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수세에서 매도세로 전환될지 확인이 필요합니다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USDC, BTC.D, USDT.D 차트 설명을 먼저 설명드리는 이유는 코인 시장의 전체적인 자금 흐름을 대략적이라도 알면 코인(토큰)들의 가격 변화가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USDT 1D 차트)
갭 상승이 지속해서 발생하여 68.468B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USDC 1D 차트)
39.675B-42.563B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침체기로 진입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BTC.D 1D 차트)
이번 상승세가 연장되기 위해서는 43.75 부근에서 저항 받고 하락하여야 합니다.
39.56-40.44 부근으로 하락할 때까지 상승세는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지 못하고, 45.68 이상 상승하게 되면, BTC만 상승하는 이상한 시장이 형성되거나 코인 시장이 큰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USDT.D 1D 차트)
6.90-7.27 이상 상승하면 코인 시장은 급락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USDT, USDC로 움직임에 따라 5.89-6.21 부근이 이번 상승세의 고점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USDT, USDC로 자금이 지속적으로 들어오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
(BTCUSDTPERP 1D 차트)
'Vol & Trend' 보조지표에 있는 OBV지표가 매수세에서 매도세로 전환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Strength' 보조지표에서 보면,
1. 상승추세 : 1개
2. 보합(Stationary) : 2개
3. 하락추세 : 1개
위와 같이 표시되고 있으므로 상승추세에서 횡보로 전환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22471.5-23390.0 구간이 중요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MS-Signal 지표가 상승하고 있으므로 머지않아 교차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때, MS-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고, MS-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하게 된다면, 추가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야 합니다.
현재 BTC가 22471.5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알트코인들의 펌핑이 계속되어지고 있습니다.
다만, BTC 가격이 하락하려는 모습을 보일 때, 일부 알트코인들의 하락폭이 커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모습은 BTC 가격이 22471.5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2471.5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 받는 모습이 나오지 않는다면, 추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22471.5 지점을 기준으로 봤을 때,
1. 상승하게 되면,
1차 : 23937.1-24294.1
2차 : 1M 차트의 M-Signal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저항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2. 하락하게 되면,
1차 : 20984.7-21826.1
2차 : 19411.7-20122.5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23104.6 지점에 HA-High지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에 따라 움직임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Strength' 보조 지표를 보면,
1. 상승세 : 2개
2. 보합(Stationary) : 1개
3. 하락세 : 1개
따라서, 약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1W 차트에서 하락 캔들로 마감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HA-High지표가 하락하려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번 주의 움직임이 더욱 중요해 졌다고 생각됩니다.
중장기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HA-High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하므로 HA-High지표가 하락하게 만드는 움직임이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분석글을 퍼블리쉬하는 사람이 어떠한 투자 기간으로 산정하여 글을 작성하였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퍼블리쉬한 차트의 타임 프레임(15m, 30m, 1h, 4h, 1D ...)을 확인하고 그 기간에 맞게 차트를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퍼블리쉬된 내용을 보게 되면, 자신이 생각하는 투자 기간에 맞게 분석글을 해석하게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분석글을 엉뚱하게 받아 드릴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30m 차트 이하에서 분석된 글은 짧은 기간의 움직임에 대해서 분석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이 분석글을 가지고 긴 기간으로 확대 해석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분석글의 타임 프레임을 확인하고 차트의 설명을 읽는 것이 이러한 오해를 갖지 않는 길이라 생각합니다.
(1h 차트)
변화된 내용이 없으므로 이전 내용과 동일합니다.
1D 차트의 M-Signal지표가 22471.5 부근으로 상승함에 따라 새로운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1D 차트의 M-Signal지표를 터치하게 된다면, 차트에 표시된 포지션 진입 방법에 따라 본격적인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므로,
'L2', 22975.1-23104.6에서 지지받고 상승할 때 'LONG' 포지션으로 진입이 가능합니다.
단, 1D 차트의 5EMA 이상 상승하여야 상승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점을 감안하여야 합니다.
1차 : 23592.1-23937.1
2차 : 24294.1-24463.0
거래종료 : 25500.0 부근
첫번째 S/L : 22471.5 부근
'S2', 22471.5에서 저항받는 모습이 확인되었을 때, 'SHORT' 포지션으로 진입이 가능합니다.
1차 : 21826.1 부근
2차 : 20984.7 부근
거래종료 : 20122.5 부근
첫번째 S/L : 22975.1 부근
-------------------------------------------
(BTCKRW 1D 차트)
27317000-29639000 구간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이 나오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BTCUSDTPERP
비트코인 23.6k 저항 및 형태 확인! 쉬운 자리 입니다.[키레벨, 엘리엇, 하모닉] - 23.02.08바캉 비트코인 분석 ― 23.01.31
1) 메인 시나리오 : 장기 Long / 단기 Short
골포 부근 저항 받는다면 숏
위클리 지지후 올라가서 786 or 886 되돌림을 준다면 롱 입니다.
2) Stop loss : Shrot 23956
3) Take Profit : 1차 22500
2차 20900
3차 홀딩
4) 가능성 높은 엘리엇 시나리오
22561저점 에서 올라온 파동이 조정 파동 형태로 ABCXC로 보입니다. 이게 하나의 큰 A파동으로보이구요
여기서 B파 파동폭을 크게 되돌림을 준 후 C파를 준다면 좋은 숏자리로 보입니다.
하지만!!!!!!!!!
되돌림을 크게주지않고 상방 수렴하면서 올라가게 된다면 Weekly 지지 받게 되면 롱입니다.
5) 가능성 높은 하모닉 시나리오
한시간봉 Bulish Deep Crab 패턴 보이네요
6) 가능성 높은 키레벨
-Short-
23600~700 : Golden pocket + pw poc + Bulish Deep Crab C 완성
25211 : Swing Failure Patten
28955 : Yearly 저항
-Long-
20753 : Daily + 0.786되돌림
20673~20901 : Fib 0.382 + Daily + pm val + Session POC + nd POCx2 + Single Print
18992~19302 : GP + Session POC + MTF POC
16227~16941 : Fib 0.886 + Session POC + Daily X 3 + Weekly + Monthly + Yearly + nd POC + Single Print
약 9%의 박스 구간에서 벗어날 수 있는지가 관건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USDC, BTC.D, USDT.D 차트 설명을 먼저 설명드리는 이유는 코인 시장의 전체적인 자금 흐름을 대략적이라도 알면 코인(토큰)들의 가격 변화가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USDT 1D 차트)
갭 상승이 지속해서 발생하여 68.468B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USDC 1D 차트)
39.675B-42.563B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침체기로 진입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44.07B-45.087B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BTC.D 1D 차트)
이번 상승세가 연장되기 위해서는 43.75 부근에서 저항 받고 하락하여야 합니다.
39.56-40.44 부근으로 하락할 때까지 상승세는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지 못하고, 45.68 이상 상승하게 되면, BTC만 상승하는 이상한 시장이 형성되거나 코인 시장이 큰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USDT.D 1D 차트)
6.90-7.27 이상 상승하면 코인 시장은 급락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USDT, USDC로 움직임에 따라 5.89-6.21 부근이 이번 상승세의 고점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USDT, USDC로 자금이 지속적으로 들어오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
(BTCUSDTPERP 1D 차트)
22471.5-24294.1 구간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이 나올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따라서, 22471.5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 받는 모습이 나오지 않는다면, 추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23104.6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22471.5 지점을 기준으로 봤을 때,
1. 상승하게 되면,
1차 : 23937.1-24294.1
2차 : 1M 차트의 M-Signal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저항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2. 하락하게 되면,
1차 : 20984.7-21826.1
2차 : 19411.7-20122.5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HA-High지표가 하락하려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번 주의 움직임이 더욱 중요해 졌다고 생각됩니다.
중장기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HA-High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하므로 HA-High지표가 하락하게 만드는 움직임이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1h 차트)
1D 차트의 M-Signal이 상승하고 있으므로 조만간 터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1D 차트의 M-Signal을 터치한 다음의 흐름이 중요합니다.
23104.6 지점은 1D 차트의 HA-High지표 지점이므로 이 지점에서 지지 받게 된다면, 추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23104.6 지점 근처에 1D 차트의 5EMA선도 위치해 있으므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L2', 22975.1-23104.6에서 지지받고 상승할 때 'LONG' 포지션으로 진입이 가능합니다.
단, 1D 차트의 5EMA 이상 상승하여야 상승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점을 감안하여야 합니다.
1차 : 23592.1-23937.1
2차 : 24294.1-24463.0
거래종료 : 25500.0 부근
첫번째 S/L : 22471.5 부근
'S2', 22471.5에서 저항받는 모습이 확인되었을 때, 'SHORT' 포지션으로 진입이 가능합니다.
1차 : 21826.1 부근
2차 : 20984.7 부근
거래종료 : 20122.5 부근
첫번째 S/L : 22975.1 부근
-------------------------------------------
(BTCKRW 1D 차트)
27317000-29639000 구간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이 나오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차트 분석, 기초가 튼튼해야 합니다.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USDC, BTC.D, USDT.D 차트 설명을 먼저 설명드리는 이유는 코인 시장의 전체적인 자금 흐름을 대략적이라도 알면 코인(토큰)들의 가격 변화가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USDT 차트)
68.468B 이상 상승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상승장이 시작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단, 갭으로 상승세를 이어가야 합니다.
(USDC 1D 차트)
47.374B 이상 상승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상승장이 시작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39.675B-42.563B 이하로 하락하게 코인 시장은 침체기로 진입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BTC.D 1W 차트)
43.75-45.68 구간에서 저항 받고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게 되면, 이번 상승세는 39.56-40.44 부근으로 하락할 때까지 연장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지 못하고, 45.68 이상 상승하게 되면, BTC만 상승하는 이상한 시장이 형성되거나 코인 시장이 큰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2월 13일경 입니다.
(USDT.D 1D 차트)
6.90 이하에서 유지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USDT 도미넌스의 상승은 코인 시장의 하락을 의미합니다.
