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PI200_200302지난 달 되돌림에서 매도전략을 성공한뒤
276.95에서 AB=CD패턴을 생각하고 매수를 들어갔다가 손절을 하였습니다.
1:1 자리가 깨지고 나서(AB=CD 패턴 손절)
피보나치 확장 비율 1.618 자리에 도달하게 되면 확장 방향으로 추세가 발생했음을 의미합니다.
볼린저 밴드 하단을 이탈하였으니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보고있습니다.
일봉 이평선도 역배열 구간에 진입했으며 주봉 MACD도 데드크로스가 발생했습니다.
당장 매수로 접근하시기보다는
하락기울기가 완만해지기를 기다리면서
(캔들이 적어도 볼린저 밴드 안으로 들어와서 쌍바닥을 형성하는지 확인하고)
주요 지지구간(빨간선)에서 매수기회를 찾고
주요 저항라인(파란선)에서 적극적으로 매도기회를 찾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매매에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볼래틸리티
BTCUSD_1912201. 돌파매매
- 변동성이 줄어든 상태(BBW=0.01, Squeeze)에서
변동성 발생 시(7184 돌파) 종가에 매수, PSAR 값을 참고하여 Stop.
- bb%b 0.8이상 & mfl 80 이상 시 매수해 볼만 합니다.
20 이평 위에 있지 않으면 저는 매도세가 더 강하다고 봅니다. 즉 위로 튀려면 20 이평 위에서 가격을 유지해줘야 합니다.
* 상승 추세가 유지된다는 관점에서의 매매 방법입니다.
2. 조정 시 매수
- 엘리엇 파동 카운트를 참고하여 하모닉 패턴으로 진입
- 진입가는 Golden Pocket(0.65~0.618)이 되지 않을까 생각 중입니다.
매매에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3. "볼린저밴드,MACD,일목균형표" 무료 보조지표 실거래 활용방법
안녕하세요.
비트코인 가이드입니다.
지난시간에 말씀드린대로 ,
오늘 트레이딩뷰내에서 마지막 교육자료를 준비해왔구요.
오늘은 가장 기본적이고 많이 사용하는
볼린저밴드 , MACD , 일목균형표 세가지 보조지표만을 가지고
실거래 또는 , 매매방식에서 활용하는 방법에대해서 알려드리려고합니다.
20분 제한시간때문에 마무리 부분이 조금 미흡한데요
자주 반복해서 보시고 , 따라해보시면
초보자분들도 이해가 되실거라 생각됩니다.
제가 2년전부터 , 가장 기본적인 보조지표 4가지와 원칙매매를 가지고
차트분석을 진행하고 , 정보를 드렸었는데요
아무쪼록 , 많은 도움이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XBTUSD_191104비트코인이 수렴 끝자락 에 왔다고 판단되어 글을 퍼블리쉬 합니다.
제가 생각하고 있는 파동 카운트는 2가지인데
1) 앞 차트 는 추세 지속 으로 계속 갈 것 이다 가정 하고 파동을 카운트 한 것
2) 뒤 차트 는 조정하고 눌렸다 갈 것이다 가정 하고 파동을 카운트 한 것입니다.
1의 경우 볼린저 밴드를 뚫고 올라 갔을 때 즉 변동성(Volatility)이 터졌을 때 매수 에 들어가서
PSAR을 STOP 으로 잡고 매매 할 계획입니다.(PSAR을 Tag하면 익절이든 손절이든 스탑)
손절이 잦은 방법이나 추세가 터졌을 때 큰 수익을 거둘 수 있는 방법, 즉 승률은 낮으나 수익률은 높은 방법입니다.
2의 경우 주요 지지구간 (회색 박스로 표시)에서 하락 5파동이 형성되었는지 매수 근거는 있는지를 보고 매수 할 계획입니다.
이전 글에서 첫번째 지지구간에서의 매수전략을 제시했었으나
HETC님 수업에서 A-a의 1.618 이상의 자리에서 매수의 근거를 찾는다 배워서 전략을 취소했습니다.
물론 3 구간 모두 매매근거만 있다면 매매를 진행할 생각입니다.
아래 링크는 2의 경우와 비슷하게 판단하고 분석한 차트입니다.
매매에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LONG] XBTUSD_190510비트코인 불타기 전략입니다.
지난 2번의 퍼블리시한 바와 같이
최근 2차례 롱 을 진입 했는데요
첫번째는 4986.5불, 두번째는 5084불입니다.
첫번째 전략의 경우 저도 못 버티고 다 청산한 상태이며
두번째 전략은 2번의 익절 후 1/3의 물량을 남겨둔 상태입니다.
