대 50으로 보시는 게 낫습니다.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미리 발산될 방향을 기대하고 삼각형 내에서 포지션을 진입하는 전략보다 이탈 방향이 나오고 어느정도 컨펌된 이후에 대응(예를 들어 리테스트 진입)을 하는 게 더 안전하고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삼각 수렴이 형성되기 전의 추세도 중요하게 봐야 합니다. 수렴 이탈 방향이 수렴 형성 전의 추세와 같다면 추세 지속형(Trend Continual), 다르다면 추세 반전형(Trend Reversal)이라고 칭합니다. 교과서에는 추세가 지속될 확률이 쬐~끔 더 높다고 하는데 한 0.01%? 정도만 높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수렴 진행 중 참고할 만한 많은 기술적 지표들 중 통상적으로 그나마 연관성이 높다고 알려진 지표는 바로 거래량(Volume)입니다. 수렴이 진행될수록 시장 참여자들은 이탈 방향이 확정되기 전까지 눈치를 보겠죠? 때문에 발산 전까지 대부분 더 보수적으로 대응을 하는 심리가 반영돼 보통 거래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큽니다. 거래량 히스토그램에도 추세선이 존재합니다. 수렴의 끝부분에 도달할 때까지 형성된 거래량 하락 추세선을 강하게 돌파해 주면서 이탈 방향이 출현한다면 그 방향에 더 가중을 주는 정도로만 활용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애도 예전과 다르게 요즘에는 잘 안 먹히더라고요. 거래량에 너무 크게 맹신하는 것도 요즘엔 좋지 않다고 보고 있습니다. 아래 차트들은 과거에 삼각 수렴 패턴들이 발생한 사례들입니다.
그러면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다들 성투하세요 =)
여러분의 구독, 좋아요, 댓글은 저에게 정말로 큰 힘이 된답니다.
HMM 현재 충분히 반등 나올 수 있는 구간#국내주식 #HMM #에이치엠엠 #코스피 #토미
- HMM 일봉입니다. 현재 흰색 하락 채널 하단과 노란색 와이드닝 패턴 하단이 겹치는 구간까지 도달을 했습니다.
- 현 시점에서 충분히 어느정도 반등을 기대해볼 수 있는 구간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이미 매수 들어가계신 분들은 조금 더 홀딩해보셔도 괜찮아 보입니다.
- 신규 매수자리 찾고 계시는 분들은 35000~36000에서 손절 타이트하게 잡고 흰색 채널 재진입 전략 노려보시는 게 좋겠습니다. 참고로 해당 구간은 초록색 채널 하단, 평행 채널 1.13 확장 레벨, 하락 파동의 1.272 Projection 확장 레벨, 120 이평선, 그리고 전 매물대 고점이 겹치는 구간입니다.
- 추가 조정세가 나온다면 밑에서 더 안전하게 매수 받아 볼만한 자리는 31100~32100이며 여기는 상승 파동의 0.382 피보나치 되돌림, 작은 상승 파동의 0.5 되돌림 레벨, 하락 파동의 1.618 Projection 확장 레벨, 그리고 전 매물대가 겹치는 구간입니다.
- 추가적으로 고려중인 매수구간은 26000~27300(9/17까지) 입니다. 해당 자리는 로그 장기 하락 추세선 리테스트, 파란색 상승 추세선, 초록색 채널 하단, 상승 파동의 0.5 되돌림 레벨, 작은 상승 파동의 0.65 골든 포켓 레벨, 그리고 240 이평선이 겹치는 구간입니다.
- 일봉 거래량 보시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추후에 이 거래량 하락 추세선을 돌파해주는 움직임이 나오는 방향으로 무게를 실어도 될 것 같으니 거래량도 잘 모니터링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비트코인 차트 현 상황 간단명료하게 정리#비트코인 #바이낸스 #4시간봉 #토미
- 비트코인 4시간봉입니다. 근 몇일동안 언급 드렸던 노란색 하락 채널 상단에서 저항을 받으며 삼각수렴 횡보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 상방 돌파했다고 하기도, 저항을 크게 받았다고 하기도 되게 애매한 상황이네요. 조금 더 작은 그림에서는 저점은 높아지고 고점은 낮아지는 삼각수렴 패턴이 나오고 있으며 흰색 추세선(점선)을 하방이탈 했으나 요즘 같은 시장에는 이 정도 작은 추세선의 이탈 여부는 큰 가중을 안 두는 게 좋습니다.
- 적어도 앞으로 2~3일간의 일봉들이 노란색 채널 위에서 안착을 잘 해주는지 봐야겠습니다. 돌파를 하던 저항을 받고 떨어지던 이 단기적인 추세는 그렇게 중요하지도 않으며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나약한 우리는 상황에 맞게 대응만 해주면 되는 것입니다.
- 돌파를 성공하는 움직임이 나오면, 즉 상방으로 추세가 나온다면 고려해볼 수 있는 첫번쨰 저항구간은 파란색 채널, 노란색 단기 추세선, 흰색(점선) 리테스트 저항, 흰색 하락 추세선, 그리고 전 매물대들이 겹치는 자리인 42.2K~43.2K입니다.
- 여기에서 큰 저항을 못 만들어준다면 추가 상승세가 나올 수 있다는 점 염두하시고 숏 진입하실 분들은 손절가 잘 설정해 주셔야 겠습니다. 그 다음으로 보고 있는 저항 구간은 46.7K~47.7K입니다.
- 하방으로 추세가 나오게 된다면 일단 초록색 상승 채널 하단 부근에서 지지를 잘 해줄지 지켜볼 일이며 채널 하방 이탈 시 첫번째로 보고 있는 지지구간은 36.4K~37.4K입니다. 해당 자리는 흰색 내심 추세선, 상승 파동의 0.382 되돌림 레벨, 그리고 전 매물대 등이 겹치는 구간입니다.
- 다음으로 보고 있는 지지구간은 상승파동의 0.705 되돌림 레벨, 파란색 내심 추세선, 그리고 전매물대 등이 겹치는 31.7K~32.7K입니다.
상반기 최대 영업이익 달성한 에쓰오일(S-OIL)#에쓰오일 #SOIL #국내주식 #일봉
- 올 상반기에 1.2조원의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했다고 발표한 S-OIL 일봉차트입니다.
- 100,000~110,000원대에서 박스권 횡보를 지난 달에 이어가다가 저점을 한번 내렸네요. 이후 현재 이 매물대에 저항을 받는 중으로 보입니다.
- 코인, 선물지수 차트와 비슷하게 여기서도 와이드닝 패턴이 자주 목격이 되고 있습니다. 때문에 마스터패턴 관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어 보이네요.
