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상승 지속가능성과 파동 시나리오 (목표가 38k, 40k) 기존 아이디어에서 주목했던 노란색 임펄스 파동이 완료되었습니다. 5파 완성 후 ABC 조정으로 32~33k까지 조정을 줄 것으로 생각했으나 34k를 이탈하지 않고 가격을 지켜주면서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노란색 임펄스 파동 이후의 조정 파동의 형태를 보고 이전 파동과 중기 파동에 대한 힌트를 얻고자했습니다. 노란 임펄스 완성 후 0.236 되돌림을 지켜주면서 가격조정이 이루지지 않고 있는 바, 앞전 노란 박스 파동을 임펄스 파동으로 보고 한단계 큰 규모의 임펄스 파동 진행 가능성에 대해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에 기존에 주목하던 노란색 임펄스 파동을 큰 규모의 임펄스의 3파로 보는 것이 합당해보입니다. 그 말은 한규모 큰 임펄스 파동(빨간 임펄스)의 임펄스 5파가 남았다는 뜻이 되겠으며, 추가적인 고점 갱신을 생각해야 합니다.
1) 목표가 38k 파동
위 그림처럼 3파 연장 임펄스 파동이 나올 경우, 5파는 1파의 0.618 혹은 1:1의 비율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에 따라 목표가를 설정할 수 있겠습니다. 3파동이 연장되었기 때문에 5파동은 연장될 수 없는 바 이번 파동이 마무리될 경우 굉장히 좋은 숏 진입자리가 되겠습니다.
앞전 파동과 이어 생각할 경우에는 25k부터 상승한 ABC 파동이 마무리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2) 목표가 40k 파동
이 경우는 1파를 확장형 리딩다이아고날로 보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1파:5파가 1:1로 나올 경우 40k까지 진행 가능합니다.
이 경우는 저점부터 이어지는 파동이 WXY 혹은 ABC로 1:1 비율을 만족하는 자리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기존의 작은 임펄스 파동 카운팅에서 확장해서 중기 관점에서 두 가지 파동 카운팅을 살펴보았습니다. 두 파동의 공통점은 상방으로 임펄스 5파에 해당하는 마지막 임펄스 파동이 남았다는 점이며, 각각 38k, 40k를 목표가로 하고 있습니다. 이후 중기 상승이 마무리되고 해당 상승에 대한 하방 되돌림이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Elliotwaveanalysis
단기 비트코인 임펄스 카운팅 및 매매 전략비트코인 단기 1시간 차트에서 가능한 임펄스 파동 카운팅입니다. 4파에서 삼각형 파동이 출현하였고, 현 시점 4파 삼각형 조정의 b-d 추세선을 돌파하는 임펄스 5파의 소파동 1파가 완성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1) 4파 삼각형 파동 카운팅 (30분봉)
임펄스 4파에 일반적으로 출현하는 수렴형 제한 삼각형이 등장한 것으로 보입니다. 수렴형 제한 삼각형의 조건을 나열하지 않겠으나 모두 충족하고 있습니다.
물론 위 이미지와 같이 포스팅 시점에서 완료된 파동이 제한 삼각형 파동 중 D파이며, 순차적으로 E파 출현 후 임펄스 5파동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2) 임펄스 5-1파동 카운팅 (5분봉)
삼각형 파동의 b-d 추세선을 돌파하면서 나온 파동입니다. 5파가 가장 짧고, 1 & 3파의 0.618 비율을 정확히 만족하면서 조정이 시작되었습니다.
3) 전략
현재 파동 카운팅이 맞다면, 5-1파에 대한 피보나치 되돌림 비율과 b-d 추세선에 대한 리테스트가 진행되는 34.2k 전후가 진입타점, 3파 고점을 넘기는 35.5k부터 전체 임펄스 파동이 3파 연장 파동이므로 1파와 5파 1:1 비율자리인 36k를 목표가로 설정할 수 있겠습니다.
