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C, 과연 상승 추세를 끝까지 이어 나갈 수 있을 것인가? 2021년 4월 65K와 2021년 11월 69K의 더블탑 고점을 기준으로 추세선을 설정하고, 이를 2017년 12월 20K의 고점에 옵셋하면 장기 상승추세 채널이 형성됩니다.
또한, 2023년 10월의 저점을 기준으로 두 개의 저항선이 형성되었습니다.
이 상승 채널의 하단부는 강력한 지지선을 형성하고 있어, 일시적인 불트랩이나 휩쏘가 발생하더라도 채널 지지선을 완벽하게 깨지 않는 한 올해 말 혹은 내년 초까지 90K 또는 94K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종합적으로, 현 추세를 분석한 결과, 비트코인은 장기 상승추세 채널 내에서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무게를 두고 판단하고 있으며, 하단부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내년 초까지 90K 또는 94K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일시적인 변동성을 감안하더라도, 장기적인 상승 잠재력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이미지 포함
이더리움 ETH 주간 대형 헤드앤숄더 패턴 채널이더리움 ETH 주간 대규모 헤드앤숄더 패턴 채널, 헤드앤숄더 패턴의 흰색 선: 2021년 6월은 왼쪽 어깨, 2022년 6월은 헤드앤숄더, 2024년에는 오른쪽 어깨가 하락하고 스텝을 밟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시 형태를 취하고 2021년에 다시 올라갑니다. 2019년 6월쯤 가격입니다. 핑크 채널 라인: 장기 지지선 위의 최고 가격 저항선이자 단기 지지선이기도 합니다. 녹색 채널선은 하락의 최저 가격입니다. 세 개의 컬러 라인이 있습니다. 하나의 컬러 라인이 실패하면 나머지 두 라인이 유효합니다. 주로 흰색 선 방향을 보면 분홍색과 녹색 채널이 보조 채널입니다.
2024-06-05 BTCUSDT.P 비트코인 풀숏?안녕하세요 플레이리스트입니다.
간만에 작성하는 비트코인 아이디어네요
현재 비트코인은 최고점인 73.8k~70k간을 4차례 두들겨주며 박스권을 형성하다가
동 가격대에서 5번째 돌파를 시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수차례의 돌파시도가 있었던 만큼 이번에는 상방돌파 해줄 여력이 높을것으로 보여지며
패턴 관점에서 보더라도 24년 5월 1일부터 현재까지의 캔들상으로 패넌트 패턴의 형성을 기대해 볼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신고가를 형성한 비트코인은 어디서 뚝배기를 후드러맞게 될까요?
1) 적색 추세선은 과거 고점을 이은 상승 추세선입니다.
2) 황색 채널은 과거 주요 가격대로 인해 형성된 상승채널입니다.
2-1) 해당채널을 이탈하면서 큰 하락을 보여주었기에 채널 상단은 저항이 될 수 있을것이라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숏을 진입하기 시작해볼만한 구간은 5월1일 1차 상승폭 대비 1:1구간인 82k부터..
1번과 2번추세선과 맞닿게 되는 가격대가 될 수 있겠으며 3월에서의 고점과 5월에서의 저점을 이은
피보나치 1:1 시간축과 추세선이 겹치는 구간이 매력적이 될 수 있겠습니다. 가격대는 88.5k~86.5k 입니다.
추가적으로
1) 21년부터 시작된 하락파동에 대한 1.272 되돌림구간
2) 최고점부터 시작된 하락파동에 대한 1.618 되돌림구간
이 두 구간 역시 비슷한 가격대인것을 볼 수 있습니다.
82k~88k까진 공격적으로 숏포지션을 모아봐도 괜찮을 것 같네요.
아들에게 물려줄 숏자리가 되길 희망합니다.
[24. 06. 01] 비트코인 6월 중요 분기점- 팔로우 / 🚀 부스트 해주시면 여러분의 계좌가 떡상할 것입니다 :)
비트코인 : 매우 중요한 위치 영역에 도달했습니다.