- 마스터 패턴을 고려한다면 위에 쌓은 매물대를 Contraction Zone으로 간주하고 POC레벨인 103,600원을 상방돌파 한다면, 단기적으로 흰색 채널 상단까지는 열어 둬도 괜찮아 보입니다.
- 고려중인 저항구간은 105,500~107,500원(8/9까지), 113,000~115,000원, 그리고 119,500~122,500원입니다. 해당 구간들 잘 참고하셔서 나중에 청산가 잘 설정하시길 바랍니다.
- 흰색 상승 채널에 주목해주십시오. 채널 하단, 와이드닝 패턴 하단, 파란색 단기 하락 채널 하단과 단기 바닥(92,300원 부근)이 겹치는 구간인 91,000~93,000원 단타 자리로 보고 있으며 8/10까지만 유효합니다.
- 본 단타 자리에서 지지를 실패한다면, 흰색 채널 하단과 단기 바닥이 뚫렸다는 뜻이며 그렇게 될 시 추가 조정세가 어느정도 나올 수 있습니다. 때문에 단타 들어가실 분들은 손절 짧게 잡는 전략을 추천드립니다.
- 참고로 단기 바닥이 뚫린다면 헤드앤숄더 패턴 비슷한 형국으로 흘러갈 수 있으니 상승 파동의0.382되돌림 레벨인 88,000원 지지선에 매수 받는 건 손익비가 좋지 않습니다.
- 흰색 채널과 단기 바닥이 뚫릴 시 보고 있는 매력적인 매수구간은 79,500~82,500원과 70,500~73,500원입니다.
프랙탈 이론으로 비트코인 점쳐보기 [Fractal + BTC]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토미입니다.
요 근 몇일간 제가 조금 색다른 분석을 준비해봤습니다. 예상보다 분석 기간이 길기도 했고 추구했던 형식의 결과가 안 나와서 아쉽지만 그렇다고 제가 원하는 결과가 나오도록 분석 데이터를 조작할 수 없는 일이니 업로딩을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번에 제가 연구 및 분석한 방법론은 프랙탈 이론(Fractal Theory)입니다. 해당 이론을 적용해 현재 비트코인이 큰 그림에서 어느 방향으로 추세가 나올 확률이 조금이나마 높으며, 나온다면 어느 지점에서 지지/저항이 나올 지 가늠해볼 목적으로 본 분석을 추진했습니다. 하지만 제가 일일이 수동적으로 데이터 수집을 했고 데이터량이 부족해 신빙성 있는 결론은 도달하지 못했습니다. 신이 아닌 이상 미래의 가격을 예측하는 건 거의 불가능한 일이며 우리 인간이 할 수 있는 건 고작 과거 데이터 쪼가리들을 토대로 가격 모멘텀의 ‘경향성(Preference)’를 확률적으로 도출하는 것뿐입니다. 때문에 해당 포스팅은 재미로만 봐주시고 프랙탈이 대충 이런거구나 정도로만 받아드려 주셨으면 합니다.
프랙탈 이론은 자기유사성(Self-Similarity)을 지닌 기하학적 형태 혹은 구조를 뜻합니다. 저희가 흔히 쓰는 다우 혹은 엘리엇 파동 이론도 다 이 프랙탈 성향을 지니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 그림처럼 엘리엇 이론 관점으로 충격 5파가 나오면 우리는 이 5-3-5-3-5 지그재그 파동구조를 거시적으로 하나의 큰 충격파동으로 간주할 수 있고 반대로 하나의 충격파동을 미시적으로 5-3-5-3-5 지그재그 파동구조로 쪼개 볼 수 있습니다. 이렇듯 금융시장에서도 프랙탈 성향이 자주 관찰되며, 현존하는 많은 기술적분석 기법들에 이미 적용이 되어왔습니다.
이번 방법론을 쉽게 풀어 설명해드리자면 특정 구조/패턴 내에, 더 작은 규모로 비슷한 구조/패턴이 나온 경우들을 색출하여 각 경우들은 이후 추세가 어느 방향으로 나왔는지, 추세가 나오고 어느 구간에서 Price Action, 즉 지지/저항이 나왔는지 고찰하는 겁니다. 제가 본 분석에서 프랙탈화시킨 패턴은 아래와 같이 이번 비트코인 차트에서 출현한, 왼쪽 하단, 중앙 상단, 그리고 오른쪽 하단에 위치한 매물대 구조입니다. 또한 추세가 지속되면서 만들어진 경우에만, 즉 왼쪽 하단 매물대가 변곡 저점이 아닌 경우들만 응용했습니다. 매도 관점으로는 왼쪽 상단, 중앙 하단, 그리고 오른쪽 상단의 구조이며 이전 추세가 하락인 경우이겠죠. 약간 헤드앤숄더(하단부에서는 역헤드앤숄더) 패턴과 비슷한 형국으로 본 글에서는 편의상 좌/우 어깨 그리고 머리로 통칭하겠습니다.
오른쪽 어깨 매물대 박스를 상방 혹은 하방 이탈하고 이후 Price Action이 나온 구간들의 기준 값들은 형성된 매물대 박스들의 상단, 하단, 그리고 전 추세가 시작된 변곡점들을 활용해 되돌림(Retracement) 및 확장(Extension, Expansion, and Projection) 수치들을 적용했습니다. 또한 출현한 추세가 이전 추세와 같은 방향으로 나올 때(Trend Continual)와 반대 방향으로 나올 때(Trend Reversal)로 분류를 해 데이터 수집을 했습니다. 자세한 작도 방법은 아래 그림들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자, 그럼 제가 근 몇일간 컴퓨터 모니터만 바라보면서 거의 노가다 수준으로 수집한 데이터들 몇 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제가 매물대를 하나 단위의 박스로 구분한 기준은 마스터 패턴 기법에서 VPFR(Volume Profile Fixed Range)툴로 Contraction Zone을 도출할 때와 동일하게 진행했습니다.
이전 추세가 상승인 구조:
이전 추세가 하락인 구조:
이후 수집한 데이터들은 다음과 같이 취합 및 정리해봤습니다.
그 결과 해당 프랙탈 구조가 형성되기 전 추세가 지속되는 경우는 총 24번, 반대로 추세가 반대로 나온 경우는 총 32번으로 단순히 빈번도(Frequency)만 놓고 봤을 때는 구조 이전 추세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추세가 진행될 경향성이 조금 더 유력하다는 결과를 도출했습니다. 하지만 이것만 가지고 통찰력 있는 결과를 습득했다고 판단하기 어려웠던 저는 조금 더 깊이 연구를 진행해보기로 했습니다. 제가 규격화한 각 매물대 박스들의 넓이(Area)와 그 박스 내의 거래량(Volume)을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s)로, 그리고 Price Action(지지/저항)이 출현한 레벨들을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s)로 설정하여 두 변수군들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인과관계(Causal Relationship)의 존재 여부를 알아내려고 분석 과정을 디자인했습니다. 모델링하기전 데이터 처리(Data Process)는 아래와 같이 각 매물대의 넓이와 거래량을 곱한 값을 백분율(Percentage)을 했습니다.
