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체인 이해 #8] CVD란 무엇인가!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오늘은 CVD : Cumulative Volume Delta (누적 델타 거래량)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거래량 (Trading Volume)은 단순 매수와 매도의 총량 만을 알려주었다면, CVD는 매수 및 매도 중 어느 쪽에 무게가 실려있는지, 그 정도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알려주는 지표라 할 수 있습니다.
-----------------------------------------------------------------
< 목 차 >
I. CVD : Cumulative Volume Delta의 이해
I-1. CVD란?
I-2. 적용법 (Trading View)
I-3. 활용법 (CVD + MACD)
II. CVD를 통한 현 BTC 분석
III. Normalized CVD & Fire Chart (by Material Indicators)
IV. 결론
----------------------------------------------------------------
----------------------------------------------------------------
I. CVD : Cumulative Volume Delta의 이해
----------------------------------------------------------------
1. CVD란?
1) 용어의 이해
CVD 는 Cumulative Volume Delta 의 약자입니다.
거래량 (Volume)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아마 거의 없으실 것입니다. 차트를 해석함에 있어서 거래량 (Volume)을 확인하는 것은 기본 중의 기본이며, 해당 타임프레임 (일일, 4시간, 5분 등) 에 해당하는 거래량을 확인하는 것은 아주 간단한 일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그동안 얼마나 많은 거래량이 쌓여 왔는지 알고 싶다면 원하는 “기간” 만큼 거래량을 더하여 “누적 (Cumulative)” 함으로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누적 거래량(Cumulative Volume)이 특정 “기간” 동안에 해당하는 “거래량”을 단순히 더한 것이라면, CVD의 D, “Delta”란 무엇일까요?
Delta 는 단순히 Alpha, Beta 순의 “D” 가 아닌, 수학적으로 변수의 변화량을 의미하는 ‘Δ (Delta, δ)’ 를 의미합니다. 미적분에서 보았던 dx/dy의 그 “d” 란 말이지요. 골치 아픈 수학 이야기는 이쯤으로 하고 “Delta”는 “변수가 변하는 정도”라는 것만 알고 가시면 되겠습니다.
변수는 “변화하는 수” 이므로, 결국 우리가 “어떻게 변할지 궁금한, 알고 싶은” 요소를 “변수” 라 부를 수 있습니다. 여기서 CVD는 그 변수를 <매수 거래량과 매도 거래량의 차이>로 설정합니다. 자, 한 문장으로 정리해볼까요?
CVD : Cumulative Volume Delta 는 “매수 (Buy) 양과 매도 (Sell) 양의 차이를 누적해서 보여주는 지표” 라 할 수 있습니다.
2) 특징
--------------------------------------
① Delta 는 매수/ 매도 거래량의 차이를 의미한다!
Delta 는 매수 거래량 (Buy Volume)에서 매도 거래량 (Sell Volume)을 뺀 값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Delta가 양수 (+) 라면, 매수량>매도량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음수 (-) 라면 매수보다 매도가 더욱 많이 일어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Delta의 크기 (절댓값)가 커진다면 해당 추세가 더욱 강력하게 일어남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
② Delta를 Cumulative (누적) 함으로서 매수/매도 추세와 강도를 쉽게 알 수 있다!
차곡차곡 Delta를 쌓아간다면, 그리고 이를 그래프로 나타낸다면 매수 / 메도 중 어느 방향으로 시장이 흘러가는지, 그 세기는 어느 정도인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간단한 예를 들어볼까요?
10월 1일에 매수가 매도보다 100만큼 많이 일어났다면 Delta 는 100 일 것입니다.
10월 2일은 매수가 매도보다 50만큼만 더 일어났다면 Delta 는 50이 되겠군요.
10월 3일에 매수보다 매도가 30만큼 더 일어났다면 Delta는 -30이 됩니다.
이를 “누적” 시키면, 10월 1일 : 100 → 10월 2일 : 150 → 10월 3일 : 120 의 값을 나타내게 됩니다.
CVD가 해당 3일 간 100 → 150 → 120 으로 오르내리는 움직임을 보인다면, 그 정도와 격차를 토대로 매수, 매도 중 무엇이 얼마나 강하게 일어나는 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입니다.
--------------------------------------
③ 원하는 기간 (시작점과 마침점)을 설정해서 볼 수 있다!
CVD의 가장 큰 매력은 특정 기간을 설정하여 원하는 기간 동안의 매수 / 매도 거래량의 차이를 명확하게 볼 수 있다는 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적용법에서 설명)
--------------------------------------
④ 작은 타임프레임 (5분 ~ 30분 단위) 에서 효과적이다!
CVD는 델타 즉, 특정 기간의 시작과 끝 점 만을 고려하므로 High timeframe보다는 Low timeframe에서 더 다이나믹한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좁은 타임프레임 상에서 매수 / 매도 추세의 즉각적인 변화를 확인하는 것에 그 활용도가 높은 지표라 할 수 있습니다.
--------------------------------------
3) 해석
● CVD 증가
→ 매수 > 매도 추세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CVD 감소
→ 매도 추세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CVD 기울기가 완만한 경우
→ 해당 추세의 강도가 약함을 의미합니다. 기울기가 완만함을 지나 편평해지는 경우, 매수세=매도세로 추세의 반전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 CVD 기울기가 가파른 경우
→ 해당 추세가 강력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특히, CVD가 증가하면서 그래프의 기울기가 가파른 경우 강력한 매수세의 등장으로 상승 여력이 보다 늘어남을 알 수 있습니다.
----------------------------------------------------------------
2. Trading View 적용법
트레이딩뷰에서는 CVD 스크립트를 자체적으로 제작하여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상단 지표 선택 후, CVD 를 검색하시면 쉽게 최상단에서 해당 지표를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CVD가 나타났다면, 이제 Candles 설정 (작은 톱니바퀴) 에서 본인의 취향대로 설정 변경이 가능합니다.
“특징”에서 설명드렸듯, 타임프레임을 원하는 대로 설정 (Candle Reset 기점)할 수 있습니다. 여러 기능이 있으나 위와 같은 두 종류의 Reset 시기를 주로 사용합니다.
CVD를 캔들이 아닌 라인 형태로 적용하고 싶은 유저분들의 경우, 위와 같이 설정을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자, 이제 CVD를 직접 적용하여 트레이딩에 어떤 도움이 될 지 알아보겠습니다!
----------------------------------------------------------------
3. CVD 활용법 (MACD + CVD)
지표에 관한 글을 읽다보면, 꼭 빠지지 않는 문구가 있습니다. 바로, 단독으로 사용하면 신뢰도를 보장할 수 없다는 문구이지요.
CVD도 마찬가지로, 다른 보조지표와 조합하여 해석한다면 더욱 예측에 신뢰를 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활용법에는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를 곁들여 보도록 하겠습니다.
MACD는 장단기 이동평균선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매매신호를 포착하려는 기법입니다. MACD 값이 커질 수록, 단기 / 장기 이동평균선 간의 괴리가 커짐을 의미합니다.
MACD 지표는 MACD를 다시 지수이동평균 (EMA)로 산출한 Signal Line (주황선) 과 비교함으로서 그 의의가 있습니다.
MACD가 Signal 라인을 교차하면서 상향 (골든 크로스) 인 경우, 매수 진입을 고려할 수 있으며
MACD가 반대로 하향 교차 시 (데드 크로스) 하락 추세가 연장될 것으로 판단, 매도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MACD의 상향 / 하향 여부 및 기준선 상방 / 하방 위치 여부 역시 해석에 도움이 되나, 분량 상 간단히 소개 하도록 하겠습니다)
실제 BTCUSD 5분봉 차트를 기준으로, 예를 들어볼까요?
차트가 본격적인 상승세를 그리며, CVD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MACD도 골든크로스를 이루며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기존 캔들로 이루어진 단기 저항선을 돌파한다면,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상대로 저항을 돌파하면서 상승세를 확고히하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CVD 증가세 (기울기) 가 점차 완만해지고, MACD는 다시 signal line 아래로 역전 당하면서 상승 여력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것 같군요!
우려했던 대로, 상승세는 약화되어 다시 하락세가 나타났습니다. 단, CVD 기울기가 편평한 수준으로 일정한 것을 보아하니 매도 거래량과 매수 거래량이 비등함을 알 수 있군요!
MACD 역시 역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하락세로의 전환 또는 보합장이 이어질 것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후 BTC는 횡보를 이어가면서, CVD와 MACD 역시 미약한 움직임을 보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Market Price 캔들차트 하단의 거래량도 아주 미미한 상황이었군요.
이처럼 CVD와 타 보조지표를 결합하여 해당 추세가 어떻게 변화할 지 혹은 이어질 지 대략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
----------------------------------------------------------------
II. CVD를 통한 현 BTC 상황 분석
현재 (2022년 10월 28일 오후 12시 31분 기준), 5분봉 상에서 BTC는 약한 하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CVD는 등락을 반복하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우하향하고 있으므로, 매도 거래량이 매수 거래량보다 높은 상황입니다.
MACD timeframe은 30분으로 설정하였으며, 지속적으로 하락해온 상황이나, 우상방 변곡의 기로에 놓여있습니다.
MACD - Signal line 역시 격차가 좁혀지면서 골든크로스 가능성을 높히고 있군요.
1) CVD : 시장은 전반적으로 매도세가 이어지고 있다. 단, 그 세기 (경사도) 가 강하게 나타나진 않는다.
2) MACD : 지속적으로 하락하였으나, 상승 방향으로의 변곡 기로에 놓여있다.
→ 따라서, CVD 지표가 일시적으로 상승하면서 MACD-Signal line의 골든크로스가 이루어지면 일시적 (6 frame : 30분 내외) 인 상승을 보일 수 있겠으나, CVD가 전체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므로 아주 짧게 매수 / 매도 타이밍을 설정하여야 합니다.
→ CVD는 작은 타임프레임에서 움직임이 보다 뚜렷하므로 단타 혹은 초단타 트레이딩 시 적용이 권장됨을 알 수 있습니다.
----------------------------------------------------------------
----------------------------------------------------------------
III. Normalized CVD & Fire Chart (by Material Indicators)
CVD가 무엇인지 이해하셨나요?
매수와 매도 추세를 쉽게 알 수 있다는 것은 분명 도움이 되는 일이지만, 그 흐름이 개인 (새우)과 같은 소규모 투자자들에 의한 것인지, 기관과 같은 대형 세력 (고래) 들에 의한 것인지 알 수 있다면 추세 파악을 더욱 분명하게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를 가능케 해주는 것이, Material Indicators 라는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CVD 차트 입니다!
해당 CVD 지표는 BTC 보유량 별 CVD를 나타내는 지표로, Binance 거래소를 기준으로 소규모 ~ 대규모 BTC 보유자들의 매수 / 매도 경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아쉽게도 유료로 제공되는 자료이지만, “Material Indicators”를 Twitter 상에서 팔로우 하시면, 1-2일 간격으로 해당 차트를 업로드해주니 실시간 활용하실 목적이 아니라면 트위터 포스팅 만으로도 충분히 자료를 얻을 수 있습니다.
0) CVD & Fire chart 소개
위 차트 중, 상단의 붉은 영역으로 이루어진 차트가 “Fire Chart” / 하방의 여러 색의 실선으로 이루어진 차트가 보유 그룹 별 CVD 차트입니다.
하방 CVD 차트의 경우, 각 실선이 주황 → 초록 → 빨강 → 보라 → 갈색 (파랑은 전체 주문량) 순으로 보유 규모를 달리하여 나타내는 것이 장점입니다. 단, 해당 CVD는 포준화 과정을 거쳐 보기 쉽게 제작된 것이 아닌, 실제 CVD 량 그대로를 나타내는 “Absolute CVD”임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1) Normalized CVD & Fire Chart의 해석
앞선Absolute CVD에서는 고래의 거래량과 새우의 거래량 차이가 너무 크기 때문에 그룹 간 CVD 경향의 비교가 쉽지 않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집단 별 CVD 를 모두 0.00~1.00 의 동일한 범위로 표준화하여, 상대적인 변화도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만든 것이 “Normalized CVD” 차트 입니다.
보시면, Absolute와 달리, 각 집단간의 움직임을 명확하게 비교할 수 있습니다. 특히, 현재 고래의 CVD는 증가하였으나 새우 집단의 CVD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이 인상적입니다. 고래는 매집을, 새우는 매도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겠군요.
Fire Chart는, 특정 가격 구간에 존재하는 매물대의 양을 색으로 표현해 직관적으로 전달해줍니다.
색이 밝을 수록 두텁고 강한 매물대가 되어, 지지 혹은 저항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보시면, 직전에 존재하던 20.8K 구간에 강하게 몰려있던 매물대가 해소되고 20.45K 구간의 매물대는 탄탄하게 유지되어 지지로 작용해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Normalized CVD 와 Fire chart는 BTC 보유 집단 별 매수/매도 경향과 어느 가격대에 매물이 집중되었는지 알 수 있어 매우 유용한 툴이라 할 수 있습니다.
----------------------------------------------------------------
----------------------------------------------------------------
IV. 결론
기술적 분석에는 참으로 다양한 지표와 해석 도구들이 존재하며, 이들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잘 사용하는 지의 여부가 트레이딩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차트는 투자자들의 매수와 매도가 어우러져 그려지는 작품이라는 점을 생각한다면 거래의 정도를 다루는 “거래량” 은 무엇보다 중요한 개념일 것입니다.
CVD는 그러한 거래량을 매수 / 매도의 시각으로 분리하여 나타내어 단순 시장 참여도 만을 보는 것이 아닌 해당 자산의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습니다.
이를 MACD와 같은 타 지표들과 활용하면서, 동시에 III에서 소개한 Normalized CVD, Fire chart 등을 적절히 접목하신다면 본인의 트레이딩에 더욱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
긴 글 읽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커뮤니티 아이디어
[22.10.28] 비트코인(BTC)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돌아온 트레이더 아돌입니다.
금일의 비트코인 시황분석입니다.
차트타입 : 뉴트럴. 크게 롱방향으로 조감하나, 작은시간대에 일목이 음운이 드리워져 있으므로,
현재 시점에서는 뉴트럴로, 시장을 지켜보는 위치가 적절하다는 판단입니다.
분석구조 : TOP-DOWN 방식. 숲을 보고 나무를 보라.
차트구성 : 가로 + 세로 = 가격 + 시간. 반드시 시간분석을 함께 하라.
포맷구성 : 일봉 - 4시간 - 1시간 - 15분봉 / 패턴분석, 가격분석, 시간분석 / 스킬
일봉)
패턴분석 : 역사적 고점을 만든 이후 약 1년간 하락하면서 하락쐐기형태로 수렴을 하고,
10월에 들어서면서 큰 하락추세를 벗어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2022년 5월부터 6월까지 하락한 크기만큼 옆으로 횡보하면서 힘의 균형을 맞췄습니다.
가격분석 : 2022년 10월까지 중요한 상단 가격선은 21070 입니다. 11월부터는 20480으로 이동됩니다.
2022년 10월까지는 중요한 하단 가격선은 19400 입니다. 여기를 꺠지 않는 전제로 횡보를 지속합니다.
시간분석 : 추피시를 사용합니다. 추피시란? 추세기반 피보나치 시간의 줄임말로,
교육내용은 연관 아이디어에 링크되어 있습니다. 일봉상 중요한 시간대 11/1~3일, 23년 1/22~24 입니다.
스킬 : 최근 시장에서 적합성 판단에 일목으로 보는 것이 잘 맞습니다. 이유는, 변동성이 줄어들고,
횡보하는 구간이 늘어난 곳이기 떄문입니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은, 매매횟수를 남발하지 않는 것과,
변곡타이밍을 적절히 잡을 수 있는 것, 두가지로 보는데, 일목이 한번에 두가지를 잡을 수 있게 해줍니다.
마찬가지로 개념은 연관 아이디어에 링크되어 있습니다.
4시간)
패턴분석 : 둥근 바닥형입니다. 저점을 낮추다가 9/22 최저점을 만들고 이후에 저점을 조금씩 높이면서,
차트그림과 같이 둥글게 하방을 감아올리고 있는 형태입니다. 파동(일목파동)상으로 5파 하락이 끝나고
현재 상방으로 전환되는가 아닌가 갈림길에 있습니다. 일목파동 역시 연관 아이디어 일목의 내용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시간분석 : 현재 차트의 진행속도에 따라 11/3 시간대가 중요하게 잡힙니다. 기준은, 4시간봉에서 형성된 일목 양운과
닿는 시간을 분기점으로 보는 것으로, 기준은 일목에 있기에, 캔들이 움직이는 속도에 따라 시간은 앞뒤로 약간 변경 될 수 있습니다.
스킬 : 더 작은 시간대로 pass
1시간)
패턴분석 : 더 가까운 시간대에서 볼만한 것은, 하락추세선에 대한 돌파입니다. 추세선을 보고 돌파냐, 저항이냐 판단할때,
많이 두드릴수록 돌파확률을 높이보고 생각을 이동해가므로, 그 기준은 4번째 터치에 통계적으로 가장 빈번합니다.
초록색 하락추세선의 돌파 역시 4번째 두드릴 때(4수생은 못참치) 성공하여 전환이 발생하였습니다.
