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 9월 조정이 예상된다.#나스닥 (1D)
나스닥 차트는 일봉 기준으로 2023년 12월 상황과 유사하게 흘러 가고 있습니다.
2023년 12월 13일 CVD RSI 과매수 구간 진입 후 120일간 하락 상승 추세가 이어 졌습니다.
120일 후 2024년 4월 11일 부터 1주일간 -7.54% 정도의 조정이 발생 하였습니다.
조정 후 그즉시 반등 하여 82일간 +22.55% 가파른 상승을 보여 줬습니다.
지근도 과거의 상황과 유사합니다. 2025년 5월 19일 CVD RSI 과매수에 진입한 이후 지금까지 101일간 상승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9월 안에 조정이 발생한다면 조정 이후 그즉시 큰 반등으로 이어질 확률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9월 조정을 차분히 기다리며, 연말까지의 랠리를 즐기기 위한 계획을 세워두면 좋을것 같네요.
IXIC 트레이딩 아이디어
나스닥 과연 버블일까?
나중에 나의 포트폴리오 분산을 위해 슬슬 관심을 갖는 나스닥
과연 그는 어떤 상황일까,
일단 초진, 버블의 끝이거나 아니면 이정도는 가뿐히 잡아먹을 버블이 오거나
시나리오 1) 전세계를 패닉에 빠트리는 조정의 서막
우선 나스닥의 전체 역사를 아우르는 메가울트라그랜드 5파의 종결
(네이밍 센스는 부족한 편)
이해를 돕기 위한 1파와 2파 사진을 첨부함
1파는 닷컴버블이 터지기 전 5,132 고점으로 하고
2파는 전세계를 악의구렁텅이로 몰아 넣는 (사실 겪지 않아 모름)
약 75%의 조정값으로 설정한다
이렇게 하고 나면 나올 수 있는 5파 흰색 파동이 시나리오 1이다
다시 한번 살펴보면 이제 아래 첨부사진이 될 것
3-4파는 겪어보았다, 그래 코로나 때 전세계가 파국으로 치달아가는 듯 했다
그러나 엄청난 돈풀기에 금새 주가는 원래의 움직임으로 돌아갔다
자 그리고 지금 현재까지 5파가 거의 나와가고 이제 곧 코로나 정도는 우스운
조정의 장으로 들어간다는 시나리오
5파의 타겟지점의 MAX값은 노란색 원형 부근이다,
24,000 지점정도가 될 거고 그뒤에 엄청난 조정이 오는 시나리오다
다만 엘리엇 파동에는 시간의 함수가 없는 열역학과 같다
속도는 알 수 없고, 즉 언제 발생할지 모른다 주가가 계속 현재지점 부근에서
왓다갓다하며 몇년을 버티다가 쏟아낼 수도 있음.
시나리오 2) 무슨소리? 나스닥은 신이야
이런식으로 흰색 5파가 끝나고
코로나를 낀 조정이 2파였으며 현재 새로운 노란색파동의 3파가 진행되고 있음
해당 경우에는 최소 나스닥 지수가 지금보다 2배 이상이 올라 있는 6만 정도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함.
그리고 그 뒤에 엄청난 조정이 다시 온다는 시나리오
정리해보자,
시나리오 1) 지금 흰색파동 5파의 지점을 향해가고 있음, 대위기가 올 것
시나리오 2) 흰색 5파는 진즉에 끝났고, 코로나를 조정으로 하여 노란색 3파 진행
나스닥은 신이야
과연 나스닥은 신일까 등신일까
중요한 지지 구간 : 17496.82-17806.08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NAS100USD 차트로 퍼블리쉬하다가 처음으로 IXIC 차트로 퍼블리쉬하였습니다.
굳이 IXIC 차트로 퍼블리쉬한 이유는 갭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입니다.
-
아래 내용을 좀 더 요약해 보자면,
- 핵심은 17806.08 부근에서 지지 받고 18425.15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입니다.
- 상승시 19189.16-19615.36 부근에서 다시 추세를 결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17806.08 이하로 하락시
1차 : 17496.82
2차 : 16480.98-16574.39
3차 : 15491.66-15780.14
위의 1차-3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현재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 위치해 있으므로 상승세를 이어간다 하더라도 결국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될 것 입니다.
