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단기 지지 저항구간은?#2023년1월31일
#비트코인
결정적인 한방이 부족합니다.
언제든 강력한 매수세가 유입된다면 고점을 높일 수 있겠으나 개인적으로는 조정 내지 눌림의 가능성을 조금 더 높게 보고 있습니다.
사족을 붙이면 고점을 올리는 기울기가 점차 낮아지고 있고 수렴하고 있습니다.
곧 방향성이 나올텐데 크게(10%내외) 움직일 가능성도 보입니다.
노란색 화살표 낙서는 낙서일 뿐입니다.
볼륨 분석에 근거했을 때 지지 저항구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저항구간
24881 - 24681
23718 - 23568
#지지구간
21000 - 20600
18936 - 18736
각각의 지지/저항 구간은 2회 터치까지만 유효하므로 여러번 진입하면 안 됩니다.
또한 지지구간에서 현물을 진입할 경우 급하게 매매할 필요가 없고 느긋하게 해도 좋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볼륨
주목해야할 앱토스#2023년1월29일
#앱토스
앱토스는 이번 반등장 진행에 있어서 주목해야 할 코인으로 판단합니다.
많이 위험하지만 살펴볼 필요는 있습니다. 생각하기에 따라 비트코인과도 연관 지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앱토스의 물량 상당 부분은 초기 기관 투자자가 통제하고 있습니다.
바꿔 말하면, 이는 현금만 있다면 앱토스라는 종목의 수요와 공급을 깔끔하게 통제할 수 있다는 의미이며
운전기사가 마음먹은대로 운전이 가능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다만 현재까지 차트의 흐름 상으로는 상승 여력이 줄어들고 있다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하락할 시 아래의 지지구간에서 한번 이상 제동이 걸릴 것으로 판단합니다.
지지구간
11 ~ 9.5 달러
5.7 ~ 5.2 달러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비트코인(원화 기준), 코스피, 원달러 환율, 부동산#비트코인(원화 기준)
#코스피
#원달러 환율
#부동산
#2023년1월24일
좌측은 업비트 거래소 비트코인 차트입니다.
우측은 코스피입니다.
#비트코인 (원화 기준)
원화가치 하락,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의 몰락, 자본 이탈 등을 고려했을 때
원화가격 기준 비트코인 가격이 중장기적으로 바닥을 찍은 것으로 판단합니다.
중기적으로 반등이 진행된다면 목표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3350만원
4080만원
4940만원
5760만원
8270만원(희망회로)
#코스피
코스피같은 경우
더더욱 파국으로 치닫는 움직임이 나올 것으로 판단합니다.
차트 상, 직전 고점을 돌파하지 않는 모습이 나오는게 더 낫습니다.
또한 저점이 어디인지 알 수 없고 2000이하로 내려갈 가능성을 아주 높게 보고 있습니다.
#원달러 환율
원달러 환율의 경우 1800원까지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디까지인지는 모르겠으나 방향은 상방입니다.
원달러 환율은 아래의 차트 또는 연관아이디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부동산
곧 거래량이 터지면서 폭락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대응
대응이 꼭 필요한 시점입니다. 현명하게 대처하시길..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비트코인. 눌리면 어디에서 매수? #2023년1월21일
#비트코인
눌림 및 조정이 있을 것으로 예상
현물 매수 진입이 가능한 지지구간은 아래와 같음
1차: 21.2 - 21k
2차: 20.85 - 20.65k
스탑: 20k
이하 지지구간
19.05 - 18.85k
16.8 - 16.6k (매우 강력함)
스탑: 15.5k
단기추세가 강세로 돌아선 만큼 21k 선에서 눌림이 마무리되고 추가 상승을 이어갈 가능성이 있음.
목표가 26k // 36k (연관 아이디어 참고)
그저 제가 보이는대로 말씀드릴 뿐 얼마든지 틀릴 수 있습니다.