---------------------------------------
----------------------------------------
(BTCUSDT 1W 차트)
USDT를 통해 자금이 코인 시장으로 들어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반대로 USDC를 통해 자금이 코인 시장에서 빠져나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코인 시장으로 들어오는 자금보다 빠져나가는 자금의 규모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상승세를 제약 받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BTC의 움직임이 둔화된 상태에서 알트코인의 펌핑은 BTC의 하락을 가속화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에서 20798.16-20862.47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움직임으로 인해 59370.07 지점에 위치해 있는 HA-High지표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일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HA-Low 이상, MS-Signal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중장기 상승세로 전환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장기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 HA-High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여야 하므로 HA-High지표가 하락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눌림목(pull back) 구간을 형성시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현재의 하락이 눌림목(pull back) 구간을 형성하기 위한 움직임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눌림목(pull back) 구간의 저점 지점은
1차 : 20798.16-20862.47
2차 : HA-Low 부근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1D 차트)
차트 공부를 하면서 수많은 패턴에 대해서 공부하게 됩니다.
그 중의 하나인 컵 패턴이 눈에 보이기 시작하였다는 겁니다.
패턴은 완성이 되어야 알 수 있는 것이므로 패턴을 만드는 과정에서 예측하는 것은 분석에 선입견을 갖게 만들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패턴으로 말씀드리지 않는 이유입니다.
차트 공부를 하면서 알게된 모든 분석 기법, 분석 도구, 패턴 등은 차트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입니다.
하지만, 차트를 이해하였다면, 이러한 모든 것들은 다 잊어 버려야 합니다.
그래야 자신의 생각대로 차트를 보고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모든 분석 기법, 분석 도구, 패턴 등을 가지고 차트를 분석하게 되면, 자신도 모르게 차트의 흐름을 이해하기 보다 분석 기법, 분석 도구, 패턴 등의 틀에 차트를 끼워 맞추려고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분석이 엉뚱한 방향으로 나오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현재 차트를 보면, A 부근과 B 부근을 기준으로 하여 컵 패턴을 만들 가능성이 있습니다.
A 부근에서 패턴을 만들기 위해서는 A 부근의 고점보다 더 높게 상승하여야 하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B 부근에서 컵 패턴을 만들 가능성이 높습니다.
컵 패턴에서 중요한 것은 컵이 아니라 손잡이(Handle)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손잡이(Handle)을 어느 구간에서 만들게 될지를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차트에 표시된 네모 박스, 즉,
1차 : 21023.14-21853.06
2차 : 19176.93-20591.13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손잡이(Handle)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패턴을 예측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따라서, 지지와 저항 지점을 얼마나 잘 선정하느냐에 따라 이러한 패턴의 모습이 만들어지기 전에 차트의 흐름을 예측할 수 있는 힘을 얻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어려운 분석 기법들은 나름대로의 분석의 기교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어려운 분석 기법을 공부하고 알아가는 것도 중요합니다.
다만, 차트의 기본 중의 기본인 지지와 저항 지점을 제대로 선정하지 못한다면 아무리 좋은 분석 기법을 잘 안다고 해도 결국 엉뚱하게 분석하게 될 것 입니다.
차트 공부의 기본은 차트의 흐름을 읽는 거지만, 그 흐름을 가지고 거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지와 저항 지점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차트의 흐름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 지지와 저항 지점을 제대로 작도할 수 있는 공부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
(BTCKRW 1D 차트)
27317000-29639000 구간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이 나오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5주만에 첫 하락 캔들 발생, 22.4K의 중요성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USDC, BTC.D, USDT.D 차트 설명을 먼저 설명드리는 이유는 코인 시장의 전체적인 자금 흐름을 대략적이라도 알면 코인(토큰)들의 가격 변화가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USDT 1D 차트)
갭 상승이 지속해서 발생하여 68.468B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USDC 1D 차트)
39.675B-42.563B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침체기로 진입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BTC.D 1D 차트)
이번 상승세가 연장되기 위해서는 43.75 부근에서 저항 받고 하락하여야 합니다.
39.56-40.44 부근으로 하락할 때까지 상승세는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지 못하고, 45.68 이상 상승하게 되면, BTC만 상승하는 이상한 시장이 형성되거나 코인 시장이 큰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USDT.D 1D 차트)
6.90-7.27 이상 상승하면 코인 시장은 급락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USDT, USDC로 움직임에 따라 5.89-6.21 부근이 이번 상승세의 고점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USDT, USDC로 자금이 지속적으로 들어오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
(BTCUSDTPERP 1D 차트)
22471.5-24294.1 구간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이 나올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따라서, 22471.5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 받는 모습이 나오지 않는다면, 추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22471.5 지점을 기준으로 봤을 때,
1. 상승하게 되면,
1차 : 23937.1-24294.1
2차 : 1M 차트의 M-Signal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저항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2. 하락하게 되면,
1차 : 20984.7-21826.1
2차 : 19411.7-20122.5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23104.6 지점에 HA-High지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에 따라 움직임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Strength' 보조 지표를 보면,
1. 상승세 : 2개
2. 보합(Stationary) : 1개
3. 하락세 : 1개
따라서, 약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1W 차트에서 하락 캔들로 마감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HA-High지표가 하락하려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번 주의 움직임이 더욱 중요해 졌다고 생각됩니다.
중장기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HA-High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하므로 HA-High지표가 하락하게 만드는 움직임이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1h 차트)
1D 차트의 M-Signal지표가 22471.5 부근으로 상승함에 따라 새로운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1D 차트의 M-Signal지표를 터치하게 된다면, 차트에 표시된 포지션 진입 방법에 따라 본격적인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므로,
'L2', 22975.1-23104.6에서 지지받고 상승할 때 'LONG' 포지션으로 진입이 가능합니다.
단, 1D 차트의 5EMA 이상 상승하여야 상승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점을 감안하여야 합니다.
1차 : 23592.1-23937.1
2차 : 24294.1-24463.0
거래종료 : 25500.0 부근
첫번째 S/L : 22471.5 부근
'S2', 22471.5에서 저항받는 모습이 확인되었을 때, 'SHORT' 포지션으로 진입이 가능합니다.
1차 : 21826.1 부근
2차 : 20984.7 부근
거래종료 : 20122.5 부근
첫번째 S/L : 22975.1 부근
-------------------------------------------
(BTCKRW 1D 차트)
27317000-29639000 구간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이 나오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고점에서의 피날레, 알트코인 펌핑???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USDC, BTC.D, USDT.D 차트 설명을 먼저 설명드리는 이유는 코인 시장의 전체적인 자금 흐름을 대략적이라도 알면 코인(토큰)들의 가격 변화가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USDT 차트)
68.468B 이상 상승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상승장이 시작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USDC 1D 차트)
47.374B 이상 상승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상승장이 시작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39.675B-42.563B 이하로 하락하게 코인 시장은 침체기로 진입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BTC.D 1W 차트)
43.75-45.68 구간에서 저항 받고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게 되면, 이번 상승세는 39.56-40.44 부근으로 하락할 때까지 연장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지 못하고, 45.68 이상 상승하게 되면, BTC만 상승하는 이상한 시장이 형성되거나 코인 시장이 큰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2월 13일경 입니다.
(USDT.D 1D 차트)
6.90 이하에서 유지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USDT 도미넌스의 상승은 코인 시장의 하락을 의미합니다.
---------------------------------------
----------------------------------------
(BTCUSDT 1W 차트)
USDT가 갭 상승하여 68B 이상 상승하였습니다.
지속적으로 갭 상승이 발생한다면, 코인 시장은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그 상승세가 BTC의 상승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BTC 도미넌스가 상승하는 모습을 나와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알트코인의 순환 펌핑으로 끝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BTC 가격이 23K 이상 상승하면서 BTC 도미넌스의 상승이 하락으로 전환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BTC 도미넌스가 43.75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알트코인 상승장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금이 알트코인 쪽으로 너무 집중되면, BTC 가격의 변동성이 커지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BTC가 22.4K-24.2K 구간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주의 캔들이 하락 캔들로 마감됨으로서 HA-High지표가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20862.47 이상, 즉, HA-Low 이상, MS-Signal 이상 상승하여 중장기 상승세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그런데, 중장기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HA-High 이상 상승하여야 하기 때문에 HA-High가 하락하여야 합니다.
하락 캔들을 만들지 못하고 상승하게 된다면, 1M 차트의 M-Signal 부근에서 하락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1D 차트)
시장은 언제나 예상을 뛰어넘는 움직임을 보여 줍니다.
이번 상승세의 고점 구간이라고 예상되었던 24K 부근으로 상승하여 횡보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시장이 다시 변화하려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다만, 이전에 말씀드렸던 내용은 바꾸지 않았습니다.
이전에 말씀드렸던 내용은
- 이번 상승세의 고점 구간이 될 가능성이 높은 구간은 24K 구간입니다.
- 혹시 24K 이상 상승하게 되면, 1M 차트의 M-Signal를 터치하고 하락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이전의 내용을 깨고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지금 시작되려고 하는 알트코인 상승장(정확히는 알트코인 펌핑이지 상승장은 아님)이 고점 구간에서의 피날레같은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는 겁니다.
따라서, 반드시 S/L 지점을 설정하고 대응해야 겠습니다.
'Strength' 보조지표에서 보면,
- 과매수 구간 진입 : 2개
- 과매수 구간 근처 : 1개
-과매도 구간 근처 : 1개
이에 따라서, 상승 강도가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BTC가 HA-High 이상, 즉, 22.9K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
(BTCKRW 1D 차트)
27317000-29639000 구간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이 나오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컵 패턴의 핸들 지점은 2천 6백대에서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
(BTCKRW 1W 차트)
현재 가격 위치에서 보면,
지지 지점은 27505000 입니다.
저항 지점은 35539000 입니다.
따라서, 이번 상승세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27505000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번 주 캔들이 하락 캐들로 마감하고 RSI가 과매수 구간에서 벗어나게 되었을 때, HA-High가 하락하여 생성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중장기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HA-High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HA-Low, HA-High 지표는 하이킨 아시를 활용한 거래 방법에 RSI 지표를 추가하여 거래 확률을 높인 지표입니다.
따라서, HA-High 지표가 하락하지 않고 현재 위치, 즉, 72241000 지점에 계속 위치해 있을 수 없습니다.
