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at 연장 조정으로 고려 시 파동 카운팅과 타겟현 조정을 많은 트레이더들이 다양한 관점으로 접근을 하고 있습니다. 제가 고려하고 있는 여러 엘리엇 파동 카운팅 중 하나인 Flat 연장 조정 카운팅에 대해서 분석을 해봤습니다.
Flat Expanded Correction이란 강력한 매수세 때문에 B 파동이 5파동보다 높은 자리에 위치하는 조정 파동 구조를 뜻합니다. 엘리엇 파동 이론 상 B 파동이 A 파동의 1.382 연장 지점보다 낮게 위치해 있으면 Flat 연장 조정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Flat 조정은 통상적인 5-3-5가 아닌 3-3-5 지그재그 구조로 형성됩니다. 따라서 전 본 카운팅을 고려했을 시 타겟팅을 하기 위해 5월 6일부터 시작된 하락을 3파가 아닌 5파로 해석하여 타겟팅을 해봤습니다. 전 솔직히 8,100~8,200까지 생각하고 있습니다. 만약 이 구간도 뚫리면 다음 구간은 7,800~7,900불입니다.
한국 거래소를 이용하시는 분들은 다행히 어제 업비트 사건 때문에 김프가 확 빠지고 지금 달러 시장보다는 덜 하락하는 모습입니다. 이미 매도물량이 많이 빠졌다는 소리입니다.
지금 4시간 봉 상 거의 모든 지표들이 과매도 구간에 있습니다. 욕심 부려 더 낮은 곳에서 매수 진입을 기다리시는 찰나에 갑자기 반등할 수도 있으니 조금 조금씩 분할 매수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좋아요와 팔로우 부탁드리겠습니다 ㅠㅠ
Bitcoin-btcusd
[캘린더] 5월 12일 비트코인 세 차트 분석(마음 단단히 먹을 것)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어제 밋업이 너무 힘들어서 오늘 늦잠 좀 자게 되었습니다.
우선 어제의 분석 글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꼭! 제발!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업비트고 뭐시고 먼저 하락할 것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리고 과거를 통해 배웠다면 다시 실수하지 않아야 합니다.
어제 읽었더라도 70%는 까먹었으니 꼭 다시 한번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은 역시나 장대 음봉이 출현하였습니다.
아직까지 추가 하락을 염두해야 하며 오늘도 몸통이 긴 음봉이 나온다면 흑삼병 캔들의 재출현으로 추가 하락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제가 일봉 캔들을 분석 관점 첫번째로 두는 이유는 의미가 크기 때문입니다. 항상 아침 9시에 마감하는 일봉 캔들을 중요시여길 필요가 있습니다.
2. 장기 추세선
지지를 계속 지켜주던 장기 상승 추세선이 뚫리고 패닉셀이 나오는 것입니다.
오래 지속되었던 장기 상승 추세선이기 때문에 기대가 컸을 수 있으며 저도 분석글마다 장기 상승 추세선의 지지를 기대하고 매수받으라고 말씀드렸었지요.
3. 피보나치 비율
BitFinex거래소의 BTC/USD차트에서는 피보나치 되돌림 비율인 분홍색 0.382 비율이 일봉 종가에서 뚫렸습니다.
현재에도 저항선으로 받아들이는 위치가 되는 8473.7달러가 되겠습니다.
BitFlyer거래소의 BTC/JPY에서는 다행히 분홍색 0.382를 지켜줬으며 현재는 지지해주고 있는 모습입니다.
마찬가지로 FXBTC/JPY에서도 파란색 0.618에 대해 종가에서 2천엔 정도 차이로 지켜주었으며 지지를 기대할 수 있는 자리입니다.
4. 패턴
항상 말씀드리는 것처럼 헤드앤숄더나 더블탑패턴은 넥라인의 돌파까지가 패턴의 완성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리고 큰 그림에서 항상 넥라인의 저항과 지지를 받아왔고 추세 전환이 이루어졌습니다.
하락하기 전부터 지겹도록 말씀드리는 것이며 무조건 상승에 대한 조정이라고 단정짓지 마십시오.
지금 상승에 대한 조정이라고 단정짓는 분들은 노란색 원에서도 상승에 대한 조정이었을 것이라고 단정지어 말씀하셨을 것입니다.
상승에 대한 조정과 하락 추세로의 전환 모두 고려하며 조심이 매매에 임해야 합니다.
어제 코멘트를 통해 작은 그림에서 헤드앤숄더 패턴이 완성되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패턴에 따르면 머리크기만큼 하락이 이루어지며 7900~8000달러 정도까지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5. 피봇 포인트
BTC/USD에서는 S2까지 모두 뚫렸으며 S3 부근에서 지지를 받았습니다. S2는 현재 8750달러 정도이며 S3는 8300달러 정도입니다.
BTC/JPY와 FXBTC/JPY는 S3까지 모두 뚫려 현재 저항을 테스트 중에 있습니다.
6. 일봉 보조지표
파라볼릭 SAR은 매도 시그널을 발생 후 계속 유지 중에 있습니다.
다이버전스는 따로 해석할 만한 것은 없습니다.
21 EMA와 100 EMA는 다시 데드크로스가 나오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데드크로스로 인한 매도세도 나오게 되었었지요.
이전 분석글에서도 말씀드렸지만 50 EMA와 100 EMA가 마지막으로 데드크로스가 나오고 다시 골든크로스가 나온 것이
2014년 3월 22일부터 2015년 10월 22일까지 579일이 걸렸습니다.
쉽사리 상승장이라고 단정짓지 않는 이유 중에 하나입니다.
7. 4시간봉 보조지표
4시간봉의 볼린저밴드입니다.
한번 매도시점을 놓쳤고 밴드가 아래로 벌어지며 올라갈때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에서 저항받으면 매도하라고 말씀드렸습니다.
노란색 원 모두 매도 시점이었으며 이번에도 다시 매도할 자리가 나올지 확인하게 됩니다. 현재 8688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파라볼릭 SAR은 매도 시그널을 유지중에 있습니다.
그리고 하락 다이버전스에 의해 하락할 것은 이틀 전에 말씀드렸었지요.
그리고 현재 RSI가 과매도를 유지중에 있습니다. RSI가 20대까지 왔을때 급상승도 있었지만 다음에 다시 하락도 있었습니다.
반등은 나올 수 있겠지만 만불간다고 섣불리 단정지으면 안됩니다.
반등이 나왔을때 부분 익절 후 나머지에 대해 손절라인을 본절가로 잡고 올라가면 가져가고 내려오면 본절에 다시 팔면 됩니다.
50 EMA와 100 EMA는 시간이 지나면 데드크로스가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40달러 정도 차이입니다.
21, 50, 100이 모두 역배열을 이루게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올라가더라도 각각 저항선이 됩니다.
8. 김프, 환율, SFD
김프: 3.4% 정도입니다.
환율: USD 1067원, JPY: 9.77원
SFD: 3.9%
한대 쥐어박고 싶은 비트코인하락 파동의 0.5~0.618 되돌림 구간인 9,450~9,600불까지는 반등을 하고 (B 소파동) 다시 떨어질 줄 알았는데 0.382 구간인 9,400불까지만 반등을 하고 떨어졌습니다. B 소파동이 예상보다 짧게 나온 것 말고는 현재 저의 카운팅은 그대로 입니다. 현재 많은 트레이더분들이 그리고 계시는 평행 헤드앤숄더 패턴의 넥라인(주황색 박스)을 테스트하는 중입니다.
새벽에 하락한 파동을 관찰해보면 반등을 거의 하지 않고 가파르게 하락했습니다. 때문에 어디까지를 1소파동으로 간주해야할지 아직 모르겠습니다. 지금 반등하는 정도에 따라 향후 타겟을 업데이트 해야할 예정입니다.
현재 반등한 자리가 b 파동이 5 파동보다 높게 위치한 expanded correction을 고려했을 때 a 파동의 1:1 연장 자리이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 전 헤드앤숄더와 컵앤핸들 패턴에 크게 무게를 두지 않는 편이지만 많은 분들이 언급하시지 않은 역헤드앤숄더 패턴이 가능성이 아예 없지 않아 차트에 그려봤습니다. 나름 저의 bullish 관점입니다. 현재 생성된 하락 채널의 상단 부분(9150불)을 뚫고 올라와준다면 추가 상승을 기대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되면 당연히 현재 카운팅도 무효해지겠죠. 하지만 제 개인적인 생각으론 희박합니다.
[캘린더] 5월 11일 비트코인 세 차트 분석(내려가는 비트코인)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오늘은 오후에 회사가 주최하는 밋업이 있어 오후엔 코멘트가 어려울 예정입니다.
이점 감안해서 분석글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어제의 분석 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꼭! 제발! 읽고 와주시기 바랍니다. 왜 이렇게 움직였는지 잘 아셔야 합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은 다시 한번 하락 장악형 캔들이 완성했습니다.
말씀드렸다시피 5월 6일엔 하락 장악형&집게 천장형 캔들로 하락이 시작되었고
5월 6일~8일은 흑삼병 캔들이 만들어졌습니다. 앞서 하락장에서 5번이 있었고 흑삼병 캔들이 나왔고 계속 떨어졌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5월 9일엔 망치형이 만들어졌지만 5월 10일 다시 한번 하락 장악형 캔들이 만들어졌습니다.
추가 하락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2. 장기 추세선
장기 상승 추세선은 뚫렸고 올라가더라도 저항선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상승 추세가 뚫리고 하락 추세가 시작되는 것일 수 있습니다.
조정일지 하락일지는 시간이 지나봐야 알기 때문에 대응만이 살 길입니다.
3. 피보나치 비율
BTC/USD에선 분홍색 0.5가 뚫렸고 현재 파란색 0.5의 지지를 테스트하는 중입니다.
BTC/JPY에선 분행색 0.5가 뚫리진 않았지만 이번 4시간에서 뚫리는지 확인하게 됩니다. 더 떨어지면 파란색까지 갑니다.
