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L 수렴 상방 돌파시 생각가능한 시나리오(하모닉)
이전에 언급했던 솔라나가 수렴중에 추후 상방 돌파를 하게 된다면
하모닉 나비 패턴 을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아서 보고드립니다.
현재 삼각형 내부에서 이전파동의 0.705에서 지지 저항 을 받는 모습을 보여줬는데,
이 반등 자리는 하모닉 패턴 중 나비 패턴의 모습을 보여주기에 좋은 비율을 갖고
있습니다.
또한 만약 나비패턴이 만들어진다면,
최근의 고점부근에 저항이 나오는 것과 연관지어 볼 때
나비패턴의 저항 부근과 가까운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삼각수렴에서 상승 돌파를 하게 된다면 나비패턴에
대한 기대를 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나비 패턴이 만들어지기 위해선 삼각형에서 상승 돌파 를
우선적으로 하여야 하며 151부근 의 거래량이 몰린 구간과
154부근 전 고점을 뚫어야 하는 등 아직 갈 길이 멉니다.
웨이브 어낼리시스
리플을 들어가 볼까? 조정 끝나지 않았나요?안녕하세요 ~ 여러분 반갑습니다
날씨가 무척 더운데 시원하게 비라도 내렸으면
좋을거같은 날씨입니다
리플 조정이 끝날때까지 그냥 무관심하게 덤덤히 있다가
스톱퍼 역활의 엔딩다이아고날도 나온거같은데?(335)
생각이 들어서
차트에 채널과 패턴을 하나하나 확인해 봣습니다
현재 큰추세 1상승파동을 마치고 2조정파까지 마친것으로
보고있으며 단위는 월단위입니다
이하 세부파동 카운팅은 주 단위 일(하루) 단위 입니다
차트는 하루단위 이구요
엘리어트파동이론 책에 보면 3파연장의 조정 마무리 지점은
동그라미3파의 매물대하단지점입니다
4월5일정도 약간이탈하며 동그라미Y에서 지지를 받았습니다
이후 세부파동 535로 이루어진 3개의 각 ABC로 위로한번
아래로한번 상하단을 테스트 해주고
노란상단 추세선 돌파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하루를 6번나누어서 24시간중 4시간캔들 몇개로는 돌파를
한 상태입니다
이후 피보나치 0.705지점 까지 아니면 0.886까지
상단체스트후 다시 하단테스트 그리고
세부파동 조정 이후 직전 생성한 고점을 넘으면서
올라주지않을까 보고있습니다
아직 4시간캔들로는 돌파했지만
일봉으로는 캔들마감이 되지않은상태로
본인 역량으로 판단하는 시점 같습니다
이중삼중으로 안전장치
예를들어
손절라인 2%
상승추세선 이탈시 손절한다거나
비중조절
등으로 안전장치가 있다면
진입해볼만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는 선물은 100만원 이하면
30배 이하로 하는데
그때 그때 다른건
손절범위가 2%라면 4%손절로 넉넉히 잡고
4%면 25배에서 청산되므로
그 이상은 하지않는 스타일 입니다
저는 이렇게 보고있지만
고수분들이 많으므로
그냥 하나의 틀릴수있는 의견으로 참고하시면 좋을거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녹색박스는 도달지점
빨간박스는 첫번째 녹색박스 하늘색채널상단에 도달한다면
지지받을만한 구간입니다
(하지만 유동적이며, 개인적 편의상 미리 표기한 것이므로
확정된것은 아닙니다, 단지 예상일뿐)
뭉구챗GPT// Version & indicator 정의
//@version=5
indicator("Auto RSI Divergence + Trendlines + S/R", overlay=true)
// 1. RSI & 움직평균 계산
rsi = ta.rsi(close, 14)
ema_rsi = ta.ema(rsi, 9)
wma_rsi = ta.wma(rsi, 45)
plot(rsi, "RSI", color.orange, false)
plot(ema_rsi, "EMA on RSI", color.blue, false)
plot(wma_rsi, "WMA on RSI", color.purple, false)
// 2. 다이버전스 정의 함수
isBullDiv = ta.lowest(rsi, 5) > rsi and ta.lowest(low, 5) < low
isBearDiv = ta.highest(rsi, 5) < rsi and ta.highest(high, 5) > high
if isBullDiv
label.new(bar_index, low, "Bull Div", color.green)
if isBearDiv
label.new(bar_index, high, "Bear Div", color.red)
// 3. 피봇 기반 추세선 & S/R 구현 (간략화)
pivoth = ta.pivothigh(rsi, 5, 5)
pivotl = ta.pivotlow(rsi, 5, 5)
if pivoth
line.new(bar_index , rsi , bar_index, rsi, color.red)