가장 가까운 6월 9~10일은 주요 변곡시간으로 설정되며,
변곡시간을 알아보는 방법은 배우면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체크해야 하는 변곡시간 : 6월 9일 17시 / 6월 29일 01시 / 8월 6일 21시
차트공식) 차트 = 가로 + 세로 = 가격 + 시간
우리는 차트에서 정보를 읽기 위해서 제공하는 것들을 적극 활용해야 하며,
시간을 읽지 않는 것은 반쪽자리 정보와 같습니다. 몇년 째, 시간을 강조하고 있고
앞으로도 시간의 중요성을 계속 말할 것입니다. 차트의 시간 연구도 계속 진행중입니다.
시간을 알면 무엇이 좋은가요?
변곡시간을 기준으로 갈 수 있는 방향의 시나리오를 설정함으로써,
시나리오의 퀄리티가 올라갑니다.
6월의 시나리오
2021년에 만든 역사적 전고점(69k 전후) 부근에서 계속 진폭이동 중입니다.
고점을 잇는 추세선과 저점을 잇는 추세선을 그어볼 때, 두 개의 추세선이 만나는
삼각수렴의 후반부에 위치하며, 삼각형의 꼭지점은 중첩으로 6월 예상 변곡시간과
일치합니다.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자리니까 중요하겠죠.
위 차트에서 볼 수 있는 것 처럼, 파동상으로도 중요한 분기점에 위치해 있습니다.
파동매매에서는 2파 눌림이 가장 달달한 자리이므로 상승을 보는 관점에서도
현재 영역이 굉장히 매력적이고, 동시에 하락을 보는 관점에서도 역헤숄의 오른 어깨 만들기나
5파 하락을 이어나갈 수 있는 중요 분기점입니다.
상승방향
하락방향
세력평단가 지표에서 나오는 값
현재 롱포지션 세력평단가는 61231 로 표시되며, 신뢰성은 차트에서 캔들의 모습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계속 지지받고 장대봉을 만들어 내는 것은 개미가 할 수 없는
부분이므로, 세력의 개입을 볼 때, 장대봉을 기준으로 생각하면 도움이 됩니다.
(물론 이것만 있는 것은 아니니, 더 배워야 합니다.)
세력평단 기준 되돌림
세력은 자신의 평단가를 지키는 전제로 차트를 그리기 때문에 세평가의 위치를
아는 것이 필요합니다. 현재 추정평단가와 최고점 대비 0.5의 되돌림 지점이므로,
이렇게 해석해도 현재 위치를 똑같이 중요한 분기점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상승을 다시 만들기 위해서는 너무 아래로 빠지면 롱 입장에서도 부담스러울테니까요.
반대로 하락을 만들어서 롱의 대량 청산을 노리는 입장에서는 세력평단가 까지 위협을
해야하는 입장이구요.
역사적 데이터
지난 역사적 데이터에서 월봉 종가마감에 따른 승패를 보면
양봉과 음봉의 승패가 비슷합니다. 평균 수익률은 낮습니다. 현재 차트상 6월은
양방향의 분기점이고, 힘싸움이 6월 29일 변곡점까지 이어진다면 6월봉 종가마감은
도지로 나오면서 7월로 결과를 유예할 수도 있겠다 이런 생각을 해볼 수 있지만,
결국 최종 포지션의 타점은 작은 시간프레임 쪼개기 후 기준이 있는 자리에서 보는 것이니
재미로 보시면 됩니다.
장기채널
채널 라인에 걸쳐있어서 방향을 정하지 않고 있지만, 방향을 정할 때 힘이 크게
작용할 수 있는 위치니까 역시 중요한 영역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단기포지션
상승다이버전스와 하락다이버전스 양방향의 사이에 갇혀 있습니다.
양쪽 다 포지션의 수익을 내는 중인 위치입니다.
단기 저항 : 67820 ~ 67896
단기 지지 : 67436 ~ 67513
를 지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수는 기다려서 매매하고, 하수는 들어가서 기도한다.
