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벌에 따라 드로잉이 지나가는 포인트가 달라집니다

드로잉은 같은 심볼의 여러 가지 타임 인터벌에서 다르게 표시될 수 있습니다. 이는 낮은 타임 프레임에 더 많은 정보가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시간 및 OHLC 값이 있는 바가 있기 때문).

보기로, 2개의 바를 고점으로 연결하는 추세선을 그려 놓은 다음 사용하는 인터벌(이 보기에선 데일리 차트와 위클리 차트)에 따라 결과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비교해 보겠습니다.

1. 먼저 차트에 데일리 타임 프레임으로 추세선을 그려 넣고 위클리 차트에서 어떻게 표시되는지 비교합니다.

데일리 차트에서 포인트로 선택된 타임스탬프는 위클리 차트에 표시되는 타임스탬프와 같지 않습니다. 위클리 차트에서 각 타임스탬프는 한 주의 시작을 표시하며, 위클리 차트의 추세선 포인트는 한 주의 첫 번째 요일(데일리 차트 요일 포함)과 일치하는 마크에 표시됩니다. 즉 추세선은 그대로 유지되는 반면 이 라인의 X 좌표는 달라집니다.

2. 이제 위클리 차트에 같은(그러나 실제로는 다른) 추세선을 그려 보겠습니다.

위클리 차트에 포인트를 배치할 때 사용한 타임스탬프는 데일리 차트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추세선은 해당 포인트에 정확히 표시됩니다. 그러나 데일리 차트에서 추세선 포인트는 위클리 차트에서처럼 고점에 닿지 않는데, 이는 라인이 한 주의 첫 번째 날이 시작되는 곳에서 끝나기 때문입니다(아직 위클리 고점에 닿지 않았음).

싱글 차트 레이아웃을 사용하여 무언가를 그린 다음 차트 타임 프레임을 바꿀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드로잉은 처음 추가할 때 사용한 타임 프레임에 따라 다르게 배치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