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래틸리티
바이낸스 선물 및 현물 시장에 상장된 코인들의 가격 프리미엄 지표를 활용한 트레이딩 전략📊 바이낸스 선물-현물 가격 프리미엄 지표 설명서
이 지표는 바이낸스 무기한 선물(Perpetual Futures) 과 현물(Spot) 시장에 상장된 코인들의 가격 프리미엄(%) 을 실시간으로 계산하고, 이를 컬럼 차트(막대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합니다.
특히, 1000PEPE, 1MBABYDOGE와 같이 선물 심볼에 포함된 숫자 접두어 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현물 가격과의 정확한 1:1 비교가 가능하도록 적절한 스케일링(배율 조정)을 적용시켜 프리미엄을 계산합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별도의 수동 설정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순히 가격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수급 불균형을 시각적으로 드러내어 시장 과열 국면이나 패닉성 매도 구간을 포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구성 요소 설명
1. ✅ 자동 심볼 매핑 & 접두어 스케일링
바이낸스 무기한 선물 심볼에서 자주 사용되는 숫자 접두어(1000, 1M 등)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처리합니다.
예시:
1000PEPEUSDT.P → 현물 심볼: PEPEUSDT, 스케일링 계수: 1000
이 과정을 통해 선물과 현물 가격의 단위를 일치시켜 정확한 비교가 가능합니다.
2. 📈 프리미엄 계산 로직
공식: (스케일링된 선물 가격 − 현물 가격) / 현물 가격 × 100
해석:
양수(+) → 선물 가격이 현물보다 높음 → 과열된 롱 포지션 가능성
음수(−) → 선물 가격이 현물보다 낮음 → 패닉성 매도, 과매도 시그널 가능성
0 → 선물-현물 가격 균형 상태
3. 🎨 시각화 스타일
각 봉(Candle)마다 컬럼 플롯(막대 그래프)으로 표시
프리미엄 방향에 따라 색상 구분:
🟩 양수(+) → 연녹색 (#52ff7d)
🟥 음수(−) → 연적색 (#f56464)
⬜ 중립/NA → 회색
기준선(0%)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중립 구간을 한눈에 확인 가능
💡 전략적 활용 사례
시장 상황 전략 / 해석
📈 프리미엄 급등 선물 매수 수요 강세 → 과열된 롱 포지션 (숏 진입 시그널)
📉 프리미엄 급락 선물 매도세 강세 → 과매도 신호 (롱 진입 시그널)
🔄 프리미엄 0 근처 균형 상태 → 관망 또는 재분석 필요
🧩 펀딩비·OI 델타와 결합 단기/중기 매매 신호의 다중 요인 확인 가능
🧠 기술적 장점
1000, 1M 등의 접두어 스케일링을 자동 처리
비활성화 심볼이나 누락된 심볼에 대해 에러 처리 내장 (ignore_invalid_symbol=true)
바이낸스 USDT 현물 및 무기한 선물 시장과 폭넓은 호환성
🔍 대상 활용 시장 & 예시
호환 심볼 예시:
BTCUSDT.P
ETHUSDT.P
SOLUSDT.P
1000PEPEUSDT.P
1000BONKUSDT.P
1MBABYDOGEUSDT.P
그 외 대부분의 바이낸스 USDT 마진 무기한 선물
호환 시장: Binance Spot Market (바이낸스 현물 시장)
Binance Perpetual Futures Market (바이낸스 무기한 선물 시장)
📌 가격 프리미엄 지표 활용 방법
1. 단기 변곡점 포착
메커니즘:
선물 가격이 현물 대비 순간적으로 크게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것은 양측 시장의 매수·매도 균형이 무너진 신호입니다.
선물 가격 급등 → 숏 청산 + 롱 진입 쏠림 → 단기 과열
선물 가격 급락 → 롱 청산 + 숏 과도 진입 → 단기 패닉성 매도
활용:
이 순간을 단기 변곡점으로 인식하면, 추세 전환이나 되돌림 구간을 빠르게 잡아낼 수 있습니다.
2. 매매 전략 응용
상황 시장 해석 활용 전략
📈 프리미엄 순간적 급등 선물 매수 과열 / 숏 청산 러시 단기 숏 진입 또는 기존 롱 포지션 부분 청산
📉 프리미엄 순간적 급락 패닉성 숏 과열 / 롱 청산 러시 단기 롱 진입 또는 숏 포지션 청산
🔄 프리미엄 급변 후 빠른 정상화 시장이 급등락을 소화하고 균형 회복 스캘핑 기회, 짧은 구간 수익 극대화
✅ 정리하면,
순간적인 가격 프리미엄 벌어짐은 단순 가격 차이가 아니라 유동성 불균형 + 레버리지 과열 신호입니다.
이를 단기 변곡점, 청산 러시, 과매수/과매도 신호로 해석하면 트레이더가 빠른 진입·청산 결정을 내리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7월 24일 온도파이낸스(ONDO) 상승 관점 - 구조에 변화는 없다.안녕하세요 차플입니다.
