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 분석을 뛰어넘어
2월 1일 비트코인 브리핑비트코인/USDT/바이낸스/현물/4시간 차트입니다
전일 브리핑 이후 예상보다 낙폭 축소하며
104K 구간에서 소폭 지지를 받으면서
하락폭 제한하는 움직임이었습니다.
이후, 경제지표 발표 전 105K 구간까지 소폭 반등하는 모습이었지만
22:30 경제지표 발표에서 근원 PCE와 PCE 등 예상치 부합하는 반면
개인 소비지출이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서
반등세 이어가지 못하는 흐름이었습니다.
보우먼 이사의 말에 따르면,
"인플레이션이 더 확실히 낮아지기 전에 금리 인하를 고려하기 어렵다.
경제가 여전히 경조하게 성장하는 만큼, 현재 통화정책은 충분히 제약적인지 의문이 있다.
인플레이션이 추가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그과정이 고르지 않을 수 있다."
금리 인하 가능성에 다소 부정적인 발언을 하는 상황이었습니다.
반면 00시 경, 굴스비 총재가
"오늘 PCE 좋았다. 내가 생각한 것 보다 좋았다. 우리가 2% 인플레이션으로 돌아가는 길에 있다는 것에 편안하다"
라는 발언이 나오며 미 증시 개장 이후 105K 돌파하며 106K까지 상승세 이어가는 모습이었습니다.
*이전부터 파월 의장이 인플레이션 2% 이내로 떨어져야 금리 인하 수용할 수 있다고 거듭 언급한 바 있기에,
시장에서는 보우먼 이사의 발언 보다 굴스비 총재의 발언에 더 무게를 두고 금리 인하 가능성에 크게 반응한 것으로 보임
특히 "중립 금리는 현재 금리 수준보다 훨씬 낮은 편이다" 라고 말을 덧붙였는데,
이는, 인플레이션만 잡힌다면 언제든 중립 금리 수준까지 내릴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다만 아쉬운 점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에 2월 1일 부터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인플레이션 상승 우려에 106K까지 나온 상승폭을 반납하며
101.5K 구간까지 급락하는 흐름 이어졌다는 점입니다.
현재 시장에서는 트럼프의 가상화폐 정책에 따른 트럼프 트레이딩 효과보다도
거시 경제 전망(금리 인하 가능성)에 더욱 크게 반응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재 관세라는 도화선에 불이 붙은 만큼
당분간 시장은 경제 지표 결과와 경제 전망에 더욱 예민하게 반응할 것이고,
이러한 분의기를 반전 할 만한 호재가 시장에 나타나지 않는 이상
이러한 분위기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2월 3일 월요일 추요 경제지표는
23:45 미 S&P 글로벌 제조업 PMI
00:00 미 ISM 제조업 PMI 입니다.
이번 관세 리스크로 중단기(1~3개월) 상승 관점에서
기간조정~하락조정 관점으로의 가능성을 조금 더 열어두고 있습니다.
현재 작성 시각 20시를 기준으로 101.7K 부근 위치해 있는데,
현재로서는 101.2K구간과 하단 상승추세선(빨간선 대각선) 맞물리며
강한 지지 구간 형성하여 자리 지켜주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01시 이후로 낙폭 이어온 만큼
과대 낙폭에 따른 반등이 어디까지 나올지,
반등 후 조정에서 재차 하단 상승추세선이나 101.2K 지지 받아주는지,
여부가 관건이 될 것입니다.
101.2K~하단 상승추세선 무너뜨린다면
98.5~99.5K구간까지 저점 리테스트,
그리고 98.5K~99.5K 까지 무너뜨린다면
96K~파란선 빗각 구간까지 낙폭 키워갈 수 있으니 주의 바랍니다.
단기 지지/저항구간은 이전과 대동소이합니다.
*저항구간 돌파 후에는 지지로 작용, 지지구간 이탈 후에는 저항으로 작용 한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
- 저항구간 : 102,700구간, 104~105K 구간, 106K구간, 108K구간, 111K구간, 113K구간
- 지지구간 : 101,200구간, 98.5K~99.5K구간★, 97,500구간, 96,000구간★, 93,800구간
- 1일봉 상, 단기적으로 다시 상승시도 나오기 위해서는
107K돌파 및 하락 시 96K 지지구간에서 재차 지지를 받아야할 것이며,
이구간 이탈시 다시 낙폭 키워갈 가능성 열어둬야하는 점 참고바랍니다.
⚠️ 본 관점은 매수/매도를 추천하는 관점이 아닙니다.
⚠️ 참고용으로 활용해주세요
⚠️ 모든 투자의 선택과 판단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2025.02.01 해외선물 나스닥 복기&신규관점
➡️기존관점
관점을 업로드하는 기준시간을 4시간봉으로 업로드하고 있는데
제가 화살표로 표시한 부분을 보면 기존뷰에서 1시간봉 기준으로조차
빨간동그라미상단을 뚫지못하고 스윕 후 하락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전형적인 스탑헌팅 형태이기때문에 봉마감도 못한 이 상황을 보고
뚫었다!라고 생각하신 분은 없으시기 바랍니다
하락 후 재차 상승하여 빨간 동그라미를 확실히 뚫어준 후에는
시원하게 목표가까지 달성하였습니다
평단이 가장 높아 최고점에 잡았다고 가정하고 '최소목표가'까지만 달성했다고 가정하면
약 100불 수익, 1계약당 약 $2000의 수익자리였습니다
현재 전적 : 16승 4무 4패
(무승부는 관점대로 흘러갔으나 무빙상 홀딩하기 어려웠던 것을 말함)
➡️신규관점
신규관점 또한 이전과 동일합니다
빨간동그라미가 뚫리는 방향으로 포지션을 잡고 초록색박스를 목표가로 합니다
#해외선물 #나스닥 #해선 #파생상품 #선물옵션
???: 저는 부엉이족 입니다..
.. 작년 9월
???: (오, 물가 낮춰지네? ) 이제 부터 이중책무에서 물가 필요없고 고용 위주로 보겠음 ㅋ
???: 떡상의 시간이다 ....
??? : 어? ... 좀 급하게 오르네 명목금리가?
??? : 아;;
12월...
??? : (일단 번복 해야겠다..) 물가가 좀 오르니 다음년도 금리인하 4번에서 2번으로 줄임..
아글고 물가지표도 다시 볼게 다시중요해진듯함 .. ㅎ..
....
....
....
1월
??? : 아 생각해보니 물가가 낮춰지긴 어렵네? 관세 땜시 ㅋ (성명서 수정)
??? : 저는 올빼미족입니다
------------------------------------------------------------------------------------------------
일주일만입니다 그죠?
..
설 지내는 동안 글을 안올리고 있었는데 시장은 계속 관찰했음 ....
설을 지내고오니 많은 일이있었는데
서론 각설하고 바로 fomc 내용 부터 이야기해봄
매파적 fomc?
금융 시장에서 매번 중요한 행사라고 생각하는 0순위가 미국내 통화정책회의(fomc)인데
특히 1월은 25년 첫 fomc이기도 하고 ..