간팬사용 - 트뷰 좌측 도구에 있습니다. 저점과 고점에 1/1선을 연결하고, 비율로 나눠지는 다른 선들을 지지/저항, 시간의 기준으로
활용하는 도구입니다.
2/1선은 양운과 결을 같이하고, 그 아래 4/1선은 둥근바닥을 이루는 곡선의 추세와 결을 같이 하니, 현재 1시간봉 이하 단기적인
흐름에서는 그림과 같은 간팬 하나로 위치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다른 자리들이 중첩되므로.)
시간분석 : 짧은 조정으로 끝나고 추가 상승시에는 2/1선을 지지받고 오르고, 시기는 10/30~11/1 에 그림이 나올 것이고,
조정을 균형에 맞춰서 주고 상승을 바라보기 위해서는 음운을 만들고 4/1선을 지지받는 것 까지 확인하고 롱을 생각하니,
적절한 시기는 11/10 전후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11/10 전후는 일봉의 시간과도 연결되며, 일봉의 일목 음운이 상대적으로 얇은 구간입니다.
스킬 : 캔들패턴을 사용합니다. 20410을 종가로 넘는 봉이 나오기 전까지 롱은 약세입니다. 롱을 보더라도 그것은 추세방향에 따르는
추세매매에 의한 롱이 아니라, 떨어지는 가격을 받아먹는 역매매입니다(예시 : 다이버 활용)
15분봉)
패턴분석 : 파동 안에 파동이 쪼개지는 그림입니다. 큰인형 안에 작은 인형이 계속 들어있는 마트료시카를 연상하게 만듭니다.
차트 원리는 마트료시카와 같습니다. 현재 5파동 상승이후, 조정파동으로 첫 하락이 지난밤부터 내려온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락지점은 일목으로 판단하여 타점을 잡을 수 있고, 교육을 진행했습니다.
시간분석 : 빨간색 하락추세선과 만나는 지점이 곧 시간입니다. 당장에는 기다림이 필요한 위치입니다.
스킬 : 캔들패턴을 사용합니다. 20463을 종가로 넘는 봉이 만들어 지기 전까지 상승을 생각하지 않습니다. 옆으로 시간이 흘러가면서
양봉과 음봉의 규칙을 만들어내면 넘어야 하는 기준선이 바뀔 수 있습니다. 현재 시간에서는 20463입니다.
기타시간 : 역사적 변곡점. 역사적 변곡점이란? 저만의 데이터로, 일종의 시간에 관한 통계입니다.
어떤 그림과 상관없이 이 시간대만 오면 변곡이 자주 발생하더라..하는 시간을 역사적(지난 과거 차트의 합) 데이터로 수집한 것인데,
이 시간대는 외부적인 이벤트(만기일이나, 여러 사건들)가 겹칠때가 많아 잘 맞습니다. 참고해볼 수 있는 내용입니다.
역사적 변곡점) 주요 포인트3 : 5~7일, 10~12일, 22~24일 / 주요 무빙은 월말에 자주 일어납니다.
차트로 보는 예시
과거차트지만, 이후의 시간대에도 시간축을 표기해보면 맞게 됩니다.
하단의 아이디어 링크들을 통해 기타 필요한 내용을 참고해 학습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주요 시황과 매매에 도움이 되는 교육 내용들을 지속적으로 다룰 것입니다.
팔로우 해두시면 알림을 통해 빠르게 게시글을 받아 볼 수 있습니다.
곧 다룰 내용 : 추천지표와 사용법. why? & how ?
오늘하루도 기분 좋은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
MACD 지표 사용법 😉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
안녕하세요. 오늘은 장기와 단기 지수 이동 평균 (EMA)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매매신호를 포착할 수 있는
Gerald Appel 제럴드 아펠의 MACD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MACD : 단기 지수이동평균 - 장기 지수이동평균
한국어로는 이동평균 수렴&확산 지수 라는 뜻으로, 흔히들 엠에이씨디, 또는 맥디라고 부릅니다. 😉
장기 (지수)이동평균선과 단기 (지수)이동평균선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흐르다 어느 지점에서 교차하는 순간이 생깁니다. 바로, 이 성질을 이용하여 사용하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로 사용됩니다.
이 지표에는 3가지의 주요 구성 요소가 있습니다.
라인 1 : 12 일 EMA
라인 2: 26 일 EMA
시그널(신호) 라인 : MACD 라인의 9 일 EMA
1. 히스토그램 읽는 방법
가운데 녹색과 빨간색으로 이루어진 부분을 히스토그램이라 합니다.
요컨대, MACD가 양수(+)에 머물러 있고 히스토그램 값이 증가하면 강세 모멘텀이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MACD가 음수이고 히스토그램 값이 감소하면 약세 모멘텀이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즉, 히스토그램은 강세장인지 약세장인지를 보여줄 뿐 아니라, 그 힘이 점점 강해지고 있는지, 약해지고 있는지를 함께 보여줍니다.
기본적인 읽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운데 MACD 히스토그램 값이 음(-)의 값에서 양(+)값으로 바뀌면 상승 추세로의 전환을 의미하고,
양에서 음의 값으로 전환되면 하락 추세로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2. 교차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사용법
MACD에서는 n일 지수이동평균을 시그널 선이라 하며, 가장 대표적인 MACD의 사용법으로는 교차신호를 이용한 전략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신호는 MACD 선(파란선)이 시그널선(주황선)과 교차하는 순간이 생깁니다.
이 교차가 일어나는 시점은 장단기 지수이동평균의 차이가 최대가 되는 시점입니다.
매수 신호: MACD선이 시그널선을 상향 돌파할 때는 매수 시점
매도신호: MACD선이 시그널선을 향해 하향 돌파를 할 때는 매도 시점
3.다이버전스를 이용하는 사용법
RSI와 마찬가지로 다이버전스를 이용하는 전략이 있습니다. 가격의 움직임과 MACD선의 추세가 서로 반대방향을 보여줄 때의 다이버전스를 이용하는 전략입니다.
MACD는 정확한 두 가지 지표가 포함되어 있는 강력한 기술지표 입니다.
MACD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여기 를 클릭하세요!
이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성투하세요.
팀 트레이딩뷰 💖
[미국지수] S&P(SPX500) 단기 매도 노려볼 수 있는 구간⭐ 서 론 ⭐
안녕하세요 차트왕도 입니다.
제 주 종목이 주식이다 보니 해외선물은 간간히 자리가 있을 때나 확실할 때만 진입하는 데
오랜만에 S&P 공매도 노려볼 좋은 자리가 있어서 공유하게 되었습니다.
⭐ 본 론 ⭐
🔍 아이디어
엘리어트 파동의 심화 과정인 시나리오를 통한 매매법을 기본으로 하였습니다.
현 S&P 자리는 엘리어트 파동에서 4가지 시나리오를 기대해볼 수 있는 자리인데요.
네 가지의 시나리오 모두 공통적으로 하락이 나오는 그림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자리여서
그 단기 하락을 먹는 매매법이 되겠습니다.
🟠 1번째 시나리오
현재 주가가 상승 5파동 속 3파동 속 4파 진행 과정일 경우
앞으로 3파동 속 5파를 기다리다가 4시간 봉으로 RSI 하락 다이버전스가 완성되면 매도 진입
🔴 2번째 시나리오
현재 주가가 ABC 파동 속 C파동 속 4파 진행 과정일 경우
앞으로 C파동 속 5파를 기다리다가 4시간 봉으로 RSI 하락 다이버전스가 완성되면 매도 진입
🔵 3번째 시나리오 (엔딩 다이아고날)
현재 주가가 ABC 파동 속 C파동 속 4파 진행 과정일 경우
앞으로 3파동 속 엔딩 다이아고날 형태의 5파를 기다리다가 4시간 봉으로 RSI 하락 다이버전스가 완성되면 매도 진입
🟢 4번째 시나리오 (엔딩 다이아고날)
현재 주가가 상승 5파동 속 3파동 속 4파 진행 과정일 경우
앞으로 3파동 속 엔딩 다이아고날 형태의 5파를 기다리다가 4시간 봉으로 RSI 하락 다이버전스가 완성되면 매도 진입
• 여기서 핵심 포인트는 1번째 시나리오든 2번째 시나리오든 3번째 시나리오든 공통적으로 하락하는 구간이 있다라는 겁니다.
이 구간에서 숏을 쳐서 공통 하락 부분만큼만 먹고 나오는 전략이라는 겁니다.
손절은 RSI 하락 다이버전스를 완성시킨 고점 바로 위에 손절 두면 됩니다.
⭐ 결 론 ⭐
엘리어트 파동의 심화 과정인 시나리오를 통한 매매법이 핵심
위 이미지들에서 보이는 초록색 박스 구간 만큼의 단기 하락을 먹는 전략
만약 한 파동 상승 + RSI 하락 다이버전스가 나오지 않고 전고를 돌파 상승하게 되면 매매진입 X
진입 후에 포지션 조절은 코멘트에 작성할 예정
--------------------------------------------------------------------------------------------------------------------------------------------------------------------------------------------------------------------------------------------
최대한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시황을 쓰려 노력하고 있으며
팔로우를 하시면 실시간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알림 받을 수 있습니다.
좋아요와 댓글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매너있는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차트 분석 요청하고 싶으신 종목이 있으시다면, 댓글에 남겨주시면 순차적으로 요청에 따른 분석 해드리겠습니다.
(사정상 모든 분들을 해줄 순 없다는 점 유의해주시길 바라겠습니다)
#주식
#미국지수
#미국주식
#국내주식
#국내지수
#S&P
#코스피
#코스닥
#나스닥
#NASDAQ
#SPX
※ 본 게시글에 나타난 모든 의견은 자료 작성자의 개인적인 견해로,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습니다.
※ 본 게시글은 투자를 유도하거나 권장할 목적이 아니라 투자자들의 투자 판단에 참고가 되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올려진 게시글입니다.
※ 당사는 본 게시글의 내용에 의거하여 행해진 일체의 투자 행위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 본 게시글은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캔들강의 #3 심화강의(2) ] 하락세 전환 패턴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기본 교육자료의 첫 번째 주제는 캔들입니다.
캔들 교육 자료를 총 5부작으로 제작 후 차례로 업로드해드릴 예정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목 차 >
< #1 캔들의 기초 >
I. 캔들스틱의 형성 원리 (몸통과 꼬리에 대한 이해)
II. 캔들스틱의 중요성 (Feat. 매물대, 추세선 그리고 변동성과 청산)
III. 단일 캔들스틱의 종류
< #2 캔들 심화강의(1) 상승세 전환 패턴 >
I. Three White Soldiers (적삼병)
II. Morning star (샛별형)
III. Bullish Engulfing (상승 장악형) & Three Outside Up (상승 장악 확인형)
IV. Bullish Harami (상승 잉태형) & Three Inside Up (상승 잉태 확인형)
V. Bullish Counter-attack Line (상승 반격형) & Bullish Piercing (상승 관통형)
< #3 캔들 심화강의(2) 하락세 전환 패턴 >
I. Three Black Crows (흑삼병)
II. Evening Star (석별형)
III. Bearish Engulfing (하락 장악형) & Three Outside Down (하락 장악 확인형)
IV. Bearish Harami (하락 잉태형) & Three Inside Down (하락 잉태 확인형)
V. Bearish Counter-attack Line (하락 반격형) & Dark Cloud Cover (흑운형)
< #4 캔들 심화강의(3) 지속 패턴 >
I. Rising / Falling Three Methods (상승/하락 삼법형)
II. Bullish / Bearish Seperating Lines (상승/하락 갈림길형)
III. Fooling Three Soldiers (바보적삼병)
IV. Upside Gap Tasuki (상승 타스키 갭형)
V. 하락 지속캔들 총정리 (On neck, In Neck, Thrusting Line)
< #5 캔들 심화강의(4) 도지 >
I. 도지캔들의 기초
II. Dragonfly Doji & Gravestone Doji
III. Bullish / Bearish Tri-star (상승/하락 세 십자형)
IV. Bullish / Bearish Harami Cross (상승/하락 십자잉태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3 캔들 심화강의(2) 하락세 전환 패턴 >
지난 2부는 하락세에서 상승세로 전환되는 캔들 패턴에 대해 다뤄보았습니다.
3부의 내용은 캔들 심화강의 2편, 하락세 전환 패턴입니다.
상승세에서 하락세로 전환될 때 나타나는 5가지 패턴에 대해 다뤄 볼 예정입니다.
실전에 적용하기 쉽도록 줄글을 최대한 배제하고 간결하게 써보았습니다.
누구나 읽을 수 있을 정도로 쉽게 작성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I. Three Black Crows (흑삼병)
< 성립 조건 >
1. 시가와 종가가 계속 하락 할 것.
2. 위아래 꼬리가 길지 않은 음봉이 3개가 연속적으로 나타날 것 .
< 의미 >
1. 통상적으로 주가가 일정폭 이상으로 상승한 고가권에서 출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흑삼병 이후 하루 반등하는 경우를 적일병 이라고 합니다.
(Long 포지션의 경우 탈출, Short 포지션의 경우 진입 시점으로 사용할 수 있겠죠?)
< 실제 사례 >
*Comment : 상승 추세의 막바지에 뒤에서 다룰 '하락 장악 확인형 패턴' 이후 흑삼병의 출현으로 급격한 하락세를 보인 실제 사례입니다.
**Comment : 특히 “첫 음봉의 종가 = 두 번째 음봉의 시가”, “두 번째 음봉의 종가 = 세 번째 음봉의 시가” 인 경우를 Identical Three Crows (동일 흑삼병) 이라고 하며, 이는 매우 드물지만 아주 강한 하락의 신호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II. Evening star (석별형)
< 성립 조건 >
1. 첫 번째 캔들 : 상승 추세 에서의 긴 양봉
2. 두 번째 캔들 : (상승 Gap을 두고) 생기는 작은 몸통의 Spinning top or Doji 캔들.
3. 세 번째 캔들 : (하락 Gap을 두고) 첫 번째 양봉의 50% 이하로 하락하는 긴 음봉이 발생.
< 의미 >
1. Spinning top 과 Doji는 추세 전환의 가능성이 높은 캔들입니다.
2. 거래량을 동반한 긴 장대음봉일수록 강한 분위기의 반전을 의미합니다.
< 실제 사례 >
*Comment : 위의 성립 조건에서의 Gap은 원론적인 설명이며, 크립토 마켓이라면 크게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Comment : 두 번째 캔들이 양봉인 것보단 음봉인 것이, 그리고 Doji 캔들인 것이 더 신뢰도가 높습니다.
***Comment : 세 번째 캔들의 거래량이 많을수록, 음봉의 길이가 길수록 신뢰도가 높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III. Bearish Engulfing (하락 장악형)
& Three Outside Down (하락 장악 확인형)
< 성립 조건 >
1. 첫 번째 캔들 : 짧은 양봉의 출현 ( 상승 추세의 마지막 에 출현)
2. 두 번째 캔들 : 짧은 양봉을 완전히 감싸는 긴 음봉의 출현 (Engulfing; 장악형 캔들)
3. 세 번째 캔들 : 두 번째 캔들보다 하락한 음봉의 출현 (Three Outside Down)
< 의미 >
1. Bearish Engulfing을 명확하게 확인시키는 것이 Three Outside Down 패턴입니다.
2. Bearish Engulfing과 Three Outside Down 패턴은 빈번하게 나타나며 신뢰도가 높은 패턴 입니다.
3. 보수적인 포지션 설정을 위해서는 Bearish Engulfing 이후 추세를 살핀 후 진입을 권장드립니다.
4. 두 번째 캔들의 거래량이 뒷받침될수록 확실한 Signal 입니다.
< 실제 사례 >
*Comment : 위 사례는 BTC 주봉 차트를 가져왔습니다. 캔들 패턴의 경우 시간, 분 단위의 짧은 흐름의 거래에서도, 주봉, 월봉 등의 긴 흐름의 거래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mment : 첫 번째 봉의 크기가 작을수록 신뢰도가 높습니다.
***Comment : 두 번째 봉의 크기가 클수록, 완전히 감쌀수록 신뢰도가 높은 패턴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IV. Bearish Harami (하락 잉태형)
& Three Inside Down (하락 잉태 확인형)
< 성립 조건 >
1. 첫 번째 캔들 : 긴 양봉의 출현 ( 상승 추세 의 지속)
2. 두 번째 캔들 : 긴 양봉에 완전히 감싸지는 짧은 음봉의 출현 (Harami; 잉태형 캔들)
3. 세 번째 캔들 : 직전 봉들의 저가보다 하락한 긴 음봉의 출현 (Three Inside Down)
< 의미 >
1. Bearish Engulfing (하락 장악형) 패턴의 반대 개념입니다.
2. Bearish Harami의 경우는 빈번하게 나타나지만 급격한 반전의 신호는 아닙니다.
3. 보수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Bearish Harami 이후 추세를 살핀 후 진입을 권장드립니다.
< 실제 사례 >
*Comment : 두 번째 캔들이 Doji 캔들인 경우를 Bearish Harami Cross라고 부르며, Bearish Harami에 비해 보다 더 강한 Signal을 나타냅니다.