항상 기준을 설정하고 기다린 자리에서 매매하시는 인내의 트레이더가 되길 바라며,
- 도움이 되었다면, 팔로우 / 🚀 부스트 부탁드립니다 :)
비트코인 BTC 대형 헤드앤숄더 패턴 채널비트코인 BTC 큰 헤드앤숄더 패턴 채널, 헤드앤숄더 패턴의 흰색 라인: 2021년 6월은 왼쪽 어깨, 2022년 11월은 헤드앤숄더, 2024년에는 왼쪽 어깨가 하락하여 뒤로 물러나 형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1년 6월에 다시 반등합니다. 근처 가격대입니다. 핑크 채널 라인: 장기 지지선 위의 최고 가격 저항선이자 단기 지지선이기도 합니다. 녹색 채널선은 하락의 최저 가격입니다. 세 개의 컬러 라인이 있습니다. 하나의 컬러 라인이 실패하면 나머지 두 라인이 유효합니다. 주로 흰색 선 방향을 보면 분홍색과 녹색 채널이 보조 채널입니다.
비트코인 중장기 흐름의 수익을 위한 인생 타점비트코인 중장기 방향성이 정해지는 중요한 한주가 시작되었습니다.
오늘 차트분석을 보시고 이번 불장 꼭 수익 잘 챙겨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원티드입니다.
지난 시황에서 지속적으로 상승관점을 말씀드렸었는데.
오늘도 제가 왜 중장기 상승을 보고있는지 이유에 대한 설명과
단기 매수타점을 66~65k 구간으로 설정한 이유는
ABC파동의 완성과 일봉의 이평구간 입니다.
바로 자세하게 설명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제가 중장기 상승관점을 말씀드리는 이유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상승근거 첫번째 😀
먼저 해당 차트는 비트코인 일봉입니다.
비트코인 일봉에서 강한 상승이후에
플래그 형태의 조정을 볼수있습니다.
플래그 형태의 조정은 추세의 "지속" 패턴으로
상승에 대한 되돌림보다는 시간 조정이후에 재차 상승하는 패턴입니다.
이는 프렉탈로도 확인할수있는데
왼쪽은 비트코인 차트
오른쪽은 최근 1000달러를 돌파한 엔비디아 차트입니다.
두차트모두 첫번째 상승이후 짧은조정이 나타났고
짧은 조정이후에 다시한번 강한 상승을 만들어냈습니다.
그 이후 플래그 형태의 기간조정을 주며 상승을 바라는 사람들에게 지치는 시간을 만들어 내고 심지어 채널의 하단을 깨면서 강한 공포감과 함께 물량뺏기의 패턴을 보여줍니다.
이후 엔비디아는 채널의 상단의 돌파와 함께 강한 상승을 만들어주었는데
비트코인도 중장기 흐름에서 채널의 상단 돌파를 해줄수있는지 지켜보면 되겠습니다.
상승근거 두번째 😀
두번째 상승근거는 일봉의 이평입니다.
일봉의 이평형태는 강한 발산이후에 재차 수렴하고있고
하단의 50ma와 100ma가 위치해있어
단기적으로 조정이 발생하더라도 재차 지지를 받아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형태입니다.
해당 50ma와 100ma의 지지구간은 초반 말씀드린 66k /65k 구간이 되겠습니다.
상승근거 세번째 😀
파동관점에서는
고점에서 하락채널의 시작과함께
ABC 파동형태의 조정이 시작되었으며
56K 구간에서 ABC 파동의 완성과
새로운 임펄스 파동의 시작
현재 4파동이 진행중인 모습인데
해당 4파동은 ABC 형태 혹은 수렴 형태가 나올수있습니다.
수렴일 경우 하단 66.6K 정도를 지켜준다면 수렴파동의 형태로 인식할수있고
ABC 파동의 형태로 4파동이 나올경우
1파의 고점이 오버랩되지않는 그리고 직전 4H Bullish OB 구간까지 조정이 나올수있습니다.
이는 일봉상 50MA와 100MA의 지지구간과도 겹치는 매우 중요한 구간이 되겠습니다.
또한 롱포지션의 청산이 몰려있는 구간이기때문에 단기 손바뀜이 나올수있는 구간입니다.
이렇게 상승을 보는 근거
플래그패턴 , 프렉탈 , 일봉의 이평, 그리고 파동관점까지 알아보았는데
세세한 지지저항 타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지지라인 ⭐
1) 67.2~66.7 (수렴의 하단부근)
2) 66~65 (일봉의 이평 + ABC 파동의 종결 예상지점)
⭐ 저항라인 ⭐
1) 70.5K~70.9K (직전의 고점과 786 되돌림구간)
2) 71.5~72.2K (채널의 상단부근과 상승장 돌파 가능구간)
이렇게 지지저항라인 정리했는데
저는 수렴의 끝자락 이기때문에 위아래 휩쏘가 나올가능성이 굉장히 높은자리라고 생각합니다.