트럼프 취임 되고나서 관세 정책등 .. 미국내 여러 이슈때문에
앞으로 통화정책을 파월이 어떻게 다룰지 많이 궁금했음
(뭐,.. 3월 fomc내용이 확실하긴 하지만)
fomc를 보는 방법과 분석은 바로 관전 포인트인데 즉 뭐가 더 중요할지 우선순위를 뽑는건데
이번 fomc는 어차피 금리동결이 선반영 되어서 금리 결정에는 사실 별 관심이 없었고
이후 fomc 성명서나 파월 발언이 중요하다고 봤음
(12월 cpi 긍정적이고 고용 괜찮은데 2번밖에 못쓰는 금리인하 카드를 지금 쓰기엔 껀덕지가 없잖슴.. 쓰면 치매걸린거고 )
특히 파월이 언제쯤 금리인하 시기를 할지에 대한 '힌트'나 연준을 압박하는 트럼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그리고 시장내 물가를 어떻게 평가하는지가 중요하니깐
왜? 물가를 중요하게 생각하냐하면 일단 이중책무이기도 하고 9월에 첫 금리인하하면서 고용만 본다는걸 명목금리가 압박해 물가 다시 튀어 오르니 12월에 금리인하하면서 점도표 수정하고 다시 물가지표도 같이 보겠다고 번복했으니
현재 물가에대한 생각이 궁금해질수 밖에
그런데 회의끝나고 나온 성명서에 내용이 바뀌었네? (수정해 버림;;)
... 뭐라고 수정했냐
12월 성명서에는 ‘위원회의 2% 목표를 향해 진전을 이루었지만 여전히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라는 말처럼 현재 높은 수준의 물가이긴 하나 2%대로 진전 즉 물가 압력이 낮춰지고있다는 연준의 말이 현재 연준이 물가에대한 자신감을 내보였으나 ...
1월 성명문에서는 그부분이 수정되고 ‘물가는 다소 상승세를 유지중이다’처럼 12월 성명서의 앞문구 즉 물가에대한 하락 진전에 대한 문구가 사라진건데
이건 다른 의미로 연준이 물가에대한 자신감이 사라진건가? 의구심이 들수 밖에 없음..
(음 .. 물가를 부정적하게 보는건가? 이때 비트코인이 좀 빠지긴함)
다만 이부분을 기자회견에서 파월 의장은 그거 큰 의미 두지 말라고.. 말이 길어질 것 같아서 줄인 것에 불과하다는 이야기를 하며 어느정도 달래 주긴 했는데
(개인적으로 좀 '이게 뭔 말장난인가?' 했음 그냥 수정을 하지말던가)
그런데 생각해보니 그것도 그럴것이 ...
트럼프 정책중에 가장 강력한게 관세 정책인데 이게 어떤 나비효과를 불러올지 모르는거임
(이부분에서 인플레이션 자극할 요소도있고 하다보니 그래서 수정한것같음)
그래서 파월 나름대로 립서비스 까지 하며 달래기 한것같은데 아무튼 이게 일단락 되면서 시장 안정화 찾긴 찾음
다만 내용을 정리해서 본다면 ...
9월에는 고용만 본다고 했지만 다시 오르는 물가에 12월 점도표 수정도 같이 해가며 물가지표도 같이 본다했고
이제 트럼프 관세 정책이라는 변수때문에 고용 보다는 물가가 다시 우선 순위로 여겨질거라 판단함 (3번의 번복이랄까..?)
즉 성명서에 변화 , 인플레이션 전망 , 그리고 트럼프 정책 변수로 인해 이중 책무중 물가가다시 조금더 발이 앞서있는게 아닌가 생각함 (변수가 많으니)
그리고 기자회견 주요 질의 응답 중에 향후 금리 정책에 대해 어케 생각하냐니깐
확실히 남은 2번의 금리인하카드를 시장 잘 관찰하면서 아껴서 쓴다고 이야기함
(대략적으로 이번년도 상반기에는 쓰기 어려울듯)
다만 고용이나 물가가 다시 부정적영향을 크게 보인다면 그 기간이 앞당겨 지긴하겠지만 지금은 그 시기가 가깝기는 어렵다고 봄
대략적으로 정리하자면 이렇게 요약이됨
(블로그 발췌)
내 생각을 요약하자면 이번 fomc에서 추후 나올 고용지표 보다 물가지표가 더힘이 생긴거고 3월 금리인하가능성이 떨어지니 점도표 변화도 크게 없을거라 금리 인하 시기는 현재 6월이 지난 이후 (9월 부터나 하지않을까.?) 진행할것같음
이번 1월 fomc는 약간의 노이즈가 있긴 있었지만 큰 변화를 일으킬 만한 내용이 크게 없었기 때문에 사실 별거아닌 fomc 이긴 하지만 그래도 내용 요약 올림
....
차트분석은 안하냐.. 생각할텐데
( 개인 x튜브에 내용 올린게 있는데 이관점이 꺾이지않은이상 당분간은 차트분석은 안올릴예정 )
97k가 저점일텐데 그부분도 내용 올렸음
[2025.01.16][ALGO] 추세,저항 모두 돌파 ! 리테스트도 성공 ! 흐름 좋아요안녕하세요.
COIN TRADER TEAM을 만들어서 함께 모여 투자하는 EZ GROUP 입니다.
지난번에 알고랜드 관점에 이은 추가 업로드 입니다.
여전히 상승관점으로 보고 있고, 흐름 또한 괜찮습니다.
먼저 이전 고점과 단기 저점에 대한 피보나치 되돌림구간 세팅했고, 하락추세 , 를 추가했습니다. 하락추세 과 를 깔끔하게 돌파해주었으며, 추세 돌파 후 리테스트까지 깔끔하게 나와주었네요.
현재 0.5 까지 반등이 나왔으며, 0.618까지의 되돌림은 확정적인 흐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0.618 터치이후의 움직임이 중요하다 보입니다. 여기를 뚫어준다면 이전고점까지의 추가 상승은 당연히 나올것이며, 1구간을 돌파해 상승 또한 충분히 가능성을 열어두고 볼만 합니다.
날봉상 이전 고점에 대한 돌파와 이후 리테스트까지 성공적으로 나왔기 때문에 상승관점에서는 더욱 더 긍정적인 흐름이겠죠. 앞서이야기했던 이전고점 1구간 돌파가 나와준다면 단기저항구간까지 목표가로 잡아주시면 됩니다. 해당구간에서 저항이 한번 나올 것으로 보이고 눌림에 다시 한번 더 진입가능한 자리를 찾아봐야겠지요. 지금 미리 그것을 예측하기란 어렵기 때문에 도달 이후 흐름을 보면서 다시 자리를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에 보이는 장기하락추세까지는 단기간에 도달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단기저항구간 도달이후의 무빙을 보면서 추가브리핑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1시간봉입니다. 반등이 나와주었던 저점을 기준으로 저항을 받은 구간에 대한 상승채널이 형성된 것이 확인됩니다. 조금 더 단기적으로 복표구간을 잡아보자면 채널상단까지도 충분히 기대해볼만 하겠죠. 여기서 우리가 원하는 폭발적인 상승을 위해서는 상승채널 상단에 대한 돌파가 나와주어야 합니다. 패턴도 상승쐐기나 어센딩도 그렇지만 이렇게 상승채널도 상단을 돌파했을때에는 상승에 속도가 붙어 빠르게 상승이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 상승채널 상단에 대한 돌파에 대해 실패한다면 단기적으로 숏 포지션에 대한 대응이 필요할거에요. 이점 반드시 유의해주세요.
