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지수 한국코스피와 동행할 것으로코로나 발발(2020.3 이후) 이래로 2022년 1월(코로나 종식)
까지 나스닥과 S&P는 코스피지수와는 아무 상관관계없이
올라갔습니다.
다만 다우지수는 기준점 2020년 3월부터로 고정하고
현재 비율로 보면 그 레벨이 코스피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즉, 동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외국인투자자들의 속내는 셀링코리아를 하기 보다는,
그러니까 본격적 상승모멘텀으로 전환하기 보다,
그 트리거가 될 수 있는 이벤트를 놀이고 있습니다.
외국인의 포지션은 아직은 아닌 것입니다.
그렇다면 주식의 포션을 줄여야 하는가?
포트를 기준선(내 포트 수익곡선)으로 하여 상향이탈된
종목(OVERSOLD LEVEL, OVERVALUATED)은
비중을 줄일 수도 있겠죠.
현금비중 10~30% 정도 유지하면서
이 트리거를 준비해 보는 것도 이번장의
관전포인트입니다.
동시에 환율(원달러)도 하락의 모멘텀을 찾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비중을 늘릴 총알은 비축, 시장충격의 트리거는 다가올 것으로.
DJ30.F 트레이딩 아이디어
다우존스운송지수(DJT) 의 하락은 경기 하락의 신호일까?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 ( DJ ) 와 다우존스운송지수 ( DJT ) 은 1880년대에 만들어져 무려 140년의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는 지수입니다.
오래되었지만 그만큼 신뢰할 수 있습니다.
다우 이론을 공부한 사람이라면 산업지수와 운송지수와의 관계를 알고 있을 것 입니다.
모르는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1. 다우존스산업지수는 미국의 우량기업 30개의 주가의 가중 평균입니다.
2. 다우존스운송지수는 미국의 운송,물류 업체들의 가중 평균입니다.
3. 운송지수는 경기에 선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4. 운송지수는 산업지수의 움직임에 영향을 끼칩니다.
차트를 보면 다우운송지수가 더블 탑 (파란색 사각형) 을 만들었습니다.
다우운송지수만 놓고 보면 캔들은 물론이고 보조지표를 보아도 하락세입니다.
다우운송지수의 하락은 경기 하락의 신호로 간주되곤 합니다.
오랫동안 검증된 지수이기 때문에 이번에도 그렇게 될 확률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전체 주식시장을 끌어내릴 수 있습니다.
차트와는 별개로 중국의 코로나 상황이 심상치 않습니다.
시장에서는 상하이 봉쇄로 인한 믈류난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자국의 의료 역량이 충분하지 않다는 이유로 제로 코로나 정책을 쉽게 포기하지 않겠다고 합니다.
기존 통계를 적용하면 최악의 경우 중국의 코로나 환자는 약 4-5억명, 사망자는 1-2백만명이 나올 수 있습니다.
절대로 이런 상황까지 가지 않기를 바랍니다.
The Great Reset
여러분, 우리는 현재 1930년 대공황 이후 한 세기 문명의 끝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질서와 혼돈의 순환 속에서 영원한 것은 없습니다.
구시대에서 다음 세상으로 진입하는 과도기의 시점에서 기존 문명 체계의 초기화는 필연적인 부분입니다.
그 과정에서 금융 시스템의 붕괴, 전쟁, 전염병 이라는 요소들이 계획되어 있습니다.
가까운 시일 내 일어날 일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다우존스 지수는 무려 83%가 3년이라는 기간에 걸쳐 증발할 것입니다.
또한 50~70%의 현저한 양의 인구가 감소 할 것이며 이는 유럽, 미국 그리고 일부 아시아의 국가에서 발생할 것입니다.
자본주의 시장의 붕괴는 국가간의 힘의 이동을 불러올 것이고 세계를 주도하는 강대국 또한 새로 떠오르게 될 것입니다.
이를 주도하는 세력과 현상을 선악의 구분이 아닌, 세계적인 패러다임의 흐름으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해결과 구원에 의존하지 않고 개인으로써, 기업으로써 각자의 방식으로 위기 속에서 생존을 도모해야 합니다.
변화의 끝이 우리가 원하는 유토피아일지, 아니면 인류가 지배당하는 디스토피아 세계관일지는 확신할 수 없으나
분명한 것은 변화의 과도기적 단계에서 문명의 초기화를 동반할 것이라는 사실입니다.
사회적으로 당연하게 여겨지는 것을 당연시 하지 말고, 끝없이 의심하며 그 의심에 한계를 두지 마십시오.
항상 깨어있음을 유지하는 여러분께 신의 가호가 있기를 기원합니다.
God bless you all.
God bless Korea.
다우존스 DJI 주봉분석미국장이 심상치 않은 구간에 접어 들었습니다.
코인과 기타 투자상품들에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챠트 보는 법
(상단부)
레드라인 - 특정 기준을 넘는 하락봉에 의해 생성된 저항 라인
블루라인 - 특정 기준을 넘는 상승봉에 의해 생성된 지지 라인
블랙라인(상,하) - 현재 가격에서 시장이 기대 할 수 있는 최대 상승폭 또는 하락폭
이평선(7,10,20,60)
볼린저밴드
중심값 - 직전봉의 결과로 다음봉 움직임의을 예측해 볼 수 있는 중심값
(중심값 기준으로 시가 형성이 어디에 형성되는지 또는 봉 형성과정에서 중심값을 탈환 하는지 못하는지로 장의 세기 분석)
(하단부)
과매도 = 붉은선과 녹색선이 겹치는 구간
과매수 = 푸른선과 녹색선이 겹치는 구간
----------------------------------------------------------------------------------------------------------------------------------------------------------------
US30(다우존스) 일봉차트 분석캔들패턴 및 지지/저항을 활용하여 방향성 체크해봅니다.
참고하세요.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 - 産業平均指數, 영어: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DJIA, Dow Jones, Dow)는 월스트리트 저널 편집자이자 다우존스앤컴퍼니(Dow Jones & Company)의 공동창립자 찰스 다우(Charles Dow)가 창안한 주가 지수로서 DJIA, Dow 30 또는 비공식적으로 다우 지수 등으로도 불린다.
오늘날 다우지수는 미국의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30개의 우량기업 주식 종목들로 구성된다. 주식분할이나 다른 조정의 효과를 상쇄시키기 위하여 다우지수는 주가의 산술평균이 아닌 비율평균(scaled average)방식을 따른다. 산술평균에서는 주가의 총합을 회사의 개수로 나누지만, 다우지수는 주가의 총합을 제수(divisor)로 나누어 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