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부스트 부탁드립니다^^ 비트코인/USDT/바이낸스/현물/4시간 차트입니다 어제 오후, 트럼프 취임 기대감이 10시간 가량 빠르게 선반영되며 예상보다 빠르게 갑작스런 급등이 나오는 모습이었습니다. 예상치 못한 갑작스런 급등세에 숏포지션 대량 청산과 함께 숏스퀴즈 나오며 저항대들을 단숨에 돌파하고 109,600 구간까지 상승, 신고가 갱신하는 흐름이었습니다. 이후, 트럼프 취임 직후 급격한 반락이 나왔지만 전일 지지구간이었던 99.5K와 비슷한 100K 구간에서 지지가 나오고 있는 모습입니다. 우선, 하단 상승추세선을 완성했다고 보기에는 4시간봉 상 하단부 파동이 완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오늘은 빗각을 토대로...
⚠️ 팔로우, 부스트 부탁드립니다^^ 비트코인/USDT/바이낸스/현물/4시간 차트입니다 비트코인이 예상보다 강세를 보이면서 주말사이 102,700구간, 104~105K구간을 돌파하며 106K 부근까지 상승이 나온 모습이었습니다. 이후 102,700구간에서 소폭 지지, 재차 상승 시도가 나왔지만 106K구간에서 크게 돌파하지 못하자 실망매물과 함께 전고점 탈출 물량, 단기 차익실현 매물 출회되며 밤사이 큰폭의 하락이 발생하는 모습이며, 현재 지지구간인 98.5~99.5K 구간에서 소폭 지지를 받아주는 상태입니다. 4시간봉 상, 매물이 크게 출회가 되는 듯하지만 5분봉으로 보면 하락 초기보다 저점구간에서 들어오는 거래량이 더 많은 것을 볼 수...
⚠️ 팔로우, 댓글 부탁드립니다^^ 비트코인/바이낸스/현물/4시간 차트입니다. - 미국 필라델피아 제조업지수 : 예상 -5.0 → 발표 44.3 - 미국 12월 소매판매 : 예상 0.6% → 발표 0.4% - 미국 12월 수입물가지수 : 예상 -0.1% → 발표 0.1% -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 예상 210K → 발표 217K 어제밤 22:30 경제 지표가 발표되면서 연준의 금리인하 방향성을 예측할 수 없는 결과가 나오자 시장이 소폭 흔들리는 모습이 나왔습니다. - 필라델피아 제조업지수와 수입물가지수가 예상치를 상회 → 금리 인하 불확실성 - 소매판매 예상치 하회,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예상치 상회 → 금리 인하 가능성 두...
비트코인/바이낸스/현물/4시간 차트입니다 비트코인이 지난밤 미국 CPI, 물가상승률 발표에 큰폭의 상승이 나온 모습입니다. - 근원 물가상승률 MoM : 예상치 보합 - 근원 물가상승률 YoY : 예상치보다 0.1% 하회 - 물가상승률 MoM : 예상치보다 0.1% 상회 - 물가상승률 YoY : 예상치 보합 - CPI : 예상치 보합 이번 경제지표 결과는 지난 23년도 3월 당시 실리콘벨리 은행 파산 여파로 큰 위기가 왔던 그때 당시 만큼 중요도가 높은 상황이었습니다. 그동안 미 연준의 올해 금리인하 정책 방향성에 미 증시와 코인시장 모두 약 한달간 조정을 받는 모습이었지만 이번 경제지표 결과로 추가 조정에 대한 걱정을 한시름...
비트코인/테더/1시간/바이낸스 차트입니다. 지난번 분석 이후로 추가적인 상승이 더 나오면서 비트코인은 69K, 69.5K 까지 상승이 나왔으며, 67.8~68K 구간이 단기적으로 지지를 받을 가능성이 있었음에도 어제 밤 예상보다 거래량이 크게 나오면서 이구간을 돌파하락, 66.8K까지 하락이 나온 모습이었습니다. 과대 낙폭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이 되었으나 67.8~68K 구간이 반대로 저항대로 작용하면서 재차 하락을 이어갔습니다. 오전에 지지받은 66.5K 구간은 지난 16일 분석 당시, 단기적 조정이 온다면 1일 내외 지지 받을 것으로 유력한 자리였으나 추가 상승이 나온 만큼 이 구간에서 낙폭이 크게 나왔음에도...
안녕하세요 차태진입니다. 부스트와 팔로우 누르시면 빠르게 분석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비트코인/테더/1일봉/바이낸스 차트입니다. 비트코인은 지난 3월 74K 부근 고점 갱신 이후로 중장기 지속적인 하락 박스권을 만들며 조정을 받고있던 상황이었습니다. 지난 8월 5일에는 이 박스권 하단을 강하게 이탈하면서 투심을 흔들기도 했지만 결국 하루만에 박스권 안에 복귀하는 모습이었습니다. 다만, 하락폭이 컸던 탓인지 박스권 상단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8월말 박스권 3/4지점에서 저항을 맞고 다시 하락세 이어가며 박스권 하단을...