두번째 전략의 경우 5배 롱을 진입하여 잔여물량 수익률 이 79.44% 라고 비트멕스에 표시되네요.
저도 공부하고 있는 단계여서 고배율 롱은 되도록 하지 않습니다. 5배도 저에게는 엄청난 고배율입니다.
* 진입전략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이후 2번의 불타기를 시도하였으나 제가 진입하고자 하는 자리를 주지 않고 계속 올라버렸습니다.
* 상승추세에는 불타기 를 하는 겁니다. 하락추세에 들이받는 우를 범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이번엔 패턴에 의한 불타기 전략 입니다.
스토캐스틱 공부차 고승덕 변호사의 강의 영상을 구해 보았었는데
(천재 고변호사의 증권고시 패스, '02년 와우TV 방영)
차트의 표시된 것과 같은 패턴을 "막강"이라고 설명하시더라고요.
즉, 좋은 손익비를 기대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자리를 준다면 지지를 4시간봉 상에서 확인 후 짧게 손절을 잡고 진입해 볼만 합니다.
* 손절을 칼같이 하실 수 있는 분만 진입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두번째 전략에 의해 진입한 롱 물량은 4시간봉에서 하락다이버전스가 확인되었을 때 한번
상승 추세선 이탈시 한번, 2번에 나눠서 정리할 생각입니다.
매매에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팔로우, 댓글 부탁드립니다.
비트멕스 양방향 돌파 매매 20180822비트멕스 양방향 돌파 매매 20180822
특정 구간을 상방 또는 하방 돌파시 매매를 취하는 전략 입니다.
오늘 오후 3시에 일어났는데, 가격이 엄청 뛰었네요.
이 전략은 오후 1시쯤에 매도, 매수가가 나오기 때문에 오늘 처럼 장 초반에 뛰어버리는 경우에는 진입가까지 도달하기에는 어렵다고 봅니다.
그래서 오늘은 관망 입니다. 늦게 일어나기도 했고요.
아무튼 가지고 있는 비트 가격이 올랐으니 이래저래 이득입니다.
돌파 매수
진입 7453
익절 7553
손절 7353
돌파 매도
진입 6216
익절 6116
손절 6316
[번] 장마감시 골드 랠리 - 계속될까요?수요일 트레이딩하면서 Gold 가 2주 저가까지 떨어졌습니다. 그러니까 행정부 택스 플랜이 발표된 당일 마감까지는 Gold 는 트레이딩 세션 마감때까지 고가 랠리를 하였습니다. 그런데 아래 하이킨-아쉬 차트를 보면 Gold 가 21 이동 평균 저항을 만나, 오늘 트레이딩은 강한 빨간 색 하이킨-아시 캔들로 마감했습니다. 이제 과연 그 스파이크가 비정상적인
것이었는지 아닌지를 물어볼 때입니다. haDelta 인디케이터는 여전히 레드입니다. 나는 여전히 베어리쉬이며 쇼트 포지션을 홀딩중입니다.
어제밤 얘기했듯이, 1245 - 1265 의 강한 트레이딩 레인지가 있습니다. 초록색 네모로 그 영역 아웃라인을 그려 놓았습니다. 그리고 차트에 (차트 아래 쪽에 전체적으로 다 볼 수 있도록) 2 개의 볼륨 프로화일을 넣었습니다. 2016년초부터 오늘까지의 롱텀 볼륨 프로화일입니다. 재미있는 건 포인트 오브 콘트롤 (POC) 이 그 트레이딩 레인지 한가운데 smack 이라는 겁니다. 또한 지금 시점의 연간 랠리의 23% 피보나치 되돌림과 일치하기도 합니다.
쇼트텀 볼륨 프로화일에서 POC 는 38% 되돌림과 거의 같은 레벨에 있습니다. 앞으로 가격이 떨어진다면 이게 관심영역이 될 것입니다.
이 글을 읽고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 버튼 눌러 주시고, 다른 분들과 함께 셰어하고 리트윗도 하세요!
면책: 이 글은 단지 교육용이며 모든 트레이딩은 본인 스스로의 리스크로 하여야 합니다.
[번] 임펄스 지표 (Impulse Indicator)BBImpulse 는 존 볼린저가 제시한 최신 지표 패키지의 일부입니다
- 마케팅 안내문에서 뽑은 내용 (www.bbforex.com): "BBImpulse 는 %b 로부터 나왔습니다. 그 값은 %b 의 주기적 변화입니다. 따라서 만일 %b 가 이번 기간에 0.45 이고 마지막 기간에 0.20 이라면 현재 BBImpulse 값은 0.25 입니다. 차트위에 두개의 참조 레벨, 얼러트 레벨, 그리고 임펄스 레벨을 그려 놓았습니다."
