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ypto_wonmilibili], BTC 나오는 방향대로 크게 간다.현재시황 – 큰 하락 추세선을 위로 돌파한 뒤(빨간 굵은선) 경계선에서 지지를 받고 있는 모습입니다.
현재 차트는 장기 관점(주봉 단위)에서 이어진 하락 추세를 횡보로 이탈하며, 단기적으로는 롱(상승) 쪽 흐름이 더 유리해 보입니다. 단기 상승세의 힘으로 115.5k 부근까지는 도달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 상승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111k 위에서 안정적인 지지를 확보해야 합니다.
110k 지지에 실패할 경우 하방 이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직전에는 장기 하락 추세를 횡보와 단기 상승으로 돌파했기 때문에, 현재는 롱 매수세가 꾸준히 유입되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롱 관점에 무게가 실리지만, 만약 휩쏘가 발생해 하방으로 이탈한다면, 고점을 낮추는 형태로 하락세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단기적으로는 102k까지 직행 가능성이 있으며, 98k까지 열려 있는 구간이 존재해 하락 위험 역시 상당합니다.
정배팅은 롱. 다만 휩쏘 시 급락이 동반될 수 있으니, 하락 전환 시 물타기 금지.
X-indicator
떨어지면 '롱' , 숏치면 목 돌아간다. 트레이딩의 사고과정 이전 아이디어부터 쭉 떨어지면 '롱'치는게 손익비가 좋다고 언급했다.
아직 그 관점이 유효한데 현재상황을 다시 내려다보자.
그리고 내가 내돈으로 트레이딩 하면서 손절구간 및 수익 구간 롱타점을 공부 차원에서 공유한다.
본인은 엘리펀트 파동으로 매매하는 사람으로서 파동간에 다이버전스, 매물대, 피보나치와 추세선을 적극 활용한다.
이제는 진짜 떨어지면 '롱'으로 대응할때가 왔다.
그리고 여러 메이저 코인들도 힌트가 있었는데
대불장 느낌...향이난다...
온도파이낸스 현재 롱타점
오전에 진입
근거는 앞선 파동이 너무 임펄스 같았고 15분봉 상다 및 매물대 + 극강 손익비
*사실 지금 롱,숏 분석이 정말 갈리는데
롱이냐 숏이냐가 중요한게 아니라 수익이 나는 구간을 추려내는게 진짜 실력같다.
대불장의 초입은 다이버전스 찢으면서 올라간다.
지금보면 다이버전스가 갈갈이 찢기는데 정말 숏치면 나도 아무것도 모를시절 목 돌아간적 있기떄문에 숏은 잠시 버튼 삭제.
111696.21 부근에서 지지 여부 확인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TC(Trend Check) 지표가 0 지점 이상 상승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에 따라서, 111696.21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OBV 지표가 High Line 이상 상승하여 유지되어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9월달의 변동성 기간은 9월 9일경, 9월 19일경, 9월 28일경으로 예상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171.26 부근에서의 지지 여부 확인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NVDA 1M 차트)
기본 거래 전략은 DOM(-60) ~ HA-Low 구간에서 매수하고 HA-High ~ DOM(60) 구간에서 매도하는 것 입니다.
다만, HA-High ~ DOM(60) 구간에서 상승하게 되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고, DOM(-60) ~ HA-Low 구간에서 하락하게 되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기본 거래 방식은 분할 거래 방식을 취해야 합니다.
-
현재 1M 차트를 보면, HA-High ~ DOM(60) 구간은 121.80-138.23 입니다.
따라서, 121.80-138.23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계단식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왼쪽 피보나치 비율은 첫번째 파동에서 작도되었고 3.618(181.85)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오른쪽 피보나치 비율은 두번째 파동에서 작도되었고 1(198.88)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종합해 보면, 181.85-198.88 구간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만일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1차 : 152.89
2차 : 121.80-138.23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1D 차트)
1D 차트의 HA-High ~ DOM(60) 구간은 180.76-182.70 입니다.
따라서, 계단식 상승세가 시작되기 위해서는 180.76-182.70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171.26 지점은 1W 차트의 HA-High 지표 지점입니다.
따라서, 171.26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관건입니다.
171.26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만날 때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152.89 ~ 왼쪽 피보나치 비율 3(157.76)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 입니다.
1W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
처음으로 이와 같이 설명을 들으면 무슨 얘기인지 이해가 안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DOM(-60)와 HA-Low 지표는 저점 구간을 표시하고, DOM(60)와 HA-High 지표는 고점 구간을 표시한다는 것 입니다.
따라서, 매수 시기는 DOM(-60)과 HA-Low 지표 부근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매도 시기는 DOM(60)과 HA-High 지표 부근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 입니다.
장기적인 관점으로 차트를 해석하려면 1M 차트에서의 DOM(-60), HA-Low, HA-High, DOM(60) 지표의 위치를 확인해야 합니다.