* 예상했던 중장기 예상 파동과는 다른 모습으로 나와 중장기 시나리오는 새롭게 셋업하고 있습니다. 중장기 시나리오 셋업하면서 위와 같은 파동카운팅에 입각해 단기 매매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Top-Down Analysis] 비트코인의 상승세는 유지될 수 있을 것인가.안녕하세요. Yonsei_dent입니다.
트레이딩뷰에서는 아주 오랜만에 인사드리는 것 같습니다.
이번 Top-Down Analysis에서는 비트코인의 상승 반전의 근거 및 이후 지속 가능성 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1. BTCUSDT, W1 chart - 엘리어트 교정파의 완성, 새로운 동인파의 시작?
BTCUSDT, W1
1) 이전까지의 엘리어트 파동 관점의 분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난 주의 움직임에서 8월 중순의 전저점이자, C파의 종결점으로 이전까지 보았던 $25.1k Level이 돌파당하며, $24.9k Level까지의 하락이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24.9k의 하락 포인트를 C파의 종결점 으로 수정할 수 있으며, 역시 A파의 저점을 깨지는 못하며, 불규칙 플랫(Irregualr Flat)과 유동 플랫 (Running Flat)의 중간 형태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유동 플랫의 경우에도 추가적인 하락 움직임이, 불규칙 플랫의 경우 최대 $21.7k 까지의 하락도 열려있을 수 있다는 점은 주의가 필요한 점입니다.
이 때의 판단 기준은 $24.9k Level의 지지 여부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4.9k Level이 깨질 경우 새로 시작된 동인파의 1파 저점이 깨진 것으로 판단.
$24.9k Level이 무난하게 유지될 경우 새로 시작될 동인파에 대해 기대해 볼 수 있음.
하락 발생 시 가능한 Level입니다.
불규칙 플랫 : B파가 A파의 100~123.6%, C파는 B파의 100% 이상, A파의 161.8% 이하
연장형 플랫 : B파가 A파의 100~123.6%, C파는 B파의 100% 이상, A파의 161.8% 이상
유동 플랫의 경우에도 $24.8k 까지는 재차 하락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으며, 불규칙 플랫의 경우 최대 $21.7k 까지의 하락도 열려 있을 수 있습니다.
2) 2주 간의 움직임은 예상했던 상승이 나와주었습니다. 이에 $24.9k의 하락 포인트를 C파의 종결점 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현재의 상승을 새로운 동인파의 시작 으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3) 현재 주봉 차트의 캔들패턴은 Bullish Engulfing Candle 이 나타났으며, 금주의 주봉이 $28k 이상에서 마감된다면 Three Outside Up (상승 장악 확인형) 패턴 역시 완성될 수 있습니다. 큰 틀에서의 상승세가 유지될 것 으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4) 다만, 현재 국제 정세 상의 매크로 이슈 등이 모든 자산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고려 하여 비중을 유지한 보수적인 투자를 권장드립니다.
2. BTCUSDT, D3 chart - Re-accumulation 의 진행 & 상승 채널의 형성
BTCUSDT, D3
1) Wyckoff's Reacumulation의 Schematic을 잘 따라가고 있는 양상이며, 관건은 "$30~ FWB:31K 까지의 무난한 상승이 나타나주느냐" 에 달려 있다고 생각됩니다.
2) 현재의 상승은 상승 채널을 형성해주고 있으며, 금주의 가격 Level은 채널의 중단에 머물러 있습니다. 지금의 움직임 대로 채널 상단을 테스트 하는 상승이 나와줄 수도 있지만, 방향을 바꾸어 채널의 하단을 테스트하는 하락이 나올 수도 있는 시점 입니다. LTF 분석을 통해 추가적인 방향성을 예측해보도록 하겠습니다.
3. BTCUSDT, D1 chart - 상승 추세선을 지켜주며 상승세 유지.
BTCUSDT, D1
1) 지난 위클리에서 Bullish RSI Divergence 를 언급드리며, 중기적 상승에 대한 근거로 작용할 수 있음을 설명드렸습니다. 새로운 지표를 적용했을 때 Bullish CMF Divergence 까지 겹쳐서 나타난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었으며 이를 미리 확인했더라면 보다 상승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차트에 적용된 새로운 지표의 경우 조만간 트레이딩뷰에 퍼블리시 예정입니다.)