먼저 다중회귀분석(Multivariate Regression) 모델링을 진행을 해보았습니다. 하지만 데이터 양도 턱없이 부족할 뿐더러 두 변수군들 간의 연관성이 당연히 단순한 함수로 표현될 리 없습니다. 설정한 변수들이 완전히 독립적이지도 않고 정밀하고 세밀한 잣대로 높은 일관성을 지니고 데이터를 뽑은 게 아니기 때문에 어느정도 주관적일수밖에 없겠죠. 이런 다양한 한계점(Limitations)들 때문에 처음에 설계한 방향으로 분석이 진행되기 어려웠습니다. 아래는 회귀분석 결과값들입니다. 통계적으로 인과관계가 입증되려면은 결정계수(R-Squared)값이 0.7보다 커야하고 F-Coefficient가 0.05보다 낮게 나와야 하지만 아래와 같이 한참 모자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아마도 분산분석이나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의 기반인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을 활용해야 할 듯 싶습니다. 제가 기획한 분석 Scope 밖이라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더 깊게 파고들 예정입니다. 학사/석사 시절에 배운 알량한 지식 가지고는 큰 한계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혹시 이쪽 전공/연구하시는 학자분들 혹은 데이터 사이언스 관련 업종 종사자분들 중 관심 있으신 분들은 따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무튼 이쪽에 너무 오랜 시간을 쏟아부었기에 내용을 첨부하지 않기엔 너무 억울해서 올려봤습니다.
큰 진입장벽에 허탈감을 느낀 저는 여기에 투자한 시간과 노력이 너무 아까워서 이것저것 많은 시도들을 해봤습니다. 그나마 유의미하고 통찰력 있는 결론을 위해 방법론들을 모색하던 중 VPVR(Volume Profile Visible Range) 지표와 비슷한 개념으로 접근해보기로 했습니다. VPVR, 혹은 볼륨 프로파일이란 거래량을 시간이 아닌 가격을 축으로 보여주는 지표로 개인적으로 요즘 차트 분석할 때 주요 매물대들을 컨펌하는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종속 변수들로만 가지고, 즉 미시적 프랙탈 구조 내에서 수집한, 큰 지지나 저항을 일으킨 Retracement, Extension, Expansion, 그리고 Projection 레벨들을 히스토그램(Histogram)으로 표현해 빈번도를 시각화(Visualize) 해보는 겁니다. 물론 제가 처음에 의도했던 방향에 비해 다소 일차원적 일수는 있지만 비트코인 차트에 형성된 매물대 구조들로 되돌림과 확장 레벨들을 작도한 뒤 미시적인 프랙탈 구조들 내에서 얻은 주요 레벨들을 거시적인 구조로 시각화 한다면 앞으로 추세가 나온 뒤 향후에 형성될 볼륨 프로파일들을 미리 가늠해볼 수 있다는 부분에 의미를 부여해볼 수 있습니다.
위의 히스토그램처럼 비트코인 차트에 형성된 매물대 구조에 동일한 기법으로 되돌림과 확장 레벨들을 작도한 뒤 범위를 설정하여 차트위에 히스토그램의 바들을 겹쳐서 그려봤습니다. 결국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결국에 그나마 인사이트가 있다고 판단되는 결론에 다다랐습니다. 프랙탈 이론을 적용한 기법에 따르면 오른쪽 어깨 상방돌파가 나올 시 고려해볼 수 있는 유력한 저항 구간 혹은 고점(변곡구간)은 5.4K~5.9K, 하방이탈이 나올 시 고려해볼 수 있는 지지 구간 저점(변곡구간)은 12K~17K 정도로 볼 수 있겠습니다. 꼭 해당 구간들까지 주가가 갈거라는 뜻이 아니라 만약에 해당구간까지 도달한다면 Price Action을 기대해볼 수 있다 정도로만 해석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그러면 이만 마치겠습니다. 몇일동안 정말 맨땅에 헤딩하는 기분이었는데 그래도 다행히 나름 만족하는 결과가 나왔네요.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성투하세요.
비트코인 큰 그림에선 횡보, 작은 그림에선 상승?#비트코인 #바이낸스 #4시간봉 #토미
- 몇 개월째 계속 박스권을 그리며 위아래 흔들며 횡보를 하는 비트코인 4시간봉입니다.
- 현재 제가 고려하고 있는 주요 평행채널, 피보나치 되돌림, 확장, 추세선, 그리고 매물대들을 다음과 같이 작도해봤습니다.
- 최근 오렌지 하락 추세선을 상방돌파하고 파란색 상승채널 상단에서 저항을 받으며 조금씩 고점을 높여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 추가상승이 출현한다면 고려해볼 수 있는 저항구간은 35.8k~36.3K(7/28 21시까지 유효)와 38.3k~38.9k(7/29 09시까지 유효)입니다.
- 제가 빨간색 원으로 표기한 구간(33.7K 부근)은 오렌지 추세선, 초록색 채널 하단, 노란색 채널 EQ, 그리고 파란색 내심 추세선 등이 겹치는 구간으로 해당 자리의 지지여부가 당분간 중요해 보입니다.
- 여기서 롱을 진입하는 전략보다는 지지여부가 컨펌이 되고 나서 대응을 하는 게 더 안전한 전략으로 보이며 여기가 뚫린다면 단기적으로 하락세를 어느정도 기대해볼 수 있겠습니다.
- 그렇게 됐을 시 밑에서 매수 진입해볼만한 구간은 30.8K~31.5k(7/29 5시까지 유효)와 27.2K~27.9K(7/31 13시까지 유효)입니다.
‘정석’ 따위 먹히지 않는 요즘 시장 대응법 총정리#토미강의 #토미세력패턴 #토미마스터패턴 #토미와이드닝 #토미스탑헌팅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성투는 하고 계시는지요?
끝이 보일 듯 말 듯 종식이 될 거 같으면서도 자칫 방심하면 다시 인류를 공포스럽게 위협하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와 맞장구를 치듯 요즘 증시 및 코인 시장도 알쏭달쏭하게 추세를 종잡을 수 없는 가격 움직임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전례에는 없었던 위아래 흔들기, 추세 나오기 전에 반대 방향으로 한번씩 휩소(Whipsaw) 주기, 그리고 저점은 낮아지고 고점은 높아지는 확장형 패턴 등과 같이 비이상적인 가격 모멘텀의 빈도가 급증하면서 “세력 패턴”을 공부하지 않으면 개미들이 살아남기 힘든 시장이 되어버렸습니다.