이때, 17496.82-17806.08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
2.32% 갭상승하여 상승 중 입니다.
본격적인 상승세는 18425.15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17806.08 이상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17806.08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17395.53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왼쪽 피보나치 비율 3.14 (17191.03) 이상 상승한 상태이고, 오르쪽 피보나 비율 0.886 (18171.81) 부근으로 상승 중 입니다.
따라서, 18425.15 이상 상승하게 된다면, 오른쪽 피보나치 비율 1 (19189.16) ~ 왼쪽 피보나치 비율 3.618 (19615.36) 부근에서 다시 추세를 결정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다만, 현재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고점을 형성 중으로 보입니다.
이 고점이 진짜 고점이 될지, 아니면, 눌림목(pull back) 패턴을 만들기 위한 고점이 될지는 어느 지점에서 지지 받는지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현재 가격 위치에서 볼 때, 최하로 하락하게 된다면 17496.82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다만, 앞서 말씀드린대로 17806.08 부근이 첫번째 지지 구간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재미로 보는 나스닥의 미래 (feat. 샤크, 가틀리)
※경고 하모닉 패턴은 미래를 예측 하는 패턴이 아닙니다.
하모닉 패턴을 가지고 하는 제대로 된 거래는 XABCD 나 0XABC가 나온 후 PRZ에서 거래를 하는것이 원칙입니다.
1. 현재 나스닥은 1만불을 지지하는 중입니다.
2. 현재 투심은 좋지 않으며, 경기침체를 예상하고 있기 때문에 저점을 깰 가능성을, 특히 1월달 실적 시즌을 중심으로 저점이 나올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습니다.
3.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지표는 많이 식어 있으며, 기술적 반등을 노려 볼 수 있다는데 착안하여 하모닉패턴을 이용한 롱 전략을 수립했습니다.
4. 현 전략의 경우 저점 약간 아래에 손절을 잡는다면 손실을 -5퍼센트 이내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NASDAQ:IXIC NASDAQ:IXIC
전략에 대한 설명
* 샤크 패턴
1. 샤크 패턴은 0XABC로 나타내지만 트레이딩 뷰에 맞는 도구가 없어 부득이 XABCD로 설명하겠습니다.
2. 샤크 패턴은 X-B는 0.382~0.618의 레인지
A-C는 1.13~1.618 사이의 레인지를
B-D는 1.618이상의 값
X-D는 0.886을 만족시킵니다.
3. 현재 보여지는 나스닥에서는 D값이 나오지 않았지만 샤크 패턴이 나온다면 대략 15500불까지의 상승을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 맨 처음 경고 처럼 D값은 예측해서는 안됩니다. 정석은 15500에서의 숏입니다.
4. 이 경우 15500에서의 하락을 예상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새로운 형태의 하모닉 패턴을 달성할 가능성을 볼 수 있습니다.
전략에 대한 설명
* 가틀리 패턴
1. 가틀리 패턴은 X-B는 0.618 비율을
A-C는 0.382~0.886의 레인지
B-D는 1.13~1.618
X-D는 0.786의 비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여기서 나온 전략은 D값은 커녕 C값도 정해진 것이 없기 때문에 100% 소설입니다.
3. 이 경우 나스닥은 8333불까지 하락하며 결과적으로는 쌍봉패턴 하락의 형태가 나타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차트를 보고 소설을 써 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실제 거래를 해 볼 수 있을까요?
1. (비추) 현 시점에서 9800불 부근을 손절라인으로 잡고(6퍼 손절) 매수 배팅
- 하모닉 패턴은 미래를 보장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가장 비추천하는 거래 전략입니다.
2. (강추) 15500부근에서 직전 고점을 손절 라인으로 잡은 숏배팅 (5퍼 손절)
- 샤크 패턴의 명백한 PRZ이며 장차 가틀리 패턴까지 욕심을 부리기 전에 샤크 패턴의 TP가 먼저 도달하기 때문에 수익 청산이 쉬움.