언젠가는 RSI가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1D 차트)
1M 차트의 HA-Low가 29164000 지점에 생성되면서 새로운 변화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는 29164000 지점 부근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매수가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다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매수가 가능하다고 해서 바로 상승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중장기적으로 상승세를 이어가는 움직임을 보이고 난 다음 장기적인 흐름의 예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현재는 1W 차트의 HA-High 지표가 하락하게 만드는 흔들기가 먼저 나와야 할 때라 생각합니다.
그 흔들기에서 단기 관점에서 상승세를 유지하고, 중장기 관점에서 상승세를 유지할 때, 비로소 장기 관점에서도 상승세를 이어가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7317000-29639000 구간은 단기, 중장기, 장기 관점에서 중요한 구간입니다.
따라서, 흔들기가 끝난 다음에 이 구간 부근에서 새로운 추세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컵 패턴의 핸들 구간은 26111000-26643000 부근에서 형성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다고 이번 흔들기가 26111000-26643000 부근을 터치하고 끝날 것이다 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습니다.
컵 패턴의 핸들 부분이라고 말할 수 있는, 공식화된 부분이 26111000-26643000 부근이라는 뜻 입니다.
** 국내 거래소에서 비트를 거래하시는 분들을 위한 차트 공유 목적으로 퍼블리쉬하게 되었습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22.4K-24.2K에서 벗어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USDC, BTC.D, USDT.D 차트 설명을 먼저 설명드리는 이유는 코인 시장의 전체적인 자금 흐름을 대략적이라도 알면 코인(토큰)들의 가격 변화가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USDT 1D 차트)
갭 상승이 지속해서 발생하여 68.468B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USDC 1D 차트)
39.675B-42.563B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침체기로 진입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BTC.D 1D 차트)
43.75-45.68 구간에서 저항 받고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고, 45.68 이상 상승하게 되면, BTC만 상승하는 이상한 시장이 형성되거나 코인 시장이 큰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BTC 도미넌스가 39.56-40.44 부근으로 하락을 시작한다면, 이번 상승세은 연장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USDT.D 1D 차트)
6.90-7.27 이상 상승하면 코인 시장은 급락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USDT, USDC로 움직임에 따라 5.89-6.21 부근이 이번 상승세의 고점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USDT, USDC로 자금이 지속적으로 들어오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
(BTCUSDTPERP 1D 차트)
상승하게 되면,
1차 : 23937.1-24294.1
2차 : 1M 차트의 M-Signal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저항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하락하게 되면,
1차 : 20984.7-21826.1
2차 : 19411.7-20122.5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USDT, USDC를 통해 자금이 지속적으로 들어오는 모습을 보이게 되면, 26K 이상 상승하는 모습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USDC를 통해서 자금이 빠져나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므로 현재 상승세를 제한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USDC가 위험 구간인 39.675B-42.563B 구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빠르게 갭 상승하여 이탈하지 못한다면, 결국 하락하는 모습으로 이어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1M 차트의 HA-Low지표가 20984.7 지점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 20984.7 부근은 매수 지점입니다.
다만, 아직 중장기 상승세를 이어갈 준비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20984.7 부근을 기준으로 위아래로 흔들어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흔들기가 나오게 되면, 중요한 구간이 16.4K-17.9K 라 생각합니다.
이 구간 아래로 하락하게 되면, 결국 이번 상승세를 모두 반납하는 꼴이 되기 때문입니다.
시간이 흘러 3월 이후에 15K 부근을 터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만, 그때는 공격적인 매수가 필요한 시기입니다.
언제나 시장은 우리가 예상을 벗어나 움직임이 나오곤 합니다.
따라서, 최고 지점과 최저 지점을 예상하기 보다 현재 가격 위치에 있는 중요한 지점이나 구간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를 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현재 가격 위치에서 중요한 지점은 22.4K와 24.2K 입니다.
(1h 차트)
본격적인 포지션 진입은 1D 차트의 M-Signal지표를 터치하였을 때 가능합니다.
따라서, 아래의 포지션 진입은 언제나 빠른 판단이 요구됩니다.
1D 차트의 5EMA가 상승하여 터치한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래의 이전 포지션 진입에 대한 내용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L2', 22777.2-23060.6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때, 'LONG' 포지션으로 진입이 가능합니다.
단, 1D 차트의 5EMA 이상 상승하여야 상승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점을 감안하여야 합니다.
1차 : 23592.1-23937.1
2차 : 24294.1-24463.0
거래종료 : 25500.0 부근
첫번째 S/L : 22471.5 부근
'S2', 22471.5에서 저항받는 모습이 확인되었을 때, 'SHORT' 포지션으로 진입이 가능합니다.
1차 : 21826.1 부근
2차 : 20984.7 부근
거래종료 : 20122.5 부근
첫번째 S/L : 22975.1 부근
-------------------------------------------
(BTCKRW 1D 차트)
29639000 부근에서 지지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미리 작도된 지지와 저항 선은 심리전에서 이길 수 있는 힘을 줍니다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USDC, BTC.D, USDT.D 차트 설명을 먼저 설명드리는 이유는 코인 시장의 전체적인 자금 흐름을 대략적이라도 알면 코인(토큰)들의 가격 변화가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USDT 차트)
68.468B 이상 상승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상승장이 시작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USDC 1D 차트)
47.374B 이상 상승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상승장이 시작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39.675B-42.563B 이하로 하락하게 코인 시장은 침체기로 진입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BTC.D 1W 차트)
43.75-45.68 구간에서 저항 받고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게 되면, 이번 상승세는 39.56-40.44 부근으로 하락할 때까지 연장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지 못하고, 45.68 이상 상승하게 되면, BTC만 상승하는 이상한 시장이 형성되거나 코인 시장이 큰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2월 13일경 입니다.
(USDT.D 1D 차트)
6.90 이하에서 유지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USDT 도미넌스의 상승은 코인 시장의 하락을 의미합니다.
---------------------------------------
----------------------------------------
(BTCUSDT 1W 차트)
이번 주의 캔들이 하락 캔들로 마감됨으로서 HA-High지표가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20862.47 이상, 즉, HA-Low 이상, MS-Signal 이상 상승하여 중장기 상승세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그런데, 중장기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HA-High 이상 상승하여야 하기 때문에 HA-High가 하락하여야 합니다.
그런한 의미에서 RSI가 과매수 구간에서 벗어나는 하락 캔들이 필요합니다.
하락 캔들을 만들지 못하고 상승하게 된다면, 1M 차트의 M-Signal 부근에서 하락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1D 차트)
22487.41 이하로 하락하지 않은 이유가 이번 상승으로 보여 주었다고 생각됩니다.
이제 23949.03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 24K로 진입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 관건이 되었습니다.
손가락이 가르키고 있는 A 구간은 하락한 이후 첫번째 형성된 고점입니다.
따라서, 이 고점 이상 상승할 수 있느냐 못하느냐는 심리적인 요소가 작용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고점 구간에 가까워질수록 저항받는 모습이 강하게 나오게 되고, 저점 구간에 가까워질수록 지지받는 모습이 강하게 나오게 됩니다.
다만, 투자 시장, 즉, 주식 시장이나 코인 시장에서 거래할 때 고점 구간에 가까워질수록 호재가 많이 나오고 저점 구간에 가까워질수록 악재가 많이 나오게 됩니다.
이러한 뉴스들 때문에 개인 투자자들은 심리적으로 영향을 받아 반대로 거래를 하게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고점 구간에 가까워질수록 하락할 것이다에서 급등으로 이어질 것이다 라는 생각으로 점점 바뀌게 되는 것 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심리적인 요소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지지와 저항 지점을 그려서 그 지점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를 보고 상황 판단을 하게 됩니다.
이 지지와 저항 지점은 가격이 그 지점으로 상승하기 전에 미리 그려져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자신의 심리적인 요소가 작용되어 작도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무의미한 지점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거래를 진행함에 있어서 심리적인 영향이 아예 작용하지 않게 만들지는 못합니다.
다만, 그러한 심리적인 영향에서 조금이나마 벗어나기 위한 준비태세를 만들어 갈 뿐 입니다.
23949.03 부근은 이번 상승의 고점 구간에 해당될 것이다 라고 말씀드린 것 또한 이러한 심리적인 요소가 작용되는 고점 구간 근처에 형성된 지지와 저항 지점이기 때문입니다.
22487.41-22984.64(HA-High) 이하로 하락하는 모습이 보이거나 MS-Signal 이하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면, 새로운 움직임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새로운 움직임은 중장기적인 상승세를 이어가거나 장기적으로 추세를 전환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런 움직임에서 우리는 다시 한번 고통을 겪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알트코인의 투자 비중 조절이 필요합니다.
이번 상승세가 지속되어 29K 이상 상승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그렇게 되었을 때, 과연 알트코인들의 가격까지 같이 상승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들게 됩니다.
그 이유는 코인 시장으로 더 많은 자금이 들어오는 모습이 잘 보이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BTC 가격 상승은 많은 자금이 소모되기 때문에 알트코인을 매도하고 BTC를 매수하는 거래 전환이 발생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이러한 모습이 포착되어지고 있기 때문에 거래시 신중해야 합니다.
------------------------------------------
(BTCKRW 1D 차트)
27317000-29639000 구간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이 나오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상승폭의 제한??? 그럼 어디까지???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USDC, BTC.D, USDT.D 차트 설명을 먼저 설명드리는 이유는 코인 시장의 전체적인 자금 흐름을 대략적이라도 알면 코인(토큰)들의 가격 변화가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USDT 1D 차트)
갭 상승이 지속해서 발생하여 68.468B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USDC 1D 차트)
USDT의 갭 상승을 따라 USDC로 갭 상승으로 전환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고, 계속해서 갭 하락을 하게 되면, 코인 시장의 상승세를 제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BTC.D 1D 차트)
43.75-45.68 구간에서 저항 받고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고, 45.68 이상 상승하게 되면, BTC만 상승하는 이상한 시장이 형성되거나 코인 시장이 큰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BTC 도미넌스가 39.56-40.44 부근으로 하락을 시작한다면, 이번 상승세은 연장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USDT.D 1D 차트)
6.90-7.27 이상 상승하면 코인 시장은 급락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6.90에서 저항 받고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
(BTCUSDTPERP 1D 차트)
노란색 선으로 표시 구간에서 벗어나는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상승하게 되면,
1차 : 23937.1-24294.1
2차 : 1M 차트의 M-Signal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하락하게 되면,
1차 : 20984.7-21826.1
2차 : 19411.7-20122.5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Strength의 보조 지표를 보면,
- 과매수 구간 : 2개
-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 : 1개
- 과매도 구간에서 상승 : 1개
따라서, 상승세를 표시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상승세를 보인다 하더라도 중요한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에서 지지 받느냐 저항 받느냐에 따라 추세를 결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므로, 위에서 말씀드린 23937.1-24294.1, 20984.7-21826.1 중 어느 구간을 넘어서느냐가 현재로서는 가장 중요합니다.
