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짧은 움직임의 더블바텀 패턴에 따른 추가 상승 가능성비트코인이 계단식 하락 파동을 유지하고 있던 가운데, 이제 저점을 낮추지 않고 더블바텀을 보여주듯 상승 파동이 시작된 것 같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을 봤기 때문에 넥라인으로 설정할 수 있는 0.382 가격대를 기준으로 추가 상승 가능성에 무게를 둘 것입니다.
또한, 1주 봉에서는 오늘날 지루하게 움직이고 있는 범위 내에서 어떤 모양을 반복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아래에서 그 내용에 대해 자세히 확인하십시오.
1. 1레이아웃은 1주 봉에 대한 설명을 보여줍니다.
2. 34~48k 가격대에서 지지 매물대를 한 단계씩 높이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3. 이에 따라, 노랑 빈 원의 표시와 같이 오래 머문다면 추가 상승 가능성에 무게를 둡니다.
4. 2레이아웃에서 4시간 봉으로 짧은 움직임을 확인하십시오.
5. 0.382 가격대는 좋은 롱 포지션 전략을 세울 수 있는 가격대로 설정하십시오.
6. 이후에는 상승하는 움직임이 위태롭게 각 1, 2차 저항선까지 도달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7. 노랑 원은 위태로운 움직임을 대략적으로 보여줍니다.
단, 0.382 가격대를 깬다면 이 짧은 거래 전략을 다시 확인하십시오.
캔들스틱 분석
BTCUSDT 주요 지지,저항 및 추세선금일동안 유효한 지지,저항 추세선을 작도해봤습니다.
단기적으로 1,5,15,30분 1시간 세세하게 거래량 , 패턴 세세하게 분석하면서 작도했고
오후엔 개인적으로 공유했었는데 생각보다 잘 맞아 떨어져서 아이디어에도 올려봅니다.
오후 캡쳐본
+ 4시간봉 5,7이평 / 60이평이 데드크로스에 가까워지고 있으며 60이평의 저항구간인 40.6k를 빠른시일내에 돌파하고 안착해줬음 하는 바램입니다. 오늘은 무빙이 정말 어려운 장이네요. 다들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 롱 포지션 진입하신 분들이라면 나스닥 주요 저항대에 반익반복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비트코인 중장기 임펄스 파동임펄스 아직 안깨졌다.
- 37.5k 부터 강한 상승을 동반한 임펄스 파동 > 48k까지 중장기 1파로 본다.
- 애초에 피보나치 0.618 구간 혹은 0.786 구간에서 반등을 바랫으나, 하방압력이 워낙 강했음 > 어쩃든 38.5k에서 반등하며 1파의 저점을 하회하지 않았으니 임펄스 안깨졋다고 본다.
- 2파 조정도 끝났다. 조정패턴 더럽게 복잡했다. > 대신 4파 조정에서는 깔끔한 파동 보일 것 같다. (제발 날 흔들지 말아줘)
- 3파에서 파동 잘 발라먹다가 52k 부근에서 익절 예정이다. > 52k 돌파시 역대급 상승파워가 찾아올 것 같으니, 캔들(15분, 30분, 1시간) 움직임 야리다가 돌파매매 하겠다.
- 거래소 API 연동되는 트레이딩 프로그램(퀀타워 등)을 사용하면 캔들 움직임 틱 단위가 더 세분화되니, 캔들 움직임을 더 유심히 관찰할 수 있다. (캔들이 거의 살아서 숨을 쉼)
- 5월 5일 fomc 주목하라.
- fomc 금리인상 후 상승을 기대한다면?
1) 직전 횡보장 눌림에 매수한다. > 손절 짧게 잡고 상승 노려볼 수도 있겠다. 하지만 손절 너무 짧으면 스탑헌팅 당할 확률 80%로 본다.
2) fomc 발표 직후 상승분을 내준 후 눌림에 들어간다. > 정신건강에 해롭다. 근데 어찌보면 현명한 방법이다. 기회는 항상 찾아온다.
3) 주요 구간(LVP, HVP, POC 등)에 강한 저항선을 찾아놓고, 돌파매매 시도한다. 손절 기준 명확하고, 분할익절 잘 하는 사람은 역추세보다 돌파매매가 50,000% 더 안정적이다.