**Comment : Bearish Harami는 신뢰도가 높지 않지만, Three Inside Down은 신뢰도가 매우 높으며 자주 나타납니다.
***Comment : 크립토 마켓의 특성 상 Gap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V. Bearish Counter-attack Line (하락 반격형)
& Dark Cloud Cover (흑운형)
< 성립 조건 >
1. 첫 번째 캔들 : 상승 추세에서 나타나는 긴 양봉
2-1. 하락 반격형 : 상승 Gap 이후 발생한 음봉, 음봉의 종가가 양봉의 종가와 비슷할 때.
2-2. 흑운형 : 하락 Gap 이후 발생한 음봉, 음봉의 종가가 양봉 몸통의 50%보다 더 하락할 때.
< 의미 >
1. 상승 추세 마지막에 상당한 매도세가 진입 하였음을 의미합니다. (추세의 반전)
2. 신뢰도가 높은 Signal 이며, 당연하게도 ‘하락 반격형’ 보다는 ‘흑운형’이 강한 Signal입니다.
< 실제 사례 >
*Comment : Gap이 발생하지 않는 크립토 마켓에서는 나타날 수 없는 패턴으로, 사례도 Apple과 Netflix의 주식 차트를 참고하였습니다.
**Comment : 첫 번째 사례의 경우 하락 추세에서 상승 관통형 캔들의 출현 후 추세전환, 상승 추세에서 하락 반격형 캔들의 출현 후 추세전환, 하락 추세에서 Three Outside Up 패턴 출현 후 추세전환이 일어났습니다. 캔들 강의 2, 3편을 잘 담고 있는 사례입니다.
***Comment : 거래량이 동반되는지 꼭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어쩌면 모든 공부는 암기에서 시작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주요 패턴은 완전히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이상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슬슬 롱을 추매해보자
나스닥은 113 지지로 마무리를 해주었고 개장하고 113지지하는게 롱입장에선 유리하다고 보시면 되실꺼같습니다.
결국 113 지지가 되지않아 다시 186까지 내려온 부분이기 때문에 113 체킹입니다!
작성중에 최저점에서 0.7% 정도 나오긴했는데 무빙없는 횡보라 내일은 주말에도 무빙이 급격하게 나올지 봐야할꺼 같습니다.
현재 비트 추세선에서 매수후 187에서 192에 반절 날린후 홀딩중입니다.
현재 비트는 위로는 19450 19800 까지 보고 있습니다.
현재 핑크장기 추세선에서 비비고 있으며 위로칠시 194 매물대 지지를 하면 198까지 열려 있다고 봅니다.
만약 주말에 내려온다면 저는 187 185 에서 재매수 예정입니다. 매도가는 똑같이 194~198로 보겠습니다.
언급드리고 2차 저항선이 19850 내려와서 라인인 19700에서 비트는 막혔습니다 숏자리 면서 쌍고 라인입니다 전고가 197 라인 이라 방에선 숏 언급 드렸고 19880 까지 치지 않아 올 익절 날린후
현재 192에서 189까지 재 매수 예정 입니다. 187 롱은 나머지 들고 있고 개인적으론 내일까지 187~185가 내려오지 못할 느낌이라 롱은 189~192 분할 매수 예정입니다
19230까지 내려왔는데 딱히 매수를 못해서 내일까지 188 닿지 않으면 비트를 더 매수할 예정입니다. 여전히 큰 방향성은 보여주지 않았고
오랜만에 보는 토탈캡도 응축해주고 추세선을 넘겨주고 장추세선 1003을 넘기길 기대하고 있고
단기 날봉 리테구간인 860도 눈여겨 보시면 좋으실꺼 같습니다.
나스닥도 113을 잘 지지 하고있는 모습입니다. 만약 내린다면 여전히 강조 드린 주봉 0.5라인 110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롱 입장 에선 추세선 116을 넘기는게 좋아 보이며 110 이탈시에는 롱도 어렵다고 보고 있습니다.
현재 롱은 192와 핑크 장기 추세선으로 ↑ 표시한 189라인에서 롱 트라이 해보시면 되실꺼같고
보수적으론 언급드린 185~187 라인에서 받아보시면 되실꺼같고 손절은 -2% 정도 생각하시면 될꺼 같습니다.
숏은 지금 트라이할 생각은 딱히 하지않고있고 2차저항라인인 196에서 지지한다면 저는 더더욱 숏 칠 생각은 당분간은 하지 않을꺼 같습니다.
APT같은경우 현재 1618을 더치고 2에서 멈춘후 10%가량 내려왔고 흰색 상승추세선 라인에서 리테하면서 9%가량 반등나왔었습니다.
현재 추세선을 이탈하려는 모습인데 현재 이탈시 다음추세선 상승추세선 라인인 12%까지 밑으로 열려있어서 다시 재차 말아올리지 못한다면 -2%손절 내외로 숏도 손익비가 좋은 자리인거 같습니다.
다시추세선을 와준다면 공격적인 8.3에서-2%정도 손절잡아보시고 롱트라이도 가능하실꺼같고 보수적으론 7.6까지 열려 있기 때문에 그라인 확인하신후 롱 트라이도 나쁘지 않은 모습입니다.
[미국국채] 2년물 국채금리 고점임박? (2022.10.23.일)⭐ 서 론 ⭐
안녕하십니까?!!😊 차티스트랩 팀입니다.🚀
최근 미국 국채 금리가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내년 5월경 미 기준금리가 5%까지 급등할 것이라는 투자자 예측에 국채 금리도 크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지난 8월부터 급격하게 상승하는 미국 2년물 국채금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본 론 ⭐
• 차트분석(월봉)
본격적으로 월봉입니다.
미국 2년물 국채금리는 2007년 고점을 만든 후 하락 반전하여 조정을 받았습니다.
이후 저점을 올리며 횡보한 뒤 2018년에 재차 상승하고 다시 조정을 받았습니다.
현재는 2007년 및 2018년을 연결한 하락추세선을 강하게 돌파했고 볼린져밴드를 넓히며 상승하고 있습니다.
최근 국채 금리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것은 미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계속 올릴 것으로 예상되기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Fed가 11월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한 뒤 12월에는 인상 속도 조절을 논의할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現 미국 중앙은행 기준금리는 3.25%이며, 특별한일이 없다면 올해 말 미국 기준금리는 4% 수준으로 올라갈 것이라 예상됩니다.
※ "3.25%" +"0.75%" = "4%"
한편, 미국 2년물 국채금리란 만기가 2년인 미국 국채의 금리를 의미합니다.
즉, 이는 앞으로 2년 뒤 미국의 최종 기준금리를 예측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기준금리의 선반영 지표가 되겠습니다.
다시 차트를 살펴보겠습니다.
• 차트분석(월봉)
미국의 고강도 긴축정책 실시 등에 힘입어 국채금리도 빠르게 상승하고 있지만 상승에 대한 각도가 상당히 가파릅니다.
한편, 캔들은 형성되고 시간이 지나면 상승각도는 둔화될 수밖에 없습니다.
캔들의 각도는 90도가 될 수 없고 이러한 이유는 시간 때문입니다.
즉, 캔들의 각도가 90가 넘어가면 시간을 왜곡하는 역행이 되기 때문입니다.
다시 캔들을 살펴보면 상승 각도가 상당히 가파르며 유의미한 저항구간(동그라미)에 도착했습니다.
따라서 조정가능성이 있으며 기준금리의 선반영 지표가 되는 미국 2년물 국채금리는 고점에 임박한 듯해 보입니다.
미국 2년물 국채금리가 (단기)적으로 조정을 받고 횡보할 때 국채보다 상대적 위험자산으로 분류되는
나스닥, 코스피, 크립토마켓은 반등의 여지가 있습니다.
실제로 이러한 시나리오로 이어질지는 지켜봐야겠지만 중요한 것은 기준금리 선반영 지표로 볼 수 있는
미국 2년물 국채금리는 (단기)고점에 임박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 결 론 ⭐
①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 인상의 여파로 국채금리가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습니다.
② 미국 2년물 국채금리란 기준금리의 선반영 지표입니다.
③ 현재 2년물 국채금리는 상승에 대한 각도가 상당히 가파릅니다.
④ 한편, 캔들이 형성되고 시간이 지나면 상승에 대한 각도는 태생적으로 둔화될 수밖에 없습니다.
⑤ 국채금리가 (단기)적으로 조정을 받고 횡보할 때 나스닥, 코스피, 크립토마켓은 반등의 여지가 있습니다.
⑥ 기준금리의 선반영 지표가 되는 국채금리는 고점에 임박한 듯 보이며 이를 주시해야겠습니다.
※ 본 포스팅의 정보는 투자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기술적 분석] Inefficiency와 Gap, 그리고 FVG - 합리적 가격을 향한 아우성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자산의 ‘가격’ 은 우리가 시장에서 자산을 거래할 때 고려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그렇기에 ‘가격’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지표와 패턴들이 발전되어 왔습니다
오늘은 그 중 하나인 Inefficiency와 Gap, 그리고 특히 Fair Value Gap (FVG) 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
목차
I. 서론
II. Inefficiency 란?
II-1. Inefficiency 정의
II-2. Inefficiency의 활용
III. Gap의 4가지 형태
III-1. Breakaway
III-2. Exhaustion
III-3. Continuation
III-4. Common
IV. Fair Value Gap (FVG)에 대한 이해
IV-1. FVG란?
IV-2. FVG의 trading 적용
V. FVG 사례 분석 & 결론
V-1. FVG 사례 분석
V-2. 요약 및 결론
-----------------------------------------------------------------
I. 서론
트레이더는 시장이 자산의 내재가치로 인정하는 가격 을 찾고
매수자와 매도자가 의사결정을 하는 단계에서 발생하는 내재가치와 현재 가격의 괴리 를 찾을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괴리는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 ‘합리적이지 않은’ 매수자와 매도자의 의사결정으로 인해 발생 합니다
시장이 인정하는 가격을 예상해내고, 괴리의 패턴을 익혀
파도에 몸을 맡기듯이 포지션을 설정하며 이득을 취하기 위해
트레이더는 가격지표를 통해 합리적인 가격을 끊임없이 찾고 또 의심 해야 합니다
----------------------------------------------------------------
II. Inefficiency 란?
II-1. Inefficiency 정의
Inefficiency는 그림과 같이 다음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구간을 의미합니다
1. 급격한 가격의 변동이 일어남
2. 가격 변동폭에 비해 거래량이 적음
또한 Inefficiency (초록색)가 관찰된 이후에 시장은
Inefficiency를 해소하기 위해 Gap filling (붉은색)을 이루는 모습 을 보여줍니다
이때 Gap filling은 즉각적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상당한 시간차를 두고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렇게 상당한 시간차를 두고 나타나는 경우
Inefficiency를 활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니
Gap filling이 잘 이루어지는 형태를 인지 하고 있어야하며
Gap filling이 확실히 시작되는지를 확인하고 방향성을 설정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
II-2. Inefficiency의 활용
위에서 말씀 드렸듯이 Inefficiency는 ‘합리적 가격’을 기초 로 합니다
따라서 위와 같이 ‘합리적 가격’의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는 경우 에는
Inefficiency와 Gap filling이 명확히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Fundamental 또는 macroeconomic event에 의한 가격의 급격한 상승 또는 하락이 일어났을 때
또는 장기적인 상향/하향 추세가 설정된 경우에는 ‘합리적 가격’의 자체가 큰 폭으로 변화 하기 때문에
자산 가격의 급격한 변화를 Inefficiency로 볼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위 그림과 같이
추세가 안정화 되어 있는 박스권 장세에서 Inefficiency와 Gap filling이 명확하게 나타남 을 알 수 있습니다
‘합리적 가격’이 안정화 되어 있는 추세에서, 가격의 급변동이 일어난 것은
매수세와 매도세의 급변으로 인한 실질적인 Inefficiency일 가능성 이 크기 때문입니다
----------------------------------------------------------------
III. Gap의 4가지 형태
앞서 Inefficiency의 개념을 살펴보았습니다
트레이딩에서 Inefficiency를 가장 잘 나타내는 패턴 이 바로 Gap 이기 때문에
Gap의 형태들을 파악하는 것은 다양한 상황에서 Inefficiency를 활용하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
III-1. Breakaway gap
특정한 가격 저항이나 지지를 돌파할 때 나타나는 형태 입니다
저항과 지지안에서 움직이다가 어떤 이벤트로 저항과 지지를 돌파 하게 되는 것은
‘합리적인 가격’의 변동읠 의미할 가능성 이 크기 때문에
Inefficiency와 gap filling이 잘 나타나지 않을 가능성이 크고
형성된 추세를 따라 추가적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큽니다
----------------------------------------------------------------
III-2. Exhaustion gap
저항과 지지안에서 움직이는 경우에 많이 나타나며
저항이 있는 고점이나 지지가 있는 저점까지 빠른 속도 로 근접하다가
급격한 추세 반전을 이룰 때 나타나는 형태 입니다
‘합리적인 가격’이 저항과 지지안에서 형성되어 있었으므로
Inefficiency가 강하게 발생하며 gap filling이 빠르게 나타납니다
----------------------------------------------------------------
III-3. Continuation gap
상승 혹은 하락의 강력한 추세가 형성되는 경우 에 나타납니다
상승과 하락의 추세가 꺾이지 않으며 오래 유지되는 경우 를 지칭합니다
(★ 나머지 갭의 형태와 다르게 여러 개의 캔들이 묶인 ‘영역’ 을 지칭합니다)
이 경우 ‘합리적인 가격’의 변동 가능성이 높으므로
추세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으며
Inefficiency와 Gap filling이 나타나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혹은, 나타나더라도 매우 오랜시간 후에 나타나게 됩니다
-----------------------------------------------------------------
III-4. Common gap
대체로 추세가 안정화 되어있을 때 자주 발생 하는 다양한 형태의 종가와 시가의 단차를 의미하며
대부분 inefficiency가 발생하고 gap filling이 이루어집니다
Common gap은 굉장히 많은 상황에서 다양한 이유로 발생합니다
따라서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기는 어렵습니다
-----------------------------------------------------------------
IV. Fair Value Gap (FVG)에 대한 이해
앞서 다양한 형태의 Gap을 살펴보았습니다
추가적으로 상당히 높은 Gap filling의 재현성 을 보여 트레이딩에 매우 중요한 형태인
Fair value gap 이라는 것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IV-1. FVG란?
FVG는 Price action traders, 즉 자산의 가격에 초점을 맞추고 트레이딩을 할 때 많이 언급 되는 형태로
단기적으로 매수 혹은 매도세의 한 쪽이 다른 쪽을 압도(Inefficiency) 하여 연달아서 가격 상승 혹은 하락이 일어날 때 관찰할 수 있습니다
FVG는 3개의 연속해서 상승 혹은 하락하는 추세의 캔들 중 가운데 캔들이 가장 큰 형태 일 때 만들어지며
가장 큰 중앙의 캔들과 이웃하는 캔들의 최저점 ~ 최고점 사이를 의미 합니다
또한 ★이웃하는 캔들의 꼬리가 중앙의 캔들을 전부 다 overlap 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림과 같이 FVG는 하락형 FVG와 상승형 FVG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은 순서대로 강력한 매도세/매수세의 출현 으로 인한 Inefficiency의 형성을 의미합니다
마지막 예시는 꼬리가 가운데 캔들을 overlap 하므로 FVG에 해당하지 않는 예시입니다
-----------------------------------------------------------------
IV-2. FVG의 trading에 적용
그렇다면 이러한 강력한 Inefficiency를 trading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요?