if pivotl
line.new(bar_index , rsi , bar_index, rsi, color.green)
// 4. 가격 피봇 S/R
ph = ta.pivothigh(high, 5,5)
pl = ta.pivotlow(low, 5,5)
if ph
line.new(bar_index , high , bar_index, high , extend=extend.right, color=color.red)
if pl
line.new(bar_index , low , bar_index, low , extend=extend.right, color=color.green)
// 5. 진입 시그널 logic
longCondition = isBullDiv and low > line.get_price(…)
shortCondition = isBearDiv and high < line.get_price(…)
if longCondition
label.new(bar_index, low, "Buy", style=label.style_labelup, color=color.green)
if shortCondition
label.new(bar_index, high, "Sell", style=label.style_labeldown, color=color.red)
alertcondition(longCondition, "
[서버린] 2025년 7월 6일 비트코인 상승 관점 공유우리는 SeoVereign 트레이딩 팀입니다.
예리한 통찰력과 정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비트코인 및 주요 자산에 대한 트레이딩 아이디어를 정기적으로 공유합니다.
구조(Structure), 심리(Sentiment), 모멘텀(Momentum)을 중심으로 시장을 분석합니다.
🔔 팔로우하시면 관점이 업로드될 때마다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부스트와 긍적적인 코멘트는 서버린 팀에 큰 동기와 원동력을 줍니다.
--------------------------------------------------------------------------------------------------------
안녕하세요.
서버린입니다.
2025년 7월 6일 기준으로 비트코인에 대해 상승 관점을 제시합니다.
롱 포지션에 대한 관점은 오랜만입니다.
그동안 서버린 아이디어를 꾸준히 지켜봐 오신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지금까지는 대부분 숏 포지션 중심의 타점을 제시해 왔습니다. 시장의 흐름을 면밀하게 추적해오며 하락세 속에서 기회를 포착해 왔던 것이죠.
그러나 최근 시장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종합적으로 분석해본 결과, 하방 압력보다는 점차 상승 압력이 강해지고 있다는 판단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기술적 지표와 파동 구조를 살펴본 끝에, 현재 구간에서는 매수, 즉 롱 포지션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이번 아이디어의 1차 목표가는 평균적으로 109,500 부근으로 설정했습니다. 이는 현재 진행 중인 파동상의 구조와 이전 주요 지지·저항 구간, 그리고 모멘텀의 흐름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도출한 수치입니다. 물론 이 목표가는 시장의 전개 양상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으며, 필요 시 그 근거 또한 명확하게 재정리해 나갈 예정입니다.
늘 그랬듯이 이 아이디어는 지속적으로 추적하면서, 실시간으로 변하는 흐름과 구조를 바탕으로 논리를 다듬으며 롱베팅에 대한 근거를 구체화하겠습니다.
늘 행운이 함께 하시길.
서버린 드림
BTC 횡보 이후 어떻게 반응할까?(하모닉)
비트코인은 107.3K~107.4K 가 매우 중요한 자리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딥 가틀리 하모닉 패턴을 만들기 위한 자리로 107.3K를 강하게
뚫어주는지가 중요합니다.
이부분은 전에 만들었던 매물대의 거래량이 몰리는 지점과도 동일합니다.
따라서 이 지점에서 만약에 하락을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105K부근의 가격까지 떨어질 수 있고 전에 언급드렸던,
105.6K에서 반등을 노려보는 것이 나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상단의 109.5~6K 에 형성된 매물대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도 주의깊게 봐야할 것 같습니다.
