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500.F 트레이딩 아이디어
SPX500 (1시간 차트)-지지선 접근으로 상승!SPX500 가격은 첫번째 지지선 2600에 접근하였으며
첫번째 지지선
1.수평 스윙 로우 지지선
2.피보나치 확장 61.8%
3.피보나치 조정 비율 78.6%
이 수평선의 바운스 반응으로 인해 주요 저항선 2683까지 상승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주요 저항선
1.수평 풀백 저항선
2.피보나치 조정 비율 38.2%
3.피보나치 확장 61.8%
Stochastic 스토캐스티(89,5,3)-지지선 접근으로 상승
*주의: 이 분석은 일반적인 시장 논평으로 제공되며 투자 자문을 구성하지 않습니다. 또한 보증금 마진 거래에는 투자 리스크가 높으므로 손실은 초기 보증금을 초과 할수 있습니다. 투자하시기전에 거래 리스크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Tickmill 기술분석 팀
S&P500 Bull coming soon and Bitcoin? 10/2018안녕하세요. Skywalker입니다.
증시가 크게 출렁이고 있는데, 증시와 비트코인의 관계가 현재 투자자들의 큰 관심이 아닌가 싶습니다.
증시와 함께 흐름을 체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S&P500 15M
보시는 바와 같이 강한 패닉셀이 발생한 역 펌프엔 덤프 패턴 입니다.
저의 분석글에서 자주등장하고 제가 매수관점에서 좋아하는 반전형 패턴으로,
발생하기 전에는 주의해야 하고 발생할 당시에는 당혹스럽지만 지나고 나면 강하게 바닥을 테스트하여 반전하는 반전형 패턴의 일부입니다.
MACD의 다이버전스가 생기며, 의미있는 상승 파동이 나오기 시작했었고, 강하게 바닥을 테스트하고 있기 때문에 더이상 패닉셀이 없다면 현시점부터 서서히 반등이 등장할 것입니다.
바닥을 잡겠다는 것은 위험합니다. 그러나 바닥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는 점으로 상승관점으로 보아도 좋을 듯 합니다.
역시나 직전의 분석글과 마찬가지로 주봉과 월봉의 장기프레임으로 투자를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스윙과 한달이내의 투자가 적합합니다.
S&P500 1W
주봉의 MACD의 파동이 0으로 수렴하고 있으니 지금은 경각심을 갖고 장을 바라봐야 하며,
0으로 수렴한 이후 다시 반등할 때까지 주의해야 합니다.
BTC 1D
비트코인은 분석이 무색할 정도로 변동성이 적어지고 있고 여전히 상승관점을 유지 할 수 있습니다.
증시가 출렁일 때의 여파가 비트코인에도 전해지는 그림이 보여지고 있으니, 증시의 반등이 머지 않은 시점에서 비트코인이 함께 상승해주는 모습이 보이지 않을까 싶지만, 지켜볼 일입니다.
---------------
뉴스와 신문에선 기관이 바닥에서 매집하고 있다, 저점에서 사야한다, 기회다라고 광고하는 글들이 다소 나오고 있습니다.
반등할 수는 있지만, 그 추세가 그리 길지 않을 확률이 많습니다.
기관과 언론을 대중을 위하는 글을 잘 쓰지 않습니다.
정말 좋은 시기에는 공포를 주고 조용히 매집을 하는 편이지요.
패닉을 매수의 기회로 삼지만, 단기간 반짝하는 증시에 열광하고 추격하는 것에 주의하사길 바랍니다.
단 지금은 공포가 극에 치닫는 시기이며 패턴적으로도 매수관점에서 볼 수 있습니다.
무모하게 바닥을 잠으려 하지 말고 시장이 상승추세 진입을 완성했을 때 흐름에 동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S&P 500 / Sell / 10/8/2018
4월 중순부터 비트코인과 정반대로 움직이는 미국증시에 대한 분석입니다.
앞으로 2500 밑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범프 엔 런
2. 프래그 패턴
3. 상승쐐기형과 거래량의 감소
4. 불안정한 상승 말기 둥근바닥의 모습
5. 고점에서 하락할 때마다 대량의 하락 거래량이 발생하며 분산활동 증가.
5. 금리인상과 중국과의 갈등, 경제 불안성
상단에서 매도는 다소 이릅니다.
10년간의 상승에 대한 긍정적인 심리가 아직 시장에 남아있기 때문에 시장이 깨닫는 시간이 필요할지도 모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상단에서의 매도는 강한 매수세에 곤혹을 겪을 수 있으며 시장이 완전히 매도로 돌아선 것을 확인하고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50일 이평선을 거래량과 함께 하락 할 시 2500까지의 범프 엔 런 패턴의 목표가를 설정하고 매도 진입이 가능합니다.
또한 4월 중순부터 비트코인과 정반대의 흐름을 보여 주고 있기 때문에 하락 이탈할 시 비트코인으로의 자금 유입을 개인적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함께 살펴보시면 좋으실 겁니다.