분석이 왜 그렇게 되는지에 대한 부분은 기법을 얘기해야 하기 때문에 코멘트하기 어렵습니다. 양해 바랍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나스닥 저항구간#2023년1월14일
#나스닥
단기 반등시 목표가
14202 - 14115 (희망회로)
13522 - 13422
13184 - 13084
12864 - 12764
12502 - 12427
시총이 큰 애플이 지지 받아주면서 나스닥도 반등하고 있습니다.
긍정적으로 반등이 나오고 있습니다.
9월에 제시해드렸었던 저항구간을 다시 체크해봅니다.
어디에서 멈출지는 모르겠으나, 해당 자리에서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애플. 저항구간#2023년1월14일
#애플
주봉입니다.
저항구간
169.7 - 168.3
163 - 161.6
146 - 145
143.5 - 142
136 - 134
지지구간
127 - 125
대장주 애플입니다. 시가총액 방식으로 산정되는 나스닥에서 비중이 큰 종목입니다.
덩치가 큰 종목인 만큼 나스닥 지수 움직임에 큰 영향을 줍니다.
애플이 무너지면 나스닥도 내릴 것으로 생각합니다.
주봉상 지지가 나오면서 반등을 하고 있습니다.
위에 저항구간을 제시해드렸는데 저기 어딘가에서 다시 내리지 않을까 합니다. 160불 근처까지 가기에는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삼성전자, 저항을 뚫을 수 있을까?2023년 1월 14일 22:10
#삼성전자
삼성전자 주봉입니다.
지난 9월에 제시해드렸던 단기 반등 목표가(아래의 저항구간) 밑에서 하락이 나왔고.. 그 다음에는 저점을 깨지 않고 최근에 다시 반등하고 있습니다.
#저항구간
67000 - 66400
65100 - 64500
솔직히 뚫을 수 있을지 모르겠고, 도달이나 하면 다행이 아닐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항구간에서 얻어맞고 내리는 그림이 나오면 저점을 깨는지 지키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아직 매수를 고려할 시기는 아닌 듯 합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비트코인, 추세전환?2023년1월14일 21:05
#비트코인
#복기
공급량이 줄어든 것을 놓쳤습니다. 조금 아쉽습니다.
#분석
크게 쏟을 수 있는 맥점이었던 17.2k // 19.5k 를 뚫어준 만큼 고점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 판단합니다.
공급이 줄고, 이후 크게 힘 들이지 않고 쉽게? 올렸습니다.
추가 상승 여력이 있습니다. 거래량이 많습니다. 저점만 깨지 않는다면 매수를 해봄직 한 자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추세 전환 인지는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즉각적인 상승이 안 나오더라도 일단 상황은 긍정적으로 바뀌었습니다.
만약 저점을 깨버린다면 이전에 올린 게시글 대로 다시 기다릴 생각입니다.
#지지구간
20000 - 19800 (신뢰도 낮음)
19310 - 19110 (신뢰도 낮음)
18936 - 18736
17510 - 17360
16879 - 16679
20k에서부터 여러 군데 한번 이상 지지 받을 만한 자리가 있는데, 밑에 자리가 더 강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활용방법
제시해드린 지지구간은 여러번 터치 할수록 신뢰도가 낮아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2~3회 터치하거나 터치 후 반등이 잘 안 나오면 신뢰도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피보나치는 그냥 갖다 붙인거라서 큰 의미는 없습니다.
지금 당장에 봐서는
일단 눌리더라도 21.5k는 넘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22.8k를 돌파하면 26k 정도까지도 가능성 있습니다.
그래서 희망회로를 담아서 목표가를 높게 잡으면 다음과 같습니다.
#목표가
1차: 26872 - 26672
2차: 36022 - 35722 (희망회로)
3차: 49800 - 49500 (희망회로)
어디까지나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DYDX/USDT] 중단기 롱 관점
1. 현재 4시간봉 프레임에서 장기 상승 추세선의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지점입니다.
2. 4시간봉 상승 다이버전스 컨펌되었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상승이 나와주지 않았습니다.