현재까지는 107.3~107.4K에서 지지저항이 나오고 있으니
추후 이러한 지지선이나 저항선에 문제가 생기면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팔로우와 부스트 및 댓글은 글을 쓰는데 힘이 됩니다.ㅎㅎ
DOGE 유의미한 추세 선 출현
현재 도지코인에서 유의미한 추세선이 발생했습니다,
최근 최저점이었던 0.1427 을 시작으로
약 4번정도의 지지를 보여주는 추세선이 나왔습니다.
현재 지금 매수를 고려해보는 것이 나쁘지 않을 수 있는 점이
최근에 만들어진 매집 형태의 매물대의 거래량이 모여있는 구간에서
크게 멀지 않은 지점에 매수 자리가 나왔기 때문에 손절 가격이
가까움으로 나쁘지 않은 손익비를 가져갈수 있습니다.
거래량이 모여있는 구간은 0.163 부근이고 이 부근은
이전 파동의 피보나치 0.705 부근이기도 입니다.
또한 4시간 캔들 패턴 또한 강하게 지지를 받는
망치형 캔들 이 만들어지고 있음으로 매수를 고려하는 것이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BTC 아직도 상승을 보기에는 조금 신중해야한다. (하모닉 패턴)
현재 비트코인은 하모닉 패턴 중 박쥐 패턴 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노란색 표시)
또한 상단의 위치한 매물대 및 전 고점 이 조금 생각해 볼만한 점들이 있어서 글을 씁니다.
전에 만들어진 상단의 매물대 자체는 시간을 오래 끌지 않았음에도 거래량이 조금 쌓여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장에서 현재 저 정도의 가격대에 저항이 있는 것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만들어져 있는 고점을 확인해봤을 때 저 고점은 전에 만들어진 고점과도 가격이 매우 가까운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시장에서 저항을 받는 가격대의 근처에 있다고 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1시간 봉에서 RSI 과매도가 해소 되는 모습도 보여주었고, RSI 다이버전스 의 모습 또한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현재 상승을 바라보기에는 아직도 조금 길이 멀어 보입니다. 하지만 시장은 항상 예측 불가하고 움직임에 맞춰서 대응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기에 상승의 가능성 또한 열어두었으면 합니다.
SOL 수렴의 움직임 중요한 가격은 어디일까?
상방에 추세선 을 만들고 아 래라인에 수평에 가까운 추세선 을 만들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아래쪽 추세선에서 상승을 하거나 돌파를 하는 것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거래량 자체의 측면에 대해서는 현재 상방에 많이 쏠려 있어 하방을 보는 것이 안전할 수 있으나 현재 아래쪽 추세선이 몇번 지지 받았다는 점과 아래쪽에 전에 만들어진 매물대를 고려해 본다면 아직 어떠한 판단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항상 이러한 패턴을 보이는 움직임은 추세선을 뚫고 나가는 것이 꽤나 중요한 움직임 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에 대한 계속적인 관찰이 필요해 보입니다.
현재 만들어진 추세선 을 잘 확인하면서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BTC 지금 거래를 고민해본다면 좀 만 기다렸다가 해보자..
BTC 한시간봉 입니다.
현재 저항을 받고 내려온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비트코인 입니다. 짧게 먹는다면 조금씩 수익을 내셨을 것이고, 아직 더 하방을 바라보고 계신다면 지금의 자리가 포지션 정리와 불타기의 기점 에 있지 않나싶습니다.
먼저 예전부터 만들어온 추세선을 상방이탈하며 잠깐 나갔다왔지만 다시 돌아 들어오고 살짝의 저항을 받는 듯한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하지만 아직 확신하기에는 조금 이른 상황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일단 다시 추세선 안으로 들어왔고 아직 한번밖에 이탈하지 않았으니 이 추세선은 아직 고려해야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또 고려해 볼 추세선은 최근에 만들어진 저점을 높이는 추세선입니다. 3점이상이 만나 조금의 신뢰성이 생기는 추세선입니다. 또한 지지 저항을 받은 구간의 전의 만들어진 매물대의 거래량이 많은 부분이기도 하고 또한 전에 상승을 보여줄때 살짝 지지를 보여주고 올라간 자리이기도 합니다. 대충 숏 포지션의 익절을 생각하신분들은 여기서 조금의 분할 익절을 하였을 것으로 판단되는 데 아무래도 저 또한 전량 익절은 아쉽다고 생각하여 조금 보유하고 있는 중입니다.