마치 빠른속도로 물체가 떨어지다가 땅을 만나면 급격히 튀어오르듯이
단기적으로 발생한 강력한 FVG, 즉 imbalance는 급격한 추세전환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하락형 FVG가 발생할 경우 단기적으로 상승 추세가 만들어질 가능성 이 높고
상승형 FVG가 발생할 경우 단기적으로 하락 추세가 만들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 입니다
그리고 이 추세전환의 강도와 출현 가능성은
추세가 안정화 되어 있을 수록, 그리고 FVG가 클수록 강하고 높습니다
하지만 떨어지다가 땅을 만나 튀어올랐던 물체가
떨어진 높이만큼 올라가지 못하고 어느 지점 이후에는 다시 떨어지듯이
추세가 처음 전환된 이후 gap filling이 일어나면 가격은 FVG를 형성하였던 추세로 다시 회귀 하게 되는 경향을 가집니다
위와 같이 두 가지의 전략을 활용하면 FVG 형성이후 다음과 같은 포지션 설정이 가능합니다
1. FVG 발생 이후 초단기적인 추세 전환 포지션 설정
2. Gap filling 이후 추세 회귀 포지션 설정
-----------------------------------------------------------------
V. FVG 사례 분석 & 결론
V-1. 사례 분석
<사례 1>
위의 예시는 2022년 10월 20일 23시 20분 경의 비트코인 1분봉 차트입니다
23시 20분 경 강력한 매수세에 의해 FVG, 즉 상승추세가 하락추세를 압도하는 Inefficiency 가 나타났고
곧바로 하락추세로 전환되며 gap filling 이 일어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FVG 근처에서 Inefficiency를 회복한 뒤 추세가 회귀 하며
이전보다 강한 상승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와 같이 23시 20분 경의 상승형 FVG를 발견한다면,
1. 23시 30분 경 Gap filling 나타나기 까지의 숏포지션
2. 23시 30분 경 Gap filling 이후의 롱포지션 설정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사례 2 이동평균선과 함께 활용>
위의 예시는 2022년 10월 19일 19시 30분경 BTC 3분봉으로
FVG와 동일하게 ‘가격’을 기초로 하는 MA지표를 함께 활용하는 예시입니다
FVG 발생 이후 19시 30분 부근에 Gap filling이 이루어졌고
Gap filling이 완료되는 지점에 20MA의 저항 이 있습니다
따라서 FVG 관점과 20MA 저항 모두가 가격의 하락을 암시하므로
숏포지션을 잡을 수 있는 강력한 근거 가 되어줄 수 있습니다
이후 기존의 하락 추세로 회귀하는 모습 을 보실 수 있습니다
----------------------------------------------------------------
V-2. 요악 및 결론
Inefficiency는 합리적인 가격을 찾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괴리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이러한 괴리는 여러가지 Gap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1. Breakaway gap : 지지/저항선을 돌파. Gap filling 가능성 낮음
2. Exhaustion gap : 지지/저항선에서 추세 전환. Gap filling 가능성 높음
3. Continuation gap : 여러가지 캔들이 추세 영역을 이루며 강한 추세를 형성. Gap filling 가능성 낮음
4. Common gap : 안정적인 추세안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형태의 gap. Gap filling 가능성 높음
Gap filling 재현성이 매우 높은 Gap 형태인 FVG에 대해서도 설명 드렸습니다
FVG를 이용한 트레이딩의 핵심은 다음 두 줄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1. 강력한 단기적 Inefficiency가 발생하면 그 직후 추세 전환 가능성이 높다
2. 전환된 추세가 Inefficiency를 해소하면 추세가 처음보다 더 강하게 회귀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모든 지표와 패턴이 그렇듯이,
독립적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다른 지표나 패턴들이 동일한 경향성을 보일 때 더 신뢰도가 높아지므로
‘가격’을 기초로 하는 다른 지표와 패턴들 (이동평균선 등) 과 함께 활용하는 것이
트레이딩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비트코인 축적 단계 완료, 상승 목표가 36K먼저 직전에 작성하였던 비트코인 숏포지션 목표가 12K 관점은 폐기함을 알립니다.
현재 모든 숏 포지션을 청산하였으며 롱 포지션에 분할 진입하고 있습니다.
생각을 바꾼 가장 결정적인 계기는 테슬라 (TSLA) 의 실적이 저의 예상보다 좋게 나왔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현재 비트코인의 축적 (Accumulation) 단계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은 일련의 가격 움직임은 와이코프의 축적 단계를 떠올리게 합니다.
와이코프에 대한 아이디어는 과거에 많이 다뤘으므로 연관 아이디어로 대체합니다.
비트코인의 하락추세선 (하얀선) 을 넘어 상승하고 있습니다.
가격은 노란색 장기 추세선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지만 가격이 내려가기 보다는 올라가는 것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주봉의 거래량은 점진적으로 하락하여 바닥권에 머물러 있지만
일봉으로는 가격이 횡보함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매수하는 거래량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나스닥은 주요 피보나치 되돌림 구간 (0.382) 에 진입하여 반등하고 있으므로 상승장의 시작이라고 말하기엔 이르지만 일정 기간 상승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참고로 S&P500 지수는 0.5 되돌림 구간에 진입하였습니다.
지금까지 주가지수를 누르고 있던 물가, 그 중에서도 근원 물가지수는 정점을 지난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Core CPI, YOY 차트에서 하락다이버전스가 관찰됩니다. CCI 지표가 100이하로 내려온다면 하락세에 들어섭니다.
정리하자면,
1. 와이코프 축적 단계는 끝나가고 있으며
2. 주요 하락추세선을 완전히 돌파하고
3. 미 증시의 상승이 동반된다면
4. 감히 비트코인은 저점을 지났다고 할 수 있을 것이고
5. 완전히 긴축의 충격에서 벗어난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지금부터 비트코인은 상승할 것 입니다.
* 추가로 2023년에 벌어질 수 있는 사건, 월봉을 기준으로 한 더블 바텀(19K) 도 대비해야 합니다.
거시 경제에 대한 여러가지 분석들은 시간이 나는대로 작성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온체인 데이터 지표 해석 (2)- 대규모거래량 INTOTHEBLOCK: 안녕하세요. ^^
매주 아이디어를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오늘은 온체인 데이터에 관하여 설명해 드리기 위한 2번째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자, 오늘 살펴볼 지표는 INTOTHEBLOCK:의 ' 대규모 거래량 차트 ' 입니다.
차트를 불러오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INTOTHEBLOCK 에서는 총 $100,000 USD보다 큰 금액이 송금된 거래는 대규모 거래라 정의합니다.
이 차트는 이러한 $100,000 USD 이상의 거래에서 이체된 총 달러 금액을 측정한 것입니다.
단순하게는 주어진 날에 대한 고래와 기관 플레이어들이 거래한 총 금액, 그들의 시장 지배력에 대한 것을 제공하는 차트라 생각해볼 수 있겠죠!?
예시를 들어 살펴보겠습니다.
이 때의 차트를 보시면 대규모 거래량이 3차례에 걸쳐 400억 달러를 돌파하였고, 기관과 고래 투자자들의 대규모 매도 신호라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강세장이 끝나감의 신호라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이더리움 차트입니다. 이더리움 역시, 중요 구간에서는 대규모 거래량이 동반되었음을 간단하게 살펴볼 수 있습니다.
다음 예시입니다. 2017년 CME거래소에서 비트코인의 선물계약이 시작되었고 이 때 비트코인의 대규모 거래량이 급증하며 가격이 급증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의 대규모 거래량은 선행성이 보여집니다.
지난 2021년 비트코인 시장의 흐름을 보시면,
급감했던 비트코인의 거래량이 다시 한번 급증을 보여주며 가격 상승을 이끌어 냈습니다.
그러나 이때의 거래량 급증은 매도 세력으로 보여집니다. 대규모 거래량이 급증하며 가격이 하락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시장의 흐름을 주도하는 이런 대규모 플레이어의 흐름을 읽는 것은 중요하다 할 수 있습니다.
시장의 주축이 되는 참여자들, 그들이 만들어내는 대규모 거래량은 장기적인 관점의 시장을 이해하는 데에 필수라 생각됩니다.
여러분의 성투를 응원합니다.😁
팀 트레이딩뷰❤️
42 주차 [On-chain 글래스노드 주간 뉴스레터] 비트코인, 어디로 튈 지 모릅니다!
안녕하세요 :) Yonsei_dent 입니다.
Glassnode Insights 플랫폼의 주간 뉴스레터를 번역 / 분석해보는 시간이 찾아왔습니다.
비트코인은 현재 현물 및 옵션 관련 변동성이 역사상 최저를 기록하면서, 격동을 앞둔 상황입니다. 청산 (Liquidation) 수준이 역대 최저임에도 불구하고, 선물 미체결 약정 (Open Interest : OI)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BTC 가격대가 이처럼 오래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는 것을 생각하면, 이제 변동성이 나타나기 직전의 상황인 것 같습니다.
--------------------------------------------------------------
--------------------------------------------------------------
0. 서론 및 간단 정리 & 오늘의 추천 메트릭
▣ 42주자 결론
1) BTC 시장의 변동성은 현재 아주 낮은 상태이다.
2) 하지만 낮은 변동성 이후엔 큰 변동이 뒤따르곤 하였다.
3) 온체인 지표 (SOPR 관련) 의 경우, 변동이 곧 다가옴을 알려주고 있다.
4) 문제는 어느 방향으로 갈지 확신할 수가 없다는 점이다.
5) 선물과 같은 파생 상품 시장의 변동성 역시 아주 줄어든 상태이다.
6) 마찬가지로, 곧 큰 변동이 다가올 것을 말해주고 있으나 방향을 알 수 없다.
7) 다가올 큰 변동을 대비하여야 한다.
▶ 코멘트
이번 레포트의 결론은 “곧 큰 모멘텀이 시작될 것 같은데, 어디로 갈지 모르겠습니다” 입니다. 지난 주, 하락장의 바닥이 길어질 것이라는 의견과는 다소 대비되는 내용이네요. 아마 예상보다 비트코인의 가격 움직임 자체가 매우 협소하여 곧 큰 변동을 보일 힘을 응축하는 단계로 생각하는 듯 싶습니다.
상승 / 하락세를 가늠하기가 힘드니 관망이 필요한 상황이라 생각되는군요.
--------------------------------------------------------------
▣ 오늘의 추천 메트릭
“미결제 (미체결) 약정 : Open Interest ”
Open Interest는 미체결 약정이라는 뜻으로, 시장의 활성도를 알려줌과 동시에, 추세의 지속 / 전환의 신호가 될 수 있으며, 적용법이 간단해 포지션 설정에 매우 유용한 지표입니다.
체결되지 않은 계약의 수가 늘어난다면, 투자자들의 관심 증가와 이를 통한 자금의 유입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OI가 줄어든다면, 시장의 열기가 식고 자금이 이탈한다는 의미겠지요.
자세한 설명과 트레이딩 시 적용 방법은 “온체인 이해 #7” 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니,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자! 이제 본론으로 넘어가겠습니다.
--------------------------------------------------------------
지난 한 주 동안 BTC 시장은 큰 변동없이, 횡보 (Consolidation)를 이어왔습니다. 일일 타임프레임으로 확인 시, 한 주 동안의 고 / 저점은 19K 수준을 거의 벗어나지 않았으며 매우 좁은 가격 범위를 유지했습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관련 수치들이 예상치를 웃돎에 따라, BTC는 $ 18,338 까지 하락 후 $19,855 로 반등했지만 42주차 시가인 19.3K 로 다시 회귀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번 레포트에서는, 다양한 온/오프라인 지표를 통해 BTC 시장이 왜 현재 역대급으로 낮은 변동성을 보이는 지, 곧 큰 변동성을 마주할 수 있을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과거를 돌이켜보면, 이런 약세장 횡보 기간 후에는 어김없이 큰 움직임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문제는 어느 방향으로 향할지 알 수 없다는 사실입니다.
---------------------------------------------------------
---------------------------------------------------------
I. A Volatility is Imminent : 변동이 임박하다
● 요약 : 변동성 수치가 아주 감소한 상태입니다. 이후 큰 변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만 어느 방향으로 갈 지 알 수 없습니다.
BTC 시장이 낮은 변동성 (Realized volatility) 을 이처럼 오래 보이는 것은 참 드문 일입니다. 그리고 이런 횡보장이 이어질 때면, 곧 큰 가격 변동이 뒤따르곤 했습니다. 위 그래프는 BTC의 1주 간 가격 변동성 (🔴 붉은 선) 을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보시면 약세장에서 변동성이 28% 아래로 하락했을 때 ( 🟦 파란색 영역), 곧이어 가격 변동이 크게 일어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문제는 양방향 (상승 or 하락) 이 무작위로 나타났다는 사실인데요, 현재 변동성 수치 역시 28% 에 도달하면서 어디로 튈 지 모르는 변동의 시기가 다가옴을 알 수 있습니다.
● 요약 : aSOPR을 볼 때, 1.0 손익분기점 구간으로 점차 좁혀오고 있지만 유동성 출구 확보 경향으로 저항으로 작용하여 하락이 이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aSOPR (🟡 노랑선 / 참조 - 온체인 이해 #3 : SOPR의 모든 것) 을 살펴보겠습니다. SOPR은 1.0의 값을 기준으로 시장 참여자들의 “익절 (1 초과)” 및 “손절 (1 미만)”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이며 aSOPR은 초단타 (1시간 미만) 거래를 제외한 실질 수익지표입니다. 1.0 기준은 “본전” 가격 수준 (손익분기점) 이라 할 수 있으며, 상승 / 하락장 여부에 따라 그 해석이 달라집니다.
1) 상승장에서의 aSOPR 1.0
- 강세 추세를 보이는 경우, 지지선 역할을 합니다. 시장 참여자들이 본전가에 다다르는 경우 추가 매수를 통해 포지션을 늘리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2) 하락장에서의 aSOPR 1.0
- 약세 추세에서는 반대로 저항으로 작용합니다. 투자자가 더 큰 손실을 입기 전에 손실을 최소화 하며 빠져나갈 수 있는 출구 (Exit Liquidity)를 찾기 때문인데요, 주로 본전 가격대가 손실을 만회하는 시점이므로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BTC 가격 추세 ( 검은 선)과 aSOPR은 서로 발산 추세 (Divergence : 🟢 초록색 화살표) 를 보이고 있습니다. 시장 하락세 또는 횡보를 보이면서 본전 가격 구간에서 매도하려는 경향이 커지게 되고, 결국 매도하지 않고 묶여있는 손실의 양이 점차 줄어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현재 가격 구간에서 매도세가 고갈되었음을 의미합니다. aSOPR이 1.0 (손익분기점) 구간에 근접함에 따라, 조만간 돌파 또는 저항 둘 중 하나의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Alert Ideas : aSOPR (7D-SMA)이 1.0을 돌파하는 경우, 시장의 수익성이 증가하며 회복 단계의 초기 신호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 요약 : STH-SOPR이 1.0 구간을 돌파하느냐, 저항에 막히느냐에 따라 추후 변동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더 지켜보아야 하는 상황입니다.
이번에는 SOPR을 장 / 단기 보유자 (LTH , STH) 별로 구분 (참조 : 온체인 이해 #4 - SOPR의 모든 것)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과거 두 차례의 큰 약세장에서 특징적인 양상을 보였던 단기 보유자 (STH) 집단의 SOPR 을 먼저 살펴봅시다.
1) 2015-2016 약세장 (🟢 초록 구간) - 1.0 구간의 돌파
위 기간에서는 SOPR과 가격대가 서로 다이버전스 경향을 보였습니다. SOPR은 1.0 수준을 돌파 후, 이를 지지선으로 삼아 여러 차례 리테스트를 거친 것이 확인됩니다. 이는 단기 보유자(STH) 들이 손익 분기점 구간에서 더 이상 탈출하지 않고, 저가 매수의 기회로 삼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2) 2018-2019 약세장 (🔴 붉은 구간) - 1.0 구간의 저항
마찬가지로 SOPR과 가격이 다이버전스를 나타냈지만, 투자자들의 수요 보다, 1.0 구간에서 본전을 확보 한 후 탈출하려는 경향이 커 결국 1.0의 저항을 뚫지 못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최근 STH-SOPR의 경우, 지난 8월 1.0에 근접했으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 상태로 현재 다시 1.0에 가까워진 상태입니다.
● 요약 : 그동안 1.0 구간 저항을 돌파하지 못했지만, 매도세가 소진되어 가고 있으므로 돌파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만약 1.0을 돌파한다면 시장이 긍정적으로 반전할 것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STH-SOPR 복합지수 (Multiple)은 단기 보유자들의 SOPR 변화를 월간 기준과 연간 기준 간의 비교로 나타낸 것입니다. 수익성 측면에서 거시적 추세 변화가 일어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월간 SOPR 증가세 > 연간 증가세 (🟢 녹색 선)
STH 집단이 최근 수익을 보는 경향이 늘어났음을 의미합니다. 시장이 보다 긍정적으로 반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월간 SOPR 증가세 < 연간 증가세 (🔴 붉은 선)
STH 집단이 최근 손실을 보는 경향이 늘어났음을 의미합니다. 아직 매도세 소진 (Seller Exhaustion)에 다다르지 못했음을 알 수 있으며, 손익분기점 (SOPR 1.0) 구간에서 탈출 매도가 이어질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결국 손익분기점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할 가능성이 큽니다.
현 하락장 동안, 1.0 저항 구간을 돌파하려는 시도가 무려 5번이나 있었습니다. 돌파에 성공하지 못하면 이후 가격 하락이 일어나곤 했습니다. 하지만 점차 하방🔴 구간이 1.0 에 수렴하는 것을 볼 때, 매도세 소진 (Seller Exhaustion)이 임박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요약 : LTH-SOPR은 사상 최저치를 기록 중입니다. 최저 수준은 짧은 기간 동안 이어진 후 이후 추세 변화가 동반되곤 했습니다. 곧, 현 횡보 추세가 끝나고 변동이 다가올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장기 보유자 (LTH) 집단의 SOPR ( 🟡 노란선)을 살펴보겠습니다. 현재 LTH 짇반은 형균 -48 %의 손실을 기록하는 중으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하며 부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최근 BTC 가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감안하면, 2021~2022 년 고점 구간에서 매수 후 장기 보유하던 투자자들이 손실을 감내하지 못하고 항복 매도 (capitulation)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LTH-SOPR이 0.52 (48% 손실을 의미) 가량으로 급격히 줄어들 때는 LTH 집단의 수익 스트레스가 극에 달한 시점이며, 보통 하락세의 바닥에서 나타납니다. 0.50 이하로 더욱 낮아지는 경우 (LTH 손실 최고치) 는 전체 기간의 3.3 % (🟣 보라색 구간 : 144/4304 days) 가량으로, 현 추세가 금방 끝날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
---------------------------------------------------------
II. Off-Chain Volatility Brews : 오프체인도 변동성을 맞을 준비 중
● 요약 : 파생 상품 (선물, 옵션)이 포함되는 오프체인 (Off-Chain) 영역에서도 변동성은 현재 아주 낮은 상태입니다.