FXBTC/JPY에선 파란색 0.5가 뚫린 후 한번 저항 테스트한 후에 떨어지고 있습니다. 분홍색까지 갈 수 있습니다.
4. 패턴
다시 한번 넥라인에서 추세 전환이 이루어졌었다는 것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4시간봉에서 작은 헤드앤숄더 패턴이 완성되기 직전입니다. 넥라인이 뚫리면 패턴의 시작입니다.
5. 피봇 포인트
피봇포인트의 S1이 뚫리고 저항선이 되었습니다. S1은 현재 9050달러 정도 위치하고 있으며 S2는 8764달러 정도 위치하고 있습니다.
BitFlyer의 두 차트에서는 S2를 먼저 지지를 시험하고 있습니다.
6. 일봉 보조지표
파라볼릭 SAR은 매도 시그널을 유지 중에 있으며
상승 다이버전스로 해석하기엔 높이가 애매합니다.
매도세로 인해 21 EMA와 100 EMA는 모두 뚫렸고 50 EMA만이 남아있습니다.
현재 21 EMA와 100 EMA는 9090달러 정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50 EMA는 8857달러에 있습니다.
7. 4시간봉 보조지표
앞선 매도 시점에 매도했다면 떨어지는 것에 대해 억울하진 않았겠지요.
상승에 있어 표준편차 1짜리의 상한선까지만 올라갔다가 저항받고 하락하게 되었습니다.
다시 한번 표준편차 2짜리의 하한선 아래로 뚫리게 되었습니다.
볼린저밴드는 다시 아래로 벌어질 예정이며 올라가더라도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과 베이스라인에 저항받을 예정입니다.
파라볼릭 SAR은 매도 시그널이 발생하였으며
어제 하락 다이버전스에 의해 하락하게 되었습니다.
어제 코멘트에서 50 EMA 위로 올라간것에 대해 페이크 아웃을 조심하라고 말씀드렸습니다. BitFlyer 두 차트에선 계속 저항받았기 때문이지요.
저항받고 100 EMA까지 모두 뚫렸으며 올라가더라도 100 EMA가 있는 9183달러는 저항받을 예정입니다.
그리고 다시 한번 21 EMA와 100 EMA의 데드크로스가 나올 수 있습니다. 데드크로스가 나올때 매도세가 나올 수 있습니다.
MACD도 데드크로스가 나오고 있으며
아직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에선 매수 시그널이 나오진 않았습니다.
8. 김프, 환율, SFD
김프: 4.24%
환율: USD 1067.8원, JPY 9.77원
SFD: 4.5%입니다. 5%가 되면 하락이 나올 수 있습니다.
대응 방안
아이디어 퍼블리쉬 한 차트에 재생 버튼을 누르면 현재 가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각 위치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틀동안 대응 방안에서 9100 달러 위로 올라가면서 물량을 줄여나가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저는 하락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지요.
다시 9100달러대가 돌아올지는 지금 당장 확신할 수 없습니다. 대응만이 살길이지요.
우선 추가 하락을 염두에 두고 있으며 매수 시그널이 나올때 사거나 중간중간 단타만 할 예정입니다.
물량을 잘 줄였으면 잘 하신 것이고 매수를 받아있다면 매수 자리가 나올 때 물타기를 통해 물량을 줄여나가야 합니다. 풀매수되어있다면 할말이 없고요.
각 움직임은 코멘트를 통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물량 줄이신 분들은 잘하신 것입니다.
[캘린더] 5월 10일 비트코인 세 차트 분석(망치형 캔들, 하지만 저항받는 장기 상승 추세선)안녕하세요. 스펑키의 비트고수팀 소속 한국 트레이더 캘린더 입니다.
이런저런 일하면서 술을 자주 마시게 되긴 하네요.
내일은 이런저런 코인들 초대해서 강연도 듣고 에어드랍하는 회사 밋업이 있어 저녁엔 코멘트가 어려울 예정입니다. 무료이니 여러분도 오셔도 괜찮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먼저 어제의 차트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어제의 차트 분석 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은 망치형 캔들로 해석될만한 캔들이 만들어졌습니다. 망치형 캔들은 상승 반전 캔들 형태로 음봉보다는 양봉일수록 몸통이 짧게 꼬리가 길수록 의미가 있습니다.
꼬리는 길긴 한데 몸통이 조금 길다는 점에서 트레이더마다 해석이 나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장기 추세선
그러나 장기 추세선은 저항받은 모습입니다. 상승한다면 내일 9시에 마감되는 종가가 9470달러 위로 올라갔는지 확인하게 될 것입니다.
3.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은 다시 파란색 0.382와 분홍색 0.5 비율 사이로 돌아왔습니다. 상승한다면 파란색 0.382에 떨어진다면 분홍색 0.5에 지지를 받을 예정입니다.
4. 피봇포인트
피봇포인트에서는 S1의 지지를 받고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추가 상승을 이어나간다면 다음 목표가는 P가 됩니다. 현재 P는 BTC/USD에서는 9480달러 정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5. 일봉 보조지표
파라볼릭 SAR은 다시 매도 시그널이 발생하였습니다.
그리고 다이버전스에 의한 하락과 상승이 발생하였습니다.
지수이동평균선의 21 EMA와 100 EMA의 지지를 받고 상승하였습니다. 아직도 강력한 지지선이 되며 둘다 9100달러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MACD는 역배열을 유지 중입니다.
6. 4시간봉 보조지표
4시간봉의 볼린저밴드에서는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과 베이스라인 위로 올라갔으며 지지받을지 지켜보게 됩니다.
베이스라인은 현재 9297달러에 있으며 표준편차 1짜리의 상한선은 9431달러, 하한선은 9163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4시간봉에서는 파라볼릭 SAR은 매수 시그널이 발생했지만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졌습니다. 하락을 염두에 두게 됩니다.
100 EMA가 뚫린 뒤에 다시 매수세에 의해 상승하였지만 현재 12시간동안 21 EMA와 50 EMA에 의해 저항받은 모습입니다.
MACD는 다시 한번 골든크로스가 나왔으며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는 매도 시그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7. 김프, 환율, SFD
김프 : 3.6%(거래소의 상장이 이루어지는 목요일엔 김프가 높은편입니다.)
환율 : USD 1076.5원, JPY 9.81원
SFD : 6.6% 정도입니다.
대응 방안
어제의 하락 근거로 흑삼병 캔들과 뚫려버린 장기 상승 추세선, 21 EMA와 50 EMA의 데드크로스를 들어 상승 추세가 깨지고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리고 9100 달러대에는 피보나치 비율 분홍색 0.5, 일봉 21 EMA와 100 EMA, 4시간봉의 100 EMA가 있었습니다.
9000달러대에서 바로 손절할 필요 없이 기술적 반등이 있을 것이므로 9100달러대에 올라가며 물량을 줄여나가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전량 손절이 아닌 '물량을 줄여나가라고' 말씀을 드렸지요.
9천달러대가 잠시 뚫렸었지만 매수 시그널로 인해 다시 상승하였고 현재는 다시 장기 상승 추세선과 4시간봉의 21 EMA와 50 EMA에 저항을 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4시간봉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에선 매도 시그널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하락 다이버전스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단순 조정이었다고 생각한다면 아래에서 물량을 늘리는 것이 맞고 하락이라고 생각한다면 상승하면서 물량을 줄이는 것이 맞습니다.
저는 하락이라고 생각하기에 상승하면서 물량을 줄여나간 것입니다. 왜 하락이라고 생각하는지는 어제 분석 글에 있으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데드 캣 바운스인가요? 트레이딩뷰 내에 워낙 많은 트레이더 분들이 여러 시간 프레임의 거래량, 보조지표, 이평선, 캔들분석, 패턴분석 등과 같은 기본적인 데일리 브리핑을 해드리기 때문에 저의 채널에선 보통 해당 내용에 대해서 깊게 다루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제가 그런 분석들을 안한다는 뜻은 절대 아닙니다. 여러분들이 이미 다른 유능한 분들의 분석글에서 데일리 브리핑을 읽고 숙지하셨다는 가정하에 저는 제가 조금 더 내세울 수 있는 영역인 엘리엇 파동 이론 관점에 가중을 두고 브리핑을 해드리는 것입니다.
현재 비트코인 상황입니다. 제가 생각하고 있는 하락 A 파동이 정확히 예쁜 5파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소파동의 2.618 피보나치 연장선에 3 소파, 3.618 연장선에 5 소파가 도달하고 반등하였습니다. 반등한 부근이 1 소파의 3.618 연장 레벨과 동시에 상승 채널의 하단 부분이기도 하기 때문에 강한 지지선으로 작용한 것 같습니다.
현재 4시간 봉상 55 이평선과 100 이평선 사이에서 갈팡질팡하고 있습니다만 다행히 100 이평선이 잘 지지해주고 있는 모습입니다. RSI와 스토캐스틱 지표에 Bearish 다이버전스가 보입니다. 매수세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신호로 잠깐 횡보하다가 올라가거나 조금 하락한 후 다시 상승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만약에 이후 캔들이 100 이평선 밑에서 닫히게 되면 9250~9150까지 내려가 채널 하단을 다시 리테스트하지 않을까 싶네요.
현재 제 생각은 채널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파동의 0.618 부근인 9600불을 넘지 않는 한 방심하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본 차트와 같이 현재 올라가는 파동이 B 파동으로 간주한다면 아직 C 파동이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 8600불까지는 열어두셔야 합니다.