물론 지 금은 아직 확실한 방향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 현재 추세선들을 사이로 둘러 싸여있는 형태인데 이 추세선을 깨버린다면 조금더 보수적 혹은 공격적인 포지션을 들어 갈 수 있을꺼라 생각하기에 현재의 추세선들을 공유 하고자 이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팔로우와 좋아요 및 댓글은 글을 쓰는데 힘이됩니다.ㅎㅎ
[서버린] 2025년 6월 30일 비트코인 하락 관점 공유우리는 SeoVereign 트레이딩 팀입니다.
예리한 통찰력과 정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비트코인 및 주요 자산에 대한 트레이딩 아이디어를 정기적으로 공유합니다.
구조(Structure), 심리(Sentiment), 모멘텀(Momentum)을 중심으로 시장을 분석합니다.
🔔 팔로우하시면 관점이 업로드될 때마다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부스트와 긍적적인 코멘트는 서버린 팀에 큰 동기와 원동력을 줍니다.
--------------------------------------------------------------------------------------------------------
안녕하세요.
서버린입니다.
2025년 6월 30일 기준으로 비트코인에 대해 하락 관점을 제시합니다.
2025년 6월 27일에 작성한 이더리움 아이디어를 참고하시면, 당시에도 하락 관점을 제시했던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 관점의 근거는 여전히 유효하며, 현재는 해당 포지션의 익절 지점 도달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 당시 이더리움을 선택한 이유는, 비트코인보다 이더리움에 더 강한 하방 압력이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오늘 기준으로 비트코인 차트의 엘리엇 파동 카운팅을 통해 볼 때, 비트코인 역시 단기적으로 어느 정도 하방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비트코인에 대한 숏 포지션 아이디어도 추가적으로 제시합니다.
첫 번째 익절 타겟은 약 $106,056 부근으로 설정했습니다.
향후 가격 움직임에 따라 익절 타겟은 더 좁혀지거나 넓어질 수 있습니다.
이 아이디어는 계속 추적할 예정이며, 전개되는 흐름에 따라 근거를 재정리하면서 논리를 보다 명확하게 업데이트해 나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BTC 저항을 예상한 구간에서의 애매한 무빙 어떻게 대응해야할
현재 BTCUSD 4시간 봉입니다. 전에 저항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의 가격대에서 확실한 저항을 보여주진 않았지만 강한 힘의 방향은 조금 사그라드는 모습을 현재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매물대를 만들어가고 난 이후의 움직임은 어떻게 될지 모르기에 조금 단기적인 힘의 방향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먼저 가장 최근의 저항을 살짝 받은 이후 올라가는 무빙 자체는 본래의 큰 추세의 1.13을 넘기지 못하며, 거짓 돌파의 모습을 보여주는 형태를 보여줬습니다.
이것은 매물대들을 표현 한것인데, 현재 전, 현 매물대의 POC값을 계속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 매물대의 LVP값을 넘기지는 못하였고, 피보나치 값과 같이 생각해봤을 때 완전한 돌파를 보여주지는 못하는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실전 매매에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실전에서 활용하기에는 전, 현 매물대의 POC값에서 지지 저항, 돌파의 모습을 보고 방향성을 정하는 것이 안전한 전략이 될것으로 보이며, 상승에 관한 시나리오를 생각하신다면, 전 매물대의 LVP 돌파나 피보나치 1.13을 넘기는 모습을 확인한다면 더 좋은 상승의 신호로 볼수 있을겁니다. 하락에 관한 시나리오를 생각하신다면 현재 지지 저항으로 예상되는 POC 값을 잘 넘기는 게 중요해 보입니다.
