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8월 9일 비트코인 분석안녕하세요. 다들 잘 지내고 계셨나요.
25년 1월 16일 롱포지션(1월 22일 숏, 2월 3일 롱, 2월 17일 숏 퍼블리시 위반 삭제됨)
25년 2월 26일 롱포지션
25년 3월 3일 숏포지션
25년 4월 11일 롱포지션
이후 25년 8월 9일인 금번 아이디어 퍼블리싱이 올해 8번째, 위반처리 되지 않고 남아있는 아이디어로는 올해 5번째 아이디어 퍼블리싱이네요.
25년 4월 11일 롱포지션 아이디어에서 7월 16일 추가 코멘트 한 이후 비트코인은 점진적으로 우하향하고 있습니다. 당시 일봉상 고점을 높이는 것이 더 예쁜 그림이었으나, 일봉 캔들이나 더 높은 타임프레임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바로 하락 가능하게 하방압력이 강하다고 보았습니다.
이후 최근까지 비트코인이 조정을 줄 때 이더리움과 일부 알트코인의 강세가 이어져왔지만, 저는 여전히 비트코인의 하방을 유력하게 보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이 하락하게 된다면 월봉상 21년 4월과 21년 11월과의 모습처럼 25년 1월과 현재 고점간의 관계가 형성되어 하락할 수 있어보이죠.
그렇기 때문에 지금 자리에서 '곧바로' 강하게 상승하지 못한다면, 며칠 내 급락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을 공유하고자 숏포지션 아이디어를 작성 중에 있습니다.
1) 일봉 5이평과 20이평 역배열
현재 비트코인 일봉 차트입니다.
지난 7월 16일에 언급한 위꼬리 달린 캔들 이후 점진적으로 우하향하다가, 현재 일봉상 5이평이 20이평 아래 역배열에 들어서있습니다. 8월 3일에서 반등한 이후 일봉 5이평이 우상향하고 있으나, 아래 추가설명할 근거들로 보았을 때 이 자리에서 추가하락하게 된다면 5이평이 20이평에 저항맞고 떨어지는 매우 강한 하락신호가 됩니다. 상승추세선 또한 강하게 하향돌파될 것이고요.
2) 월봉 RSI 일반 하락다이버전스
위 차트는 비트코인 월봉 차트입니다. 지난 7월 16일 코멘트에도 올렸듯, 7월을 지나 8월도 월봉상 RSI 일반 하락다이버전스가 적용 중입니다. 8월 중 하락하게 된다면, RSI는 급격히 떨어지게 될 것이고, 캔들은 음봉으로 전환되며 하락이 매우 유리한 모습으로 변할 여지가 큽니다. 스토캐스틱 533, 1066, 201212 또한 하방압력이 존재하고요.
8월 9일인 현재 8월의 1/3가량이 지났는데 8월 봉의 변동성성은 매우 줄어들었습니다. 한달동안 5%의 변동성도 주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횡보할 수도 있지만, 하방으로 발산하기 시작한다면 장대 음봉 또한 나올 수 있어보입니다.
3) 주봉 캔들과 5이평의 우하향 가능성
위 차트는 비트코인 주봉 차트입니다.
7월 14일 주차 주봉 캔들이 위꼬리 달린 음봉 캔들입니다. 이후 양봉 캔들이 작게 나왔지만, 7월 28일 주차 주봉 캔들에서 비교적 큰 장대 음봉이 나왔고요. 현재 8월 4주차 주봉 캔들이 양봉이나, 아래 4)에서 언급할 4시간 봉 수평매물대 저항을 받음과 동시에 주봉 5이평의 저항 또한 받고 있습니다. 이 자리에서 연쇄적으로 하락을 시작한다면, 차트 우측에 그린 '8월 9일 이후 하락한다면'이라는 곳에 그려 넣은 캔들처럼 음봉 캔들이 출현하여 5이평이 우하향하고, 그 아래 음봉 캔들이 연속해서 나오는 그림이 나올 수 있습니다.
또한 스토캐스틱 533은 이미 데드크로스(고점을 낮추는 쌍봉) 후 하락 중이고, 1066 또한 데드크로스가 되어있지만 과매수 근처에 머무는 중, 201212는 K선이 과매수에 머물고 있으나 데드크로스가 임박한 상태로 보입니다.
4) 4시간 봉이 수평매물대 저항 받고 있음.
위 차트는 비트코인 4시간봉 차트입니다. 고점에서 급락 후, 횡보하다가 다시 하락한 것이 확인될 거에요. 이 '횡보'하던 구간은 빨간색 수평매물대의 저항과 일치합니다.
속단하긴 이르지만, 이미 고점과 저점을 높이는 상승추세에서 고점과 저점을 낮추는 하락추세로의 전환이 이루어졌을 수도 있습니다.