저는 2번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나스닥, IXIC 현재 위험한 이유장기 월봉선을 기준으로 볼 때
10월이 3거래일이 남아있는 상황에서
13000선 아래로 떨어진 채로 마감된다면
9700선 까지도 다시 보게 될 수 있는 시나리오가 됩니다.
몇일 안남은 10월장
그 3일 동안에 어떤 반전이 있을지
각자 한번 점검해 볼 필요가 있을 듯 합니다.
반전이 보이지 않는다면
급락의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할 듯 합니다.
개인의 의견일 뿐 참고하시어 좋은 결과 얻으시길 바랍니다.
- 하단에 주봉 챠트 분석
중기적으로는 이미 지난주
13200선 하회로 지지선 붕괴와 추가 하락의 여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코스피200챠트 분석
10월중 회복하고 지지받았어야 했던
325선을 하회하는 움직임으로
중기예상 하락베팅구간으로 확정을 지은 듯 보입니다.
얼마나 등락을 반복을 할 지는 모르겠으나
하락장의 특성상
급속한 하락도 예상되므로
빠졌으니 묻지마 들어가식 투자는 자제해야 할 듯합니다.
================================================
챠트 보는 법
(상단부)
오렌지라인 - 특정 기준을 넘는 하락봉에 의해 생성된 저항 라인
녹색라인 - 특정 기준을 넘는 상승봉에 의해 생성된 지지 라인
흰색라인(상하) - 현재 가격에서 시장이 기대 할 수 있는 최대 상승폭 또는 하락폭
이평선(7,10,20,60)
볼린저밴드
중심값 - 직전봉의 결과로 다음봉 움직임의을 예측해 볼 수 있는 중심값
(중심값 기준으로 시가 형성이 어디에 형성되는지 또는 봉 형성과정에서 중심값을 탈환 하는지 못하는지로 장의 세기 분석)
(하단부)
과매도 = 붉은선과 녹색선이 겹치는 구간
과매수 = 푸른선과 녹색선이 겹치는 구간
---------------------------------------------------------------------
나스닥 장기관점안녕하세요.
Tranding for a better life의 빅쇼트입니다.
보통 코인을 위주로 올리는데 결국 저도 차트쟁이기 때문에
분야만 다를뿐 대부분의 차트는 같은 성질이 나타납니다.
바로 나스닥 월봉 관점으로 언제 매수해야 좋을 지에 대해서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나스닥 차트를 월봉으로 뜯어 보던 중에 일정 주기를 가지고 움직일 수 있을까? 라는 의문점을 가지면서 각 시기별로 상승장과 하락장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991년~2010년까지를 1CYCLE로 보겠습니다.
월봉의 단기 이평이 장기 이평 위로 올라 왔을 때를 기점으로 약 10년 간 중기이평인 60이평 근처도 가지 않고 단기 이평의 지지를 받고 1160%라는 어마한 상승을 하면서 상승의 끝은 어디인가를 생각하게끔 하다가 IT버블과 9.11테러를 끝으로 약79% 하락을 맞이합니다.
IT버블과 리먼사태의 공통적인 모습은 모두 단기 이평(빨주노)가 장기 이평(초파) 밑으로 잠기고 이후 다시 모든 단기 이평이 장기 이평 위로 올라오면서 2CYCLE이 시작됩니다.
2010년~현재까지를 2CYCLE로 보겠습니다.
1CYCLE과 마찬가지로 현재까지 629%의 상승하였습니다.
과거와 다르게 현재 2번의 60이평의 터치가 있었지만 다시 한 번 상승하며 다시 고점을 갱신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단 한 가지입니다.
고점과 저점을 맞추려는 것보다 과거 1CYCLE때와 같이 단기 이평이 장기 이평 밑으로 잠기는 시점에 분할 매수를 한다면 3CYCLE이 왔을 때 과거와 같이 큰 수익을 맛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개미들의 특권은 "시간"이다 라는 말처럼 인내하며 자리를 기다린다면 그 인내의 시간은 엄청난 보상으로 돌아오리라 생각합니다.
차트는 대응의 영역입니다. 내가 예상한 것과 다르게 흘러가더라도 롱과 숏의 경우의 수를 다양하게 생각해서 그때에 맞는 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습관을 들이시길 바랍니다.
