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이번 상승 재축적 구조의 고점이 110K 일 가능성 24' Nov 30🔔 비트코인 상승 싸이클을 Wyckoff 재축적 구조로 예상해봅니다.
📌 Wyckoff 재축적 구조란 ,
하나의 축적 구조의 매집 이후, 추세를 분출하고
추세 분출 이후 다시 축적 구조의 박스권이 형성된 이후
매집의 결과로 추세를 분출 하는 형태의 구조 해석 방법입니다.
📌 축적 구조를 노란색 박스
추세 분출 (Mark Up) 을 파란색 박스
로 설정하였습니다.
차트에 표기된 노란색, 파란색 박스의 크기는 모두 동일 합니다.
노란색 박스의 높이(가격) 기준은 23년3~10월 축적박스의 가격 범위로 기준을 잡고
노란색 박스의 길이(시간) 기준은 24년3~11월 A 축적 박스의 날짜 범위로 기준을 잡았습니다.
파란색 박스의 기준은 23년 10월 추세분출의 박스로 기준을 잡았습니다.
📌그 결과 지금 상승의 추세분출 이후 다음 박스권이
🚀 92K ~ 110K 일 가능성을 확인 하였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약간의 오차가 발생 합니다.
그 시발점은 최근 3월부터 추세 분출 전 까지의 축적구조 박스인 A 박스 입니다.
이 박스는 이전 구조와 다르게 수평 축적 구조라고 보기 보다는
하락 평행 채널 구조 가 형성 되었기 때문입니다.
📌 이런 식으로 말이죠.
📌 이런 Downward Sloping 구조로 약 8개월을 추적 하였기에
새롭게 형성되는 B 박스는 이번에도 그 박스 구조의 저점과 고점을 쉽게 초반에 알려주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 합니다.
📌 거기에 피보나치 확장으로 20년도 저점과 21년 고점을 기준으로 측정했을때
1.382 의 105.4K 값과
1.618 의 120.8K 값
100K 의저항
의 주요 가격대는 이번 박스의 오차 범위가 넓을 수 있다는 부분을 암시 하기도 합니다.
🔔 그럼에도 이러한 Wyckoff Re-Accumulation의 분석법과 , 일정 비율의 매집 이후 추세를 분출하는 비트코인의 차트 분석으로
이 급격한 추세분출 상승의 고점 부분을 예상 하고 대응 하는 트레이딩 시나리오를 세워봅니다.
24년4월 4차 반감기 이후 그 반복되는 상승 사이클의 의심부분을 완벽히 해결한 암호화폐 지지자 트럼프의 당선으로 비트코인은 더 큰 상승을 위한 매집이 필요한건 사실이라 봅니다.
거기에 이런 비트코인의 박스권 횡보는 알트시즌을 위한 더욱 강력한 암호화폐 시장의 바탕이 될것입니다.
🚀부스트 클릭은 여러분의 계좌싸이클을 우상향 시켜줍니다.
감사합니다.
X-indicator
코인피커 7월 17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 비트코인 원웨이 상승?안녕하세요, Team 코인피커 김우주 입니다.
제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한 번씩 눌러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매일 시황도 같이 올려드리고 있으니, 팔로우 눌러주시고 참고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비트코인 날봉 차트입니다.
비트코인이 막힘 없이 원웨이로 급하게 상승중입니다.
저번 분석 때 무리 없이 상승하겠다는 저항 구간들 모두 밟고 올라오는 모습
롱 관점 유지하여 적중한 모습입니다.
현재 비트코인은 ATH 갱신 후, 119K ~ 118K 구간을 횡보하고 있는 중 입니다.
115K까지만 버텨준다면 비트코인은 무리없이 다시 120K구간 회복 가능성 충분합니다.
또한, 120K를 터치하지 못하고 119.6K에서 저항맞고 내려온 구간인데,
이후 저항없이 강하게 돌파를 해준다면 다시금 비트코인의 불장이 시작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음 비트코인의 불장은 10월로 생각됩니다.
그 불장을 위해 준비하는 기간이 꽤 길어질 수도 아니면 짧아질 수도 있다고 생각하지만,
저는 아직 비트코인이 조정을 맞기엔 아직이라는 의견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음은 데이트레이딩 관점입니다.