계속해서 롱 포지션만 보는 이유는 해당차트는 주봉인데 주봉상 더블바텀패턴이 나와주었고 넥라인 또한 돌파이후 제가 중요하게 보는 리테스트도 성공적으로 나와주었기 때문입니다. 보통 더블바텀의 경우 넥라인으로부터 바닥까지의 깊이만큼 넥라인을 뚫었을때 1:1 비율로 상승하는 것을 이론적으로 목표가로 세팅해볼 수 있습니다.
흐름자체 또한 좋기 때문에 관점 참고하셔서 큰 수익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01.22][MOCA] 천천히 매수받아볼만한 자리 왔네요.안녕하세요.
COIN TRADER TEAM을 만들어서 함께 모여 투자하는 EZ GROUP 입니다.
상장한지 얼마되지 않은 코인이긴한데...같이 공부하시는 분들 중에 누가 이 종목 차트를 좀 봐달라고 하셔서 알게되었습니다.
상장이후 단기고점을 찍었던 구간과 이후 조정을 받고 반등이 나온지점에 대해 피보나치되돌림을 적용시켜보면 현재 4구간 맥스치를 찍어주고 저항이 나왔습니다. 위에서 저항을 받고 내리기전 차트 모양을 보면 디센딩트라이앵글이 보이죠. 1:1 비율로 내리는 것을 이론상 목표값으로 잡습니다. 제가 봤을때는 1:1비율로 현재 다 내린 것으로 보여요.
그렇다면 여기서 생각해볼 수 잇는 점은 뭘까요 ?
바로 "기술적 반등"에 대한 수익을 챙길 수 있는 구간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현구간부터는 조금 공격적으로 매수해볼만한 자리라고 보이고 아래로 1,2,3으로 표시해둔 구간은 신규진입 및 추가매수자리로 표시해둔 것입니다. 단기적으로 목표가를 잡아보자면 1.618까지 봐도 무방할 듯 합니다.
조금 다른 시각으로 차트를 분석해보면 상장이후 우상향을 해주면서 상승채널을 만들어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큰 채널의 미들라인을 뚫고 내려왔지만 아래 작은채널 미들라인에서 반응이 나와주고 있죠. 이 구간은 이전에도 저항과 지지가 많이 나왔던 구간입니다. 따라서 앞서 이야기 했던 디센딩 트라이앵글 하락에 대한 1:1비율만큼 내린 구간과 딱 맞아떨어지게되는거죠. 충분히 매력적인 자리라 생각이 듭니다. 단기 반등이 나온다면 큰채널의 미들라인까지 목표가 잡아보시면 됩니다.
혹시 현재 자리가 마음에 들지 않으시다면 채널 가장 하단까지 기다려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근데 채널하단이 뚫린다면 절대적으로 매수포지션보는 것은 안하시는게 좋다고 말씀드립니다. 채널하단이 뚫릴 경우에는 이전에 지지받고 올렸던 구간까지는 쉽게 빠질 수 있기 때문에 항시 리스크 관리에 신경써서 매매에 임하셔야 합니다.
4시간봉 차트입니다. 단기적인 흐름 또한 아직은 상승추세안에서 놀고있다 보여집니다. 조금만 기다려보면 매수타점 또 하나가 더 보이죠. 바로 초록색으로 표시해둔 구간입니다. 충분히 빠질수있는 차트모양임에도 불구하고 매수포지션에 대해서 자꾸 언급해드리는 이유는 손익구간이 좋기 때문에 단기간 반등을 충분히 노려볼 수 있기 때문이죠. 과거 지지와 저항을 많이 받아주었던 자리에서는 어떤 형식으로든 반응이 나오기 마련입니다. 대응 또한 깔끔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시각으로 차트를 분석해볼 필요가 있어요.
상장한지 그리 오래된 코인이 아니기 때문에 너무 욕심을 내시기 보다는 수익줄 때 적당히 수익챙기시면서 남은 물량으로 길게보는 방법으로 큰 수익 노려보는 것이 좋다 생각합니다. 분석을 통해 투자를 하는 것이지 도박을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죠.
그럼 오늘도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2025.01.22][VTHO] 저항구간 도달, 과연 어디까지 눌릴지안녕하세요.
COIN TRADER TEAM을 만들어서 함께 모여 투자하는 EZ GROUP 입니다.
어제 업비트에 상장되었던 비토르토큰 인기가 어마무시합니다 ^_^;;
과거데이터가 업비트에는 없기 때문에 정확한 차트분석을 위해서 바이낸스 거래소 기준으로 차트분석을 진행해보겠습니다.
날봉차트입니다.
상장이후 최고점을 빠르게 찍어주고 21년도부터 지속적인 하락세를 이어왔습니다. 그리고 23년도 부터 저점을 점차 올리며 상승의 각을 가파르게 올리기 시작했네요. 올해 1월에 장기하락추세를 돌파해주면서 상승에 대한 긍정적 시그널을 보내오고 있습니다만, 무지성으로 매수들어갈 자리가 저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물론 장기적인 흐름은 좋습니다. 모든 종목에 저는 세력들이 하나씩 다 개입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프렉탈이라는 것을 절대 무시할 수 없는 부분 중 하나죠.
장기하락추세를 뚫고 올리기 전 무빙과 비슷한 패턴으로 상승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피보나치 4구간을 터치하고 나서는 장기간조정 or 빠른돌파 둘중에 하나로 봅니다. 보수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장기간조정을 받을 수 있다는 시나리오에 대해 생각해봤네요.
조금 더 확대해서 아까 체크했던 프렉탈구간에 대한 봉패턴을 그대로 넣어보면 이렇게 하나의 큰 상승채널이 보입니다. 결국 중요한 구간은 채널 미들라인과 그 아래 초록색 구간으로 확인이 됩니다.
어디까지 눌릴 수 있는지는 지금 체크가 어느정도 되었죠. 만약 여기서 채널 상단을 뚫고 바로 쏘아버린다면 돌파매매를 진행하셔서 따라가시면되고 이 부분에 대한 손절라인은 결국 다시 채널아래로 뚫고 내려왔을때 하시면 됩니다.
조정이 끝나고 상승을 시작하는 시기는 앞에서 체크했듯이 하락추세돌파가 나와주는 시점부터겠죠. 돌파를 확인하고 진입해도 충분히 늦지 않고 충분히 괜찮은 가격대에 진입하는 것이니 급하게 매수하지 않으셨으면 하네요.