관점과 매매는 완전히 다른 영역입니다.
관점은 축구로 따지면 코칭스텝의 영역이며 매매는 플레이어의 영역입니다.
2023년 7월 6일 _나스닥 코스피 종합 시황
나스닥 주봉:
나스닥은 하모닉 bearish butterfly pattern 에 근접한 지점에서 보합으로 마감함
단기상승 관점도 보이나, 박스권을 호재와 같이 강하게 돌파하지 못할 경우
주봉상, 3스토 모두 과매수 상태로 모두 하락으로 전환될 것을 암시하고 있음
나스닥 일봉:
일봉상에도 201212스토가 하락을 바라보고 있어
주의요!!!!!
무리한 상승보다는 현금을 확보하고 하락에 포커스를 두어야 함
코스피 일봉 :
상승쐐기(상승다이아고날 또는 엔딩다이아고날)로 추세의 마감을 암시한다.
상승 돌파하지 못하고 하락으로 추세 전환을 암시하며,
2450원-2490원 부근까지 강한 파동으로 하락하면 관심 종목 매수 전략 가능
유가 주봉 :
장기 이평을 뚫고 올라오는 모습이 보일 시
주가의 하방압력 작용
유효 전략 :
1. 금주 중으로 KODEX INVERSE 1배로 숏 진입
2. 목표 코스피 2490-2450가 도달 시, 현금 확보
3. 코스피 저평가주 위주로 매집하여 다음상승을 도모할 것
관심 종목 :
1. 대한항공
2. 아시아나항공
3. 고려아연
4. 현대제철
5. 롯데케미칼
6. SKC
7. LG이노텍
8. HMN
9. SK텔레콤
10. SK이노베이션
안녕하세요 여러분~~진우입니다 안녕하세요 진우입니다, 어마어마한 성장을 한 나스닥 성장은 끝난걸까요?
AI비서에게 간단 설명있겟습니다
AI:나스닥은 미국의 전자상거래 및 기술 기업들로 이루어진 주식 시장입니다. 기술 기업들이 주로 상장되어 있으며, 주로 높은 성장률과 혁신적인 기술을 특징으로 합니다. 나스닥 지수는 주로 나스닥 100, 나스닥 컴포지트 등으로 표시되며, 기술 주식에 대한 투자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습니다. 주요 종목으로는 애플,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유명오써님의 아이디어를 참고한 간단 카운팅입니다
제가 아직 미숙하여 누가될까 제 주관적의견이 포함되엇다는걸 밝힘니다
실리콘밸리은행 SVB, 2008 리만 브라더스 때와는 다르다.(+하모닉) 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현재 SVB사태로 인해 시장에 불안감과 긴장감이 흐르고 있습니다.
그래서 차트를 분석하시는 데에 도움이 되고자 아이디어를 올려보게 되었습니다.
현재 SVB사태는 리만 브라더스 사태 시절과 많이 비교가 되며, 중앙 은행에 대한 불신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는데요.
우선은 이런 분위기가 탈중앙화 은행?으로 비교될 수 있는 자산인 비트코인.
그리고 금의 상승과 맞물린 디지털 금으로서의 비트코인.
이렇게 해석되며 크게 상승한 것 같기도 합니다.
현재 나스닥 차트를 살펴보기 전에,
최근 SVB 사태에 대해 옐런 장관이 응답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1. SVB 사태의 원인에 대한 2가지가 있었습니다.
: 1)트럼프 정권 당시, 은행 규제에 대한 지나친 완화
: 2)최근 계속된 금리 인상 문제
2. 이에 대해 옐런 장관은 < 대규모 인출 요구에 대한 ' 유동성 리스크' >를 주원인으로 지목하였습니다.
그럼 이제 왜 SVB 사태가 현재 리만 브라더스 때와는 다른지 먼저 비교해보겠습니다.
다음은 리먼 브라더스가 파산한 2008년 9월 15일의 차트를 살펴보겠습니다.
전통 안전자산인 금과 비교한 차트입니다. 2008년에는 비트코인이 없었기 때문에 비트코인은 비교하기 어렵습니다.
이 때 당시, 안전자산인 금이 가파르게 상승하였고 한동안 지속하였습니다.