비트코인 15분봉 차트입니다.
채널 박스권에서 움직이는 모습입니다.
118.3K ~ 116.9K 구간이 오늘의 핵심 움직임 구간이라고 보여집니다.
118.3K 터치 후 다시 올라와주는 모습인데,
118.3K를 뚫고 내려온다면 116.9K까지 비트코인이 빠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지금 차트에서, 채널 상단부인 119.3K까지 뚫어준다면, 다시금 120K 터치할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
지표 발표 직후인 오늘, 움직임 조심스럽게 체크하시면서 매매에 임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제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부스트 및 팔로우 부탁드리겠습니다.
오늘도 화이팅입니다.
FOMO에 빠지지 않기 위한 거래 전략 필요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1D 차트는 모든 타임 프레임 차트의 기준이 되는 차트입니다.
즉, 1D 차트의 추세에 맞게 거래를 진행한다면,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이는 대부분의 지표들이 1D 차트를 기준으로 만들어졌다는 것으로도 알 수 있습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1M, 1W, 1D 차트의 M-Signal 지표는 추세를 확인하는데 적합한 지표에 해당됩니다.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중장기적으로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특히 현물 거래시 이점을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1W, 1D 차트의 M-Signal 지표는 중기 및 단기 추세를 보여 줍니다.
M-Signal 지표는 MACD 지표의 수식을 활용하였지만, 결국 가격 이동 평균선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가격 이동 평균선만으로도 거래를 진행할 수 있지만, 지지와 저항 지점을 선정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변동성에 대한 대처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실제 거래에서는 잘 활용되지 못합니다.
다만, 차트를 분석하거나 일반적인 추세를 확인할 때는 유요한 지표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우리가 M-Signal 지표 (가격 이동 평균선)으로 알 수 있는 것은 M-Signal 지표간의 상호 관계입니다.
M-Signal 지표들이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얼마나 가까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 후 방향성을 확인함으로서 추세를 예측할 수 있게 됩니다.
-
M-Signal 지표로 추세를 확인하였다면, 그 다음으로 실제 거래를 하기 위한 지지와 저항 지점이 필요합니다.
지지와 저항 지점은 1M, 1W, 1D 차트에서 작성되어야 합니다.
지지와 저항 지점의 역할이 강한 순서로는 1M > 1W > 1D 차트 순입니다.
다만, 얼마나 길게 수평선을 이루는지에 따라서도 지지와 저항 지점의 역할의 강함을 알 수 있습니다.
보통 지지와 저항 지점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최소 3캔들 이상 수평선을 이루었을 때 입니다.
따라서, 캔들의 수가 3개 미만일 때는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만들게 된 지표가 HA-Low, HA-High 지표 입니다.
HA-Low, HA-High 지표는 하이킨아시 차트에서 거래를 하기 위해 만든 지표로서 하이킨 아시 캔들이 상승 전환할 때나 하락 전환할 때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HA-Low 지표가 생성되었다는 의미는 상승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HA-Low 지표에서 지지 받는다면,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다만, HA-Low 지표에서 하락하게 되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HA-High 지표가 생성되었다는 의미는 하락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HA-High 지표에서 저항 받는다면, 매도 시기에 해당됩니다.
다만, HA-High 지표에서 상승하게 되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도 생각해야 두어야 합니다.
여기서 딜레마에 빠지게 됩니다.
무슨 얘기냐면, HA-High 지표가 생성된 의미는 하락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되면 계단식 상승세로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생각으로 딜레마에 빠지게 됩니다.
이는 가격의 변동성에 의한 FOMO에 빠지게 됨으로서 나타나는 욕심에 의해 발생하게 됩니다.
실제 매수 시기는 HA-Low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하락 전환하려는 모습을 보일 때 굳이 매수하려는 심리로 인해 결국 큰 손실을 입게 되어 투자 시작을 떠나게 되는 계기가 됩니다.
따라서, 매수 시기에서 매수하지 못하였다면, 매수 시기가 올 때까지 기다릴 줄도 알아야 합니다.
-
HA-Low, HA-High 지표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거래를 진행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지지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은 상당히 어렵고 힘들 일 입니다.