위의 4개의 타임프레임, 1)~4)의 분석을 통해 상승보다는 하락이 유리하다고 보이는 상태입니다.
제가 보았을 때는 한눈 팔거나, 자고 일어나면 언제라도 급락할 것 같은 모습이에요. 일봉의 5이평과 20이평이 하락 전 전조증상 같거든요. 항상 큰 변동성이 일어날만한 자리는 조심하는 게 좋습니다. 저는 '소나기는 피해가자'는 주의니까요.
1) 그래서 롱포지션이나 현물은 당장 위험관리가 필요하고,
2) 숏포지션의 경우 일봉 5이평이 우하향으로 바뀌고, 5이평 아래 음봉캔들이, 그리고 상승추세선이 하향돌파된 것이 확인되면 를 하기에 좋아 보입니다.
당장 제 분석이 잘못되어서 상승한다고 하더라도, 이건 하락이 유예된 것이지 130k, 140k등을 목표로 하는 계속적 상승은 아니라고 생각하기에 위의 1), 2)의 조건은 유효하게 가져갈 생각입니다.
장기적으로는 위 차트와 같이, 비트코인 5차 반감기 전에
1) 노란색의 횡보조정이나
2) 파란색의 가격조정을 마치고
세력은 다시 저점에서 매집한 후 올리지 않을까 싶네요. 기관이 많이 샀다고 하지만, 이렇게 비싼 가격에 계속 살 수 있을까? 의문이 들어서 현재 시장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차익실현 없는 계속적 상승은 어렵다고 보고 있고요.
하락하게 되면 이로 인해 스트래트지(구. 마이크로스트래트지) 부채 압박이나, 트럼프의 코인 정책 방향의 전환 등 여러가지의 이유가 생기지 않을까 싶네요.
더위가 한풀 꺾이고 있습니다. 더위나 폭우로 고생하신 분들 없으셨으면 하고, 다들 8월도 성투하셨으면 합니다. 즐거운 주말 되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Wavetheory
<엘리어트 파동 이론> - 파동 각도와 파동의 연속성양심없지만 이전에 그린 그림을 또 불러오겠습니다.
오늘은 파동 각도와 파동의 연속성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파동 각도라고 하면 개별 파동이 치솟는지, 옆으로 기어가는지를
나타내는 말 같이 들리지만... 전혀 아닙니다!!
사실 이 개념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단어가 안떠오르네요.
러시아의 마뜨료쉬까 인형을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인형을 열면 똑같이 생겼지만 더 작은 인형이 안에 있고,
그 인형을 열면 또 똑같이 생긴게 안에... 이렇게 계속 반복되는 인형이요.
가장 왼쪽 그림의 검은색 파동이 빨간색 파동의 1파의 세부파동입니다.
그리진 않았지만 아마 2, 3, 4, 5파동도 세부 파동이 있겠죠.
중간 그림에서 빨간색 파동은 녹색 파동의 세부 파동이 됩니다.
잘 보시면 검은색 파동도 보이시죠?
오른쪽 그림에서 파란색 파동은 가장 큰 파동입니다.
녹색 파동은 파란색 파동의 세부 파동이고요.
이렇게 마뜨료쉬까 인형처럼 파동 안에 파동이 있는 모습을
<파동 각도>라고 합니다.
여기서 개념을 조금 더 확장해서 <파동의 연속성>까지 다뤄보겠습니다.
파동의 연속성은 2가지 측면이 있습니다.
먼저 파동 각도 측면에서 보면,
하나의 파동은 1차 세부 파동으로 쪼갤 수 있고,
다시 1차 세부 파동은 2차 세부 파동으로....
이렇게 쭉쭉 252,623차 세부파동까지 쭉 이어집니다.
반대로 하나의 파동은 1차 상위 파동의 세부 파동인거고,
그 1차 상위 파동은 2차 상위파동의 세부파동이고...
이렇게 계속 연속적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파동의 종류 측면에서 보겠습니다.
결국 모든 차트는 추세가 폭발하고 - 이어서 조정이 나오고
다시 추세가 폭발하는 과정의 반복입니다.
즉, 충격파동-조정파동-충격-조정-충-조-충조 의 연속이죠.
오늘은 그림보다 글자가 많아서 죄송합니다.
요약하면
1. 파동 각도 : 마뜨료쉬까 인형
2. 파동의 연속성 : 상위-세부파동 / 충격-조정파동이 무한히 계속~
퀴즈 나갑니다.
1차 파동의 총 파동수가 8개 (임펄스 5 / 조정 3) 일 때,
그 세부파동의 총 파동수는 34개이다.
O, X 퀴즈입니다 ㅋㅋ
※ 참고 : 파동 각도라는 단어는 실제로 Wave Degree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