리먼브라더스 파산 당시 나스닥은 동력을 잃으며 잠시 주춤하였지만 다시 상승을 시도하였습니다.
그러나 며칠 이어가지 못하고, 한동안 급락의 길을 걷게 됩니다. 조금씩 반등은 하였지만, 장기적인 하락 추세에서의 일시적인 반등이었습니다.
특이한 점은 금 또한 어느 순간부터 함께 동반 하락을 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안전 자산이었던 금이 하락했다는 것은 금융 시장 전체로 위기가 확대된 것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럼 지금은 어떨까요? 비트코인과 금 , 나스닥을 비교해보겠습니다.
비트코인과 금은 크게 상승한 상태이며, 나스닥은 재차 상승을 시도하다 현재 잠시 눌린 상태입니다.
과연 이 때를 반복하게 될까요.. ? 물론 주의해야 합니다.
시장의 흐름은 그 누구도 장담할 수 없습니다.
이번과 가장 다른 점은 미국 정부에서 개입하여 적극적으로 지원을 해서라도 과거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과 나스닥의 흐름은 더욱 흥미로운데요, 2023년 비트코인이 선행하며 나스닥이 결국엔 따라왔고,
비트코인은 현재 금과 동반 상승을 하였으며, 이 쯤 되면 다시 금의 역할을 하는 비트코인의 역할 디지털 금을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비트코인은 금에 비해서는 가볍기 때문에 훨씬 변동성이 큰 상태이므로, 더욱 상승폭이 큽니다.
나스닥과 비교하였을 때는, 현재 어떻게 될 지 흥미롭습니다.
나스닥이 비트코인과 함께 상승을 하다 주춤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구간들은 디커플링으로 나타납니다.
과거 리만 브라더스 사태 때와 비교하면 어느 순간에 상승을 멈추고 동반 하락을 할 지도 모릅니다.
😮😮😮
그럼 현재 나스닥 차트를 살펴볼까요?
현재는 앞선 코로나 때의 0.618만큼 되돌린 이후 반등한 상태입니다.
차트라는 것은 언제나 여러가지 가능성이 열려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차트에서 완전히 나오기 전에 예측하기 힘든 패턴이 쓰리 드라이브라 할 수 있는데요,
현재 RSI또한 이평선이 받쳐주고 있습니다. RSI의 이평이 받쳐주는 한, 이 패턴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채널 상단에 도달하게 됩니다.
618 되돌림에서 지지받은 이후, 저점을 계속 높이며 차근차근 나아가고 있는 모습은 긍정적입니다.
그러나 위쪽의 하락추세의 저항을 받고 있으며
현재 수렴 중이므로, 폭도 굉장히 좁고 어느 한쪽의 힘이 더 셀지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이 점은 주의해야 합니다.
보다 작은 봉에서의 패턴을 찾으면 다음과 같이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 패턴의 피보나치 구간에서 어떻게 가격의 흐름이 진행되는지 살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성투하시고, 도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
나스닥, 간단명료 3월 기대해볼만하다.2월은 결과적으로 잘 버티었고
그래서
3월 양봉 가능성 높다고 봅니다.
================================================
챠트 보는 법
(상단부)
오렌지라인 - 특정 기준을 넘는 하락봉에 의해 생성된 저항 라인
녹색라인 - 특정 기준을 넘는 상승봉에 의해 생성된 지지 라인
흰색라인(상하) - 현재 가격에서 시장이 기대 할 수 있는 최대 상승폭 또는 하락폭
이평선(7,10,20,60)
볼린저밴드
중심값 - 직전봉의 결과로 다음봉 움직임의을 예측해 볼 수 있는 중심값
(중심값 기준으로 시가 형성이 어디에 형성되는지 또는 봉 형성과정에서 중심값을 탈환 하는지 못하는지로 장의 세기 분석)
(하단부)
과매도 = 붉은선과 녹색선이 겹치는 구간
과매수 = 푸른선과 녹색선이 겹치는 구간
---------------------------------------------------------------------
아직 본격적인 하락이 오지않았을수도 있다 ?안녕하세요 나스닥이 약 한달전쯤 추세선을 돌파하며 강하게 상승하였는데요
이게 의미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생각보다 시장의 랠리가 강할 가능성이 있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최근 노랜딩 이라는 단어가 우리 주위에서 자주 들려옵니다만 사실 노랜딩은 시장의 거품을 꺼트릴수있는 여러가지의 수단중에 가장 최악의 수라고 생각을 하는 한편
제 계좌 수익률을보고 노랜딩을 새삼 바래게 되는 요즘입니다
각설하고,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차트를 보시면 상단에서의 강한 추세선을 결국 이겨내지못하고
추락하고있는 모습입니다 저 추세선은 너무나 당연하게도 뚫지못하였네요
그다음 지지구간은 어디가 될수있을까요 제 생각에는 바로 아래에 약 한달전쯤 상승돌파를 하였던추세선이 될수도있다고 생각을합니다 그다음은 여러번 강력한 지지를 받았던 10.2k 쯤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들 건승하시길 바랍니다.