소위 말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로 인류의 기술 발전이 가속화됨에 따라 금융시장도 그 여파가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탐욕으로 가득 찬 인간은 산업을 불문하고 신기술을 독점하면 제일 먼저 돈 벌 궁리를 하기 때문입니다. 정확한 원인이 어찌 됐든 교과서에 기록된 정통적인 기술적분석이 예전보다 덜 먹힌다는 점은 이쪽 시장에서 어느정도 매매 생활을 해오신 분이라면 공감하실 겁니다. 특히 ‘Post 코로나 시대’라는 표현이 걸맞게 판데믹 발생을 기점으로 주식, 코인, 선물, 채권 그리고 외환 등 종목을 불문하고 차트가 예전과는 많이 달라졌습니다. 안 그래도 기울어진 운동장이 더 기울어지고 있는 셈이죠. 먼저, 허구한 날 세력 탓만 하는 우리들은 정확히 ‘개인투자자 Vs. 기관’의 차이점과 시장에서 각자 어떤 스탠스를 우위하고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
금융산업에서 개미(Individuals or Retail Traders)와 세력(Institutions or Whales)이 어떤 입지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 위 표에 정리해봤습니다. 우리가 흔히들 칭하는 기관은 국내외 모든 자산운용사(헷지펀드), 증권사, 캐피탈, 기업(대주주), 그리고 슈퍼개미라고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냥 이렇게 생각하세요. 여러분을 제외한 모든 시장참여자들(세력 + 다른 개미들)을 그냥 세력이라고 생각하시는 게 편합니다. 최근 GME와 AMC의 Short-Squeeze 사태로 미증시를 뜨겁게 달아 올렸던 장본인들도 개미들이고, 당연히 개미들도 뭉치면 훨씬 강해지고 세집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뭉친 개미들이 꼭 여러분 편은 아니라는 점. 자본주의 특성상 수익을 보는 개인이 있으면 손해를 보는 개인도 있다는 점. 명심하세요.
아무튼 우리가 세력들을 이기기 위해선 그들이 그나마 지니고 있는 취약성과 우리가 지니고 있는 차별성을 파악하는 게 선행되어야겠죠. 자본력, 기술력, 그리고 정보력이 딸리는 건 현실적으로 어쩔 수 없죠. 시드가 깡패인 것도 모자라 인간 감정이 전혀 개입되지 않은 로봇이 High Frequency Trading과 알고리즘이라는 막강한 무기를 탑재해 우리들에게 따발총을 겨눕니다. 반대로 우리의 무기는 ‘시간’과 ‘자유’입니다. ‘이게 무슨 개떡 같은 무기냐’라고 하실 수 있지만.. 사실 맞습니다. 총알비가 쏟아지는 전쟁터에 우리는 그냥 나무 막대기 하나 들고 들어가는 셈입니다. 일차적으로 우리들은 그들보다 불리한 위치에 있다는 걸 인지하고 그만큼 우리가 얼마나 약한 존재인지 상시 알고 계셔야 합니다.
잠깐 한눈팔면 훅 가버릴 수 있는, 자비란 1도 찾아볼 수 없는, 위험한 전쟁터란 경각심에 익숙해지셨다면 이제 우리의 무기를 활용할 차례입니다. 자, 시간 여유를 가지고 바위 뒤에 몰래 숨어 전쟁터를 관찰해봅시다. 가만히 보니 따발총을 쏘고 있는 로봇들과 총알 피하느라 정신없는 개미들이 바글바글 댑니다. 개미들을 향해 총알들이 비처럼 쏟아지고 있는 마당에 우리는 미치지 않고서야 굳이 저길 들어갈 이유가 없습니다. 물론 총 맞는 위험을 감수하고 개미들이 죽고 떨구는 아이템을 가지고 올 수 있지만 그 위험을 질만큼 중요한 아이템이 아닙니다. 차라리 로봇들의 총격이 뜸해졌을 때, 즉 위험도(Risk)가 감소했을 때나 리스크를 감수할 만큼 중요한 아이템, 즉 높은 보상(Reward)이 있을 때가 아닌 이상 굳이 전투를 벌일 필요가 없습니다. 어차피 시간은 우리 편이니깐요. 우리는 최대한 패배에 기여할 수 있는 리스크들을 최소화하면서 최대한 가치가 높은 리턴을 가지고 오는 게 궁극적인 목표지 다른 시장참여자들을 압도하고 전쟁터를 장악하는 게 목표가 아닙니다. 그게 가능하지도 않을 뿐더러요.
점점 이 상황에 익숙해진 우리는 기발한 생각을 하게 됩니다. 몰래 로봇들 뒤에 진영을 두고 그들의 전투 성향과 개미들의 약점을 동시에 관찰을 하는 겁니다. 눈앞에 있는 개미들에게 사격하라고 프로그램으로 지시된 로봇들은 적어도 우리에게 큰 공격을 가하지는 못할 것입니다. 또한 로봇들 뒤에서 관찰해보니 로봇들이 언제 공격이 가장 거세지고 잠잠해지는지, 개미들이 어떠한 수법에 자주 당하는지 더 수월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됐습니다. 제가 전 강의들에서 잔소리처럼 했던 말들이 있습니다. “어차피 세력을 이길 수 없으면 그들의 등에 타라”, “우리들의 적은 세력이 아니다. 매매란 우리 자신과의 싸움이다.” 우리들이 백날 세력을 이기려고 달려들어 봤자 계란으로 바위를 치는 꼴입니다. 앞서 말씀드렸듯 여기서 말하는 “이긴다”는 그들을 파산시키고 내가 그 돈을 다 차지한다는 뜻이 아니라 그냥 내가 깡통 안 차고 이 시장에서 꾸준한 누적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정도를 뜻합니다.