좋아요와 댓글 부탁드릴게요~
현 시점에서의 모든 가능 시나리오 정리당신이 엘리엇 파동 이론을 활용하는 트레이더라면 분 게시글을 무조건 읽어보시는 걸 권장합니다. 많은 트레이더들이 4월 초부터 상승하고 있는 파동의 구조를 다른 관점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 중 제가 생각하는, 그나마 유력한 시나리오들을 몇가지 정리하고자 합니다. 본 시나리오들은 4월 초부터 시작된 상승 파동을 충격 파동으로 고려하는, 장기적으로는 모두 bullish 시나리오이지만, 단기적인 관점에서는 크게 bullish 시나리오와 bearish 시나리오로 분류해봤습니다.
현재 위에 게시된 차트는 저의 가장 bullish한 관점입니다. 한 개의 파동 사이클이 끝나고 새로운 상승 파동의 소 2파동이 끝나고 이제 3파가 시작되는 시나리오입니다. 저도 개인적으로 이 시나리오가 유력하길 희망하고 있습니다. 본 카운팅은 1 소파의 시작점인 8,815불을 이탈하면 무효해집니다.
제가 다음으로 bullish하게 생각하는 카운팅입니다. 첫번째 시나리오랑 흡사합니다. 아직 5파가 끝나지 않고, 5파의 2 소파동이 끝나고 3소파동이 시작되는 시나리오입니다. 이렇게 되면 타겟팅은 첫번째 시나리오랑 비슷하겠지만 그 이후의 조정이 훨씬 더 크게 올 확률이 큽니다. 본 카운팅 역시 1 소파동의 시작점인 8,815불을 이탈하면 무효해집니다.
다음은 저의 bearish 시나리오입니다. 제가 처음으로 롱에서 숏으로 포지션을 전환했을때의 카운팅입니다. 첫번째 시나리오랑 똑같이 5파 사이클이 끝났지만 그 이후
조정 파동이 전 5파보다 높게 올라가는 expanded correction으로 고려하는 내용입니다. B 파동을 불트랩으로 간주하게 되겠죠. 이렇게 되면 상승 채널을 이탈하여 8,900불 밑으로 떨어질 확률이 큽니다.
다음 저의 bearish 시나리오입니다. 몇일 간 하락한 파동을 A 파동이라고 간주하는 내용입니다. 현재 제 주관적인 생각으로는 가장 유력하지 않을까 싶네요 이 경우 지금 반등하는 파동을 B 파동으로 간주하고 9,300~9,500불 인근까지 도달한 뒤 다시 C 파동이 진행됨으로써 8,600불까지 열어 두셔야 합니다
방금 전 카운팅이랑 흡사하지만 저의 bullish 시나리오입니다. 조금 부자연스럽고 어거지인 부분이 있긴한데, 아예 가능성이 없지는 않습니다.
이 외에도 8,400불까지 상승한 파동을 1파동으로 보는 관점 등 수없이 많은 카운팅들이 있습니다.
혹시 이외에 다르게 생각하시는 카운팅이 있으시면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그리고 저의 분석에 대해서 댓글에 마음껏 비판해주세요!
저는 다른 생각을 가지고 계신 분들과 토론하는 걸 무척 좋아합니다.
[캘린더] 5월 9일 비트코인 세 차트 분석(흑삼병 캔들, 깨져버린 장기 추세선)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어제 부모님과 맛있는 식사나 전화하셨는지요.
코인하느라 평소보다 인간 관계 신경 못썼을 것입니다. 부모님과는 1일 1대화는 꼭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수익보다 중요한 것은 부모님입니다.
먼저 어제의 차트 분석 글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어제의 분석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일봉 캔들
어제 우려했던 흑삼병 캔들이 만들어졌습니다. 이는 상승 추세에 있어 하락 반전 및 지속을 의미하며 매도 시그널입니다.
이번 하락장에서는 앞서 흑삼병 캔들이 3번 나왔었습니다. 노란색 동그라미로 표시해드렸습니다.
각각 흑삼병 캔들이 나오고 나서 어떻게 움직였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세번째 동그라미는 다음 양봉이 나왔었지만 나머지 4개는 모두 다음날에 음봉이 나왔었습니다.
흑삼병은 페이크였고 다시 상승할 수야 있겠지만 어쨌든 하락 지속을 의미하는 것은 트레이더 모두가 알며 조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2. 장기 추세선
장기 추세선이 깨졌습니다. 4월 20일에 상승 돌파 이후 4월 21일부터 지금까지 지켜줬던 상승 추세선입니다.
그러나 어제 깨지게 되었습니다. 어제 매수 받은 분들 중에 짧게 손절 잡을 것이라면 일봉 종가가 장기 추세선에 뚫렸을때 손절하라고 말씀드렸고 손절해야 할 때입니다.
물론 손절 길게 잡으신분들은 아래에서 9100달러대의 지지선을 말씀드릴 예정입니다.
3. 피보나치 비율
손절을 길게 잡으신 분들은 분홍색 0.5비율의 9106달러의 지지를 기대할 수 있으며 앞선 21~1시, 1~5시의 4시간봉에선 지지를 받고 반등한 모습입니다.
BTC/JPY의 분홍색 0.5나 파란색 0.5 비율도 모두 지지받을 수 있는 위치이긴 하지요.
4. 피봇포인트
BTC/USD는 S1(9050달러)에서 반등이 나온 모습이며 내려가더라도 지지받을 수 있는 위치이고
BTC/JPY와 FXBTC/JPY에서도 S1에서 지지받은 모습입니다.
5. 패턴
역헤드앤숄더 패턴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각각 넥라인에서 추세 전환이 이루어졌습니다.
또한 파란색 역헤드앤숄더패턴의 넥라인에서 저항받은 뒤 흑삼병 캔들이 만들어진 것도 유사합니다.
플래그 패턴에 의해 하락하고 깃발은 아직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6. 일봉 보조지표
파라볼릭 SAR은 한번 매도시그널에서 페이크를 받은 뒤 쉽사리 매도 시그널을 발생시키진 않고 있습니다. 여전히 매수 시그널입니다.
Bearish Regular Divergence에 의한 하락이 시작되었지만
Bullish Hidden Divergence가 만들어졌습니다. 상승할지 지켜보게 됩니다.
지수이동평균선에서 21 EMA와 100 EMA가 골든크로스가 나오긴 했지만 거의 일심동체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역시나 지지받을 수 있는 위치이기도 하지요.
둘다 9100달러쯤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MACD는 데드크로스가 나오며 하락중에 있습니다.
7. 4시간봉 보조지표
볼린저밴드에 의해선 표준편차 2짜리의 하한선을 하방 돌파한 뒤 표준편차 1짜리의 하한선에 저항받는다면 매도해야 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노란색 동그라미로 친 곳이 매도 자리였고 한번 지나갔습니다. 그리고 어제도 올라갔지만 저항받는 모습이었습니다. 반등에 팔아야 할 자리였지요.
파라볼릭 SAR은 매도 시그널이 발생하고 유지 중에 있습니다.
그리고 다이버전스는 해석할만한 것은 보이지 않습니다.
4시간봉에선 BTC/USD와 BTC/JPY에서 21 EMA와 50 EMA의 데드크로스가 나왔습니다. FXBTC/JPY에서도 데드크로스가 나올 수 있습니다.
그리고 100 EMA의 지지를 기대하려는 자리이지요. 9178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MACD는 아직 골든크로스의 기미는 보이지 않으며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는 딱히 보이진 않습니다.
대응 방안
흑삼병 캔들 형태가 만들어지고 장기 상승 추세선이 깨졌으며 4시간봉 EMA의 데드크로스가 나왔습니다. 역헤드앤숄더 넥라인의 저항을 받은 뒤 만들어진 것이지요.
그러나 9100달러대는 지지선들이 있으며 히든 상승 다이버전스가 발생하였습니다.
조정인지 하락인지에 대해 판단에 있어서는 저는 하락에 조금 더 판단이 쏠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떨어질때 매수 후 반등했을때 물량을 줄이고 있습니다.
관점 중 하락을 나타내는 것도 상승을 나타내는 것도 있지만 하락의 판단 근거가 더 명확해보입니다.
분석에 대한 해석과 판단은 본인에게 달려있습니다. 저는 최대한 객관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본인이 보고싶은대로 보지 말고 모든 관점을 모두 고려해서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캘린더] 5월 8일 비트코인 세 차트 분석(비트코인아 키워줬음 효도해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오늘은 5월 8일 어버이날 입니다.
아마 저도 그렇고 여러분도 그렇고 코인 시장에 뛰어든 뒤로 부모님과 이야기 나눌 시간이 많지 않았을 것입니다.
오늘만큼은 코인에 신경 좀 덜 쓰고 부모님과 함께 맛있는 식사나 따뜻한 전화 한통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먼저 어제의 분석 글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어제의 분석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5월 8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은 역시나 음봉 캔들이 발생하였습니다.
5월 6일의 캔들이 하락 장악형과 집게 천장형 캔들이어서 하락 추세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지는 이번 캔들로는 확신할 수 없습니다.
오늘의 캔들이 음봉 캔들이 만들어진다면 '흑삼병'캔들이 만들어지며 하락 지속을 의미하는 캔들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2. 장기 추세선
역시나 이번에도 장기 추세선을 지켜주었습니다.
본인이 이번은 하락 추세로의 전환이 아닌 조정이었고 상승이라고 생각 한다면 좋은 매수 자리가 될것이며
손절은
짧게 잡는다면 일봉 종가가 장기 추세선에 뚫린다면 할 수 있으며 5월 9일 오전 9시 기준으로 9379달러가 뚫렸는지 판단할 것입니다.(움직이는 선이므로 오차범위는 약간 있을 수 있습니다.)
길게 잡는다면 100 EMA와 피보나치 분홍색 0.5 비율이 있는 곳이 뚫린다면 손절을 할 수 있습니다.
다시 한번 건강한 조정이었다고 생각을 한다면 공격적인 매수를 할 수 있는 자리 가 됩니다.
3. 피보나치 비율
BTC/USD, BTC/JPY, FXBTC/JPY 모두 분홍색 0.5 비율과 파란색 0.382 비율 사이에 있습니다.