오프체인 영역인 파생 상품 (옵션, 선물 등) 시장의 변동성 역시 현재 매우 줄어든 상황입니다. 옵션에서의 단기 내재변동성 (Implied volatility - 🔴 붉은 선은 1주 간의 변동성을 나타냄)을 보면, 이번 주 사상 최저치인 48% 를 기록했습니다.
과거 사례들을 보면, IV가 50% 수준으로 낮아지는 경우 파생 상품 및 DeFi 시장의 디레버리지 경향으로 인해 곧 급격한 하락이 나타나고는 했지요. 그럼 앞으로의 변동은 “하락” 방향으로 일어나는 걸까요? 다른 지표들도 마찬가지일 지 살펴보겠습니다.
● 요약 : 선물 “거래량”은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보통 거래량 하락은 약세장의 막바지에 나타나곤 했습니다. 이후 상승세가 나타나는 것일까요?
선물 시장의 거래량은 현재 일일 240 억 달러 수준으로, 역대 최저치로 감소해습니다. 이런 낮은 수치는 강세장이 시작되기 전인 2020년 12월, BTC가 $20 K (2017년 ATH) 를 돌파하기 직전의 수준입니다.
이전 차트의 내재변동성 (IV)에서는 변동성이 급감하면 이후 급락이 일어남을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위 차트는 선물 거래량의 변동성이 감소한 경우 이후 강세장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하고 있군요. 결국 시장 유동성이 줄어들어 변동성이 낮은 상황에서는 어느 방향으로든 큰 모멘텀이 일어날 것임을 유의하여야 하겠습니다.
단, 거래량은 이미 “체결된” 계약의 양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아직 거래가 체결되기 전인 “미체결 약정”을 본다면 어떤 의미를 얻을 수 있을까요?
● 요약 : 미체결 약정을 보니 선물 시장으로의 유입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위 그래프의 주황색 영역 🟠은 BTC 선물 시장의 미체결 약정 (Open Interest - 참조 : 온체인 이해 #7)를 나타냅니다. 보시면 지난 루나 (LUNA-UST 프로젝트) 사태 이후, 선물 미체결 약정이 지속적으로 가파르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OI 수치는 2022년 5월 보다 80% 가량 증가한 633K BTC를 기록하며 신고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해당 기간 동안 코인 가격이 크게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투기 or 헷지를 위한 포지션 설정이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요약 : 선물 시장으로의 투자자 유입이 증가하였습니다. 현물 시장의 가격 변동이 미비하니, 수익을 내기 위해 선물 시장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생각되네요. 추후 청산 등으로 인한 투자자 이탈이 가속화 될 경우 BTC의 하락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번 지표는 추정 선물 레버리지 비율 (Futures Estimated Leverage Ratio 🟠 주황색 선) 입니다. 이를 통해 주요 코인 거래소들의 BTC 보유량을 기준으로, 미체결 선물 계약의 상대적인 규모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지표가 증가할 수록 거래소가 보유한 BTC에 비해 레버리지 비율이 높아진다는 의미인데, 루나 사태 이후로 투자자들의 레버리지를 통한 선물 시장 진입이 급격하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현재 선물 시장으로 자금이 유입되었고, 미체결 상태에 묶여 있으므로 유동성이 다소 낮은 상황임을 의미합니다. 포지션 청산 등으로 미체결 약정 (OI)가 감소하는 경우, 투자자들의 시장 이탈 가속화로 현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요약 : 선물 시장에서 증거금 (Margin)으로, 코인 (BTC, ETH) 대신 현금 (달러, 스테이블 코인) 을 사용하는 경향이 늘고 있습니다. 이는 파생 상품 시장의 변동성이 감소하였음을 의미합니다.
선물 시장의 건전성 평가를 위해서, 미체결 약정 (Open Interest)의 증거금 (Margin)에 현금을 사용하느냐, 암호화폐를 사용하느냐 (Cash vs Crypto)에 따라 나누어 살펴볼 수 있습니다.
1) 현금에 비해 암호화폐를 증거금으로 사용하는 경우 🟠 : 변동성이 더욱 큼
담보가 되는 자산이 암호화폐인 경우, 현금에 비해 그 자체의 변동성이 높기 때문에 선물 시장에서 증거금으로 사용될 경우 변동성은 더욱 커질 수 밖에 없습니다.
2) 현금 (법정화폐) 또는 스테이블 코인을 증거금으로 사용하는 경우 🔵 : 변동성 낮음
법정화폐 (달러) 또는 스테이블 코인 (USDT 등) 은 달러와 1:1의 비율을 유지하기 때문에, 미체결 약정의 변화에도 가치의 변동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시장 선호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2021년 4월을 보면, 암호화폐 (BTC, ETH 등)를 증거금으로 사용한 경우의 미체결 약정 수는 70%를 차지할 정도였습니다. 이후 크립토 시장은 큰 하락을 겪었습니다.
- 2021년 5월, 하락 공포에 의한 매도세가 이어진 후 현금을 증거금으로 한 선물 포지션의 수가 대세를 이루었습니다. 현재 암호화폐로 증거금을 사용하는 경우는 35% 가량으로 크게 하락한 상태입니다.
이번 주, 현금 증거금 기반 선물의 미체결 약정 수준은 신고점에 도달했습니다. 이는 현재 유입되는 선물 시장 참여자들이 대부분 현금을 증거금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파생 상품 시장의 레버리지 건전성은 지난 1년 반 동안 크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청산이 연쇄적으로 일어나는 “줄청산” 가능성을 줄임과 동시에, 스테이블 코인을 증거금으로 사용하려는 수요가 증가함을 알 수 있습니다.
● 요약 : 펀딩 비율이 “0” % 에 수렴해가고 있습니다. 이는 시장이 현재 방향 편향 (Directional Bias) 를 보이지 않는 중립 상태임을 의미합니다.
펀딩 비율 (Funding Rates : 펀딩피)이란, 현물 시장과 선물 시장의 괴리를 비율로 나타낸 값입니다. 지표가 0 이상 (양수 +) 인 경우 매수 (롱) 포지션이 많음을, 0 이하 (음수 -) 인 경우 매도 (숏) 포지션이 많음을 알 수 있습니다. 펀딩 비율이 늘어날 수록 시장이 과열 되었음을, 감소할 수록 축소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단, “0” 에 가까워 질 시, 시장이 중립 상태를 나타냄을 의미합니다.
2021년 2월 ~ 4월 간의 가파른 상승장 동안, Cash-and-Carry Trade (현물 매수 + 선물 매도를 통한 차익 실현 거래) 를 시행한 경우 수익률은 3개월 기한 선물의 경우 +45%, 무기한 선물의 경우 +100%에 달했습니다.
하지만 선물 수익률은 2021년 5월 매도 이벤트 발생 후 급격하게 줄어들었고, 3개월 기한 선물 펀딩 비율은 (🔵 파랑 선) 0.55% /yr , 무기한의 경우 1.97% / yr (🟠 주황 영역) 를 기록하는 상황입니다. 8월 말에는 하락 되돌림으로 인해 잠시 마이너스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선물 시장 미체결 약정 (OI) 의 지속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선물 시장은 수익률 측면에서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앞으로의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예측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레버리지 투자의 상당수가 투기 목적보다는 리스트 헷징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요약 : 선물 시장의 경우, 미체결 약정 중 청산당하는 계약의 수는 0.1 %에 불과합니다. 롱 / 숏 비율도 거의 5:5 수준으로 뚜렷한 방향성을 보이지 않고 있지요. 투자자들은 곧 가격 변동이 나타날 것이라 여기고 리스크 헷징 수단으로 투자를 이어가는 것 같습니다.
위 차트는 미체결 약정과 청산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데요, 전체 선물 시장에서 롱 & 숏 청산이 어느 수준으로 일어났는지를 미체결 약정 (OI)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표시합니다. 자의적 포지션 종료가 아닌, 청산 (Liquidation)이 어느 비율로 일어났는 지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총 청산 비율을 사상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전체 미체결 약정 (OI)의 0.1% 수준에 불과하며, 선물 포지션과 레버리지의 현저한 증가를 생각해본다면 미비한 수치라 할 수 있습니다. 롱 포지션 🟢은 청산 포지션 중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54% 수준으로 숏 포지션 청산 비율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챕터 II에서 파생 상품 시장을 집중적으로 다루어 보았는데요, 아래와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1) 증거금 (Margin)에서 암호화폐가 지니는 비율이 점차 감소
2) 선물 미체결 약정이 지속적으로 증가
3) 청산 (Liquidation) 이 역대 최저 수준
4) Cash-and-Carry trade의 방향 편향성 (Directional Bias)가 거의 없음
이를 통해 현재 BTC 시장이 리스크 헷지를 목적으로 선물 포지션이 늘어났음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다가올 변동성이 상승세일지, 하락세일지 가늠할 수 없는 상황이다 보니 주된 투자 자산으로 여기기보다는 보조 투자 자산 (Beta Asset)으로 간주하면서 변동 리스크를 줄이려는 것이지요.
지난 2021년 4월 ATH가 갱신되었을 때, 현재와는 정반대의 양상이 나타났었습니다. 이후 2021년 상승장이 끝나고 대규모 하락세가 시작된 것을 본다면, 이제 반대로 큰 상승장이 등장할 차례가 아닐까요?
---------------------------------------------------------
---------------------------------------------------------
IV. Summary and Conclusions : 요약 및 결론
비트코인은 현재 현물 및 옵션 관련 변동성이 역사상 최저를 기록하면서, 격동을 앞둔 상황입니다. 온체인 네트워크 상 투자자들의 지출 양상에서는, 현물 가격 (Spot Price) 이 단기 보유자 (STH) 들의 평균 매수 단가 (Cost Basis) 와 교차되면서 BTC가 추세 변동의 기로에 서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과거를 돌이켜보면, 이런 약세장의 횡보 후 과격한 움직임이 나타나곤 했습니다. 문제는, 어느 방향으로 움직일 지 예측이 힘들다는 (양방향) 점입니다. 미체결 약정 (OI)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지만, 차트가 어느 방향으로 움직일 지에 대한 명확한 신호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BTC의 가격 변동은 곧 나타날 것이며,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때입니다.
---------------------------------------------------------
▶ 코멘트
비트코인이 안정적으로 가격 수준을 유지한다는 것은, 어찌보면 큰 변동이 곧 닥쳐올 것이라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지난 10년 간 비트코인의 변동 양상을 되짚어 본다면 당연한 결론이지요. 글래스노드는 그동안 하락장의 바닥이 다가왔다고 강력하게 주장했지만, 지난주 부터 중립적인 의견을 보이더니 오늘 레포트에서는 “어디로 튈 지 모르겠다!” 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상승 방향으로 갈 것이라는 늬앙스를 계속 내비치고 있지만 말이죠.
보수적으로 본다면, BTC 가 방향성을 뚜렷하게 나타내기 전까지 다소 관망이 필요한 시점이라 생각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온체인 이해 #7] Open Interest : 미결제 약정의 모든 것!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오늘은 미결제 약정, Open Interest (이하 OI)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결제 약정은 크립토 시장의 분위기를 감지할 수 있는 지표이며 해석이 간단해 적용이 쉽습니다.
-----------------------------------------------------------------
< 목 차 >
I. 미결제 약정 : Open Interest의 이해
I-1. 미결제 약정이란?
I-2. 적용법 (Trading View)
I-3. 활용법 (OI + PSAR + RSI Strategy)
II. 미결제 약정 (OI) 을 통한 현 BTC 상황 분석
III. 결론
-----------------------------------------------------------------
-----------------------------------------------------------------
I. 미결제 약정 : Open Interest의 이해
1. 미결제 약정이란?
1) 용어의 이해
미결제 약정은 “Open Interest (OI)” 를 번역한 용어입니다. “Open”은 아직 방향이 정해지지 않아 가능성이 “열려” 있음을, Interest는 “흥미를 끌다”는 뜻 외에 “지분, 이자, 이익, 이해관계” 등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아직 방향이 정해지지 않은 이익/이해관계 = 체결되지 않은 선물 계약 = 미결제 약정 (미체결 약정이라고도 함)”으로 해석되는 것이지요.
미결제 약정은 옵션이나 선물과 같은 파생 상품 계약 중, 아직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아 자산 (Asset)이 되지 못한 계약의 총 수입니다. 누군가의 매수는 누군가의 매도로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이 때의 계약은 롱 포지션 (Buyer) 과 숏 포지션 (Seller)을 하나로 묶어 1개의 계약 ( 1 contract) 로 간주합니다.
미결제 약정은 계약이 완료된 양을 나타내는 거래량과는 달리, 특정 선물 계약 (롱 또는 숏)의 미체결 된 포지션 만을 나타낸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포지션이 종료 또는 청산 당하는 경우, 미결제 약정 수치는 줄어들게 됩니다.
2) 특징
미결제 약정은 유동성의 흐름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여, 시장으로 유입되는 자금이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 식별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체결되지 않은 계약의 수가 늘어난다면, 투자자들의 관심 증가와 이를 통한 자금의 유입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OI가 줄어든다면, 시장의 열기가 식고 자금이 이탈한다는 의미겠지요.
● Open Interest 증가
→ 새로운 시장 참여자 또는 기존 참여자들의 포지션 오픈 증가 → 신규 or 추가 자금의 유입 → 시장의 활성도 증가
● Open Interest 감소
→ 시장 참여자의 이탈 또는 기존 참여자들의 포지션 종료 및 청산 → 자금의 유출 → 시장의 활성도 감소
3) 유형
OI는 보조 지표이므로 “가격” 과 함께 활용하여야 진정한 의미를 지닐 수 있습니다. OI 지표와 가격 양상에 따른 유형은 4가지가 있습니다.
① Long Build-Up
→ 가격 (증가 ▲) OI (증가 ▲)
가격과 지표 모두 상승하는 경우로, 상승장을 기대하는 투자자들의 롱 포지션 진입으로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② Long Covering
→ 가격 (감소 ▼) OI (감소 ▼)
롱 포지션에 진입했던 투자자들이 수익 실현을 통해 포지션을 종료하는 경우 관찰 가능합니다. 추세의 반전 예상 혹은 가격의 목표가 도달에 의한 것으로, 투자자들의 이탈로 인한 약세장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대세 상승장 이후 하락 되돌림 (단기 조정)의 경우 주로 발생합니다.
③ Short Build-Up
→ 가격 (감소 ▼) OI (증가 ▲)
가격은 하락하지만 OI는 증가하는 경우입니다. 보통, 하락세가 이어질 것을 기대하고 숏 포지션 투자자가 시장에 진입하면서 OI 수가 증가하게 됩니다. 물론 상승 반전도 가능하지만 하락에 대한 예측이 우세한 경우가 많습니다.
④ Short Covering
→ 가격 (증가 ▲) OI (감소 ▼)
가격은 상승하나 OI는 하락하는 경우입니다. 숏 포지션을 종료하면서 약정의 수가 들어 OI가 줄어드는 것인데, 해당 시장이 큰 조정기를 거친 후 나타납니다.
-----------------------------------------------------------------
2. 적용법 (Trading View)
OI 선택 시 주로 무기한 선물을 기준으로 삼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다양한 거래소에서 선물 거래를 취급하므로, 해당 거래소에서 산출되는 OI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BTC 선물 가격을 바탕으로 OI 지표 적용하기
심볼 찾기로, 메인으로 확인할 종목을 검색합니다. “BTC PERP” 검색 시, 무기한 선물에 해당하는 종목들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Binance, FTX, BYBIT, OKX 등 본인이 선호하는 거래소를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이후 지표에서 Open Interest 검색 후, 테크니컬즈 OI (커뮤니티 스크립트 X) 를 선택하면 간단히 확인이 가능합니다.
2) BTC 현물 시장 (BTCUSD, BTCUSDT 등) 선택 시 OI 확인하기
지표 상 테크니컬즈 OI는 메인 종목이 “선물” 과 관련된 경우에만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만약, 현물 가격과 OI를 비교하고 싶다면, 트뷰 참여자들이 제작한 “커뮤니티 스크립트” 중 에서의 Open Interest 를 거래소 별로 선택하여 비교가 가능합니다.
-----------------------------------------------------------------
3. 활용법 : Open Interest + PSAR + RSI Strategy
1) 단독 적용의 위험성과, 여러 보조지표 활용의 유용성
사실 OI가 시장의 활성도를 알려주는 유용한 지표이더라도, 변동성이 큰 크립토 시장에서 OI 하나만 믿고 트레이딩 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입니다. 다른 보조 지표들을 곁들여 확인한다면, 신뢰도와 성공률이 보다 상승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겠지요.