흑자는 '정석' 혹은 '정통' 기술적분석 학문을 폄하하거나 틀렸다고 말씀드리는 게 절대 아닙니다. 단지 이쪽 시장 특성상, 정석도 시대를 반영해 조금씩 내용을 수정 및 첨가할 필요가 있다는 뜻입니다. 저도 한때는 기존의 이론들에 맹신했던 사람이고 정통 방법론들을 기반으로 새로운 파생 기법들이 탄생하는 것입니다. 때문에 제가 곧 소개드릴 '신'기법들은 기존 기술적분석 학문을 당연히 어느 정도 익히신 분들이 더 수월하게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희 팀은 특히 코로나19 판데믹의 여파로 상시 예측불가로 급변하는 이 금융 전쟁터 생태계와 분위기를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매매 기법들을 추구해왔습니다. 근 데이터들과 케이스 스터디 등 수많은 고찰을 통해 기법들을 더 정교화 및 세밀화 시킬 수 있도록 연구하고 트레이딩에 적용시켜 검증 작업들을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차트와 기술적분석에 큰 비중을 두고 매매하시는 트레이더분들이 숙지하면 좋을 기법, 이론, 혹은 현상들 다섯 가지를 모아봤습니다.
1. 스탑 헌팅 (Stoploss hunting)
차트 좀 본다고 하는 사람들이 다 비슷한 구간과 추세를 보고 있다면(그 사람들이 차트를 잘 보고 못 보고를 떠나서) 혹은 너무 뻔하고 누구나 쉽게 보는 자리들은 요즘 믿고 거르라는 말이 있습니다. 만인이 보는 진입, 손절, 익절 자리라면 조금 더 신경 써서 대응하라는 뜻입니다. 손절 혹은 돌파 헌팅이라고도 불리며 개인들의 진입/손절/익절 구간이 집단화되고 비슷해지면서 이를 세력들이 역이용한다는 발상에서 유래가 된 용어입니다. 인간이 뇌동나사가 가장 잘 풀리는 케이스가 바로 손절가 딱 건드리고 목표가 도달해버릴 때라고 합니다. 정말 허무하지만 뭐 어쩔 수 없습니다. 그게 트레이딩이니깐요. 이럴 때 보통 저희는 “I’ve been hunted, (스탑)헌팅 당했다”라는 표현을 쓰곤 합니다.
단순히 손익절가를 효율적으로 정하는 개념 이외에도 요즘 같은 장에는 스탑헌팅 현상을 변곡 타점(Edge)을 잡을 때, 이른바 “캔들꼬리잡기”용으로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본래 여러 파동 이론 상, 그리고 기존의 상식으로는 전 고/저점이 뚫리는 방향으로 추가적인 추세를 기대하는 게 일반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요즘엔 전 고/저점 갱신했다고 성급하게 추격 진입하지 않는 게 좋다고 항상 말씀드렸습니다. 갑자기 V자 반등 나오면서 꼬리 길게 찍고 반대 방향으로 추세가 터지면서, 손절 타이밍 잠깐 놓치면 골로가는 상황들이 비일비재했습니다.
비트코인과 삼성전자 차트입니다. 박스권 횡보를 이어가다가 밑으로 꼬리 내리고 상방으로 추세가 나온 상황이죠. 저 횡보구간에서 롱을 들고 있다가 밑에 꼬리 내릴 때 손절한 트레이더들은 스탑헌팅을 당한 겁니다. 스탑헌팅 레벨을 타겟팅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기본적으로 횡보구간의 길이를 기준으로 피보나치 확장(Fibonacci Extension)을 해볼 수 있습니다. 1.13과 1.272, 그리고 조금 길게 보면 1.414 확장 레벨까지 스탑헌팅 레벨로 보고 있습니다. 참고로 요즘 1.13은 0.65레벨에 이은 제 최애 골든 포켓입니다. 더 상세한 내용을 보고 싶으시면 아래 이미지(링크)를 클릭하세요.
스탑헌팅은 어떻게 보면 뒤에 설명할 네 가지 기법의 기반이 되는 현상이라고 이해하셔도 됩니다. 더블 SR-FLIP, 마스터패턴, 와이드닝, 그리고 평행채널도 결국 일종의 스탑 헌팅의 형성 구조를 규칙화 및 기법화했다고 표현하는 게 낫겠네요.
2. 더블(Double) SR-FLIP
SR(Support Resistance) Flip은 간략하게 지지가 뚫리면 저항, 저항이 뚫리면 지지가 되는 현상이라고 표현할 수 있으며 평행선, 추세선, 이평선, 매물대, 그리고 피보나치 레벨 등 대부분의 기술적 요소에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흔히 말하는 리테스트 구간이 바로 이 SR-Flip을 활용한 전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지/저항이 뚫려 SR Flip을 기대했는데 리테스트가 나오지 않고 다시 가격이 회귀했다면, 그 SR Flip이 나오지 않은 구간이 더블 SR Flip이 됩니다. 예를 들어 저항선이 뚫렸는데 이후 리테스트 지지가 나오지 않고 가격이 떨어졌다면, 나중에 다시 올라올 때 이 구간은 또 다시 저항선이 되는 현상입니다.
이번에 비트코인이 횡보할 때 위에 저장을 받은 구간이 1월에 형성된 고점(약 40K)입니다. 2/8에 고점을 갱신하고 SR Flip을 기대해볼 수 있겠죠? 그런데 기대했던 것과 다르게 나중에 하락할 때 이 구간에서 의미 있는 반등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다시 밑으로 내려오는 순간 40K는 다시 더블 SR Flip이 되었으며 지지가 아닌 저항구간이 되었습니다. 더 상세한 내용을 보고 싶으시면 아래 이미지(링크)를 클릭하세요.
3. 마스터 패턴 (Master Pattern)
마스터 패턴이란 큰 추세가 나오기 전에 형성된 박스권 매물대들인 Consolidation/Accumulation/Contraction Zone을 기준으로 매물대 지지/저항 구간을 도출하고 지지/저항 여부에 따라 휩소 출현 여부를 어느정도 가늠해볼 수 있는 기법입니다. 해당 기법은 제가 전에 자료를 많이 올려드렸기 때문에 상세한 내용은 아래 이미지(링크)들을 클릭하세요.
4. 와이드닝 확장 (Widening/Broadening Expansion)
와이드닝 혹은 브로드닝 패턴은 LL->HH 혹은 HH->LL이 연달아 나올 때, 즉 저점은 낮추고 고점은 높이면서 변동폭이 점점 확장되는 형태를 뜻합니다. 해당 기법 또한 제가 전에 자료를 많이 올려드렸기 때문에 상세한 내용은 아래 이미지(링크)를 클릭해주시길 바랍니다.
5. 평행 채널 (Parallel Channel)
평행 채널은 두개의 평행된 추세선으로 이루어진 구조입니다. 평행 채널은 요즘에 재진입 전략이 정말 잘 먹힌다고 생각합니다. 하락 채널의 하방이 뚫리고 다시 위로 재진입 시 롱, 상승 채널의 상방이 뚫리고 다시 밑으로 재진입 시 숏을 타는 전략입니다. 이 개념 또한 제가 전에 자료를 많이 올려드렸습니다. 아래 이미지(링크)를 클릭해주시면 더 상세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글이 너무 길어져 버린 것 같네요. 위 기법들 복합적으로 조합해서 본인의 성향에 맞게 활용하셔서 앞으로 이 험난한 금융시장에 잘 살아남으시길 바랍니다. 또 통찰력 있는 기법들 찾아내면 여러분들에게 바로 알려드리겠습니다. 다들 성투하세요 ^^
여러분의 구독, 좋아요, 댓글은 저에게 엄청난 동기부여가 된답니다.