HA-High지표가 22980.0 지점으로 상승하여 형성되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지점을 기준으로 변동성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USDT를 통한 자금 유입과 USDC를 통한 자금 유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USDT를 통한 자금 유입은 전 세계적으로 코인 시장이 상승하기를 바라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으로 보입니다.
USDC를 통한 자금 유출은 기관 투자자 등과 같은 큰 자본을 운영하는 분들은 그렇게 생각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현재 코인 시장의 상승은 상승세에 많은 제약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알트코인의 상승장이 시작되기 위해서는 BTC 도미넌스가 하락세로 전환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알트코인의 가격을 많은 하락폭을 보이게 될 것 입니다.
(1h 차트)
본격적인 포지션 진입은 1D 차트의 M-Signal지표를 터치하였을 때 가능합니다.
따라서, 아래의 포지션 진입은 언제나 빠른 판단이 요구됩니다.
'L2', 22777.2-23060.6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때, 'LONG' 포지션으로 진입이 가능합니다.
단, 1D 차트의 5EMA 이상 상승하여야 상승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점을 감안하여야 합니다.
1차 : 23592.1-23937.1
2차 : 24294.1-24463.0
거래종료 : 25500.0 부근
첫번째 S/L : 22471.5 부근
'S2', 22471.5에서 저항받는 모습이 확인되었을 때, 'SHORT' 포지션으로 진입이 가능합니다.
1차 : 21826.1 부근
2차 : 20984.7 부근
거래종료 : 20122.5 부근
첫번째 S/L : 22975.1 부근
-------------------------------------------
(BTCKRW 1D 차트)
27317000-29639000 구간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이 나오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22487.41을 깨지 않는다는 것은...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USDC, BTC.D, USDT.D 차트 설명을 먼저 설명드리는 이유는 코인 시장의 전체적인 자금 흐름을 대략적이라도 알면 코인(토큰)들의 가격 변화가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USDT 차트)
68.468B 이상 상승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상승장이 시작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심상치 않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USDC 1D 차트)
47.374B 이상 상승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상승장이 시작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BTC.D 1W 차트)
43.75-45.68 구간에서 저항 받고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게 되면, 이번 상승세는 39.56-40.44 부근으로 하락할 때까지 연장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지 못하고, 45.68 이상 상승하게 되면, BTC만 상승하는 이상한 시장이 형성되거나 코인 시장이 큰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2월 13일경 입니다.
(USDT.D 1D 차트)
6.90 이하에서 유지되는지 화인이 필요합니다.
USDT 도미넌스의 상승은 코인 시장의 하락을 의미합니다.
---------------------------------------
----------------------------------------
(BTCUSDT 1W 차트)
이번 주의 캔들이 하락 캔들로 마감됨으로서 HA-High지표가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20862.47 이상, 즉, HA-Low 이상, MS-Signal 이상 상승하여 중장기 상승세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그런데, 중장기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HA-High 이상 상승하여야 하기 때문에 HA-High가 하락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패턴이 눌림목(pull back) 패턴입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20862.47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이 보여야 합니다.
USDT를 통해 자금이 코인 시장으로 들어오는데, BTC가 하락하면서 모든 알트코인들의 가격을 급격하게 하락시키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어쩌면 당연한 것일 수 있습니다.
BTC는 코인 시장의 기축 통화라 할 수 있을 만큼 코인 시장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현재는 BTC 가격을 끌어올려 코인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어야 하는 시기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BTC 가격 상승이 절실합니다.
BTC 가격이 상승하기 위해서는 많은 자금이 필요합니다.
그 자금은 결국 알트코인의 매도를 불러 오게 될 것이기 때문에 알트코인의 가격 하락은 더 크게 보여질 것 입니다.
(1D 차트)
22487.41 이하로 하락하지 않는다면,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22487.41 이하로 하락하더라도 21023.14-21853.06 부근에서 지지 받게 되면, 이 또한,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단지, 고배열 선물거래의 강제 청산이 있을 뿐 입니다.
알트코인의 가격 하락을 어느 정도 예견된 움직임이므로 놀라운 것도 아닙니다.
BTC 가격이 -10% 이상 하락하여 마감되어야 그때부터 흔들기 시작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현재의 움직임은 횡보일 뿐 입니다.
이 횡보에서 "앗! 위험하다!" 라고 생각이 들기 시작할 때,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이게 되면, 그때, 눌림목(pull back)의 저점이 될 것 입니다.
하락 추세선(1) 이하로 하락하지 않는 한 중장기 및 장기 추세를 상승세로 전환시키기 위한 움직임이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중장기 및 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는 흔들기가 빨리 시작되어 매수할 기회를 얻기 시작하는 것 입니다.
이때의 매수는 내년까지 홀딩해야 하므로 투자 비중 조절이 절대적으로 요구됩니다.
------------------------------------------
(BTCKRW 1D 차트)
27317000-29639000 구간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이 나오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특히, 28333000 지점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BTC 숏 관점 / BTC SHORT ANALYSYS안녕하세요. 터틀코인입니다.
비트코인 숏 좋은 자리가 보여 공유합니다.
관점
SHORT
근거
1. 주봉상 카운팅의 2-4추세선(빨간색 대각 추세선)을
리테스트하려는 무빙이 나올것으로 예상됨.
2. 노란색 연장플랫 A:C가 외부적피보나치비율 2.382,
내부적 피보나치비율 2.618을 이루는 자리
(노란색 카운팅, 노란색 피보나치
3. 강력한 매물대(하얀색 가로줄)
4. 초록색 채널의 상단부근
5. Z파동 삼각수렴 시나리오와 일맥상통함(주황색 카운팅)
6. 하락다이버전스의 충접
7. 날봉기준 300이평선의 저항
8. 체크리스트 (11中11)
대응
1. FOMO를 방지하기 위하여 0.1배 숏 포지션을 오픈
2. 종전이슈, 중국의 규제완화 등의 돌발이벤트들이
남아있으니 스탑로스를 25500에 항상 걸어두고 대응
(상승추세선은 스탑로스가 우상향하므로 지속적으로 수정해야한다.)
3. 25500손절을 했을 때 5%손절이게끔 평단을 조절하면서
매집하여 만에하나 손절이 나도 좋은 시도가 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높은 레버리지를 사용한다면 휩쏘무빙에 털리고 내려갈 수 있음
현재기준 평단 24200에 맞추면 됨)
4. 노란색 하락추세선을 리테스트하고 다시 상승하는지 체크해야함
-------------------------------------------
Hello, I'm Turtle Coin.
I'm sharing it because I see a good short entry spot for Bitcoin.
Perspective
SHORT
Basis
1. Macro-counting 2-4 trend line (red trend line)
Expected movement to retest.
2. Yellow extension flat A:C has an external Fibonacci ratio of 2.382,
Places with an internal Fibonacci ratio of 2.618
(Yellow counting, yellow Fibonacci)
3. Strong volume profile (white horizontal line)
4. Near the top of the green channel
5. In line with the Z-wave triangular convergence scenario (orange counting)
6. Adhesion of Decline Divergence
7. Resistance of 300 moving average line based on a 1-day candle
8. All personal checklists are applicable (11 out of 11)
Response
1. Open 0.1x short position to prevent FOMO
2. Unexpected events such as the issue of the end of the Russian war and China's deregulation
Always hang SL on 25500 and respond as it remains
(The upward trend line should be continuously modified as the stop-loss is oriented upward.)
3. When 25500 cuts are made, it should be collected by adjusting the evaluation criteria to reduce the 5% loss so that it can be a good attempt even if a loss occurs.
(If you use high leverage, you can be robbed and taken down by sudden large movements. It only needs to be adjusted to the current standard floor 24200)
4. The yellow falling trend line should be retested and checked for rising again.
StochRSI는 흐름을 잘 반영합니다. 그럼 현재 흐름은???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USDC, BTC.D, USDT.D 차트 설명을 먼저 설명드리는 이유는 코인 시장의 전체적인 자금 흐름을 대략적이라도 알면 코인(토큰)들의 가격 변화가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USDT 차트)
68.468B 이상 상승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상승장이 시작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USDC 1D 차트)
47.374B 이상 상승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상승장이 시작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BTC.D 1W 차트)
43.75-45.68 구간에서 저항 받고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고, 45.68 이상 상승하게 되면, BTC만 상승하는 이상한 시장이 형성되거나 코인 시장이 큰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3월 30일경 입니다.
(USDT.D 1D 차트)
6.90 이하에서 유지되는지 화인이 필요합니다.
USDT 도미넌스의 상승은 코인 시장의 하락을 의미합니다.
---------------------------------------
----------------------------------------
(BTCUSDT 1W 차트)
StochRSI지표의 움직임은 생각 외로 가격의 움직임을 잘 반영한다고 생각합니다.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기 시작하였을 때, A 구간과 같이 StochRSI지표가 +100 지점에 계속 위치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B 구간과 같은 눌림목(pull back) 패턴이 나온 다음부터 StochRSI는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하락 강도가 강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움직임을 보면, 가격의 움직임을 그나마 빠르게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보조지표는 어째든 후행성 입니다. (이를 부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가격의 변동성에서 자신의 생각을 어느 정도 검증 받을 수 있는 도구로서 충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지표라는 점 입니다.
현재 StochRSI지표는 98 지점 정도에 위치해 있습니다.