아이디어 빠르게 받아보실 분들은 팔로우와 부스트 부탁드립니다 ■■ 시장 분석 ■ 물가 상승률과 추가 금리인하 - 근원 인플레이션율 MoM 예상 0.2% -> 발표 0.3% - 근원 인플레이션율 YoY 예상 3.2% -> 발표 3.3% - 인플레이션율 MoM 예상 0.1% -> 발표 0.2% - 인필레이션율 YoY 예상 2.3% -> 발표 2.4% - CPI 예상 314.86 -> 발표 315.3 어제 밤 물가상승률을 나타내는 지표들이 전부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시장이 크게 출렁였습니다. 연준이 주요로 참고하는 PCE는 아니지만 고용 시장 견고함과 이번 CPI 발표 등으로 추가 기준 금리 인하에 우려가 생기면서 비트코인은 발표 직전 61K...
■ 기술적 분석 비트코인/테더/1시간봉/바이낸스 차트입니다. 지난 10월 4일 분석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 흐름이 나오는 모습입니다. 예상보다 가파르게 상승 흐름이 나오며 오늘 62.5K 돌파 후 64K 부근까지 상승이 나왔으나 지난 분석에서 말씀드렸던 64~65K 중단기 저항대에 막혀 조정이 나오고 있는 모습입니다. 상승이 막히고 조정이 나오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이어서 시장 분석 파트에서 다루겠지만, 우선 기술적 분석으로서는 지난 9월 상승세에 계속해서 언급드렸던 64~65K 저항대가 3월 이후로 지속적으로 지지/저항이 나왔던 구간이기 때문입니다. 20시 1시간봉 상 62.6K 구간 지지를 받고 소폭 반등이 나왔으나 현재 시각...
■ 시장 분석 방금 전 미국 고용 안전성과 관련된 경제 지표들의 발표가 나왔습니다 주당 평균 근무 시간과 제조업 급여는 예상치보다 하회 하였지만 시간당 평균 임금은 MoM과 YoY 둘다 예상치를 상회, 비농장 급여와 실업률이 긍정적으로 나오면서 시장에서 그동안 제기해왔던 고용 시장 둔화/침체에 대한 경계심을 누그러뜨리게 되었습니다. 다만, 견고한 고용시장은 11월 FOMC와 더불어 앞으로 있을 FOMC에서 적극적인 금리 인하와는 멀어지기 떄문에 당장의 금리 인하로 시장의 유동성을 바라는 시장 참여자들과 금리인하가 늦어지더라도 견고한 경기, 고용 시장을 원하는 참여자들간의 혼조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 이전 브리핑에서...
■ 기술적 분석 어제 62~62.5K 구간을 1차 지지구간, 60~61K구간을 마지노선으로 단기 상승세로 돌리기 위해서는 이 두 구간이 주요한 지지라인으로 작용해야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62~62.5K 구간은 9월 상승분의 1/3 반납 지점, 60~61K 구간은 9월 상승분의 1/2 반납 지점입니다. 예상보다 큰 낙폭에 1차 지지구간은 하락 돌파하였지만 다행히도 60~61K구간에서 지지를 받고 과대 낙폭에 따른 반등이 나오고 있는 모습입니다. 다만, 이번 반등이 시장에 어떠한 긍정적인 이슈가 있어서 오르는 것이 아니라 과대 낙폭에 따른 반발매수세의 유입이라는 점에서 아직 상승 전환이라는 섣부른 판단을 내리기에는 이른 감이 없잖아...
\ ■ 기술적 분석 비트코인/테더/4시간차트 입니다. 비트코인이 강력한 저항대였던 64~65K 구간(3번 보라색 박스권)을 돌파하고 67K를 목전에 둔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상승 약 3일 만에 다시 상승폭 일부를 반납하며 상승시에는 강력한 저항대가 되었던 64~65K 구간에서 지지를 받지 못하고 강력한 하락 돌파가 나왔습니다. 63K부근까지 하락하였고, 현재 하락세가 소폭 둔화되었지만 아직 확실히 지지를 받는 모습은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 9월 7일 저점과 9월 17일 저점, 9월 7일 고점과 9월 14일 고점, 9월 20일 고점을 연장선 상에 두면 1번 빨간색 박스와 같은 상승 박스권이 되는데, 이 구간 하단을 돌파...
■ 가상화폐 시장 이번 9월 19일에 FOMC에서 50bp 빅컷이라는 강행을 결정하면서 시장에서는 당장은 금리 인하에 초점을 맞춰 상승세가 이어지는 모습입니다. FOMC에서 파월 의장이 한 발언을 보면, 현재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은 안정세로 돌아선 반면 고용 지표나 경제 성장률(GDP)가 이전 FOMC 전망치보다 둔화되었다고 밝혔습니다. 고용의 경우 현재 상태나, 전망치가 앞으로 위기라고 할 정도로 위험한 수준은 아니며, 현재 고용 상태는 탄탄하다고 뒷받침하였습니다. 다만, 시장에서는 당장의 금리 인하에 환호하는 모습이고, 앞으로의 추가적인 인하에 기대하는 모습이지만 전에 말씀드렸다시피, 고용 수준과 경기 전망이 탄탄하게 받쳐주며 인하가...