나스닥, 월봉 분석월봉 저항선 11692 하락 시 추세 하락 지속 또는 (그래프 주봉저항선 -> 월봉저항선 수정)
박스권 장세 예상
코인 투자분들은 1월달 상승분을 내주는 하락도 가능성이 있으니
무조건적인 낙관은 금물일듯 합니다.
나스닥, 1월의 상승이 지지값을 생성시키지 못했습니다.(=장이 약했다)
2월은 힘든 장세를 염두에 두셔야겠습니다.
따라서 국내 증시도 보수적 관점에서
전략을 짜야 할 듯 보입니다.
2월 한 달, 잘 버티시기 바랍니다.
================================================
챠트 보는 법
(상단부)
오렌지라인 - 특정 기준을 넘는 하락봉에 의해 생성된 저항 라인
녹색라인 - 특정 기준을 넘는 상승봉에 의해 생성된 지지 라인
흰색라인(상하) - 현재 가격에서 시장이 기대 할 수 있는 최대 상승폭 또는 하락폭
이평선(7,10,20,60)
볼린저밴드
중심값 - 직전봉의 결과로 다음봉 움직임의을 예측해 볼 수 있는 중심값
(중심값 기준으로 시가 형성이 어디에 형성되는지 또는 봉 형성과정에서 중심값을 탈환 하는지 못하는지로 장의 세기 분석)
(하단부)
과매도 = 붉은선과 녹색선이 겹치는 구간
과매수 = 푸른선과 녹색선이 겹치는 구간
---------------------------------------------------------------------
3개월 캔들 차트로 본 나스닥 종합지수나스닥 종합지수는 1년간의 하락을 끝내고 반등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현 캔들이 마감되려면 약 1개월하고 보름정도 시간이 남아 있지만 아직 까지 내려온 플렉탈을 찾아 보았다.
내려오는 모습은 현제 서브프라임 때와 상당히 유사한 모습을 보여준다.
하지만 내려갈 폭은 닷컴 버블과 비슷한듯 싶다.
어찌 될지 지켜보는것도 상당히 재미 있을꺼 같다.
이번달 고점이 완성됐다고 생각했을때
1:1 N파 타겟점
7635 포인트
1:2.414 C파가 서브 프라임만큼 내려갔을때
3904 포인트
닷컴버블 하락 만큼 내려갔을때
3500 포인트
물론 직전전저를 깨지 않고 전고를 돌파한다면 이 아이디어는 폐기이다.
*이거 튜토리얼이니 롱스톤들은 거품 물고 달려들지 말자.
나스닥 주봉 숏 / 조정이후에 한번 더 추가상승!나스닥 주봉 캔들 분석시간입니다
과거 지지와 저항을 받던 매물대 12300불 터치 이후에 소폭 하락이 나오고 있습니다.
추가적인 하락이 예상되며, 피보나치 되돌림 비율 0.236 레벨인 11500불 부근까지 조정이후에 횡보가 나온다면 추가상승으로 13100불 지점까지 노려볼만 합니다
다음으로 stoch Rsi 지표에 대해 설명드리고 접목해 보겠습니다.