비트코인 지루하고도 무서운 횡보장#비트코인 #1시간봉 #바이낸스 #토미
- 최근 정말 짜증이 날 정도로 방향성을 보여줄랑말랑 하면서 지루한 횡보 수렴을 이어가는 비트코인입니다.
- 파란색 상승 채널 하단에서 계속 지지를 받으며 감소되는 거래량과 함께 변동폭을 조금씩 조금씩 줄여가고 있습니다.
- 조금 더 단기적으로는 노란색과 오렌지 채널도 눈여겨보셔야겠습니다. 1차 저항구간(35500~35800)은 두 채널 상단이 겹치는 구간으로 7/17 19시까지 유효합니다.
- 노란색 채널 상방돌파 성공하고 추가 상승이 나온다면 중간중간에 저항을 기대해볼 수 있는 자리들은 36800~37100, 37700~38000, 그리고 38900~39200입니다.
- 현재 저항 테스트중인 전 매물대를 돌파 성공 못하고 다시 하락이 나온다면 1차 지지구간은 33250~33550(7/17 15시까지 유효)으로 보고있습니다.
- 해당 지지구간 뚫린다면, 파란색 상승채널 하방이탈이 출현한 상황이기 때문에 어느정도 하락세 염두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밑에서 그 다음으로 반등 기대해볼만한 구간은 31800~32100입니다.
비트코인 요즘 횡보장 추세장 나오는 패턴 조금 뚜렷해졌죠?#비트코인 #BTCUSDT #1시간봉 #바이낸스 #토미
- 비트코인 1시간봉입니다. 최근 초록색 하락 채널과 추세선을 돌파한 뒤 리테스트 지지받고 상승 추세가 출현했습니다.
- 이후 요즘 단골 정거장인 34K~35K에서 매물대를 쌓은 뒤 어제 상승 파동을 한 차례 더 보여줬습니다.
- 크게는 파란색과 노란색 상승채널 내에서 계단식 상승을 보여주고 있으며 더 단기적으로는 초록색 상승쐐기 하방이탈 이후 흰색 상승채널 상단 내 재진입으로 인한 조정세가 출현중인 듯싶네요.
- 1차 단기 지지구간은 오후 1시까지만 유효한 자리 빨간색 박스(35340~35540) 보고 있지만 하방이탈 여부가 컨펌이 되고 나서 대응을 하는 전략이 좋아 보입니다.
- 이탈 나온다면 밑에서 지지 기대해볼 수 있는 구간들은 34450~34750(6/30 20시까지 유효), 32950~33250(6/30 21시까지 유효), 그리고 31750~32050(7/2 04시까지 유효)입니다.
- 눈여겨볼 만한 저항구간들은 37250~ 37550(6/30 19시까지 유효)과 38650~38950 보고 있습니다.
영파영파! 영국파운드/달러 매매전략#파운드 #영파 #9월물 #H6BU2021 #1시간봉 #토미
- 최근 1.3955~1.3970 범위로 박스권 횡보를 이어가고 있는 파운드/달러 1시간봉입니다.
- 현재 빨간색 채널 하단 이탈 시도 중이며 이탈하고 추가하락 시 기대해볼 수 있는 첫번째 지지구간은 1.3920~ 1.3932(6/24 16시까지 유효)입니다.
- 추가적 하락이 진행된다면 전 매물대, 엘리엇 이론, 그리고 피보나치 기법을 근거로 도출해볼 수 있는 지지구간은 1.3888~1.3900과 1.3820~ 1.3835입니다.
- 추가 상승 시 상단에 있는 노란색 하락 추세선과 전 매물대가 겹치는 구간인 1.4032~1.4047(6/25 04시까지 유효)에서 1차 저항을 기대해볼 수 있겠으며 그 다음 저항구간은 1.4090~1.4105 보고 있습니다.
닥터 카퍼 구리구리#구리 #CoppoerFutures #7월물 #HGN2021 #1시간봉 #토미
- 구리 1시간봉입니다. 최근 흰색 하락 추세선 돌파를 성공한 구리는 청록색 상승 채널을 유지하며 계속 고저점을 올리는 가격흐름이 출현했습니다.
- 빨간색 박스 뚫리면, 즉 청록색 상승 채널 하방이탈 시 어느정도 단기 조정을 예상해볼 수 있겠습니다.
- 흰색 하락 추세선 리테스트 지지구간과 오렌지 상승 채널 하단이 겹치는 구간에서 어느정도 1차 반등을 기대해볼 수 있겠습니다.
지지구간: 4.2080~4.2220(6/25 09시까지 유효), 4.1710~4.1840(6/28 05시까지 유효)
- 추가 상승 시 상단에 있는 장기 하락 추세선과 전 매물대가 겹치는 저항 구간을 테스트하러 갈지 지켜볼 일이며, 해당 구간을 상방돌파 시 조금 더 큰 그림에서 추가적인 상승 추세가 연장되는 시나리오에 가중을 둘 수 있겠습니다.
저항구간: 4.4310~4.4170(6/28 13시까지 유효), 4.4480~ 4.4620(6/25 18시까지 유효)
재미로 보는 김치프리미엄 분석#김치프리미엄 #김프 #비트코인 #바이낸스 #빗썸
- 거래소간의 혹은 국가간의 시세 차이를 프리미엄이라고 합니다. 흔히 비트코인 시장에서 우리가 일컫는 ‘김프’는 ‘김치 프리미엄’의 줄임말로 해외 비트코인 시세보다 우리나라의 비트코인 시세가 상대적으로 더 비싼 현상 혹은 비싼 정도를 뜻합니다.
- 차트 분석이 여기도 먹히냐고요? 암 그럼요. 코로나 확진자 수도 통계학 모델링을 통해 미래 값을 예측하는 마당에 안 될 거야 없습니다. 물론 수많은 외부 변수들과의 인과관계와 상관관계도 고려해줘야 하지만 거시적인 관점에서 큰 추이를 파악하는 데에는 틀림없이 의미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 참고로 본 글은 트레이딩뷰에 비트코인 원화차트 등록된 게 별로 없어 빗썸 차트와 바이낸스 차트 시세만 가지고 프리미엄 분석을 했습니다. 원화와 달러 환율 변동이 없다고 가정을 했기 때문에 그렇게 큰 정확도를 부여하지 않는 게 좋겠습니다. 그냥 큰 그림에서 대충 이런 추세가 진행되고 있구나 정도로만 이해해주세요.