나는 RSI와 스토캐스틱으로 모니터링해서 타점잡고 들어갈거다. 실패하면 돌파매매 시도.
비트코인. 핵심저항 및 현물매수#2022년3월9일
#비트코인
#단기 관점
일단 이번 상승은 깔끔하게 놓쳤습니다. 분석도 몇 가지 체크가 안 된 부분이 있었습니다. 조금 아쉽긴 하네요.
#선물거래 (단기)
일단 1시간 봉상 매수가 좀 줄어든 상태입니다. 하지만 숏 포지션 진입은 저배율로 진입하는게 좋겠습니다.
롱 포지션은 현재가에 진입하는 것보다는 가격이 눌리는 것을 기다리면서 천천히 진입하는게 좋겠습니다.
#핵심저항은?
지금 시점에서 핵심이 되는 저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43.5 - 43.3k
43.1 - 43k
이곳이 꽤 강합니다. 뚫는다면 직전 게시글을 통해 메인관점으로 언급한 중기 박스권(45 - 33k)을 곧장 돌파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현물매수는?
이것 역시 눌리는 수준을 보면서 진입할 생각입니다. 기존에 노리고 있었던 34.8 - 34.5 // 33.7 - 33.5k 부근은 여전히 유효하지만, 거기까지 안 갈 가능성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오늘 상승으로 뚫어버린 저항이 결코 약한 자리가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현재 고려할 수 있는 현물 매수자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39486 - 39336
38898 - 38598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비트코인 단기 하락 관점 (2022/02/14)비트코인 단기 하락 관점
<하락 관점 근거>
1. 바이낸스 선물 고래의 매수세 실종
2. (A) 주요 상승 추세선 저항
3. (B-1) 주요 상승 채널 하단 지지 확인중
<설명>
1. 02/05 부근부터 장기 하락 추세선을 뚫고 상승세를 이끈 주체는 바이낸스 선물 고래로 추정 (10m~30m 정도씩 꾸준히 매수했음)
현재 더블탑 및 (A) 주요 상승 추세선 저항 자리 이후 매수세는 확연하게 줄어듦
그러므로 단기적인 상승 동력 주체가 사라졌다고 볼 수 있음
2. 33K 부터 올라온 주요 (A) 상승 추세선을 뚫지 못하고 내려오는 모습을 확인
3. (A) 상승 추세선과 더불어 주요 상승 채널인 (B) 채널의 하단쪽으로(B-1) 지지 테스트를 하러 가는 모습
<관점 결론>
- 하락 관점 근거에 따라 단기적으로 (B) 채널의 하단 부근부터(B-1) 주요 지지라인이었던 (C) 부근까지 비트코인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음
차트 분석에 따라 해당 부근에서 기술적 반등이 예상됨
- 해당 부근에서(B-1 ~ C) 기술적 반등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앞으로 다가올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및 FOMC 이슈가 시장에 부정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으므로
상황에 따라서 21/11/10 부터 내려온 장기 하락 추세선 부근까지도 염두할 필요가 있음
비트코인 1주 봉에 따른 하락 추세 설정비트코인은 여전히 하락 추세를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이제 1주 봉 캔들이 마감되었지만, 파랑 원에서 볼 수 있듯 이전 장대음봉의 힘을 이길 수 있는 캔들을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추가 하락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오늘날 시장에서 숏 포지션 전략을 확인하고 싶습니다.
1레이아웃
1. 1주 봉에서 파랑 원을 확인하십시오. 장대음봉을 장악하지 못한다면 아직도 며칠 동안 침체 시장을 가져야 합니다.
2. 1번 캔들패턴과 같이 움직인다면 지루한 움직임을 계속하여 옆으로 움직일 가능성에 무게를 둡니다.
3. 2번 캔들패턴은 비교적 빠르게 하락 파동을 지속하는 것입니다. 이번 주에 무서운 음봉을 보여준다면, 그 공포를 먹고 다음 주에 양봉을 보여줄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2레이아웃
1. 1일 봉에서는 여전히 상승 다이버전스조차 확인할 수 없는(분홍 원) 것이 아직 바닥을 확인하지 못했을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2. 저점을 다시 낮추는 하락 파동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승 다이버전스를 확인할 수 있다면 숏 포지션 전략을 이제 방어적으로 계획하십시오.