조금 더 단기적인 흐름을 1시간봉으로 체크해보겠습니다. 2.272구간을 깨지않고 상승이 한번 더 나와준다면, 위 4구간까지 다시 한번 도달할 가능성이 있고 여기서부터 어떻게 차트가 움직이는지를 보고 매도포지션 분할로 접근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반대로 상승이 아닌 하락이 시작되는 시점이라고 한다면, 1.618 / 1 / 0.618 구간이 제가 예상하는 반등구간으로 차분히 기다렸다가 해당구간에서 기술적 반등에 대한 수익을 노려봐도되며, 현물을 주로 매매하시는분들은 각 구간들이 신규진입구간 및 추가매수구간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 경우에는 앞에서 체크했던 프렉탈에 대한 가능성이 높아지는 시점이라 보기 때문에 조금 더 여유를 가지고 체크 해둔 자리까지 기다렸다 진입하셔도 늦지 않으니 절대 급하게 매매하지 않으셨으면 좋겠네요.
그럼 계속 모니터링하면서 변동사항 생길시에 추가 업로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성투하시길 기원합니다.
1월 31일 비트코인 브리핑비트코인/USDT/바이낸스/현물/4시간 차트입니다
비트코인이 전일 경제지표 발표에 일시적으로 혼조세 보이다
106K 부근에서 저항을 맞고 소폭 하회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미국 4분기 실질 GDP 성장률은 예상치보다 하회하며
금리 인하 가능성에 무게를 실어주는 한편,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예상치보다 하회하며
금리 인하 지연 가능성에 무게를 실어주면서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성 (금리 인하 여부)에 긍정적인 것인지, 부정적인 것인지
시장에서 확실하게 반응하지 못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어제 자정 이후로 이어진 짧은 하락세는
설 연휴간 오른 상승분을 일부 반납하며 일시적으로 후퇴하는 흐름으로 보여지며,
당장의 하락전환이라고 보기보다는
앞으로 있을 경제 지표 발표에 예의 주시하며 눈치보는 듯한 흐름입니다.
오늘 또한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있어
경제지표 발표에 따른 변동성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1월 31일 22:30
- 미국 근원 소비지출 물가지수 MoM/YoY
- 개인 소비지출 물가지수 MoM/YoY
- 개인 소득/지출 MoM
이번 FOMC에서 파월 의장이 금리 인하에 대해 강조한 부분이,
"중립 금리 수준이 이전(코로나 펜데믹)보다 상승한 것은 사실이지만,
현 기준 금리가 중립 금리보다 높다는 것은 사실이다." 라면서도
"물가가 잡히는지, 고용시장이 위험한지에 따라
기준 금리 인하 속도를 조절해가겠다." 라고 말한 만큼
앞으로 경제 지표에 따른 시장 반응을 유심히 지켜보셔야 겠습니다.
현재는 당장 트럼프 트레이딩으로 인한 강한 상승추세 보다도
거시 경제 전망에 반응하는 흐름이 크다보니,
다음 주에도 주요 경제 지표 발표 일정이 잡혀있는 만큼
경제지표 일정 미리 파악해두어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주요 지지/저항 구간인 104~105K 구간에 진입해 있는 모습이며,
104K를 이탈하면 29일 브리핑에서 말씀드렸던
주황선(빗각)과 빨간선(하단상승추세선)부근에서 지지를 받고 반등 나오는지 확인이 필요할 것입니다.
거래량 동반하여 빨간선과 98.5~99.5K구간 차례대로 이탈한다면
파란선(빗각)과 초록선(이전 상단하락추세선), 96K 구간등에서
지지가 나와주는지가 주요 관건이 될 것입니다.
초록화살표와 빨간화살표는 지지저항과 빗각/추세선을 고려한
예상 시나리오이니 참고로 보시길 바랍니다.
단기 지지/저항구간은 이전과 대동소이합니다.
*저항구간 돌파 후에는 지지로 작용, 지지구간 이탈 후에는 저항으로 작용 한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
- 저항구간 : 104~105K 구간, 106K구간, 108K구간, 111K구간, 113K구간
- 지지구간 : 102,700구간, 101,200구간, 98.5K~99.5K구간★, 97,500구간, 96,000구간★, 93,800구간
- 단기적으로 다시 상승시도 나오기 위해서는
107K돌파 및 하락 시 98.5K~99.5K 지지구간에서 재차 지지를 받아야할 것이며,
이구간 이탈시 다시 낙폭 키워갈 가능성 열어둬야하는 점 참고바랍니다.
⚠️ 본 관점은 매수/매도를 추천하는 관점이 아닙니다.
⚠️ 참고용으로 활용해주세요
⚠️ 모든 투자의 선택과 판단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250131]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1/31) 시장 분석
나스닥
나스닥은 박스권에서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 1월 27일 만들었던 갭 앞에서 저항받는 모습으로, 현 위치에서 추가적인 상승을 하더라도 1월 24일 종가였던 21911 근처에서는 다시 한번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갭을 메우는 성질과 갭을 메웠을 때 강한 지지, 저항이 나오는 원리를 잘 기억해두시기 바랍니다. 일봉상으로 MACD가 매수시그널을 계속 유지중이기 때문에 눌림 시 매수 대응하는 게 유리한 장세입니다. 달러 약세로 인한 움직임으로 풀이되는데, 어제 골드의 강한 상승랠리처럼 나스닥도 추가적인 상승랠리가 펼쳐질 수 있으니 매도는 최대한 고점에서 대응하는 게 좋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MACD가 0선 위로 올라오면서 현재 Signal선을 0선 위로 끌어올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추가적인 상승으로 갭을 매워주는 형태가 나타난다면 MACD와 Signal선 모두 0선 위로 올라오고, 갭 저항에 따른 MACD의 횡보 이후 추가적인 방향성을 잡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눌림 시 매수 위주로 대응하되 매도 대응은 갭 이상의 구간에서 최대한 손절 잡고 리스크 관리하시면서 대응하시기 바랍니다.
오일
오일은 종가상 보합 마감하였습니다. 다만 하락채널을 벗기는 유의미한 움직임이 분봉상 나와주면서 일봉상 갭을 만들면서 5일 이동평균선을 돌파한 모습입니다. 그간 트럼프의 석유 시추 확대 발표 등에 따라 원웨이성으로 하락하였는데, 이슈는 가격에 많이 반영되어 현재는 기술적 반등을 노려볼 수 있는 구간입니다. 위로는 74.50라인 근처가 기점이 될텐데, 73불 이하에서는 72불 손절을 잡고 적극적인 매수 노려볼만한 구간입니다. 240분봉상으로는 바닥권에서 MACD의 다이버젼스를 만들며 매수신호가 재차 나타나주었고, 바닥권을 다지는 움직임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매수세를 기대해볼 수 있겠습니다. 전반적으로 아직 박스권 대응이 유효하지만 눌림 시 매수 위주로 대응하는 것이 유리하겠습니다.