1W 차트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1D 차트는 단기적인 관점으로 차트를 해석하게 됩니다.
주식 시장은 차트 이외의 다른 이슈가 가격 변동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언제나 변동성에 유의해야 합니다.
아무리 그렇다 하더라도 결국 차트를 먼저 만든 다음 변동성이 발생하기 때문에 차트를 먼저 분석한 다음 그 이외의 이슈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자신의 주관적인 생각이 많이 반영된 거래 전략을 만들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240.55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AAPL 1D 차트)
기본 거래 전략은 DOM(-60) ~ HA-Low 구간에서 매수하고 HA-High ~ DOM(60) 구간에서 매도하는 것 입니다.
다만, HA-High ~ DOM(60) 구간에서 상승하게 되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고, DOM(-60) ~ HA-Low 구간에서 하락하게 되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기본 거래 방식은 분할 거래 방식을 취해야 합니다.
-
현재 1D 차트의 HA-High ~ DOM(60) 구간은 229.27-232.78 입니다.
따라서, 229.27-232.78 구간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전체적으로 차트를 보면, 226.67-240.55 구간은 HA-High 지표로 형성된 구간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226.67-240.55 구간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240.55 이상 상승하게 되면, 250.42-260.10 구간으로 상승하려는 시도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250.42 지점과 255.59 지점은 각각 1M 차트의 DOM(60) 지표와 1W 차트으 DOM(60) 지표에 해당됩니다.
그러므로, 결국 중장기적인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250.42-255.59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하여야 합니다.
-
앞서 말씀드린 기본 거래 전략으로 볼 때, 현재 분할 매도할 구간에 해당됩니다.
이 구간에서 매수를 한다면, 짧고 빠른 대응이 요구되므로 거래시 신중해야 합니다.
226.67-240.55 구간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매수가 가능합니다.
226.67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손절하고 상황을 지켜봐야 합니다.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하여 가격을 유지한다면, 중장기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이 필요합니다.
-
현재 1D 차트의 HA-Low 지표가 192.31 지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이 지점은 이전 신고가(ATH) 구간인 182.94-199.62 구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182.94-199.62 구간은 중요한 지지 구간에 해당됩니다.
-
(1M 차트)
원으로 표시해 둔 구간이 중요한 구간에 해당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이더리움 매매셋업현재 알트코인은 건들지 않고 있습니다.
당장 매수받을 메리트 있는 자리도 보이지 않고
숏포지션은 애초에 진입하지 않기떄문에
눌림에 롱만 받으려 자리를 기다리는중입니다.
직전에 큰 반등을 보여줬던 회색 박스역시 훼손을 시킨다면 롱포지션 진입 예정이고
방어력좋은 이더리움이 자리를 줄지는 모르겠습니다. 혹여 올라간다면 웻지 리테스트에 들어가볼법 하네요
승률이 높은 자리에서만 매매를해야하고 도전해야할 자리에선 배율을 낮추고 비중을 줄여 분할 매수를 해야 시장에서 오래살아남고 그 수차례 매매에서 포텐이 터진다면 또한 어마한 수익을 거둘수 있으니
우리는 항상 리스크 관리를 해야합니다. 결국 살아남아야 그 맛을 볼 수 있을겁니다
다들 화이팅!
비트코인 현재상황매매란 포지션 진입 후 평단이 안정화 혹은 포지션 정리 전까지
수시로 차트에대한 시장 방향성에 신경을 써야하는데요
현재 평단을 올려둔 덕에 약수익중이긴 합니다만
아직 안정화 되지 않았기에 보고있는 뷰에대해 공유드리려 합니다.
일단 파란 채널링 부근 상단을 돌파 후 리테스트일 수도 혹은 FAKE OUT일 수도
컨펌이 나지 않은 상태이고
좌측의 프렉탈처럼 하락반전 신호라면 우측의 동그라미 친부분의 회색선을 돌파하면 안된다 생각하기에
포지션을 어떻게 유연하게 끌고갈지에대해 고민좀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큰 뷰로 더 하방이 열려있다는 관점은 변함이 없지만 쉽게 가지 않을것이기에
단타 매매는 조금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익절의 타이밍도 중요하지만 무분별한 자리에서 익절 보다는 분석 후 의미있는 구간 즉 숏포지션이라면
유의미한 지지구간에서 익절을 하려는것이니 참고하시고 저항대를 뚫는 무빙을 보여준다면
줄여놨던 물량을 다시 유의미한 저항구간에 진입할 예정입니다. 위든 아래든 아직 나오지 않았으므로
여기까지 공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5.09.01 PENDLE LONGPENDLE 입니다.
