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과 달러 인덱 패턴의 비밀상단 차트는 달라인덱스 DXY 차트입니다.
하단 차트는 알트코인 시가총액 OTHERS 차트입니다.
DXY 달라인덱스와 알트코인의 상승에는 역학 관계가 존재합니다.
과거 2016년 12월 27일 달라 인덱스가 정점을 찍었던 차트상 1번 고점은 정확히 알트코인의 바닥 탈출 불자의 시작점 이었습니다.
이후 1,175일이 지나 2020년 3월 16일 달라 인덱스가 다시 한번 정점을 찍었던 차트상 2번 고점 또한 코로나 팬데믹 이후 알트코인의 반등의 시작점인 정확한 저점이었습니다.
이후 609일간의 알트코인 불장이 지속됬으며, 609일 후 달라 인덱스가 하락의 절반값을 회복하면서 알트코인을 포함한 코인 시작의 하락장이 시작됩니다.
2022년 9월 26일 다시 한번 달라 인덱스는 정점을 찍으며 1번 고점이 발생하고 이전 패턴이 반복됩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달라 인덱스 고점에서 알트코인의 반등이 바로 나오지는 않았습니다. 84일의 유예기간을 거친 후 상승이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이전 2016년 DXY 1차 고점과 2020년 3월 2차 고점간의 기간 1,175일의 71.49% 정도의 기간인 840일이 지나 달라인덱스의 고점이 발생합니다. 이번에도 과거 2020년 2차 고점 때와는 다르게 바로 반등이 나오지 않고 84일의 유예기간 후 반등이 시작되었습니다.
과거 2020년 2차 고점으로 부터 시작된 하락의 절반값을 되돌리는데 걸린 시간은 609일이며 여기에 71.49%는 434일 입니다.
그렇다면, 이번 불장의 끝은 2026년 3월 23일이 됩니다. 하지만 이번 알트코인의 저점 반등은 달라 인덱스 고점으로 부터 정확히 84일간의 유예기간을 거친 만큼 불장이 끝나는 데도 84일의 유예기간을 거친다면 이번 불장은 2026년 6월 15일 까지 지속됩니다.
정리하자면, 달라인덱스 차트는 지지 구군에 도착해 있으며, 이곳에서 반등이 시작될 수 있다.
과거 달라의 조정 이후 반등이 시작되는 구간에서 알트코인은 불장이 이어 졌으며, 달라가 하락분의 절반값을 되돌리는 순간이 불장이 끝나는 시점이었다.
이번에도 같은 패턴이 반복된다면, 알트코인의 불장은 이제 부터 시작되며, 내년 3월 23일 또는 6월 16일 까지 지속될 수 있다.
우리는 알트코인 포트폴리오를 철저히 준비하여, 이번 불장 짧으면 6개월 길면 9개월을 즐겨야한다.
기술적 분석을 뛰어넘어
비트코인은 지금 매우 중요한 분기점에 도착해 있습니다.아래 차트는 저희 머니카피랩의 슈퍼채널 작도를 통한 비트코인 일봉차트의 주요 지지 저항 채널입니다.
현재 위치는 지난 6월 5일과 8월 25일 두차례 지지 받았던 채널 라인입니다.
지난 6월 5일에도 이곳에 지지 받은 후 반등은 나왔지만 다시 이곳을 하방 이탈하였고, 6월 22일 아래 빨강색 채널 라인에 지지 받으면서 큰 상승으로 이어졌습니다.
8월 25일 지지 이후에도 이곳은 이탈 되었지만 다시 회복하여 지지를 리테스트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9월 미국의 금리인하 발표를 앞두고 이곳에서 숨고르기를 하고 있는 모습으로 보여집니다.
만약 이곳이 이탈된다면 우리는 지난 4월 23일 부터 지금까지 5개월 가까이 한번도 꺠지지 않고 도착할때 마다 저점이었던 아래 빨강색 슈퍼채널 라인에서 매수를 받아봐야 합니다.
또한 하단 빨강 슈퍼채널 라인은 현재 진행 중인 하락 추세와 중첩되는 구간이기도 합니다.
추세적으로 매우 강한 지지가 될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하락률은 현재 가격으로 부터 최대 -5% 구간까지 볼 수 있으니 -5% 근처의 하락이 나오면 두려워 할 것이 아니라 기회가 왔음을 인지하고 매수 전략을 세워야 할 것입니다.
이번에는 저희 머니카피랩의 리얼프라이스 지표를 통해 비트코인의 상황을 살펴 보겠습니다.
* 리얼프라이스란?
리얼프라이스는 달라의 가치 DXY를 녹여낸 가치 차트입니다.
DXY(달러 인덱스)는 주요 6개 국가의 통화 EUR, JPY, GBP, CAD, SEK, CHF 와 미국 달라 USD 와 비교하여 가치를 측정해주는 지수로 달라의 가치가 높아지면 DXY 지수가 올라가고 달라의 가치가 내려가면 DXY 지수가 내려가는 구조입니다.
리얼프라이스를 통해 차트를 보게되면 가격이 아닌 실제 자산가들이 중요시하는 달라의 가치를 적용하여 차트를 볼 수 있습니다. 저희 머니카피랩에서 개발한 휩소, 트랩을 막아주는 최고의 분석 도구 입니다.
리얼프라이스를 통해본 비트코인 차트는 지난 4월 23일 이후 한번도 깨진 적이 없는 리얼프라이스 G.O.A.T 라인을 이탈 후 저항 리테스트 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는 리얼프라이스를 통해 종가기준 돌파 타점을 잡아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비트코인은 지금 미국의 금리인하 발표를 앞두고 주요 구간에서 순고르기를 하고 있으며, 만약 금리인하 결과에 따른 실망 매물이 발생한다면, 슈퍼채널 분석으로 잡아낸 지지 구간에서의 매수를, 만약 금리인하 발표를 호재로 상승한다면, 리얼프라이스 기준의 돌파 매수를 준비한다면, 이번 저점을 편안하게 잡아낼 수 있을 겁니다.
