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X 저점 매물대 돌파를 시도하다지난 2월 부터 쌓아오던 저점 매물대 (에너지 박스)를 상향 돌파 시도하고 있습니다.
해당 매물대 박스는 203일간의 기간동안 1.65B의 거래량이 채워져 있습니다. 
바로위 저항 매물대 박스 210일 1.06B의 거래량 보다 우위에 있으며, 이는 저점의 매물대의 힘이 저항의 힘을 앞지르고 있으니 상승시 해당 매물대를 상향 돌파할 확률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024년 미니 불장 당시 형성된 고점의 매물대 크기 또한 1.03B 정도로 이번 저점 매물대의 힘에 미치지 못합니다.   
  
이번에 상승이 발생한다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상단 두 매물대의 경계이자 고점 헤드엔숄더 매물대의 넥라인 2.520이 강한 저항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IMX의 CVD RSI는 일봉 과매수 구간인 75.59, 4시간봉과 1시간봉 모두 50 위에서 강세 신호를 보이고 있으며, 주봉은 이제 막 저점 구간을 벗어나 50위로 올라오고 있습니다.  
  
이번주 종가가 매우 중요하며 종가가 0.751 위에서 마감 된다면 IMX의 상승 길이 열릴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IMX가 상승 궤도로 올라선다면 IMX 생태계 프로젝트들 또한 함께 살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 BINANCE:OMUSDT ,  OKX:GODSUSDT ,  BINANCE:ILVUSDT ,  BINANCE:SUPERUSDT ,  BYBIT:AGIUSDT ,  MEXC:UOSUSDT ,  BYBIT:OBTUSDT ,  MEXC:TAKEUSDT ,  BYBIT:CTAUSDT ,  MEXC:RARIUSDT ,  BYBIT:OIKUSDT ,  MEXC:LRDSUSDT  등) 
🚀 Immutable X (IMX) 코인 펀더맨탈 분석 🚀
📊 기본 정보
랭크: 71위 | 시총: $1.39B (DropsTab, 2025-09-17 기준)  
FDV: $1.44B | 희석배율: 1.04배  
유통비율: 97.5% (1.94B/1.99B)  
거래소: Binance Futures, OKX Futures, Bybit Futures, Upbit, BVOX Futures
🎯 프로젝트 개요
Immutable X는 Ethereum의 Layer-2 스케일링 솔루션으로, NFT와 블록체인 게임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즉시 거래 확인, 거의 제로 가스 비용, 탄소 중립 NFT 민팅을 제공하며, zkEVM을 통해 복잡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지원합니다. IMX 토큰은 스테이킹, 거버넌스, 거래 수수료, 생태계 보상에 사용되며, Immutable Pty Ltd가 개발합니다. 2025년 Immutable zkEVM으로의 전환과 Web2 게임 개발자(예: Ubisoft) 온보딩으로 Web3 게임을 주도하며, 총 펀딩 $298.56M를 유치했습니다. 로드맵은 2025년 말 zkEVM 통합 완료와 600명 이상 직원 확대를 포함합니다.
💰 투자 정보
모회사: Immutable Pty Ltd  
사용자 기반: 560만 지갑, 주간 활성 사용자 2.5만 (Immutable Play 기준)  
출시일: 2021년 11월 TGE  
초기 공급량: 2.00B IMX (고정)  
컨버전: ICO 가격 $0.15 (ROI 4.78x, 총 $298.56M 유치)
💡 핵심 기술
🔹 ERC-20 토큰: Ethereum Layer-2 (Immutable zkEVM, zk-Rollup)  
🔹 NFT 민팅: 가스비 무료, 탄소 중립 (StarkWare zk-STARKs)  
🔹 Perpetual Rewards: 게임 퀘스트 및 보상 (IMX, NFT)  
🔹 Immutable Play: Web2-Web3 브릿지 플랫폼 (Ubisoft 파트너십)  
🔹 거버넌스: IMX 홀더 투표 및 스테이킹 (14일 사이클)
🚀 성장동력
⚡️ Layer-2 NFT/게임: zkEVM으로 9000 TPS, 제로 가스비  
🏦 파트너십: Ubisoft, Altura, Polygon Labs (Inevitable Games Fund)  
💳 실용성: 스테이킹 보상 (2025년 6월 zkEVM 이전), 거래/거버넌스  
🎮 생태계 확장: Immutable Play 런칭 (Web2 개발자 온보딩), 25K 주간 사용자  
🌍 글로벌 접근: EU 규제 준수, MEXC 입출금 지원 (4000만 사용자)
✅ 실행력 추적 지표
2025년 주요 성과  
✅ 2025년 8월: Immutable Play 런칭 (Ubisoft 첫 파트너)  
✅ 2025년 8월: Altura 파트너십 (마켓플레이스 및 보상 확대)  
✅ 2025년 7월: Digital Worlds Foundation과 IMX 가스 통화 협력  
✅ 2025년 Q1: 일일 거래 수수료 28.8% 증가 (477→614 IMX)  
2025년 하반기 예정  
🎯 zkEVM 통합 완료: 2025년 말 (스테이킹 이전 6월 19일)  
🎯 토큰 언락: 9월 5일 24.52M IMX (1.31% 공급)  
🎯 에어드랍/보상: Perpetual Rewards 확대 ($1M+ IMX 배분)  
🎯 파트너십: Web2 스튜디오 추가 온보딩  
2026년 로드맵  
🏗 zkEVM 강화: VR/AR 지원 및 AI 통합  
🔗 크로스체인: Polygon 및 기타 L2 연동  
⚡️ 보상 최적화: 동적 스테이킹 및 게임 인센티브  
🌐 글로벌 확장: 아시아/유럽 e스포츠 및 게임 시장  
📈 거버넌스 활성화: IMX 홀더 주도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생태계 실질적 성과  
🏦 zkEVM 통합  
- 560만 지갑 및 25K 주간 사용자 (Immutable Play)  
- 거래 수수료 증가 및 TVL 성장 (Q1 2025 28.8%)  
- Ubisoft 파트너십으로 Web2-Web3 브릿지 성공  
💼 비즈니스 모델  
- NFT/게임 거래 수수료: zkEVM 가스 (IMX 결제)  
- 스테이킹 및 거버넌스: 네트워크 참여 보상  
- 개발자 그랜트: Immutable Fund 통해 생태계 지원  
개발자 생태계  
📊 정량 지표  
- 활성 사용자: 25K 주간 (Immutable Play)  
- 스테이킹 참여율: zkEVM 이전 중 (6월 19일 시작)  
- 24시간 거래량: $133.93M (2025-09-17 기준)  
- IMX 보유자 수: 성장 중 (스테이킹 증가)  
📅 에어드랍 일정  
에어드랍 1차: 2025년 하반기 (Perpetual Rewards, 게임 퀘스트 참여자)  
대상: NFT 홀더 및 거래 사용자 ($1M+ IMX 배분)  
에어드랍 2차: 2026년 초 (예정)  
대상: zkEVM 스테이커 (미확정)
📈 X Performance  
Bullish (최근 포스트: IMX 가격 상승 +17% 및 Immutable Play 런칭 논의 활발)
⚡️ 투자 포인트  
✅ Ethereum Layer-2 NFT/게임 선도 (9000 TPS, 제로 가스)  
✅ $298.56M 펀딩 및 Ubisoft 파트너십  
✅ 최근 급등 (24h +1.96%, 7d +33.46%)  
✅ 거래량 $133.93M 및 Bullish 심리  
✅ zkEVM 전환 (2025년 말 완료)  
✅ Web2-Web3 브릿지 잠재력  
⚠️ 주의사항  
❌ 1y -42.93% 하락 및 언락 (9월 24.52M IMX)  
❌ Q1 가격 60.1%↓ (IMX $0.53)  
❌ X Performance 초기 (Bullish이나 변동성)  
❌ 에어드랍 세부 미확정  
❌ NFT/게임 시장 경쟁 심화  
❌ zkEVM 이전 리스크 (6월 19일)  
🎯 코인 펀더멘털 점수  
📊 기술혁신: 9/10 (zk-Rollup, Immutable Play)  
💰 토크노믹스: 7/10 (스테이킹 강점, 언락 주의)  
🏢 팀/거버넌스: 8/10 (Immutable Pty Ltd)  
📈 시장포지션: 8/10 (NFT/게임 Layer-2)  
🌐 생태계: 8/10 (560만 지갑, 파트너십)  
⚡️ 실행력: 8/10 (Play 런칭, zkEVM 진행)
🏆 최종 평가  
총점: 80/100 (B+급)  
등급: 우량급 프로젝트  
투자 등급: 중장기 안정형 (Medium Risk, Steady Return)
기술적 분석을 뛰어넘어
다른 자산들 다 오를 때 코인만 안 오르는 이유 ㄷㄷ암호화폐 시장은 레버리지와 마진거래 비중이 높아 자금시장이 흔들릴 때 가장 먼저 타격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2019년 9월 미국 '레포칼립스 (레포시장 금리 급등)' 당시 비트코인은 한 달간 20% 급락했지만, S&P500은 1% 하락에 그쳤습니다. 이는 단기 자금시장 불안이 암호화폐에 더 직접적으로 반영된 사례입니다.