이번 분석은 단순히 차트만 공유드리기 보다는 ICT 관점에서 사용되는 용어 설명이 필요하여, 간단한 개념을 먼저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ERL (External Range Liquidity, 외부 유동성): 명확한 전고점/전저점 등 외부 범위의 유동성
IRL (Internal Range Liquidity, 내부 유동성): 특정 가격 범위 내에 형성된 불균형/비효율 구간(Imbalance)
ICT 이론에서는 가격이 불균형과 비효율 구간을 채우려는 알고리즘에 의해 움직이며, 한쪽 유동성을 흡수하면 다음 유동성을 찾아 움직이는 것으로 봅니다.
(차트에 표시해 둔 것이 그 예입니다.)
간략한 설명은 이정도로 마치고, 관점에 대해 얘기하자면 PENDLE은 현재 온체인데이터상 매수(롱)에 긍정적인 흐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www.coinglass.com
- 현물CVD↑
- 숏계정 비율↑ + 펀딩피↑
(위 조합은 숏 스퀴즈 잠재력을 열어두는 구조입니다.)
차트+데이터로 종합해 볼 때, 두 구간을 활용한 진입과 청산 전략이 유효해 보입니다.
파추끝의 9월 1일 비트코인 차트분석 / 앞으로 10일동안 상승!!비트코인은 107200까지 찍은 상태입니다..
저점이 나왔거나 105-106까지 한파동이 더 나오거나로 보고 있고
105가 깨진다면 롱은 손절 칠 생각입니다
105K 지키고 상승한다면 비트코인은 9월 11일 FOMC발표전까지 금리인하 기대감으로
상승이 나올거라 생각하고 예상 가능한 구간은 2구간입니다..
116부근이거나, 엔딩 상단 리테스트까지 오르는 구간입니다
만약 9월 11일까지 116부근을 못찍는다면 FOMC발표하면서 116부근 찍고 하방갈거라 생각하고
9월 11일 전 이미 116부근을 미리 찍는다면 조정이 나오더라도 엔딩 상단 리테스트까지
반등할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만약 엔딩 상단 리테스트까지 9월 11일전 나온다면 그럼 상승은 더 나올거라 생각합니다
아직 파동모양을 그리지 않아서 올라가는 모양을 봐야하는데.. FOMC발표전까지 어디에
머무는지는 확인해서 위 내용과 같은 구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비트코인 최종 매매시나리오눌림에 롱을 받으려고 했던 시나리오는 접기로 했습니다.
110k~111k가 온다면 강하게 숏진입을 해볼예정입니다.
고점과 저점이 낮아지며 두 구간의 저점이 공통 쌍바닥 형태가 나왔습니다.
이런구간을 체크하고나니 첫번째로 위로 가는것보단 하방의 유동성을 더 흡수하는게
경험상 더 합리적이라 생각했고
아랫박스 롱을 받기로한 자리 대략103~104 의 매물대를 체크하고
강한 반등을 예상하기에 관점 변동없이 진행 하기로 하였습니다.
113.4k 첫번째 붉은선 직전 고점을 넘긴다면 그땐 관점 폐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이상 마무리 하겠습니다.
현재 메인 포지션 121.4k 숏
서브 포지션 108.8k 숏진입 107.5k 반익 후 109k 손절 후 무포
110.3~111k 숏포지션 강하게 진입 준비중 안오면 메인포지션만 들고갈예정이고
타겟가에서 강하게 롱포지션 받아볼 예정입니다
비트코인 숏포지션 진행중현재 121.4k 메인숏은 가지고있고
108.8k 단타숏을 진행중이었는데요
단타라기엔 무빙이 너무 없어 조금길게 끌고가게 되었습니다.
현재 107.5k 부근에서 반익한 상태이고 남은 반절의 물량은 본절셋팅을 해두어
리스크를 없앤 상황입니다.
계속 말했듯 103.5~104.5 부근에선 어느정도 유의미한 반등은 나올거라는게 제가 보는 관점이고
당연 fvg나 거래량이 터진 캔들 매수는 고배로 하기엔 리스크가 다소 있기에
10배율 정도로만 가져갑니다.
당연 전체시드의 10%정도의 비율로만 가져가고요 이 시장에서 한방을 노리는건 너무 말도안되는 도박이기에
좋은자리에서 계속 수익을 거둬가겠습니다. 제가 매매하는 방법을 세부 프레임으로 넘어가게 된다면
5분봉에서 백테스팅결과 확률이 60%정도 밖에 나오지 않네요 역시 긴프레임으로 가져가야 승률이 비약적으로 오르나 봅니다.
좋은자리에서 숏포지션 전량 익절후 눌림 롱만 보겠습니다.
변동성 기간 : 8월 28일경(8월 27일-29일)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4372.72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한 모습입니다.
다만, TC(Trend Check) 지표가 0 지점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어디로 튈지 알 수 없는 상태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4630.26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아니면, 4472.33 이하로 하락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번 변동성 기간은 8월 27일-29일까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계단식 상승세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4749.30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