고배율 포지션은 최대한 자재하고
저는 2가지 메인타점 가져가보도록하겠습니다.
첫번째는 66~65K ABC 파동의 종결예상구간과 이평구간이 겹치는 지지라인
2번째는 72.2K가 4H 봉 이상의 높은 시간프레임에서 확정 돌파될경우
그때는 비트코인과 알트코인 돌파매매관점에서 적극적인 매수포지션으로 대응할 예정입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DJPY, 미국 달러 / 일본 엔3월 봉 차트(중 장기 아이디어)
Harmonic Bullish Deep Crab 패턴과 PRZ에서 Wyckoff Accumulation이 보이고 있음
미국과 일본 각국의 통화(금리) 정책이 많이 반영 되는 종목이자 차트라고 생각함
Bitmex 거래소의 창립자이자 전 사장인 Arthur Hayes의 글을 참고해보면
USDJPY 차트를 금리와 유동성을 참고해보는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생각함
USDJPY의 흐름(사이클)이 끝나고 나서 주식과 크립토에 흐름이 들어오는지 확인해볼 예정
보수의 길
"왜 숏만 고집하는 것이냐."
"숏 잡고 인디언 기우제 지내는 것이냐."
"아이디어 올린 이후로 쭉 반등만했는데 당신 틀렸다. 인정해라."
지난 아이디어에서 67K 돌파 전까지 하방 위주로 시장을 바라본다고 했으나,
아이디어를 올린 이후 계속 상승이 나왔는데 할 말이 없죠.
괜히 썸네일과 제목으로 어그로를 끈 거 같기도 하구요.
담백하고 겸손하게 활동하겠습니다. 조언 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다만 저는 좋은 지점에서 비트코인을 사고 싶은 마음을 갖고있기에,
최대한 보수적인 스탠스로 현물 매수를 바라보고 있다는 점만 알아주시길 바랍니다.
횡보 후 방향성은?
비트코인이 '일봉상 주황박스를 돌파하느냐'를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있음.
일봉 마감을 박스 밖에서 해줘야 추가적인 상승을 기대할 수 있음.
위로갈시 저항은?
저항라인 : 70.9K, 73.8K
위 두 지점은 저항라인인 동시에 저 레벨대까지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는 지점임.
70.9K -> BAMM (Bat Action Magnetic Move)
73.8K -> HIW (Harmonic Impulse Wave)
((아예 전고점 갱신이 나올 경우 추가 브리핑 드리겠습니다.))
아래로갈시 지지는?
지지라인 : 60K 부근, 49.9K~52K
유동성을 빨아먹고 현재 주황박스까지 온 비트코인
내려간다면 60K가 지지구간이긴 하지만, 지지를 많이 두드렸기에
주황박스 돌파 없이 다시 60K까지 내려온다면 추가적으로 하락하지 않을까 생각 중.
5월20일 6:10 AM 단기 관점
주황박스 저항구간에서 주말내내 횡보하다 매수측 유동성을 빨아먹고 하락한 비트코인
현재 두 가지의 셋업을 보고 있음
숏셋업
현재 비트코인은 유동성 스윕 이후 MSS를 만들어냄
따라서 추가적인 하락을 기대하며 반등에 숏을 잡는 전략을 구사할 수 있음.
EP : 66.6K
SL : 67.2K (돌파시 재차 MSS를 만들어내는 지점)
롱셋업
MSS를 만들어 냈으나 중기적인 추세에서 비트코인은 상승추세임
따라서 64.6K를 지켜준다면 추가적인 상승을 노릴 수 있음.