111696.21 부근에서 지지 여부 확인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TC(Trend Check) 지표가 0 지점 이상 상승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에 따라서, 111696.21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OBV 지표가 High Line 이상 상승하여 유지되어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9월달의 변동성 기간은 9월 9일경, 9월 19일경, 9월 28일경으로 예상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차트무당 마코 9월 3일 수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9월 3일 수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2일 화요일 비트코인 움직임은 하단에 링크가 있으니 복기 내용 확인 해주시면
감사 드리겠습니다.
금일 비트코인의 움직임을 간단하게 정리 해보겠습니다.
1. 112,626 자리의 저항구간은 일봉차트 중앙선 및 6시간 차트 음운저항구간
8시간 차트 12시간차트 저항선 및 음운 저항구간이 포함된 구간으로 강하게 조정을 받을 수
있는 자리이니 특히 조심하셔야 합니다.
만약 이 구간에서 조정이 시작 된다면 30분차트 지지선에서 지지 해주는 지
체크 하셔야 하며 이 구간이 뚫리게 된다면 하락우위로 패턴이 바뀔 수 있습니다.
2. 110,682 구간의 지지구간을 지켜줘야 비트코인은 상승 할 수 있습니다.
현재 구간에서 110,682 구간은 비트코인의 각 시간대 음운이 받쳐주고 있는구간이며
볼린저밴드 상 단기파동의 지지구간 입니다.
이 구간이 뚫린다면 받쳐주는 음운이 두꺼워지며 이에 동반으로 MACD 눌림이
출현 하면서 조정이 강하게 나올 수 있는 구간이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
비트코인은 현재 3주 차트 MACD 눌림이 유지가 되고 있는 중 입니다.
급작스럽게 강한상승이 나온다면 과매수 구간으로 들어 갈 수 있는 자리이기 때문에
천천히 야금야금 음운을 잡아 먹으면서 올려야 안정감 있게 올릴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단에 지지구간이 6시간 저항선까지 터치 했기 때문에 견고하게 자리 잡고 있으니
이 구간에서의 지지구간도 체크 해보심이 좋을 듯 합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171.26 부근에서의 지지 여부 확인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NVDA 1M 차트)
기본 거래 전략은 DOM(-60) ~ HA-Low 구간에서 매수하고 HA-High ~ DOM(60) 구간에서 매도하는 것 입니다.
다만, HA-High ~ DOM(60) 구간에서 상승하게 되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고, DOM(-60) ~ HA-Low 구간에서 하락하게 되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기본 거래 방식은 분할 거래 방식을 취해야 합니다.
-
현재 1M 차트를 보면, HA-High ~ DOM(60) 구간은 121.80-138.23 입니다.
따라서, 121.80-138.23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계단식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왼쪽 피보나치 비율은 첫번째 파동에서 작도되었고 3.618(181.85)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오른쪽 피보나치 비율은 두번째 파동에서 작도되었고 1(198.88)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종합해 보면, 181.85-198.88 구간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만일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1차 : 152.89
2차 : 121.80-138.23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1D 차트)
1D 차트의 HA-High ~ DOM(60) 구간은 180.76-182.70 입니다.
따라서, 계단식 상승세가 시작되기 위해서는 180.76-182.70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171.26 지점은 1W 차트의 HA-High 지표 지점입니다.
따라서, 171.26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관건입니다.
171.26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만날 때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152.89 ~ 왼쪽 피보나치 비율 3(157.76)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 입니다.
1W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
처음으로 이와 같이 설명을 들으면 무슨 얘기인지 이해가 안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DOM(-60)와 HA-Low 지표는 저점 구간을 표시하고, DOM(60)와 HA-High 지표는 고점 구간을 표시한다는 것 입니다.
따라서, 매수 시기는 DOM(-60)과 HA-Low 지표 부근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매도 시기는 DOM(60)과 HA-High 지표 부근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 입니다.
장기적인 관점으로 차트를 해석하려면 1M 차트에서의 DOM(-60), HA-Low, HA-High, DOM(60) 지표의 위치를 확인해야 합니다.
1W 차트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1D 차트는 단기적인 관점으로 차트를 해석하게 됩니다.
주식 시장은 차트 이외의 다른 이슈가 가격 변동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언제나 변동성에 유의해야 합니다.
아무리 그렇다 하더라도 결국 차트를 먼저 만든 다음 변동성이 발생하기 때문에 차트를 먼저 분석한 다음 그 이외의 이슈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자신의 주관적인 생각이 많이 반영된 거래 전략을 만들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240.55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AAPL 1D 차트)
기본 거래 전략은 DOM(-60) ~ HA-Low 구간에서 매수하고 HA-High ~ DOM(60) 구간에서 매도하는 것 입니다.
다만, HA-High ~ DOM(60) 구간에서 상승하게 되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고, DOM(-60) ~ HA-Low 구간에서 하락하게 되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기본 거래 방식은 분할 거래 방식을 취해야 합니다.
-
현재 1D 차트의 HA-High ~ DOM(60) 구간은 229.27-232.78 입니다.
따라서, 229.27-232.78 구간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전체적으로 차트를 보면, 226.67-240.55 구간은 HA-High 지표로 형성된 구간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226.67-240.55 구간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240.55 이상 상승하게 되면, 250.42-260.10 구간으로 상승하려는 시도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250.42 지점과 255.59 지점은 각각 1M 차트의 DOM(60) 지표와 1W 차트으 DOM(60) 지표에 해당됩니다.