7/3 데이트레이딩 셋업7/2일의 상승은 1:0.886 지그재그로 종료된 것으로 보이고
현재 세부 파동 상으로 작은 플랫 ab를 두 번 만들고 c파가 나오는 중인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a:c 비율이 1:1 미만일 경우에는, 모두 되돌리기 때문에
107.9~106.6k 사이에서 한 파동이 마무리 되고 하락분의 0.382~0.5정도를 되돌리는
복합 조정의 형태로 하락이 이어지지 않을까 싶고
지금의 조정 파동이 짧게 마무리되고 다시 올라가서 내려오는 경우도 가능하겠지만
1주일 간 횡보하고 올린 것 치고는 강한 추세를 보여주지는 못해서
102k 중반대에 있는 유동성 구간을 한번 찍으러 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시장의 마지막 경고 신호: 리딩 다이고날 패턴과 94,000달러 목표가안녕하세요. 지난번 98,000달러 하락 분석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이후, 오늘은 시장의 새로운 움직임에 대한 저의 관점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현재 저는 조만간 비트코인 가격이 약 94,000달러가 될 가능성 을 매우 높게 보고 있습니다. 이번 분석 역시 구체적인 기술적 분석 근거들을 바탕으로 한 시나리오입니다.
제가 하락을 전망하는 주요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하락형 리딩 다이고날(Leading Diagonal) 패턴 내 5파의 시작
현재 파동은 전형적인 하락형 리딩 다이고날 패턴 의 형태를 그리며 내려가고 있습니다. 제가 5파가 시작되었다고 판단하는 이유는, 파동의 추세 방향이 명확하게 전환 되었기 때문입니다. 즉, 단기적인 반등을 보였던 지난 4파의 상승 추세가 끝나고, 그와는 반대되는 새로운 하락 추세의 하위 파동이 나타나기 시작 한 것입니다. 이러한 추세의 전환은 4파의 조정이 마무리되고 5파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가장 기본적인 신호입니다.
### 2. 패턴 내부 4파 조정의 성격과 약한 반등의 의미
패턴 내부의 4파는 2파보다 더 긴 기간 동안 조정을 거치며 시간적인 조정 목표를 채웠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격 반등이 상단 추세선에 근접했지만 이를 돌파하지는 못했는데 , 이는 시장을 누르는 매도 압력이 매우 강하다 는 것을 의미합니다. 충분한 기간 조정을 거쳤음에도 추세를 바꾸는 강한 상승이 나오지 못했다는 것은, 시장의 주도권이 명백히 매도측에 있음을 보여주는 강력한 증거입니다.
### 왜 목표가는 94,000달러인가?
제가 94,000달러를 이번 하락의 주요 목표가로 설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이 여러 기술적 근거들이 모두 한 지점을 가리키고 있기 때문입니다.
1. **주요 지지 구간의 중첩:** 차트의 노란색 박스로 표시된 구간 은 과거 여러 차례 지지를 받았다는 명확한 근거를 보여줍니다.
* 첫째는 최고점들을 이은 상단 추세선과 평행하며, 과거 여러 차례 지지를 받았던 하단 추세선 입니다.
* 둘째는 과거부터 가격을 방어했던 중요 수평 지지선(94,000 하늘색 선) 입니다.
2. **5파의 추가 하락 가능성:** 다이고날 패턴에서 1파와 3파가 비슷한 규모로 형성될 경우, 마지막 5파는 대개 하단 추세선을 일시적으로 이탈하여 더 깊게 하락하는 경향 이 있습니다. 이러한 파동의 특성을 고려할 때, 여러 지지 근거가 중첩된 94,000달러는 매우 합리적인 목표 지점입니다.
**결론적으로,** 현재 비트코인은 하락형 리딩 다이고날 패턴을 완성하는 마지막 5파가 시작 되었으며, 패턴 내부의 약한 반등은 강한 매도 압력을 증명 하고 있습니다. 또한, 파동 이론과 여러 지지선이 중첩되는 지점을 고려할 때 94,000달러는 매우 신뢰도 높은 목표 지점 으로 판단됩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저는 94,000달러까지의 하락을 예상합니다.