3. 하락을 거듭하면서 음봉의 길이는 짧아졌지만 거래량은 늘었습니다. 특히 밑꼬리를 길게 달면서 거래량이 터지는 것은 매수세가 강했다는 신호입니다.
위와 같은 이유들로 미분 코인 상방을 보고 있습니다. 전저점이 깨지면 추세 지지와 상승 다이버전스가 무효화되므로 손절해야 합니다.
목표가는 비트의 움직임에 따라서 한참 더 위로 올라갈 수도 있다고 생각하지만 중단기 관점에서 보수적으로 설정하여 1.368 달러 지점입니다.
관점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럼 모두 성투하시기 바라고 좋은 저녁 되세요~!
BTC 22-12-01 차트 분석어제 분석한 걸 토대로 남아있던 상승분이 나와줬지만
매물대에 저항을 받아 뚫지 못하고 C파의 완성을 하지 못했다.
힘을 모아 한 차례 파동을 더 주려고 해도 이미 상승 5파 ABCDE가 나와줬기 때문에
현재 상태에서의 상승분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그럼 이제 다음 시나리오가 어떻게 되는가?
1. 전제 : 앞선 중형 ABC파동이 C파 저점 갱신을 마쳤다고 판단을 하여
더 이상 하방을 두드리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차트를 본다면
2. 현재 진행되는 ABC파동이 C파 완성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C파 완성을 위해
상승을 계속해서 두드릴 가능성을 보아야 한다.
1) 우선 여태까지 상승했던 부분에 대한 단기 조정 후 618 자리(매물대)에서
A파-B파 진행이 되는데 그 때 레귤러 플랫으로 튕겨 올라갈 가능성
2) 지그재그 조정으로 382 부근까지 하락을 했다가 D파를 만들고 E파를 만들 가능성
이 두 가지로 ABCDE파의 진행으로 볼 수 있다.
정확히 말하자면 완성되지 않은 C파의 완성을 위한 파동 진행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3. 하방 관점으로 본다면
일단 전제부터 다시 잡아야 한다.
C파 저점 갱신 실패로 보고 하방을 두드려야 한다고 본다면
현재 ABC를 B파로 판단하고,
C파동이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3-3-5로 진행되기 때문에 예상보다 더 빠질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자리가
전고 매물대 자리이자 중형 ABC파의 618자리이다.
하락의 근거가 되는 자리인 것이다.
결론
공통 구간으로 618까지의 하락분은 볼 수 있지만 이후 상승과 하락에 대한 판단은
해당 자리에서 다시 판단 해야 할 문제이다.
상승에 대한 근거는 현재 2가지,
하락에 대한 근거도 2가지이기 때문에 차트의 방향을 속단하기 이르지만
공통 구간이 있기 때문에 충분히 대응이 가능한 영역이다.
BTC 22-11-29 차트 분석 ver.2
1. 1D로 보았을 때 ABC 끝자락이 나왔다.
하지만 C파동이 바닥인가? 라고 묻는다면 아직 기술적 반등이 나오지 않고
옆으로 횡보하고 있는 모양이기에 한 파동 더 빠질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2. 그래서 현재 진행 방향이 수렴처럼 보이기도 하다.
그래서 한 파동 더 빠질 수 있다는 것에 근거가 추가가 된다.
3. 15m 분석은 임펄스 이후 ABC조정이 나왔다.
C파는 1.236까지 조정이 나왔고,
앞선 상승분을 임펄스로 봤기 때문에 조정 ABC는 2파로 볼 수있을 것이다.
4. 현재의 상승분은
큰 파동 1~2파가 끝나고
3파가 진행되고 있는 것 같이 보인다. 만약 임펄스 5파가 진행이 된다면
1의 분석에서 나오지 않았던 기술적 반등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후 C파동의 마무리가 끝났으니 추세 전환을 시도하려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5. 임펄스 5파 완성 진행 수 중파동 ABCDE의 가능성이 있다.
1) 5파 완성 자리가 중파동의 618자리이며,
2) 앞선 매물대가 존재하는 구간이기도 하다.