단기와 중기 장기 거래 모두 사용할수 있는 보조지표로 스토캐스틱과 상대강도지수 장점을 결합한 지표입니다
스토캐스틱의 민감도와 상대강도지수의 안정성을 합친 하이브리드 지표로 1994년도에 투사 샨드와 스탠리 크롤이 공동 개발해 발표하엿는데요
나스닥 지표에서 과거 데이터 벡테스팅 분석결과 스토캐스틱 rsi 두번째 바닥 구간 터치 지점에 잡아서 단기로 팔고 나오거나
과매수 구간 두번 터치 지점에서 팔고 나왔을때 거래 승률이 매우 높았습니다 ( 관심 있으시면 주봉 캔들로 꼭 백테스팅 해보세요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조 지표를 사용할때에는 단순히 과매도 구간이라고 매수하기보다는 다른 분석 툴을 함께 활용해야되겠구요
나스닥 차트는 월봉 흐름상 추가상승도 열려있으나 주봉과 일봉캔들에서 매도 시그널이 현재 나온 이유로
일봉 캔들 흐름에서 스토캐스틱 상대강도 보조지표가 식을때 타점을 잡는게 타당해 보이는 현재 장세인데요
지지로 작용하는 11500불 지점까지 조정이 나온다면 위 지표에서도 과매수 구간에서 지표가 어느정도 식혀질 것으로 판단 되겠구요
스토캐스틱 rsi상에서 중간 지점까지 지표를 식힌 이후에 한번더 과매수 구간에 도달했을때, 나스닥 종합지수가 다음 저항선인 12800포인트와 13100 포인트 부근에서
숏 포지션으로 잡을때 사용하는 방법도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나스닥 산타 랠리 이후의 방향성이 향후 시장을 좌우합니다 -부채 콘트라티에프, 아름다운 디레버리징-나스닥 종합지수는 현재
주봉 하락트렌드 내에서 가격 움직임이 진행되는 중입니다.
연준의 금리 기조 완화 방향을 언급하며, 폴링 웻지 기술적 패턴 으로의 산타 랠리 반등장이 기대됩니다.
12,800불 내년 1월 초 부근 도달 이후 움직임에 따라
1. 스윙투자
2. 장기투자
여부를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윗 매물대의 저항이 많이 때문에 추가 바닥이 형성 되는 지점 10,800불 부근까지는 내년 상반기 가격 움직임이 발생 될 예정이며 만약 가격 지지에 실패할 시 퍼펙트 스톰과 같은 상황으로 나스닥 종합지수는 8,000불 까지도 하락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현실적으로 보았을때 미국의 가계부채 수준은 과거 2008년 리먼 사태보다 낮은 위치에 있음으로,
10,800불 지지 이후 역 헤드앤 숄더 패턴으로 미 주가 지위를 되찾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과거 버블 12가지 유형 사례중 이후 5번의 금융위기 6번의 심 각 한 경기침체가 발생했다는점을 미뤄봤을때
큰 상승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필수 조건으로 삼중 바닥형 패턴이 만들어 져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장기 박스권 횡보의 L자형 침체 국면에서 나오는 개별주 순환 박스권 장세가 연출되며 부실기업의 부도현상도(디레버리징) 함께 공존하리라 생각합니다.
<코스피 주가지수>
국내의 경우 가계와 기업 부채 증가율이 높아 졌으며, 이번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디레버리징 채무상환에 1600조 중 3000억이 감소 하였다고 합니다. 다만, 레고랜드 흥국생명 및 건설사 등 금리 인하 이전 까지는 이러한 문제들이 주기적으로 발생 되리라 생각하며, 가계 부채는 기업의 줄도산 문제가 발생된다면, 양질의 일자리 감소로 채무 불이행으로 연쇄 도산 우려도 있습니다. 하여 과거와 같은 대세 상승장을 생각하기 보다는 앞으로 마주하게될 미래를 준비하며, 금과 은 그리고 나스닥 우량 종목과 현재 조정 끝단에 위치해 있는 달러를 보유함으로써 자산 증식보다는 자산 방어에 초점을 맞추는게 좋다고 생각이 들며 기회는 다시금 돌아오니 조급하지 않는 민첩한 여우같은 투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짧지만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 드리며 주기적으로 업로드 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