EP : 65.3K (피보나치들이 겹치는 구간)
SL : 64.6K (더 큰 MSS가 만들어지는 곳)
중요 지점 : 6.684, 8.144, 10.611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DOTUSDT 1M 차트)
9.262 이상 상승하여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1W 차트)
10.373 이상 상승하여야 바닥 구간에서 벗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기 위해서 1W 차트의 HA-High 지표 (8.144)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본격적인 상승세는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인 19.370 이상 상승하였을 때 시작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1D 차트)
7.319-8.144 구간으로 1W, 1M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지나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8.144 이상 상승하여야 가격을 유지하여야 상승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지 못하고 하락한다면, 1D 차트의 HA-Low 지표 (6.684)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현재 가격 위치에서 볼 때, 1D 차트의 HA-High 지표가 10.611 지점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지점 이상 상승하여야 본격적인 상승세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중요 지점은 6.684, 8.144, 10.611 입니다.
이 3개의 중요 지점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24. 05. 24] 비트코인 그물망 지표로 보기- 팔로우 / 🚀 부스트 해주시면 여러분의 계좌가 떡상할 것입니다 :)
- 오늘은 그물망 지표로 분석을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그물망 지표 기본 개념 : 그물망차트는 기본 원리는 이평선의 매매원리를 따릅니다.
단기이평선부터 장기이평선까지 한 데 모아놓은 모습이 그물망 같다고 하여,
그물망차트라고 부르며, 무지개 스펙트럼 같다고도 하여 무지개차트라고도 합니다.
차트에서 개념을 만드는데 가장 중요한 방법 중 하나는 '상대적 차이'를 만드는 것이라고
가르쳐 드린 적이 있습니다. 이평선이 2개 이상 있으면서 기간을 달리해서 보면
'상대적 차이'가 발생하므로 이 차이점에서 우리는 데이터를 얻고 해석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기간을 달리하여 한 데 묶은 그물망 형태는 수렴과 발산을 조금 더 쉽게 확인 가능합니다.
그물망 차트에 이평선은 HMA 이평선을 사용하여 묶음을 만들었습니다.
제가 중요하게 보는 이평선의 라인의 컬러를 달리하여, 식별이 쉽도록 만들었습니다.
빨간색 : 단기 / 파란색 : 단-중기 / 흰색, 초록색 : 중-장기 / 노란색 : 최장기 // 를 나타내며,
초록색 라인이 트렌드를 읽는 메인이 되고, 노란색 라인은 안전한 매수가 가능한 라인입니다.
빨간색과 파란색은 단기 흐름을 나타냅니다. 스윙 매수 관점에선 초록색 라인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물망 차트는 수렴과 발산을 잘 보여줍니다. 그물망이 촘촘하게 모여 있는 곳에서는
발산을 위한 거래를 준비해야 하고, 그물망이 발산해서 퍼져있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사고과정을 따릅니다.
1. 초록색(중-장기) 라인으로 큰 시장 흐름을 읽습니다.
2. 빨간색(단기), 파란색(단-중기) 라인으로 중단기적 흐름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 파악합니다.
3. 큰 시장 흐름안에서 중단기적 흐름의 방향이 일치할 때는 정배열과 같습니다.
4. 추세를 따르는 매매는 정배열에서 포지션을 설정합니다.
- 그럼 현재 시장을 읽어보겠습니다.
1. 큰 시장의 흐름은 상승입니다. 2. 단기적으로는 상승, 중기적으로는 하락을 나타냅니다.
3. 완전한 정배열이 아닙니다. 4. 포지션 설정시, 큰 시장의 흐름을 따르는 상승의 방향에
맞춰 단기적인 흐름이 상승일 때 롱포지션을 오픈하지만, 중기적인 흐름의 저항에서
익절이나 숏포지션의 오픈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스윙매수 관점에서 초록색 라인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는데,
메인 흐름만 남겨서 보면 이와 같습니다. 차트의 원리에서 위, 아래, 위, 아래
EXID 원리를 설명했는데 그것이 적용되는 것입니다.
40k 초반 구간을 여전히 매력적인 자리로 볼 수 있는데, 여기가 좋은 매수 영역으로
설정되는 이유를 이번에는 그물망 지표를 통해 확인해보는 것입니다.
이러한 아이디어에 동의한다면 포지션을 오픈하고 보유할 때, 얼마나 보유할지,
어떤 방향으로 읽고 설정할지 참고가 될 것입니다.
단기, 중기 방향이 일치하지 않으면 완전한 정배열이 아님을 의미하고,
이러한 양쪽 불균형 힘싸움 구간은 이번주의 흐름과 같이 흔들기가 나오며 계속
next step을 기다릴 것입니다. 수렴을 기다리거나, 정배열 혹은 역배열의 방향일치를
기다리거나 말이죠.