그러므로, 결국 중장기적인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250.42-255.59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하여야 합니다.
-
앞서 말씀드린 기본 거래 전략으로 볼 때, 현재 분할 매도할 구간에 해당됩니다.
이 구간에서 매수를 한다면, 짧고 빠른 대응이 요구되므로 거래시 신중해야 합니다.
226.67-240.55 구간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매수가 가능합니다.
226.67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손절하고 상황을 지켜봐야 합니다.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하여 가격을 유지한다면, 중장기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이 필요합니다.
-
현재 1D 차트의 HA-Low 지표가 192.31 지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이 지점은 이전 신고가(ATH) 구간인 182.94-199.62 구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182.94-199.62 구간은 중요한 지지 구간에 해당됩니다.
-
(1M 차트)
원으로 표시해 둔 구간이 중요한 구간에 해당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TOTAL2로 보는 알트 불장 & 하락장 시나리오TOTAL2, 도미넌스 같은 차트들은 로그차트가 잘 맞기 때문에 로그차트로 보겠습니다.
주봉으로 먼저 보면, 현재 작도가 되어 있는 패러랠 채널을 보시면, 굉장히 신뢰도가 높은 채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보라색 선도 매우 중요한 지지/저항 구간이었고 현재는 위에서 놀고 있는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미드라인에 대한 신뢰도는 엄청 높은 편은 아니지만,
최근애는 이렇게 3번 정도 인식해줬습니다.
그리고 최근 파동을 조금 더 분석해보자면
이렇게 ABC 파동이 깔끔하게 나왔다고 생각되네요. A:C 비율이 정확히 1:1을 닿고 하락을 준 모습입니다. (추세기반 피보나치도 당연히 로그로 그려줘야겠죠?)
이제 위 사진을 봅시다.
보라색 선은 위에서 언급 드렸다시피 정말 중요한 구간이고, 파란색 선도 꽤나 중요합니다. 여기를 하방 이탈한다면 상승 힘이 많이 부족하다고 판단할 수 있고, 미드라인 또한 깨지는 자리입니다.
파란색 선이 뚫리면 경계해야 할 타이밍이고,
보라색 선까지 뚫리면 알트불장은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반대로 만약에 올라간다면, 아직 복합 조정이 끝나지 않았다는 시나리오
이런 Triple Combination 이라던지,
지그재그로 시작하는 이중 지그재그
혹은 지그재그 x 플랫 등 복합조정 Combination은 정말 많습니다.
아직까지는 Y 파동이 진행 중이라, 어떤 패턴이 나올지는 예측하긴 어렵지만, 타겟가는 어느 정도 유추해 볼 수 있는데
이렇게 W파동의 EXT를 보면 됩니다. 1.382 로그 익스텐션 / 1.618 로그 익스텐션으로
2T
2.3T
이렇게 두 구간이라고 볼 수 있고,
2T(약 2800조 원 정도)는 숫자가 딱 떨어지는 자리이기도 해서, 더 올라가더라고 약 조정을 주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 구간이 또 패럴렐 채널 상단이라 저항을 인식해 주지 않을까 생각하고
1.618을 뚫더라도, X 파동이 나오고 다시 올라가면서 2.0까지 찍어줄 가능성도 있지만, 이건 만약에 TOTAL2가 2T 돌파해 준다면 다시 그때 분석해 보겠습니다.
분석 BY HOSI
차트무당 마코 9월 2일 화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9월 2일 화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1일 비트코인 복기 내용은 생략 하겠습니다.
현재 자리에서 중요 한 구간 몇 가지 체크 하겠습니다.
1. 비트코인은 현재 12시간 차트까지 MACD 골크가 각인이 완료가 되었고
일봉차트는 MACD 데드크로스가 유지 중 이며 하방으로 열린 구간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 현재 구간에서 중요한 자리는 상단에 110,064 구간의 저항구간을 터치 한 후 의
움직임이 중요한 자리라고 판단이 됩니다.
현재 구간에서 110,064 구간은 4시간 저항선까지 터치 및 8시간차트까지 중앙선을 터치 하는 자리
2시간 3시간 일목균형표 상 음운이 유지가 되고 있는 구간입니다.
일봉차트 구멍까지 메워주는 구간에서 각 일별차트에서 양운의 눌림구간까지
표시된 자리이기 때문에 그만큼 저항도 강한 자리 입니다.
이 구간에서 음운이 양운으로 바뀌어줘야 상승할 수 있는 조건들이 성립이 되는 구간 입니다.
상승의 조건이 생긴다면 상단에 111,561 구간의 큰 시간대의 음운의 저항구간을 체크
최대 탑구간의 각 일별 양운 눌림의 저항구간 및 일봉차트 중앙선까지의 저항구간이 있으니
체크 하셔야 합니다.
3. 108,406 자리를 이탈하게 된다면 추세가 하락우위 패턴으로 바뀌게 됩니다.
현재 구간에서 108,406 구간은 30분 1시간차트의 양운의 지지구간 및
각 시간대 음운이 받쳐주는 자리이기 때문에 이 구간을 이탈하게 된다면
강하게 조정이 나올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구간입니다.
현재 구간을 지지 해주면서 30분 1시간 차트의 양운이 두꺼워 져야 그만큼
지지구간도 강하게 자리 잡게 되는 구간이니 체크 부탁 드립니다.
4. 108,406 구간을 이탈하게 된다면 강하게 조정이 나올 수 있는 자리 체크 하셔야 합니다.