최근에도 비슷한 흐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레포 금리가 연방기금금리보다 높게 거래되며 단기 유동성 부족 신호가 나오고 있습니다. 은행 준비금이 줄고, 미국 재무부가 단기국채 발행을 크게 늘리면서 레포시장으로 흘러들 자금이 부족해진 상황입니다. 여기에 머니마켓펀드가 맡겨두던 초과유동성(역레포 기구)도 사실상 바닥을 보이면서 단기금리 상승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미 연준의 역레포(RRP, Reverse Repurchase Agreement) 시설 사용 규모
또한 헤지펀드들의 국채 베이시스트레이드 확대도 자금 수요를 키워 레포 금리를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국채 발행이 늘면서 현물 가격이 떨어지자 차익을 노린 거래가 급증했고, 이는 레포시장에서 자금 차입 수요를 높이는 악순환을 만들고 있습니다. 일부 은행이 상설 레포기구(SRF)를 이용해 긴급 자금을 빌린 정황도 포착돼 긴장감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
전망은 엇갈리고 있습니다. 
JP모건 등은 이번 레포금리 상승이 재무부 단기채 발행 영향으로 일시적이라 보고, 연말에는 완화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반면 시티 등은 준비금 감소와 QT(양적 긴축) 지속으로 유동성 압박이 장기화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금리 인하가 M2 유동성을 늘릴 수는 있어도 은행 시스템 준비금 회복까지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결국 이번 흐름은 단순한 가격 변동이 아니라, 단기 자금시장 불안과 맞닿아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크립토는 레버리지와 유동성 민감도가 높은 만큼, 시장의 조기 경고등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라면 단순한 차트가 아니라 레포금리·준비금·역레포 잔고 같은 자금시장 지표까지 함께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by Walker 
 이 내용은 "2025.09.16 한경 글로벌마켓_빈틈없는 월가"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115854.56-119177.56 구간은 저항 구간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큰 그림으로 볼 때, 중요한 구간이 두 군데 있습니다.
104463.99-18353.0 구간과 84814.27-93570.28 구간입니다.
계단식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116259.91-119177.56 구간을 상향 돌파하여야 합니다.
108353.0-116259.91 구간에 1D, 1W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지나가고 있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 지지 받는다면 116259.91-119177.56 구간을 상향 돌파하려는 시도를 지속적으로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일 104463.99-18353.0 구간으로 하락하여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결국 1M 차트의 M-Signal 지표를 만날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1M 차트의 M-Signal 지표가 84814.27-93570.28 구간을 지나고 있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
Low Line ~ High Line 채널의 OBV 지표에 두 개의 OBV EMA선을 추가하였습니다.
OBV EMA 1은 단기, EMA 2는 중기, EMA 3는 장기선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EMA 3을 비활성화하여 보면, 현재 OBV는 EMA 1, EMA 2선 위에 있으면 EMA 1 > EMA 2인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보입니다.
OBV가 High Line 이상으로 상승하여 유지된다면 가격은 상승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OBV 지표가 High Line 이상 상승하면서 가격이 상승세를 보였지만, 다시 High Line 지표가 생성되면서 High Line 이하로 하락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린대로 OBV 지표가 EMA 1이나 EMA 2 이상에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지지와 저항 구간에서의 지지 여부가 관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즉, 115854.56-116259.91 구간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115854.56 지점과 116259.91 지점은 1D 차트와 1W 차트의 HA-High 지표 지점입니다.
그러므로, 현재의 지지와 저항 구간은 저항 구간에 해당된다고 생각하고 대응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기본 거래 전략은 DOM(-60) ~ HA-Low 구간에서 매수하고 HA-High ~ DOM(60) 구간에서 매도하는 것 입니다.
다만, HA-High ~ DOM(60) 구간에서 상승하게 되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고, DOM(-60) ~ HA-Low 구간에서 하락하게 되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기본 거래 방식은 분할 거래 방식을 취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DOM(-60) ~ HA-Low 구간 부근에서 매수한 분들은 분할 매도할 시기에 해당됩니다.
신규 매수를 하고 싶다면 HA-High ~ DOM(60) 구간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매수가 가능하지만, 짧고 빠른 대응을 요구하기 때문에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큰 그림상으로 볼 때, 매도할 구간에서 매수하는 꼴이 되기 때문입니다.
-
앞으로 상승할 것인가 하락할 것인가는 1번 구간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에 달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11월 24일이 포함된 주 전후 ~ 2026년 1월 26일이 포한된 주 전후 사이에 신고가(ATH)를 만들고 하락하면서 하락장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이번 달을 지나면서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번 달의 변동성 기간은 9월 19일경과 9월 28일경 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9월 암호화폐 시장은 과연 어떨것인가?안녕하세요 간만에 시장에대한 이야기를 적어봅니다 
근래 개인적인 채널과 매매 때문에 대부분 종목별 관점뷰를 올려놓는데 
앞에있을 fomc를 기다리는 현재 시장분위기
그후 9월 fomc이후 시장의 흐름이 어떻게 될지 
그에대한 9월 fomc의 대한 관점 포인트 하나하나 제생각(주관적)을 몇자 적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
▬ 기(起) : 9월 fomc를 앞둔 상황에서 현재 시장 분위기  
암호화폐 시장뿐아니라 국내주식을 하시는 분이나 아니면 미주식 그리고 그에 관련된 파생상품이나 옵션 등등..
투자를 하는 사람들이라면 1년에 45일마다 8번진행하는 미국의 통화정책 회의, FOMC에대해 모르시는 분들은 거의 없을거라 봅니다 
특히 이번 9월 FOMC는  8월 잭슨홀회의에서 상당히 도비쉬하게 마무리되면서 
이번 9월 FOMC를 긍정적(낙관적)으로 보시는분들이 많으실겁니다 
일단 날짜를 보게되면 ...
미국 시간으로 9월 16 ~ 17 진행되고 ,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18일 새벽 3시 연준 기준금리 발표 하면서 알게되죠 
(저는 .. 실상 보수적인 트레이더를 추구하다보니 , 이런 빅 이벤트가 있는 날이라면.. 포지션 보유도 그리고 대응도 하지않습니다)
아무튼 이번 9월 FOMC를 몇일 나두고 현재 시장에대한 분위기 보면 시장은 상당히 긍정적인데..
금리인하에대한 선반영으로 명목금리(10년물 채권 수익률) 하락 그리고 그로인한 실질금리 하락과 달러에대한  약세, 결과적으로 현재 시장은 위험자산을 투자할만한 분위기가 형성 되어 있습니다 
그걸증명하든 전일 나스닥 선물지수도 또한번의 고가갱신이 이뤄졌죠..
하지만 암호화폐시장은 분위기가 다릅니다 ..
 
