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CUSDT Perp Binance 24년 11월07일
단기하락추세에 들어간것으로 보임
11월 5일 부터의 상승이나 10월 11일의 상승에 대해선 기대값을 약간 밑도는 상황이고
플랫 패턴의 반등으로서의 기대값은 살짝 채운 상황
마지막 급등의 시간대비 가격이 높았던데 비해
기대값을 채 채우지 못한채 하락중
고점을 갱신할 가능성도 고려해야하나 상단의 재돌입이 반복되는것을 보면
적어도 단기 추세 반전을 고려할만한 상황
개인적으론 아직 올해의 조정장이 끝나지 않은것으로 보고 있어
내년 초 까지의 하락의 시작이 될수도 있다고 봄
다만 고점을 갱신하는 움직임이 나올시 어느선까지 상승하느냐가
시나리오 폐기의 열쇠가 될듯
엘리엇 웨이브
BTCUSDT Perp Binance 24년 11월04일
이 아이디어는 내년 1월 초까지 하락장을 예상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음을 고려 바람
현재의 8월 5일 이후의 상승은 하락조정의 반등으로 생각하고있으며
이미 반등의 고점이 나왔거나 아니면 다시 하락 추세 전환을 위한
준비 작업 중으로 보고있음
기한은 다음주 화~목요일 사이가 유력해보이고 더 빠르거나 느릴수있을것으로 예상
늦어질 경우 다음달초가 될수도 있으나 현재로선 예상의 영역이 아닌듯
오늘 자정지나서 부터의 단기 반등은 저번달 말일 부터의 하락에 대한 반등으로 보고
빠르면 내일 저녁 늦어도 주말전에는 마무리 될것으로 예상
전체적인 반등은 71.2K를 넘지 않을것으로 예상하나
한가지 주의할점은 지난달 말의 고점을 갱신할 가능성도 아직 존재한다는 점
고점 갱신시 76.5K정도 예상 시점은 다음주 주말전
거래자체가 조심스러온 시점이지만 굳이 거래를 진행 한다면
단기적으로 상승에 배팅하는것이 더 나은 상황이라고 생각
단 추세를 거스르는 거래로 보이기 때문에 진입 시점과 로스 관리를 잘해야할듯
BTCUSDT Perp Binance 다시 돌아온 '30게이'
갈때 못가는 모습에 다시 하락의 기운이 높아지는 상황 같습니다.
작성중에 여러차례 레이아웃 저장이 되지 않아 여러 차례 같은 작업 반복으로
글로서 자세한 설명은 줄이고 차트만 남기겠습니다.
혹여나 이에대한 질문남겨주시면 코멘트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전체적으론 하락 의견이 되겠고 현상태는 신고점을 살짝 갱신하러가야하는
상황이어야합니다.
22년 상승이후의 상승은 3파까지의 상승이고 이후의 조정은 4파조정의 연장
으로 보는견해입니다. 극단적으로 2파의 4배이상 으로 늘어난 의견으로
너무 극단적이라 생각해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었는데
일단 4파의 연장이 불가능하지는 않은것으로 알고있고
이후 5파의 상승 여지도 기존의 샤크 패턴에 꼭 맞아 들어갈수있어
다시한번 주위를 환기 시키고자 남겨봅니다.
BTC에서 하모닉 패턴의 가격비율은 딱 맞아 떨어지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대략적인 모양이나 구간정도만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현 상황에서 벌어질수있는 3가지 상황의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단기 적으론 상승 2개, 하락 1개가 되겠습니다.
애초에 욕심이 과했는지 너무 복잡한거 같아 3가지로 나누어 올리는데........
개인적인 실수로 저장 확인을 하지못해 여러차례 같은 작업을 반복하는 바람에
완성도에서 아쉬움이 남습니다.
궁금 하신점이나 의견 남겨주시면 아는 한도내에 답변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BTCUSDT Perp Binance 개인적으로 롱을 고수하는 이유다음은 개인적으로 아직 롱의 입장을 고수하는 이유를 짧은 시간 테이블에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첫 화면에 보시면 한 눈에 보이시겠지만 현재의 상황을 확장 플랫 혹은 러닝 플랫
조정중으로 보고있기 때문입니다.
롱의 입장도 자세하게 여러 스크린샷을 첨부하려했으나
계속 진행중인 채널들이 중구난방으로 산재해있어 도저히 깔금하게
글을 작성하기 어려워 여러번 수정해
그냥 깔끔하게 단기 상황만 한눈에 이해갈수있도록 작도해 보았습니다.
롱의 입장에서 현재 3번째 파동의 진입을 목전에 두고있다고 보고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반론이나 의견 남겨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추신: 너저분한 스크린샷을 깔끔하게 정리하려 하락 의견과 동시에 올리지 못한점
양해바랍니다.