- 위에 제가 분석한 차트만 봐도 노란색 상승 채널 하단을 지켜주다가 뚫리고 리테스트가 출현한 뒤 하방으로, 즉 0%로 다가가고 있는 중입니다. 그리고 지지선인 2.7%를 이탈 시도 중이네요. 흰색 하락 채널도 유지하면서 고점과 저점을 조금씩 낮추어 가고 있습니다.
- 언제나 그랬듯 프리미엄 0%는, 즉 해외와 국내 시세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 구간은 심리적인 지지/저항선이 됩니다. 차트에서도 0%를 기준으로 위에서는 지지, 아래에서는 저항을 계속 받는 현상을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 또한 특정 구간에서 주요 변곡 라인이 존재하는 모습도 확인해보 실 수 있습니다. 변곡 라인이란 SR Flip(지지선과 저항선이 바뀌는 현상)이 자주 일어나는 구간으로 다른 구간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은 지지와 저항을 받는 구간입니다. 제가 빨간색 라인으로 표기해 놓은 -5.6%, 0%, 2.7%, 8.7%, 그리고 20.3%가 그 예입니다.
- 앞서 언급 드렸듯이 현재 2.7% 구간을 지켜주고는 있지만 간당간당 하네요. 뚫리면 0%까지 빠지지 않을 까 개인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 해당 분석으로 시사해볼 수 있는 점은 우리나라 사람들은 꼭 위든 아래든 변동성이 어느정도 발생되면 한 템포 늦게 들어가는 현상이 있다는 부분입니다. 주가가 한참 오르고 나서 원화 자금이 몰리는 현상과 한참 내리고 나서 뒤늦게 대량 현금화하는 우리나라의 투기적인 심리가 잘 반영이 되어있다고 봅니다.
- 물론 발에서 사고 머리에서 파는 게 어려우니깐 무릎에서 사고 어깨에서 팔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런데 많은 분들이 배 위까지 올라왔는데도 버스 놓친 게 아쉽고 배아파서 뒤늦게라도 무리하게 매수를 하고 계십니다. 조금만 더 인내력을 가지고 놓치면 그냥 안전하게 보내주는 습관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비트코인 이제 슬슬 한번 큰 무빙이 나올때가 된거 같은데? #비트코인 #BTCUSDT #바이낸스 #1시간봉 #토미
- 비트코인 1시간봉입니다. 제가 몇일 전부터 누누이 강조 드렸던 노란색 로그 장기 상승 추세선의 지지를 계속 성공은 해준 모습입니다. 이후 흰색 하락 채널 상방돌파 성공한 뒤 약간의 상승세가 나오고 35K~37K에서 횡보움직임을 이어가며 매물대를 쌓고 있네요.
- 저번 브리핑과 마찬가지로 아직 상단과 하단의 노란색 추세선들 사이에서 삼각 수렴을 이어가고 있으며 이 삼각형 이탈 방향이 나와야 어느정도 큰 추세가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노란색 수렴 패턴 내에서 단기적으로 주목해야할 요소는 초록색 상승 채널과 빨간색 하락 채널입니다. 초록색 채널 하단과 빨간색 채널 상단 중 어디가 먼저 뚫릴지 지켜볼 일입니다.
- 빨간색 채널 상방돌파 시 고려해 볼만한 저항구간은 초록색 채널 상단과 노란색 하락추세선이겹치는 자리인 38.6K~39.2K이며 금일 6/2 19시까지 자리가 온다면 여기서 손절 짧게 잡고 숏 진입해보는 전략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 하지만 이 구간이 뚫린다면 앞서 언급드린 노란색 삼각수렴 상방돌파가 나오는 국면이기 때문에 꼭 손절 잘 설정해주시는 게 좋으며 더 보수적이신 분들은 여기서 숏 진입하지 말고 상방돌파가 나온다면 차라리 롱 자리를 찾는 게 더 안전하지 않을까 싶네요.
- 노란색 삼각 수렴 상방돌파 시 추가적으로 보고 있는 저항구간은 41.5K~42.1K(6/3 13시까지 유효), 42.9K~ 43.5K(6/4 05시까지 유효), 그리고 44.6K~45.2K입니다.
- 초록색 채널과 빨간색 채널 하방이탈 시 일단 33.6K~34.2K의 지지여부가 중요해 보이며 해당 구간에서 신규 롱 진입보다는 지지 여부 컨펌이 된 이후 뚫리면 숏을 들어가시던지 하는게 더 좋아보입니다.
GS리테일 + GS홉쇼핑 시너지효과 제대로 보여주나?#국내주식 #GS리테일 #007070 #토미
- 최근 남성 혐오 논란으로 주가에 타격을 입었지만 GS홈쇼핑과의 합병이 원안대로 승인됐다고 공시해 상승세를 보여준 GS리테일입니다.
- 먼저 조금 큰 그림에서 주봉차트를 보시면 오렌지 장기 하락 추세선의 저항을 테스트하고 있는 중으로 보입니다. 상방돌파 성공한다면, 즉 주봉 캔들이 해당 추세선을 돌파하고 마감을 한다면 어느정도 추가 상승세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다시 일봉으로 돌아와 최근에 파란색 단기 하락 추세선을 상방 돌파하고 긴 장대양봉이 출현했습니다. 현재 저항이 나온 구간이 앞서 언급드린 오렌지 장기 하락 추세선과 흰색 단기 상승 채널 상단이 겹치는 구간으로 해당 구간에서 신규진입은 조금 리스크가 있어 보입니다.
- 차라리 평단을 조금 손해 보더라도 상방돌파 컨펌이 되면 진입자리를 찾거나 눌림목 출현 시 흰색 채널 하단 혹은 돌파 성공한 파란색 단기 하락 추세선 리테스트 구간에서 매수 받아보는 전략이 더 좋아 보입니다.
- 따라서 현재 고려해 볼만한 매수구간은 37,800~38,200원, 37,000~37,400원(6/10까지 유효), 그리고 35,000~35,500원(6/21까지 유효)입니다.
- 오렌지 하락 추세선 돌파 성공 시 저항을 기대해볼 수 있는 자리는 40,300~40,700원, 41,500원~41,900원, 42,900~43,300원, 그리고 44,600~45,200원입니다. 추후 익절 구간 찾으실 분들은 해당 저항구간들 잘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비트코인의 운명은...?#비트코인 #BTCUSDT #1시간봉 #바이낸스 #토미
- 비트코인의 급락으로 3만불 저점을 형성한지 약 10일이 지났습니다. 참 실망스럽고 당황스러우면서도 우리들에게 투자세계의 공포를 몸소 체감시켜준 그런 기간이었습니다. 다들 고생 많으셨습니다.