이평의 흐름으로 보는 시나리오 - 정배열의 방향일치 상승
이평의 흐름으로 보는 시나리오 - 상단 저항선 고점저항에 맞으며 역배열로 전환되며 하락
이평의 진행 흐름을 면밀히 관찰하면서, 현재는 스윙보다는 단기적인 포지션을 취하는 것
(포지션 오픈하고 손익실현까지 기간을 너무 길게 설정 하지 않고 대응할 것) 을 주전략으로
하고 시장을 바라볼 것입니다.
- 어제 단기적인 시장의 흐름을 읽은 것은 주요 지지/저항 자리 확인이 주요했습니다.
수렴은 방향을 이탈하는 방향으로 먼저 포지션을 오픈하고, 횡보가 길어진 이후로
뱡향이 결정되면, 급상승이나 급하락 형태로 나옴을 어제 언급드렸습니다.
(여기 아이디어 에서는 실시간으로 모든 내용을 다루지 않고 있습니다)
하락이탈 후 되돌림 - 되돌림에 추세선 저항 - 재하락의 형태를 빠르게 진행했고,
미리 준비해둔 매수 라인에서 정확히 반등이 결정되었습니다.
매수라인을 설정할 때는, 매물이 많은 곳을 기준으로 우선 설정합니다.
- 기타 지표의 '중첩'으로 자리 확인
여러분이 저에게서 인사이트를 얻어갈 것은 '중첩'에 대한 부분입니다.
몇년 째 제가 일관되게 가르치는 내용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이평선의 지지 + 과매도와 하락다이버전스 + DRB 박스 지표(커스텀) + 매물대
가 '중첩' 자리에서 반등이 진행되었고, 위의 그림처럼 어제 하락으로 도달하기 전에
미리 buy 구간을 알려드렸습니다.
- 오늘의 지표
지지 : 66147 ~ 66498 / 저항 : 67901 ~ 68252 (동적지표로 4시간마다 갱신됩니다)
(해당 지지/저항은 아이디어를 쓰는 시점에서 13시 까지만 유효합니다)
세력평단 : 61256 ~ 61875 변동 없음.
매물이 가장 많은 영역 : 67088 근처, 62800 근처.
보라색 채널로 건너왔지만, 하단으로 내려오면서, 다시 양방향 크게 갈 수 있는 위치로
되돌려 놨습니다. 채널 : 양방향 분기점.
변곡시간 : 5/25일 22시 45분, 5/27일 00시 45분.
함께 배우고 성장하며 시장에 살아남기를 원하시는 분들 모두 환영합니다. come on yo !
- 도움이 되었다면, 팔로우 / 🚀 부스트 부탁드립니다 :)
비트코인 추세는 이미 정해졌다고 봅니다.반갑습니다 빅마크 브이입니다
현재 많은 시장참여자분들의 가장 큰 고민은 아마도
“조정이 이제 끝났고 불장이 시작되는 것인가?”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대한 중단기 관점에 대해서 제가 보는 비트코인 방향성에 대한 생각을 천천히 말씀드려보겠습니다.
우선 2가지 가능성에 대해서 보고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두 번째로는
이렇게 큰 관점에서는 2가지로 보이는데요.
저는 개인적으로 두 번째 시나리오에 가능성을 더 높게 보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 초록색 박스 안에 있는 파동이 이전 파동을 너무 깊게 되돌렸고 올라오는 내부 파동안에 조정파동들 또한 힘이 좋다고 판단되기 때문인데요.
만약 앞서 말씀드린 첫 번째 시나리오에 가능성을 더 높게 보려면 현재 차트가 아래처럼 나왔다면 첫 번째 시나리오에 더 가능성을 높게 봤을 겁니다.
이렇게 보니 제가 무슨 말을 하는지 좀 더 이해하기 쉬울겁니다.
🟠 주황박스 안에 있는 무빙을
🔵 파란박스 무빙과 비교했을 때 확실히 상승으로 가려 하는 힘이 더 좋다고 한눈에 보이는데요.
그 이유는 내부에 있는 조정파동들의 되돌림 정도에 따라 차이를 느끼는 것입니다.