여러분들의 성공적인 투자를 응원합니다.
늘 한결같이 시장을 마주하며,
'경제적 자유' 라는 목표를 향해 달려가고 계신 모든 트레이더 여러분, 진심으로 응원드립니다.
*캔들, 거래량, 모멘텀, 구조, 프랙탈(심리)에 의한 기술적 분석을 통해 시장을 분석하고 대응하고 있습니다.
온도파이낸스는 최근까지 이어졌던 장기 하락 추세를 벗어나, 강한 원웨이 상승 흐름을 시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6월 저점을 기점으로 매수세가 뚜렷하게 유입되며,
가격 상승과 거래량 증가가 동반되는 전형적인 상승 전환 구조 가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현재 올리는 상승 모멘텀과 돌파한 유의미한 구간들을 체크했을 때 하방보다는 상승 유리한 구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단기 지지 구간 은 금일 브레이크 걸린 0.9580 - 0.9390 이며,
중장기 메인 지지 구간은 0.9050 - 0.8460 구간입니다.
따라서 해당 구간을 크게 이탈하지 않는다면 중장기 상승 구조를 이어갈 수 있으며,
목표가 는 각 저항 레벨에서 '분할 매도 확정 수익' 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단기적으로 상승 흐름을 재개할 수 있는 구간은 1.0460 - 1.0790 구간이며,
해당 구간 위로 안착 시, 재차 단기 상승 구조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중장기 저항은 1.1280,
메인 저항은 1.2040 - 1.2330 입니다.
해당 구간까지 중장기 목표가 를 설정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장기 상승 흐름은 1.2730 - 1.3010 구간 위로 안착해야 '큰 상승 흐름' 을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온도파이낸스 펀더멘탈 흐름
현재 온도파이낸스 김치 프리미엄은 -1%를 보이고 있으며,
오히려 해외 차트보다 국내 차트가 유리한 국면입니다.
또한 유통량은 올해 말까지 증가할 계획이 없으며, 2026년 초부터 공급 증가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공급 압력이 당분간 없기 때문에 중장기 상승 흐름에 유리한 조건을 형성 중입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전략보다는 중장기 매매 전략이 유리한 국면입니다.
온도파이낸스 도미넌스는 최근 하락 추세를 벗어나 상승 추세 전환이 확인되었습니다.
다시 추세를 크게 이탈하는 분산 흐름만 없다면,
상승 구조에 따라오는 자금 유입에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최근 고점에서 단기적인 자금 분산의 조짐이 확인되었고,
일봉상 장악형 음봉이 떨어진 만큼
단기 차익실현 물량인지, 큰 자금이 이탈한 흔적인지 지속적인 도미넌스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이 분석은 확률적 시나리오 기반입니다.
시장은 언제나 불확실성을 동반하며,
최종 매매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이 분석은 시장 변화에 따라 지속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 코멘트, ❤️ 부스트, 🔔 팔로우는
더 빠르고 깊이 있는 인사이트 공유에 큰 도움이 됩니다!
"항상 여러분들의 건강한 트레이딩을 응원합니다."
차플 드림
[오르바] 2025년 7월 21일. 시장이 올라간다고 조급해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옥석가리기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오르바 입니다
팔로잉 해주시면 제가 공유하는 인사이트를 더욱 빠르게 만날 수 있습니다.
불장입니다
의심한 여지없는 불장입니다.
말씀 드린대로 비트코인에서 자금이 빠져나오고 이더리움 같은 알트 코인으로 이동했습니다.
현재 비트도미넌스는 여전히 60% 수준 (전일대비 3.92% 하락) 이더리움은 11.6% (전일대비 2.27% 상승)
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더리움이 18% 수준까지는 가야 이익 실현이 가능한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체인링크, 이더리움, 아발란체 전부 시가 총액 20위 안의 우량 알트 코인들 입니다.
이번에는 조심스럽게 제가 눈여겨 보는 스몰캡 코인들을 말씀드릴까 합니다.
주식에서도 대세 상승에서는 항상 테마주 순환매가 돕니다.
코인 불장도 마찬가지 입니다 초기에 시장의 상승을 주도하는 특정테마가 존재하고 그 테마가 고점을 찍고 자금이 빠져나오면 상승세가 다른 섹터로 옮겨 가곤 합니다
nft가 그랬고 밈이 그랬고 rwa가 그랬고 ai가 그랬고.. 수도없이 많네요
NIL (닐리온) BINANCE:NILUSDT BINANCE:NILUSDT.P
시총 501위, AI
MEW (캣인어독스월드) BINANCE:MEWUSDT.P
시총 160위, meme
INIT (이니시아) BINANCE:INITUSDT BINANCE:INITUSDT.P
시총 447위
오늘 말씀 차트 분석을 해본 코인은 변동성이 큰 코인 입니다.