BTCUSDT Perp Binance 현재~25년 1월 시나리오이 아이디어에서는 상승에 대해 따로 길게 설명하진 않겠습니다.
다만 신고점을 갱신하는 상황이더라도 77K~99.3K구간에서 크게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 신고점 갱신의 주요 근거는 22년 말부터의 랠리가 상당히 가팔랐고
긴시간의 상승 대비 조정이 비교적 짧았(?)다는 점......
등이 보편적인 기술적 분석들의 근거라 생각합니다.
반면 위에 근거들로 하락을 예상할수있습니다.
랠리의 마지막 싸이클이 폭발적이었던데 비해 상대적으로 무난한(?)깊이의 조정,
조정의 기간이 짧았다는점.......등등 역시 같은 이유로 하락의 근거가 될수있습니다.
1. BTC는 각 사이클간의 상대적 시간 비율이 비교적 정확하게 맞아 떨어져 왔음
엘리엇 파동 자체의 폭넓은 예외 규정들 덕분(?)에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그것의 보완사항으로 추세 채널을 잘 사용한다면
견해차를 줄일수 있음을 다들 잘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채널이 필요없을정도로 누가 봐도 명확한 사이클들의 상승 기간대비 조정 구간의 비율
새해까지 조정이 끝나지 않았을수도 있다는 생각 입니다.
2. 3월의 하락시작후 8월의 저점이후 반등 추세의 시작을 무엇으로 볼지
상당히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개인마다의 채널 작도의 차이는 있을수있으나 보편적으로 생각되는 2가지 경우 모두
첫 물음표 구간을 임펄스 파동에 포함시키기가 상당히 난해하다 생각합니다.
첫 파동이라고 보기엔 채널 상단을 터치하지 못했고
둘째 물음표구간의 되돌림으로 인해 직전의 고점이 1파의 끝이 되어야하는데
첫번째 물음표 구간의 존재가 너무 크기에 둘째 물음표의 상대적으로 작은 조정과 함께
생각해본다면 쉽사리 이해하기 힘든 부분입니다.
상대적으로 5파 미달이나 절단이 나온상태여야하는데 조정이 작았던점등....
엘리엇 파동안에서 이유를 찾자면
'4파의 조정이 길고 깊어 2파가 상대적으로 눈에 띄지 않는다'같은 이야기가 수도없이
나올수있겠으나 사실 눈에 띄는 강세 파동 2개로 이루어진것이 조정구간일 가능성이
높다는것을 쉽게 이해하실거라 생각합니다.
1번과 2번을 합쳐 보자면....아직 횡보 조정 구간이며 현재의 상승은
하락 조정속의 반등일 가능성이 있다는 결론이 나올수 있다 생각합니다.
조금더 나아가 보자면 코로나 이후 불장의 조정에서 지그재그 패턴으로 하락한점과
현재의 조정은 플랫 패턴으로 볼만한 모습을 띄고있다는 점도
스윙 거래에 고려해볼만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론 22년도이후의 상승장이후 상당히 강한 하락을 신고점 갱신 이후에 예상하고
있었는데 여러가지 흐름상 '30게이'를 외치는 분들의 예상만큼은 아니겠지만
43.9K정도의 추가하락이 올 연말이나 내년초에 있을수도 있겠다 싶어
글을 올려봅니다.
스크린샷을 여럿 넣고 다양한 근거도 넣고 싶은데 현생에 치여 시간도 부족하고
능력도 부족하며......글도 복잡해지는것 같아
쉽게 판단 하실만한 쉬운 내용만 넣어봤습니다.
어떠한 반대 의견도 환영하며 조언 주실 부분이 있다면 남겨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개인적으로 현재 상승과 하락은 50:50이라 생각하지만
한동안 '신고점'랠리만 주장해온거 같아 환기차원에 하락 의견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다들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추가
시간상으론 하락시간 대비 반등시간이 충분히 소요된것으로 보입니다.
