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AU/USD, PAXG/BTC 분석 안내OANDA:XAUUSD
XAU/USD, PAXG/BTC 추가 분석 안내입니다.
PAXG(팍소스골드)는 진입가는 도달하지 못하였지만 목표지점 달성 후 기존에 안내드린 모습과 비슷한 방향으로 진행되었습니다.
0.74 구간 달성 후 단기 반등이 나올 수는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결국 하락 쪽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골드도 마찬가지입니다. 지난 네 차례 지지가 되었던 구간인 1680 - 1660 구간이 이번에도 지지가 된 후 다시 반등세가 나오는 모습이나 대략 3% 수준 상승이 나올 수 있겠지만 결국 하방 쪽으로 움직임이 나올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하지만 만일 1780 - 1880 구간을 돌파한다면 다시 상승세는 유지될 것이고 채널 상단 부근을 목표로 진행할 수는 있습니다.
당분간 움직임 지켜본 뒤 추가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GOLD 트레이딩 아이디어
션타임 아카데미 - 골드 /달러 추세 분석올해 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라는 재료에 힘입어 박스권 고점까지 올라왔던 골드는 이후 고점 저항을 받으며 어느덧 박스권 저점까지 내려왔습니다.
박스권 저점에서 지지를 받으며 1800 라인까지 상승했었지만, 연준의 강한 긴축 정책으로 상승폭을 키우지 못하고 다시 저점을 확인하려 하고 있습니다.
현재 호주, 캐나다, 유럽 등 세계 주요 중앙은행들이 50~75bp 금리인상을 단행하고 있는 것을 보면, 연준 또한 이번에 75bp 금리인상이 유력합니다.
이러한 재료에 힘입어 골드가 박스권 저점인 1680 라인을 깨고 내려올 가능성이 크게 보여집니다.
현재 기대해 볼 수 있는 대응은 1680 라인이 지켜질 경우와 지켜지지 못했을 경우로 나뉘며,
1680 라인이 지켜질 경우에도 2가지 방향성을 고려해 볼 수 있겠습니다.
1680 라인이 지켜지지 않을 경우엔 짧게는 1550 라인까지 숏 대응, 길게는 1450 라인까지 저점을 열어두고 대응할 수 있겠습니다.
반대로, 1680 라인이 지켜질 경우 박스권이 유지되는 걸로 간주하며, 롱 대응을 할 수 있겠습니다만, FOMC 이후 다시 하방 압력을 크게 받을 것으로 예상되기에,
1770 ~ 1800 구간에서 저항을 받아 다시 박스권 저점을 깨려는 시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늘 밤에는 캐나다 은행 금리 발표가 있고, 내일은 ECB 통화정책회의와 파월 연준 의장의 연설이 있겠습니다.
추석을 앞두고 시장에 큰 움직임이 예상이 됩니다. 다들 조심히 거래하셔서, 좋은 성과 있으시길 응원하겠습니다.
오늘도 저희 분석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션타임 아카데미 - 골드 /달러 추세 분석안녕하세요 션타임 아카데미입니다. 9월 첫날에 다시 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잭슨홀 미팅 이후 골드의 매도 추세가 더욱 힘을 받으며, 하방 흐름이 강해졌습니다.
큰 흐름에서는 1680 ~ 2080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현재가가 박스권 저점 부근까지 내려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도 추세에 따라 1680 라인을 깨고 내려올 가능성도 있긴 하지만, 2년간 지켜왔던 박스권의 저점인만큼, 매도 추세를 이탈하는데 발판이 될 가능성도 높다고 생각됩니다.
단기적으로는 1680 라인까지 숏대응이 유리하겠습니다만, 1680 라인에서 지지를 받는 순간부터 장기적으로 롱 스윙 포지션을 잡을 기회로 보여집니다.
이번에도 방향성이 잘 맞아들어갈지 한번 보겠습니다.
이번주 주요 지표가 몇 가지 있습니다.
(목)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ISM 제조업 구매자지수
(금)
비농업고용지수
실업률
해당 지표들 잘 확인하셔서 성공적인 트레이딩되시길 응원하겠습니다.
션타임 아카데미 - 골드 /달러 추세 분석잭슨홀 심포지엄의 개최 이후 일부 위원들이 75bp 금리인상을 지지하는 발언이 있었지만,
파월 의장의 발언을 앞두고 시장에 영향력을 크게 행사하지 못했습니다.
지난 2020년 7월부터 골드의 차트는 1680 ~ 2080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최근 저점에서 반등한 것이 확인되며, 이후 장기적으로 상승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잭슨홀 심포지엄에 대한 영향으로 한 차례 눌림이 나오고 상승할지, 아니면 그대로 상단으로 올라갈지에 대한 단기 방향성은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롱 대응시에는 두 차례에 나눠 대응하는 것이 좋겠으며, 숏 대응시에는 바로 상단 마디에서 기다려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오늘 주요 지표로는
잭슨홀 미팅 - 파월 연준의장 연설 / 근원 소비자 물가지수 가 있습니다.
