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4월 16일 비트파이넥스 BTC/USD 일 차트 분석BTC/USD 일차트 분석입니다.
비트코인의 가격흐름은 13일 분석에서 설정한 캔들패턴의 상승요건을 지켜주며 움직이고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에 예상 상승범위와 하락범위를 13일의 분석과 동일하게 설정하였습니다.
캔들패턴의 관점에서 관찰할 수 있는 상승 시그널은 가격상승을 이끄는 캔들패턴인 상승 다람쥐형 캔들패턴이며, 오늘 종가가 어제의 시가 밑 혹은 12일 형성된 장대양봉의 종가 근처로 이탈하여 마감하지 않는다면 지난 하락세의 일시적 상승구간들로 형성된 매물대(노란원)를 소화하기 위한 일시적 횡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가격 하락 시, 설정가능한 지지구간은 여전히 유효.
*로그차트 상에서도 하락추세를 반전시키기 위한 상승 흐름이 이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므로, 로그차트 상의 기술적 분석의 관점에서 상승을 이끌 수 있는 요인이 발생하지 않을까 하고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거래량의 2월 6일 반등에 비해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여전히 확실한 상승추세로의 전환이라 판단할 수는 없으나 12월 16일부터 형성된 하락추세선 상단을 캔들의 몸통으로 돌파한 후, 캔들패턴 상의 상승시그널이 유지되고 골든크로스의 가능성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여전히 상승에 대한 기대를 조금 더 높게 잡아 볼 수 있다는 관점은 유효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거래량이 낮다는 것은 현재의 저항구간을 돌파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 트레이더들(4월 초부터형성된 바닥구간에서 매집한 트레이더들)이 매도를 하지 않은채 관망하며 추세로 가져가기 때문이라 생각해볼 수 있겠습니다.
아이디어 하단의 13일 차트 분석도 함께 보시기 바랍니다.
비트파이넥스 BTC/USD 일 차트 분석본 차트는 코인플러스 상품을 이용하시는 회원님들께 제공된 비트코인 기술적 분석입니다.
오늘은 로그눈금이 아닌 선형눈금을 사용하였는데, 그 이유는 선형눈금 상에서
12월 16일부터 형성된 하락추세선의 상단을 캔들의 몸통으로 살짝 돌파한 것이
확인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추세 돌파를 기다리고 있던 매수관점의 트레이더들이 이에 대한
리테스트를 확인 후 진입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따라서 만약 리테스트가 차트상에 기술된 분석과 유사하게 진행될 경우
이전에 형성된 가격구간이 쌍바닥으로 인식되어 상승추세를 이끌어낼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다만 거래량이 2월 6일 반등에 비해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확실한 추세전환이라 판단할 수는 없으나, 이번 추세돌파를 통해 상승에 대한 기대가 높아졌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리테스트 구간에서 지지받는 것이 확인된다면 다시 한 번 거래량을 동반한 가격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습니다.
*첨부된 사진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비트파이넥스 BTC/USD 4시간 차트 분석비트파이넥스 BTC/USD 4시간 차트분석입니다.
현재 피보나치 비율 저항구간을 돌파하지 못하고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 하모닉 패턴의 무효화 지점 위에 있기 대문에
그 흐름을 아직까지 지켜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기술적 분석의 관점에서 지루한 횡보가 이어질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으나
보조지표를 보았을 때, RSI 지표와 MACD지표가 아직 안정권을 유지하고
있고, 거래량 역시 전체적인 수준은 낮지만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보아
여전히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는 유지 중이라 볼 수 있겠습니다.
*하모닉 패턴의 무효화지점 6,430 ~ 6,500달러 (지지가격구간#1)
비트파이넥스 BTC/USD 한시간 차트 기술적 분석어제 저녁 발생한 순간적인 급락과 동시에 상승추세선#1을
이탈한 BTC는 지난 횡보구간(푸른색 박스)의 하단을 터치 한 후
여전히 큰 사이클에서 대칭삼각형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또한 가격이 급락하면서 거래량도 함께 형성(푸른색 원)되었기 때문에
상승에 대한 기대가 완전히 꺾인 것은 아님.
그러나 현재의 추세선을 돌파하지 못할 경우, 다시 한 번 바닥에 대한
리테스트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6,530 ~ 6,614달러 가격대를
지지가격구간으로 설정해볼 수 있음
하모닉 패턴의 관점에서 분석한 BTC/USD 차트1. 하락추세의 엘리엇 5파동 종료, 상승 abc파동 예상 가능.
상승 abc파동 종료 후, 상승추세를 이어간다면 최대
하모닉 패턴 비율에 따라 11,187달러까지 상승가능성이 있음.