BTCUSDT Perp Binance 24년 10월 31일단기 상승 후 첫 조정의 끝 혹은 조정의 첫번째 하락이 끝나가는중
21시즈음 71.2K 부근에서 하락이 마무리 될것으로 예상
만약 이번 상승으로 단기 상승 고점을 벗어나지 못한다면
조정이 1~2일까지 늘어날 가능성도 고려, 허나 바닥을 갱신하는 정도의 조정은
없을것으로 예상
이번 상승이 폭발적 상승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일반적으로 75K 혹은 최소한 직전 고점인 73.7K정도까지의 상승 여력은 존재
폭발적 상승일 경우는 최소 76.2K~81K정도의 상승후 단기 조정이 있을것으로 예상
그리고 최소 77K에서 89.3K 사이에선 베어 샤크
89.3K~95.3K 부근에선 베어 싸이퍼 패턴 부근이라
신고점후 상당히 큰 하락도 대비해야함
개인적으로 하모닉 패턴이 완성될 가능성이 높지는 않다고 생각하나
현 국제 정세와 미대선, 국제적으로 자본시장에 대한 향후 지속적인 견재우려등
여러 정황이 위험자산들에 긍정적이지만은 않게 작용할 요소가 많음
BTCUSDT Perp Binance 24년 10월 29일정직한 상승을 보여주는 단계
계산된 시간과 가격을 만족한상태인데 추가 상승의 여지가 있을지 미지수
문제는 조정에 들어갔을시 하락이 어느정도 깊이가 나올지인데
일반적인 상황은 아니지만 68K정도의 조금 깊은 조정도 가능할만한 상황
개인적인 희망사항이 반영된 의견으론 바닥을 높여가며 상승 추세를 높여주길
바라봄.
11월 중순까지 강력한 상승 추세를 예상
오랜만의 불타기가 가능한 정도의 상승을 기대해봄.
한가지 의문점은 바이낸스 비트코인 선물이 지속해서 거래가 멈추는 상황이 발생
하는데......이것이 어떠한영향을 끼칠지 우려스러움
BTCUSDT Perp Binance 24년 10월 24일불반등으로의 시나리오는 실패하고
적절한 시간에 애매한 가격에서 반등이 나옴
19일 혹은 21일을 고점으로 보든 추세 변환 혹은 반등이 나와주는 사이클이니
상승에 큰이견은 없을테지만 이 상승의 조정때 바닥을 갱신하는 정도의 하락이라면
21일 고점에 좀더 무게가 실리게될듯
다시 말해 현재 C파가 종료되었다면 상승 추세 전환이고
B파가 진행중이라면 내일 오전에서 27일 오후 늦게까지의 조정 상황을 지켜봐야되는상황
전자라면 아직 불장의 여력이 남은 상태이고
후자라면 생각보다 깊은 조정으로 불장의 초입이라고 보기는 힘들다고 봄
어떠한 경우라도 현재 상승은 68K~68.8K 부근까지 상승 여력은 있다고 보임
241012 4hCharts are always living and breathing.
As inputs change, outputs change.
And so the perspective is constantly changing.
차트는 항상 살아 숨쉰다.
인풋이 생기면 아웃풋도 바뀐다.
고로 관점 또한 끊임없이 바뀐다
#B파 LEADING DIAGONAL
-B파가 상단 추세선 돌파 가능성
#전체 파동은 삼각 수렴
#주요 관점은 삼각 수렴 이후 상승관점
#B wave LEADING DIAGONAL
-Possibility of B wave breaking through the upper trend line
#The entire wave is triangular convergence
#The main perspective is the upward perspective after the triangle convergence
LG엔솔 신규 진입가 분석지긋지긋한 조정이 계속되었던 2차전지 대표주 LG엔솔
'23년 이후 지속된 ABC조정을 A파의 127.2% 311천원까지 마치고, C파의 마이너 조정 B파를 터치한 상황으로 추세 전환으로 판단합니다. 즉, 현구간이 새로운 1파를 완성하고 2파 조정 구간이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으로 1파 크기의 61.8%에 재진입이 확률적으로 높으며, 추세가 좋은 종목은 50%, 약한종목은 76.4%까지 되돌림을 줍니다.
따라서 기존 보유자의 경우 보유물량을 줄이고, 2파 조정시 재진입전략이 좋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재진입가
1차 : 50% 365천
2차 : 61.8% 353천
목표가
1차 : 161.8%자리 485 천
2차 : 176.4%자리 500 천
장기간의 조정으로 목표가 도달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차트상기간을 참고바랍니다.
240913 1hCharts are always living and breathing.
As inputs change, outputs change.
And so the perspective is constantly changing.
차트는 항상 살아 숨쉰다.
인풋이 생기면 아웃풋도 바뀐다.
고로 관점 또한 끊임없이 바뀐다
1. wedge로 인해서 단기 하락필요
2. wedge로 인한 하락 진행중이지만 시간이 오래걸림 -> y파로 삼각수렴 진행중으로 해석
3. 현재 4h 기준으로 거대 삼각수렴 진행중으로 가정
4. 만약 불규칙 wxy 파가 나온 것이라면 큰 상승 파동 나옴
5. 삼각수렴 진행과정에서 하단 추세선을 이탈한다면 하락 가능성
1. Short-term decline necessary due to wedge
2. A decline is in progress due to the wedge, but it takes a long time -> interpreted as a triangle convergence in progress with the y wave.
3. It is interpreted that giant triangular convergence is currently in progress as of 4h.
4. If an irregular wxy wave appears, a large rising wave appears.
5. Possibility of decline if it deviates from the lower trend line during the triangle convergence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