(차트가 좀.. 복잡하겠지만) 비트코인의 상승모멘텀은 현재 멈춰있고 , 그외 주요 알트들은 상승흐름보다는 제한적인 모멘텀을 가지고있죠 
그리고 그외 유동성풀 = liquidaty pool (LP)은 지속적인 하락 모멘텀을 보이고 있고 , 
비트도미상승과 반비례하는 이더도미의 하락 ...
즉 결과적으로 본다면 현재 암호화폐시장의 유동성이 부진한 모습입니다 
위에서 말했듯... 현재 시장은 위험자산 투자에대해 긍정적인 환경을 만들고 있지만 암호화폐시장은 다르죠 ... 
방송에서 몇번 말했지만.. 시장의 유동성은 채권 > 주요국 증권 > 하일드 채권 시장 > 이머징마켓 및 신흥국지수 > 암호화폐 순으로 유동성이 위에서 밑으로 흐르며 빠질때에는 반대로 아래에서 위로 빠집니다 ..
그리고 여기서 중요한건.. 달러 하락과 명목금리하락 그리고 나스닥 선물지수 상승과 함께..
골드 (전통적인 안전자산) 의 가격이 오르고있다는거죠 
이런상황을 뉴노멀이라고 정의하는 분도 있지만 , 제가 보는 관점은 시장에 헷징 트레이딩 즉 위험자산 투자와 함께 안전자산투자 , 
간단히 말하면 현시점 시장을 보는 대부분의 투자자 및 기관이 시장의 거품이 껴있는것으로 판단하고있으며 그에따른 헷징거래 즉 위험자산과 함께 안전자산을 투자하고있는 모습입니다.
▬▬▬▬▬▬▬▬▬▬▬▬▬▬▬▬▬▬▬▬▬▬▬▬▬▬▬▬▬▬▬▬▬▬▬▬▬▬▬▬▬▬
 승(承) : 이런 상황에서 9월 FOMC를 앞둔 암호화폐 시장 ?  
일단 다들 아시겠지만.. 9월FOMC에서는 25BP 금리인하 가능성이 거의 확정이죠
FED WATCH에서도 현재 미국의 금리인하 가능성을 96% (FED WATCH 기준 실상 60%만 넘어도 확정이긴 합니다..) 
아무튼 암호화폐를 거래하시는 분들 또는 투자를 하시는분들이라면 이번 9월 FOMC에서 금리인하에대한 부분은 시장에서 이미 선반영된 부분들이 꽤나 큽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이전 8월 잭슨홀회의가 7월 FOMC회의록에서 부정적인내용이 나와 잭슨홀회의 전부터 시장에대한 불안 심리로 약세흐름을 보였지만 실상 잭슨홀회의를 진행하면서 시장급등이 나왔죠 
(뭐 이당시 파월의 스탠스 그리고 9월 금리인하에대한 부분등이 여러 걱정거리로 시장 하락압력을 야기했지만 , 뭐 재료 소멸이죠 시장은 그냥 빨리 잭슨홀회의가 끝나는 또는 시작하길 바라는 마음이였을겁니다
  "중요한건 여기서 잭슨홀회의에서 무슨이야기가 나오는것보다.. 시장 불안감을 조성한 잭슨홀회의라는게 끝나는 걸 바랬기 때문이죠" 
아무튼 이후 잭슨홀회의가 끝나면서 주요 알트코인의 강한 상승 특히 이더리움의 경우 ATH(신고점갱신)이라는 강한 시장 상승을 보였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 너튜브 채널에선 .. 이번 9월 FOMC에 금리인하 결정이 이후 시장의 방향성, 즉 상승 모멘텀을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너무많은데 
아까도 말했지만 7월과 8월 사이 이러한 금리인하 가능성은 시장에 선반영 되었기 때문에 9월에 FOMC에서 금리인하를 진행하더라도 이부분이 시장의 '게임체인져'가 되기 어렵습니다 
▬▬▬▬▬▬▬▬▬▬▬▬▬▬▬▬▬▬▬▬▬▬▬▬▬▬▬▬▬▬▬▬▬▬▬▬▬▬▬▬▬▬
전(轉) : 9월 FOMC 관전 포인트와 시나리오 
상반기 미국중앙은행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1월 부터 6월 , 총 4번의 FOMC에서 금리인하를 진행하지않았습니다 
그리고 2월과 3월 사이 하원 및 상원 청문회에서도 정책 변화를 안주겠다 즉 , 현재 금리인하 스탠스를 진행 하지않겠다고 못박았죠 
미 연준(*FED)은 항상 이중책무 라느 요소로 고용과 물가에 초점을 두며 통화정책을 변경 또는 가이던스를 시사했습니다 
그래서 매월 첫째주 금요일 발표되는 비농업지표(NFP)나 소비자 물가지수 (Core CPI mom)등이 시장 변동성을 일으키는 주요 경제 지표였는데 
연준의 상반기 스탠스로 인해 이러한 지표들이 나오더라도 이전과 달리 큰 변동성을 보여주지않았죠 
왜?(why) "위에말한 지표들로 인해 통화정책이 어떻게 될지 예상을 통해 투자 변동성이 커졌지만 연준의 스탠스 변화 없음 즉  위에 말한 경제지표들이ㅏ 컨센서스만 어느정도 부합하는 값이라면 시장 변동의 요소가 되지 못하죠 
그렇기에 상반기 비농업이나 cpi가 시장의 영향력을 크게 주지 못했습니다 
다만 이번 9월 fomc전 이미 금리인하가 확정인 상태에서... 비농업지표와 cpi 발표후 시장의 변동성은 커졌죠 
왜냐 이번 9월 fomc 이후에 나올 점도표나 그리고 fomc 이후 파월의 기자회견에서 시장이 주목 할 수 밖에 없는겁니다 
다들 알고있겠지만 점도표는 연준의 기준금리 전망을 볼 수 있는 지표고 이런 점도표는 3,6,9,12월에 해당하는 fomc에서만 발표됩니다 
그런데 작년 12월 기준 점도표와 현재 25년 6월에 발표한 점도표를 보면 
연준은 금년 2번의 금리인하 시사점을 제공하고있는데 
이번 9월 fomc에서 한번 그후 남은 2번의 fomc에서 금리인하를 추가적으로 진행하는게 현재 예상 흐름 입니다 
그런데 7월 fomc 회의록에서 2명을 제외한 대다순의 연준 인사들이 금년 금리인하에 대해 상당히 매파적입니다 .. 
즉 ... 이번 9월 fomc 금리인하가 이뤄지더라도 혹시나 모를 점도표의 변화가 생긴다?
그건 큰 변수로 작용해 오히려 시장 하락을 야기하겠죠 
그리고 그후 파월의 기자회견에서 파월이 어떤 스탠스를 보일지도 실상 시장의 변수이기도 합니다 
▬▬▬▬▬▬▬▬▬▬▬▬▬▬▬▬▬▬▬▬▬▬▬▬▬▬▬▬▬▬▬▬▬▬▬▬▬▬▬▬▬▬
결(結) : 9월 시장 낙관적으로 봐야하는가..? 비관적으로 봐야하는가..? 
아까도말했지만 이번  9월 fomc에서 금리인하라는 통화정책 결정이 시장에 영향을 주기엔 부족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금리인하라는 키워드 때문에 9월 fomc이후 시장 긍정으로 보시는 분들이 진짜 많을텐데 이미 선반영된재료가 과연 시장에 활력을 불어 넣을까요 ??
아니죠 ..
위에서 말한 금리결정 이외의 9월 fomc 점도표 , 그리고 파월의 기자회견에 시장방향성이 바뀔겁니다 
상당히 과열된 미증시 그리고 그에따른 시장의 헷징트레이딩으로 인한 국제 금가격 상승 
이미 시장은 대비하고 있는  상황이고 
이런상황에서 단순히 9월 fomc는 금리인하하니깐 긍정적이다 라고 보는 1차원적 사고는 이해가 가지않습니다 저는 
그렇기에 저는 이번 9월 fomc에서 상당히 긴장하고 봐야하는 그리고 어떻게보면 낙관적이긴 보단 약간 비관적 관점에서 보는 상황이기때문에 
여러분들도 이런 9월 fomc에 주요 관전포인트를 핵심적으로 보시길 바라겠습니다 
이상 글 마무리합니다 
9월 15일 일일 차트 비트코인(BTCUSD) CPI 이 후 일목균형표 구멍생성?? 이 후 반등여부는??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9월 15일 월요일 비트코인 관점 공유 글 입니다.
새로운 한 주가 시작 되었고 새로운 캔들이 생성됨에 따라 
이에 따른 변형이 많은 자리들 입니다.
 1.114,759 구간의 볼린저 밴드 4시간 차트 지지선 및 6시간 차트의 중앙선 
자리에서 양운의 지지를 받고 반등 여부를 체크 하셔야 합니다. 
 2. 일봉차트 일목균형표는 아직까지 음운이 유지가 되고 있는 중 입니다. 
 3. 비트코인은 현재 12시간 MACD 데드크로스 눌림이 유지가 되고 있는 중 입니다. 
 4. 새롭게 생성된 3주차트 캔들에서 저번 캔들에서 양봉으로 마무리가 되었는데로
불구하고 이번 새롭게 생성된 캔들에서 MACD 눌림이 유지가 되고 있는 중 입니다. 
 5. 각 일별차트 일목균형표상 구멍이 나와 있으며 이 구간을 메워준 후 의 움직임이
금일 가장 중요한 자리라고 판단 합니다.
 