따라서, HA-Low, HA-High 지표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DOM(60), DOM(-60) 지표를 추가하였습니다.
DOM(-60) 지표는 저점의 끝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DOM(-60) ~ HA-Low 구간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DOM(-60) 지표 이하로 하락하게되면, 비로소 계단식 하락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DOM(60) 지표는 고점의 끝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HA-High ~ DOM(60)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한다면 계단식 상승세가 시작될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HA-High ~ DOM(60) 구간에서 저항 받고 하락한다면, 하락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로서, 기본 거래 전략이 완성되었습니다.
DOM(-60) ~ HA-Low 구간에서 상승하면 매수하고 HA-High ~ DOM(60) 구간에서 하락하면 매도하는 기본 거래 전략입니다.
이를 위해서 거래 방식은 분할 거래 방식을 취해야 합니다.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DOM(-60) ~ HA-Low 구간에서 하락하게 되면 급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고, HA-High ~ DOM(60) 구간에서 상승하게 되면 급등하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변동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심리적인 동요로 인한 가격 따라 거래를 시작하게 됨으로서 투자 시장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게 되고 결국 투자 시장을 떠나게 되는 계기가 됩니다.
-
1D 차트의 움직임을 보았을 때 이미 계단식 상승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거래를 진행할 수 없는 상태라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선물 거래시에는 SHORT 포지션이 있기 때문에 언제든 거래는 가능합니다.
하여간 1D 차트에서는 계단식 상승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매수 시기를 선정하기가 어려운 상태입니다.
하지만, 1D 차트 이하의 타임 프레임 차트에서 보면 매수 시기를 선정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본 거래 전략은 언제나 같습니다.
DOM(-60) ~ HA-Low 구간에서 상승하면 매수하고 HA-High ~ DOM(60) 구간에서 하락하면 매도하는 것 입니다.
현재 1D 차트에서 계단식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에 결국 매수(LONG)를 진행하는 것이 주 포지션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매수 시기를 찾는데 집중해야 합니다.
다만, 1D 차트의 HA-High 지표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그때는 매도 시기를 찾는데 집중해야 합니다.
즉, 현재 1D 차트의 HA-High 지표는 115845.8 지점에 생성되어 있기 때문에 115845.8 지점을 기준으로 가격이 위에 있는지 아래에 있는지에 따라 대응 방안을 달리 생각해야 한다는 겁니다.
그러므로, 선물거래시 주 포지션(1D 차트의 추세에 맞는 포지션)으로 거래시 투자 비중으로 높이고, 부 포지션(1D 차트의 추세와 다른 방향의 포지션)으로 거래시에는 투자 비중을 낮추고 짧고 빠른 대응이 필요합니다.
현물 거래시에는 1D 차트의 추세에 맞는 방향으로 거래를 진행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매수한 다음 하락 전환하려는 모습을 보일 때 마다 분할 매도를 진행하여 수익을 확정지어 나가야 합니다.
즉, 30m 차트에서 HA-Low 지표부근에서 매수하고 가격이 상승하여 HA-High 지표가 생성되었다면 그 부근에서 분할 매도하는 방식입니다.
-
이러한 상호 관계를 따져 거래 전략, 거래 방식 및 수익 실현 방식을 정하고 그에 맞게 기계적으로 거래를 진행해 나가야 합니다.
단편적인 움직임으로만 거래를 진행하게되면 결국 손실을 입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왜냐면, 손절를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파추끝의 7월 16일 비트코인 차트분석 / 115k지키면 상승합니다비트코인이 12만3천까지 상승후 115k까지 눌림이 나왔습니다
115k가 저점이 나왔다 생각하는데 혹시나 115k저점이 깨진다면
제 기준으로는 98부터 이어온 상승파동이 나올게 더 이상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115k저점이 깨진다면 롱 물량은 절반이상을 덜어낼겁니다
115k저점을 안깨고 상승한다면 3-3파동이 최소 14만이상 가는 상승이 나올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지금자리에서 115k를 지키고 수렴을 그린다면 3-3파동으로 14만 가는 그림보다는
수렴이 메이저 4파 수렴이고 그러면 98부터 이어온 한 파동의 마지막 수렴후 상승이 나오고
이후 조정이 나올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115k저점이 깨진다면 롱 물량은 절반이상 덜어낼거고
115k저점을 지킨다면 수렴만 안그리면 14만이상 가는 3-3파동이 나올거라 생각하고
수렴을 그린다면 수렴후 12만 3천 고점을 넘기고 조정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 보겠습니다
글로 쓰는건 한계가 있기 때문에 파추끝에서 확인하세요
진입구간 셋업25. 7. 12 (14:45)
12시간
스토캐스틱 대파동 - 과매수권 목전에서 봉우리 형성 중.