따라서 이번 챕터에서는 OI 단독 적용 시 생길 수 있는 한계와, 여러 보조지표의 활용의 이점을 사례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활용 지표로는, 이전 글에서 다루었던 <보조지표 1편> 의 PSAR과 <보조지표 2편> 의 MYC Indicator (RSI Strategy & PSAR)를 적용해보겠습니다.
Comment : PSAR + RSI Strategy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Yonsei_dent : <보조지표 1>, <보조지표 2>편을 참고해주세요!
(하단 연관 아이디어 참조)
2) 사례 적용
비트코인의 2022년 9월 기록을 4시간 봉 타임프레임으로 되짚어보겠습니다.
현 상황으로만 보면, 가격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OI는 감소하고 있습니다. 이는 숏 포지션이 종료되면서 일시적인 가격 반등이 나타나는 것이라 추후 하락을 유의하여야 한다고 했었지요. OI의 감소는 시장 참여자의 이탈을 의미하고, 이전 추세 역시 하락세였으니 “반짝 반등일 뿐, 시장 활성도 감소로 가격 하락될 가능성이 높다!” 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과연 정말 하락이 나타날까요?
어라! MYC Indicator를 통해 PSAR과 RSI strategy로 분석해보니 분위기가 조금 다른 것 같습니다. (자세한 지표 해석은 보조지표 1, 2 편 참조)
PSAR은 캔들과 가까워져 하락 추세 → 상승 추세로의 반전을 눈앞에 두고 있고, 이동평균선 역시, 5일 선이 20일 선을 골든 크로스하여 상승이 기대되는 상황입니다. RSI Stretagy의 경우, 상승장 (Bullish) 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신호를 모두 보여주고 있군요!
OI만 확인할 때와는 달리, 시장이 상승을 앞두는 쪽에 조금 더 마음이 기울어집니다.
확연한 상승세가 나타났군요! 물론 매크로 경제 이벤트에 의한 것일 수 있지만, 지표 활용 만으로도 상승 추세를 예측할 수 있었습니다. OI만 믿고 숏 포지션을 고민했다면 손실을 입을 수도 있었겠군요.
이제는 가격과 OI 모두 상승 추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앞서 설명드린 것처럼, 추후 상승세가 이어질까요? 롱 포지션을 설정하는 것이 과연 합리적일까요?
이후 시장은 보란 듯이 강한 상승세를 지속했습니다. 위 사례를 통해, OI는 유용한 지표이나 이를 단독으로 적용하는 것이 위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여러 지표의 활용을 통해 차트 분석의 신뢰도를 높임으로서 성공적인 트레이딩을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
II. 미결제 약정 (OI) 을 통한 현 BTC 분석
이제 비트코인의 가격과 OI를 비교하여, 간단한 분석 후 글을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BTC는 4시간 봉 기준, 10월 14→ 16일 3일 간 하락을 이어왔습니다. OI도 역시 마찬가지로 하락을 이어갔습니다. 그런데 최근 이틀 간, 가격이 일시적 반등을 보였습니다. 정말 진정한 상승세로의 반전인걸까요?
OI를 확인해보니 하락세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물론, 현재는 약간의 보합세를 보이고 있긴 하지만 말입니다. 거래량 (volume)도 같이 확인해보니, 현 상승 추세가 많은 거래량을 동반하는 것은 아닌 것 같군요.
결론적으로, Short covering 시기에 해당하므로, 현재 상승은 일시 반등일 가능성이 있어 포지션 결정에 보다 신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
-----------------------------------------------------------------
III. 결론
1) 미결제 약정 (Open Interest)는 시장의 활성도를 알려줌과 동시에, 추세의 지속 / 전환의 신호가 될 수 있으며, 적용법이 간단해 포지션 설정에 매우 유용한 지표입니다.
2) 사례 분석에서 다루었 듯, OI 지표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트레이딩 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음을 유의하셔야 합니다.
3) 여러 보조 지표의 동시 활용을 통해 차트 분석의 신뢰도를 높이실 것을 적극 권장하는 바입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공개보조지표 4LBS에 관한 설명서
안녕하세요. 보조지표와 시스템을 만들고 있는 플로라이드라고 합니다.
제가 얼마전에 보조지표를 하나 공개 출판하게 되었는데요, 이 지표를 만들고 나서 몇주간 테스트하며 사용해본 결과 쓸모가 꽤 괜찮다는 생각이 들어서 공개출판 및 공유하게 되었습니다. 지표는 퍼블릭 라이브러리에 공개되어 있어서 쓰기를 원하시는 분 누구나 자유롭게 쓰실 수 있고요, 또 원하시는 분은 코드의 내용도 볼 수가 있습니다. 단순 사용을 원하시는 분들은 지표링크로 들어가셔서 지표를 즐겨찾기에 추가한 후 사용하시면 됩니다. (즐겨찾기 추가가 없이는 현재는 아직 지표창에서 검색되지 않습니다.)
< 4LBS - 해당 사진을 클릭하시면 지표의 메인 페이지로 이동됩니다. >
지표의 이름은 볼린저 밴드의 4개 그림자 레이어라는 뜻으로 이름을 4LBS-4 Layers of Bollinger Shadow-라고 지었습니다. 이것을 만들게 된 계기는 과거의 가격이 얼마나 먼 미래의 시점까지 영향을 미치는지가 갑자기 궁금해져서였는데요, 실제로 만들고 나서 관찰해 본 결과로 과거의 가격들이 어느정도 미래까지 영향을 미치는지를 볼 수 있었고 거기서 매우 아름다운 수학적 리듬같은것들이 관찰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게 단지 보기 좋은 기하학적 패턴일 뿐만 아니라 주가의 강세와 약세를 판별하는데 도움이 되는 매우 실용적인 용례들이, 괜찮은 장점들이 관찰되어 많은 트레이더분들과 이 경험을 나눠본다면 재미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출간과 더불어 소개의 글, 간단한 설명서를 적어보게 되었습니다. 아래 단순한 설명들은 평어로 적었습니다.
< 기본적 모습 >
지표는 기본적으로 가장 중심적인 네개의 그림자 레이어- L1,L2,L3,L4 가 있고, 그 사이 그림자 레이어들,
그리고 선행 레이어 2p가 있습니다. 각 레이어는 옵션창에서 모두 개별적으로 켜거나 끌 수 있습니다.
-각각의 레이어들은 매우 단순한 원리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볼린저 밴드는 이평하나와 이 이평과 동일한 기간의 표준편차값을 표현한 밴드가 들어가는데
이 밴드에 들어가는 표준편차의 기간값 수치를 2,3,4,5배 적용해서 만든 것입니다.-
** 작용과 역할
< 그림자 레이어들의 작용 - 그림자 레이어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
1. 모든 레이어들은 각각 지지-저항력을 가진 매물대처럼 작용한다.
2. 매물대와 마찬가지로 모두 소화되고 돌파되었을때 강한 변동성과 방향성이 출현하는 경향이 있다.
** 4LBS로 관찰하는 주가의 운동 습성
1.평형상태
주가는 평형상태에서 진자나 진동운동과 같은 물리적운동에 가까운 움직임을 보이는 특성이 있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 가격은 두 극점을 오가려는 힘이 있는데, 이 두 극점이 L1 (녹색의 베이시스레이어) 인 경우가 매우 자주 관찰된다.
여기서 가격은 약간의 모순적인 성격의 운동을 하는데 하나는 반드시 극점(목표점)에 도달하려고 하는 발산력이고, 또 도달점 이후엔 싸이클이 극적으로 변화하며 시세가 역회전하여 다시 극점의 반대편을 향해 방향을 바꿔 역발산하려고 하는 힘이다.
< 1초봉으로 본 주가의 운동은 더욱 마치 사인파에 가까운 모습처럼 보입니다. >
2. 경계의 돌파 - 밸런스의 붕괴
이 평형상태에서 강력한 새로운 모멘텀의 등장으로 L1채널이 돌파되거나 붕괴될때, 매수세력과 매도세력 사이의 밸런스에도 역시 붕괴가 일어나는 듯 보이며 이것은 주가의 운동에 극적인 변화를 일으켜 추세의 발단점-시작점이 되는 경향이 관찰되고는 한다.
3. 마지막 레이어 L4 가 돌파될때는 높은 확률로 매우 강한 변동성이 터진다.
"앞서 모든 그림자 레이어들은 어느정도의 지지 저항력을 가진 것이 관찰되고 마치 매물대처럼 작용한다 말씀드렸는데, 정확히 같은 이유로 마지막 레이어가 돌파 될때, 거긴 더 이상 가로막는 방해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가격은 움직이며 이 부분에서 아주 큰 병동성이 등장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 다른 묘사로는 이 붉은 선으로 표시된 마지막 레이어의 돌파 없이는 주가는 새로운 변동성과 진짜 방향성을 만들어 내는데 실패하는 듯이 보인다는 것입니다."
"그와 반대로 강한 돌파와 함께 변동성이 등장하고서 이 구간이 훼손되지 않고 지켜진다면 아주 강한 방향성이 동반되는 경향이 관찰됩니다."
< 강세와 약세의 판단 >
1-1. 기본적인 베이시스 레이어인 L1(녹색채널)을 돌파하지 못하고는 방향성-변동성은 없다.
*판단의 기준
- L1이 강하게 돌파되면 시세는 강한 것
- L1이 종가기준으로 돌파되었다해도 다시 밀려들어오면 시세는 중간정도의 변동성
- L1이 종가마감기준 돌파에 실패하면 해당 추세는 강하지 못한 추세.
- 가격움직임이 L1 돌파 이전에 선행 레이어에 저지당한다면 시세는 매우 약한 것.
1-2. 큰 추세가 나오기 위해서는 모든 레이어들을 소화하는 과정을 거치고, 마지막에 L5를 돌파한다.
이 부분에서 많은 경우 긴 꼬리가 붙으며 큰 변동성이 터지는 경향이 있다. 30분 위의 차트 프레임에서 이런 신호가 터지면 해당 방향으로 오래가는 추세가 등장할 수 있다.
3. 레이어들에는 말하자면 순서가 있어서 보통 가장 안쪽에 L1이 위치하게 되고 가장 바깥쪽에 L4가 위치하게 되나, 이것이 역전되는 때가 있다. 이럴때 가격의 움직임은 반전되거나 혹은 갖히는 경향성이 관찰된다.
** 시그널
- 해당 지표엔 세가지의 시그널이 있습니다. 참치와 작은 청새치, 그리고 청새치 시그널입니다.
각 시그널들에는 얼럿을 붙여서 알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얼럿 설정화면에서 지표를 4LBS를 선택하시고, 그 다음에 얼럿의 종류를 골라 설정하시면 됩니다.
*참치신호는 L1(이너채널)을 돌파하는 신호입니다. 가장 기본적 신호입니다.
*작은 청새치 신호는 L4의 이너채널 돌파시 나오는 신호입니다. 청새치의 준비 단계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청새치 신호는 L4의 아우터 채널(빨간색 선으로 표시)을 돌파하는 신호입니다. 강한 변동성을 암시하는 신호입니다. 그리고 많은 경우 추세의 선행신호가 되기도 합니다.
빨간색 큰 십자와 함께 빨간색의 음영이 채널에 표시됩니다. BINANCE:BTCUSDT
"세가지 신호의 경계들 모두가 강하게 돌파되지 않으면 역회전이 걸려 시세가 선회하는 성향이 관찰됩니다."
이상정도로 간단하게 4LBS의 설명에 대한 글을 마무리하겠습니다.
많은 트레이더 분들께 도움이 될 수 있다면 하는 생각으로 공유하며, 만일 도움이 되셨다면 지표창에서 로켓하나씩 눌러주신다면 앞으로도 더 좋은 지표를 개발하는데에 좋은 에너지와 보탬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하락추세선의 저항 횟수로 보는 비트코인 매수진입시기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프랙탈입니다.
오늘은 하락장에서 나타나는 하락추세선에 대한 패턴을 통한 앞으로의 비트코인의 확률적인 흐름을 알아봅시다.
4시간 캔들을 기준으로 보면 고점이 지속적으로 낮아지고있습니다.
이러한형태는 하락추세선을 형성하게 되며 다우이론을 바탕으로 하락추세가 유지되고 있다고 해석합니다.
결론부터말씀드리면
3번째 저항부터는 매도압박이 강해져서 기존의 하락추세선 근처에 도달하지않고 새롭게 형성된 하락추세선에서 저항이일어난다는것과
5번째 저항이후의 상승시도는 매도세가 줄어들면서 기존의 추세선을 돌파할가능성이높습니다.
21년 12월 차트에서도 마찬가지로 3번째저항후 새로운하락추세선을만들면서 5번의 저항을 거쳤습니다.
그리고 저점갱신실패후 재상승하면서 돌파해주었습니다.
21년 4월차트는 중요포인트가 3번째 도전에서 돌파후 지지를해주었습니다. 이후 하락 하더라도 추세선안으로 진입하지않았습니다.
20년 6월부터 7월차트입니다. 여기서는 변칙적으로 3번쨰 도전에서 돌파했지만 지지하지않고다시안으로 들어온뒤 기존의 하락추세선에서 4,5번의 저항을 받고 다시 재돌파하였습니다. 무조건적인 법칙은 아니지만 어쨌든 5번쨰저항이후 돌파가나왔습니다
다음은 코로나가 터진시절의 차트입니다 이당시는 고점을 매우 급하게 낮춘형태여서 하락추세선기울기가 가파르게 낮아진상태였고 4번째저항이후 크게하락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상승하면서 기존의하락추세선에서 5,6회의 저항을 받고 돌파가나왔습니다 이때는 6번쨰의 저항을 받은것이 변수였네요.
어쨌든 5번째저항까지 기다린뒤 매수했다면 좀더 안정적인 매매를 했을수있겠습니다.
19년 고점도마찬가지이며,
단 중요하게볼것은 첫번째 고점에 대한 변칙이 나왔다면 그뒤로는 적용이 되지않는다는것입니다.
18년도 하락장은 변칙적으로 4번째 구간에서 돌파가나왔으나 지속적으로 고점을 낮추며 흐르는 움직임을 보여줬습니다.
현재차트로 돌아와서 25K기준으로 본다면 4번째하락이기때문에 아직 조금더 보수적으로 봐야할필요가있겠다 정도로 해석할수있겠습니다.
단 주의할점이있습니다.
30K의 하락추세선을 기준으로 한다면 5번째의 저항이 이미일어났다고 볼수도있습니다. 그렇다면 18100하락은 공격적으로 매수진입을해도괜찮았고 현재 상승은 6번의 도전이기 때문에 곧 하락추세선 돌파가 나올것이다 로 볼수도 있었습니다.
지금은 저항받는형태이기떄문에 한번더 내려가겠지만 다시 도전한다면 돌파할가능성이 좀더 높아지겠네요. 그래도 아직 매크로 경제가 좋은상황은아니기때문에 앞전에 올린 추세선횟수로 체크하는것이 좀더 좋지않나싶습니다.
절대적인 법칙이아니고 단순히 공급테스트를 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기때문에 저랬던적이있구나 라고 보시면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국내지수] 금일 코스닥 4% 상승 ! 국내지수의 앞으로 행보는?⭐ 서 론 ⭐
안녕하세요 차트왕도 입니다.
어제 미국지수가 크게 반등하면서 오늘 국내지수도 따라서 크게 상승하는 행보를 보여줬는데요.
이로 인해 요즘 떡락으로 말이 많던 카카오뱅크 또한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주식에서 성공할 확률을 높이기 위해선 개별 종목들 뿐만 아니라 지수도 같이 봐줘야 합니다.
오늘은 국내지수가 크게 상승한 겸 정말 중요한 앞으로의 국내지수 행보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 본 론 ⭐
🔴 주봉
• 강한 지지 구간
• RSI 상승 다이버전스 기대해볼 수 있음
- 다만 아직 양봉이 나온 상황은 아니기 때문에 양봉이 나올 때까진 컨펌이라 말할 수 없음.
- 상승 다이버전스의 컨펌은 결국 한 파동의 완성이라 해석할 수 있음.
- 엘리어트 파동 이론에 의해 최소 반등 구간 0.382까지는 상승할 모멘텀을 기대해 볼 수 있다는 소리임.
• RSI 상승 다이버전스 컨펌으로 인한 한 파동 완성
🔻 S&P 도 반등할 확률 높은 자리 🔻
S&P 주봉
• 미국지수도 주봉 RSI 상승 다이버전스 컨펌
• SPX 도 지지구간에 위치해 있음.
S&P 일봉
• SPX 일봉에서 소파동의 RSI 도 상승다이버전스
• 전형적인 상승장악형 패턴
🔵 일봉
• 중파동과 소파동 내에 상승 다이버전스 컨펌
• 엘리어트 하락 5파 완성
🟢 앞으로의 대응
• 지금부터 관심 종목들 슬슬 주워담기 시작하면 되는 시기 (상승관점)
• 지수가 1차 목표에 도달하면 가지고 있는 개별 종목들의 절반이상 매도 혹은 올 매도
- 포지션 조절은 각자 알아서 판단하길
• 지수가 2차 목표에 도달하면 가지고 있는 개별 종목들 모두 매도
⭐ 결 론 ⭐
• 지금부터는 관심 종목들 주워 담기 시작해도 될 시기 (상승 관점으로 보고 있음)
• 미국지수도 상승할 확률이 하락할 확률보다 높음.
