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단기 반등 목표가#2022년9월20일
삼성전자
단기 반등 목표가
67000 - 66400
65100 - 64500
70200 - 69600 (희망회로?)
77700 - 77100 (희망회로)
지난 6월28일 게시글(아래의 연관 아이디어 참고)에서 주봉상 거래량 출현하여 시간이 조금 필요하지만 반등이 있을 거라고 말씀드렸습니다.
현재까지는 그려놓은 그림 그대로 움직였고 반등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위의 단기 반등시 목표가 제시해드렸고, 장기 하락관점(아래의 연관 아이디어 참고)은 유지합니다.
참고만하시기 바랍니다.
볼륨
비트코인, 현물 목표가 수정#2022년9월17일 18:20
#비트코인
#현물
#바이낸스 거래소 기준
#매수타점
진입구간 1: 19458 ~ 19258
진입구간 2: 18861 ~ 18661
스탑: 17400
#목표가 수정
1차: 26872 - 26672 (손익비 4.59 : 1)
2차: 36022 - 35722
3차: 49800 - 49500 (희망회로)
바이낸스, 후오비, 코인베이스, FTX, 비트스탬프 등 대형거래소 거래량을 체크했습니다.
결론은 안 바뀌었고, 이 자리가 저점이 맞다고 판단합니다. (현재가 약 20k)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2022년 9월 3일 비트코인 메인관점#2022년9월3일
#비트코인
#메인관점
#거래량 분석 요약
1. 주봉 단위로 역대 최고 수준의 거래량이 발생
2. 거래량은 크고 움직임은 작은 편
3. 추가하락할 여력도 있음. 다만 더 내리려면 거래량이 많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4. 현 시점에서 주요 타점은 19.5 - 19.3k // 18.4 - 18.2k 여기 다음은 12 - 10k
5. 멀지 않아 움직임이 나올 것(주봉 단위의 얘기입니다) 만약 보다 긴 횡보 후 움직임이 나오면 추세가 더 강할 것.
6. 현 시점에 CME 차트상으로 무언가 판단하기엔 애매한 상태.
#외부변수
1. 달러인덱스: 현 시점 달러인덱스(DXY)는 109.6 정도.
점차 더 올라갈 것으로 판단하고 있음
(연관 아이디어- 2022년 6월 18일 달러인덱스 분석 참고)
2. 나스닥: 지난 저점인 11k까진 충분히 내려갈 것으로 판단. 좀 더 길게는 더 많이 내려갈 것으로 보고 있음
(연관 아이디어- 2022년 5월 7일 나스닥 하락관점 참고)
3. fomc 등 뉴스
#종합의견
-> 현금들고 관망
일반적으로 달러가 올라가면 위험자산은 내리게 됨.
달러는 오르고 나스닥도 내릴 것으로 보이는 상태에서 비트가 계속해서 버틸 수 있을지 궁금함..
만약 버틴다면 그때 사더라도 늦지 않을 것.
Q. 굳이 지금 시점에서 매수자리를 찾는다면?
-> 현물은 저점(17.5k 부근) 살짝 아래에 손절 잡고 위에 올린 주요 타점에서 매수를 받아볼 수 있음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2022년7월31일 이더리움 메인관점7월 8일에 언급했던 목표가 모두 달성했고, 그보다 조금 더 상승 한 후 하락 진행중
비트코인 하락과 도미넌스 차트 반등이 예상됨. 이더리움은 하락할 것으로 판단
주요 지지구간
1355 - 1336
1127 - 1107
여기 밑으로는 잘 모르겠습니다.
저점을 깬다면 2022년 6월 15일 메인관점(연관 아이디어 참고)에 올려드린 자리 살펴볼 수 있습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SRM(세럼) 7월12일 분석 안내.BINANCE:SRMUSDT
세럼(SRM)은
기존 7/08일 멤버십 회원님들께 안내드린 후
약 35% 수익을 내었고 현재는 5~30% 비중만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 두 번의 돌파 실패 이후 세 번째 도전 중에 있고
주요 저항 구간은 1.04 - 1.09 수준이 됩니다.
만일 이번 주 내로 돌파가 완료된다면 1.2 - 1.4 - 1.6 수준까지 열어두실 수 있겠으며
이번에도 실패할 경우에는 다시 0.87 수준의 지지를 기다려보셔야 합니다.
이후 재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6월28일 삼성전자#2022년6월28일
#삼성전자
우선 당장에 '매도'를 하기엔 애매한 것 같습니다.
주봉 상 볼륨이 조금 나오고 있습니다. 추가 하락도 가능한 모습이지만, 반등이 있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볼륨
주봉 상 볼륨 발생
#보조지표
보조지표 과매도
#반등
코스피도 그렇고, 당장에 매도할 시기는 아닌 것 같습니다.