➀ 과매수권 진입 시 ⇨ 누적 된 상승력 재 분출로 한파동 더 고점 노릴 가능성.
➁ 과매수권 진입하지 않고 봉우리 형성 시 ⇨ 고점 낮추는 쌍봉 형성으로(하늘색 도트라인) 과열된 상승세를 꺾는 움직임.
하락 하더라도 5, 10, 20이평선 간의 이격도 매우 크고, 스토캐스틱 파동 상 하락세 없으므로 고점 구간에서 박스권 형성 할 것.
박스권 형성 후 진입하여도 충분한 매매구간 제공.
check point
중파동 저점위치로 저점 마지노선 확인
4시간
MACD - 봉우리 형성 중.
스토캐스틱 소파동 - 하락 중 ⇨ 저점 위치로 하락세 가늠.
ONE POINT
12시간 중파동 파동 구간 확인
⇨ 파동의 위 아래 구간으로 박스권 형성 체크
.
.
.
.
.
1000BONK 예상적중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이전분석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후회하신다고 했습니다.
주요자리들은 이미 정해져있습니다. 1000BONK도 똑같습니다.
알트들이 하나두개씩 상승이 크게 나오고 있는데 어차피 지금도 늦지않았습니다.
눌림자리는 주고 한번더 슛팅나옵니다 그 슛팅만 먹어도 +66% 이상 먹을 수 있습니다.
2.5102-2.6013 이상에서 지지 여부 확인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XRPUSDT 1D 차트)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을 상향 돌파하였습니다.
이에 따라서, 2.5102-2.6013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2.5102-2.6013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때,
1차 : 오른쪽 피보나치 비율 0.618(3.2085) ~ 왼쪽 피보나치 비율 3.618(3.2983)
2차 : 오른쪽 피보나치 비율 1(4.1944)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강한 지지 구간은 1.5-1.9669 입니다.
----------------------
왼쪽 피보나치 비율은 초기 상승 파동에서 작도되었고, 오른쪽 피보나치 비율은 최근 상승 파동에서 작도되었습니다.
따라서, 초기 상승 파동에서 작도된 피보나치 비율의 3.618(3.2983)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하게 된다면, 새로운 파동을 만들 가능성이 높습니다.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를 분석하기 위한 도구이기 때문에 이 지점을 지지와 저항 지점으로 활요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DOM(60) 지표나 HA-High 지표가 새롭게 생성되는지를 확인하고 지지 여부에 따라 대응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현재 DOM(60) 지표는 2.5102 지점에 형성되어 있고, HA-High 지표는 2.4269 지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기본 거래 전략은 HA-Low 지표 부근에서 매수하고 HA-High 지표 부근에서 매도하는 것 입니다.
다만, HA-High ~ DOM(60)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되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고, DOM(-60) ~ HA-Low 구간에서 저항 받고 하락하게 되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DOM(-60) ~ HA-Low 구간과 HA-High ~ DOM(60) 구간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에서 부터 거래는 시작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이더리움은 이렇게 분석하고 대응하세요안녕하세요. 세상에 모든 차트를 탐구하는 bigshort23 입니다.
정말 오랜만에 알트코인 내용으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의 순서는 아래와 같이 진행하며 분석해보겠습니다.
1. 단기 움직임에 대한 내용
2. 중장기 움직임에 대한 내용
3. 상승과 하락에 대한 타점과 생각
단기 움직임에 대한 내용
단기적으로 이더리움은 1800$ 부근에서 횡보하면서 ETH.D와 함께
폭발적으로 상승해주었고, 2400~2700$를 횡보하고 있습니다.
"Rising Wedge"를 만들고 지지 추세를 이탈한 상황입니다.