골드
골드는 일봉상 급등하며 신고가를 돌파하며 상승마감하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금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어제 말씀드렸듯 MACD가 다시 상승으로 전환되면서 일봉상 추가급등이 나와주었습니다. 신고가를 강하게 돌파하였으나, 오늘은 박스권을 강하게 돌파한 장대양봉을 세워주었기 때문에 3일선에서 눌림 시 매수 대응이 유리한 날입니다. 따라서 프리장에서 조정받는 움직임이 나타나게 되면 3일선까지 눌릴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라며, 강한 급등세로 인해 3일선까지 오지 않고 다시 상승으로 전환되어 오늘 캔들을 양봉으로 마감시키면 3일선을 끌어올리는 효과도 나타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40분봉상으로는 현재 급등세가 나타나며 MACD와 Signal선의 이격이 굉장히 벌어진 상황입니다. 눌림 시 매수대응이 유효하며, RSI도 현재 과매수를 띄고 있어서 매도는 가급적 자제하는 게 좋겠습니다. 골드는 현재 변동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니, 계약수를 조절하거나, 마이크로 혹은 0.01랏 등 레버리지를 조절하여 손익절틱수를 더 길게 가져가는 게 대응하기 수월하겠습니다.
1월의 마지막 거래일이네요. 오늘도 리스크 관리하시면서 한 달 마무리 잘 하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성공투자하세요!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 나스닥 - 박스장
매수 - 21520 / 21475 / 21410 / 21375 / 21290
매도 - 21610 / 21700 / 21770 / 21900
· 오일 - 박스장
매수 - 73.65 / 73.10 / 72.60
매도 - 74.60 / 75.00 / 75.50 / 76.00
· 골드 - 매수장(4월물)
매수 - 2791 / 2787 / 2783 / 2775
매도 - 2804 / 2809 / 2821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차트무당 마코 1월 27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1월 27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글 입니다.
지금 현재 비트코인은 오늘 오전 조정이 강하게 내려오면서
10.2K 구간에서 배회 중 입니다.
12시간 차트까지의 MACD 데드크로스 각인 이 후 4시간 지지선까지
터치 하였으며 12시간 차트 볼린저밴드 중앙선을 이탈하였고
반등하기에는 다소 힘이 많이 필요한 자리 입니다.
현재 일봉차트 MACD 데드크로스 눌림구간이 진행 중 이며
이 데드크로스 눌림구간을 해소 시켜줘야 비트는
자유를 얻을 수 있을 듯 합니다.
102,207 구간을 기점으로 보았을 때 103,634 구간은
각 시간대 양운 눌림의 구간으로 터치 시 조정이 나올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구간 입니다.
이 구간에서 버티고 양운 눌림구간이 상방으로 바뀌어야
상승우위로 패턴이 바뀔 수 있는 점 참고 부탁 드립니다.
상승우위로 패턴이 바뀌게 된다면 104,677 구간 저항구간
여기서 잘 버텨 준다면 각 시간대 저항선인 107,159 자리까지
터치 할 수 있는 가능성은 있는 자리 입니다.
단 여기서 하방으로 더 눌리는 자리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주의 하셔야 합니다.
지금 자리가 각 일별차트로 보시면 구멍이 나있는 구간이며
이 구멍을 메워 주기위해선 101,149 구간까지 내려와야 합니다.
공교롭게도 101,149 구간은 6시간 8시간 12시간 차트의
볼린저밴드 지지선이 모두 포함이 되어 있는 구간이기 때문에
이 구간은 강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자리이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
하단에 바텀구간은 각 시간대 일목균형표의 양운의 지지구간 및
일봉차트 중앙선의 반등구간이며 이구간에서 지지 받는지 체크 하셔야 합니다.
하지만 일봉차트 데드크로스 눌림이 유지가 되고 있는 중 이기 때문에
이 구간을 해소시켜야 하며 뒤에 따라오는 2일차트부터의 MACD
데드크로스도 무시할 순 없는 구간이니 각자의 포지션에서
손절가는 필수로 잡아 두시면서 운영 하시길 바랍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2025.01.30][BTC] 숏 예상은 맞았으나, 생각했던것보다 덜내렸네요.안녕하세요.
COIN TRADER TEAM을 만들어서 함께 모여 투자하는 EZ GROUP 입니다.
이전 비트코인 관점을 보시면 다이아몬드 패턴을 벗어나도 위로 뚫었을시 108K부근의 강한 저항구간을 뚫어주지못할 경우 숏 관점으로 보시는 부분에 대해 추천을 드렸습니다.
다이아몬드패턴 상방 돌파 후 장기상승저항선에 대해 저항이 나와주는 모습이 재차 나와주었고 이후 플래그패턴으로 박스권횡보를 보이다 하방이탈 후 크게 하락이 나와주었죠.
91~92K 부근의 주황색 박스권 구간까지 열어놓고 보는 관점이었으나 중간에 체크해두었던 단기하락추세 돌파이후 파란색화살표로 표시해둔 리테스트를 받아주었던 추세선에 대한 반응이 다시 한번 더 나와주었습니다.
이후 채널을 만들면서 다시금 상승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상승추세 에 대한 리테스트후 재차하락 지금은 돌파 후 해당선에 대한 리테스트를 받고 있습니다. 단기적인 흐름이 상승관점에서 보았을때 긍정적인 방향으로 바라보기 위해서는 상승추세 을 지켜주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다만, 해당구간을 지켜주지 못한다면 다시한번 채널하단까지에 대한 하락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큰 흐름은 주봉상 아직까진 상승관점에서는 긍정적으로 보입니다. 저항추세선 돌파 후 지지를 받아주고 있기 때문에 한번더 크게 상승할 수 있는 길은 열려있다보셔도 무방할 듯 합니다.
확대해서 보시면 현재 주봉상 윗꼬리를 달고 내려와있는 부분이 106K 입니다. 여기를 확실히 몸통으로 뚫어주어야 본격적인 상승흐름이 나와줄 수 있으리라 생각해요.
다시 날봉차트로와서 현재흐름을 살펴보자면 단기하락채널 돌파이후 하락채널 미들라인에서 저항이 나왔으며 뚫어주었던 단기하락채널 에 대한 리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106K에 대한 돌파가 성공적으로 나와준다면 빠른시간내로 111K~114K까지의 상승이후 비슷한 흐름으로 채널하단에 대한 리테스트가 나올 수 있음을 확인해볼수있네요. 저는 상승관점에서 긍정적이기 위해서는 1.272 까지의 조정만 나왔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조금 더 짧은 1시간봉 차트입니다.
저점을 기준으로 상승추세, 채널을 만들어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주황색구간은 이전에 저항이 나와주었던 구간으로 해당구간에 대한 돌파 지지여부가 가장 중요합니다. 이 해당구간은 제일 앞에서 알려드렸던 상승추세 채널 상단 구간이죠. 이 구간을 돌파 지지해준다면 108~109K에 대한 도전을 다시한번 하러 올라갈 것으로 보이며, 이번에는 뚫어줄 가능성이 높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계속해서 추적하여 실시간 대응이 중요할 듯 보입니다.
항상 말씀드리는 부분이지만 무조건 간다, 무조건 내린다는 절대 없다고 생각합니다.
항상 성공투자하시길 기원합니다 !
