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분석글에서 상승채널 하방이탈에 따른 조정관점 제시하여 64.5k 숏 진입 63.3k 포지션 청산 완료 현재는 파동 관점에서 저점을 갱신할 경우 좋은 롱진입 타점이 될 것으로 예상 58~59k 구간을 기다려 롱을 매수할 계획입니다. 4시간봉 RSI도 상승다이버전스가 걸리기 좋은자리 만약 이대로 저점을 갱신 안하고 올라간다면 오히려 숏각을 보고 진입할 예정입니다.
상승 추세채널을 하방 이탈하는 모습을 보일 경우에는 단기적으로 숏이 우세할 것으로 예상. 손절가로는 파동의 시작점인 66060
노란색 추세 보라색 박스구간 매물대 4시간봉 상승채널 상단부 위 세가지를 근거로 68.5k 부근부터 숏을 들어갈 예정입니다. 다만 봉 모습과 패턴적 관점으로 상승힘이 약해졌을 때 등 옆으로 횡보를 하는 모습에서 숏을 진입할 예정이고, 강한 양봉이 나올 경우에는 해당관점 폐기입니다. 손절가는 휩쏘를 감안하여 70.5k입니다.
상승 5파동의 모습을 갖춤에 따라 손절점이 명확해짐(파동의 시작점인 53k) 조정에 현물을 더 모아갈 예정이며, 선물매매 또한 숏보다는 롱으로 대응할 예정임
이전 고점인 72150 손절잡고 숏을 천천히 모아갈 예정 거래량도 바닥이며 비트 전고점을 뚫을 재료도 없는 상황 여름 지나기까지 쉬면서 천천히 매매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일봉상 보라색 박스권을 하락 이탈하지만 않는다면 상방우세가 맞다고 보고 그에 따라 대응할 예정 현재 1차 매수, 보라색 박스권 인근에서 2차 매수 손절조건은 일봉상 보라색 박스권 하락 이탈
해당 관점은 23년 5월의 프렉탈을 참고한 것이다. 일봉 이동평균인 7일과 25일선이 데드크로스하였으므로, 다시 골든크로스 할때까지 추세는 하방 또는 긴 횡보장으로 돌입한 것으로 보고 올라올 때마다 숏을 모아가는 전략을 취하는 것이 더 유리한 전략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해당 프렉탈 관점은 20년도 상승장을 참고한 것이며, 삼각수렴을 상방 돌파한다면 조정의 폭은 크지 않을 것이므로 삼각수렴의 중단(POC) 값을 지키며 충분한 기간 조정의 형태를 갖추고 올라갈 가능성을 제기해 본다.
아직 조정파동이 마무리 되지 않았으며 반등 B파동에서 상승쐐기형태가 보임에 따른 매매계획임 1. 추세가 깨지는 시점에서 숏 진입 2. 상승쐐기 휩쏘를 감안하여 B파의 최대 상승폭을 피보나치 1.13까지 설정하고 저배율로 숏을 모아갈 계획 TP는 피보나치 구간에 따라 분할 익절
해당 관점은 21년 1월 상승장 당시의 프렉탈 구조를 참조한 것이다. 첫번째, 조정파동의 모습은 ABC 형태를 갖추었다. 두번째, C파동의 끝점은 피보나치 1.13 부근이였다. 세번째, RSI 지표 과열을 충분히 식히고 쌍바닥을 찍으며 상승하였다. 조정의 폭과 기간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프렉탈 관점은 참고만 해주시고 저도 파동의 모습과 하락쐐기, 상승다이버전스, 헤드앤숄더, 쌍바닥 등 바닥을 나타내는 지표가 여러 개 보일 때 추가 현물시드를 투입할 예정입니다.
335 조정파동의 모습을 보이는 한파동이 더 내려오는 움직임이 보인다면 받아 볼만한 좋은 자리 또한, 아직 거래량이 터지지 않아 한파동 더 내려와서 거래량이 실리며 반등하는 것이 더 이상적인 그림일 것으로 보고 63~62k에서 조정파동의 형태와 거래량이 실리는 모습으로 신뢰도 높은 반등을 기대한다.
채널하단 지지를 받는 것 처럼 보이고 언제나 이말올처럼 보이는 무빙이지만 돌다리도 두드리다보면 깨지듯이 이번에는 마지막 지지처럼 보인다. 시장은 언제나 우리의 예측을 벗어나듯이 단기 패러럴 채널 하단부 지지 받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엔 깨질 것으로 판단하고 채널 중단인 72.7k에 숏을 진입할 예정이다. 손절은 당연히 이전 전고점
- 월봉의 거래량을 보면 바닥에서 매집한 것을 알 수 있음 -10%, -20%에 연연하지 않고 월봉으로 거래한다고 하면 지금 무릎 쯤으로 볼 수 있을 것 - 눌림에 분할로 모아가는 것이 안전하게 평단 관리하는 전략이나, 눌림을 안줄 가능성이 높으므로 과감히 2분할로 배팅하는 것이 고수익을 가져갈 수 있는 투자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됨
해당 봉패턴은 2023년11월30일경 상승쐐기를 강하게 상방돌파하며 만든 움직임을 참고로 만든 패턴이며 강세장에서 주로 나타난다. 정성적인 움직임은 아니지만 편비가 극도로 올라가고 있는 시점과 위로 매물대가 없다는 점에서 시도 해볼만한 전략임 이전에 게시하였던 쐐기의 휩쏘 전략은 다시 쐐기 안으로 회귀할 경우에 재고하기로 한다.
- 상승쐐기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고점을 높이더라도 이중 하락다이버전스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구간 - 추세는 상방이 강하므로, E파동 고점이 쐐기 상단을 넘고 하락하는 휩쏘의 무빙을 생각하여 쉽게 고점을 예측하고 숏을 잡는 것이 아닌 E파동 고점을 확인하고 쐐기 하단을 깨거나, 쐐기 하단을 깨고 리테스트하는 시점에서 숏을 시도할 예정 - 목표가 피보나치 0.5구간 인근의 매물대
- 플랫조정(확장 또는 유동)의 과정으로 보고 있음 - 반등 B파가 1.13에 도달한 것으로 가정 - 4시간 봉에서의 이중 하락다이버전스 형성 전략 @ 이전 69500을 손절로 잡고 숏 시도 @ C파동인 5파동의 형태를 갖추면 롱으로 스위칭 (하락의 폭은 확장플랫이면 59k 유동플랫이면 61k 부근으로 보고 있음)
바이낸스의 최근 공격적인 런치풀 운영으로 비앤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비앤비 대출 또는 현물매수 및 숏 헷징을 통해 런치풀을 참여하는 사람이 많아질 것으로 기대 - 한국시간 8일 09시부터 런치풀 AEVO 진행하므로, 편비도 그 음수로 바뀔 가능성이 높음 헤징 숏물량을 롱이 커버 해야되기 때문에 상승에 힘이 클 것으로 예상함 - 손절가는 423으로 책정 조정마다 롱매수 / 상승시 분할 익절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 실현 본인 집입가보다 상승시 본절에 Stop loss 설정 필수
3-3-5 조정이후 올라갈 것으로 보는 입장 현재 파동의 모양이 정석대로 가는 움직임 - 반등 B파를 먹을 자리로 2844 부근에서 롱시도 하여 피보나치 0.5~0.618 부근에서 익절하는 것이 리스크 관리측면에 도움이 될 것 - 이후 마지막 종결 C(5파동)의 형태가 나오면 다시 재차 롱을 시도하는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