3주 차트 MACD 데드크로스는 눌림이 유지가 되고 있는 중이며 108,406 자리를
이탈하게 된다면 12시간차트까지 MACD 골든크로스 각인 된 자리에서 눌림 형태로 바뀌면서
강하게 떨굴 수 있는 구간이며 각 시간대 지지선이 무너지는 구간이 됩니다.
현재의 상승우위 패턴을 유지하기 위해선 현재 구간을 지지 해줘야 합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비트코인 파동분석: 롱 타점은 어디?2025년 7월 14일부터 조정파동이 시작된 걸로 보여서 여기서부터 카운팅 한 번 해보겠습니다.
일단 크게 봤을때는 WXY or WXYXZ 파동으로 조정을 주고 있다고 생각이 되고, 현재 Y파동 마무리 단계로 보고 있습니다.
위 사진 보시면, 7월 14일 ~ 8월 3일은 ABC 파동 으로 깔끔하게 끝난 걸로 보입니다.
C파동이 5파동 연장 터미널 임펄스로 끝났다고 판단 됩니다.
이렇게 5연장 터미널 임펄스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모습,
그리고 이 파동이 정말 정석적으로 나온 게, 1~3파를 5파에 갖다 대면 1.618 비율이 나오는 걸 확인
A:C 1:1 도 충족해서, 완벽한 롱타점이였네요.
그라면 이제 B파동이 어떤식으로 나왔는지 한 번 봅시다:
저는 이렇게 ABC가 나왔다고 판단하고 있고, A:C 1: 0.618이 나왔습니다.
C파동은 마찬가지고 5연장 터미널 임펄스가 나왔는데, 1~3파 EXT 확장 레벨 2.618을 닿고 내려왔습니다
보통 5연장 터미널 같은 경우에, 1~3파를 4파 끝에 갖다 놨을 때 1.618 / 2.0 / 최대 2.618 이 자주 나오는 편이고, 그중에서도 1.618 이 잘 나옵니다. 반면에 1~3파 단순 EXT 레벨을 본다면, 2.618이 자주 나오는데 A 파동의 C 파는 아까 보신 거처럼 추세 기반 피보나치의 1.618 , 그리고 B 파동의 C 파동은 피보나치 EXT 레벨 2.618 로 마무리해 준 모습입니다.
그리고 대망의 Y파동으로 추정되는 곳을 분석해본다면,
큰 Y파동 안에 WXY 파동이 진행 중이라고 생각되고, 이 부분 일직선으로 올라온 곳이 X파동이라고 생각됩니다.
얼핏보면 C파동으로 보이는데, 여기가 C파동 나올자리가 아니고, X 파동이 짧고 일직선으로 빔이 나오는 경우가 많아서 그렇게 해석했습니다.
8월 23일 고점부터는 Y 파동이 진행되고 있을 가능성이 크며, ABC 플랫 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 9월 2일 오전 ~ 오후부터 상승이 시작된 거 보니 C 파동 진행 중이라고 보기에는 조금 애매하고..
ABC 파동의 B 파동이 아직 안 끝났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근데 여기서 소 파동 움직임을 예측하기에는 굉장히 어려워서 참고만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만약에 하락 한 파동이 더 남았다면, 현재 자리에서 저항을 받아도 이상하진 않지만, 0.786 ~ 0.886 자리, 그리고 1.618 ~ 2.0 추세 기반 피보나치 레벨에서 숏 트라이가 가능해 보입니다.
112,000 ~ 112,700
그리고 저기서 저항을 받든 지금 저항을 받든...
만약에 내려온다면
1. 0.786 샤크패턴
2. POC
3. 하락추세선 리테스트
4. Y-W 파동의 1.618 EXT
4개의 근거가 겹치는 자리입니다.
하지만 저 구간을 닿기전에 만약에 이런 무빙이 나온다면,
위 관점은 아쉽게 폐기해야겠습니다.
현재는 당장 포지션을 잡기보다는, (스캘핑 제외) 관망 후 파동 움직임을 보고 대응하는 게 조금 더 현명해보입니다.
분석 BY HOSI
???: 안녕하세요 오랜만입니다 , 그런데 시장이참 .. 슬프다 그죠?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
오랜만이다 그죠 ? 트레이딩뷰에 글을 안쓴지.. 4개월 만에 다시 글을 쓰는데 그동안 자숙좀 했습니다
(일이 터져서 자숙한게 아니라.. 그냥 매우 바빴습니다 주 5일 경제 방송에 트레이딩에 회사 업무.. 편집 등등 )
아무튼 이제부터 다시 트레이딩뷰에 주에 2~3개정도 시장 상황이나 coinmarketcap 기준 상위 20위권 종목들 관점뷰나 분석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p.s 오랜만에 글을 쓰니.. 어색해서 문장이 조금 이상 할 수 있습니다 ㅋ...
기 - (9월 2일 현재 시장 상황)
다들 아시겠지만 현재 암호화폐 시장이 조금은 우울합니다
비트코인은 110k 가격을 내어준 상태고 , 이더리움은 $4,400 이탈 리플은 $3 가격 상승 시도도 못하며 이전저점을 내려놓은 상황입니다 .
???: 왜 솔라나는 말씀 안하세요?
???: .....
제가.. 6월 부터 8월 말까지.. 이더리움, 리플 , 비트의 win rate(승률)는 각각 82% 76% 62% 인데.... 솔라나는 ... 28% 입니다
그냥 솔라나를 못해서 이야기 꺼내고 싶지 않습니다 ..