각각 분홍색 0.5 비율은 지지받을 수 있고 파란색 0.382 비율은 저항받을 수 있는 자리입니다.
앞서 장기 추세선에서 써드린 것처럼 손절라인을 길게 잡는다면 분홍색 0.5 비율이 뚫린다면 더 하락할 것이라고 판단하고 손절할 수 있는 자리입니다.
4. 피봇포인트
피봇 포인트는 현재 자리에선 P가 저항자리, S1이 지지 자리가 됩니다. BTC/JPY와 FXBTC/JPY는 한번 P에 저항받은 모습이지요.
BTC/USD 기준으로 P는 9487달러, S1은 9040달러에 위치해있으니 피봇포인트를 사용하는 봇들은 저 자리에서 매수와 매도를 한다라고 정도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5. 패턴
역헤드앤숄더 패턴은 예상대로 넥라인에서 저항받고 하락하였습니다.
아직까지 완전 실패하였다고 생각할 수는 없으며 다시 상승하여 넥라인에 도달한다면 다시 분석 관점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지금 상황을 플래그 패턴으로 보는 트레이더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 일봉 보조지표
파라볼릭 SAR은 계속 매수 시그널이 발생하고 있으며
하락 다이버전스에 의한 하락은 이틀동안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추가로 하락할지는 확신할 수 없습니다.
지수이동평균선의 21 EMA와 100 EMA가 골든크로스가 나오며 매수세가 나올 수 있습니다.
그러나 MACD에서는 데드크로스가 나오며 매도세가 나올 수 있습니다.
매수세와 매도세가 어느 것이 더 셀지는 모르겠지만
지수이동평균선은 이미 골든크로스가 나와서 쉽게 데드크로스가 나오기 힘들고
MACD는 페이크아웃이었고 다시 골든크로스가 나올 수 잇는 점을 참고해야 합니다.
스토캐스틱 모멘텀의 매도 시그널은 사라졌습니다.
7. 4시간봉 보조지표
볼린저밴드는 우선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인 빨간선의 지지를 받고 상승하였으며
표준편차 1짜리의 하한선에 저항받았습니다. 이번 4시간봉이 다시 돌파해주냐에 따라 저항 지속 여부를 판가름할 것 같습니다.
파라볼릭 SAR은 매도 시그널이 유지 중에 있으며
역시나 다이버전스에 의한 하락이 있었고 추가 하락을 이어나갈지는 확신할 수 없습니다.
50 EMA까지 뚫린 이후에 앞선 4시간봉 2개에서 저항받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현재 상승에 대해서도 저항을 받고 있지요.
현재 50 EMA는 9430달러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번에 저항받는다면 실망으로 하락할 수 있고 돌파한다면 다음 21 EMA인 9508달러까지 도전하러 갈 수 있습니다.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의 매수시그널 이후 상승하였으며 지금은 닫혀있습니다.
8. 김프, 환율, SFD
김프 : 2.9%
환율 : USD 1077.9원, JPY 9.9원
SFD : 현재 8.1%입니다. 10%가 될때 다시 한번 하락이 나올 수 있습니다.
대응 방안
강력한 지지를 해주는 추세선인 장기 상승 추세선을 이번에도 지켜주었습니다. 종가 마감 세력이 상승 추세를 계속 이어나가고 싶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아침에 조금 더 상승할 것 같아 분석 글을 쓰기 전에 얼른 전날 분석 글의 코멘트로 매수 자리라고 말씀드리게 되었습니다.
상승추세에 대해 뚫리면 손절을 감안하는 매수 자리이며
손절을 조금 더 길게 잡는다면 아래에 100 EMA와 피보나치 비율, 일목구름 등 여러 지지받을 자리가 있기 때문에 뚫리면 하락할 것이라 판단하고 손절하는 매수 자리입니다.
아침에 코멘트 후 저도 매수를 하게 되었으며 알트코인 중 괜찮은 2가지를 일부 매수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4시간봉에서는 4시간봉 차트 50 EMA인 9430달러와 볼린저밴드 하한선인 9404달러를 뚫고 마감하는지 지켜봐야 합니다.
시간의 경과에 따른 추가 내용은 코멘트를 통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캘린더] 5월 7일 비트코인 세 차트 분석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어제 술자리가 있어 오늘 늦게 올 수 있다고 말씀드렸는데 평일 습관이 무섭네요.
더 자고 싶어도 여러분 생각에 잠이 오지 않아 얼른 씻고 사무실에 오게 되었습니다.
먼저 어제의 차트 분석 글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가격이 하락하는만큼 이번주가 중요할 수 있습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어제의 분석 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보셨던 분들이라도 꼭 코멘트까지 정독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5월 7일 오늘의 차트 분석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1. 주봉 차트
주봉 캔들은 스피닝탑스 캔들이 만들어졌습니다. 매수세와 매도세가 팽팽한 눈치를 보인 것이며 형태로는 큰 의미를 두기는 어렵습니다.
이동평균선을 보았을 때 50 MA의 지지를 받고 상승하였지만 21 MA의 저항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이는 BitFlyer에서 더 잘 지켜진 저항이므로 확인할 예정입니다.
다른 보조지표에선 큰 의미를 두기는 어렵습니다.
2. 일봉 캔들
일봉 캔들은 '집게 천장형'과 '하락 장악형'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집게 천장형은 상승 추세에서 두 개(혹은 그 이상이) 더이상 고점을 갱신하지 못하고 고가가 이전 캔들의 고가와 일치하는 것입니다. 이는 하락 반전형 캔들이기도 하지요.
하락 장악형은 상승 추세에서 전일 양봉의 몸통을 감싸 안는 형태이며 상승 추세를 하락으로 반전시킬 가능성이 높은 캔들입니다.
3. 장기 추세선
빨간 추세선은 장기 추세선으로 보시다시피 일봉에서 봐도 많이 지지받았던 곳입니다.
지지를 기대할 수 있는 자리이며 현재 9300달러 정도에 위치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매수할 수 있는 자리이며 오늘의 종가가 뚫린다면 손절을 감안해야 하는 매수 자리입니다.
4. 피보나치 비율
종가는 파란색 0.382 비율 위에 마감되었지만 현재 보시다시피 빠른 속도로 하락하고 있습니다.
일봉 캔들에서의 매도 시그널 때문인지, 어제 코멘트를 통해 말씀드린 FUD 뉴스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우선 파란색 0.382 비율은 세 차트 모두 뚫릴 것으로 보입니다.
피보나치 비율 관점에서 추가 하락을 한다면 지지를 기대할 수 있는 자리는 분홍색 0.5 비율은 9106달러 정도가 되겠습니다.
5. 지지선과 저항선
지금까지 의미있던 지지선과 저항선입니다. 각 자리 확인하시기 바라며 BitFlyer차트가 더 잘 지켜지는 편입니다.
6. 피봇 포인트
새로운 피봇포인트 자리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물론 다음 4시간봉부터이지만 각 자리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번 4시간봉에서 지지받을 수 있는 자리는 P인 9270달러대이며 다음 4시간봉부터는 코멘트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BTC/JPY와 FXBTC/JPY는 각각 다른 자리입니다. 이점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7. 패턴
며칠 전부터 계속 경고드려왔던 9700~9800달러대였습니다. 엘리어트 파동의 5파동이 10400달러까지 간다고 해도 이전에도 똑같이 실패했던 것을 확인했었고요.
역헤드앤숄더 넥라인, 전 고점, 피보나치 0.618, 하락 다이버전스의 4가지에 의해 하락할 수 있음을 말씀드렸으며
특히 역헤드앤숄더 넥라인은 강력한 저항선이었습니다.
앞선 두개의 넥라인에서 지지와 저항을 지키는 것을 보며 분명 쉽사리 만들어주지 않을 것이라 판단하였었고 이번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8. 일봉 보조지표
추세지표인 파라볼릭 SAR에서는 아직 매수 시그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리고 차트의 고점은 높아지지만 오실레이터의 고점은 낮아지는 하락 다이버전스는 유효했습니니다.
21 EMA와 100 EMA는 골든크로스가 나오기 직전이긴 합니다. 현재는 2달러 차이이지요. 골든크로스가 나올때 매수세가 붙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차트가 하락하더라도 현재 두 EMA가 모여있는 9090달러대에선 지지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MACD는 데드크로스가 나오기 직전입니다. 매수세가 셀지 매도세가 셀지는 확신할 수 없습니다.
9. 4시간봉 보조지표
볼린저밴드의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을 하락 돌파하였습니다. 물론 밴드에 의해 다시 튕겨나올 수 있으며 하한선은 현재 9416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추세 자체가 꺾이기 시작하면 하락 추세를 고려해야 합니다.
차트에 그려드린대로 표준편차 1짜리의 하한선에 저항받는다면 일찍이 매도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4시간봉의 파라볼릭 SAR에서는 매도 시그널이 발생했으며 다이버전스는 어제 말씀드렸던 것 처럼 일봉과 마찬가지로 유효하다고 말씀드렸습니다.
현재 4시간봉이 진행중이며 종가가 50 EMA를 지켜줄지가 관건이 됩니다. 현재는 9446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MACD는 진작에 데드크로스가 나왔으며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는 매수 시그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10. 김프, 환율, SFD
김프: 3.5%, 김프가 평소보다 올라가있습니다. 해외가 더 빠르게 떨어져서 속도를 못 쫓아갔을 확률이 크지요. 특히 오늘은 우리나라 휴일이니까요.
환율: USD 1077원, JPY 9.9원
SFD: 8%대입니다. 6~7천달러대에선 3%였던 것을 비교하면 너무 가격 차이가 많이 나고 있습니다. 어느정도 완화가 되어야될 듯 싶습니다.
REVIEW
누구나 조정받을 자리는 확인하고 있었을 것입니다. 역헤드앤숄더 자체도 트레이더들이 모두 확인하고 있던 패턴이지요.