- 이후 약 만불 가까운 가격폭 내로 수많은 FOMO와 FUD를 이용해 엄청난 개미털기 무빙이 출현한 상황입니다. 크게 보면 고점은 낮아지고(LH) 저점은 높아지는(HL) 삼각 수렴 패턴을 형성중입니다.
- 일단 조금 큰 그림에서 제일 중요하게 봐야할 게 바로 로그 장기 상승 추세선입니다. 이번에 반등이 나온 구간이 이 노란색 로그 추세선인데 잘 지켜줄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지지 실패하게 된다면 추가 조정을 어느정도 염두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 3.7~3.8만불 부근에서 단기적으로 천장이 형성되었습니다. 어제부터 약 세번의 고점을 형성해주었으며(트리플 탑) 나중에 이 구간을 상방돌파 한다면 상승세가 어느정도 나올 수 있다고 봅니다.
- 추가하락 발생 시 기대해볼만한 지지구간은 34150~33750불(5/30 01시까지 유효)와 로그 추세선 부근인 32700~33300불입니다. 첫번째 지지구간은 단기 지지구간으로 롱 진입하실 분들은 손익절 짧게 잡으시는 게 좋겠습니다.
- 두번째 지지구간은 조금 더 손익절 길게 잡으셔도 좋지만 앞서 언급 드렸듯이 해당 구간 뚫리면 더 거시적인 관점에서 추가 하락세가 나올 가능성이 크니 꼭 손절가 잘 설정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개인적으로 제 보수적인 매매성향 상 저는 이 두번째 지지구간 지지여부가 컨펌이 되기 전까지는 비트코인을 안건드릴 예정입니다(제가 워낙 다양한 종목/상품들을 건드리기 때문에). 해당 구간이 뚫리면 저는 조금 길게 들고 갈 숏 자리를 찾을 계획입니다.
비트코인 4만불 위로 가주나요..!#비트코인 #1시간봉 #바이낸스 #토미
- 비트코인 1시간봉입니다. 현재 흰색 단기 하락 추세선 상방돌파를 시도중입니다.
- 차트상으로는 돌파를 하긴 했는데 바로 위에 매물대, 보라색 상승 추세선, 여러 피보나치 되돌림 레벨이 겹치는 구간이라 공격적인 롱 진입은 약간의 리스크가 있어보입니다.
- 근 몇일 내에 40K위에 다시 올라간다면, 즉 저 빨간색 구간을 상방돌파 해준다면 그래도 흰색 하락채널 상단인 44K~47K까지는 열어 두어도 좋지 않을까 싶네요.
- 고려중인 저항구간은 44.4K~45.1K, 46.8K~47.5K, 50.5K~51.2K, 그리고 54.5K~55.5K입니다.
- 오렌지 상승 채널 하방이탈 시, 단기 조정 어느정도 예상하시는 게 좋을 듯 싶으며, 32.5K~33.4K 말고는 딱히 매력적인 지지구간이 안보이네요.
리플을 한번 들여다보았습니다!#리플 #XRPUSDT #4시간봉 #바이낸스 #토미
- 최근 잔인한 변동성을 과시하고 있는 리플 4시간봉입니다. 5/19에 파란색 상승 추세선을 하방이탈하고 큰 하락폭이 출현한 상황입니다.
- 현재 중요하게 봐야 할 게 하단에 위치한 노란색 상승 추세선과 흰색 하락 채널입니다. 어제 노란색 추세선과 흰색 채널 하단의 지지를 받고 0.64부근에서 강한 반등이 나왔습니다.
- 추후에 추가 조정 발생 시 해당 요소들을 지켜줄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며 지지 실패 시 저점을 한 번 더 낮추러 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현재 고려 중인 지지구간은 0.80~0.84, 0.57~0.61(6/2 21시까지 유효), 그리고 0.44~0.48입니다. 두 번째 지지구간에 도달했다는 건 노란색 추세선이 뚫렸다는 뜻이기 때문에 해당 구간에서 매수 진입하실 분들은 손익절 짧게 잡고 단타로 진입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 눈여겨볼만한 저항구간은 1.14~1.18, 1.31~1.35(5/27 17시까지 유효), 1.43~1.47(5/31 17시까지 유효), 그리고 1.59~1.63(6/2 새벽 5시까지 유효)입니다.
엘리엇 파동 이론 관점으로 보는 앞으로의 가능 시나리오들#비트코인 #일봉 #바이낸스 #토미
- 엘리엇 파동 이론 관점으로 2021년 1월 9일 42K에 형성한 고점을 파란색 상승 충격 3파라고 가정했을 때 생각해볼 수 있는 시나리오들입니다. 그냥 대충 큰 흐름 참고하는 용도로만 보시길 바랍니다.
- 제가 가장 유력하게 고려하고 있는 파동 카운팅은 좌측 상단에 29K~66K까지의 파동을 Ending Diagonal 5파로 고려하는 케이스입니다. 이후 출현중인 하락 파동을 조정 A파로 고려하고 반등이 나온다면 조정 B파로 고려해볼 수 있겠습니다.
- 우측 상단에 있는 시나리오는 66K 고점을 조정 Expanded Flat B파동으로 간주하고 이후에 나오는 반등 파동을 Wave failure로 보고 WXY 조정 구조로 해석해본 카운팅입니다. 50K~66K의 파동이 5-3-5-3-5보다는 5-3-5 지그재그 파동 구조와 더 흡사한 부분에서 해당 카운팅에 유력성을 부여해볼 수 있겠습니다.
- 좌측 하단에 있는 관점은 60K에 형성된 고점을 파란색 Truncated wave 5파로 고려하는 시나리오입니다. 이후 30K까지 떨어진 파동을 조정 A파로 해석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카운팅은 파란색 5파의 세부 파동이 조금 억지스러운 부분이 있습니다. 노란색 세부 3파동이 조금 애매해보여서 그렇게 큰 가중은 두고 있지 않습니다.
- 마지막으로 우측 하단에 있는 파동은 최근에 나온 30K까지 나온 하락 조정 파동을 ABC 조정 파동으로 고려하는 카운팅입니다. 이 경우 C파가 Extended Wave, 즉 연장 파동으로 봐야되겠죠. 그러면 이제 새로운 상승 충격파동 사이클이 새로 시작되는, 현재 제가 보고 있는 시나리오 중 가장 Bullish한 시나리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