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도세를 근거로 하락을 예상하였으나, 현 구간에선 어디까지 어떻게 움직일지, 또 방향을 찾아내야 하기 때문에 큰 채널 기준으로 유효할 가능성이 높은 채널들을 만들어본 결과, 초기에 예상했던 부근인 61k부근에 맞물리는 라인 + 이 구간이 이전에 강한 매수가 붙었던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후 파동 및 고래들의 매수/매도 움직임을 체크해야겠지만, 이번 하락 파동에 대한 종착지는 59~60k부근에 있는 해당 라인이 유력하고, 해당 라인 지지를 받고 매수가 붙는 것까지 확인이 된다면, 올해 상승 사이클의 마지막 하단이 될 가능성도 있을 듯 합니다.
현재 비트코인은 거래량이 현저하게 줄어든 것으로 보아, 하락 추세라기보다는 대형 박스권을 만들고 횡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방향을 주기 위해서 추세를 반전시키는 구간(거래량이 터지는 구간)이 형성 되어야 하기 때문에, 아직까지 많은 사람들이 기다리는 고점을 돌파할만한 상승을 보여줄 자리는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63.4k까지 왔음에도 거래량이 없었기 때문에 그보다 더 낮은 자리를 볼 수밖에 없고, 박스권이라는 관점 하에 56.5k까지는 가지 않을 것으로 판단, 61.7~62.4k 구간이 이번 박스권의 바닥이 아닐까 예상합니다. 이 구간은 이전 꼬리들을 모았던 강한 저항 부근이고, 보통 반등 추세 직전에 나오는 382자리를 살짝...
현재 비트코인이 66구간에서 매도 구간을 형성하며 하단에 머물고 있습니다. 이는 70~71k 구간에서 매도 구간을 형성한 것과 동일하게 강한 매도 압박이 있는 구간으로 보여집니다. 따라서 하단으로 한 파동이 더 하락할 것으로 생각되고, 아래 1차적인 저항 구간 62k~63k 부근에서 buy box를 어떻게 형성하는지 보고 반등의 여지를 살펴봐야할 거 같습니다. 다만 모두가 보는 buy 구간이기 때문에 이를 먹여줄지도 고려를 해야겠습니다. 만약 그 하단에서도 매수가 들어오지 않거나, 매도가 포착된다면, 이전 퍼블리쉬 했던 그림대로 60k까지는 열어두고, 이번 시즌에서 그려주었던 상승 라인을 지켜주는지 체크해야합니다.
어제 지속적인 매수세가 붙는 것이 확인 되었으며, 이후 cpi 발표와 맞물려 거의 70k까지 상승 후 다시 내려온 상황입니다. 정상적으로 파동이 진행된다면, 횡보 후 다시 내려가거나,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여 주어야 하는 것이 맞겠지만, 다시 이 구간에서 매수가 계속 들어오는 것이 확인 되고 있습니다. (시간 봉에선 저점에서만 발현되었기 때문에, 긴 추세를 예측하는 것은 아님) 그래서 이 구간이 어떤 구간인지 넓은 프레임으로 확인해본 결과, 이전 72k 트라이를 하기 위해 매집했던 구간과 같은 구간임을 확인했고, 현 구간은 Buy 영역, 이전 고점 부근(매도세가 강했던 부근)을 Sell 영역으로 나누었습니다. 현 구간에서도 매수가 붙고,...
현재 강한 추세 저항 부근이었던 72k부근에서 눌린 모습입니다. 이는 67k부근에서 상승 직전에 매수가 지속적으로 들어와서 매집 구간임을 판단한 것과 동일하게 71~72k 부근에서 강한 매도세가 들어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한차례 스탑 헌팅을 주고 나서 내려온 것으로 보입니다. 이전 추세 라인을 맞고 횡보 중인 모습이며, 약 반등(69.8~70.2 -> 되돌림 구간) 후 한 차례 추가 하락을 하며 정상적인 하락 파동을 만들어내지 않을까 생각 중이며, 현 추세 라인을 깨고 내려간다면, 이전 매집 라인이었던 67k부근이 1차 도달가가 될 것이고, 이후 한 차례 더 빠진다면 61~62k까지도 열어두어야 할 수도 있는 구간입니다. 다만,...