시간이 조금 걸리며 9900달러대까지 올라갔었지만 상승에 있어 조정은 필요한 것이었습니다.
PREVIEW
문제는 이게 하락 추세로의 전환일 수 있는 것입니다. 물론 지지받을 부분은 많긴 합니다.
장기 추세선의 9300달러, 피보나치 비율 9106달러, 일봉 EMA의 9090달러대는 모두 강력한 지지선입니다. 단타로 수익내기에도 괜찮은 자리이지요. 물론 본인이 기대한 자리가 뚫리면 짧은 손절을 감안해야 합니다.
아직 익절 및 손절하지 않으셨다면 일봉 종가가 장기 추세선에 뚫렸는지 내일 아침 9시에 판단하고 매도하셔도 늦지 않을 것입니다.
또한 오늘 FUD 뉴스가 나올 수 있으니 어제 코멘트를 통해 현금 관망하고 있으라고 말씀드렸으며 패닉셀이 나올때 지지자리에서 짧은 단타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차트로도 우선 건강한 조정일 수 있지만 이게 조정일지 하락 전환일지 아직은 확신할 수 없으며 시간이 지나며 확신을 가져가야 합니다.
[캘린더] 5월 6일 비트코인 세 차트 분석(다시 나온 SFD의 악용, 넥라인의 강한 저항)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금요일에 파티를 다녀오며 늦게까지 있는 바람에 어제는 분석 글을 올려드리지 못했었습니다.
어제는 큰 신호가 아니었지만 오늘은 조금 중요한 내용이 있을 것 같습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이틀 전의 분석 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오늘 분석 글은 조금 길 수 있으니 천천히 봐주시기 바랍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서는 유성형과 비슷한 형태가 만들어졌습니다. 물론 꼬리가 몸통보다 길지도 않고 양봉이기 때문에 큰 의미를 두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 봐야 할 것은 FXBTC/JPY의 캔들 형태입니다. 다른 두 차트와는 달리 아래꼬리가 길게 달렸습니다. 이는 아래의 'SFD' 관점에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 장기 추세선
아직 거리가 있습니다. 오늘 크게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3. 피보나치 비율
BTC/USD에서는 앞선 4시간봉에서 하락하였더라도 분홍색 0.618 비율인 9739달러에서 한번 지지를 받고 반등하였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눌리는 상태에 있습니다.
FXBTC/JPY에서는 매도세가 나온 후 하락하려 하지만 분홍색 0.618비율에서 현재는 지켜주고 있습니다.
4. 피봇 포인트
\
BTC/USD에서 S1에서 출발 후 세번째 목표가인 R2까지 도달하였습니다. 현재는 저항 중이며 상승 돌파한다면 다음 목표가는 R3인 10400불대가 됩니다.
하락한다면 R1은 9700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5. 패턴
앞서 며칠전부터 말씀드렸던 역헤드앤숄더 패턴입니다. 하락에 있어 상승 전환으로의 패턴이지만 넥라인까지의 돌파가 패턴의 완성입니다.
그리고 현재 넥라인 부근에서 저항받고 있습니다.
이는 지금 1시간봉으로 보아도 저항이 거센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18년 만들어진 큰 형태의 헤드앤숄더 패턴 3개입니다.
먼저 파란색 역헤드앤숄더 패턴이 만들어졌었지만 넥라인의 저항을 받고 하락하였었습니다.
하락을 하며 보라색 헤드앤숄더 패턴이 만들어졌지만 역시나 넥라인에서 지지를 받고 상승하였습니다.
앞선 두개는 모두 넥라인에서의 저항과 지지로 인해 패턴이 무효화되었습니다.
그리고 현재 초록색이 만들어졌지요. 돌파한다면 보통 머리 크기만큼 상승한다는 패턴이기 때문에 그만큼 저항이 거센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분명 작지 않기 때문에 무시할 수 없으며 넥라인 돌파까지는 매수에 대해 조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6. SFD의 악용
BitFlyer는 현재 일본, 미국, 유럽에 진출하였으며 코인힐스 기준으로 비트코인 거래량이 32%로 1등인 거래소이기 때문에 제가 지금까지 분석을 해왔습니다.
그리고 SFD로 인해 BTC/JPY와 FXBTC/JPY 가격이 5%, 10%, 15%, 20%가 되면 하락할 수 있다고 지겹도록 말씀드려왔습니다.
왜냐하면 이를 악용하며 수익을 극대화하는 세력 때문에 가격이 급변하기 때문입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당시에 제가 써놓은 글이 있으니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위 차트는 FXBTC/JPY의 5분봉입니다. 5시 15분부터 급락을 하였습니다. 마진거래 차트이기 때문에 롱 포지션의 뚝배기가 많이 깨졌을 것입니다.
위 차트는 BTC/JPY입니다. 새벽부터 작업 시작하면서 두 가격 차이를 10%로 만들었을 때 수익 극대화를 시켰을 것입니다.
가격 차이의 5%는 0.25%를 10%는 0.5%를 부과하기 때문입니다.
2월 21일부터 악용했던 사례입니다. 이때는 20%가 넘었을 때 물량을 내던지게 되었으며 이는 다른 거래소에도 영향을 주었지요.
물론 그때보다 패널티에 대한 수익율도 다르며 그때는 20%였고 지금은 10%입니다. 그러나 이를 계속 악용하게 된다면 분명 이전처럼 가격의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7. 일봉 보조지표
파라볼릭 SAR은 매수 시그널을 나타내고 있으며
다이버전스는 유지된채로 상승 중에 있습니다.
지수이동평균선은 오늘 중으로 21 EMA와 100 EMA가 골든크로스가 나올 예정입니다.
골든크로스가 나오며 매수세가 나올 수 있습니다.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는 매도시그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8. 4시간봉 보조지표
추세지표인 볼린저밴드로 보았을 때 상승 추세를 타고 있으며 매도세가 나와도 표준편차 1짜리의 상한선의 지지를 받으며 상승 중에 있습니다.
파라볼릭 SAR은 매수 시그널을 유지 중에 있으며 다이버전스는 일봉 차트와 같이 하락 다이버전스가 유지 중이지만 무시하고 상승하고 있습니다.
하락하더라도 21 EMA인 9656달러쯤에선 지지받을 수 있습니다.
9. 김프, 환율, SFD
김프 : 2.4%
환율 : USD - 1077원, JPY : 9.9원
SFD : 8.4%
대응 방안
상승 추세로의 전환 패턴인 역헤드앤숄더 패턴의 넥라인 저항이 만만치 않습니다. 특히 앞선 큰 형태의 2개의 헤드앤숄더 패턴이 모두 무효화되었다는 점도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SFD가 돌파에 방해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두 가격 차이가 8.4%로 완화되었지만 언제 또 장난질을 칠지 모릅니다.
결국 11000달러까지 가기 위해선 현재의 넥라인 돌파가 가장 중요합니다.
넥라인의 확실한 돌파까지는 매수에 대해 조심할 필요가 있으며 매도는 캔들 형태 등의 매도 시그널을 보고 그때 익절을 하셔도 늦지 않을 것입니다.
드디어 올라간다!어제 밤에 제가 미국 서버에서 언급드린 첫 타겟인 8,750불 인근을 달성했습니다. Symmetrical Triangle 패턴으로 삼각 수렴을 하다가 상단을 돌파하고 상승을 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현재 차트는 저의 bullish 관점의 파동 카운팅입니다. 저의 다른 파동 카운팅은 현재 차트에서 노랑 1,2 소파동을 b,c 조정 파동으로 간주하고 그 이후 상승 파동을 1 소파동으로 간주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제가 타겟을 더 높이 설정해야겠죠. 현재 저의 두번째 타겟은 10,200~10,400불이고 저의 세번째 타겟은 11,000~11,500불입니다.
현재 4시간 봉 차트의 보조지표에서 다이버전스 시그널이 나오고 있습니다. 약간의 조정 후 다시 상승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캘린더] 5월 4일 비트코인 세 차트 분석(만들어지는 역헤드앤숄더)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요즘 언론에서는 조용하지만 암호화폐 시장은 활성화되고 있어 좋습니다.
사실 과열되지만 않으면 우리끼리 조용히 돈 벌 수 있다는 생각을 요즘하고 있습니다.
어쨋든 5월 4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은 장대 양봉 캔들이 나왔습니다. 삼각 수렴에서 상방으로 이탈하며 매수세가 붙으며 나왔고 캔들에서는 큰 의미를 변화를 두기는 어렵습니다.
2. 장기 추세선
빨간색 장기 추세선에서는 강력한 지지를 받았었고 계속 상승한다면 보라색 장기 추세선까지 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거리는 많이 있으며 당장의 가격대도 11800달러 정도입니다. 당장에 걱정할 자리는 아니며 저 부근에 갔을때 인식해야 하는 선입니다.
BitFlyer 거래소의 FXBTC/JPY 차트에서도 보라색 추세선에 대해 많은 지지와 저항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BTC/USD보다 거리는 가까운 편입니다. 역시나 당장에 걱정할 자리는 아닙니다. 미리 말씀만 드려놓고 부근에 다가가면 다시 한번 말씀드리겠습니다.
3. 피보나치 비율
BTC/USD에서는 분홍색 0.618 비율까지 도달하였습니다. 단기적 관점에서 목표가가 될 수 있는 자리였으며 현재 약간의 매도세가 나오고 있습니다.
BTC/JPY에서도 분홍색 0.618 비율까지 도달했으며 종가는 위에 마감되었지만 목표가였기 때문에 매도세가 현재는 나오고 있습니다. 둘다 하락하더라도 파란색 0.382 비율인 9577달러에선 지지받을 수 있습니다.
FXBTC/JPY에서는 올라간다면 파란색 0.382 비율이 저항이 되며 하락하더라도 분홍색 0.5에선 지지받을 수 있습니다.