(글) 내가 알트코인 분석을 공유하지 않는 이유제가 '알트코인' 분석을 공유해 드리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그 이유는 명확합니다.
저부터 알트코인을 안 하기 때문입니다.
제가 2017년부터 코인을 했습니다.
비트코인 소문 듣고 들어왔으나, 실제로는 알트코인만 건드렸습니다.
1,000번의 매매를 하면 1,000번 다 알트코인 갖고 놀았습니다.
비트코인은 돈이 안 된다고 확신했습니다.
알트코인이 기회라고 생각했습니다.
비트코인 차트를 보면서 정작 매매는 알트 매매를 했습니다.
초심자의 행운인가요?
운 좋게 크게 벌어보기도 했습니다.
수익률로 치면 1,000%씩 먹어보기도 했습니다.
그렇게 1,000%를 2번 연속으로 먹고 원금 대비 100배 이상의 수익을 냈던 적도 있습니다.
여기까지 걸린 기간은 1개월 이 안 됩니다.
그런데 행운이 딱 거기까지였는지, 결국 청산 당하고 번 돈 다 날렸습니다.
그때 꺼진 모니터 앞에서 10시간 동안 가만히 있었습니다.
쓸데없이 로그아웃 했다가 재로그인 해보기도 했습니다.
그러면 마치 잃은 돈이 돌아온다는 듯이.
알트코인은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입니다.
그런데 코인 시장 기본 변동성이 크다는 점 고려하면,
초하이리스크, 초하이리턴 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정도로 리스크가 커지면 실력의 범주를 벗어나게 된다고 느꼈습니다.
오늘 운 좋으면 먹는 거고.
내일 운 나쁘면 잃는 거고.
무한 반복.
부질없는 트레이딩을 3년쯤 이어갔습니다.
잃고, 벌고, 잃고, 벌기를.
하루는 지옥이고, 하루는 천국이다 보니, 너무 스트레스를 받았습니다.
이 생활을 유지하지 못할 것만 같았습니다.
그러다 2020년쯤이었나요.
워뇨띠의 일지를 읽은 적이 있습니다.
그때는 워뇨띠가 이 정도로 유명해지기 전이었습니다.
워뇨띠가 말하길,
자기는 비트코인 트레이딩만 한다고 합니다.
알트코인은 실력 싸움은 아닌 거 같다고.
비트코인만 해도 충분한 거 같다고.
그러더군요.
워뇨띠의 일지를 보고 감명을 받았습니다.
그 뒤 몇몇의 고수들이 올린 글들을 관찰했습니다.
그리고 신기한 점을 발견했습니다.
나름 돈 좀 벌었다는 사람들은 하나같이 비트코인 트레이더라는 점이었습니다.
약속이라도 한 듯이 비트 위주로 트레이딩을 한답니다.
지금까지 내가 한 건 알트였는데.
비트 분석해 놓고 알트 들어갔는데.
그 뒤로 속는 셈 치고 비트코인만 해봤습니다.
더럽게 재미가 없었습니다.
많은 시간이 지루했습니다.
차트 켜놓고 옆 화면으로 유튜브 봤습니다.
알트 갖고 놀던 시절에는 한 달 안에 시드가 0원이 되든 5배가 되든 둘 중 하나였습니다.
그런데 비트코인 갖고 노니까 한 달에 시드 50% 움직이면 많이 움직인 거였습니다.
도파민이 사라졌습니다.
철저하게 기계적인 트레이딩의 반복.
핵심은 여기서 나옵니다.
"2020년 이후로 풀시드 청산 당한 적이 없습니다."
물론 단기간에 크게 벌지도 못합니다.
워뇨띠의 일 평균 수익은 0.5%가 안 됩니다.
'매일 1%씩 벌어야지.' 라는 야망이 얼마나 욕심 가득한 망상인지 깨닫게 되는 대목입니다.
5,000만 명 중에서 1등을 하는 남자의 일 평균 수익률이 0.5% 미만이랍니다.
만약 제가 아직까지 알트 트레이더였다면?
아마도 코로나쯤 멸망하고 노가다 뛰러 가지 않았을까요.
혹은 코로나 때 버텼으면 붓다빔에라도.
붓다빔 버텼으면 루나빔에라도.
루나빔 버텼으면 FTX 파산빔에라도.
그거 버텼으면 헝다 파산빔에.
그거 버텼으면 ETF 빔에.
그거 버텼으면.. 그거 버텼으면...
결국에 운이 아주 안 좋은 날에 터지고 말았을 겁니다.
그래서 제 입장에서는, 알트코인 분석을 올리면
'정작 나는 하지도 않는 종목을 남들한테 보여주기'가 됩니다.
그게 멋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나부터 안 하는 걸 남한테 추천한다는 게.
알트 현물? 자유롭게 해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건 그나마 청산은 없습니다.
그런데 알트 선물은?
솔직히 하지 않는 걸 권장드리고 싶습니다.
언젠가 꺼진 모니터를 10시간 동안 쳐다보게 되실 수 있습니다.
(누군가는 이 글을 보고 코웃음 칠 겁니다.
'풉. 지가 못하는 거면서.'
그런데 제가 장담할게요.
그런 사람들 6개월 이내에 후회할 날이 올 겁니다.
과거의 제가 그랬습니다.
1개월만에 시드 100배를 불려보세요. 세상이 얼마나 가소롭게 느껴지는지.)
- 매매 권유 아닙니다. 개인 관점입니다. 공부용으로 봐주세요.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
트럼프 취임 이후 비트코인에 대한 방향은?안녕하세요 팔로워 여러분들 거의 처음으로 올렸던 아이디어가 여러곳에 퍼져서 정말 많은 분들이 부스트 해주시고 관심 가져주셔서 일단 감사의 인사말씀 먼저 드리고 시작하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사실 이렇게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주실줄 몰라서 정말 다음 사이클 관련 아이디어에 대해 정말 큰 부담을 가지고 있었는데요 .
언제나 그렇듯이 차트를 분석하고 퍼블리쉬 하는 것은 결과론적인 이야기가 될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항상 시장을 예측하는 트레이더는 결국 시간이 지나서 까봐야 그때 증명이 되는 것이니까요...
서론을 넘어서 이제 사이클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지난번 글을 올렸을 당시 예측했던 하락 기간정도는 약 19일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정확히는 약 27일 일주일 정도가 더 길어진 느낌이었습니다. 그거에 대한 이유는 트럼프 취임식 및 미국의 여러가지 fed에서 발표하는 지표들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사실 차트만 본다고 해서 방향성을 예측할 수도 있겠지만. 이런 매크로적인 부분이 차트에 영향을 못미친다고 얘기할 수는 없으니 말이죠. 특히 현재로서 많은 국가들이 비트코인을 채택하고 국가의 달러를 비트코인으로 전환하는 모습들을 보면 말이죠...
차트를 봐서는 사실 할말이 없습니다... 제가 트레이딩 관점보다는 사이클 적으로 바라보고 앞으로 투자방향성에 대한 글을 앞으로 올릴 예정이기에.. 다만 98000 빗각 지지선을 밑꼬리를 길게 형성하고 지지해주었기에 상승의 여력을 만들어 준것 같습니다.