따라서, A 구간과 같은 흐름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이전 고점을 계속 갱신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고점을 갱신하지 못한다면, StochRSI지표는 하락하는 모습으로 전환 것 입니다.
이번 주는 이전 고점을 갱신하였습니다.
따라서, 다음 주에 이번 주 고점을 갱신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1D 차트)
1W 차트에서 설명드린대로 이번주에 고점을 갱신하였습니다.
따라서, 이번 주의 마감이 어느 지점에서 되는지 확인할 일만 남았습니다.
현재 가격 위치에서 가장 중요한 구간은 21023.14-21853.06 구간입니다.
이 구간 근처에서 이번 주 캔들이 마감된다면, 1M 차트의 HA-Low지표가 21023.14 지점에서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1D 차트의 HA-High지표가 현재 가격 위치에 생성되는지 입니다.
가격이 22487.41 부근으로 하락하게 되면, 1D 차트의 HA-High지표가 상승하여 생길려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그러다가 가격이 상승하여 23K 이상 상승하면 사라지는 모습이 반복해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만큼 현재 가격 위치가 변동성을 이르킬 수 있는 중요한 구간임을 알게 해 준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1D 차트의 HA-High 지표가 상승하여 생성되었을 때, 그 지점 이상에서 지지 받는 모습이 확인된다면, 이전 고점을 갱신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급락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이 필요합니다
현재 StochRSI지표는 하락 강도가 강한 상태입니다.
이렇게 하락 강도가 강한 상태로 있으면서 22487.41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게 된다면, StochRSI는 상승하는 모습으로 전환될 것 입니다.
이럴때 BTC 또한, 상승하게 될 것 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22487.41 이하로 하락하게 될 것 입니다.
------------------------------------------
(BTCKRW 1D 차트)
27317000-29639000 구간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이 나오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 HA SRRC 지표는 StochRSI(line), RSI(columns), CCI(bgcolor)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CCI 지표는 과매수 구간(CCI > +100), 과매도 구간(CCI < -100)로 표시하였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변동성 기간에 상승 채널에서 벗어나는가...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USDC, BTC.D, USDT.D 차트 설명을 먼저 설명드리는 이유는 코인 시장의 전체적인 자금 흐름을 대략적이라도 알면 코인(토큰)들의 가격 변화가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USDT 1D 차트)
66.442B 이상에서 유지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USDC 1D 차트)
44.07B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BTC.D 1D 차트)
43.75-45.68 구간에서 저항 받고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고, 45.68 이상 상승하게 되면, BTC만 상승하는 이상한 시장이 형성되거나 코인 시장이 큰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3월 30일경 입니다.
(USDT.D 1D 차트)
USDT, USDC로 지속적으로 자금이 들어오지 않고 USDT 도미넌스가 6.21 부근으로 하락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고점을 찍었다고 예상됩니다.
6.90-7.27 이상 상승하면 코인 시장은 급락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
(BTCUSDTPERP 1D 차트)
노란색 수평선 지점을 모두 터치함으로서 횡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위아래로 흔들어대는 모습은 -10% 이상 하락하였을 때부터 시작입니다.
현재 나오는 모습은 횡보일 뿐 이것을 흔들기라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이러한 횡보 가능성을 입증하듯이 Strength 지표에서 서로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22471.5-23390.0 구간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변동성 기간은 1월 28일경(최대 1월 31일까지)까지 이므로 1월 29일까지 움직임으로 관찰하는 것이 좋습니다.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었을 때, 하이킨아시(Heikin Ashi) 몸통(body)가 상승표시로 있는지 하락표시로 있는지 확인하고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를 따져 보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MS-Signal지표와 이격이 상당하므로 급락이 나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24K 구간(최대 1M 차트의 M-Signal을 터치할 것으로 예상)을 터치하고 하락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거래시 주의해야 합니다.
하락하게 되었을 때, 20984.7-21826.1 구간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1h 차트)
노란색 원으로 표시된 구간 중 어느 구간으로 벗어나게 될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차트에 표시된 시간 이후로 22471.5 부근으로 가격이 하락하게 되면, 급락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이 필요합니다.
1D 차트의 M-Signal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면, 주 포지션은 'LONG' 입니다.
따라서, 'SHORT' 포지션으로 진입시 빠른 대응이 필요합니다.
1D 차트의 5EMA을 터치하게 되었을 때,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때, 방향을 잘 보고 대응해야 합니다.
22691-22753.2에 1h 차트의 HA-Low, HA-High가 지나고 있으므로 이 구간을 중심으로 포지션 진입이 가능합니다. (공격적인 진입)
다만, 고점이라고 생각하는 24294.1 부근에 가깝기 때문에 거래시 빠른 대응이 요구됩니다.
'L2', 11975.1 부근에서 지지 받는다면, 'LONG' 포지션 진입이 가능합니다.
다만, 거래 종료 시점은 23937.1-24294.1 입니다.
첫번째 S/L지점은 22691 입니다.
'S2', 22471.5 에서 저항 받게 되면, 'SHORT' 포지션으로 진입이 가능합니다.
1차 : 21826.1 부근
2차 : 20984.7 부근
거래 종료 : 20122.5 부근
첫번째 S/L 지점 : 22753.2
-------------------------------------------
(BTCKRW 1D 차트)
다음 변동성 기간은 1월 28일경 입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 SR_R_C지표는 StochRSI(line), RSI(columns), CCI(bgcolor)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CCI지표는 과매수 구간(CCI > +100), 과매도 구간(CCI < -100)로 표시하였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당신은 지금 어떤 생각으로 임하고 있습니까? Liquidity(교육, 심리)
가격의 움직임을 볼때 liquidity를 생각하는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누군가는 시장가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우리는 지정가 매도와 지정가 매수를 더 자주사용합니다. (기관,개미)
세력이나 거래소의 입장에서 전세계사람들이 설정하는 지정가는 곧 청산이 되기때문에 어디까지 가면 수많은 개미들을
청산시킬수 있겠다. 라고 생각하는 거죠
시장의 경우 수요와 공급에 따라 움직이기도 하지만, 청산시키려고 가격이 움직이는것이고 그런 청산이 liquidity 유동성을 만들어냅니다. 그래서 수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supply 와 demand 에서 Sr flip 이나 Double sr flip 이 발생하는것이죠
SFP ( Swing failure pattern) ..
자 숏을 청산시키는 움직임이 나오기 전 시간을 돌려서 시장참여자들이 어떤생각을 했을까 생각해봅시다.
누군가는 노란색 추세선에서 저항을 받는과정임으로 숏을
누군가는 음운에서 저항을 받는 과정임으로 숏을
누군가는 추세선을 뚫을 거라는 설레발 롱을
누군가는 CVD 와 뭐 등등 근거들을 보고 변곡점 롱을 진입했을겁니다.
롱이나 숏이다 전에 리플레이의 해당지점이 변곡점 = 분기점이라는것은 누구도 부정하지 않을것입니다.
그 이유는 하락이 나오고 나서 음운과 만나는 첫 지점이였으며 과매도 구간을 만들고 다음 발산을 위한 수렴의 마지막 단계였기 때문입니다. 추세의 지속이냐 , 추세의 전환이냐
(그물망같은것이 모이는 지점이 다음 추세가 시작되기에 충분한 시간이 모였다는 의미입니다.) 수렴과 발산
기존 추세의 숏과, 위에서 저항을 받고 내려왔기때문에 숏으로 진행될거같다는 생각을 70프로 했습니다.
그리고 설령 뚫어낸다고 해도, 기존의 저항이 되었던 22767을 뚫지 못한다면 , 음운안에서 휩쏘가 나와서 추격 숏들을 죽이고 그대로 하방으로 내릴수도 있었습니다. ( 지금은 휩쏘일지, 음운안에서 버텨서 전고점까지 갈지를 결정하는자리)
그래서 롱을 진입하는 것은 상당한 부담이 있는자리였습니다.
주황색으로 표시된 22767 ~ 22854는 POC 등 매물이 겹치는 자리기도 하기때문에 여기를 뚫을거야 하고 롱을 타기에는
기존의 추세를 생각하지 못했던것이고, 그런 생각을 무수히 반복하다보면 한두번은 벌어도 나중에는 잔고가 0원이 됩니다.
그렇다면 롱이나 추세 전환의 근거가 없었냐 ? 그거는 아닙니다.
제가 해당 리플레이버튼 자리에서 숏을 일부 익절한이유는 CVD를 참고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누군가가 에너지가 모인저곳에서 추세선 저항과, 음운 이탈 , 기존 추세를 고려했을때 시장가 매도를 진입했지만
지정가 매수가 그런 시장가 매도를 모두 흡수했다는것을 의미합니다. => 추세의 전환
그렇다면 우리는 어라? 추세의 변곡점인가?
1. 휩쏘로 상방 숏을 청산시키겠다.
2. 휩쏘가 아니라 전고점까지 가서 liquidity 청산시킬수 있겠다.
그렇다면 현시점에서 우리가 고려할수있는 PA는 3가지 정도인데
A. 하얀색 시나리오
현시점에서 적당히 휩쏘로 끝내고
음운이탈 못하고 22767 저항 받고 하락하는 그림
B. 노란색 시나리오
22767은 뚫지만 다음 POC인 매물의 중심 22854를 뚫지 못하고 강하게 하락하던가
C. 파란색 시나리오
그동안의 횡보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설정한 숏들의 SL가 위치한 구간 23400 ~ 23700까지 상방돌파하는 그림입니다.
만약 A, B 로 간다면 고려할게 별로 없습니다.
다만 C로 간다면 이제 1.13 이나 피보나치 비율 , SFP , 고점에서 CVD 다이버전스 등등을 확인해서 Wychoff Utad 개념으로
접근하는것이 합리적일 것입니다.
모든 사람들이 상승장이라고 말할 때가 고점입니다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USDC, BTC.D, USDT.D 차트 설명을 먼저 설명드리는 이유는 코인 시장의 전체적인 자금 흐름을 대략적이라도 알면 코인(토큰)들의 가격 변화가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USDT 차트)
68.468B 이상 상승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상승장이 시작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USDC 1D 차트)
47.374B 이상 상승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상승장이 시작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USDT, USDC을 통해 들어오는 자금이 미비한 수준입니다.