4. 지지선&저항선
각각의 다음 저항 자리에 도달하였습니다. 사실상 뚫고 올라가면 11000달러정도 까지는 무난히 올라갈 수 있는 자리이며 하락한다면 각각은 지지를 기대하고 매수받을 수 있는 자리입니다.
5. 패턴
어제 말씀드렸던 삼각수렴에 대해 상승 돌파를 하며 매수세가 나왔습니다.
그리고 며칠전 말씀드렸던 9700~9800달러대에 도달하였습니다.
과거에서 역헤드앤숄더의 넥라인 저항에 의한 더블탑 패턴이 만들어지고 목표가인 6800달러대까지 도달하였었습니다.
당시에도 엘리어트 5파동이 이어질 것이라고 했었지요.
이번에도 역히드앤숄더패턴이 만들어졌으며 넥라인만 돌파하면 패턴의 완성으로 상승을 이어나갈 수 있습니다.
다만, 넥라인의 저항을 조심해야 하며 이는 직전 고점인 9767달러와 피보나치 비율, 그리고 만들어진 하락 다이버전스가 있습니다.
아직 매도해야 할 것은 아니지만 인식해야 할 자리이며 매도 시그널이 많이 나오게 되면 빤쓰런하셔야 합니다.
6. 일봉 보조지표
파라볼릭 SAR은 다시 매수 시그널이 발생하였습니다. 단순한 페이크였고 상승 추세를 이어나가게 되는 것이지요.
그러나 고점은 높아지지만 오실레이터의 저점은 낮아지는 하락 다이버전스를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큰 차이는 아닙니다.
21 EMA는 계속 상승하고 있으며 100 EMA와 골든크로스가 나올때 매수세가 나올 수 있습니다.
MACD는 데드크로스가 발생할 뻔 했지만 다시 정배열을 하였습니다. 이 부분은 제가 다른 관점과 비교했을때 아쉬웠던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7. 4시간봉 보조지표
파라볼릭 SAR도 매수세가 나오며 매수시그널이 발생하였습니다.
그리고 패턴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다이버전스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4시간봉에서 21 EMA에서의 계속 지지받고 상승하였습니다. 각각 매수할 수 있는 자리였지요.
MACD는 정배열이며 간격이 벌어지고 있고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는 매도 시그널이 유지 중에 있습니다.
목표가였던 R1에 도달하였으며 상승한다면 다음 목표가는 R2이고 하락한다면 P에서 지지받을 수 있습니다.
8. 김프, 환율, SFD
김프: 2.2%대
환율: USD 1076.4원, JPY: 9.86원
SFD: 6.1% 차이 정도입니다.
대응 방안
삼각 수렴에서 상방 돌파하며 올라갔지만 말씀드렸던 9700~9800달러대는 여러 관점에서 저항받을 수 있는 자리입니다. 그리고 강한 매수세가 버티고는 있습니다.
풀매수한 것이 아니라면 조정받을 때 지지받을만한 자리에서 추매를 할 수 있으며 역헤드앤숄더 넥라인을 돌파한 뒤에 조정받으면서 넥라인에서의 또다시 매수할 자리가 나오기도 합니다.
주의할 자리이지 크게 걱정할 자리는 아니며 추후 움직임을 지켜볼 예정입니다.
다시 한번 공격적인 트레이딩을 하시는 분들은 조정받을 때 각각 지지받을 자리에서 매수할 수 있으며 자리가 나올때 코멘트해드릴 예정입니다. (저녁에 밋업이 있어 저녁엔 조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역헤드앤숄더의 넥라인 돌파할 때나 돌파한 뒤 조정에서 넥라인의 지지를 기대하고 매수할 수도 있습니다.
보수적인 트레이딩을 하는 분들은 아래서 매수받을 자리에서 매수받은 것은 그대로 가져가시면 됩니다.
9700~9800달러대만 돌파되면 11500달러부근까진 무난히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비트코인 발사 직전?제가 몇 일간 언급 드렸던 9200불을 오늘 새벽에 돌파했습니다. 고로 전 저의 파동 카운팅을 재정비를 할 예정입니다. 현재 일주일이 넘는 기간 동안 symmetrical triangle 패턴을 형성하며 삼각 수렴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 패턴의 상방 부분 (하락 추세선)에 저항을 받고 있는 모습입니다. 저는 현재 상방 부분을 뚫고 올라올 수 있을지 주시하는 중입니다. 캔들이 저 추세선 위에서 닫히게 될 경우 저는 진입을 할 예정입니다. 만약에 저항을 받고 꺾이게 되면 다시 한번 패턴의 하단 부분을 테스트하러 갈 확률이 높습니다. 그렇게 되면 abcde 조정이 되겠죠.
[캘린더] 5월 3일 비트코인 세 차트 분석(일봉 캔들의 티키타카)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먼저 어제의 분석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어제의 분석 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5월 3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은 양봉 캔들이 만들어졌습니다.
전일의 음봉 시가까지 장악하지는 못했지만 어쨌든 양봉이 나오며 흑삼병 캔들이 만들어지지는 않았습니다.
아직까지 박스권 안에서 움직이며 캔들을 만들어가고 있는데 일봉캔들이 이렇게 양봉과 음봉을 주고받는 것이 일봉 차트에서 많이 있지 않았었습니다.
양봉 음봉 주고받으며 티키타카하는 것이 거의 서수남 하청일 듀오 급이네요.
보통 이러한 움직임은 LBank와 같은 자전거래(cross tading)하는 거래소의 1분봉에서 나타나는데 워낙 신기한 움직임이 많습니다. 아무래도 봇의 움직임이 많아서 그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추세선
아직까지 BTC/USD에선 장기 상승 추세선의 강한 지지를 지키는 편입니다. 앞서 말씀드려왔던 것처럼 추세선의 지지를 기대하고 매수 받을 수 있는 자리입니다.
BTC/JPY에서는 장기 하락 추세선을 벗어나려는 움직임입니다.
하락한다면 지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피보나치 비율
BTC/USD에서는 파란색 0.5 비율의 지지를 받은 뒤 다시 분홍색 0.5비율 위로 상승 돌파 뒤에 지지를 받고 상승하였습니다. 하락하더라도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자리입니다.
BTC/JPY도 분홍색 0.5 비율의 지지를 받고 상승중에 있습니다.
FXBTC/JPY에서는 파란색 0.5 비율을 상승 돌파하였습니다. 올라간다면 분홍색 0.5비율의 저항을 내려간다면 파란색 0.5 비율의 지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4. 지지&저항선
BTC/USD에서는 9280.4달러가 2월말부터 중요한 자리였습니다. 아직도 의미를 두는 자리이기도 하며 매물대도 모여있는 자리입니다.
BTC/JPY는 #4의 지지를 받은 뒤 올라가고 있습니다. 올라간다면 #5의 저항이 나올 수 있습니다.
FXBTC/JPY도 #4의 지지를 받고 상승 중에 있습니다.
5. 피봇 포인트
이번주부터 분석 관점으로 소개해드릴 피봇포인트입니다. 어제 분석글엔 없었지만 분석 영상에서는 소개해드렸었지요.
여러 피봇포인트 중에 저는 피보나치 피봇 포인트로 분석할 예정입니다. 상승과 하락에 대한 것은 없고 지지선과 저항선이 있을 뿐입니다.
어제 S1에서 지지를 받고 목표가인 P까지 도달하였습니다. BTC/USD와 BTC/JPY는 4시간봉의 종가에서 저항을 받았고 FXBTC/JPY에선 위로 상승 돌파하였으므로 지켜보게 됩니다.
상승 돌파한다면 다음 R1의 목표가는 9700달러쯤이며 다시 하락한다면 S1의 목표가는 8850달러 정도입니다.
6. 패턴
현재 4시간봉 차트 기준으로 4월 25일부터 삼각수렴중에 있습니다. 어느 방향으로 이탈할지는 지켜보게 됩니다.
7. 일봉 보조지표
파라볼릭 SAR은 매도 시그널을 유지중에 있습니다.
어제도 100 EMA의 지지를 받고 상승하였습니다. 하락하더라도 지지받을 수 있으며 현재 위치는 9034달러입니다.
MACD는 수렴하며 데드크로스가 나올 수 있습니다.
8. 4시간봉 보조지표
파라볼릭 SAR은 계속 매도 시그널을 유지 중에 있습니다.
다이버전스를 확신하기엔 큰 차이는 아니라 확신하기 어렵습니다.
상승하며 다시 21 EMA와 50 EMA 위로 올라왔습니다. 하락하더라도 지지받을 수 있으며 내려오더라도 각각 9149달러와 9089달러에 있습니다.
MACD의 골든 크로스가 나오며 매수세가 나오며 상승하였습니다.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는 매도시그널을 나타내고 있으며
ADX는 차트가 상승하면서 하락하고 있습니다.
대응 방안
여러 관점에서 매수 시그널과 매도 시그널이 혼재되고 하락 추세가 만들어져도 지지선은 강력하며 매수세가 강합니다.
일주일 넘게 수렴하며 방향 갈피를 쉽사리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결국 여러 관점이 혼재되어도 본인이 중요시하고 성공률과 수익률이 높은 관점이 있어야 합니다.
상승과 하락에 대해서 추세지표, 오실레이터, 모멘텀 지표를 본인 투자 방식에 맞게 중요도를 나누시면 됩니다.
사실 당장의 수익보다 공부를 하고 경험을 쌓아가는 것이 좋습니다.
차트를 분석하는 기술적 분석에만 집중하지 마시고 코인에 대해 분석하는 기본적 분석에 대해서도 열심히 공부해보시기 바랍니다.
요즘 해외에서 너무 좋은 코인들이 ICO하고 있어 그것에 대해서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어쨋든 돈 버는 방식은 다양화할 필요가 있지요.
어쨋든 오늘도 4시간마다 코멘트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캘린더] 5월 2일 비트코인 세 차트 분석(꺾이는 추세)안녕하세요. 캘린더입니다.