🟡 만약 노란화살표처럼 조정이 더 깊게 온다면 아직 상승하려는 힘보다는 상승을 위한 힘을 모으는 단계일 가능성이 높겠구나 라고 생각해볼 수 있죠.
이런 관점들은 엘리어트 파동이론을 공부하는 분들이 놓치기 정말 쉬운 부분인데요.
책에 있는 내용들로 정말 간단하고 이해하기 쉽게 예시를 들어보면
🟡 노란색 파동은 이중조정 조합이고
🔴 빨간색 파동은 미달형 지그재그입니다.
🟡 책에서는 이중조정 조합처럼 3번째 파동의 저점이 더 높게 형성되는 러닝조정 형태의 파동이 나온 뒤에는 거의 강한 충격파동이 나온다고 이야기 합니다.
🔴 또한 미달형 지그재그가 완성되는 시점은 지그재그의 전체를 0.81 이상 되돌려야 파동의 완성이라고 본다고 하죠.
2가지 내용 다 “지나고 나서 끼워맞추는게 엘파 특징아니냐”라고 하실 수도 있겠지만
저는 수학공식처럼 위 내용을 받아들이기 보단
글쓴이가 ‘왜 저런 패턴을 만들었을까’, ‘왜 저런 이야기를 했을까’라는 의문점을 가지고 생각해보니
다 지나가지 않아도 100%는 아니지만 어느정도는 캔들의 힘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간단한데요.
같은 이중조정 조합과 지그재그이지만 앞서 설명드린 모습과는 조금 다르죠?
여기서 엘리어트 파동이론을 거둬 낸다면
단순히 이런 모습이 될 것입니다.
그럼 이전에 설명드린 러닝조정 형태의 이중조정 조합과 미달형 지그재그와 지금 보여드리고 있는 패턴의 차이는 무엇이냐
바로 방향성의 힘이 조정파동에서 나오고 있다는 것입니다.
첫 번째 하락 이후에 나오는 이어지는 두 번째와 세 번째 파동들이 점점 더 아래로 가격을 낮추고 있는 반면
앞서 말씀드린 2가지 파동들은 조정 이후 파동이 나오기 전에 이미 상방으로 밀어내고 있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죠.
이런 관점으로 봤을 때 조정파동이 진행되고 있을 때에도 이후 나올 캔들의 힘과 방향성에 대한 예측도 어느정도는 가능합니다.
하지만 말 그대로 확정이 아니고 예측이기 때문에 100% 확신할 필요는 없죠.
엄청난 자산을 벌어드린 트레이더들이 캔들만 봐도 된다고 하는 말이 대충 무슨말인지 알것도 같습니다:)
자,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위 내용을 이해하셨다면 이 그림을 봤을 때 제가 무슨 말을 하는지 더 이해가 잘 되실겁니다.
여기서 화살표를 추가한다면
제 눈에는 현재가 이런 모습으로 보여지는 것이죠
그렇기에
조정파동이 나온다고 하더라도 이전 저점을 낮추지 않고 추세가 이어질 확률이 더 높다고 보고 있는 것입니다.
완벽하게 같은 차트는 아니지만 비슷한 차트를 가져왔을 때 하얀색 박스 안을 비슷한 시점으로 본다면 차이가 명확하게 보이죠?
2022년 3~4월 차트를 뒤집어서 보게 된다면 지금 차트와 비슷한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깊은 조정보다는 계속해서 위로 밀어내는 듯한 조정파동이 진행되면서 추세가 이어지는 것을 보실 수 있을 겁니다.
===========================================
이렇듯 오늘 설명드렸던 예시 뿐만 아니라 모든 엘리어트 파동이론 패턴들이 이와 비슷한 내용을 함축적으로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비트코인 방향성 또한 조정이 있을지언정 올린 가격을 그대로 다 말아내리는 모습이 나올 가능성은 적다고 보고 있죠.
하지만 이 시장은 예측할 수 없는 만약이라는 가능성 또한 존재하기 때문에 매매전략에 있어서 손절과 익절을 잘 하면서 대응해야겠죠
하지만 분석의 영역에서는 위처럼 생각하고 매매전략을 만들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글이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고 도움이 되었다면 부스트와 댓글을! ㅎㅎ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