현재는 이탈을 한 상황이기 때문에 상승보다는 하락에 초점을 맞추셔야 합니다.
일봉상 5ma와 이탈했던 추세의 저항이 중첩되어 있는 구간이기 때문에
2510$ 구간은 손익비적으로 숏이 매우 유리한 구간입니다.
(다시 회복하여 안으로 들어왔을 경우는 손절 후 관망하며 캔들 마감을 보고 롱과 숏 고려)
중장기 움직임에 대한 내용
비트코인 관점을 설명할 때에도 *FVG에 대한 내용을 언급하였습니다.
비트코인이 추가적인 하락으로 97.6~100.4K까지 하락한다고 한다면
이더리움 또한 2000$ 초반까지 하락을 염두하셔야 할 것 입니다.
2000$ 초반에는 주봉 차트에서의 강세 FVG가 있으며
최근 캔들의 미친 지지와 저항의 정확도를 보여준 2145$는 FVG의 CE와도 가깝게 위치하였습니다.
FVG의 CE + 주봉 캔들의 지지와 저항 역할 구간 + 일봉 60MA + 일봉 120MA
= 2145$ 구간에서 분할 롱을 잡는 것이 매우 유리한 구간임을 알 수 있습니다.
상승과 하락에 대한 타점과 생각
결론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이더리움을 가장 안전하게 매수할 구간은 2845$를 돌파했을 때 입니다.
아래에서 매수할 사람은 그 가격이 현재와 비교했을 때 매우 비싸게 느껴지겠지만요.
"난 남들보다 더 싸게 살 거야" 라고 생각하면 2145$ 구간을 시작으로 분할하셔야 합니다.
1876~2145$ 대략 -12% 구간입니다.
ETH.D 차트입니다. 주봉으로 보았을 때 9.45%가 매우 중요합니다.
빠르게 13.23%의 저항을 돌파해야 합니다.
이더리움도 비트코인과 같이 특정 구간을 넘어서지 못할 경우에 숏을 모으고
강세 FVG 구간에서 모았던 숏을 분할 매도하면서 분할 롱을 모으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지지와 저항 구간 : 115854.56-116868.0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이번 하락으로 인해 새로운 추세선이 생성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7월 31일경에 변동성 기간이 추가되었습니다.
HA-High 지표가 115854.56 지점에 생성된다면, 그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만일 HA-High 지표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7월 18일경(7월 17일-19일)의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어느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가격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
StochRSI 80 지표가 116868.0 지점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116868.0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HA-High 지표가 115854.56 지점에 생성될 것이라고 가정한다면, 115854.56-116868.0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관건이 됩니다.
그 다음으로 1D 차트의 M-Signal 지표가 116696.20 이상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1D 차트의 M-Signal 지표나 116696.21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이제 까지 어느 지점이나 구간을 상향 돌파하면서 상승세를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말씀드려 왔습니다.
즉,
- StochRSI 지표의 K가 과매수 구간 이하에 위치해 있고 K > D 인 상태로 상승세를 보여야 합니다.
- PVT-MACD 오실레이터 지표가 상승세를 보여야 합니다. (가능하면, 0 지점 이상에 위치해 있어야 좋습니다.)
- Low Line ~ High Line 채널의 OBV 지표가 상승세를 보여야 합니다. (가능하면, High Line 이상 상승하여 유지되어야 좋습니다)
위의 조건이 만족하였을 때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반대로 하락세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 DOM(60) 지표가 생성되면서 DOM(60) 지표 부근에서 저항 받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 HA-High 지표가 생성되면서 HA-High 지표 부근에서 저항 받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 StochRSI 지표의 K가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하면서 K < D인 상태로 전환되어 하락세를 보여야 합니다. (단, K가 50 지점 부근에 도달하였을 때 변동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PVT-MACD 오실레이터 지표가 하락세를 보여야 합니다. (가능하면, 0 지점 이하에 위치해 있어야 좋습니다.)
- Low Line ~ High Line 채널의 OBV 지표가 하락세를 보여야 합니다. (단, OBV < OBV EMA인 상태로 하락세를 보여야 합니다.)