이 글을 흥미롭게 읽으셨다면, 이 글의 저의 댓글도 한번 확인 부탁드립니다.
---
**※ 투자 유의사항:** 모든 투자의 최종 결정과 그에 따른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글은 개인적인 분석에 기반한 의견이며, 참고 용도로만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글은 제가 작성하고 인공지능이 다듬었습니다.
비트코인은 100k 아래로,,,비티씨가 지루한 조정을 이어가고 있음
111.9k -> 100.3k 빠지는 앞 전 파동의 마지막 부분이
저기 어떻게 봐도 5파로 안 보임
조정이 끝났다고 생각하지 않는 이유
이제 어느정도 카운팅도 끝났음
최소 마지막 임펄스가 하나 나오는 것 & 100k 저갱하는 것으로
이 조정은 종결의 필요조건을 갖추게 됨
아래는 숏을 어디서 내릴지에 대한 개인적인 고민,,,
1. 97.6k
하모닉 나비패턴 PRZ와
75k-111.9k 상승의 0.382되돌림의 중첩
2. 92-93k
찍찍 그은 피보확장과
75k 상승분의 0.5되돌림의 중첩
아 그리고 CME 갭이 92k에 있음
비트코인 중기 하락 관점전형적인 고점 도달 이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비트코인은
현재 마지막 반등인 터미널의 4파가 진행중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시간적으로 5파는 가장 길어야 하기 때문에
약 두 달 정도는 지겨운 횡보-하락이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보통 5파 연장 파동의 경우에는
외부 확장 값에 그 종점이 수렴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1-3파의 2 확장인 87k
1-3파의 2.618 확장(최대값)인 80.8k 가 후보이고
고점에서부터 abc플랫의 c파가 터미널이기 때문에
a:c비율이 해당 가격대에 있다면 2.618 확장인 82.9k가 있습니다.
매물대와 오더블럭, 전체 파동의 되돌림 비율이
좁은 구간에 촘촘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일단 87k까지는 오름숏으로 대응하면 될 것 같고
현재 106k초반대까지 올라온 4파는
이미 4파의 최소 조건을 충족했기 때문에
떨어질 수도, 더 올라가서 떨어질 수도 있지만
1) 어떤 피보나치 레벨과도 맞아 떨어지지 않는 점
2) 98k 부터의 반등의 첫 파동이 플랫-x-지그재그(성립되지 않음)로 보이는 점을 근거로
106k대에서 내려간다면
102k대까지 하락한 후에 이중 플랫을 만들면서
108k 초반까지 상승할 가능성을 보고 있습니다.
올라간다면
106.5k라거나 107.6k, 108.2k같은
여러 피보나치 레벨이 중첩되는 구간에 닿고 내려오는 모습을
확인하고 매매하는게 좋아 보입니다.
더 작은 프레임에서도 비슷한 구조가 있기 때문에
108.9k를 상향 돌파한다면
이전의 112k에서 이어지는 삼중지그재그, 혹은 이중지그재그-삼각형(유력)의
형태로 120k~133k까지의 추가 상승이 있을 수 있습니다만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습니다.
저만 빼고 다들 잘 하시는 것 같지만, 성투하십쇼.
XRP 이건 터치를 했다고 할 수 있나..?
리플 일봉 차트입니다. 현재 리플은 삼각수렴을 하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정말 큰 방향으로 움직임이 나올 것으로 예상이 갑니다.
하지만 이 모습 언제 한번 본 그림 같은 기분이..
이 당시에는 하락을 보여줬었는데 이번에는 어떤 방향으로 갈지 잘 모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삼각수렴을 할때 5점에 다 마주치는 경우는 흔하지 않습니다. 저도 이번 삼각 수렴이 이미 위를 향한 추세가 한번 꺾였다고 생각이 되기도 하고 전 매물대의 POC 값을 아쉽게 터치하지 못한 것도 하방 압력이 이미 시작 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일단은 어떤 손절가를 정하거나 이익 실현을 진행할 때 현재의 큰 추세선을 꼭 확인 하면서 거래를 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아 조금 글을 남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