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 저점을 크게 낮추는 흐름에서 그러했듯, 이번에도 stockRSI 기준의 히든 하락형 다이버전스가 나타났습니다. 외에 다른 지표들의 흐름도 다소 유사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수렴형태의 매 고점마다 직전 매수세보다 더 강한 매도세에 눌려 내려오는 것까지도. 향후 매도세의 지속을 생각해볼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당장 내일/내일모레 사이 단기 회복세가 나타나더라도 최대 7k까지가 한계일 것으로?미미할 것으로 추측해보네요.
이번엔 로그눈금으로 살펴봤어요. 이전에 이와같은 비교 차트를 게시할 무렵, 잠시 추세선을 뚫어나가 이후의 다른 흐름을 기대했지만, 아직까지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특히 이평과 보조지표 관점에서는 거의 붕어빵을 그려가고 있는 모습입니다. 최소, 직전 최저점 6k 위에서 추세전환에 실패하며 저점을 낮출 경우에는 추후 진행또한 비슷하게 흘러가지 않을까 추측해봅니다.
이전 23일 22시부터 시작된 상승파동과 비슷한 흐름으로 진행된다는 가정하에 손절구간은 짧게 잡고 추가 매수포지션을 생각해볼 만한 자리로 보여집니다. 이번에도 38.2%를 크게 깨지 않고 깃발형태의 상승으로 그려나갈 것인지 지켜보는 구간입니다.
이전 아이디어에서 코멘트로 이미지 남겨드렸던, 1월 초에서부터 시작된 하락 흐름과 비슷한 패턴 진행에 대해서 이미지 남겨드린 바 있습니다. 이번에는 시간봉이 아닌 일봉 기준으로, 지지난달의 하락 흐름 속에서 20일 이동평균/지수이동평균선의 저항선 역할에 대해 별거 없지만 조금이나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차트로 올려봅니다. 내용 밖으로는, 1월부터 오늘날까지 암호화폐에 관한 논의와 국제적인 규제 방안이 논의된다는. 세세한 내용 없이 꾸준히 그저 악재로써 입에 오르내렸던 G20 정상회담의 일정이 곧 진행됨에 따라 이에 오히려 막상 별 내용 없을 것이며, 그 동안의 과대낙을 매꾸는 점차 악재 해소의 분위기로 다가오며 그 직전까지의...
더블탑을 만들고 상승폭만큼 하락을 불러온다는, 완전한 더블탑 패턴으로 진행된다고 보는 부분에서는 요즘 악재 아닌 악재로 얘기되고 있는 'G20 정상회담' 일정에 초점를 맞추고 그려봤습니다. 사실 더블탑을 만들고 크게 내려올 때부터 생각했던 시나리오라서 일봉의 캔들 형태같은 세세한 부분까지는, 크게 염두에 두지 않고 그려본 차트입니다. 그냥 가볍게 즐겨주세요:)
결국 3월 4일의 일봉이 아래 긴 꼬리를 달고, 전일의 종가보다 조금 못미치는 상승으로 종가를 기록하며 교수형 캔들로 나타났네요. 이는 MACD 히스토그램으로 찾아볼 수 있는 진행형 Regular Bearish Divergence 와 과매수구간으로의 진입을 앞둔 스토캐스틱과 맞물려 대추세를 깨지 못하고 하락 흐름을 이어나갈 가능성으로도 보여집니다.
참고로 현재 진행형인 주봉은 내일 오전 9시에 마감예정입니다. 만약 내일 오전까지 현재의 하락추세 돌파를 유지하고 보다 짧은 주기에서도 그 상승세를 이어갈 흐름이 관측될 시에는 더이상의 비교는 의미가 없어진다고 봐야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