위의 조건이 만족하였을 때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중에서 직관적으로 바로 알 수 있는 것은 DOM(60) 지표와 HA-High 지표가 생성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 입니다.
가장 먼저 하락세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현재의 가격 위치가 고점이라는 신호가 나와야 하기 때문입니다.
DOM(60) 지표는 고점의 끝을 알려주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DOM(60) 지표가 생성된다면, 고점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HA-High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HA-High ~ DOM(60) 구간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에 그에 맞게 대응해야 합니다.
HA-High 지표는 하이킨아시 차트에서 거래하기 위해 만든 지표로서 HA-High 지표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하락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은 지점에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
자신이 거래하는 어느 타임 프레임 차트에서도 같은 원리가 적용되기 때문에 보다 차트를 이해하기가 쉽고 거래의 시작과 끝의 시기를 정할 수 있게 됩니다.
단, 기본 거래 방식을 분할 거래 방식을 취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HA-High ~ DOM(60) 구간에서 상승하게 되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고, DOM(-60) ~ HA-Low 구간에서 하락하게 되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기본 거래 방식, 즉, HA-Low 지표 부근에서 매수하고 HA-High 지표부근에서 매도하는 방식은 결국 단타 거래(day trading)에 익숙하게 만들어 줌으로서 중장기적인 투자를 진행할 때 매수 시점을 찾는데 효과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게 될 것 입니다.
단타 거래(day trading)를 못하는데 중장기 투자는 나름 잘한다고 하는 것은 잘 못된 것 입니다.
운이 좋았을 뿐 입니다.
불행이도 이러한 운은 지속될 수 없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여러분들은 지금부터 저의 글에 주목해야 합니다안녕하세요. 세상에 모든 차트를 탐구하는 bigshort23 입니다.
6월 6일에 올렸던 내용 그대로 업로드합니다.
QR코드가 들어가서 광고로 인식되어 삭제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글의 진행 순서대로 분석하며 관점 공유하겠습니다.
1. 과거 업로드 내용
2. 과거 복기
3. 현재 대응과 분석
4. 타점에 대한 내용
과거 업로드 내용
<5월 30일 업로드>
📌106.7K 터치 이후 오랜만에 나름 큰 조정📌
"비트코인 : 조정 VS 빅쇼트"
과거 복기
106.4K를 이탈하기 전까지는 좋은 매수(롱) 구간이었지만
S/R Filp이 성립되면서 이탈했기 때문에 그곳은 저항 구간이 되었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S/R Flip : Support and Resistance Flip
106.4K에서 106.8K로 저항을 수정한 근거는 계속해서 꼬리로 지켜주었지만
그곳을 이탈했기 때문에 106.8K에 집중하라고 말씀드렸습니다.
하락 FVG를 체크하는 방법에 대해서 언급하였고
6월 2일 추가적인 근거를 제시하며 손익비 좋은 타점을 소개했습니다.
그 결과 정확히 약세 FVG와 106.8K에서 저항이 나왔고
그 이후 강세 FVG의 상단을 터치하는 모습이 나왔습니다.
현재 대응과 분석
일주일 전부터 약세 FVG에 대한 내용을 강조하였고 그곳에서 숏을 잡았다면
강세 FVG에서 분할 매도하면서 분할 롱이나 매수를 말씀드렸습니다.
과거 하얀색 저항 추세선을 기억하시나요? 오늘도 그곳을 지켜주며 반등이 나왔습니다.
지금부터 특정 가격대가 왔을 때 잡으면 좋을 구간들의 각각 근거를 제시해보겠습니다.
1. 99.7~100.7K
위에서 제시했던 하얀색 저항 추세선은 돌파했기에 지지 추세선이 되었습니다.
또한 60일 지수 이동평균선의 지지가 같이 중첩되는 근거들이 있는 구간입니다.
2. 97.6~100.4K
원래 강세 FVG의 범위는 97.6~100.7K입니다.
하지만 이번 하락에서 100.4K까지 갭을 메꾸면서 범위가 바뀐 것입니다.
돌파해주었던 이후 단 한 번의 리테스트가 없었기 때문에 좋은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상승 되돌림 0.382 구간입니다.
1. 103.7~104.3K
상승 채널의 미들선과 5MA와 5EMA의 중첩되는 저항 구간입니다.