아무튼 지금 현물을 하시는 분들도 또는 선물(*마진)거래를 하시는 분들도 사실 지금 시장 흐름을 파악 하기 어려울거라 봅니다
급등 급락 , 변칙적인 패턴(v자 a자 패턴 ) , 휩소또는 스퀴징... 발생이 잦고
데이트레이딩에서 제일 중요한 전날 추세흐름이 계속 뒤바뀌고 있습니다
(급락 나왔다 급등나왔다..)
뭐그래도 전반적으로 시장을 보면 하방 모멘텀이 쎄죠 .. 특히나 암호화폐 시장의 주축인 비트도 110k를 무너트렸다보니.. 실상 지금은 상승장흐름을 기대하기어렵습니다
승 - (왜 why?)
다들 아시겠지만 6월과 7월 사이 시장은 크게 상승 흐름을 보였죠?
특히나 암호화폐 시장 유동성을 개 목줄마냥 끌고가던 투톱 이더리움과 리플이 시장 리드를 했고
정점의 시발점은 8월 8일로 유동성풀 (LP = liquidaty pool) 리드를 했고
알트 시장 유동성 지표인 T2 , T3 역시 강한 흐름을 보였고 , 정점은 8월 14일 이 였죠
다만 이후에 약간의 상승분 조정이 나온 시점에서 시장에서 하나의 이슈가 나오게 됩니다
바로 7월 FOMC가 끝나고 3주뒤인 회의록이 발표되면서 시장 불안을 조금 키웠는데
내용은 이렇습니다
일단 연준내 인사중 소수만 금리인하를 주장 했습니다
즉 대부분의 연준인사들이 현시점에 금리인하는 좀 무리라 판단 그이유는 역시나 이중책무 바로 고용이나 물가 부분을 들먹인거고
특히나 트럼프 관세라는 변수가 금리인하에대한 결정을 딜레이 시킨 요소가 된거죠
아무튼 그런 이유로 7월 FOMC가 끝난 직후 FED WATCH에서 발표한 9월 금리인하가능성은 94% 수준이였지만
이런 연준의 회의록이 나오고나서 금리인하가능성은 하락했습니다
94% 에서 71% 대략 23% 정도 하락한것인데 일단 .. 이부분은 그리 부정적인건 아닙니다
FED WATCH에 금리인하 가능성에대한 퍼센티지는 기본적으로 평균 56%만 넘어가도 가능성이 거의 90%입니다
즉 9월 금리인하 자체는 그냥 기정 사실이라 판단해야하는데
여러 유튜브나 뭐.. 여러 정보들을 듣고 .. 그게 내 지식인 마냥 까부는 친구들이 제가 쓴글에 ..
답글을 달더군요??
???...
PPI가 높게 나와서 금리인하가 안된다?...
정말 무식한 수준을 넘어 .,.. 사람인가 했습니다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 요소는 이중책무이며 각각 물가안정, 최대 고용이 숙제입니다
이걸 판단하는 기준은 '근원 소비자 물가지수 (전월 대비 = MOM) 과 NFP (비농업 지표) 입니다
그런데 PPI? 생산자 물가지수가 높아서? 그래서 금리인하를 안한다?
그래서 글을 박제를 했습니다 (무식함이 클 수록 부끄러운줄 알아야한다고 생각)
그다음에는 뭐.. 구구절절 대화까지 나눴지만 요점은 이겁니다 ..
전 - 잭슨홀회의 긍정? 부정?
일단 잭슨홀 회의는 1년에 한번 8월에 열리는 연준의 통화정책 심포지엄입니다
투자를 하거나 경제와 관련된일을 종사하시는 분이시라면 이런 잭슨홀 회의가 중요하다는 건 아시겠죠
특히나 시장과 소통을 잘하는 파월은 이런 잭슨홀회의에서 통화정책의 변화를 많이 시사했습니다
다들 알다시피 미국이 기준금리인하를 했던건 작년 9월 FOMC부터지만
금리인하 선반영이된건 그전 24년 8월 잭슨홀회의에서 파월의 발언이였죠
기사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작년 8월 , 1년 6개월 정도가량의 고금리 통화정책을 유지한 연준이 드디어 정책을 바꿀때가 됬다며 발언을 했죠 즉 "이제는 금리를 내리겠다" 라는것입니다
그렇다보니 시장은 급등 흐름을 보이죠 , 유동성 긍정이니깐 그리고 트럼프대선도 한몫 했고 암호화폐시장도 후끈했죠
아무튼 설명은 이정도로 하고 제말의 요점은 이겁니다 , '파월은 항상 통화정책의 변화를 줄때 이러한 1년에 한번열리는 잭슨홀회의에서 시장에 먼저 가이던스를 던진다'라는겁니다
그부분에서 7월 FOMC 회의록이 부정적이니.. 9월에 있을 FOMC에서.. 연준이 금리인하를 하지않을 가능성이 약간 낮아진건데.. 사실 이게 중요한게아니죠
바로 파월의 발언이 도비쉬(비둘기파) 하냐 또는 호퀴시(매파)냐 관점도 중요하죠
그러다보니 이번 잭슨홀 회의전 7월 FOMC 회의록이 부정적으로 나오니.. 금리인하 가능성이 없다 .,.. 이번에 망했다 빅쇼트나온다 개 X랄을 하더라구요 별스타나 너튜브에서..
그부분에서 하도 답답해서 글로 싸운거죠
금리인하는 기정 사실이고 , 중요한거 파월 발언이다 라고도 보시는 분들있는데 ..
(뭐 그부분도 ... 잭슨홀 회의 2시간전 SNS를 통해 제 의견도 냈습니다)
저는 발언도 중요하긴한데.. 본질로 본다면.. 그냥저는 이러한 잭슨홀회의가 주는 시장 두려움..
그것때문에 시장 유동성이 소극적이였던건데..
그게 해소가 된다면??