 #######종합#######
현재 114,759 구간은 4시간차트의 지지선의 지지구간으로 6시간 차트 중앙선까지
겹쳐지는 지지구간 입니다.
이 구간에서 반등이 나온다면 일봉차트 일목균형표는 아직까지 음운이 유지가 되고
있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 저항이 나올 수 있는 자리가 116,634 자리 입니다.
이 구간에서 버티면서 음운을 양운을 바꿔줘야 하며 1일 에서 2일이라는 
시간이 소요 될 수 있습니다.
만약 이 구간이 깨진다면 12시간차트 MACD 는 눌림이 심해지면서 하방 압력이
강하게 작용 할 수 있는 구간이며 각 일별차트 일목균형표상 구멍을 메워주는
113.384 구간까지 터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113,384 자리는 각 시간대 볼린저 밴드의 중앙선 및 지지선의 반등구간이며
일별차트 구멍을 메워주는 구간이기 때문에 반등 여부를 체크 하셔야 합니다.
최대 바텀구간의 12시간차트 중앙선 및 일봉차트 중앙선 각 시간대 일목상
양운을 메워주는 구간까지 터치 할 수 있는 구간이니 이 구간의 지지여부
확인 하셔야 합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기본 거래 전략에 대한 설명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차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개념은 기본 거래 전략입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
Low Line ~ High Line 채널의 OBV 지표가 EMA 1, EMA 2를 상향 돌파하면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그 이후에 DOM(60) 지표와 HA-High 지표가 생성되면서 결국 가격이 원 위치하였습니다.
HA-Low 지표가 0.001888 지점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즉, 0.001888-0.002045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때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HA-Low 지표와 HA-High 지표가 수렴한 상태이기 때문에 횡보가 끝나고 0.002877-0.003199 이상 상승하게 되면 급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기본 거래 전략은 하이킨아시 차트에서 거래하기 위해 만든 지표인 HA-Low, HA-High 지표가 기준입니다.
기본 거래 전략은 DOM(-60) ~ HA-Low 구간에서 매수하고, HA-High ~ DOM(60) 구간에서 매도하는 것 입니다.
다만, HA-High ~ DOM(60) 구간에서 상승하게 되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고, DOM(-60) ~ HA-Low 구간에서 하락하게 되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기본 거래 방식은 분할 거래 방식을 취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1,2 개의 지표의 움직임으로 흐름을 예측하기 보다 기본 거래 전략을 우선적으로 하여 거래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
HA-Low 지표를 터치하고 상승하여 HA-High 지표를 만나게 되면 파동이 마감되었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또한, HA-High 지표를 터치하고 하락하여 HA-Low 지표를 만나면 역시 파동이 마감되었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이러한 파동의 마감은 새로운 거래 전략을 만드는 기준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이전 파동은 잊고 새로운 거래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TOTAL 시총으로 코인불장 고점 예측하기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제가 보고 있는 자리는:
 TOTAL: 5.0T ~ 5.2T 부근 
(크립토 총 시총)
 TOTAL2: 2.0T ~ 2.3T 
(비트 제외 코인 시총)
TOTAL2 같은 경우, 저번에 분석해드린 관점과 같습니다:
단기 조정을 주더라도, 2.0T ~ 2.3T 부근을 닿고 내려갈 확률을 크게 보고 있습니다. 
TOTAL 같은 경우 다음과 같은 이유로 5T까지 갈 거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로그 차트)
2021 / 11 / 09 ~ 2022 / 11 / 21 하락 파동의 1.382 EXT
2024 / 12 / 14 ~ 2025 / 04 / 07 하락 파동의 1.618 EXT
빨간 상승추 세선 상단
A:C 비율 1:1 (로그 비율)
그리고.. 1.902 딥크랩 패턴도 보이네요. 하모닉은 로그로 그을수 없지만 그래도 위 자리와 겹치는 구간이기 때문에 체크
그리고 현재 TOTAL차트의 캔들이 미드라인에서 지속적으로 돌파 시도를 해주는 모습 & 파동상 C파동이 아직 마무리되지 않아 보여서 5T까지는 찍고 시즌종료이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비트코인은 어디까지 갈까?
만약 예측이 맞고, TOTAL이 5T / TOTAL2가 2T가 고점이라고 가정하면 비트코인 시총은 약 3T로.. 
현재 2.3T 보다 30%가량 상승해야하고.. 
그러면 비트코인 가격이 
약  150K ~ 160K  부근에서 마무리하고 내려오겠네요.  
 분석 BY HOSI 
비트코인 9월 11일 목요일 CPI 발표에 따른 관점 공유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9월 11일 목요일 비트코인 오후 관점 공유 글 입니다.
금일은 중요한 지표 발표가 있는 날 이며 CPI 발표가 예정이 되어 있습니다.
21:30	  USD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MoM) (8월)	 	0.3%	0.3%	
21:30	  USD		소비자물가지수 (MoM) (8월)	 	0.3%	0.2%	
21:30	  USD		소비자물가지수 (YoY) (8월)	 	        2.9%	2.7%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이번 CPI 발표는 저번 제롬파월 의장의 연설에서 보았듯이
결과치에 따라서 금리 인하냐 동결이냐의 갈림길에 지표이기 때문에 더더욱이 중요 합니다.
지표가 높게 나오면서 물가지수가 높을 경우 이번 지표 발표에 다라 경제 안정화가 된다면
금리인하도 하겠다라는 발표와 함께 차트는 상승이 나왔었습니다.
하지만 지표가 예측지 보다 상회 할 경우에는 경제침체의 가능성 및 
현재 금리유지의 가능성도 높은 구간이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자리라고 생각 합니다.
현재 자리에서 가능성이 높은 구간들을 남겨 보겠습니다.
 1. 112,281 구간은 4시간 차트의 볼린저 밴드 중앙선 이자 
단시간내 양운의 지지구간으로 충분한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자리 입니다.