요즘 많이 피곤하단 느낌이 드네요.
자는 시간 이외엔 계속 차트 쳐다보고 있으면 진짜 꿈에서도 차트가 나옵니다. 가끔 비트코인 가격이 스타크래프트 미네랄마냥 엄청 올라가는 꿈도 꿉니다 ㅋㅋ
여러분은 여기쪽 직업이 아니면 그냥 알람 켜놓고 자리오면 매수하세요. 트레이딩뷰 얼러트 시스템도 좋습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어제의 분석 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꼭 빠르게라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왜 새벽에 매수세가 나왔는지는 아래의 보조지표와 지지선 관점에서 말씀드리겠습니다.
1. 일봉 캔들
일봉캔들은 아래에 꼬리가 달린 음봉 캔들이 만들어졌습니다.
사실 캔들로 보면 상승 추세냐 하락추세냐 보기는 어려워서 교수형 캔들로 보기도 어렵고 해석하기는 참 어려운 캔들 형태입니다.
다른 관점을 중점으로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오늘도 음봉 캔들이 나온다면 흑삼병 캔들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2. 장기 추세선
BTC/USD에선 일봉의 종가를 다시 장기 상승 추세선 위까지 올린 모습입니다. 그만큼 강력한 상승 추세선이며 세력들과 트레이더들이 지키려는 추세선입니다.
BTC/JPY에서도 장기 하락 추세선의 위까지 다시 끌어올린 모습입니다. 마찬가지로 힘들게 하락 추세선을 벗어난만큼 계속 지키려는 모습입니다.
3. 피보나치 비율
새벽에 매수세가 나온 이유 중에 하나는 피보나치 파란색 0.5 비율이 강한 지지선이기 때문입니다.
21~1시봉이 지켜줬으며 왼쪽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이전엔 저항받았던 저항선이며 매물대가 있습니다. 8894달러는 지지받을 수 있기 때문에 반등이 나왔습니다.
반대로 분홍색 0.5비율은 저항선이 되었으며 일봉 종가 마감하는 시점에서는 저항받게 되었습니다.
현시점에서는 BTC/USD에선 파란색 0.5 비율인 8894달러가 지지선 분홍색 0.5 비율인 9106달러가 저항선이 되었습니다.
BTC/JPY에서도 분홍색 0.5 비율이 지켜주었으며 아직까지 강력한 지지선입니다.
반대로 FXBTC/JPY에선 파란색 0.5 비율이 저항선이었으며 일봉의 종가는 올린 상태입니다.
지지를 기대하기 위해 올렸으며 오늘 지지받을지 확인하게 됩니다.
4. 시간봉 지지선과 저항선
BTC/USD보단 BTC/JPY와 FXBTC/JPY에서 지지선과 저항선이 더 명확한 편이라고 말씀드려왔습니다.
BTC/JPY에서는 #5 저항이 얼마나 강력한지 4시간봉 차트인데도 계속 돌파하지 못한채 다시 #4까지 내려온 모습입니다. 물론 지지받게 되었습니다.
FXBTC/JPY에서는 하락했어도 #4 저항의 지지받은 모습입니다. 오늘 하락하더라도 지지받을지 지켜보게 됩니다.
5. 패턴
여러분이 아시다시피 저는 원래 엘리어트 파동과 패턴은 분석 관점에 어지간하면 포함하지 않는 트레이더입니다.
엘리어트 파동과 패턴은 한 방향으로 관점이 쏠리기 때문이며 저는 객관적인 관점에서 양 방향을 보기 위함이었습니다.
그래도 큼지막한 것에서는 꾸준히 보여드릴 예정이며 오늘도 시간 날때 우리팀 트레이더 '류'한테 또 하나 배우려 합니다. 저도 성장하는 트레이더가 되어야 하니까요 ㅎㅎ
여튼 고려하던 평행채널도 하방 이탈하였고 역헤드앤숄더나 더블탑패턴도 당장에는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패턴이 되었습니다.
6. 일봉 보조지표
추세지표인 파라볼릭 SAR은 그대로 매도 시그널입니다. 추세가 상승 추세에서 하락 추세로 꺾였음을 의미합니다.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는 4월 25일부터 계속 하락할 수 있음을 말씀드려왔습니다.
일봉은 분홍색 선인 100 EMA를 지켜주었으며 현재에도 지지를 시험중에 있습니다. 현재 위치는 9026달러입니다.
추가 하락을 이어나간다면 21 EMA와 50 EMA의 지지를 시험하러 갈 것이며 현재는 각각 8729달러와 8618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MACD는 곧 데드크로스가 발생 가능합니다.
7. 4시간봉 보조지표
볼린저밴드도 추세지표이며 현재 하락 추세가 진행중에 있습니다. 새벽에 상승한 이유에서도 하한선에서 지지가 나왔기 때문입니다.
현재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 위로 올라갔으며 지지를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4시간봉에서도 어제와 마찬가지로 파라볼릭 SAR에서 매도 시그널이 유지중입니다.
바로 앞 4시간봉에서 50 EMA는 9067달러였으며 종가는 9068달러였습니다. 간신히 올렸습니다. 그러나 추세는 쉽게 변화될 수 없을 것입니다.
MACD는 데드크로스가 나온 후 역배열을 유지중에 있습니다.
(참고로 포렉스에서는 RSI, 스토캐스틱, 파라볼릭 SAR, MACD 등 각각 하나의 지표로만 기계적 매매를 하였을 때 MACD가 수익이 제일 많았다고 합니다. 후행지표이지만 데드크로스가 나올때 팔고 골든크로스가 나올때 사면 이득이라는 것이지요. 시험도 끝났고 제가 곧 각각의 보조지표에 대한 수익율을 계산해볼 예정입니다.)
새벽에 상승하게 된 또 다른 이유는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에서 매수시그널이 나타났기 때문이었습니다.
ADX를 보았을 때 하락에 있어 ADX가 상승하는 것은 하락 추세가 현재의 추세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대응 방안
어제 하락추세로 바뀌었으며 반등에 있어 9000달러대에서 익절 및 손절하시라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때 놓쳤더라도 오늘 아침에 기회가 있었으니 매도하셨더라면 수익을 보거나 손해를 줄일 수 있었겠지요.
제가 상승장이라고도 하락장이라고도 확신하지 않는 이유는 차트는 제가 만들 수 없다면 양방향을 모두 보아야만 객관적인 입장에서 냉정하게 판단하고 매매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에게도 최대한 객관적인 입장으로 말씀드리는 이유도 있고요.
상승장, 하락장과 상승 추세, 하락 추세는 다른 의미의 단어입니다. 혼동하지 않으시기 바랍니다.
물론 상승하며 많은 지지선들이 생겼습니다. 하락하며 지지선에서 얼마나 버텨주는지 추세가 어디서 바뀌는지 확인하게 될 것입니다.
각각의 관점에서 지지선을 확인하며 단타하셔도 됩니다.
비트코인 조정 파동 구조 어제 밤에 해외 서버에 게시글을 올렸는데 그 이후로 별로 변한게 없습니다.
현재 아직 c 파동이 진행중인것으로 판단됩니다.
저의 첫번째 타겟인 8850불은 이미 도달하였고, 두째번 타겟은 8400~8500불 인근, 세번째 타겟은 8,000~8,200불 인근이 되겠습니다.
9,200불을 돌파하면 본 카동 카운팅은 무효해짐으로, 단기적인 관점에서 우선 9,200불을 넘어야 조정이 끝났을 여지가 조금이나마 생깁니다. 그 다음은 9,500불을 돌파해야 조정이 백프로 끝났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만약 9,200불을 돌파를 하게되면 truncated C 파동이 되겠죠.
[캘린더] 5월 1일 비트코인 세 차트 분석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오늘은 대응 방안에 약간의 '캘린더의 회초리'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예정입니다. 꼭 대응방안까지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먼저 어제의 차트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어제의 차트 분석 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5월 1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월봉 캔들
4월봉이 마무리되었습니다. 4월봉은 양봉 캔들이 만들어졌으며 3월의 음봉에 대해선 중간값은 돌파했지만 완전 장악하진 못한 모습입니다.
그리고 7 MA에 대해 2016년부터 꾸준히 지지받으며 올라왔는데 이에 대해 뚫린 후 저항받았으며 아직도 저항을 받고 있습니다.
현재는 9921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전에 토요일에 오르고 일요일에 내리는 이유에 대해 주봉 종가와 관련 있을 수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만약 5월 종가를 양봉 종가로 만드려는 세력이었다면 이에 대해 종가를 올리는데 힘을 썼다면 수익 실현을 통해 하락을 할 수 있습니다.
2. 일봉 캔들
일봉캔들은 우선 전일의 양봉을 장악하는 하락장악형 캔들이 만들어졌습니다.
하락이 나타날 수 있는 캔들이며 요즘 캔들 시그널보다는 다른 관점을 더 집중적으로 참고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3. 장기 추세선
현재 아침의 하락에 대해 장기 하락 추세선의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지지를 기대하고 매수할 수 있으며 물론 4시간봉이 마감된 1시에 결정하는 것이 좋으며 종가가 뚫려있다면 매수받기엔 껄끄러울 것입니다. 위에 마감되었다면 아래에 손절을 잡을 수 있습니다.
BitFlyer의 BTC/JPY에서도 아침의 하락에 대해 장기 하락 추세선의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지금 매수받는 것보단 1시에 종가 마감을 확인하고 매수받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4. 피보나치 비율
BTC/USD에서는 종가는 분홍색 0.5 위에 마감되었고 아침의 하락에서는 우선은 뚫린 모습입니다. 진짜 뚫리는지는 4시간봉 마감인 1시까지는 지켜보아야 합니다. 다음 지지받을 수 있는 자리는 파란색 0.5 비율인 8894달러입니다.