즉 재료 소멸이라 볼 수있는 잭슨홀 회의가 진행된다면 저는 펀더멘털도 좋은 암호화폐시장이나 미증시가 반등할거라 봤습니다
발언도 발언이지만 잭슨홀회의가 왜 시장 공포심리를 주었는가? 그게 본질이거든요
1. 7월 FOMC 회의록에서 매파적 시그널 발생
2. 시장 잭슨홀 이벤트 부담감 = 유동성 저하 = 시장 하락
3. 잭슨홀 회의 = 시장 부담감이니.. 그게 끝난다면 , 즉 회의록이 진행되면 저는 부담감 해소로 시장 반등을 예견했죠
(워낙 근래 시장이 선반영이나 재료 소멸에 민감하다보니..)
아무튼 잭슨홀회의 시작하고 나서 2분만에 모든 종목 급등했습니다
비트도, 이더도 , 솔라나도 , 리플도 ..
뭐 해프닝도 해결했죠
아무튼 그이후 시장은 반등여력을 보였고.. 잭슨홀회의가 진행됨에 따라 시장 유동성은 기다렸듯 반등을 크게 보이며 급등 했습니다
그런데.. 그이후에 현재 시장은 모멘텀이 잭슨홀회의가 끝난후 3일만에 약해지게 됩니다
결 - (탐욕 , 거품 , 공포 , 욕심)
일단 시장의 주요 지표라 볼 수 있는 것들 몇개 있습니다
바로 달러인덱스 , 명목금리라 볼 수 있는 10년물 국채금리 대표적으로 시장 유동성이 좋을지.. 나쁠지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달러인덱스는 현재 하락 , 10년물 국채금리도 하락중이죠 (사실 밸류 보는게 맞긴한데..)
이런 상황이라면 사실,. 시장에 위험자산 투자성향이 증가합니다
즉 , 금융 시장으로 돈이 돌기 좋은 상황이라는건데
나스닥 선물지수는 일단은 가격을 유지해주고있지만 추가적인 상승흐름을 보이지는 않고 있고 .. 암호화폐 시장또한 부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죠
이런경우 하나의 종목 흐름을 보면 대강 시장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 수 있습니다 ..
바로 골드(GC)
시장의 유동성이 현재 전통 안전자산이라 볼 수 있는 골드에 수요가 몰리고있는데 ,
여기서 중요한건 시장 부정 분위기 조성하던 잭슨홀 회의가 끝나고
그에 맞게 위험자산에 투자할 만한 환경(달러,금리)이 조성되었음에도 시장에 유동성은 위험자산이 아닌 전통 안전자산으로 쏠리고 있다는겁니다
나스닥이든 암호화폐시장이든 근래 들어 상당이 짧은 기간에 큰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즉, 짧은 기간동안 위험자산 밸류자체가 상당히 높아졌다라는거죠 (투기성이 극대화)(
그런 상황을 우리는 탐욕 , 과열 다른말로는 거품이라고도 부릅니다
시장 재료 소멸 그리고 환경과 펀더멘털도 좋은 시점에서 왜 유동성은 전통 안전자산인 금(GC)에 몰리는가 ..
오늘은 약간 열린 결말로.. 마무리해보겠습니다
여러분도 한번 1분이라도 좋으니 시장의 흐름을 한번 생각 해보셨으면 합니다..
끝
(다음에는 2부로 찾아 뵐게요 .. 차트분석만 할게요..)
차트무당 마코 8월 29일 금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지금 설명 드렸던 내용 간단하게 정리 하겠습니다.
1.111,367 구간의 각 시간대 중앙선 및 양운의 지지구간이고
이구간을 이탈하게 된다면 하방으로 열림이 나오면서 4시간 지지선구간인
109,330 자리가 1차적인 지지구간이며
최대 바텀구간의 3일차트 지지선 및 주봉차트 중앙선 월봉캔들 구멍을 메워주는 구간까지
눌림이 나올 수 있으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
2.111,367 구간에서 지지를 받는다면 113,172 구간의 각 시간대 중앙선 저항선 및
일별차트 양운의 눌림구간이 유지가 되고 있는 구간에서 저항 나오는지 체크
최대 탑구간인 116,882 구간까지 상승할 수 있는 자리 입니다.
다만 중요한 점은 113,172 구간에서 3시간 4시간 차트가 음운에서 양운으로
바뀌어야 상승할 수 있는 조건들이 나올 수 있는 구간이니
이 구간 양운으로 바뀌는지 체크 하셔야 합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변동성 기간 : 8월 28일경(8월 27일-29일)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4372.72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한 모습입니다.
다만, TC(Trend Check) 지표가 0 지점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어디로 튈지 알 수 없는 상태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4630.26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아니면, 4472.33 이하로 하락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번 변동성 기간은 8월 27일-29일까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계단식 상승세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4749.30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과거 패턴과 유사한 움직임에 따른 2026년 초 숏 배팅 기회 전망 비트코인 차트 분석 과거 패턴에 근거하여
2020년 12월 14일 부터 2022년 9월 5일까지에 차트 움직임과 근래 2024년 10월 28일 부터 하여서 지금까지에 차트 움직임이 비슷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동일하게 움직을 주지 않는 것이 어찌보면 더 맞다고 생각하지만
만약에 유사하게 차트가 움직인다면
내년에 초에 숏 배팅을 강하게 해 볼수 있는 기회가 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여러가지 이유로 상승과 하락이 있겠지만
결국에는 과거와 비슷한 패턴을 보여주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250829_비트코인(BTC) : 잠시 쉬어 감평소에는 로스컷에 잘 걸리지 않는 편인데, 어제는 로스컷에 걸린 뒤로 계속 관망하고 있어요.