하지만 이 구간에서 반등하지 못한다면 MACD 데드크로스 눌림이 나올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자리이기 때문에 반등 여부에 주목하셔야 합니다. 
 2. 110,758 구간은 6시간 차트부터 12시간 차트의 볼린저밴드 중앙선의 지지구간으로
강한 반등도 예상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자리 입니다.
만약 이 구간까지 터치 한다면 우리가 집중적으로 체크 해야 할 지표는
MACD 데드크로스 눌림이 순차적으로 나오면서 반등 하였을 때 풀어 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체크 하셔야 합니다.
만약 이 구간을 빠르게 터치하고 반등 한다면 각 시간대 볼린저밴드
중앙선 및 지지선을 터치 하면서 강한 반등이 나올 수 있는 가능성도 충분히 
있는 자리이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의 움직임을 주목해서 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3. 지표 호재로 인해 강하게 반등한다면?? 
현재 구간에서 강하게 반등한다 하여도 상단에 저항구간이 강한 자리가 있습니다.
바로 일봉차트 저항선 및 12시간차트 와 일봉차트의 음운 저항구간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의 저항도 체크 하셔야 합니다.
또한 현재 2일차트 중앙선을 터치 한 상태이며 상단에는 3일차트 중앙선의
저항구간까지 겹치는 구간들이 있기 때문에
115,686의 저항구간 및 탑구간인 116,884 자리까지의 저항구간을 살펴 보셔야 합니다.
상단에 저항구간들이 아직은 약한 자리들이 아니기 때문에 
분명 저항 받을 수 있는 조건들에서 조정에 대한 대책도 세워 놓으셔야 합니다. 
 4. 만약 금일 지표 발표로 인해 바텀구간인 109,294 자리까지 터치하게 되면서
마무리가 된다면 내일까지는 반등의 힘이 남아 있을 수는 있지만 
모든 지지라인을 터치한 비트코인이기 때문에 3주 차트 MACD 데드크로스 눌림과
더불어 함께 하락의 파동이 강해 질 수 있는 자리이니 이 구간도 참고 부탁 드립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변동성 기간 : 9월 7일경(9월 6일-10일)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이번 변동성 기간은 9월 7일경(9월 6일-10일)입니다.
이번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4403.87-4749.30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계단식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4749.30 이상 상승하여야 합니다.
이에 따라서, 4749.30-4868.0 구간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
4403.87에서 저항 받고 하락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HA-Low 지표를 만날 때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4302.41-4403.87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다만, 이전 신고가(ATH) 구간인 3900.73-4107.80 구간을 터치하고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4107.80 이하로 하락하게 된다면,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하면서 추세를 다시 선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OBV 지표가 Low Line 이하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TC(Trend Check) 지표가 0 지점 이하에 위치해 있습니다.
StochRSI 지표의 K가 과매도 구간에서 상승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OBV 지표의 High Line이 하락하면서 하락 채널을 형성하게 된다면, 매도세의 우위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번에 4302.41-4403.87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한 관건이 됩니다.
TC(Trend Check) 지표는 StochRSI + OBV + PVT-MACD 오실레이터 지표를 종합 평가한 지표입니다.
따라서, TC 지표가 0 지점 이하에 위치해 있다면 매도세가 우위에 있기 때문에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StochRSI 지표의 K가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보인다면, 이번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다만, 상승세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OBV 지표와 TC 지표가 상승세를 보여주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3.0361 부근에서 지지 여부 확인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XRPUSDT 1D 차트)
다음 변동성 기간은 9월 24일경입니다.
다만, BTC의 변동성 기간인 9월 18일경의 움직임을 예의 주시해야합니다.
3.0361 부근에서 지지 받고 3.4037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러지 못하다면, 2.9092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3.0361 지점은 1M 차트의 DOM(60) 지표 지점이므로 이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되면 장기적으로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현재 1D 차트의 HA-High ~ DOM(60) 구간이 3.4037-3.4540 구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구간을 상향 돌파하여야 비로소 계단식 상승세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347.21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TSLA 1D 차트)
두개의 지지와 저항 구간인 268.07-311.48, 347.21-382.40에서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는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계단식 상승세를 보이기 위해서는 334.09-347.21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다만, 1W, 1M 차트에서의 지지와 저항 지점인 382.40 지점과 421.06 지점 이상 상승하여야 비로소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1D 차트의 334.09-347.21 구간 이상 상승하였을 때 더 큰 상승폭을 나타낼 가능성이 높습니다.