엔비디아/1일봉/로그차트 입니다. 엔비디아가 AI시장 거품론에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삼각수렴을 만들고 있는 모습입니다. 다만, 단순히 AI 거품론 보다도 22년도 10월 13일 이후로 이어져온 1,200%라는 가파른 상승세에 따른 당연한 가격조정과 기간조정, 차익실현 매물 출회에 따른 결과로 볼 수도 있겠습니다. 현재 로그 차트 상 6월 20일 고점과 8월 26일 고점을 이어보면 상단 하락추세선이 완성되고, 1월 3일과 8월 5일, 9월 6일의 저점을 이어보면 하단 상승추세선이 완성됩니다. 1차적으로 1월 3일과 4월 19일, 22일, 25일의 저점을 이은 하단 상승추세선은 7월 24일 하락 돌파 후 8월 1일과 8월...
■ FOMC 결과와 영향 방금 전, 9월 FOMC에서 50bp 빅컷을 선언하며 지난 22년도 이후로 지속되어왔던 고금리 정책에서 4년 만에 첫 금리 인하가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다만 우려스러운 부분은 지난번에도 말씀드렸다시피 베이비컷이 들어가냐, 빅컷이 들어가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현재 경기둔화/침체 우려가 완전히 해소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미 고용시장의 견고함이 뒷받침되어야 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의 반응이 긍정적으로 나올 것입니다. 이번 FOMC에서 물가상승률의 둔화는 긍정적일 것이라고 조정되었으나 GDP 전망이 하향된 점과, 실업률이 악화(고용수준 둔화)될 것이라고 조정된 점이 시장에 혼조세와 하방압력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 비트코인 / USDT / 4시간 / 바이낸스 차트 비트코인이 4시간봉상 여러 박스권을 만들며 등락을 반복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오늘 9월 11일 한국시간 오전 10시를 기점으로 추세가 전환되며 하락세 이어가는 모습인데, 기술적 분석과 이슈로 인한 분석까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1번 박스권 (빨강) 지난 8월 27일 이후로 61K 부근에서 부터 오늘 9월 10일 고점 부근까지 하락 추세 상단이 이어지며, 이를 평행선 상 박스권으로 연장해보면 1번과 같은 박스권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 2번 박스권 (주황) 1번 박스권 중간에 9월 4일경 박스권 하단을 무너뜨리는 흐름이 나왔습니다. 이후 반등이 나오며...
■ 비트코인 바이낸스 USDT 1시간 차트 ① : 지난 3월 FOMC 시점에 대량 거래량이 동반되며 상승 추세를 만들었던 자리 ② : 68k에서 저항을 맞고 내려와서 ①번 자리 부근에서 지지를 받은 모습 ③ : 직전 68k 단기 고점 자리 저항을 강력한 거래량으로 뚫고 올라간 모습 ④ : 71k 부근에서 저항을 맞고 내려왔지만, 다시 ③번 자리와 비슷한 거래량으로 돌파 시도한 모습을 보였음. 하지만 강력한 거래량에도 불구하고 상승 흐름 이어가지 못한 모습 ⑤ : 69k~71.5k에서 단기 박스권을 형성했지만 결국 71.5k 부근에서 계속된 저항으로 거래량 동반하며 하락한 모습 ⑥ : 과대 낙폭에 따른 단기 저점 매수세 유입, 기술적...
단기적으로 애매한 위치에 있어 67k 돌파후 69k 돌파여부, 67k 저항 후 65k 재지지 여부, 65k 무너질시 FOMC 이후 15분봉 대량거래량 동반했던 64k~63k 주요 지지박스권에서 지지받을 지 여부, 대량거래량 자리에서 지지 받을 지 못할 경우 60~61k 재테스트 해주는 흐름 나올 것 예상
국내 코인 차트는 원달러 환율 변동성과 김치 프리미엄 증감으로 인해 USDT나 USD 차트에 비해 변동성이 심화되는 양상을 보임. 대체로 USDT or USD 차트 상에서 주요 지지/저항 구간들을 국내 차트에서는 동일한 수준의 자리들을 무너뜨리거나 돌파하는 흐름들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으며, 이는 원달러 환율과 김치 프리미엄이라는 2중의 변수로 인해 발생하는 것임. 하지만, 방향성 자체는 시장이 더 큰 USDT or USD 시장을 따라가고 있기 때문에 국내 현물 투자 시, 주요 추세나 지지/저항 자리들의 범위를 보다 넓게 잡으면서 방향성 위주의 투자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따라서, 국내 거래소에서 현물 투자를 하는 투자자들은 이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