비트코인 15분 봉입니다.
저의 경우는 거래량을 볼 때 캔들과 함께 보면서 이해하려고 합니다.
거래량 = 매수 + 매도의 총합을 히스토그램으로 표현하기 때문입니다.
바닥을 찍고 반등할 때의 양봉 거래량이 바닥에서 음봉 거래량을 상회하지 못했을뿐더러
양봉 캔들이 출현하며 반등할 때 거래량은 점차 줄어드는 것 때문에 "구라 반등"이라고 판단합니다.
이것은 "찐반"이 아니라 1번의 추가 하락을 위한 반등일 것입니다.
오늘 분석에서는 TOTAL1 차트까지 같이 근거로 제시하며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른쪽 스크린샷은 비트가 하락이 가속화 되기 전에 지인과 차트 공유했을 때입니다.
저는 비트코인의 강세 FVG의 갭을 메꾸러 올 것이라고 생각하기에 TOTAL차트의 갭을
메꾸러 오는 모습을 동일시하게 보여줄 것이라고 보고 비트코인의 차트가 어렵다고 느껴진다면
TOTAL1 차트를 검색하셔서 저 구간을 메꾸러 올 때 비트코인을 매수하시면 좋겠습니다.
타점에 대한 내용
여러분들에게 말했던 구간에서 숏을 잡았고
업로드 하는 글마다 중요한 타점과 구간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으니
꾸준히 팔로우 하셔서 여러분들의 투자에 도움이 되시면 좋겠습니다.
위에 내용을 꼼꼼하게 읽어보신 후에 궁금한 내용은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근거 있는 논쟁과 의견은 언제든 환영이지만 무분별한 논쟁이나 비난은 무시하겠습니다.
이번 대세 상승장을 끝없이 의심하고 대비해야할 시간 사람 심리가 당연하겠지만 큰 상승이 나오면 끝없이 상승만 보게되고
리스크 관리를 안하게 되며 점점 큰 배팅을 하는 나 자신을 보게된다. 당장만봐도 롱 관점만 무수히 쏟아지는데 그렇다고 무지성 테클을 걸자는것이 아니라 시나리오를 세우고 대비해 보자는 것이다.
1. Bullish 한 시나리오 : 지금은 3-3-1 파 완성 구간이다.
현재 임펄스 3-3-1파가 완성되었으며 3-3-2가 진행중이다. 이 시나리오가 맞을려면 앞으로 조정파동이 ABC지그재그 또는 수렴 정도로 끝내야한다.
그리고 가격대는 0.5구간 이하로 내려가서는 안된다. 특히 빅 상승장에서는 3-3-2 파가 0.5를 깨고 내려가는 경우는 진짜 드물기 때문이다.
2. 엔딩 다이아고날
다소 찝찝한 부분은 하락장때 보면 고점을 살짝 넘기고 주봉상, 일봉상 하락다이버전스가 걸리고 급하게 꼬라박는것이다.
아직 주봉상다가 완전히 걸렸다고 보기는 어렵다. 시간이 좀 더 지나봐야 알것같다.
그치만 롱 포지션은 아직 각이 안보이니까 매매를 안하는게 좋을것 같다.
지금 떨어지는 파동이 제법 임펄스 스러워서 섣불리 롱에 들어가기가 리스크가 크다.
3. 시즌종료
정말 이건 가능성이 낮을거라고 보는데..
즉 1-2 순서를 메인시나리오 대로 대응해볼것이고
일단은 '관망'을 하는게 좋겠다.
왜냐하면 지금 파동이 3-1이 시작이라면 지옥행 열차를 맛볼수 있기 떄문이다.
DOGE 눌림 끝났다? 0.190~0.180 황금 구간, 목표는 0.22까지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볼륨 다이버전스 & RSI 하단 추세선 부근 반등 조짐
Discount 구간 접근 + EMA(200) 0.17958 부근 지지 기대
진입가능한구간 0.18 - 0.19
0.17200 이탈시 올해 불장은 다봤다고보는게 맞습니다
위 저항라인 0.20000 0.21373 0.22000
✅ 단기 피보 설정 기준: 0.179 → 0.213
0.618 = 0.192 → 현재가 부근 (강력한 지지 예상 구간)
직전 단기 상승파동 기준 되돌림이 마무리될 지점에서 반등 기대)
✅ 중장기 피보 설정 기준: 0.150 → 0.213
중장기 기준에서도 현재는 피보나치 골든존 접점으로 보수적 롱 유효)
7.15 비트코인 비트코인 진행상황어제의 고점 이후, 숏 포지션을 진입했고,
1대1 지점에 포지션 체인지.