"일반적으로 마켓은 끝부분을 빼고 보면 가장 최근 얼러트 내지 임펄스방향으로 움직이는데, 이 끝부분에서 이 지표의 이그조스쳔/리버설 시그널(exhaustion/reversal signals) 잇점을 취할 수 있습니다."
"이안 우드워드는 자신의 카후나 시그널에 BBImpulse 를 키 레벨 0.24 와 0.40 으로 쓰고 있습니다."
다음 기능을 더했습니다:
- 얼러트/임펄스 트리거 바를 하이라이트 표시
- 레인지 색 채우기 (옵션 페이지에 나옴)
레인지 그 자체로 많은 정보를 하이라이트하고 있습니다:
- 레인지가 좁아지면 가격이 탑을 찍었거나 떨어진다는 신호입니다.
- 레인지가 넓어지면 가격이 바닥을 찍었거나 오른다는 신호입니다.
- 얼러트와 임펄스 레벨 사이는 마지막 임펄스 트리거 방향으로의 중요한 움직임 신호가 됩니다. 이 경우, 내 생각엔 얼러트 레벨 레인지 강도가 임펄스 레벨 레인지 강도보다 더 큽니다.
BB 에 대해 잘 아는 분은 좀 더 많은 관찰과 분석을 하실 수 있을 겁니다. 그런 분들은 여기에서 BB 초짜도 배울 수 있도록 함께 나누면 좋겠습니다 :)
아래에서 내 전체 지표 리스트를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소스 코드도 참고로 적습니다
//
// @author LazyBear
// List of all my indicators:
//
study(title = "Bollinger Bands Impulse ", shorttitle = "BBIMP_LB")
source = close
length = input(20, minval=1)
mult = input(2.0, title="Mult Factor", minval=0.001, maxval=50)
alertLevel=input(0.24)
impulseLevel=input(0.40)
showRange = input(false, type=bool)
// Calc BB
basis = sma(source, length)
dev = mult * stdev(source, length)
upper = basis + dev
lower = basis - dev
// Calc Impulse
bbr = (source - lower)/(upper - lower)
bbi = bbr - nz(bbr )
bbc = iff(bbi>0,
iff(bbi>alertLevel and bbiimpulseLevel, orange, aqua)),
iff(bbi<-alertLevel and bbi>-impulseLevel, red, iff(bbi<-impulseLevel, orange, aqua))
)
// Plot Ian Woodward's suggested Reference Levels
plot(0, color=gray, title="MidLine", style=3)
plot( impulseLevel, color=gray, style=line, linewidth=1, title="Impulse+")
plot( alertLevel, color=gray, style=3, linewidth=1, title="Alert+")
plot( -alertLevel, color=gray, style=3, linewidth=1, title="Alert-")
plot( -impulseLevel, color=gray, style=line, linewidth=1, title="Impulse-")
plot(showRange ? bbr : na, color=gray, style=area, title="Range+", linewidth=0, transp=80)
plot(showRange ? -bbr : na, color=gray, style=area, title="Range-", linewidth=0, transp=80)
plot(bbi, color=bbc, style=histogram, linewidth=2)
[번역/스크립트] Supertrend V1.0 - Buy or Sell SignalSuperTrend 매수/매도 신호 지표. Supertrend 는 꽤 널리 알려진 지표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아티클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Supertrend 에 대해 알아야 할 10 가지
kr.marketcalls.in
//Author - Rajandran R
//www.marketcalls.in
study("Supertrend V1.0 - Buy or Sell Signal", overlay = true)
Factor=input(3, minval=1,maxval = 100)
Pd=input(7, minval=1,maxval = 100)
Up=hl2-(Factor*atr(Pd))
Dn=hl2+(Factor*atr(Pd))
TrendUp=close >TrendUp ? max(Up,TrendUp ) : Up
TrendDown=close TrendDown ? 1: close< TrendUp ? -1: nz(Trend ,1)
Tsl = Trend==1? TrendUp: TrendDown
linecolor = Trend == 1 ? green : red
plot(Tsl, color = linecolor , style = line , linewidth = 2,title = "SuperTrend")
plotshape(cross(close,Tsl) and close>Tsl , "Up Arrow", shape.triangleup,location.belowbar,green,0,0)
plotshape(cross(Tsl,close) and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