따라서, 자금의 흐름이 그렇게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보여집니다.
(BTC.D 1W 차트)
43.75-45.68 구간에서 저항 받고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고, 45.68 이상 상승하게 되면, BTC만 상승하는 이상한 시장이 형성되거나 코인 시장이 큰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BTC 도미넌스의 상승은 자금이 BTC 쪽으로 집중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BTC가 코인 시장을 주도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BTC 도미넌스로는 자금이 BTC 쪽으로 집중되고 있는지 알트코인쪽으로 집중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을 뿐이지, BTC 가격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없습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3월 30일경 입니다.
(USDT.D 1D 차트)
1월 23일-25일의 변동성 기간에 6.90 이하에서 유지되는지 화인이 필요합니다.
---------------------------------------
----------------------------------------
(BTCUSDT 1W 차트)
1월 30일이 포함된 주 전후로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변동성 기간의 움직임을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중장기 상승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20050.02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다만, 중장기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HA-High지표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위아래로 흔들어대서 HA-High지표가 생성되게 만들어야 합니다.
이런 움직임은 반드시 나오게 될 것이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더 높게 상승하게 된다면, 1M 차트의 M-Signal을 터치하면서 위에서 말씀드린 흔들기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장기 및 장기적인 관점에서 아직 제대로된 상승세를 만들지 못하고 있습니다.
(1D 차트)
이전 고점을 갱신하면서 상승 중 입니다.
23949.03 이상 상승하여 지지를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고점을 생성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구간인 24K 이상 상승하게 된다면, 1M 차트의 M-Signal을 터치하고 하락하면서 이번 상승세를 마감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처음으로 말씀드렸던 자금의 흐름 때문입니다.
자금이 원활하지 않다고 판단되므로 BTC의 과도한 상승은 코인 시장 전체, 즉, 알트코인의 가격 하락을 이르키게 될 것 입니다.
이로 인해 상승세라고 말하기 애매한 BTC 혼자 상승하는 애매한 시장이 형성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으로는 급등하였을 때, 짧게 끊어서 수익을 얻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짧게 끊어서 수익을 얻는다는 것은 상승시 100% 매도하여 수익을 얻는다는 것이 아닙니다.
중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는 다음 상승장을 위한 준비를 해야 할 때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단기 투자를 진행하고 있는 코인(토큰)들을 어느 정도 투자 비중을 낮추면서 현금 확보에 힘을 써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 단기 투자로 진행하고 있는 코인(토큰)이 갑자기 급락하게 되었을 때 미쳐 자금을 회수하지 못하게 된다면, 앞으로 있을 큰 불장에서 수익을 얻을 좋은 기회를 잃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자신의 투자스타일, 거래 전략에 맞게 계획하여 단기 거래에서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거래를 하든 상관없습니다.
하지만, 생업으로 인한 거래 시간이 애매하거나 단기 거래에 아직 미숙하다고 판단된다면, 곧 다가올 하락에서 매수를 진행할 자금을 확보해 나가야 합니다.
거래의 가장 기본적인 거래 전략은 하락할 때 매수하고, 상승할 때 매도하는 것 입니다.
이것을 항상 생각하고 자신의 거래 전략에 맞게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에서 말씀 드린 거래 전략에서 분할 매도와 손절은 의미도 다르고 거래하는 방식 자체가 다른 겁니다.
분할 매도를 손절하는 식으로 투자 비중을 정하고 과감히 한번에 매도하게 되는 손절 방식대로 거래시 수익을 얻는다 하더라도 후회하는 거래가 될 것 입니다.
흔들어대야 한다는 의미는 최소 -10% 이상 하락하는 모습이 나온 다음부터 시작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그건 그냥 횡보하는 것일 뿐 입니다.
따라서, 아직 흔들기 자체가 시작된 것이 없습니다.
이를 잘 못 이해하시고 짧은 구간에서 횡보하는 모습을 흔들기가 나왔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간혹 계시는 것 같습니다.
시장은 언제나 우리의 예측을 벗어나는 모습을 보이면서 대응하지 못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현재의 상승은 추가 매수를 진행해야 할 때가 아닌, 매도할 때 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
(BTCKRW 1D 차트)
다음 변동성 기간은 1월 28일경 입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 HA SRRC 지표는 StochRSI(line), RSI(columns), CCI(bgcolor)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CCI 지표는 과매수 구간(CCI > +100), 과매도 구간(CCI < -100)로 표시하였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박스 구간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이 나오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USDC, BTC.D, USDT.D 차트 설명을 먼저 설명드리는 이유는 코인 시장의 전체적인 자금 흐름을 대략적이라도 알면 코인(토큰)들의 가격 변화가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USDT 1D 차트)
66.442B 이상에서 유지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USDC 1D 차트)
44.07B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BTC.D 1D 차트)
1월 22일-24일의 변동성 기간에 43.75-45.68 구간에서 저항 받고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고, 45.68 이상 상승하게 되면, BTC만 상승하는 이상한 시장이 형성되거나 코인 시장이 큰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BTC 도미넌스의 상승은 자금이 BTC 쪽으로 집중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BTC가 코인 시장을 주도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BTC 도미넌스로는 자금이 BTC 쪽으로 집중되고 있는지 알트코인쪽으로 집중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을 뿐이지, BTC 가격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없습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3월 30일경 입니다.
(USDT.D 1D 차트)
1월 23일-25일의 변동성 기간에 6.90 이하에서 유지되는지 화인이 필요합니다.
---------------------------------------
----------------------------
(BTCUSDTPERP 1D 차트)
고점을 갱신하지 못하고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22471.5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중장기 및 장기적으로 중요한 구간인 20984.7-21826.1 구간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고 20643.2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1차 : 19411.7-20122.5
2차 : 17935.7 부근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횡보 구간에서 그냥 횡보하는 중인데 알트코인들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BTC 도미넌스가 45에 가까워지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코인 시장으로 자금이 제대로 들어오는 모습이 보이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BTC 도미넌스의 상승은 코인 시자의 활력을 이르킬 수 있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45 이상 상승하게 되면, 코인 시장으로 지속적으로 자금이 들어오지 않게 되면, 알트코인의 자금이 위축되고 BTC쪽으로 자금이 집중되면서 BTC 혼자 상승하는 모습을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BTC 혼자라도 상승하면 그나마 다행이지만, 동반 하락하게 되면 알트코인의 가격은 엄청난 하락을 보이게 될 것 입니다.
현재 USDT가 66.442B 이상에서 유지되고 있으므로, 코인 시장의 가격 방어는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USDC가 지속적으로 갭 하락을 기록하게 되면, 코인 시장의 가격 방어가 깨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예의 주시해야 합니다.
-------------------------
(1h 차트)
1D 차트의 M-Signal 이상에 가격이 위치해 있다면, 주 포지션을 'LONG'입니다.
따라서, 'SHORT' 포지션으로 진입 시 빠른 대응이 필요합니다.
'L1', 20794.4-20984.7 부근에서 진입할 'LONG' 포지션은 1차, 2차 매도까지 된 상태입니다.
거래 종료 시점
1. 23937.1-24294.1 부근을 터치하였을 때
2. 1D 차트의 5EMA 이하로 하락할 때
3. 평균 진입 가격을 터치하였을 때
사실 2차 매도까지 된 상태이므로 어디에서든 자신이 원할 때 거래종료하면 됩니다.
22471.5-22975.1 구간에서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렇게 횡보 구간이 형성되면, 고 레버리지로 거래가 가능한 구간이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낮은 레버리지로 거래하는 분들께서는 이 횡보 구간에서 벗어날 때, 거래하여 큰 추세로 수익을 얻는 거래가 필요합니다.
고 레버리지로 거래하시는 분들께서는
- 'L2' 부근에서 'SHORT' 포지션으로 진입하여 'S2' 부근에서 거래 종료합니다.
- 'S2' 부근에서 'LONG' 포지션으로 진입하여 'L2' 부근에서 거래 종료합니다.
다만, 횡보 구간에서 벗어나게 되면, 가능하면, 빠르게 거래 종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1D 차트의 5EMA가 횡보 구간으로 진입하면서 터치하였습니다.
따라서,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낮은 레버리지로 거래하신다면,
- 'S2' 부근에서 저항 받을 때, 'SHORT' 포지션으로 진입이 가능합니다.
1차 : 21826.1 부근
2차 : 20984.7 부근
거래 종료 : 20122.5 부근
다만, 상승 추세선(1)을 터치하고 상승할 수 있으므로 21978.5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이 보일 때 1차 매도를 진행하거나 분할 매도하여 수익을 보존하는 것이 좋습니다.
- 'L2' 부근에서 지지 받을 때, 'LONG' 포지션으로 진입이 가능합니다.
거래 종료 : 23937.1-24294.1
고점이 23937.1-24294.1 구간일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22471.5-22975.1 구간에서 신규 포지션으로 거래를 진행하는다는 것은 상당히 위험 부담이 큽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거래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약간의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큰 추세에서 수익을 얻고자 한다면 거래는 언제나 가능합니다.
이럴 때는 손실금이 어떻게 되든 기계적으로 거래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 이 작은 횡보 구간에서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 거래의 변화를 계속 준다면, 큰 추세가 시작되었을 때 미쳐 진입하지 못한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
(BTCKRW 1D 차트)
다음 변동성 기간은 1월 28일경 입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 SR_R_C지표는 StochRSI(line), RSI(columns), CCI(bgcolor)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CCI지표는 과매수 구간(CCI > +100), 과매도 구간(CCI < -100)로 표시하였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장기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USDC, BTC.D, USDT.D 차트 설명을 먼저 설명드리는 이유는 코인 시장의 전체적인 자금 흐름을 대략적이라도 알면 코인(토큰)들의 가격 변화가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USDT 차트)
모든 차트에서 갭 상승이 확인되고,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USDC 1D 차트)
모든 차트에서 갭 상승이 확인되고 있지만, 상승세를 보인다고 말하기에는 아직 미비한 수준입니다.