감사합니다.
[7월 8일] S&P 500 월봉쉬어가는 타임으로 S&P 500 지수 월봉 차트를 들여다 봤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완만하게 성장을 해오다가 2017년부터 상당히 가파르게 상승하네요.
둥글고 완막하게 성장하면 향후 긍정적이지만, 이렇게나 가파르면 급락을 하기 마련입니다.
비트코인도 똑같은 모습이었죠.
급락 전 징후와 같다는 생각입니다.
어떻게든 기업 실적 좋게 해서 증시를 끌어올리려고 세제개혁안도 만들고,
남북 평화로 증시 분위기도 좋게 만들려는 것 같은데..
무역전쟁도 비슷한 맥락이겠지요.
과연 이와 같은 과열의 끝이 어떨지..
증시가 휘청대면 소비, 일자리, 여러방면으로 휘청대기 마련입니다.
과연 어떨지.. 경제침체에 대응할 준비해야겠습니다.. ^^;;
ps. 증시와 금리인상의 경제와 비트코인은 과연 어떤 관계에 놓일지 생각해봅시다..
좋은 생각이 있으시다면 댓글부탁드려요~
비트코인과 SPX와의 선후행 관계 가능성, 그리고 SPX의 향후 추이 예측요약 : SPX와 비트코인과의 유사성에 대해서 다룹니다. 간단히 말해서, 비트코인이 SPX 지수의 향후 행보를 "미리 보여주는" 선행지표의 역할을 현재 하고있는 것이 아닐까?
BTCUSD의 일봉
이제 위 차트를 바탕으로 어떠한 유사성이 관측되는지를 알아보도록 합니다.
< 명분적 측면 >
1. 의외로 SPX와 BTCUSD는 최고점에서 이른바 "트리거" 역할을 한 특정 대형 사건으로 인해 폭락장이 시작되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a. SPX - (트럼프발) 미중 무역전쟁 우려에 의한 미 증시 급락
b. BTCUSD - (한국발) 정부의 한국 거래소 폐쇄 가능성 시사 이후 급락
2. 이후 반등도 패닉셀의 원인이 된 명분이 어느정도 해소(또는 희석)되면서 이루어집니다. 다만 특이한 것은, 이 반등이 피보나치 되돌림상 0.618 자리에서의 기술적 반등을 지켜주었다는 것입니다.
즉, 두 종목(또는 지수) 모두 하락장의 트리거가 선명했고, 심리 위주의 차트가 그려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기술적 분석상 나올 수 있는 패턴과 되돌림 측면에서의 가격 변동을 (비교적) 정직하게 따라가주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하단 기술적 측면 참조)
< 기술적 측면 >
두 차트에서 공통적으로 보여진 기술적 하락의 시그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최고점 기준 더블탑, 즉 쌍봉이 관측되었습니다.
2. 첫 폭락은 최고점에서 매우 중요한 매물대를 기준으로 한 피보나치 되돌림 기준 0.618 자리에서 비교적 정확히 강한 반등이 이루어졌습니다.
a. SPX의 경우 2400 내외
b. BTCUSD의 경우 6000달러 내외
3. 두 일봉 차트 모두 최고점과 더블탑을 기준으로 했을 때, 하모닉 패턴인 Bearish Gartley(가트레이 매도) 패턴이 관측되었습니다. 이후 큰 하락이 동반되었습니다. ( 차트상 표기된 2번 자리)
4. 일봉상 21일 MA와 50일 MA간의 데드 크로스가 이루어졌습니다.
< SPX 차트가 앞으로 어떤 추이를 보일 것인가? >
앞서 비트코인 차트가 보여준 추이를 기준으로 BTCUSD의 일봉 차트가 SPX의 선행지표일 가능성을 열어둔다면, 앞으로 SPX의 지수 추이는 다음과 같은 행보를 가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1. BTCUSD 차트는 재차 하락할 시 지지되었던 피보나치 되돌림상 0.618 자리의 지지를 실패하고, 중요 매물대 즉 되돌림상 1 자리까지 강한 하락을 보여준 후, 해당 되돌림 자리에서 큰 반등이 나왔습니다.
2. 이후 큰 반등이 일어나기는 하였으나, 이번에는 0.618 자리가 강한 저항선으로 변경, 이후 해당 Resistance Level을 돌파하지 못하고 또다시 하락을 보여줍니다.
3. 현재 SPX 지수는 다시 전에 피보나치 되돌림상 강한 지지를 보여줬던 0.618 자리인 2600선에 다시 도달하였고, 가장 중요한 것은 이 선을 지지하지 못하고 하락하는지를 유심히 관찰하여야 합니다.
4. 만약 지지 실패시 2400 전후 Bullish Support Level까지의 하락을 열어두게 됩니다(BTCUSD 차트로 보면 6000달러까지의 하락과 비슷한 위치). 그리고 해당 지점에서 다시 반등 매수 포지션을 잡을 여지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