보통 이런 경우에는 계속 지켜보며 내가 예상한 흐름과 어떻게 다른지를 관찰하며 좀더 신중하게 진입 시기를 고려해 봅니다.
제법 유명한 전업 투자자를 아는데, 그 분도 늘 이기는 싸움을 하는 게 아니더라고요. 음..내가 옳다는 걸 증명하기 위한 것도 아니고, 내 예측이 틀렸다고 누가 뭐라고 하는 것도 아니고, 예측이 맞았다고 돈을 더주는 것도 아닌데 괜히 자존심 내세울 일은 아닌 것 같아요.
모두 저마다의 매매법이라는 게 있을 거예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차트 위에서 벌어지는 모든 혼돈을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물리학을 예로 들자면, 양자역학이 적용되는 미시 세계와 중력이 지배하는 거시 세계의 법칙이 다르듯, 시장에서도 미시적 전략과 거시적 흐름은 전혀 다른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매크로 이슈는 단순히 차트를 분석하는 기술적 도구만으로는 포착되지 않는, 보다 구조적인 변수입니다. 또한 행동경제학이 개인의 비합리적인 선택을 설명하려 들 때, 우리는 숫자와 확률만으로는 인간의 모든 결정을 설명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하게 되지요.
그런 점에서 볼 때, 시장에 존재하는 모든 변수를 하나의 법칙성에 따라 설명할 수 있는 완벽한 매매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런 것이 가능하다면, 그것은 마치 과학자들이 ‘통일장 이론’이나 ‘초끈 이론’ 같은 걸 연구할 때나 필요한 것이겠지요.
시장이라는 세계는 너무도 복잡하고, 그 안의 변수들은 서로 다른 층위에서 작용하기 때문에, 단 하나의 매매법으로 그 모든 움직임을 설명하거나 예측하려는 시도는 어쩌면 순진한 욕망일지도 모릅니다.
서론이 길었네요. 잘 모르겠으면 쉬어가도 된다는..ㅎㅎ
./
일단 60분봉과 4시간봉에서는 동일하게 저점 시그널이 떴고, 저는 앞으로 15분 봉에서 ‘LL > LH > HL’ 추세 패턴이 뜰 때까지 기다려 볼 생각입니다. 이후 패턴 분석 도표의 신뢰도가 어느 정도 괜찮다는 판단이 들면, 그 자료도 함께 공유드릴 예정입니다.
ETH LONG(ICT Orderblock)※ 지표 테스트에 따른 기록물로 해당 아이디어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1. 4H 타임프레임에서 관측된 Bearlish Orderblcok 반응이 15M Bullish Orderblock에 도달하면서 TP
2. 15M 타임프레임과 1H 타임프레임에서 발생된 15M Bulish Orderblock의 유효성
3. 15M 타임프레임과 1H 타임프레임의 블록 TOP의 GAP차이 존재
> BTC와 유사하게 다수의 하락신호와 짧은 프레임에서의 신뢰하기 어려운 Bearlish Orderblcok이 관측
4. 추가로 생성된 4532.18 ~ 4599의 Bearlish Orderblcok의 반응에 대한 리스크 Y
> 해당 지점에서의 매도 또는 물량(25%) 접근 가능성 Y
BTC LONG (ICT Orderblock)※ 지표 테스트에 따른 기록물로 해당 아이디어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1. 1H 타임프레임과 4H 타임프레임에서 Bearlish Orderblock이 관측
2. 해당 Bearlish Orderblock 유효성 검증을 위해 2단계 작은 프레임인 15M Bullish Orderblcok를 TP 설정
3. TP 도달 매매 종료에 따른 15M Bullish Orderblcok 유효성 검증
> 하지만 1H에서 발생되는 다수의 Bearlish Orderblock 및 하락 신호로 인해 해당 BullshOrderblock은 무효화 가능성이 높음
> 캔들의 종가가 11360.7 아래에서 마감할 경우 Bullish Orderblock은 유효성을 상실
4. Bullish Orderbolck에 대한 TP는 이미 반응한 Bearlish Orderblcok이 아닌 상단의 114,329 ~ 114950 Bearlish Orderblock
5. 해당 포지션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경우 정상적인 TP는 112,138 ~ 112,582 Bearlish Orderblock으로 해당 블록에서의 일부 매도 고려
차트무당 마코 8월 27일 수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8월 27일 수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26일 화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에서는 109,014 구간의 2일차트 양운의 지지구간이 두껍게
유지가 되고 있는 구간에서 꼬리가 밀릴 수 는 있으나 하단에 3일차트 지지선 및 6일차트 중앙선 터치 로
버티는 힘이 강한 자리를 설명 드렸습니다.
이 후 움직임을 보시면 말씀 드린 109,014 구간에서 2일차트 양운의 지지구간을 터치 한 후
최저점 108,627 구간에서 횡보하다가 30분 차트 음운이 양운으로 바뀌면서
상승이 나와 주었고 1차 저항구간인 111,197 구간에서 횡보 하다가
다시 반등하면서 최고점 112,346 자리를 터치 한 후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현재 구간에서 주요 내용을 정리 해보겠습니다.
1. 현재 구간에서 2일차트 양운의 지지구간을 터치 한 후 반등 중인 비트코인이
110,921 구간을 이탈하게 된다면 받쳐주는 음운이 하방으로 열리게 되며 이에따라
하락우위로 패턴이 바뀌는 자리에 주의 하셔야 합니다
2. 110,921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시 상단에 저항구간이 많습니다.