시간이 좀 필요하고 최소 3~4주는 더 지켜봐야겠지만 이 근처에서 반등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주요 저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저항구간
70200 - 69600 (희망회로)
67000 - 66400
65100 - 64500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2022년6월24일 비트코인 메인관점#비트코인
#메인관점
개인적으로 '시간'이라는 요소는 가격 결정에 큰 영향이 없다고 생각하지만, 한 달 정도는 박스권 횡보 할 것으로 판단합니다.
여기가 저점구간이든 아니든, 바이낸스 현물 차트 기준 18.2k(초록색 표시)는 반드시 체크 (저점체크) 할 것으로 보입니다.
#단기
박스권 횡보
#중기 (3~6개월 정도)
모르겠음.
아마 1) 2) 중 하나가 아닐까..
1) 강반등 후 하락
2) 질질 세다가 하락
3) 박스권 횡보
#장기 (6개월 이상)
하락 -> 달러인덱스가 오를 것으로 보기 때문에 비트코인은 약세일 것으로 판단
#경우의수
1) 현재 위치(박스권)가 저점구간인 경우
-> 현 위치에서 박스권 횡보를 오래 할 것
-> 이 경우 진행상황을 좀 더 봐야함
-> 장기추세가 하락 이기 때문에 반등이 보이더라도 진입에는 신중을 기해야 함
2) 횡보 없이 곧바로 반등한다면?
-> 반등 기대치는 대략 25k // 28k
-> 그러나 다시 내릴거고 저점을 깨고 더 많이 더 강하게 내릴 것
3) 더 내린다면 어디까지?
지난 #메인관점 에서 언급 했다시피 12~10k를 살펴볼 예정
거기도 저점일지 아닐지는 모름
참고)
추세는 강력하다 라고 배웠습니다. 현재 상황은 누가 보아도 추세가 명확합니다.
그리고 보통 바닥을 만들어주는데는 시간이 필요하고, 지금 시점에는 단타든 장기홀딩이든 매수로 접근하기엔 애매합니다. (괜히 역추세매매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가격이 낮아졌다고 해서 FOMO를 느끼면 안 되고. 공포의 시간이 좀 더 남아있다고 생각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비트코인. 2022년6월15일. 메인관점#비트코인
#메인관점
현재 유효한 분석입니다. 3가지 시나리오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바이낸스 기준
1) 20.4 ~ 16.3k 구간 지지 및 횡보
2) 12.1~10k 지지
1번 2번으로 진행되면 반등(추세전환 아님)에도 시간이 좀 걸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만약 위의 지지자리가 모두 박살나는 하락이 나올 경우 최대 3~4k까지 열립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비트코인. 2022년 6월 10일. 메인관점
#2022년6월10일
#비트코인
#메인관점
변동폭이 줄었고 거래량이 쌓이고 있음.
당장 추세가 나오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하나, 크게 흔드는 움직임은 한번 이상 나올 것으로 판단.
#단기
횡보(31.8 - 28.6k 약 11% 범위)
그러나 한번 쏟을 수 있음.
#중기
횡보. 그러나 한번 쏟을 수 있음.
#장기
보류
#현물
현물매수를 한다면?
진입: 27.3 - 26.9k
스탑: 26.3k
목표가: 31.2k // 35.7k
31.3k를 첫번째 목표가로 잡으면 손익비 약 4:1
작성 해놓은 자리까지 내려간다면 위험하고 공포 스럽지만 스탑이 짧기 때문에 손익비가 좋은 자리.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비트코인. 최악의 경우 현물 지지구간2021년 11월 21일에 올렸던 비트코인 분석을 다시 올려드립니다. (연관 아이디어 참고)
이제는 기존 지지라인이던 28.8k도 무너져내릴 가능성이 생겼습니다.
그 이하로는 아래의 자리를 살펴보고 있습니다.
#최악의경우
#바이낸스기준
20.4~16.3K
12.1~10K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이더리움, 메인관점#2022년5월31일
#이더리움
#일봉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작은 힘으로 올리고 있습니다.
차트에 낙서 해놓은 대로 움직일 거로 보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매물대 부근(흰색 동그라미 표시)에서 횡보하다가 다시 올릴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핵심저항 체크
2691 - 2671
3373 - 3343
3756 - 3726
4112 - 4072
2691- 2671 돌파시 다음 저항 3373 - 3343까지 열리고 그 다음 저항도 마찬가지 입니다.
여기서 열린다의 의미 -> 상승 '가능성'이 있음을 말합니다.
만약 4.1k를 돌파하면 조정을 받더라도 최고점을 갱신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