(BTC.D 1W 차트)
1월 22일-24일의 변동성 기간에 43.75-45.68 구간에서 저항 받고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고, 45.68 이상 상승하게 되면, BTC만 상승하는 이상한 시장이 형성되거나 코인 시장이 큰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BTC 도미넌스의 상승은 자금이 BTC 쪽으로 집중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BTC가 코인 시장을 주도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BTC 도미넌스로는 자금이 BTC 쪽으로 집중되고 있는지 알트코인쪽으로 집중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을 뿐이지, BTC 가격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없습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3월 30일경 입니다.
(USDT.D 1D 차트)
1월 23일-25일의 변동성 기간에 6.90 이하에서 유지되는지 화인이 필요합니다.
USDT, USDC, BTC.D 차트의 변화가 어떻게 되었던 USDT 도미넌스의 하락은 코인 시장의 상승세를 나타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코인 시장의 흐름을 보기 위해서는 USDT 도미넌스가 현재 하락 캔들로 있는지 상승 캔들로 있는지 확인하면 됩니다.
USDT 도미넌스가 하락 캔들로 있으면, 코인 시장은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BTCUSDT 1W 차트)
1월 30일이 포함된 주 전후로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변동성 기간의 움직임을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MS-Signal지표가 상승표시로 전환되었습니다.
따라서, 중장기 상승세로 전환되어 있다고 보고 있지만, 유지되기 위해서는 20050.02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더 큰 상승을 보이면서 그냥 상승세로 전환되기를 저 또한 바라지만, 그러기에는 너무 오랜 기간 하락세를 보여 왔습니다.
따라서, 바로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위아래로 흔들어댈 때, 어느 지점, 어느 구간에서 지지 받느냐가 중요합니다.
StochRSI지표가 100 지점에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엄청난 상승 강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렇게 높은 상승 강도를 보이고 있을 때, 고점을 갱신하지 못한다면, 결국 하락하는 모습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게 됩니다.
StochRSI가 하락으로 전환하여 과매수 구간에서 벗어났을 때, 어느 지점에서 지지를 받는지 저항을 받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차 : 21023.14-21853.06
2차 : 19695.87-20050.02
3차 : 17880.71 부근
(1D 차트)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 고점을 갱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저점을 끌어 올리는 모습도 중요합니다.
따라서, 노란색 지지와 저항 구간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이 나오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현재 가격에서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면, 조만간 하이킨아시(Heikin Ashi) 몸통(body)이 하락 표시를 나타내기 시작할 겁니다.
이를 극복하느냐 극복하지 못하느냐를 지켜봐야 하는 시기입니다.
장기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1M 차트의 HA-Low 이상, 1M 차트의 MS-Signal (M-Signal)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현재 1M 차트의 M-Signal은 26K 부근에서 하락 중 입니다.
이번 변동성 기간인 1월 21일경-28일경(최대 1월 18일-31일)에 중요하게 봐야 하는 것은
1. 21023.14 부근에서 가격을 유지함으로서 다음 달에 1M 차트의 M-Signal지표가 생성될 수 있는가
2. 새로 생성된 1D 차트의 HA-High지표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가
3. 중장기 상승세를 유지하기 위해서 20050.02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가
크게 위의 3가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렇게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이게 되면, 횡보를 하면서 위아래로 흔들어대는 모습을 보이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모습은 새로운 추세로 전환되었다고 보고 있는 저의 입장에서는 긍정적인 움직임이라 생각합니다.
이러한 새로운 추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락하는 모습이 나와도 하락 추세선 (1)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면 됩니다.
이것이 중장기 및 장기적인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USDT.D 하락, BTC.D 하락은 알트코인쪽으로 자금이 집중되면서 코인 시장이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BTC 가격은 횡보하거나 하락하는 모습을 보일 가능성이 높고, 알트코인은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다만, BTC 가격이 어느 지점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알트코인의 가격이 급격하게 하락하는 것을 보이게 될 것 입니다.
이에 대한 대응 방법을 찾지 못한다면, 결국 손실을 보거나 고점에서 매수하는 꼴이 될 것입니다.
------------------------------------------
(BTCKRW 1D 차트)
다음 변동성 기간은 1월 28일경 입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 HA SRRC 지표는 StochRSI(line), RSI(columns), CCI(bgcolor)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CCI 지표는 과매수 구간(CCI > +100), 과매도 구간(CCI < -100)로 표시하였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변동성 기간에 확인해야 할 3가지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USDC, BTC.D, USDT.D 차트 설명을 먼저 설명드리는 이유는 코인 시장의 전체적인 자금 흐름을 대략적이라도 알면 코인(토큰)들의 가격 변화가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USDT 1D 차트)
(USDC 1D 차트)
(BTC.D 1W 차트)
다음 변동성 기간은 1월 23일경 입니다.
(USDT.D 1D 차트)
다음 변동성 기간은 1월 24일경 입니다.
USDT, USDC, BTC.D, USDT.D 차트를 통한 코인 시장의 자금 흐름을 대략적이라도 알 수 있다는 것은 개인 투자자에게 있어서 한 줄기 빛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USDT, USDC 차트를 통해 코인 시장으로 자금이 얼마나 들어오고 있는지 아니면, 빠져나가고 있는지 대략적으로 파악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핵심은 USDT 차트의 흐름입니다.
USDT는 전세계 모든 거래소에서 모두 지원하고 있는 USDT 마켓을 통해 직접적으로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USDT의 갭 상승은 코인 시장을 상승세로 이끌 가능성이 높은 현상이라 생각합니다.
USDC는 USDT와 좀 다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USDC는 코인을 주식 시장의 투자 상품으로 출시한 각종 투자 상품과 연관되어져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USDC를 통해 기존 투자 회사들이 우회적으로 코인 시장에 투자를 하는 형식을 띠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USDC의 움직임은 코인 시장이 주식 시장과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다고 파악됩니다.
이로 인해 USDC의 갭 하락은 주식 시장과 디커플링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의미라 생각합니다.
BTC.D와 USDT.D 차트를 통해서는 현재 자금이 어느 쪽으로 좀 더 집중되어 있는가와 코인 시장의 상승과 하락을 알아 볼 수 있습니다.
BTC.D 차트로는 현재 자금이 BTC 쪽으로 집중되고 있는지, 아니면, 알트코인 쪽으로 집중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USDT.D 차트로는 현재 코인 시장이 상승을 하고 있는지 하락을 하고 있는지를 어느 정도 알 수 있습니다.
코인 시장의 전체적인 관점에서 움직임을 확인하게 되므로, 실제 내가 투자하고 있는 코인의 움직임과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BTC.D, USDT.D 모두 하락을 나타내고 있다고 한다면, 알트코인 쪽으로 자금이 집중되면서 코인 시장은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알트코인쪽이 BTC보다 더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
(BTCUSDT 1W 차트)
1월 30일이 포함된 주 전후로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변동성 기간에 21023.14-21853.06 구간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이 나오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다만, 상승보다 더 중요한 것은 과연 21023.14-21853.06 구간에서 지지받을 수 있는지입니다.
현재 중장기 상승세로 전환되어 있다고 보고 있지만, 유지되기 위해서는 20050.02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그렇게 되면, MS-Signal이 상승 표시로 전환되면서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1D 차트)
본격적인 변동성은 1월 21일경(1월 20일-22일)부터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변동성 기간에 중요하게 봐야 하는 것은
1. 21023.14 부근에서 가격을 유지함으로서 다음 달에 1M 차트의 M-Signal지표가 생성될 수 있는가
2. 새로 생성된 1D 차트의 HA-High지표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가
3. 중장기 상승세를 유지하기 위해서 20050.02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가
크게 위의 3가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렇게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이게 되면, 횡보를 하면서 위아래로 흔들어대는 모습을 보이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모습은 새로운 추세로 전환되었다고 보고 있는 저의 입장에서는 긍정적인 움직임이라 생각합니다.
이러한 새로운 추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락하는 모습이 나와도 하락 추세선 (1)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면 됩니다.
이것이 중장기 및 장기적인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알트코인의 순환펌핑이 이어지면서 알트코인을 많이 거래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어떻게든 거래해서 수익을 많이 얻는 것은 트레이더로서 중요한 일입니다.
다만, 코인 시장으로 자금이 들어오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알트코인의 순환펌핑은 자금을 빼내기 위한 움직임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반드시 손절 지점을 설정하고 대응해야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좋은 것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알트코인들의 투자 비중을 줄여 나감으로서 순환펌핑이 끝났을 때를 대비해 나가야 하는 것 입니다.
현재 알트코인을 거래하려면 가능하면, 보유하고 알트코인을 거래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갑작스러운 급락에서도 어느 정도 손실을 만회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신규 거래를 시작하여 손실을 보거나 손실로 보유하게 되면 새로운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면, 앞으로 있을 더 좋은 매수 시기가 왔을 때 매수할 수 없게 되므로 더 큰 기간 손실을 입게 될 것 입니다.
지금 알트코인을 거래해도 될까요?
요즘 이런 질문을 자주 받습니다.
저는 가능하면 거래하지 마시고, 현재 보유하고 있는 알트코인의 투자 비중을 줄여 나가세요. 라고 답변을 드리고 있습니다.
하락하게 되면,
1차 : 20050.02 부근
2차 : 19176.93 부근
1차, 2차 구간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21023.14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한다면,
1차 : 21853.06 부근
2차 : 22487.41 부근
1차, 2차 구간에서 저항 받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26K 부근에서 1M 차트의 HA-Signal 지표가 하락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따라서, 급등하게 되면, 이 1M 차트의 HA-Signal 지표를 터치하면서 급락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이러한 움직임이 1W 차트 설명에서 말씀드린 최대 17.8K-26K 구간에서 횡보할 가능성에 대한 근거입니다.