3) 1D기준 60일 선에 저항을 맞는 구간이다.
3) 상승파동의 하락 조정이 나타나야 하기 때문에 숏 자리의 근거가 된다.
결론 : 단기 롱 임펄스 5파 진행 후, 장기 숏 조정이 나올 가능성을 알 수 있다.
ETH 매매전략안녕하세요.
이더를 보니.. 정말 좋은 숏 타점을 놓쳤었네요.
이래서 부지런하게 차트를 봐야하나놉니다..ㅎㅎ
현재 위치를 봤을때 머가 좋은 카운팅일까 곰곰히 많이 생각을 해봤는데,
올라온 파동을 ABC로 보는게 가장좋을꺼로 보입니다. 일단 고점을 한번 더 갱신한 파동이 임펄스가 아닌 명확한 ABC로 보이기 때문에, 앞선 파동 또한 ABC 일 확률이 높습니다.
(물론 불규칙 조정이 나와서, 고점이 한번 더 갱신 되였을 확률도 존재는 하나, 기본적으로 자주 나오는 확률이 좋은 모습으로 카운팅하는게 중요합니다.)
비트와 마찬가지로, 이더 또한 한파동이 더 내려올 확률이 높다고 봅니다. 그럼 고점에서 부터 335ABC로 단기적인 조정이 끝나고 추세가 변하는 변곡점이 나올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한파동이 어디까지 떨어질까 입니다.
제가 봤을때, 저점을 약간 갱신하는 무빙이 가장 좋긴 하지만, 비트가 저점을 갱신하면 좀 더 강하게 빠져서 382까지 오면 변곡이 나올 확률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
현재 위치에서 비트의 방향이 중요하니, 비트를 보면서 매매하시는게 가장 좋은 방법같네요.
일단 비트나 이더나 단기적으로 타점이 한번 더 열릴 때 까지 또는 제 관점이 틀렸다고 확신이 들때까지 기다릴려고 합니다
다들 건승하십쇼!!
Price Action을 활용한 Orderblock 옥석 가리기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Orderblock.
자주 듣지만 뭐가 Orderblock인지 헷갈리진 않으셨나요?
Orderblock은 실제로 중요한 개념이기는 합니다만, 큰 그림으로 본다면 숲을 구성하는 나무에 해당할 뿐입니다.
오늘은 우리에게 "실제로 도움이 되는 Orderblock"에 대해 알아볼 예정입니다.
Price Action에 대한 이전 강의 내용이 많이 등장하기 때문에 예습은 필수입니다.
중요한 개념이기에 언제나 그랬듯 차근차근 자세히 알아볼 예정입니다.
그럼 시작해 보겠습니다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목 차 >
I. Orderblock 이란?
II. Orderblock 찾기 (Feat. Volume & Volume Profile)
III. Tradable Orderblock (실제로 도움이 되는 Orderblock에 관한 법칙)
IV. Orderblock Confirmation (Orderblock 확인과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I. Orderblock이란?
Orderblock의 정의에는 여러 가지 표현이 있습니다만, 핵심적인 부분은 "Smart Money" 혹은 "Market Maker"라는 표현 일 것입니다.
"Price Action을 이용한 Trading"의 핵심 또한 이와 같습니다.
Smart money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 Market maker들의 의중을 읽는 것, 다수 군중의 심리와 움직임을 파악하는 것 등이 Price action의 핵심이라 할 수 있겠죠.
An orderblock is a defined area where buyers or sellers of smart money entered market & moved price away from its price level to a new area of interest.