• 단기적으로든 지수는 상승 관점으로 보고 있음.
• 아이디어상 곧 미국의 중간선거 오는 데 지지율 떨어지도록 주가 떡락 시키진 않을 거 같음.
- 중간 선거를 생각해서라도 주가가 상승하는 흐름 보여주지 않을까 싶기도 함.
------------------------------------------------------------------------------------------------------------------------------------------------------------------------------------------------------------------------------------------------------------------
최대한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시황을 쓰려 노력하고 있으며
팔로우를 하시면 실시간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알림 받을 수 있습니다.
좋아요와 댓글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매너있는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차트 분석 요청하고 싶으신 종목이 있으시다면, 댓글에 남겨주시면 순차적으로 요청에 따른 분석 해드리겠습니다.
(사정상 모든 분들을 해줄 순 없다는 점 유의해주시길 바라겠습니다)
#주식
#국내주식
#국내지수
#지수
#코스피
#코스닥
#나스닥
#NASDAQ
※ 본 게시글에 나타난 모든 의견은 자료 작성자의 개인적인 견해로,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습니다.
※ 본 게시글은 투자를 유도하거나 권장할 목적이 아니라 투자자들의 투자 판단에 참고가 되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올려진 게시글입니다.
※ 당사는 본 게시글의 내용에 의거하여 행해진 일체의 투자 행위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 본 게시글은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MA 이동평균선이란. ? 안녕하세요. 여러분 ☺️
오랜 시간 동안 이 시장에 있다면, 한번쯤은 " Moving Average- 이동 평균선(MA) "이라는 지표에 대해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오늘은 MA지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몇 가지 예시와 함께, 이동평균선이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 주요 내용
- 이동 평균선 이란?
- 이동 평균선 작동 방법
- 이동 평균선의 올바른 사용법
🔸 이동 평균선 소개
이동 평균선 (MA)은 추세의 방향을 확인하고 모멘텀을 측정하는 데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기술 지표입니다. 가장 최근의 가격 데이터를 기반으로 일정 기간 동안의 평균 가격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이동 평균선은 이미 발생한 이벤트에 반응하기 때문에 예측 지표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확인 및 분석에 사용되는 해석 지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동 평균선은 볼린저 밴드 및 MACD와 같은 몇 가지 잘 알려진 기술 분석 도구의 기초를 형성하며, 대표적인 지표로는 단순 이동 평균 (SMA), 지수 이동 평균 (EMA) 및 가중 이동 평균 (WMA)이 사용됩니다.
(약세 추세와 강세 추세)
🔹 이동 평균선 특징
- 이동 평균선은 일반적으로 추세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계산되며 때로는 주어진 기간의 지지 및 저항 수준으로 사용됩니다.
- 이동 평균선은 과거 가격을 사용하여 파생되기 때문에 후행 지표입니다.
- 이동 평균선의 길이에 따라 딜레이가 증가합니다. 결과적으로 200일 기간 이동 평균 (이전 200 기간의 가격 포함)은 100일 기간의 MA보다 움직임이 덜 활발하게 그려집니다.
(이동평균선의 지지를 받으며 좋은 상승 추세를 나타냅니다.)
(200일 이동평균선이 100일 이동평균선에 비해 움직임이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사용법
- 짧은 기간에 해당하는 이동 평균선은 일반적으로 단기 거래에 사용되는 반면, 긴 시간의 이동 평균선은 장기적인 시장 흐름을 이해하는 데 유용합니다.
- 이동 평균선은 모든 시간 프레임에 적용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정 기간 동안 여러 설정을 테스트 해보고 , 어떤 설정이 자신에게 적합한지 결정하는 것은 좋은 방법입니다.
- 마찬가지로, 더 짧은 기간을 가진 이동 평균선은 더 큰 이동평균선에 비해 가격 변화에 더 민감합니다.
- 상승 이동 평균선은 강세를 나타내고, 하락 이동 평균선은 약세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주식은 이동 평균선이 상승하면 상승 추세에 있다고 말하고 이동평균선이 하락하면 하락 추세에 있다고 합니다.
- 일반적으로 강세 교차가 있는 경우 골든 크로스라 하며 , 단기 이동 평균선이 장기 이동 평균선을 차례대로 초과할 때 정배열이라 부르며, 강세 모멘텀으로 해석됩니다.
- 반대로, 역배열은 약세장에서 예상 될 수 있으며 ,약세 교차하는 경우 데드 크로스라 불립니다. 이는 장기 이동 평균선이 단기 이동 평균선 아래로 교차 할 때 발생합니다.
(정배열의 예시- 이동평균선이 교차 되며 좋은 상승 추세를 보여 줍니다.)
(역배열의 예시 - 이동평균선이 반대로 교차 되며 좋은 않은 하락 추세를 보여 줍니다. )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성투하세요 . 🙂
팀 트레이딩뷰 ❤️
[캔들강의 #1] 캔들의 기초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기본 교육자료의 첫 번째 주제는 캔들입니다.
캔들 교육 자료를 총 5부작으로 제작 후 차례로 업로드해드릴 예정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목 차 >
#1 캔들의 기초
I. 캔들스틱의 형성 원리 (몸통과 꼬리에 대한 이해)
II. 캔들스틱의 중요성 (Feat. 매물대)
III. 단일 캔들스틱의 종류
#2 캔들 심화강의(1) 상승세 전환 패턴
I. Bullish Engulfing (상승 장악형)
II. Morning star (샛별형)
III. Three White Soldiers (적삼병)
IV. Bullish Harami (상승 잉태형)
V. Bullish Counter-attack Line (상승 반격형)
#3 캔들 심화강의(2) 하락세 전환 패턴
I. Bearish Engulfing (하락 장악형)
II. Evening Star (석별형)
III. Three Black Crows (흑삼병)
IV. Bearish Harami (하락 잉태형)
V. Bearish Counter-attack Line (하락 반격형)
#4 캔들 심화강의(3) 지속 패턴
I. Rising / Falling Three Methods (상승/하락 삼법형)
II. Bullish / Bearish Seperating Lines (상승/하락 갈림길형)
III. Fooling Three Soldiers (바보적삼병)
IV. Upside Gap Tasuki (상승 타스키 갭형)
#5 캔들 심화강의(4) 도지
I. 도지캔들의 기초
II. Dragonfly Doji & Gravestone Doji
III. Bullish / Bearish Tri-star (상승/하락 세 십자형)
IV. Bullish / Bearish Harami Cross (상승/하락 십자잉태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캔들 교육 첫 번째 시간은 캔들의 기초에 대한 내용으로 이미 잘 알고 계신 분들은 가볍게 읽고 넘어가셔도 좋습니다.
캔들은 기술적 분석의 가장 기본이 되는 내용으로 반드시 숙지하고 계셔야 합니다.
또한 차트가 숲이라면 캔들은 숲을 이루는 나무라고 보시면 됩니다. 캔들을 볼 때는 항상 차트전체의 "지지·저항·되돌림" 등의 흐름과 캔들을 만드는 힘, 즉 "거래량" 을 반드시 함께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누구나 읽을 수 있을 정도로 쉽게 작성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I. 캔들스틱의 형성 원리 (몸통과 꼬리에 대한 이해)
캔들의 역사는 놀랍게도 약 17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혼마 무네히사'라는 일본의 한 상인에 의해 처음 고안되었으며, 이는 현재 모든 금융 지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캔들은 일정 프레임의 단위시간에 대한 시장의 흐름 을 한 눈에 보여줍니다. 일정 프레임의 시간 동안의 (1일, 1주, 1달이 될 수도 있고, 1분봉, 5분봉 등 분단위, 심지어 틱단위까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습니다.) 한 프레임의 시작 가격인 시가, 종료 가격인 종가는 캔들의 몸통을 구성하게 됩니다. 또한 한 프레임 동안 가장 높았던 가격인 고가, 가장 낮았던 가격인 저가는 각각 위 · 아래 꼬리를 형성하게 됩니다.
종가가 시가보다 높은 경우를 ' 양봉 ', 시가가 종가보다 높은 경우를 ' 음봉 '이라 칭합니다. 단순히 양봉과 음봉을 구분하는 것을 넘어서서 이를 통해 '매도세'와 '매수세'의 우위 도 점쳐볼 수 있습니다. 양봉은 설정된 시간 프레임 동안 매도보다 매수세가 강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음봉은 매수세보다 매도세가 강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꼬리의 의미도 이어서 살펴보겠습니다. 아래꼬리가 달린 캔들은 하락하던 도중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위꼬리가 달린 캔들은 상승 중에 반발 매도세로 인한 저항이 있었음을 의미합니다.
1. "양봉" = "시가 < 종가" = "매수세의 우위"
2. "음봉" = "시가 > 종가" = "매도세의 우위"
3. "윗꼬리" = "상승 중 반발 매도세"
4. "아랫꼬리" = "하락 중 반발 매수세"
단일 캔들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몸통과 꼬리는 생각보다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정한 시간 프레임 내에서 시장이 어떻게 움직였을 지 상상하면서 읽어보시면 금방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II. 캔들스틱의 중요성 (Feat. 매물대, 추세선, 그리고 변동성과 청산)
John J. Murphy는 유명한 저서인 Technical analysis of the financial markets에서
"Market price acts as a leading indicator of the fundamentals."
라고 언급하였으며, 기술적 분석은 "가격"에 대한 연구라는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따라서 일정 시간 프레임 동안의 "가격"의 움직임을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캔들에 대한 연구는 기술적 분석의 가장 기본이 되는 내용이라 감히 말할 수 있습니다.
캔들의 중요성은 크게 두 가지 정도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매물대 파악을 통한 지지 · 저항 Level 설정 ( a.k.a. 수평 지지 · 저항선)
• 매물대의 사전적 정의는 일정 기간 동안 특정 가격대에서 거래된 물량 자체를 말하며, 통상적으로는 매수물량과 매도물량이 많아 거래가 활발하게 일어났던 가격대를 말합니다.
• 매물대는 가격이 하락할 때 하락을 막는 지지선으로 작용하기도 하고, 가격이 상승할 때 상승을 막는 저항선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위 사례는 캔들의 꼬리를 활용하여 매물대를 파악하는 예시입니다. 상승 혹은 하락 흐름에 발생하는 조정 과정에서 꼬리를 통해 이전 매물대의 지지를 받는지, 혹은 이전 매물대의 저항을 극복하지 못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추세선 (Trendsline) 형성을 통한 지지 · 저항 Level 설정
• 추세선이란 말 그대로 가격의 변화 추세와 흐름을 읽을 수 있는 선입니다.
• 캔들의 전고점들을 이은 선을 하락추세선이라 합니다.
• 캔들의 전저점들을 이은 선을 상승추세선이라 합니다.
위 사례는 캔들스틱 중 특히 긴 꼬리가 형성된 지점을 이어 추세선을 형성하는 간단한 예입니다. 추세선을 깨뜨리지 않는 선에서는 추세선이 지지 Level 로, 추세선이 한 번 깨진 후에는 저항 Level로 작용함을 볼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알아볼 내용은 (특히 크립토 마켓에서) 캔들의 꼬리가 가지는 의미입니다. 캔들의 원론과 해석의 시초는 주식시장이었습니다. 하지만 크립토 마켓의 경우 변동성이 훨씬 크고 선물시장이 주도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고전적인 해석이 모두 맞지 않을 때가 많아졌습니다. 크립토 마켓에서 긴 아래꼬리가 달린 경우를 예로 들어 간단히 정리해보겠습니다. (아래 차트 참고)
1. 강한 급락으로 인해 발생한 호가 공백
- 보통의 호가 예약 주문의 경우 현재가의 10% 이내 범위에서 예약 주문이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강한 급락이 발생할 경우 순간적으로 받쳐주는 호가의 공백 이 발생하게 되어 추가 급락이 더 이루어지게 됩니다. 이럴 때 호가가 채워지며 강한 매도 · 매수세 없이도 꼬리들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2. 레버리지 청산을 위한 조정
- 변동성이 크고 레버리지를 이용한 옵션 거래가 주를 이루는 크립토 마켓의 경우 레버리지가 과도하게 쌓이는 순간이 발생하며, 이럴 때 빠른 가격 조정으로 연쇄 청산을 유도 할 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강한 매도, 매수세 없이도 꼬리들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3. 구별 방법
- 구별 방법으로 특별히 정립된 바는 없으나, 발생 원리 상 두 가지 정도의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1) 더 작은 시간 프레임으로 나누어 급락을 확인한다.
: 아래 차트를 확인해본다면, 일봉의 아래 꼬리가 불과 25분 만에 만들어졌으며, 25분 동안 -32%의 급락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추세선, 이전 매물대, 전저점을 크게 이탈하지 않는 가격 조정인지 확인한다.
이번 장에서는 단일 캔들의 중요성, 즉 단일 캔들에 나타나는 시장의 움직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장에서는 단일 캔들의 종류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본 후 이번 강의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III. 단일 캔들스틱의 종류
1. Marubozu 캔들 (꼬리가 없는 캔들, a.k.a. 장대양봉 or 장대음봉)
- 양쪽으로 꼬리가 없는 캔들의 형태입니다.
- 강력한 매수, 매도세 를 뜻합니다.
- 마루보주 캔들이 출현할 시 해당 방향으로 추세가 지속될 가능성 이 매우 높습니다.
< 예 시>
1) White Marubozu (장대양봉)
2) Black Marubozu (장대음봉)
*Comment: 추후 다룰 내용이지만 Black marubozu 이전에 출현한 캔들은 Gravestone doji 캔들로 추세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위 예는 Gravestone doji 로 추세의 전환을 알린 후 Black Marubozu로 추세를 지속함을 알리는 전형적인 예시라고 할 수 있겠네요.
**Comment: Marubozu에 꼬리가 달리는 경우를 Opening, Closing Marubozu로 따로 구분하기도 하지만, 변동성이 심한 크립토 마켓의 특성 상 꼬리가 없는 Marubozu 캔들이 매우 드물기에 따로 나누어 생각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2. 망치형 / 교수형 캔들 (Hammer, Hanging man)
- 망치형과 교수형 캔들의 모양은 같습니다. ( 아랫꼬리가 윗꼬리에 비해 매우 긴 캔들 )
- 양봉/음봉에 관계없이 해석은 동일합니다.
- 아주 강력한 추세 전환 Signal 입니다.
- 저점에서 발생 시 망치형이라고 하며 상승전환, 고점에서 발생 시 교수형이라고 하며 하락전환의 Signal.
- 교수형 캔들은 음봉이 보다 더 신뢰도 높은 Signal입니다.
< 실제 사례 >
*Comment : 교수형 캔들의 해석 = '주가 상승 중 만난 과도한 매도세를 멱살잡고 끌어올렸으나 힘이 약해진 상태. 주가가 앞으로 하락을 할 가능성이 높다.'
**Comment : 망치형 캔들의 해석 = '하락하는 주가를 멱살잡고 끌어올리는데 성공한 상태. 앞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3. 역망치형 / 유성형 캔들 (Inverted hammer, Shooting star)
- 역망치형과 유성형 캔들의 모양은 같습니다. ( 윗꼬리가 아랫꼬리에 비해 매우 긴 캔들 )
- 양봉/음봉 여부보다는 발생 위치가 중요 합니다.
- 추세 전환 Signal이지만 강한 Signal은 아닙니다. (추가 확인 과정 필요, 다음 캔들의 Gap을 확인하자. )
- 저점에서 발생 시 역망치형이라고 하며 상승전환, 고점에서 발생 시 유성형이라고 하며 하락전환의 Signal.
- 유성형 캔들은 교수형 캔들과 더불어 악재의 양대산맥 이라 불립니다.
< 실제 사례 >
*Comment : 망치형, 교수형 캔들에 비해 약한 Signal이므로 보수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연속출현, 다음 캔들의 형태 및 크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투자를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Comment : 역망치형 캔들의 경우 추세의 완전한 전환이 아닌 단기적인 바닥 정도로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4. Spinning top & Doji
- 시가와 종가가 거의 비슷한 캔들 입니다.
- 매수세와 매도세가 비교적 팽팽하게 대립하였음 을 나타냅니다.
- 추세전환의 가능성이 높은 캔들 입니다.
*Comment : 도지캔들은 양이 방대하여 5부에서 따로 다룰 예정입니다.
1부 기본캔들 강의는 여기까지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다음주 2부도 잘 준비해서 찾아뵙겠습니다.
[비트코인] 추세선 무조건 돌파했다고 떡상할거란 망상은 버리세요#비트코인 #BTCUSDT #토미
- 아래 차트는 비트코인 일봉 차트입니다. 제가 최근에 지겹도록 강조드렸던 두개의 하락 추세선을 작도해놨습니다.
- 17k~18k 부근에서 지속적으로 지지가 나온 상황으로 많은 저점이 맞닿아 있으며 해당 구간은 당분간 의미있는 바닥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여기서 또 다시 반등을 기대해볼만한 구간 보다는 뚫리면 추가하락이 나올 수 있는 구간 이라고 보시는 게 좋겠습니다.
