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500.F 트레이딩 아이디어
S&P 500 8시간봉 과거 패턴 참고 미래 방향성 예상8시간봉 구름대 하단을 지켜준다면 8시간봉 50 EMA 이평선까지의 반등이 예상되고
현재 가격대를 지켜주지 못한다면 최소 8시간봉 EMA 200 까지는 한번에 도달하게 될것으로 예상합니다.
그리고 지금 부터 하락을 하던 추후 고점을 다시 갱신하고 하락을 하던 앞으로 8시간봉 EMA 360이평을 터치하기 전까지는 대세 상승장이 오지 않을 것으로 염두되고
혹시나 8시간봉 EMA 360이평이 깨진다면 2020년 3월의 코로나 하락에 버금가는 하락장세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합니다. 투자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SPX500(에센피) 일봉차트 분석캔들패턴 및 지지/저항을 활용하여 방향성 체크해봅니다.
참고하세요.
S&P 500은 500개 대형기업의 주식을 포함한 지수이다. 500개의 기업 중 대부분이 미국 기업이다. 맥그로-힐 계열사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가 소유 및 관리를 맡고 있다. S&P 500은 지수 자체를 일컬을 뿐 아니라 지수에 포함된 해당 500개 기업 자체를 지칭하기도 한다.
S&P 500 지수는 더 넓은 폭의 주식시장지수인 S&P 1500과 S&P 글로벌 1200의 한 부분이다.
500개 종목의 주식을 기준으로 한 지수로, 블루칩인 30개 종목의 주식만을 대상으로 하는 다우존스의 산업 평균지수보다 포괄적이기 때문에 머니 매니저의 영업실적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S&P 500 지수는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미국의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tandard and Poors, 약칭 S&P)이 작성한 주가 지수이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는 무디스(Moody’s), 피치(Fitch) 등과 함께 세계 3대 신용평가 기관으로 불리고 있다.
다우존스 지수와 마찬가지로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의 주가 지수지만, 지수 산정에 포함되는 종목수가 다우지수의 30개보다 훨씬 많은 500개이다. 지수의 종류로서는 공업주(400종목), 운수주(20종목), 공공주(40종목), 금융주(40종목)의 그룹별 지수가 있다. 한편, S&P 500지수 옵션의 향후 30일간 변동성을 반영하는 'VIX 지수'가 있다. 이 지수는 증시 지수와 반대로 움직여서 '공포지수'라고도 불린다.
최근, S&P는 유가변동으로 인한 주가변동으로 큰 관심을 이끌고 있고, 한 주당 가격이 비싸다는 이유로 진입장벽이 높다는 한계점 또한 가지고 있다.
지수 산정에 포함되는 종목은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가 우량기업주를 중심으로 선정한다. 시가총액식 주가지수는 전 종목을 대상으로 지수를 산출하기 때문에 시장 전체의 동향 파악이 다우식보다 용이하고 시장구조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장점이 있는 반면 대형주의 영향을 크게 받고 투자자가 느끼는 주가의 변동추이와 지수움직임이 큰 차이를 보인다는 약점을 안고 있다. 산출방식은 비교시점의 주가에 상장주식수를 곱한 전체 시가총액과 기준시점의 시가총액을 대비한다.
2005년과 2007년도의 3일봉 S&P500 차트 패턴 공유왼쪽에 2005년 3일봉 차트 / 가운데 현재 3일봉 차트 / 오른쪽 2007년 3일봉 차트
입니다.
현재 비교가능한 시점을 주황색 화살표로 표현하였고 앞으로의 예상 흐름과 아주 큰 추세를 결정 짓기게되는
추후 타이밍을 볼린져 밴드 상단에서 중간의 지지 여부를 확인하는 부분을 보라색 화살표로 표현하였습니다.
만약 2005년도 패턴을 갈때는 추수 상승장을 가기 위한 기틀이될 수 있으며
반대로 2007년도 패턴을 따라 갈 때는 금융위기라고 할 만큼의 큰 하락 추세가 나올 수 있음을 염두하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05년과 2007년도의 3일봉 S&P500 차트 패턴 공유왼쪽에 2005년 3일봉 차트 / 가운데 현재 3일봉 차트 / 오른쪽 2007년 3일봉 차트
입니다.
현재 비교가능한 시점을 주황색 화살표로 표현하였고 앞으로의 예상 흐름과 아주 큰 추세를 결정 짓기게되는
추후 타이밍을 볼린져 밴드 상단에서 중간의 지지 여부를 확인하는 부분을 보라색 화살표로 표현하였습니다.
만약 2005년도 패턴을 갈때는 추수 상승장을 가기 위한 기틀이될 수 있으며
반대로 2007년도 패턴을 따라 갈 때는 금융위기라고 할 만큼의 큰 하락 추세가 나올 수 있음을 염두하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