Orderblock은 시장에 들어온, 그리고 현재 가격을 움직일 수 있는 "Smart money"들이 위치한 구역 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이전에는 매물대, 그중에서도 '수평 매물대'라는 표현으로 이해하는 경우도 많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보통 Candle 1-2개 만을 지칭하는 Orderblock의 개념 상, 매물대와 같은 zone의 개념보다는, 보다 실전적인 Signal의 개념으로 접근 해보는 것도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 Orderblock(OB) 개념잡기 >
1. OB는 "Smart money"라고도 불리는 "Market maker"들의 흔적이다.
2. OB는 Support or Resistance zone, 혹은 그 근처에서 나타난다.
3. OB는 주로 상승 전 음봉, 하락 전 양봉의 형태를 보임.
4. OB 캔들은 다양한 Timeframe에서 관찰 될 수 있다.
Signal로 보는 개념의 근거
5. Bullish Orderblock(BuOB)란 Support zone, 혹은 그 근처에서 상승 흐름 전에 나타나는 음봉이다.
6. Bearish Orderblock(BeOB)란 Resistance zone, 혹은 그 근처에서 하락 흐름 전에 나타나는 양봉이다.
7. OB 캔들은 꼬리가 있을 수도(wicky), 없을 수도(Not wicky) 있다.
< Orderblock 진입전략 >
1. BuOB의 경우 (Long)
Not wicky : Trigger → 고가 / Stop loss → 저가
Wicky : Trigger → 시가 / Stop loss → 저가
2. BeOB의 경우 (Short)
Not wicky : Trigger → 저가 / Stop loss → 고가
Wicky : Trigger → 시가 / Stop loss → 고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II. Orderblock 찾기 (Feat. Volume & Volume Profile)
Orderblock에 대한 개념을 확인했다면 이번 장에서는 Orderblock을 찾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설명에 앞서 조언을 드리자면, Orderblock 혹은 Orderblock으로 보이는 것들은 다양한 시간 프레임에서 수없이 많이 등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Orderblock을 찾아내는 것에 집착하기보다는 III, IV 장에서 다루게될 실제로 도움이 되는 Orderblock 가려내기 & Orderblock Confirmation 과정을 더 집중해서 읽어주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1) Orderblock Candle 의 형태
Orderblock은 기본적으로 Reversal pattern에 해당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실상 형태의 제한은 거의 없습니다만, 상승 전환 패턴 혹은 하락 전환 패턴과 같이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지난 캔들 강의에서 다뤘던 내용을 떠올려 보신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단일 캔들 >
< 추세 전환 패턴 >
*Comment : 캔들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원하시는 분들은 하단 연관 아이디어를 참고해주세요
2) Orderblock의 특징
Orderblock은 Large holder, Market maker 등의 흔적으로 다량의 거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부분 강한 거래량을 동반 합니다.
시장의 거래량을 표시할 때 가장 전통적으로 사용하였던 개념은 시간에 따른 거래량 (Net volume) 입니다.
차트 분석에 가장 기본이 되는 지표이기도 하며, 또 너무나 잘 알려진 지표입니다.
실제로 거래량 지표를 활용한 다양한 투자 기법들이 존재합니다만, 현재 크립토 마켓에서 거래량 지표의 의미는 다소 희석된 상태입니다.
두 번째로 오늘 알아볼 개념은 가격에 따른 거래량 (Volume Profile) 입니다.
차트의 x 축은 시간, y 축은 가격임을 모두 알고 계실 것입니다.
다양한 Volume profile 인디케이터가 있어 원하시는 걸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금일 강의에서 이용한 인디케이터는 "비쥬얼 레인지 볼륨 프로파일" 입니다.)
BTC, 1w, with Volume & Visual Range Volume Profile)
위에서 살펴보았던 Orderblock에 Volume & Volume profile을 모두 적용한 모습입니다.
Orderblock은 Net volume, Volume profile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날 수밖에 없습니다.
반대로 생각해보면 Net volume, Volume profile이 지나치게 낮게 나타나는 곳에서는 Orderblock을 배제할 수 있겠죠.
또 유의미하게 확인할 수 있는 포인트는 주위 프레임과의 비교 입니다.
이전 타임프레임에 비해 몇 배 강한 Net volume, 위아래 가격대에 비해 몇 배 강력한 Volume profile 에 주목한다면 쉽게 Orderblock을 찾을 수 있겠습니다.