112,910 자리는 일봉차트 구멍을 메워주는 구간 및 2시간 3시간 음운 저항구간
113,693 구간은 각 시간대 중앙선의 저항구간 및 4시간 차트 음운의 저항구간
등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강하게 올리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는 자리이며
강하게 올린다면 음운을 하방에 뚫지 못하기 때문에 다시 내려 올 가능성이
있는 구간이니 위의 캡쳐본 참고 부탁 드립니다.
3. 110,921 구간에서 지지 받지 못한다면 하방으로 열림이 나오게 되며
109,344 구간의 전저점인 30분 및 1시간 지지선이 1차적인 지지구간
바텀구간인 107,376 구간은 3일차트 지지선 및 주봉차트 중앙선이 받쳐주고 있는
강한지지구간이니 이 구간에서의 반등을 노려 보셔도 좋아 보입니다.
##종합##
현재 2주봉차트 MACD 3주봉차트 MACD 데드크로스 눌림구간이 유지가 되고 있으며
이에따라 강하게 올리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는 구간들이며
단기적인 패턴에서도 음운이 두껍게 유지가 되고 있기 때문에
상승하더라도 계단식 상승을 하면서 추 후 반등 구간을 노려보심이 좋을 듯 하며
하단에 지지구간인 바텀구간은 강하게 지지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구간이니
이 구간 참고 하셔셔 여러분들 보시는 관점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ETH SHORT (ICT Orderblcok)※ 지표 테스트에 따른 기록물로 해당 아이디어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1. 1D 타임프레임 하단의 Bullish Orderblcok Y (4H) / 상단의 Bearlish Orderblock Y (1H)
1. GAP 사이에 위치에 있으므로 4H 타임프레임 Orderblock을 확인.
2. 4H 타임프레임에서 관측되는 1D의 Bulish Orderblock(주황색 원)은 1H에서 발생.
3. 다수의 Bearllish Orderblock(1H)가 형성되었음. 이때, 앞의 3개의 Bearlish Orderblcok(보라색 네모)는 앞의 장대양봉(초록색삼각형)으로 인해 Bearlish Orderblock의 유효성을 상실.
4. 남은 2개의 Bearlish Orderblock에 대한 유효성 검증필요.
1. 15M 타임프레임에서 관측되는 Bulish Orderblock를 TP
2. 상단의 가까운 Bearlish Orderblock 도달시 SL
핵심은 237.60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 입니다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SOLUSDT 1M 차트)
이상하게 작도된 추세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StochRSI 지표를 참고해야 합니다.
추세선을 작도하기 위해서 StochRSI 지표를 활용하였기 때문입니다.
StochRSI 지표의 K가 과매수 구간에서 꼭지점을 형성하였을 때 그 꼭지점을 연결하여 추세선을 그리고, 과매도 구간에서 꼭지점을 형성하였을 때 그 꼭지점을 연결하여 추세선을 그리게 됩니다.
이렇게 작도하게 되면, 과매수 구간에서 그려진 추세선은 고점 추세선이 되고, 과매도 구간에서 그려진 추세선은 저점 추세선이 됩니다.
다만, 1M 차트에서는 기간이 길기 때문에 고점 추세선과 저점 추세선을 따로 구분하지 하지 않고 한가지 선으로 표시하였습니다.
3개의 추세선 중 추세선 (1)을 따라 계속해서 상승세를 유지할 수 있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DOM(60) 지표가 237.60 지점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지점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중요한 구간은 원으로 표시해 두었습니다.
-
(1W 차트)
아래 부분에 있는 큰 그림에 대한 설명을 보면, 2026년부터 대 하락장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차트에 작도된 추세선들을 보면 2026년 1분기까지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 보이긴 합니다.
2025년이 끝나기 까지 시간이 남아 있기 때문에 좀더 BTC의 흐름을 확인해야 하겠습니다.
1M 차트의 DOM(60) 지표가 237.60 지점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237.60 지점을 상향 돌파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다만, 1W 차트에서 202.45-222.61 구간에 형성된 DOM(60) ~ HA-High 구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구간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이에 따라서, 1W 차트에서의 변동성 기간은 9월 29일이 포함된 주 전후, 즉,
9월 22일 ~ 10월 5일이 변동성 기간에 해당됩니다.
중요한 구간은 1M 차트에 표시해 둔 원 구간을 참고하세요.
-
(1D 차트)
이번 변동성 기간은 8월 29일까지 입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9월 7일경입니다.
9월 7일경의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195.92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만일 추세선 (1)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222.61 이상 상승하기 위한 시도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
앞서 1W 차트에서 말씀드렸지만, 237.60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리기 위해서 202.45-222.61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이러한 해석으로 보면, 202.45-222.61 구간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매수 시기에 해당된다고 생각이 되어집니다.
하지만, 기본 거래 전략으로 생각해 보면, DOM(-60) ~ HA-Low 구간에서 매수하고 HA-High ~ DOM(60) 구간에서 매도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매도 시기에 해당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202.45-222.61 구간에서 신규 매수를 진행하려면 짧고 빠른 대응이 요구됩니다.
기본의 거래를 유지하고 있다면, 분할 매도를 진행하여 심리적인 안정을 취하거나 202.45-222.61 구간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추가 매수를 진행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어떤 사람들은 지지와 저항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앞으로 상승할 것인가 하락할 것인가가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네, 이 말에 동감합니다.
하지만, 상승하거나 하락하기 위해서는 기준이 되는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을 알아야 합니다.
이를 구분하지 못한다면, 가격이 상승하든지 하락하든지 상관없이 거래를 진행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현재 가격이 위치한 부분에 형성된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이 알마나 중요한 지점이나 구간인지를 평가해야 합니다.
이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언제가 가격이 상승한 다음 늦게 매수하거나 가격이 하락한 다음늦게 매도하는 거래를 진행하게 될 것 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