기대사항.
1. 추가 하락이 있을 수도 있기에 진입후 12%(20배 레버리지) 수익지점에서 부분익절.
더 오르고 있어서...배가 아픔....
2. 터미널 형태로 추가 하락 가능성도 있기에 B라고 표시 되기 전 618~886 마디가 사이에서 추가 익절 할 예정.
3. 이후 B지점을 돌파한다면 전체 하락분의 707~886 라인에서 추가 익절 할 예정(수렴 가능성)
4. 추후 고점 돌파여부를 체크 할 예정이며, 수렴이 나온다면 끝 지점에서 불타기 할 예정.
5. 그대로 하락한다면, 이미 수익을 실현했기에 포지션 수익으로 마무리!
비트코인 눌림자리를 확실하게 주고 있다어제 단기 과열로 일시적인 하락이 나올 수 있다고 말씀드리고 118,800까지 하락이 나오면서
코인스쿨에서는 122,400에 잡은 숏 포지션은 전량 종료 하였습니다.
이후에는 거래량이 빠진 상태에서 하락 다이버전스 컴펌
현재는 전형적인 “고점 찍고 되돌림 중” 흐름으로 진입한 상황.
단기적으로 위로 볼 구간들은 119.8k - 120.3k / 121.3k - 121.8k 정도를 중요하게 체크
CME 갭
➡️118,140 ~ 118,675
➡️114,060 ~ 115,635
➡️ 91,415 ~ 92,525
단기저항 119.8K - 120.3K
/ 121.3K - 121.8K
/ 122.2K - 122.7K - > 신고가 돌파가능성 높음
단기지지 118.2K - 118.8K
메인지지 117.1K - 117.6K
이더리움 분석 3100달러 돌파 가능성 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관점 변동은 없습니다.
지속적으로 강조했던 지지 핵심 구간 2860 - 2900
→ 이 구간을 지켜주는 한 3100달러 위로 한 번 더 푸쉬 가능 합니다.
현재 흐름도 매우 유사한 흐름에서 진행 중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현재 차트는 하락 채널(흑색) 상단 돌파 시도 중이고,
3000~3006 레벨에서 수렴 후 방향 결정 대기 상태입니다.
하단에는 여전히 2860 - 2900 지지 박스 + 과거 매집구간,
상단은 3083 - 3100 돌파가 핵심 관건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2930 지켜주면 3100 돌파 스텐스는 유지하겠으나
무너지면 2800에서 눌림 롱 타점으로 잡을만한 자리 입니다.
반등 나올 확률 높은 구간은 해당구간 자리오면 롱 포지션을 신규로 오픈할 예정
300.17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MCD 1D 차트)
기본 거래 전략을 따지기 전에 먼저 확인해야 하는 것은 현재 가격이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위에 있는지 아래에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에 가격이 위치해 있다면, 중장기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가능하면,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 가격이 위치해 있는 종목을 거래하는 것이 좋습니다.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에 가격이 위치해 있다면, 단타 거래(day trading) 방식으로 짧고 빠르게 대응해야 합니다.
-
지지와 저항 구간은 287.46-290.14 구간과 307.41-314.89 구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
287.46-290.14 구간은 DOM(-60) ~ HA-Low 구간이고, 307.41-314.89 구간은 HA-High ~ DOM(60) 구간에 해당됩니다.
이 두개의 구간을 어떻게 돌파하느냐에 따라 추세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300.17-316.56 구간은 1W 차트의 HA-High ~ DOM(60) 구간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최대 300.17-316.56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307.41-314.89 구간 부근에서 하락하게 된다면, 300.17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HA-High ~ DOM(60) 구간 이상 상승하게 되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고, DOM(-60) ~ HA-Low 구간에서 하락하게 되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