< Orderblock 찾기 >
1. 단일 캔들 패턴의 경우 망치형, 역망치형, 교수형, 유성형, 스피닝탑, 도지 등의 추세 전환 암시 캔들.
2. 추세 전환 패턴의 첫 번째 추세 지속 캔들 (상승세 전환의 경우 음봉 / 하락세 전환의 경우 양봉)
3. 이전의 추세에 비해 강한 Net volume을 동반한 캔들
4. 상-하 가격대에 비해 강한 Volume Profile 영역에 위치한 캔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III. Tradable Orderblock (실제로 도움이 되는 Orderblock에 관한 법칙)
단순히 Orderblock을 찾는 것과 이를 거래에 이용하는 것은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모든 Orderblock (& Orderblock처럼 보이는 것) 들을 맹신하고 거래에 임하는 것은 아주 어리석은 일입니다.
이번 장에서는 Tradable Orderblock, 즉 실제로 거래에 도움이 되는 Orderblock에 대한 7가지 법칙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비교적 당연한 내용도 있지만, 또 상당히 기술적인 부분도 있기 때문에 집중해서 읽어주세요 :)
(이번 챕터 소제목의 Orderblock은 모두 Tradable Orderblock을 의미합니다.)
#1. Orderblock은 Support or Resistance zone, 혹은 그 근처에서 나타나야 한다.
Orderblock은 필연적으로 Support / Resistance zone, 혹은 그 근처에 형성될 수 밖에 없습니다.
Support zone의 근처는 매수 및 Long 심리가 강한 영역 → Market maker들은 Bearish candle을 형성하여 Sweep.
Resistance zone의 근처는 매도 및 Short 심리가 강한 영역 → Bullish candle을 통해 Sweep 후 하락추세로 전환됩니다.
#2. Orderblock은 Flip zone, 혹은 그 근처에서 나타나야 한다.
S/R Flip 이란 S/R zone이 돌파당한 후, 기존 S/R zone이 반대로 Resistance / Support zone으로 작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S/R Flip은 Market maker들이 이용하기에 매우 좋은 지점입니다. → Orderblock 출현 가능성 높음.
*Comment : Support & Resistance, 그리고 Flip zone에 대한 대한 심화학습을 원하신다면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3. Orderblock은 반드시 Market Structure Break를 동반해야 한다.
Tradable Orderblock이라면 Orderblock 이후에 MSB가 관찰되어야만 합니다.
#2의 사례를 계속 이용하였습니다.
*Comment : 차트에는 Market Structure Break를 MSB로 표기하였습니다.
#4. Orderblock 이후 Imbalance가 등장하게 되며, Imbalance는 Orderblock 크기의 2배 이상이어야 한다.
Imbalance란 Buy와 Sell의 균형이 맞지 않는, 즉 2-3개의 양봉 혹은 음봉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을 말합니다.
Liquidity Void라고도 부르며, Imbalance 상황에서 균형을 잃은 가격은 보통 어느 정도 다시 회복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Tradable Orderblock의 경우 이후 Imbalance가 등장하게 되며, 이 크기는 2배 이상 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2, #3의 사례를 계속 이용하였습니다.
#5. Orderblock의 Risk Rewards는 보통 Orderblock 크기의 3배 이상이어야 한다.
Orderblock 이후 나타나는 일련의 과정 : MSB → Imbalance (Liquidity Void) → Risk Rewards (x3, #TP1) 확인.
#1의 사례를 계속 이용하였습니다.
#6. 선행된 Orderblock은 이후 반대의 Orderblock이 나타날 경우 무효화된다.
이전의 Tradable orderblock이 Non-tradable Orderblock으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
한 번 Tradable orderblock을 찾았더라도 시장을 계속 예의주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 Bearish OB는 주요한 S/R 위에, Bullish OB는 주요한 S/R 아래에 위치한다.
Orderblock은 기본적으로 Reversal Pattern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Market maker들의 입장에서 Bearish Reversal을 위해서는 SSR 위에서 Position을 설정하는 것이 합당합니다.