- 파란색 추세선은 빨간색 추세선보다 비교적 더 장기적인 요소입니다. 고로 파란색 추세선은 단순히 하나의 선보다는 어느정도 범위로 생각하는 게 좋다고 말씀드린 바 있습니다.
- 다른 말로 더 장기적인 요소일수록 더 높은 캔들봉에서의 돌파 및 종가 마감 여부가 중요합니다.
- 때문에 이번 주봉 종가마감이 매우 중요하였는데 아쉽게 아래 차트처럼 윗꼬리 길게 남기고 역망치 패턴 비슷한 양상으로 마감이 되었습니다.
- 최근 두번 연속 윗꼬리 남기고 주봉 종가 마감을 했는데 이번 주봉 캔들이 어떻게 마감될지 역시 관건이겠네요.
- 4시간봉 차트로 들어와서 보시면 아직 빨간색 하락 추세선은 돌파를 확실히 못해주었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두 추세선 Diverging(간격이 넓어지는)하고 있는데 지금 가격 범위 내에서 추가적인 횡보 움직임을 보여주고 추후에 빨간색 하락 추세선을 상방돌파 해준다면 그때 또한 단기 롱 타점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 또한 20.4k~20.5k 단기 천장을 결국 돌파 실패한 이후 보라색 상승 채널 하단(어센딩 트라이앵글 하단)의 하방이탈이 방금 출현한 상황입니다.
- 4시간봉 기준으로 초록색 단기 상승 추세선과 보라색 채널 하단 리테스트 저항 여부 잘 체크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 단기적으로 고려중인 지지구간은 $18,580~$18,720(10/14 09:00까지 유효) 그리고 $17,610~$17,750이며 두번 째 지지구간은 신규 진입보단 이탈 여부 보고 대응하는 자리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 앞서 언급드린 추세선들 상방돌파 혹은 현 횡보 박스권 채널 상단(20.4k~20.5k) 상방돌파시 추가 상승세 나올 수 있으니 저항구간은 최대한 위에 있는 놈들로 도출해봤습니다. 현재 제가 고려중인 저항구간들은 일단 $21,380~$21,520(10/13 21:00까지 유효) 그리고 $21,790~$21,930(10/19 21:00까지 유효) 입니다.
나스닥과 의형제를 맺은 비트코인 10월 8일 분석안녕하세요 추세를 따라가는 늑대컨셉 유지중인 트레이더 프랙탈입니다. ^^;;;
트뷰에만 아이디어를 잘못올리게 된거같아서 오랜만에 관점업로드를 하게되었습니다. 좋아요(로케트)와 댓글은 큰힘이 됩니다.
요즘 나스닥과 비슷한추세흐름을 타고 있는 비트코인.... 이제 코인러들도 경제공부를 해야할때가 도래했네요~
현재까지의 상황을 거시적파동과 기술적분석을 종합해서 간단히 요약해보자면
1. 9월기준 코어pce발표 후 예상치상회하여 하락 19184
2. 저점갱신실패 이후 상승하였지만 고점갱신실패(20150) 하여 2번째 공급테스트(abc조정)로 18900 도달
3. 이후 un의 금리인하촉구/맥도날드결제지원/연준의 피봇에 대한 기대감으로 나스닥과 함께 3일간 상승모멘텀유지
4. 상승했지만 장기하락추세선 안착실패및 박스권상단돌파 실패
5. 재차 상승했지만 실업률 수치 감소로 인한 피봇기대감 제거로 상승추세 종료
6. 하락추세 유지
정도로 요약할수있겠습니다.
우선 20400구간에서 매수약세 시그널을 포착하여 20440 숏포지션 유지하고있는 상태이며 19330 부근의 매도 절정 영역에서 단기적인 매도약세 시그널이 포착되어 19420부근 단기롱진입후 상승으로 보고 19570부근에서 물량을 청산한 상태입니다.
현재까지는 하락추세가 전환되었다는 징후가 포착되지않았고 패턴적으로 볼때(상승쐐기) 추세선 지지실패시 하락가속화가 일어날 가능성을 조금더 높게보고있습니다.
현재 4시간 이동평균선 단기이평지지실패 후 역배열진행 및 일봉 이평선역시 단기이평지지아래로 마감한상태입니다. 또한 하이킨아시 하락추세인상태입니다.
현재 주요하게 볼것은
1. 상승 추세선 이탈전에 일봉기준 종가 19700 안착여부
2. 주봉종가
3. 나스닥과 비슷한형태의 익스펜딩채널 혹은 상승쐐기 하방이탈로 인한 큰변동성 형성여부
4. 장기추세선에 대한 평행상승추세선 반등여부
5. 추세선이탈 시 거래량 하락했지만 18600에서 유의미한거래량을 동반한 캔들 wick or 오더블럭을 형성여부
6. 보조지표 단기 중기 추세전환시그널형성여부
7. 10월 13일 9월달의 cpi (예상치 +0.2%) 및 10월 28일 9월달의 pce (예상치는 -0.2%)
정도가되겠습니다.
[Wyckoff Method#2] 와이코프 방법론 : 회로도 및 이벤트(축적)안녕하세요. 크립토몽키입니다. 이번 아이디어는 기본 회로도 및 구간별 이벤트에 대해 작성해보려합니다.
지난 아이디어에 이은 기본서로 이전 아이디어를 보시지 않으신 분은 아래 차트 그림을 클릭해주세요.
위 가격 주기에서 우리는 축적과 분배 영역 이후 추세에서 가격 목표를 추정하기 위해 TR 내 단계와 이벤트에 주목해볼 것입니다.
다음 분배 구간과 여러 회로도에 대한 아이디어는 다음 아이디어에서 업로드 하겠습니다.
좋아요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22.10.6] 비트코인 차트분석 / 빈공간으로 슈팅 가능
안녕하세요.
안전한 트레이딩을 지향하는 굳라이프입니다.
금일은 매우 심플하게 시장을 보고자합니다.
20400 길게 박스를 그려줬던 박스의 상단라인 입니다.
현재 여러번 찌르면서 매물대를 녹이고 있는것으로 판단되며
돌파 후 지지해준다면 비어있는 공간은 쉽게 슈팅이 나올 수 있는 구간이됩니다.
20400라인을 기준라인으로
돌파 후 지지 - 롱
돌파 후 지지 실패, 저항 - 숏
위 관점으로 오늘의 시장을 보고자 합니다.
진행되는 상황에 따라 아이디어 업데이트 할께요.
오늘도 잃지않는 매매 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온체인 데이터 지표 해석 (1) BTC_HASHRATE- INTOTHEBLOCK: 안녕하세요. ^^ 얼마 전 INTOTHEBLOCK 의 데이터가 추가되었다는 사실은 다들 아실 거라 생각합니다.
INTOTHEBLOCK 은 크립토 시장에 실행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AI로 최첨단 연구를 적용하는 데이터 과학 회사입니다.
그 중 블록체인 온체인 데이터 분석으로 500개 이상의 암호화폐 자산에 대한 기본 분석을 공개하는 지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먼저 트레이딩뷰에서 INTOTHEBLOCK의 데이터 지표를 탐색해 보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입력: INTOTHEBLOCK: <- ( 끝에 :를 붙이셔야 합니다. )
오늘은 이 중 가장 대표적인 지표를 살펴보겠습니다. 😉
🌟 BTC_HASHRATE
이 지표는 블록체인의 상태를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해시 레이트는 블록체인의 POW(작업증명방식)에서 제공되는 채굴자들의 Computing Power, 즉 채굴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1. 블록 체인의 해시 레이트는 종종 보안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트랜잭션을 검증하는 데 더 많은 연산 처리 능력이 할당되면 블록체인을 공격하는 데 비용이 더 많이 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시 레이트의 증가는 기본 블록체인 보안이 개선되었다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해시 레이트 증가: 채굴 난이도가 올라가면 이는 희소성으로 이어지고 이는 일반저긍로 다시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해시 레이트 감소: 해시 레이트의 큰 감소는 기본 네트워크를 51% 공격에 더 취약하게 만들기 때문에 유의해야 합니다.
2. 해시 레이트는 채굴자들의 수익성과도 관련되어 있습니다. 반감기 직후에 해시 레이트는 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채굴자들의 수익성도 비례하여 떨어집니다. 통계적으로 이는 일시적이었습니다. 따라서 2020년의 5월 반감기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의 해시 레이트 증가는 채굴자들의 긍정적인 기대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시) 2016년 7월 9일 비트코인 반감기
반감기 이후 소폭 하락한 비트코인은 가격세가 주춤하였지만, 해시레이트가 회복하며 이 후 12월까지 30% 이상의 상승률을 보여주었습니다.
예시2) 2020년 5월 20일 비트코인 반감기
표시해 놓은 구간도 살펴보면 해시 레이트와 비트코인 가격의 상관관계를 굉장히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지금은 어떨까요?
현재는 비트코인의 가격이 엄청나게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해시레이트는 ATH (올타임하이) 를 찍었습니다.
이를 보는 견해들의 해석은 시각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채굴자들이 미래의 가격 상승에 베팅을 하고 있다는 해석이 많습니다.
채굴자들은 경제적의 수익성과 이익에 따른 판단을 합니다.
그러나 때로는 역 상관관계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어떤 분석가들은 해시 레이트가 이렇게 상승하고 있지만, 가격은 급락하는 경우도 빈번하여 상관관계가 낮다고 하기도 합니다.
가격이란 해시 레이트와의 관계 이외에도 상승과 하락의 요인에는 각국의 통화 정책과 같은 경제적 이슈, 정치적인 이슈, 매수 매도 세력간의 싸움등 다양한 변동 요인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100% 신뢰라는 것은 리스크가 있음을 인지하셔야 합니다.
여러분들의 해석은 어떠하신가요 ?
여러분의 멋진 온체인 데이터 분석 아이디어를 기다립니다 .😉
감사합니다.
팀 트레이딩뷰 ❤️
원유, 얼마면 돼? (aka. 재정균형유가) 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OPEC+ 하루최대 200만배럴 감산 검토"… WTI, 3.5%↑
최근 수요감소로 인해 러-우 전쟁 직전 수준인 배럴당 76불 까지 떨어졌던 유가가
OPEC+의 감산 소식으로 인해 배럴당 85불 까지 치솟았습니다
산유국들은 어느정도의 유가와 수요를 원하는 것일까요?
오늘은 세계경제의 큰 축을 담당하는 산유국들의 정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재정균형유가(Fiscal breakeven oil prices)’ 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앞으로의 유가의 움직임과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
I. 서론 - 산유국이 유가에 민감한 이유
II. 본론
II.1 재정균형 유가란?
II.2 앞으로의 유가의 향방은?
III. 결론 - 시장에 미치는 영향
---------------------------
서론
원유가 아니어도 국정을 운영하는데 지장이 없는 미국과 같은 선진국을 제외하고
원유 수출이 GDP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국가들을 (주로 중동) 산유국 이라고 통상 지칭합니다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 UAE, 쿠웨이트 등 이 대표적입니다
이 국가들의 GDP대비 원유 수출의 비중은 많게는 40%에 육박합니다
그러나 원유 수출을 통해 얻는 수익은 경제 상황이나 유가에 따라 변동성이 매우 높습니다
대표적인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를 살펴보겠습니다
그래프를 보시면 유가가 최고점을 기록했던 2014년에 대비하여
리먼 사태로 전세계적 경기침체가 있었던 2008년 즈음에는
원유 수익이 절반 수준 으로 떨어졌음을 볼 수 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전체 GDP 대비 원유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이 15% 정도를 차지함을 감안할 때
전체 GDP가 7%나 감소하는 효과 를 일으키는 것이죠
이처럼 산유국들은 유가의 호황과 불황에 따라 국정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책적으로 유가를 조절하는 기구를 만들고, 유가를 조절 하는 것입니다
그들에게 원유 수익 재정정책은 국가의 안정과 경제성장을 위해 필수적인 것이죠
----------------------------
본론
II.1 재정균형 유가란?
그렇다면 산유국들은 얼마의 유가를 원하는 것일까요?
독자분들께서는 산유국들의 패권다툼으로 인한 2020년 사상 초유의 저유가 사태를 기억하실 것입니다
이때 미국의 셰일가스가 대안으로 언급되며 자주 언급되었던 용어가 ‘원유 손익분기가격 (Breakeven oil price)’ 입니다
그러나 이는 사실 생산 원가 와 관련된 내용으로
2020년 같은 특수한 상황이 아니면 사실상 구경하기 어려운 가격 입니다
현실적인 원유 가격의 1차적인 지지선은 ‘재정균형 유가 (Fiscal breakeven oil price)’ 로
각 산유국들의 재정이 적자가 나지 않는 수준의 유가 를 의미합니다
유가가 재정균형 유가 이상의 수준을 유지할 때는
산유국들이 마음껏 오일 머니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 입니다
2022년 국제금융기구 (IMF)의 발표에 의하면
사우디 아라비아의 재정균형 유가는 2022년 배럴당 79.2불 이며
2023년은 배럴당 69불로 예상 됩니다
이 수치를 알면 이제 OPEC+의 감산 이야기가 왜 나왔는지 (유가 80불 이하) 그리고 현재의 유가(85불)가 유지되는 이유가 이해되실 겁니다
II.2 앞으로의 유가의 향방은?
유가는 중동 경제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실제로 그래프와 같이 유가와 산유국의 건설 발주액은 연관성 을 보입니다
유가가 오르는 시기에 열심히 발주를 넣었다가, 발주 취소를 하는 경우가 허다했죠
최근에도 1300조원 가량의 규모로 거론되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네옴시티’ 프로젝트가
감산 및 유가 상승에 의해 힘을 얻으며 2029년 동계아시안게임 유치에 성공한 사례를 보면
재정균형유가 이상의 원유 가격을 유지하기 위한 OPEC+의 강력한 의지 를 엿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앞으로도 추가적인 유가의 하락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 됩니다
여러 이벤트에 따라 마의 70불 후반 구간 아래로 단기적 하락은 있을 수 있겠으나
기본적으로 79불이 강한 지지선 임을 인지하셔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위에서 언급드렸듯이 IMF에서도 내년 재정균형유가의 하락을 예상 하였습니다
이유는 두 가지를 생각해볼 수 있는데요
1.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통한 산유국의 꾸준한 원유 의존도 탈피 노력
2. 인플레이션의 감소 (경기침체)
중요한 것은 2번 이유입니다
연준이 바라는 연착륙이 이루어지며 인플레이션이 잡히는 시나리오의 가능성은 매우 낮고
내년 경기침체가 올 가능성이 높다는 것 을 아이디어들을 통해 말씀드렸는데요
IMF는 경기 둔화로 인한 원유 수요 감소, 산유국의 경기순응성을 근거 로 재정균형유가의 하락을 예상 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재정균형유가의 수치자체가 하락하여, 원유가격이 낮아진다고 하더라도
재정균형유가 이하로의 유가하락을 방지하기위해 지속적으로 OPEC은 공급을 조절 할 것입니다
이는 역으로 또 다시 원유가격 상승 및 수요 감소를 촉발하며
경기침체를 심화하는 피드백으로 작용 하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
재정균형유가의 방향도, 경기침체를 예상하는 퍼즐에 꼭 맞추어지고 있는 셈 입니다
----------------------------
결론
시장에 미치는 영향
미국발 양적완화로 시작되고 러-우 전쟁으로 인해 심화된 전세계적 인플레이션
그리고 인플레 파이터로서의 미국 연준의 강력한 긴축정책이
현재 국제정세의 가장 키포인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플레가 확실히 꺾이는 것을 확인하기 까지 연준은 긴축의 끈을 놓지 않겠다고 했음을 기억 해야 합니다
감산이슈로 상승한 유가를 반영하여 Inflation nowcasting은
10월 CPI 예상치를 MoM 0.72 (기존 0.41) YoY 8.04 (기존 7.71)로 상승 하였습니다
원유 가격의 상승은 대부분의 원자재 인플레이션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최근에는 강력한 긴축정책과 수요 감소로 인해
유가를 포함한 전반적인 원자재 가격이 하락 안정화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재정균형유가 이상의 유가를 유지하려는 OPEC의 움직임으로 인해
다시 한번 원자재발 인플레이션이 대두 될 가능성 이 높아졌습니다
따라서 현지시간 기준으로 다음주 수요일 발표되는 10월 미국 CPI 발표 가
11월 예정된 FOMC의 금리인상의 키포인트가 될 것으로 생각하며
현재 상황으로 미루어볼 때는 결정적인 인플레이션 감소는 없고
전월과 비슷한 수준 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로 인해 11월 FOMC에서도 75bp 인상이 유력한 옵션 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결론 요약
1. 재정균형유가 이하 (올해 79.2불, 내년 69불)로 유가가 내려가기는 어렵다
(오늘 한국시간 기준 오후 7시 OPEC+ 감산 관련 회의를 잘 지켜보자)
2. 재정균형유가의 예상 추이도 내년 경기침체를 가리키고 있다
3. 10월 CPI 발표 (현지시간 다음주 수요일), 고용지표 (오늘 비농업부문 고용변화 발표 예정)가
10월의 시장 분위기 및 11월 FOMC 금리인상에 가장 키포인트가 될 것이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