현재 저번에 말씀드린 구간에서 캔들이 비비고 있는 모습입니다. 여기를 강하게 돌파 해주느냐, 못하느냐에 따라 조정 후 상승, 또는 다이렉트 상승을 판단할 수 있을 듯 합니다. 상승하게 된다면, 이전 고점인 73800부근에서 한번 저항을 맞을 수 있지만 759~76000부근 정도가 1차 목표가로 도달할 수 있을 듯 하며, 더 장기적인 관점으론 84~86k까지의 상승 파동이 이어질 것으로 생각됩니다.(컵핸들 패턴 기준)
현재 비트코인이 상방 트라이를 하고 있습니다만, 이전 구간의 매집세 만큼의 큰 매도세가 포착되지 않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 구간에서 고점 갱신 트라이시 1차 목표가는 이전 고점 부근인 73800부근이 되지 않을까 싶고, 장대 양봉 돌파시 76100~200부근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여기서 73800/ 72k 부근을 중요 지점으로 보고 있는데, 이는 이전 고점 부근이기 때문에 돌파시 강한 상승을 그려낼 수 있지만, 여기서 매도세가 나오면서 눌릴 경우 다시 60k대까지 내리면서 바닥을 다시 다진 후 올라올 가능성도 있기 때문입니다.
주말간 박스권 횡보를 하며, 많은 매집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해당 구간에서 이전부터 많은 매수세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강한 지지 구간임이 확실하고, 깨질 시 크게 깨질 수도 있는 구간이지만, 롱 관점이라면 바닥이라고 생각해야할 정도의 매집세였습니다. 현재까지, 짧은 추세 눌림에 대한 매도 세는 발생하였지만, 주말간 매집이 들어온 것에 대한 매도세가 아직 포착 되지 않았으며, 상단 저항대 두군데에 도착하였을 때의 매도세에 따라 방향이 갈릴 듯 합니다. 월봉이 마감하였고, 주봉이 바뀌는 내일부터는 어느정도 방향성을 줄 순 있을 거 같고, 결국은 대형 삼각 수렴안에서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큰 방향(강한 방향)은 수렴을 벗어난 이후에...
어제 70k를 돌파해두고, 금일 바로 빼면서 조정을 주고 있습니다. 어제와 마찬가지로 추세라인 부근에서 비비고 있기 때문에 큰 하락의 위협을 느끼게끔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요즘 트렌드인 추세라인을 깨지 못하고 말아올려주고, 깬다면 고점을 깨지 못하는 부근까지 반등 후 조정 시나리오(파란색 시나리오)를 높게 보고 있습니다. 이유는 어제 반등시 CME갭(네모 박스)이 생긴 모습이고, 조정이라면 현재 갭과 가까운 상황에서 채우고 가는 것이 이상적이기도 하기 때문이며, 계속해서 매수가 들어오는 것이 포착되는 것도 근거로 삼을 수 있습니다. 또한 15분봉 파란 동그라미 발생시 그대로 말아올리는 움직임 or 무반등 하락 두가지 케이스로 극단적인 움직임이...
4시간봉에서 매수가 크게 들어온 것이 확인된 이후에 3.5%가량 상승하였고, 현재는 매도가 나온 것으로 확인 된 상태입니다. 보통 상승 후에 매도가 나왔을 때 최소 횡보 정도는 해주었으며, 현재는 하락 추세를 돌파한 후에 나온 매도세이기 때문에 현 구간은 큰 방향이 나오는 하락에 대한 매도세라기 보다는 횡보나 약조정 이라고 생각합니다. (횡보 박스권에서의 매도세였다면, 제자리 되돌림까지 생각해야 하는 하락이라 생각했을 것.) 생각중인 조정 구간은 잘 빠져봐야 67.7~67.9 구간이라 생각되며, 지금 구간에서 그린 패턴상 이전에도 추세라인 돌파 후 다시 추세 라인 리테스트 구간에서 비비적 거리던 것을 감안했을 때 67.3까지도 상승...
조정시 하락-반등-하락-반등이 아닌 시간 횡보만 하는 것으로 봐선 현재 강한 상승추세에 돌입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난번 고점 갱신을 할 때도 강한 상승 때에는 하락-반등 조정이 아닌 기간 횡보를 거쳤으며, 현재 이더리움이 비슷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롱을 태우고 갈 거란 생각보다는 한번 스탑은 터뜨리고 빠르게 말아 올리는 것이 가능성이 높아 보이기 때문에, 현 구간보단 조정 또는 일정 부분 올라온 상태에서 매매를 하는 것이 안전해 보입니다. 근거는 반등시마다 나오는 매도세, 일봉 기준으로도 강한 매도 + 매수세가 힘싸움을 하는 모습이었으며, 아무리 하락 조정이 아닌 기간 조정을 거친다 할지라도 짧고 굵은 조정은 있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