마찬가지로 Bullish Reversal을 위해서는 SSR 아래에서 진입한 후에 SSR을 돌파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Comment : '주요한 S/R'을 차트에는 Significant Support & Resistance, SSR로 표기하였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IV. Orderblock Confirmation (Orderblock 확인과정)
이번 장에서는 Timeframe을 변화시켜가며 Orderblock을 확인하고, 진입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Orderblock은 다양한 Timeframe에서 발견됩니다.
본인이 선호하는 Timeframe을 가지고, 자주 Orderblock을 찾고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시길 바라겠습니다.
아래는 많이 사용하는 Timeframe의 예시입니다.
Month → Week → 1D
Week → 1D → 4H
1D → 4H → 1H
4H → 1H → 15M
1H → 15M → 5M/3M/1M
사례를 통해 Orderblock의 confirmation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Bullish Orderblock을 예로 들었습니다만, Bearish Orderblock의 경우도 같은 방식으로 확인하면 되겠습니다.
BTCUSDT, 6H → 1H → 15M, 20221024~1025 차트입니다.
1. HTF에서 먼저 유의미한 Orderblock을 확인 합니다.
2. Orderblock에서 Confirm 과정 없이 바로 진입하는 것은 다소 Risky Entry가 될 수 있습니다. (지양)
3. MTF(Middle Timeframe)에서 지속적으로 추세를 관찰 합니다.
위 사례의 경우 삼각수렴 패턴을 완성시키며, 거래량이 감소하는 형태를 보입니다.
계속해서 Buying order가 들어가며 Consolidation이 되는지 확인하여야 합니다.
4. MTF에서 대략적인 Entry Point가 잡혀갈 때쯤에는 LTF로 이동합니다.
5. LTF는 정확한 Entry 설정 단계 입니다.
Net volume의 폭발적 증가와 함께 MSB 이후 Markup.
III장의 MSB → Imbalance (Liquidity Void) → Risk Rewards (x3, #TP1) 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확인합니다.
Stop loss는 기존 Bullish Orderblock의 저점으로 설정하였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비트코인. 겨울이 와요.#2022년11월14일
#비트코인
#현물거래
9월 17일 현물 진입 제시 및 진입
11월 9일 새벽 5시 20분 경 손절매 진행
결과 -> 바이낸스 기준 -4 ~ -5% 손절, 업비트 기준 -2% 손절
#분석
거래량으로 보았을 때 추가 하락이 가능한 모습입니다. 초단기적으로는 옆으로 뺄 수 있어보입니다.
현재는 다음 지지구간을 12-10k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그때가서 다시 분석하려 합니다.
무너지면 그 다음은 6~7k, 3-4k 입니다. (연관 아이디어 참고)
#잡담
제가 진행한 현물거래는 진입 후 2~3개월은 홀딩할 생각이었습니다. 그러나 거래량이 많이 터지면서 차트가 무너졌고 손절매를 하게 되었습니다.
시장 상황이 많이 많이 안 좋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현물거래는 전혀 안 하고 있습니다.
현물 거래만 하시는 분은 당분간 시장을 떠나 있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거래소에서 현금을 출금하시고 더 나아지기 위해 공부를 하거나, 현생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선물거래 같은 경우에는 매도 포지션을 위주로 진행 하시는게 좋아보이고,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저배율로 접근하는게 좋겠습니다.
또한 거래소 이슈 같은 경우에는 국내거래소는 그나마 규제를 받고 있어서 크게 문제될 것은 없는데 해외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반드시 자금 관리를 신경써서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거래소 외에 VASP(가상자산사업자)에 대해서는 FTX 또는 FTX 발 이슈에서 파생되어 악영향을 받는 곳이 있을겁니다. ex)델리오 등.. 이런 곳은 어지간하면 피하는게 좋겠습니다.