3. 1차 지지선에서 하락 파동이 멎으려면 하락 추세선을 빠르게 상승 돌파해야 할 것입니다.
4. 그렇지 못하면, 빨강 선처럼 움직일 수 있을지 기대할 것입니다.
단, 1차 저항선을 상승 돌파한다면 시장을 다시 확인하십시오.
2021년 12월 BTC/USDT 분석 (비트코인)안녕하세요.
Sensemaker 입니다.
최근 BTC/USDT 매매를 다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아이디어를 공유 드리오니 매매에 참조하세요.
11/10일 고점 69000 이후 약 3번(11/15일,12/1일,12/3일) 정도 상승시도하였으나, 하락 반전하여 하락 추세 진행 중입니다.
11/10일 고점(69000)에서 이어온 추세선을 돌파하지 못하면 상승보다는 하락에 베팅을 하는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12/4일 단기 저점(42000)에서 12/7일 단기고점(51936)까지 상승한 이후 데일리로 보면 상승보다는 하락의 힘이 센 상황입니다.
2주이상 수렴해온 파동의 힘이 결정되는 방향으로 매매하는 전략이 유효해 보입니다.
최근 몇일을 보면 상방휩쏘가 발생되고 있으니 주의해주시고요.
성공매매 바랄게요.
비트코인 상승 장악형 캔들에 따른 롱 포지션 전략비트코인이 지난 4일 급락을 보여준 후 다음 어떤 추세를 보여줄지 있을지 궁금합니다.
저는 오늘날 시장에서 다음 거래 전략을 세우기 위해 신호를 기다렸고, 이제 그것을 본 것 같습니다.
노랑 원과 같이 상승 장악형 캔들은, 이전 음봉을 장악하는 것이 매수 힘을 보여주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것을 기준으로 추가 상승 가능성에 무게를 두어 롱 포지션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오늘날 시장의 롱 포지션 전략을 확인하십시오.
1. 상승 장악형 캔들은 매수 힘을 보여줍니다. (노랑 원)
2. 이에 따라, 추가 상승 가능성에 대해 롱 포지션 전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빨강 선과 같이 직전 고점 저항선을 상승 돌파할 수 있다면, 더 큰 상승 파동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4. 최대 0.5 가격대까지 도달할 가능성에 무게를 두십시오.
5. 파랑 선과 같이 직전 고점 저항선을 상승 돌파하지 못한다면, 이 전략을 길게 확인하지 마십시오.
6. 따라서, 직전 고점 저항선은 상승 장악형 캔들에 따른 상승 추세가 시작되는 신호인지, 다시 하락을 준비하는 움직임인지 확인할 수 있는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단, 1차 지지선을 깬다면 시장을 다시 확인하십시오.
횡보 후 폭발적 상승 관점현재 위치에서는 일봉이 아주 강하게 음봉으로 있기에, 바로 올라가는 것은 어려워보인다.
캔들 패턴의 교과서적 이야기로도 그렇고, 과거 비트코인 차트에서도 저렇게 큰 일봉 음봉에서 바로 장악형 양봉이 나온 것은 찾기 어려웠다.
그렇기에, 설사 올라간다고 하더라도 확률적으로는 하방에 걸어야하는 것이 옳다.
하지만 현재 위치는 29k부터 올라오는 로그 상승 추세선이 위치해있는 곳이며, 또한 그 자리를 엘리엇파동의 1파로 보는 사람들에게는 4파의 마지막 보루이기도 하다.
엘리엇파동의 관점 중에서 그 관점을 신뢰하는 사람이 많다면, 52.9k 위에서 매수세가 강하게 출현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온체인 데이터상으로는 채굴자들이 매도를 하지 않고 있으며, total cap도 강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마지막으로 가장 신뢰하고 있는 것은 MFI와 RSI, 그리고 스토캐스틱 RSI이다.