------------------------------------------
(BTCKRW 1D 차트)
다음 변동성 기간은 1월 28일경 입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 HA SRRC 지표는 StochRSI(line), RSI(columns), CCI(bgcolor)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CCI 지표는 과매수 구간(CCI > +100), 과매도 구간(CCI < -100)로 표시하였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변동성 기간에 지지 받기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USDC, BTC.D, USDT.D 차트 설명을 먼저 설명드리는 이유는 코인 시장의 전체적인 자금 흐름을 대략적이라도 알면 코인(토큰)들의 가격 변화가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USDT 1D 차트)
66.442B 이상에서 유지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USDC 1D 차트)
44.07B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BTC.D 1D 차트)
43.75 이상 상승하여 저항받고 하락할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USDT.D 1D 차트)
6.90-7.27 구간에서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BTCUSDTPERP 1D 차트)
20984.7 이하로 하락하면서 하이킨 아시(Heikin Ashi) 몸통(body)가 하락 표시로 전환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따라서, 1월 1일부터 시작한 상승에서 첫번째 하락 표시를 보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번의 하락으로 StochRSI가 과매수 구간에서 벗어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19411.7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중장기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이번달의 캔들이 20984.7 부근에서 마감된다면, 1M 차트의 HA-Low가 현재 표시한 지점에 생성되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매수가 가능한, 거래가 가능한 지점을 형성하게 될 것 입니다.
BTC의 차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하락 추세선 (1)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 입니다.
하락 추세선 (1)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게 된다면, 2022년 11월 27일에 새로운 흐름(하락 추세→횡보)으로 전환되었습니다.
그리고, 하락 추세선 (1)에서 벗어나면서 새로운 추세(횡보→상승추세)로 전환된 움직임을 유지하게 될 것 입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중장기 이상의 흐름의 전환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으로 1M 차트의 HA-Low가 20984.7 지점에서 생성되려는 모습을 보이게 됨으로서 장기적으로 상승세로 전환하려는 모습을 보이므로서 위에서 말씀드린 움직임을 뒷받침해 주고 있습니다.
USDT가 66.442B 이상에서 유지되어지고 더 나아가 68B을 향해 갭 상승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면, 이러한 움직임에 큰 힘을 실게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USDC의 하락은 미국 투자 자본, 투자 상품 등 ETH의 가격 변동에 주목해야 합니다.
다만, USDC의 지속적인 갭 하락은 결국 코인 시장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예의 주시해야 합니다.
현재 나와 있고 앞으로 나올 모든 이슈들은 이제까지 겪어왔던 이슈들에 비해 강한 것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만큼 현재의 경제 상황이 계속해서 유지되고 있는 한 투자 시장을 크게 흔들만큼 큰 이슈가 되지 못한다는 의미입니다.
세계 경제를 움직이는 많은 자금, 돈이 실 경제의 악화로 투자처를 제대로 찾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따라서, 실 경제보다 투자 시장, 즉, 주식 시장이나 코인 시장으로 자금, 돈이 집중될 가능성이 그만큼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만, 아직 코인 시장으로 자금이 들어오고 있다는 징후는 미약합니다.
따라서, 현재 본격적으로 투자를 진행할 시기가 아니라 생각합니다.
이번 변동성 기간은 최대 1월 19일경-30일경 입니다.
다만, 본격적인 변동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기간은 1월 21일경-28일경 입니다.
(1h 차트)
다시 20570.1-20984.7 구간으로 진입하였습니다.
따라서,
1. 'LONG' 포지션
- 진입 : 20794.4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이고 20984.7 이상 상승할 때
1차 : 21826.1 부근
2차 : 22471.5-22975.1
거래 종료 : 23937.1-24294.1
2. 'SHORT' 포지션
- 진입 : 20794.4 부근에서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이고 20570.1 이하로 하락할 때
1차 : 20122.5 부근
거래 종료 : 19188.6-19411.7
1D 차트의 M-Signal 이하로 하락하여야 본격적인 'SHORT' 포지션 진입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현재 'SHORT' 포지션으로 진입시 빠른 대응이 필요합니다.
중장기 상승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1W 차트의 M-Signal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하므로 19411.7 이하로 하락하였다는 것은 추가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입니다.
-------------------------------------------
(BTCKRW 1D 차트)
27317000 이상 상승하여 하락 추세선에서 벗어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1월 28일경 입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 SR_R_C지표는 StochRSI(line), RSI(columns), CCI(bgcolor)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CCI지표는 과매수 구간(CCI > +100), 과매도 구간(CCI < -100)로 표시하였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생성될 장기 저점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이 필요한 시점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USDC, BTC.D, USDT.D 차트 설명을 먼저 설명드리는 이유는 코인 시장의 전체적인 자금 흐름을 대략적이라도 알면 코인(토큰)들의 가격 변화가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USDT 1D 차트)
갭 상승으로 66.442B 이상에서 상승하였으므로 계속해서 66.442B 이상에서 머물려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코인 시장이 본격적인 상승세를 보이기 위해서는 68.468B 이상 상승하여야 가능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USDC 1D 차트)
44.07B-44.807B 구간이나 그 이상 갭 상승이 나올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USDT나 USDC의 갭 상승은 신규 자금이 코인 시장으로 들어오는 흔적이라 판단됩니다.
(BTC.D 1W 차트)
BTC 도미넌스의 상승은 BTC 쪽으로 자금이 집중된다는 의미입니다.
43.75-45.68 구간에서 저항 받고 하락함으로서 견고한(유동성이 풍부한)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45.68 이상 상승하게 되면, BTC 혼자 상승하는 이상한 시장 흐름이 형성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알트코인은 횡보하거나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39.56-40.44 구간은 급격한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구간입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1월 23일경 입니다.
(USDT.D 1D 차트)
USDT 도미넌스의 상승은 코인 시장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입니다.
6.90-7.27 구간에서 어는 방향으로 벗어나느냐에 따라 코인 시장의 추세가 나타낼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6.21 부근으로 하락하게 된다면, 코인 시장은 더 큰 상승세를 보이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코인 시장의 신규 자금이 들어오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면, BTC만 상승하는 그림이 나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 얘기는 대부분의 알트코인이 상승하는 척하다가 상승하기 전 가격대로 다시 돌아간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USDT, USDC의 갭 상승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지 관점을 가져야 합니다.
6.21 부근으로 하락하기 시작하면, 가격이 급등을 하고 있어도 더 이상 기다릴 수 없다는 생각에 거래 전략같은 건 생각하지도 않고 매수하게 되는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코인 시장의 고점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될 것 입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1월 24일경 입니다.
---------------------------------------
(BTCUSDT 1W 차트)
1월 30일이 포함된 주 전후로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변동성 기간에 21023.14-21853.06 구간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이 나오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BTC가 급등하게 되면, 1M 차트의 M-Signal 을 터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상승보다 더 중요한 것은 과연 21023.14-21853.06 구간에서 지지받을 수 있는지입니다.
현재 중장기 상승세로 전환되어 있다고 보고 있지만, 유지되기 위해서는 20050.02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그렇게 되면, MS-Signal이 상승 표시로 전환되면서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1D 차트)
본격적인 변동성은 1월 21일경부터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1월 19일경에 21023.14-21853.06 구간에서 벗어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새롭게 형성되어지고 있는 매물대(volume profile) 지점이 20954.92 부근에 형성되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20954.92-21023.14 부근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9일 동안 CCI, RSI, StochRSI 지표 모두 과매수 구간에 진입해 있었지만, 현재 CCI가 과매수 구간에서 벗어난 것으로 보여집니다.
캔들이 마감되었을 때도 CCI가 과매수 구간에서 벗어난 것으로 표시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과열된 지표를 진정시키기 위한, 변동성을 보이기 위한 움직임은 21023.14-21853.06 구간에서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는지에 달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락하게 되면,
1차 : 20050.02 부근
2차 : 19176.93 부근
1차, 2차 구간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21023.14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한다면,
1차 : 21853.06 부근
2차 : 22487.41 부근
1차, 2차 구간에서 저항 받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26K 부근에서 1M 차트의 HA-Signal 지표가 하락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따라서, 급등하게 되면, 이 1M 차트의 HA-Signal 지표를 터치하면서 급락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이러한 움직임이 1W 차트 설명에서 말씀드린 최대 17.8K-26K 구간에서 횡보할 가능성에 대한 근거입니다.
------------------------------------------
(BTCKRW 1D 차트)
다음 변동성 기간은 1월 28일경 입니다.
------------------------------
- 큰 그림
상승의 힘을 얻기 위해서는 13K-15K 구간에서 지지 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현재 위치에서 상승하든 하락하든 모두 단기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 HA SRRC 지표는 StochRSI(line), RSI(columns), CCI(bgcolor)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CCI 지표는 과매수 구간(CCI > +100), 과매도 구간(CCI < -100)로 표시하였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BTCUSDT 3월 중순까지 32k 도달하는 시나리오한 차례 깊은 눌림 후, 본격적인 반등랠리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현재 자리에서는, 설사 살짝 더 오르더라도 큰 눌림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19.2k정도까지만 눌리고 올라가는 것이 이상적이기는 하지만, 급하게 올라오면 깜짝 놀랄만큼 조정이 나왔기에, 18.3k를 타겟으로 보고 있습니다.
18.3k는, 현재 1월 18일 기준 20일 이평이 위치한 곳이기도 하며, 두 개의 채널이 만나는 곳인 동시에 매물대 위치이기도 합니다.
---
19.2k가 이상적인 눌림이라고 보고 있기 때문에 우선 숏을 19.2K 부근에서 종료할 생각이며
만약 조정이 온다면, 조정 이후 20.7k 위에서 일봉 마감 시 조정이 어느정도 마감되었다 생각하고 그 때 롱을 들어갈 것 같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작도한 바와 같이 18.3k정도에서 캔들이 둥글게 말리는 모습이 보인다면 그 때 본격적으로 롱을 들어갈 예정입니다.
---
현재 위치는 매우 과열된 곳이라고 생각하고, 이런 곳에서 비트가 조금만 떨어지려고 해도 알트들은 우수수 떨어질 수 있는 자리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비트가 횡보한다면 여기서 위로 튀어오르는 알트들도 많을테지만, 건전한 움직임은 아니라고 생각해서 조정이 나올 때까지 기다릴 예정입니다.
---
작도는 매물대 기준으로, 그리고 날봉 상 MFI와 RSI 기준으로 대강적인 파동의 진행을 예상하였으나,
두 달 정도의 그림이라 당연히 이대로 가주리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상황이 바뀐다면 또 업데이트를 하겠습니다.
모두 좋은 하루 되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