저 개인적으로 제도권 금융시장에 몸을 담고 있다가, 블록체인과 크립토씬으로 들어온지 이제 만 4년이 넘었습니다. 본업을 바꾼 만큼,저는 나름대로 이 시장에 대한 미래를 보았겠지요?
그런 점에서 블록체인과 그와 관련된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뷰는 있습니다. 다만.. 당장에 눈앞에 보이는 시장 상황이 차트적으로나 매크로적으로나 여러 요소가 안 좋다는 점 말씀드립니다.
너무 마음이 아프지만, 긴 겨울이 오고 있습니다. 모두 잘 견뎌내셨으면 좋겠습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2022년 11월 9일 비트코인 관점 철회. 관망.#2022년11월9일
#비트코인
먼저 앞서 최근에 퍼블리쉬했던 게시글 상에서의 지지구간이 모두 박살났습니다.
또한 지난 9월 중순 쯤 비트코인 현물 픽에 대해 안내드렸었었는데, 현재 해당 현물 픽은 본절 및 약손절로 정리했습니다.
현재 일봉 거래량 상 추가하락도 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 기존 관점은 모두 철회하고, 6월 15일에 올렸던 메인 관점(연관 아이디어 참고)이 유효하겠습니다.
만약 밑으로 더 내려간다면 기대해볼만한 가까운 지지구간은 12 - 10k 정도가 되겠습니다.
대형 거래소인 FTX 발 이슈의 영향이 작지 않은 만큼, 리스크 관리가 필요해보입니다.
만약 여기서 다시 반등한다 하더라도 진입 자리는 다시 나올 것이기 때문에 일단 관망을 하는 것도 괜찮아 보이고 저또한 현물을 정리한 상태입니다.
참고만하시기 바랍니다.
비트코인. 주봉, 시간봉#2022년10월29일
#비트코인
1) 주봉 단위 큰 관점
강반등 예상. 9월에 제시한 관점에서 변동 없음.
2) 시간봉 단위 작은 관점
초단기로 조금 눌릴 수 있음.
참고) 분석 신뢰도는 작은 관점보다 큰 관점이 더 높습니다.
왼쪽부터 비트코인 주봉, 12시간봉, 1시간봉입니다.
#주봉
주봉 상의 큰 관점은 상방을 보고 있습니다. 빨간색 선은 그냥 그려만 봤습니다. 26k든 36k든 올라가봐야 그 다음을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2시간봉
20k 부근, 19.4 - 19.3k 부근을 주요 지지로 보고 있습니다. 눌리더라도 20k부근은 지키지 않을까 합니다.
#1시간봉
일단 현재 시각 10월29일 토요일 오후 14시 35분 경으로 주말이기 때문에 거래량이 작을 것으로 보고 있고, 20.4k 부근까지는 눌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일단 눌릴 것으로 보고, 이후 빠르게 올라가는 그림이 되려면 차트에 그려놓은 것처럼 거래량이 동반되면 이상적입니다.
거래량 없이 올라간다면 그때는 시간봉 단위의 그림만 다시 분석하면 될 것 같고, 지금 봐서는 조금 눌리면서 옆으로 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이더리움 장기 하락추세선 돌파?#2022년10월29일
#비트코인
#이더리움
1일봉
지난 달 중순 쯤 이더리움 현물 목표가에 대해 언급드렸습니다. (연관아이디어 참고)
현재는 많은 분들이 보고 계실 장기하락추세선(선형 차트 기준)에서 멈췄었고 다시 돌파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당장에 거래량을 동반해서 상승하면 좋고, 혹은 그냥 저냥 마감해도 좋을거 같습니다.
주말에는 거래량이 없으니 옆으로 뺄거 같은데, 옆으로 빼기만 해도 추세선 자체는 넘어설 가능성이 높을 것 같습니다.
제가 보고 있는 목표가는 여전히 동일합니다.
1826 - 1806
2508 - 2528
2691 - 2671
3343 - 3373 (희망회로)
빨간색 선은 그냥 낙서로 그린거니까 너무 신경쓰지 말아주세요.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