BTC/JPY에서는 아직은 분홍색 0.5에 도달하진 못합모습입니다. 지지를 기대할 수 있는 위치이며 종가가 뚫린다면 껄끄러운 자리입니다.
FXBTC/JPY도 종가가 파란색 0.5가 뚫리는지 확인하게 됩니다.
5. 지지&저항선
각각의 지지&저항선입니다. BTC/USD보다는 BTC/JPY와 FXBTC/JPY의 자리를 잘 확인해두라고 말씀드렸습니다.
6. 패턴
평행 채널에 대해선 하방으로 이탈 후 힘없이 있다가 하락하는 중입니다.
우선 9700~9800달러까지 단번에 상승하진 못하였습니다. 패턴은 완성하지 않았으며 추가 하락을 하게 될지 상승을 할지 지켜보게 됩니다.
7. 일봉 보조지표
추세 지표인 파라볼릭 SAR에서 매도 시그널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다시 상승하면 매수 시그널로 바뀔 수 있지만 우선 당장은 매도 시그널이니 조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도 계속 머릿 속에 두셔야 합니다.
100 EMA가 먼저 지켜줄 수 있으며 현재 위치는 9025달러입니다. 종가가 아래에 마감한 뒤 추가 하락을 이어나간다면 21 EMA와 50 EMA가 각각 8693과 8598달러에 있습니다.
후행지표인 MACD는 데드크로스가 나오려고 하는 모습입니다.
8. 4시간봉 보조지표
4시간봉의 볼린저밴드에서 하한선이 뚫렸습니다. 잠시의 일시적 반등이 나올 수는 있겠으나 밴드는 벌어지며 추가 하락을 이어나갈 수 있습니다.
저때와 비슷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셔야 합니다.
파라볼릭 SAR은 4시간봉에서도 매도 시그널이 나타났으며 다른 보조지표도 추락 중에 있습니다.
지수이동평균선은 종가까지는 확인해야겠지만 21 EMA와 50 EMA는 뚫렸으며 추가 하락을 이어나간다면 100 EMA인 8756달러에서 지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MACD는 데드크로스가 나온 뒤 추가 하락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9.김프, 환율, SFD
김프는 3%대입니다. 그만큼 하락에 대해 빠져나오지 못했으며 오늘은 근로자의 날이라 빠져나오지 못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환율은 USD 1070.5원, JPY 9.79원입니다.
두 차트의 가격 차이는 5.1%입니다. 항상 5%, 10%에서는 하락이 나올 수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대응 방안
이전에 주봉 종가 마감 세력에 대해 말씀드린 것처럼 월봉을 양봉으로 종가 마감에 힘쓴 세력들의 수익실현에 의한 하락이 나올 수 있습니다. 관련 내용은 아래에 연관 아이디어 링크에 있습니다.
추가 하락을 이어나갈지 지지를 받고 상승할지는 저는 확신할 수가 없습니다. 항상 종가 마감에서 세력의 마음을 읽으려 하며 보조지표를 통해 생각을 하지요.
오를지 떨어질지는 제가 관여를 하는 것이 아닙니다. 99%를 들고 있는 고래들이 결정하는 것이며 저는 그들때문에 손해를 보는 것이 아닌 고래님들 덕분에 수익을 보는 것이 제 목적입니다.
각 관점에 대해 잘 확인하셨으면 합니다. 저는 수익 실현 후 다시 올 현금화 상태이며 다시 확신이 드는 자리에서 매수받을 예정입니다.
그리고 드리고 싶은 말은 주체적인 사람 이 되십시오. 유료방의 픽에 익숙해져있는 사람들이 있으신데 그러면 절대 이 코인 시장에서 오랫동안 살아남을 수 없습니다.
처음에나 아버지께서 자전거를 잡아주시는 것이지 언제까지나 잡아주실 수 없습니다. 우리는 스스로 자전거를 탈줄 아는 사람이 되어야지요.
제가 계속 배우라고 하는 이유도 여러분이 나중에는 제가 없거나 유료방이 없을 때에도 여러분이 스스로 분석하고 투자할 수 있는 사람이 되었으면 하기 때문입니다.
유료방에서도 배울 것은 없고 수익만 내고 있다면 배울 수 있는 곳에 들어가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여러분은 마마보이가 아닙니다.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저 말고도 많은 트레이더분들의 분석 글을 보며 많이 배우시기 바랍니다. 지금은 수익을 내는 것보다 하나라도 더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4시간봉 종가 마감마다 코멘트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성급한 매매하지 않으시기 바라며 종가 마감에 따라 손절을 준비해야 할 수 있습니다.
[캘린더] 4월 30일 비트코인 세 차트 분석(주봉의 시작)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오늘부터 다시 차트 분석에 집중하려고 합니다 ㅎㅎ
코멘트가 조금 잦을 수도 있고 오늘 재밌는 분석 글을 올려드릴 예정입니다.
먼저 어제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어제의 분석 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면 4월 30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주봉 차트
주봉캔들로는 적삼병 캔들이 만들어진 뒤 저번주도 추가 상승을 이어나갔습니다.
저점은 5400달러, 6000달러, 6425달러로 높아지고 있으며
히든 상승 다이버전스로 상승하였습니다.
문제는 RSI에선 나타나진 않았지만 스토캐스틱에선 차트의 고점은 낮아지지만 오실레이터의 고점은 높아지는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가 보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일봉 캔들
일봉 캔들은 거래소마다 다르게 만들어졌습니다.
BitFinex는 이리저리 왔다갔다하며 탑스핀 즉, 팽이형 캔들이 만들어졌고 BitFlyer도 그냥 양봉이 나왔습니다.
캔들로는 큰 의미를 두기는 어렵습니다.
3. 장기 추세선
BitFinex에서는 장기 상승 추세선의 지지를 일주일동안 확인한 후 상승 중에 있습니다.
BitFlyer의 BTC/JPY에서도 장기 하락 추세선을 다시 상승 돌파하여 상승중에 있습니다.
FXBTC/JPY에서는 진작에 장기 하락 추세선을 돌파 뒤에 다음 추세선에 접근하고 있습니다.
4. 피보나치 비율
BTC/USD에서 오른다면 파란색 0.382 비율인 9577달러 부근에서 저항받을 수 있고 하락한다면 분홍색 0.5 비율인 9106달러에서 지지받을 수 있습니다.
BTC/JPY도 파란색 0.382는 저항, 분홍색 0.5는 지지받을 수 있는 자리입니다.
FXBTC/JPY에서 위치의 변화가 있었으며 분홍색 0.5 위로 올라갔고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자리입니다.
5. 지지&저항선
각각의 자리에서 지지와 저항을 받을 수 있는 자리이며 잘 확인해두시기 바랍니다. 다른 관점과 비교하여 같이 참고하시면 됩니다.
6. 패턴
1) 평행 채널
평행채널에 대해서는 아래의 추세선에서 싸움을 벌이고 있습니다. 일봉 종가는 위에서 마감되긴했지만 계속 왔다갔다 하는터라 지지에 큰 기대를 걸기는 어렵습니다.
2) 역헤드앤숄더와 더블탑 패턴
제가 지금 가장 조심하고 있는 9700~9800달러대입니다. 어제 올려드렸지만 다시 한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상승을 이어나간다면 역헤드앤숄더의 넥라인 부근, 전 고점인 9767달러, 피보나치 비율 0.618비율인 9739달러의 세가지에 의해 저항받을 수 있습니다.
오실레이터가 고점을 많이 높이지 않는다면 Bearish Exaggerated Divergence 뭐 우리말로는 과장된 하락 다이버전스에 의해 하락을 하며 더블탑 패턴을 만들러 갈 수 있습니다.
이는 차트 왼쪽의 파란색 역헤드앤숄더와 더블탑패턴, 저 부근에서도 피보나치 비율과 관련있었습니다. 9700~9800달러는 조심을 해야 할 필요가 있는 자리입니다.
7. 일봉 보조지표
파라볼릭 SAR은 계속 상승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매수 시그널을 유지 중이며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는 11000달러가기 전까진 유효합니다.
지수이동평균선은 골든크로스가 나오며 상승하였고 하락하더라도 100 EMA인 9028달러에선 지지를 해줄 예정입니다.
MACD나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는 큰 의미는 없습니다.
8. 4시간봉 보조지표
4시간봉 볼린저밴드에서는 표준편차 1짜리 위에 종가가 마감되었으며 하락하더라도 베이스라인에서 지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지금은 9268달러 부근에 있습니다.
파라볼릭 SAR은 매수시그널 유지중이며 오실레이터는 큰 의미를 두긴 어렵습니다.
4시간봉 지수이동평균선도 정배열을 유지하며 하락하더라도 21 EMA와 50 EMA가 계속 지지하며 받쳐주고 있습니다.
MACD는 수렴하고 있으며 데드크로스가 나오면 하락이 나올 수 있습니다.
9. 김프, 환율, SFD
김프는 1.5%대이며 환율은 USD 1067.6원, JPY 9.79원이며
두 차트의 가격 차이는 5.6% 정도입니다. 롱 포지션이 패널티를 감수하고 있으며 10%가 될때 다시 한번 하락이 나올 수 있습니다.
대응 방안
주봉 차트와 일봉 차트의 오실레이터에선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가 나타나고 있지만
일봉이나 4시간봉의 여러 부분에선 지지받고 상승의 여지가 있습니다. 아직까진 큰 하락만 아니면 4시간봉의 21 EMA 쫄따구와 50 EMA 오른팔이 지지해주며 100 EMA 형님은 손을 대지 않아도 될 정도입니다.
장대 양봉으로 저항을 빠르게 뚫어준다면 모를까 9700~9800달러는 위에 말씀드린 것처럼 여러 이유에 의해 조심을 하는 것이 좋을 자리입니다.
당장에 큰 하락을 할 것 같지도 않고 우선 가져시던 것은 계속 가져가셔도 될 듯 합니다.
큰 변화가 나타나면 그때 코멘트해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