-
268.07-311.48 구간도 HA-High 지표로 구성된 구간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현재 위치는 분할 매도할 위치에 있는 것이 매수할 위치에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다만, 신규 매수를 하기 위해서는 가능하면 1M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므로, 268.07-311.48 구간이 지지 구간의 역할을 할 때 매수 시기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HA-High 지표 구간이므로 짧고 빠른 대응으로 거래를 진행해야 합니다.
중요한 변동성 기간은 10월 7일경이지만, 그전에 9월 5일경과 9월 12일경의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때,  268.07-311.48 구간이나 347.21-382.40 구간 중에서는 어느 방향으로 가격이 움직이는지에 따라 추세가 결정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글로벌 M2로 보는비트코인 2개월 뒤 비트코인은 강하게 상승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2개월 경고등 글로벌 M2·역DXY가 가리키는 Q4 시나리오 (정점인가, 대조정인가)
지금부터 두 달이 관건
글로벌 M2는 6개월 급증 뒤 최근 1개월 하락 전환
역(反) DXY도 약세로 돌면서 막판 가속 → 급조정 시그널이 겹친다
패턴 가설 : 
① 9월 완화(25bp) → 182k 돌파 스파이크 → 10월 급조정 
② 9월 동결/매파 → 재하락 후 10~11월 재돌파
🔎 왜 ‘두 달’이냐
글로벌 M2 90일 선행 가정 : 합산 M2의 추세 전환점 → 약 3개월 후 풍부해진(혹은 축소된) 유동성이 크립토 가격에 반영되는 경향. 최근 6개월 상승 + 1개월 하락이면, 9~10월 구간에 막판 가속 + 급락이 동시 출현하기 쉬운 구조야
(선행 상관이 80~90% 수준으로 보고됨—완벽하진 않지만 방향성 컨플루언스로 유효)
역DXY 확인: DXY는 유로(약 57.6%), 엔, 파운드, 캐나다달러, 스웨덴크로나, 스위스프랑으로 구성된 달러 강도 지수. 달러 약세(역DXY 상승) 국면이 크립토 랠리를 동반하는 일이 잦아 다만 상관은 구간 의존적이라 맹신 금지
DXY 구성은 ICE 산출(유로 비중이 가장 큼)
달러가 강세 전환하면 리스크자산에 역풍이 붙는다
🧭 시나리오
A. 9월 25bp 인하·중립 톤(확률 高)
경로: 기대감 선반영 → 182,631 상향 이탈 스파이크 → 197,705 부근 오버슈트 → 10월 초~중순 20~30% 조정
논리: 선행 M2의 단기 하향 굽힘이 90일 후 가격 조정으로 반영. 상승-급락의 ‘U자 반전’ 위험
리스크: 달러 반등(DXY) 시 조정폭 심화. 조정 폭 자체는 강세장 내 표준(20~30%) 범주
B. 9월 동결·매파 톤(확률 中)
경로: 182,631 재돌파 실패 → 171,153~169,701 지지 재확인 → 10~11월 완화 신호 따라 재상승
논리: 유동성 기대가 시간상 지연. 선행 M2가 재상승으로 돌아서면 연말 고점 경신 시나리오 열림
C. 50bp 서프라이즈 인하(확률 低)
경로: 단기 과열/갭상승 뒤 훨씬 가파른 되돌림(유동성 쇼크성 변동)
논리: ‘빅컷=경제 둔화 신호’로 해석될 경우 달러/채권 변동성↑ → 크립토도 변동성↑
지지(파란 박스): 171,153 / 169,701
→ 일봉 종가 연속 이탈 시 조정 시나리오 강화
분기점(오렌지 트리거): 182,631
→ 상향 돌파·안착 시 197,705 테스트 확률↑
상단권(레인지 탑): 197,705
→ 뉴스/완화 기대 오버슈트 구간. 이후 되돌림 경계
비트코인 이더리움 알트가 폭등이 나왔는데 포모오면 안되는 이유비트코인은 이미 114K 부근에서 소량만 남기고 알트코인들도 몇 개 빼고는 확정손익을 챙겨 두었습니다.
물론, 한파동 쏘더라도 후회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두파동 세파동 쏘면,, 말이 달라질 수도 있겠지만요? 하하;;😞
단, 코인스쿨에서 이렇게 수익본 리스트를 업로드 하는걸 부러워 하시거나 아니면 불편해 하시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이전에 신고가 달성했을때 고점 점찍을때 
포모오지마시라고 그렇게 말씀드렸죠? 눌림은 온다고 왔습니다 그리고 상승했습니다.
조정이 나오더라도 계속 손익비 좋은 자리를 찾을려고 노력했고 그에 대한 수익은 보상이라고 생각합니다.
무리한 홀딩으로 큰 수익을 챙기는건 좋습니다. 투자는 수익을 챙길 수 있을때 챙기는게 정답입니다.
BTC / 15minute chart analysis prediction
The magnetic zone box is composed of three parts: the top box, the middle box, and the bottom box.
In the middle box, candles and trend support/resistance levels are analyzed.
A position is entered when the price moves outside of the middle box range.
Example:
When the price breaks upward through the middle box, a bullish trend is expected, and a position is entered.
Once the price settles at the top box level, the position is closed, or partial profit-taking and breakeven stop-loss are applied.
If the price fails to surpass the top box and shows resistance, observe carefully; then, if a bearish trend is expected, a position is entered.
When the price settles back into the middle box, partial profit-taking, breakeven stop-loss, and other methods can be used in various ways as entry/exit strategies.
마그네틱 존 박스는 상단 박스, 중단 박스, 하단 박스의 세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중단 박스에서는 캔들과 추세 지지/저항 수준을 분석합니다.
가격이 중단 박스 구간을 벗어날 때 포지션에 진입합니다.
예시:
가격이 중단 박스를 상향 돌파하면 상승 추세가 예상되며 포지션에 진입합니다.
가격이 상단 박스 구간에 안착하면 포지션을 종료하거나 부분 익절 및 본절 손절을 적용합니다.
가격이 상단 박스를 돌파하지 못하고 저항을 받는 경우, 하락 추세가 예상되면 포지션에 진입합니다.
가격이 다시 중단 박스에 안착할 경우, 부분 익절, 본절 손절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진입/종료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15K 비트코인 단기 숏 관점비트코인이 가격 예측이 현재 굉장히 어려운 구간이라고 생각됩니다. 
현재 계속해서 혼조세를 보이면서 횡보를 하고 있는데, 아직 하락 한 파동 남았다는 관점이 보여서 공유드려봅니다. 
저항:
 115.1K ~ 115.6K
 