(장기 사이클에서의 엘리엇 하락 5파동도 종료된 것으로 판단)
2. 단기 이동평균선의 하락 추세의 변곡 발생
3. 일목균형상의 저항구름대 돌파시도가 있을 것으로 예상.
(이번 저항구름대는 두꺼운 저항이므로, 해당구간 통과 시,
상승추세를 어어갈 확률이 높음.)
RSI: 안정권에서 변동 유지
맥디: 골든크로스 형성, 상승전환 시도 중
하모닉 패턴 (Bearish Shark Pattern)
Bearish Shark Pattern
X-A: 상관없음
A-C:1.13~1.618
B-C:1.618~2.24
X-D: 0.886~1.13
(현재 X자리는 의미가 없으며 현재의 A자리를 X로 보고 패턴을 작도함)
비트파이넥스 BTC/USD 1시간 차트 분석어제 분석한 비트코인 1시간 차트 분석입니다.
거래량이 줄어들면서 가격이 상승하는 하락 다이버전스 및
CCI, RSI의 보조지표 역시 과열구간에 도달한 것으로 관찰(붉은
화살표)되었기 때문에 현 시점에서 저항구간을 돌파한다고 하더라도
조정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1. 저항구간 내에서 조정이 발생한다면 해당구간 하단에서
지지여부를 확인 후 진입하는 것을 추천함.
(이때, 저항구간을 하방이탈하게 된다면
지지가격구간 #1을 단기적 지지구간으로 설정해볼 수 있음)
2. 현재 저항구간의 상단을 돌파하게 된다면 현재 저항구간 상단에서
형성되는 리테스트 여부를 확인 후 진입하는 것을 추천함.
라고 저희 서비스를 이용해 주시는 회원분들께 어제 자료를 배포 했었고
현재는 그 과정을 지켜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비트파이넥스(Bitfinex) BTC/USD 한 시간 차트하모닉 패턴형성의 관점에서 패턴 이론상 최대 도달범위이자
이전의 지지가격구간에 도달한 모습이 관찰됨.
그러나 단기 하락 추세 패턴의 관점에서는 추세선 하락 이탈 후
되돌림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따라서 현재 관점에서 주목할 부분은
1. 하모닉 패턴의 이론상 최대 도달범위에서 반등이 나올 것인가
2. 추세 패턴의 되돌림이 수급의 유입과 함께 패턴으로 다시 복귀를
할 것인가
3. 만약 이탈이 발생한다면 7,243달러 가격대의 지지선에서 반등이
나올 것인가 라고 판단됨.
이에 대해, 추세패턴으로의 복귀가 발생한다면 순차적으로 추세 상단과
저항구름대에 대한 상단돌파 시도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며, 만약 이대로
하락추세가 이어질 경우 마지막 지지구간인 7,243달러 가격대의 반등을
예상해볼 수 있음.
20180327 비트파이넥스 BTC/USD 4시간 차트 분석 (1)이중 바닥형의 변형 패턴을 형성한 비트코인은 넥라인 돌파 후, 저항구간으로 작용 중인 8,820~9,303달러 구간(자주색 영역)에 대한 돌파를 시도하였으나 실패하고 넥라인에서 지지를 받으며 엘리엇 파동을 형성한 것으로 보임. 이후 저항구간에 대한 두번째 돌파 시도 역시 실패하며 하락 조정파동으로 이어졌으나 (2)이중바닥형 패턴 넥라인의 연장선에서 지지를 받고 조정파동을 마무리한 것으로 보임. (넥라인 부근에서 거래량이 수반된 장대양봉을 통해서 짐작 가능, 파란색 원). 따라서 현재 추세를 이어갈 경우 다시 한 번 저항구간 돌파를 위한 상승 추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음.
만약 현재 시점에서 상승추세를 이어가지 못 할 경우, 넥라인과 맞닿는 7,668달러 가격구간을 그 다음 지지선으로 설정해볼 수 있음. (이 자리는 지난 이중바닥형 패턴의 첫번째 바닥의 저점임.)
비트파이넥스(Bitfinex) BTC/USD 차트분석 현재 비트코인은 일 차트 상, 추세의 반전을 의미하는 (1)이중바닥형 패턴이 형성 중인 것으로 생각됨.
따라서(2)상승횡보구간(8,293달러~9,034달러)에서 단기적 조정을 거친 뒤 하락추세선 상단을 돌파하러 갈 것으로 예상됨.
현재 차트 기준으로 하락추세선과 맞닿는 지점은 (3)추세돌파 시도구간인 9,802달러 가격대이며, 이 가격대를 상승돌파 할 경우, 이중바닥형 패턴의 완성을 위해 (4)넥라인 가격대 (10,894달러~11,663달러) 돌파를 위한 가격 상승이 발생할 것이라, 중기적 관점에서 기대해볼 수 있음.