허나 확실히 말씀드릴 수 있는건 이제 2번째 상승 추세의 시작점이라 생각이 되고 앞으로 많은 변동성이 여러분들을 힘들게 할 것이라는 것을.. 지난 사이클을 겪어보신 분들은 알 것입니다.
21년도 불장당시 차트를 한번 봐봅시다.
크게 쐐기형태를 만들면서 위아래로 크게 흔드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번 사이클이 어떤 패턴을 그리면서 상승해줄지는 모르겠지만 지난 사이클보다 큰 변동성을 줄 것이라는 생각이 되네요. 이번 사이클 부터 많은 기관 우리가 흔히 말하는 mm의 패턴이 달라진 양상을 계속 보여주고 있으니 말이죠.
1월 30일 31 일 그리고 2월 초에는 미국에서 많은 변동성을 크게 줄만한 이벤트들이 즐비해 있습니다.
이런 것들을 바탕으로 사실 지표가 좋게 나오든 안좋게 나오든 저는 이런 이벤트를 가지고 비트코인을 위로 상승시켜주지 않을까 싶네요.
상승추세가 전고점을 돌파해서 완전히 시작되게 된다면 아마 4월 초 중순까지는 상승해주지 않을까 싶습니다.
잊지말아야할 건 상승장 속에서 계속 상승하는 일은 없다... 중간의 큰 하락들이 여러분들을 힘들게 할 것입니다.
이 말을 명심하고 트레이딩에 임하셨으면 하고 설 연휴 따뜻하게 잘 보내셨길 바라며 이만 글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짧고 서툰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두 성투하세요~
.
.
.
.
다음 글은 알트코인 네러티브와 하입 그리고 덱스 트레이딩 메타에 대해 글을 써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50130]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1/30) 시장 분석
나스닥
나스닥은 전일 FOMC 연준 금리동결과 주요 기업들의 실적발표 소화하며 보합마감하였습니다. 원칙상 5일선 매도대응하는 위치가 적중하였고, FOMC와 테슬라, MS 등 실적발표에도 큰 움직임 없이 박스권을 그리게 되었습니다. 일봉상 아직 MACD가 Signal선과 함께 0선 위에 있는 상황이라, 매수시그널이 유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만 급등락이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이격이 크지 않은 모습이라 박스권을 유지하고 있는데, 아직 매수시그널이 살아있기 때문에 1월 27일 만들었던 갭하락을 메우는지 여부를 주시하면서 박스권 대응하는 게 유리하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0선 아래에서 골든크로스 이후 현재 횡보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MACD가 Signal선을 하방으로 이탈하기 위해서는 급락의 모습이 필요한 상황인데, MACD와 Signal선의 이격으로는 급락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다만 횡보하면서 이격을 좁히고 MACD와 Signal선이 붙어주는 모습을 보여주면 매수파동을 한번 더 갈지, 매도파동으로 이어질지 추세가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 GDP 지표발표와 애플 실적발표 등 굵직한 지표에 따른 추세가 만들어질 수 있으니 박스권 대응하는 게 유리하겠습니다.
오일
오일은 74불에서 저항맞으며 하락마감하였습니다. 현재 일봉상 매도시그널이 유지되는 상황에서 5일선을 돌파하지 못하고 하락채널 안에서 하락하는 모습입니다. 72불라인에서 지지받고 있는데, 매수로 보자면 73.60 부근의 하락채널 상단을 강한 장대양봉으로 기준봉을 세우며 돌파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MACD와 Signal선이 모두 0선 아래에서 MACD는 Signal선을 골든크로스 하였지만 급등하지 못하면서 이격을 크게 벌리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72~73불 라인이 과거 매물대가 두터웠다는 점을 감안하여 가급적 눌림 시 매수 대응이 유리하겠는데, 만약 재차 하방돌파가 이어지며 매도시그널이 발생한다면 72불라인이 지지되는지 여부가 중요하겠습니다.
골드
골드는 일봉상 보합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 매수시그널이 유지되고 있는 상황으로 MACD와 Signal선이 이격을 좁히며 붙는 과정을 겪고 있습니다. 아직 MACD와 Signal선의 이격이 있는 상황이라 한번에 매도시그널로 전환되기는 쉽지 않아 보이며, MACD가 상승으로 방향을 잡게되면 추가상승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만약 추가상승하여 주봉상 양봉을 만들며 MACD가 Signal선을 골든크로스하는지가 중요하겠으며, 1차적 2800, 2차 2820라인을 주요 맥점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매수시그널이 유지되고 있으나 이격이 좁아 약한 상황으로 수급도 혼조세를 보이는 박스권입니다. 현재로서는 240분봉에서 매도시그널이 나타나기 전까지는 눌림 시 매수 위주로 대응하되 오늘 지표발표에 따른 프리장 박스권이 나타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 나스닥 - 박스장
매수 - 21470 / 21400 / 21360 / 21285 / 21220
매도 - 21625 / 21680 / 21770 / 21890
· 오일 - 박스장
매수 - 72.60 / 72.00 / 71.40 / 70.50
매도 - 73.40 / 73.85 / 74.40 / 75.00
· 골드 - 매수장(4월물)
매수 - 2793 / 2787 / 2777 / 2773 / 2768
매도 - 2803 / 2809 / 2813 / 2821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제가 생각하는 트레이딩이란...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좋은 글을 남겨 주신 @TradingBrokersView님께 감사드립니다.
(원본)
🚨 Bitcoin update! 🚨 BTC rejected at MA50 (4h) inside a Channel Down pattern. If history repeats, we could see a Lower Low at 95K (-10.7%), aligning with MA100 (1d) support. RSI (4h) is confirming bearish momentum.
🔥 Trading Plan: Sell now before further downside!
(구글번역)
🚨 비트코인 업데이트! 🚨 BTC가 MA50(4h)에서 채널 하락 패턴 내에서 거부되었습니다. 역사가 반복된다면 MA100(1d) 지원과 일치하는 95K(-10.7%)에서 더 낮은 저점을 볼 수 있습니다. RSI(4h)는 약세 모멘텀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 거래 계획: 더 하락하기 전에 지금 매도하세요!
어떻게 말씀드리는 것이 좋을까 생각하다가 이렇게 아이디어로 말씀드리게 되었습니다.
다시 한번 더 감사드립니다.
------------------------------------
#BTCUSDT 1M
차트에 표시된 것과 같이 많은 상승을 한 상태이니 하락 압력을 받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입니다.
이 하락 압력이 얼마나 크게 올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다만, 제가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자금의 흐름입니다.
좀 더 자세한 흐름을 보기 위해서는 1D 차트에서 갭 발생 상태를 봐야 하지만, 전체적인 자금의 흐름을 볼 때 많은 자금이 코인 시장으로 유입도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러한 자금의 유입에서 모두 매도하는 것은 앞으로 다가올 상승장에서 변동성을 이기지 못하고 오히려 손실을 입을 확률이 증가한다는 것 입니다.