위 사진을 보시면 여러개의 근거가 겹치는 자리입니다:
 
 0.786 가틀리 패턴
 1.618 딥크랩 패턴
 W파동 의 EXT 1.382
 마지막 소파동 A:C 1: 1 ~ 1.128
 
그리고
저는 107K에서 올라온 파동이 절대 임펄스로 카운팅이 되지 않아서 상승 힘이 강하다고 보기에는 어렵습니다. 
만약에 큰 상승이 나오려고 했으면, 최소한 5-3-5 지그재그로 시작을 했어야 한다고 보는데, 현재 파동을 보면 플랫이 자주 출현한 걸로 봐서 지그재그 x 지그재그 혹은 삼각형 내부 파동이 조금 더 신빙성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사진을 보시면, 마지막 ABC 파동의 1 ~ 1.128 부근이 위 딥크랩 패턴, 가틀리패턴과 겹치는 자리입니다.
이 자리를 뚫고 올라갈지, 아니면 저항을 받을지에 따라 비트코인 방향성이 어느 정도 정해질 듯합니다. 만약에 올라간다면 현재 잘 오르고 있는 알트들도 계속해서 오를 가능성이 높고,
만약에 저항을 받는다면 알트들이 어떤 식으로 반응하는지 모니터링이 필요해 보입니다.
알트 코인들의 무빙이 현재 심상치 않아서 비트코인과 디커플링 되면서 상승할 가능성도 염두 해야 합니다.
DS의 공부하는 차트분석! 원전주 뉴스케일파워(SMR)형들 안녕~
공부하는 차트분석 DS야~
오늘도 코멘트를 달기 위해 끄적여본다!ㅋ
분석한 차트는 원전주의 대세 유망주! 뉴스케일파워!
미국에서 유일하게 NRC 승인을 받은 기업이며, 상업적으로 확산이 굉장히 기대가 되는 기업이지!
(※ NRC = 미국 원자력 안전 규제 기관)
이번 분석은 추세선과 차트패턴의 이야기가 있을꺼야!
초보자 형들한테는 도움이 많이 될꺼라 생각하니 참고해줘~!
그럼 시작해보자!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내가 분석한 시점에서는 하락!
이유
  
빗각채널이 모든 정답은 아니야~
하지만 채널하나만으로 알 수 있는게 많기 때문에 많이 쓰는거야!
그러니 이것만 연습 잘하면 패턴정도는 충분히 볼 수 있을꺼야!
내가 빗각을 그려볼때 과거차트를 끌어다가 연습하라고 했지?
그 이유는 차트는 과거와 닮기 마련!
유툽이나 다양한 정보글에서 본 적이 있을꺼야~
비트코인 같은 경우 고점기록을 찍을때마다 차트가 거의 유사하게 찍은 모습을! ㅋㅋ
하나의 종목을 골라! 과거에 아주 크게 잃은 놈 같은거 복수를 할 주 같은거 ㅋㅋㅋ
(단! 잡주는 빼고!)
요놈에게 다시 내 돈을 가져와야겠다 하는 마인드로 과거 차트를 보면서 계속 연습을 해보는거야!
그러면 요놈 패턴이 분석이 가능해져! 형들은 할 수 있어!! 머리가 좋으니께!! ㅋㅋ
본론으로 들어가서!
  