2) 최근의 상승은 정석적인 비율의 AB=CD Pattern을 완성 시키며, 되돌림 역시 정석적인 비율로 일어났습니다. 추후 상승이 지속될 경우 Bullish Bat Pattern의 0.618 Level인 $29.4 k 까지의 상승 이 예상됩니다.
3) 약하락이 나타나 상승 추세선을 일시적으로 탈출 하는 Spring 등의 Liquidity Sweep 패턴이 나타날 가능성 은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4) 현재 CMF 지표는 -0.03으로 "0" Level에 근접해 있으며, 거래량이 뒷받침된 양봉이 나타나준다면 "0" Level을 상향돌파 하며 좋은 움직임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4. BTC.D, USDT.D, Total3 - 상승하고 있는 BTC.D, Total3, 하락 중인 USDT.D
1) 각각 비트도미넌스, 테더도미넌스와 토탈3, 아더도미넌스의 차트입니다.
BTC.D, D1
USDT.D, D1
TOTAL3 / OTHERS.D, D1
2) 장기적으로 설명드렸던 지표에 대한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습니다.
Total 3의 하락 ⇒ 알트 순환매의 종료 & 비트코인, 이더리움으로의 수급 증가
USDT.D의 하락 ⇒ 현재 상방추세선에 도달한 USDT.D가 SFP 이후 하락, 수급 증가가 일어남.
BTC.D의 상승 ⇒ 증가된 비트코인 수급으로 인한 비트코인 가격 & 도미넌스의 상승.
3) Total3의 경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제외한 시가 총액의 전체 합 을 뜻합니다. 이러한 Total3는 상승 채널을 형성하며 계속해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이는 당분간 알트 순환매의 지속 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OTHERS.D 역시 상승중이므로 알트 순환매의 지속은 당분간 유지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4) USDT.D (테더 도미넌스)는 상방 추세선 부근에서 Swing Failure Pattern 을 만들며 하락하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장기적으로는 Swing Low 를 만들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이며, 예상했던 하락세가 나타나주며 수급 증가 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5) 마지막으로 BTC.D (비트 도미넌스) 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비트 도미넌스 역시 하락 삼각 패턴 이후 상방돌파가 일어나며 상승 움직임 을 만들어 주었으며, 원했던 상승이 나타나는 모습입니다.
6) 결과적으로 위에서 언급드린 시나리오는 장기적으로 볼 때는 유지할 수 있으며, 크립토 마켓으로의 수급 증가 역시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현재 매크로적인 이슈가 어떻게 시장에 영향을 줄지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무리하게 진입할 시점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마지막으로 주요 지지/저항 Level을 정리하며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5. 주요 지지 / 저항 Level 정리
Resistance
1) D1 AB=CD D Point $28580
2) D1 Bullish Bat 0.618 Level인 $29.4k
3) D3 Chart의 Re-accumulation 주요 Level인 $30k ~ 31k
4) W1 Chart 상의 주요 Level인 $31.3k, $31.8k, $32.4k
Support
1) D1 AB=CD Pattern의 C-D 되돌림 Level인 $27.6k, 27k
2) D1 AB=CD 의 C Level 인 $25.9k
3) D2 Chart의 Re-accumulation AR Support Level인 $25.8k
4) D1 Bullish Bat의 X Point인 $24.8k
5) D2 Chart 상의 Wyckoff 주요 Level인 $25.2k, $24.2k
현재 크립토 마켓은 알트 순환매가 여전히 이어지고 있으나, 여러 지표들의 움직임은 긍정적인 모습입니다.
또한 비트코인의 차트 구조 역시 지지 구조를 다진 후에 상승 전환 양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현재 국제 정세 상의 불안 요소가 다수 존재하는 상태로, 이러한 매크로적 이슈가 어떻게 흘러갈지,
또한 자산 시장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수적인 투자가 필요한 시점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