그 이유는 매수 평균 단가가 너무 높게 설정될 가능성이 높고 변동폭 구간에 위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게 대응해야 합니다.
즉, 자신의 투자 스타일이 급하고 빠른 거래를 원하는 스타일이라면 언제든 하락하려는 모습을 보일 때 매도하여 수익을 얻는 전략이 적합할 것 입니다.
그렇지 않고 좀 더 긴 전망을 보거나 현물 거래 위주로 거래를 진행한다면 모두 매도하기 보다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을 남겨 둠으로서 차후 상승장에서 보다 쉽게 매수를 진행할 수 있는 여유를 갖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을 남겨 둔다는 것은 매수 원금이 0인 코인(토큰)을 말합니다.
즉, 매수하여 가격이 상승하였을 때 매수 원금만큼 매도한 것을 말합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BTCUSDT 1M 차트를 볼 때, 피보나치 비율 지점인 1.618 (89050.0) 부근이 상당히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BTCUSDT 1D
이번 변동성 기간은 1월 31일까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이번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101947.24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관건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만일 101947.24 부근에서 지지 받지 못하고 하락하게 된다면, 결국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하면서 추세를 다시 결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저의 아이디어를 계속 읽어 보셨다면, 차트 분석으로 거래 전략을 만들려고 하면 안된다는 것을 이해하였을 겁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 처럼 차트 분석으로 얻은 정보로 본인의 투자 스타일에 맞게 거래 전략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 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이제 하락할 것이니 모두 매도하라는 의견은 보는 사람들마다 다르게 와닫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현재 수익 중인 분들도 있고 손실 중이신 분들도 계실 겁니다.
수익 중이신 분들은 하락하더라도 기다릴 수 있는 여유가 있을 것이고, 손실 중이신 분들은 심리적인 압박에 시달리실 수 있을 겁니다.
제가 드리고 정보는 이러한 모든 분들에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려는데 있습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제가 굳이 말씀드리는 가격, 즉,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에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본인의 매수 평균 단가가 제가 말씀드리는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 이하에 위치해 있다면 하락의 추세와 강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여유를 갖고 상황을 판단하실 수 있습니다.
만일 그렇지 못하다면, 현재 보유하고 있는 현금의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에 따라 대응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현금 규모가 총 투자금의 20% 미만이고 자신의 심리 상태가 불안하다고 느껴진다면 일부 매도하여 현금을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면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추가 매수할 수 있는 여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심리적인 안정을 어느 정도 보장 받을 수 있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트레이딩이란 이와 같이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게, 자신의 심리 상태에 맞게 대응해 나가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현재 자신의 심리 상태가 어떤지 냉정하게 바라보고 현금 보유를 잘 체크하여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게 대응 전략을 만드셔야 합니다.
이것이 제가 말씀드릴 수 있는 전략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1월 29일 비트코인 브리핑1월 29일 비트코인 브리핑
비트코인/USDT/바이낸스/현물/4시간 차트입니다
지난 27일 이른 아침,
미 증시 마감하며 중국 AI 스타트업 딥 시크발 여파가
비트코인 시장에도 영향을 끼치는 모습이었습니다.
기존 AI 업계에 AI칩 등 비용 문제에 딥 시크가 과격할 정도로 낮은 비용으로 업계에 충격을 주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AI 국책사업 "스타게이트"의 사업성과 불신으로 번졌고,
연쇄 작용으로 트럼프가 공약해온 가상화폐 정책에 대한 불신으로까지 이어지며
급격한 하락세를 만드는 흐름이었습니다.
비트코인은 이날 오후 97.8K 까지 하락이 나오며 약 7%의 조정이 나왔으며
주요 지지구간이었던 98.5~99.5K 구간을 소폭 이탈 했지만
97.5K 상단에서 지지를 받으며 빠르게 주요 지지구간까지 반등,
이후 급등 급락을 반복하며 103K 부근까지 회복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오늘 29일 오전에는 한차례 다시 낙폭이 나왔지만
다시 반등 나오며 현재 브리핑 작성 시간 16시 기준 102.7K 부근에 위치한 모습입니다.
이전 브리핑에서 설명드렸던 두번째 빗각(왼쪽에서 두번째 주황선)을 보시면,
이 선을 거래량 동반한 하방 이탈하면서 낙폭이 나온 모습이었고,
세번째 주황선을 강하게 이탈하며 하단부 파동을 완성하는 모습입니다.
27일의 저점은
1월 7일의 고점과 20일 저점의 빗각으로 이은 연장선(파란선) 부근이며,
1월 13일 저점과 27일의 저점을 이으면 하단 상승추세선(빨간선)이 나오게 됩니다.
오늘 이후로의 상승 추세에서는 이 빨간선 또는,
세번째 주황선을 타고 상승세 이어갈 수 있는 지 여부와,
주요 지지 저항 구간인 104~105K를 돌파할수 있는지 여부가
중요 포인트가 되겠습니다.
만약 빨간선(하단 상승추세선)을 돌파하락 한다면
주요 지지구간인 98.5~99.5K 구간을 다시 이탈하며
이전 지지구간선들을 위협하는 하락세가 단기간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이며,
현재로선 98.5~99.5K 구간에서 거래량 실리며 지지 받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상승이어갈 여지가 남아있는 상태입니다.
다만, 아직 트럼프 트레이딩의 효과가 크게 나오지 않는 상황임과 동시에
익일 새벽 FOMC 발표, 미 연준 통화정책 방향성이 가상화폐 시장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점에서
현 시점, 단기적으로 상승과 하락을 섣불리 예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라 보여집니다.
이번 FOMC는 30일 새벽 4시 (29일에서 넘어가는 새벽) 입니다.
FOMC 뿐만아니라
목요일 22:30
- 미 GDP 성장률 QoQ
- 근원 PCE QoQ
- PCE QoQ
- 실업수당청구건수
금요일 22:30
- 미 근원 PCE MoM/YoY
- PCE MoM/YoY
- 고용 비용 QoQ
- 개인 소비/지출 MoM
등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있는 만큼
주요지표 발표에 따라 단기 방향성이 크게 엇갈릴 수 있어
변동성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단기 지지/저항구간은 이전과 대동소이합니다.
*저항구간 돌파 후에는 지지로 작용, 지지구간 이탈 후에는 저항으로 작용 한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
- 저항구간 : 102,700구간, 104~105K 구간, 106K구간, 108K구간, 111K구간, 113K구간
- 지지구간 : 102,700구간, 101,200구간, 98.5K~99.5K구간★, 97,500구간, 96,000구간★, 93,800구간
- 단기적으로 다시 상승시도 나오기 위해서는
104~105K 돌파 및 하락 시 98.5K~99.5K 지지구간에서 재차 지지를 받아야할 것이며,
이구간 이탈시 다시 낙폭 키워갈 가능성 열어둬야하는 점 참고바랍니다.
⚠️ 본 관점은 매수/매도를 추천하는 관점이 아닙니다.
⚠️ 참고용으로 활용해주세요
⚠️ 모든 투자의 선택과 판단은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