1번 원과 2번원을 자세히 보면! 닮은점이 있어!
오늘은 이 1번원 2번원으로 분석을 할꺼야!
일단 1번 원부터 볼께!
여기서 추세선을 그려볼꺼야~
추세선은 상승, 하락 2가지의 선이 있다고 보면 돼!
고수들은 추세선을 이용해서도 꾸준한 수익을 내는 사람들이 있지만 추세선으로만 보는게 아닌 다양한 지표들을 보면서 파악을 하는.......
지표하니 한 숨 나오지? 그래~ 몰라도 수익을 낼 수 있으니까 나중에 하고 일단 추세선부터 그리는 연습부터 하자고~!? ㅋㅋㅋ
상승추세은 고점과 저점이 우상향으로 향하는 것을 말하고 반대로 고점과 저점이 우하향이면 하락추세로 보면 되는거야!
1번 파란원에서 추세선을 그려보자!
  
이렇게 그려볼 수 있어~!
여기서 추세선을 이용한 채널도 만들 수 있어!
1번 노란원을 보면 상승추세에서 또 다른 상승 추세로 전환된게 보이지!?
아주 간단한 분석인데 빗각을 공부할때 채널 그리는법을 알려줬자나?
똑같이 하는거여!!
추세선을 복붙(Ctrl+C,V)해서 1번 노란원에 있는 봉중 가장 고점이 되는 부분으로 붙이면!?
  
이런 그림이 나온지? 이게 채널이야~
여기 채널 상단 돌파하니까 쭉 올라가자나? 그리고 뭐야? 또 하나의 상승추세 보이지? 거기서 또 이어지지? 어때? 빗각채널과 유사한거야!
 (※빗각채널과 추세채널은 다르다!) 
여기도 똑같이 패러렐 채널을 이용해서 그려보면
  
이런식으로 추세선으로 이용한 채널을 만들어서 타점을 잡을 수도 있는거지!
하락추세도 똑같은개념으로 이용하면 보여질꺼야~!
하락추세부근은 한 번 직접 그려봐~!
그리고 여기서 알려줄껀 패턴분석인데
헤드 앤 숄더 라는 패턴이야!
머리 와 어깨 라는?... ㅋㅋㅋ
앞에서 내가 추세선을 알려줬지? 알려준 이유는 이 패턴분석 때문에 알려준거야!
이 패턴은 상승추세가 꼭 있어야 하거든! ㅎㅎ
간단하게 설명 해줄께!
  
이게 평범한 그림 예시야!
이런 유형의 패턴이 나오면 의심을 하게 되는게 여기서 반드시 확인해야하는게 바로 상승추세선이야!
이게 꼭 배치가 되어있어야 해!
다시 차트를 가서 상승추세선을 그려본곳을 보면!
  
어때? 그림이 보이지?!
그냥 마냥 그림을 어떻게 그리면 다 그려질 수도 있단 말이야!
이게 확실하다는 분석은!
바로 상승추세선!
  
이렇게 상승 추세선의 기준으로 왼쪽어깨가 형성!
머리부분은 고점을 기록한 후 하락하여 상승추세를 이탈해서 목 라인을 형성!
그리고 상승추세선을 향한 리테스트를 하고 하락하면서 목라인 이탈하면서 오른쪽어깨를 형성!
이렇게 되는 패턴이 바로 헤드 앤 숄더!
 반드시 있어야 하는건 상승추세선이야! 이 기준으로 가는거야! 
  
바로 대입을 해서 간략히 설명하면!
왼쪽어깨(숄더) = 첫 고점을 기록 후 하락하여 상승추세선 닿고 상승하는 모습!
머리(헤드) = 그 상승에서 왼쪽어개 고점을 돌파하여 최고점을 기록 후 하락하여 상승추세선을 이탈하고 만들어진 저점을 형성!
목(넥라인) = 이 저점과 왼쪽어깨 저점을 이어진 선!
오른쪽어깨(숄더) = 머리부분의 저점에서 상승추세선을 향한 리테스트 후 넥라인을 이탈하고 만들어지 저점을 형성!
그리고 마무리로 넥라인으로 확인하러 리테스트 후 하락 까지!
이게 바로 헤드 앤 숄더 패턴이야!
이해가 된다면! 부스터!!~~~~!!!!!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런 패턴 분석법은 다양하게 많으니까 대체적으로 많으 쓰는것들은 공부하는게 좋아!
  
그리고 여기서 빗각채널을 입혀보면!
어떻게 보여!? 신기하지 않는가!? ㅋㅋㅋ
왼쪽어깨 = 채널 상단
머리 = 다음 채널 상단
머리 저점 = 채널 하단
오른쪽 어깨 = 채널 하프라인
오른쪽 어깨 저점 = 채널 하프라인
마지막 리테 = 채널 상단
마지막 저점 = 채널 하단
이게 빗각채널의 매력이야!!!! ㅋㅋㅋㅋ
바로 다음 차트(최근 현재 차트) 가면!
모습이 뭔가 비슷하게 생기지 않았어!? ㅋㅋㅋ
  
역사는 반복된다~!!
이래서 과거차트로 계속 보라고 한거야~ 전 차트랑 똑같이 나오자나?~
왼쪽어깨 완벽하게 형성!
머리 형성!
오른쪽 어깨 형성중이자나? 그럼 현재 차트 방향이 예상이 되지 않는가!?
이게 내가 말하는 하락의 이유!
어때 충분히 마딱 들여지는가!?
현재 많이 떨어져셔 매수한 형들도 있을꺼라 생각하지만 항상 말하지만! 모든 분석에 정답은 아무도 모르고 선택은 본인 몫이야!
난 나의 자신을 믿고 내 분석력을 믿으면서 하는거고 이 글을 올리는건 같이 공부하며 몰랐던 패턴 빗각 추세선 등 알아가자고 공유하고자 참고하라는거야~
같이 돈 벌면 좋자나!!!? ㅋㅋㅋ
그렇지만 쉽지 않겠지! 여긴 제로섬 게임이니까~ 투자자들 전부다 적이여!! ㅋㅋㅋ
함께는 하고 싶지만 쉽지 않다! 그러니까 본인의 노하우를 꼭 만들도록 해! 매매법을 만드는게 좋아!
헤드 앤 숄더 패턴 잘 기억하고 다른 종목으로도 한 번 찾아보고 연습해봐~!
그럼 오늘의 공부 분석은 여기까지!
형들 긴 글 읽어줘서 고마워~!
더 자세한 내용들은 나중에 알려주도록 해볼께! ㅎㅎ
초보투자자형들 꼭 수익창출하는 그날까지 화이팅!!!!!!!!!
도움이 됬다면 부스터 한번씩 부탁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간략 정리
헤드 앤 숄더
왼쪽어깨, 머리, 오른쪽어깨, 목라인
반드시 상승추세선의 기준으로 만들어 져야한다.
※ 절대 매수의 강요 없고 선택은 본인의 몫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