RSI가 40~50 사이일 때, 그리고 동시에 스토캐스틱 RSI가 과매도/과매수 구간일 때의 스윙 롱/숏의 정확도는 매우 높다.
여기에 MFI까지 하방에서 상승으로 올라온다면, 캔들 크기와 거래량이 모두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서 더욱 강한 신뢰의 상승이 예측된다.
현재, RSI와 스토캐스틱RSI가 해당 조건을 만족하기 직전이다. 이 자리에서 횡보를 좀 더 할 경우, RSI가 약간 올라오면서 해당 조건이 완성된다.
약 2일~4일 정도의 횡보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대충 11월 말~12월 초 정도가 그 때가 아닐까하는 생각을 한다.
---
위의 관점은 해당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의 대응 시나리오 다.
'횡보하다가 올라가겠지'하고 미리 들어갔다간, 횡보에 속이 답답할 수도 있고 혹은 하락에 속이 탈 수도 있다.
58k 위까지 올라간 후에 잡아도 좋다. 현물의 평단이 높아져도 되고, 롱을 늦게 잡아도 좋다.
어차피 5파가 남았다는 관점 혹은 3-3이 남았다는 관점이든, 혹은 위의 조건이 만족되는 스윙 자리이든, 모두 큰 상승이 예측되는 곳이다.
그러니 여기서 잡아서 수익을 극대화 시키겠다는 욕심을 부리지 말고,
해당 조건이 만족되기를 기다리고 대응하자.
21.11.11 DXY 달러인덱스Momantic_Fx 입니다.
공개 차트분석입니다.
해당 분석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트레이딩뷰 공개 아이디어에 👍🏻 버튼을 눌러주세요.
1. 달러는 0.618 지지라인 93.925 라인을 기준으로 지지가 나타나며 큰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평행선 채널을 생성하여 현재 상단으로 예상되며, 하락조정이 나타날것으로 예상됩니다.
2. 하락조정시 이전 11월 5일 고점라인 근처인 94.621 라인 또는 P 라인까지 하락이 예상됩니다.
하단의 예상 지지라인은 9월 25일 고점인 94.742, 94.621, P 라인으로 예상됩니다.
3. 달러인덱스의 장기적인 관점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 아이디어는 상업적목적으로 사용 할 수 없으며, 교육용으로만 사용됩니다.
나스닥 상승랠리 종료나스닥 주봉을 보면 약 3회에 걸쳐 20일 이평선의 지지를 받아 가격이 상승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번 하락으로 인해 주봉 20일선이 뚫린 듯 합니다.
이전 하락에서는 캔들의 시가와 종가가 이평선 위에 있었으나 이번에는 캔들의 시가가 이평선 아래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캔들의 종가 또한 이평선 아래에서 마감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번 주 그리고 다움주 종가가 20일 이평선 아래에서 마감된다면 시장은 하락세라고 보아도 틀리지 않습니다.
이미 올해 4월의 하락으로 인해 가격이 점점 피치포크의 하단 채널로 이동하는 전조 증상이 있었고, 결국 피치포크의 하단을 이탈하면서 큰 하락이 발생했습니다.
하락세를 반전시키기 위해서는 하락 파동의 50%를 넘어가는 큰 기울기의 반전 추세가 나와야 하는데 거시경제의 분위기를 봤을 때 힘들다고 봅니다.
따라서 나스닥의 상승랠리가 끝났다고 보고 하락장에 대한 관점으로 시장을 보겠습니다.
21.09.30 EUR/USD 유로/달러Momantic_Fx 입니다.
공개 차트분석입니다.
해당 분석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트레이딩뷰 공개 아이디어에 👍🏻 버튼을 눌러주세요.
1. 9월 3일부터 오늘까지 3천포인트 하락세가 나타났으며, 어제는 984 포인트 하락이 나타났습니다.
2. 달러 상승으로 전반적인 유로/달러의 방향은 하락세입니다.
다만 오늘은 어제 약 1000포인트 하락분과 함께 기존의 작은 평행선 하단에 위치하여 상승조정을 주고 하락이 나타날것으로 생각됩니다.
3. 전반적인 방향은 하락세로 보고있습니다.
-이 아이디어는 상업적목적으로 사용 할 수 없으며, 교육용으로만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