만약 현재 가격구간((1)8,293달러~9,034달러) 에서 지지받지 못한다면 지지선#2 (7,338달러 가격대)까지 조정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은 확률로 존재함.
롱과 숏관점의 매수포지션(feat. 피보나치/엘리엇/트렌드라인/뇌피셜) aka.모두의 매수
안녕하세요. 약간의 뇌피셜을 가미한 건전한 분석으로 스마트한 트레이딩을 지향하는 마이다스입니다.
*현재 장 흐름은 상상 속의 저점 $6000을 찍고 오랜만이라 적응이 안되는 강하고 지속적인 상승세를 바탕으로 누구도 예상치 못했던 11250을 큰 조정없이 터치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단기상승추세이지만 큰 관점의 상승 5파동을 완성한 것처럼 보이며 진정 상승추세의 전환이라면 (5-3-5)패턴의 하락 3파동으로 건강한 조정(패닉셀X)이 남았습니다.
시나리오.1 -> 롱관점의 조정하락 3파동 이후 상승 5파로 지긋지긋한 하락장 장기추세선을 찢어버리고 전고점을 돌파하는 시나리오입니다.
2차 서포트영역에서 적은 확률, 3차 서포트영역에서 큰 확률로 반등이 일어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시나리오.2 -> 숏관점의 하락 5파동으로 직전저점 $6000의 0.618비율인 $8000까지 내려간 후 반등하거나 (good)
$8000에서 약한 반등 이후 하락하여 직전 저점 $6000을 리테스트 한 후 반등하거나(not bad)
$8000에서 약한 반등 이후 하락하여 직전 저점 $6000을 뚫고 좌절장으로 돌입(fuc**** bad)
현재까지 거시적인 장흐름 상 시나리오.2의 가능성이 열려있긴 하지만 6천달러 이후 차트모양이나 매수세를 보아 시나리오.1에 무게를 더 두고 분석할 예정입니다.
또한 정확한 매수진입 시점은 스토캐스틱 파동분석을 통해 하고 있습니다만 트레이딩뷰로는 전달해드릴 수 없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_ _)
BTC/USD 분석
많은 분들이 동일프레임 일봉으로 동일 시간대 작년 6월과 지금의 모양새를 보고 비교한다.
내가 본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삼각수렴이고 둘다 하방이탈로 보는데 나의 시선은 다르다.
또한 한국발 규제나 여러가지 상황이 이러한 차트를 그리게 만든다고 생각하는데,
한국의 규제나 여러 악재들은 그저 재료로 사용될 뿐(시기에 맞추어) 차트는 차트를 그릴 수 있는 능력을 가진자
돈이 많은 사람, 세력 등등의 접두사를 붙일만한 사람들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라 생각한다.
내가 가진 돈은 비록 그 사람들의 가진돈의 아주 극소량이지만 나는 내가 세력 최소 5천억 이상의 자본가라고
자기최면을 걸며 트레이딩을 한다.
차트를 그릴 능력을 가진자의 돈의 규모가 정확히 얼마일지는 모르지만 이 사람들은 굉장히 심플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자기가 산 가격에는 절대 안판다는 특징 그것을 차트에서 찾아볼려고 노력하는 것이 어떻게 보면 성공적인 트레이딩을
이어갈수 있는 길인 것이다.
돈을 가지고 차트를 그릴 준비가 된사람 (거래량을 터뜨릴 수 있는 사람) 은 비트코인이라는 녀석을 사보겠다고 결심을 하면,
굉장히 고심하게 된다 최대한 싸게 사야 이득인건 물론이고 그의 거래가 기록으로 챠트에 남게 되기 때문이다.
이들이 사들이는 방법은 대량 거래 매도 물량이 출현하게 만드는 것이며, 지금 패닉셀 정도로는 안될것으로 보인다.
한번더 하락 유도를 할것임이 보여진다.
만약 이 시기에 강력한 거래량을 수반하지 않는 반등이 일어난다면, 이제는 비트코인의 하늘모르고 치솟던 시대가 저물었다고
생각하고 원형바닥을 그리며, 장기 하락추세에서 다시 바닥을 다지며 매수 해야 할 때 거래를 하는 것이 좋아보인다.
많은 사람들이 보던 삼각수렴이 아니고 깃발 형태로 보면 그 하락이 실제로도 한 두어번 더 남았고 타겟은
9600-8000대에서 이루어지며 그 후 급반등을 예상해 본다. 타겟지점은 삼각수렴으로 분석한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