오늘까지는 스캘핑 대응에 있어 어려운 대응이 될 수 있습니다. 방향성 판단 잘하셔서 큰 성과가 있으시면 좋겠습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골드 단기 상승 전망!! 목표 1763안녕하세요 감론입니다
골드 장기적 추세는 여전히 매도로 보고 있지만
단기 1시간 레벨에서 강력한 반등 기미 보입니다
과거에 하락 중추 2개 만들고서 결국은 추세 괴리로 인해 강력한 반등을 줬습니다 (여기서 강력하다는 반등은 1시간 레벨 말한 겁니다)
그 강력하다는 근거는 두번째 초록색 하락 중추 한번에 관통 시켜 돌파하고 그의 상단 라인 부근에서 지지 받은 모양입니다
그림와 같이 매수점이 3개 나왔는데
제1 매수는 잡기 힘든거였지만 제2 유사는 우리가 잡을 수있습니다
진입 전략:
현재가 매수
손절 1704 이하
목표가
1차: 1732
2차: 1746
3차: 1763
모두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GOLD)하모닉으로 보는 골드 차트 분석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오랫만에 골드 차트를 다시 살펴보겠습니다.
알트뱃 패턴의 반전은 아직 완료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바로 반전하지 않고 PRZ 리테스트를 한 후, 반전 중에 있음으로 아직까지는 생각 됩니다.
이전에 제가 제시한 핑크 가틀리 패턴에서 2번째 이익 구간인 0.618 부근까지 , 아래쪽으로 반전을 완료한 모습입니다.
이 패턴이 사실 가틀리가 좀 과하게 나온 경우이긴 합니다. 보통의 일반적인 가틀리라면
1.618AB=CD 까지는 잘 나오지 않거든요. 그 점 눈여겨서 살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초과 허용범위라는 것이 있기도 하므로, 가틀리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이 패턴을 두고 생각하는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지금은 이제 알트 뱃의 타겟가를 향해 가는 중인데요 , RSI 의 모양이 50선 아래 있고 좋아 보인다고 생각하기엔 부족함이 있습니다.
그래서 주봉상의 알트 뱃 패턴의 반전에 도달 해서 패턴을 잘 마무리 할 수 있도록 , 가격의 하락을 좀 더 기대해보려고 합니다.
단기적으로는 노란색 추세선이 지지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 받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때 어느 구간에서 저항 받는지 체크하여 다시 알트 뱃 패턴의 타겟가를 향해 갈 수 있을지 살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황금 레이스의 오르막길코로나로 인한 거대한 인플레이션 파도가 돌아오는 와중에
러시아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장기화되며 유가 폭등, 그로 인한 원자제 가격 상승은 오고 있던 파도가 더 빨리 닥친 효과가 아니라 진짜 거대한 파도가 오기 전 맛보기 파도가 온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진짜 파도는 아마 본격적으로 활동 시간이 많아지는 여름철을 지나 초가을쯤에 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유는 그동안 모아왔던 자원들이 코로나로 인한 답답한 생활에 대한 반발심 등으로
이번 여름에 엄청난 소비를 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곧 공급과 수요 법칙에 의해 엄청난 물가 상승으로 다가올 것이라 예상하는 중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주식, 부동산, 알트코인 등의 불안전 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안전 자산이거나 원자재에 투자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라 보입니다.
현재로서 보이는 안전 자산은 비트코인, 금, 물 등이 있습니다.
그중 하나인 금의 차트는 이미 상승 과속화가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이며 금 투자를 원하시는 분들은
지금 들어가도 매우 괜찮은 자리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현제 경제 시황에 대한 간단한 생각, 근데 금을 곁들인
달러도 금값도 떨어지고 나스닥도 반등해주고 있음
금값이 미친듯이 올랐던 때가 1971년 때인데
오일쇼크랑 미국의 스테그플레이션 문제로 어마무시하게 금값이 올랐었음.
그 마무리는 어떻게 되었냐?
금리를 21.5%까지 올리고 미국 경제 문제가 해결됐었음.
참고로 스테그플레이션의 조건은?
첫째, 스태그플레이션은 경제가 급격한 유가 상승과 같은 공급 쇼크를 직면할 때 발생할 수 있음. 이와 같은 불리한 상황은 생산을 더 비싸게 하고 생산성을 떨어지게 하여 경제성장을 둔화시키면서 동시에 가격을 상승시키는 경향이 있음.
둘째, 정부가 너무 빨리 통화량을 늘리면서 산업에 피해를 주는 정책을 만들면 스태그플레이션을 일으킬 수 있음. 경제성장을 늦추는 정책은 대개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고,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는 정책은 대개 경제성장을 둔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이 두 가지가 동시에 일어나야 함.
두 가지 원인은 서구에서의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 분석에 제시되어 있다. 유가가 크게 오르면서 시작됐지만, 중앙은행이 경기 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지나치게 자극적인 통화정책을 쓰면서 물가·임금 상승세가 이어지기도 했음.
보통 경제위기면 달러가 올라가지만
인플레이션이라면 달러의 가치가 떨어지기때문에 달러는 떨어지고, 증시도 떨어지지만, 금은 오름
이것이 단순히 조정을 맞고 떨어지는지는 모르겠지만, 일단은 미연준이 연착륙하면서 인플레를 잡을 수 있으려나 하는 기대감이 생기는거 같음.
다만 이게 아래의 저항을 맞고 올라온다면... 컵앤핸들패턴으로 저기 저항을 뚫는다?
그럴땐 정말 위험하다고 생각함.
FX_IDC:USDKRW
현재 달러가 주봉상 저항을 맞고 내려가고 있는데,
달러는 내려가고 금값이 오르면 스테그플레이션의 징조라고 생각이 됨.
코로나로 인해 조건이 어느정도 맞았다가 현재 중국의 봉쇄가 어느정도 풀리면서 그 위험은 어느정도 줄어들었지만,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그 위기가 풀린 것은 아님 ( 우크라이나는 세계적으로 비옥한 평지, 미국의 재정 부담 )
계속 경계는 해야 한다고 생각함.
참고로 스테그플레이션 때는 원자재가 매우 큰 강세를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