저는 비트코인에서 빠져나온 스마트머니가 시총 50위 안에 있는 사이즈가 큰 알트코인을 거쳐 더 사이즈가 작은 코인들 한테도 이동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트레이딩은 많은 변수가 있기 때문에 항상 보수적으로 접근해 주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귀한 시간을 써서 저의 글을 읽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이번 불장에 저의 콘텐츠를 함께 하시는 분들이 큰 성공이 함께 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참고
가상자산은 손실에 대한 위험이 매우 큽니다.
분석 내용은 개인적인 의견이며 권장 및 강요 드리는 내용은 없습니다. 모든 결정에 따른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지지와 저항 역할을 하는 전저점과 전고점을 탐지하고 저가와 고가 사이의 범위를 표시해주는 보조 지표 사용 방법보조지표 설명: Highest/Lowest Range in Timeframe
`Highest/Lowest Range in Timeframe` 지표는 사용자가 설정한 일정 구간 내에서의 최고가(High) 및 최저가(Low)를 탐지하고, 이를 차트 상에 직관적으로 표시해 주는 기술적 분석 도구입니다.
시장 흐름 속에서 특정 구간의 핵심 가격 범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가격 변동성 판단, 레인지 트레이딩 전략 수립, 지지·저항 구간 확인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 지표의 핵심 기능
본 지표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 사용자가 입력한 봉 수만큼의 기간을 기준으로 최고가 및 최저가를 자동 계산합니다.
* 해당 가격에 수평 점선(Line)을 그려 시각적으로 강조합니다.
* 최고가 및 최저가의 가격 수치를 텍스트 라벨(Label)로 표시합니다.
* 고가와 저가 간의 가격 차이(변동률)를 퍼센트(%)로 산출하여 함께 표기합니다.
* 매 바(bar)마다 정보를 자동으로 갱신하며, 이전 시각 요소는 자동으로 제거됩니다.
## 작동 원리
이 보조지표는 사용자가 설정한 분석 구간(`visibleBars`, 기본값: 500봉)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작동합니다:
1. 최근 N개의 캔들 중 최고가(highest value)와 최저가(lowest value)를 탐색합니다.
2. 해당 가격이 발생한 시간(time)을 기준으로 수평선을 생성합니다.
3. 고가와 저가 각각에 가격 정보를 담은 라벨을 표시합니다.
4. 고저 간 변동폭을 백분율로 계산하여 범위(%) 라벨로 함께 표기합니다.
5. 매 캔들(bar)마다 이 과정을 반복하며 실시간으로 갱신됩니다.
## 시각적 구성 요소
| 구성 요소 | 설명 | 표시 방식 |
| ------ | ------------------------------- | ------------- |
| 고가 라인 | 최고가 지점에 생성되는 수평 점선 | 녹색 점선 |
| 저가 라인 | 최저가 지점에 생성되는 수평 점선 | 녹색 점선 |
| 고가 라벨 | `High: ` 형태로 최고가를 표시 | 좌측 정렬, 흰색 텍스트 |
| 저가 라벨 | `Low: ` 형태로 최저가를 표시 | 좌측 정렬, 흰색 텍스트 |
| 변동률 라벨 | `Range: +x%` 형태로 고저 차이를 퍼센트로 표기 | 최고가 아래에 배치 |
## 사용자 설정 항목
* Bars to Scan (분석 구간 봉 수)
최근 몇 개의 캔들을 기준으로 고저를 계산할지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기본값은 500이며, 최소 100에서 최대 1000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 ※ 긴 구간을 설정할수록 더 장기적인 고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짧은 구간을 선택하면 최근 움직임에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 활용 예시
* 레인지 트레이딩 전략 수립 시: 박스권 상단과 하단을 명확히 구분
* 지지·저항 영역 판단 시: 고점 및 저점에서의 반응 여부 확인
* 시장 변동성 분석 시: 고저 간 퍼센트 차이를 통해 리스크 범위 파악
* 매수·매도 타이밍 판단 시: 가격이 어느 위치에 근접해 있는지 시각적으로 인지
## 결론
`Highest/Lowest Range in Timeframe` 지표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핵심 정보를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특정 기간 내에서의 고점과 저점을 빠르게 파악하고, 그 범위의 상대적인 크기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가격의 위치와 변동성을 기준으로 매매 전략을 세우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본 지표는 실용적인 기준점을 제공할 수 있는 보조 지표입니다.
글로벌 거래소 USDT USD 마켓과 UPBIT, BITHUMB KRW 마켓의 통합 거래량 보조 지표 활용 방법📊 Exchanges Combined Volume 지표
이 지표는 글로벌 및 국내 주요 거래소의 거래량을 하나로 통합해 보여줍니다. 단일 거래소에 의존하지 않고 시장 전반의 거래 활동을 파악할 수 있으며, 비정상적인 거래량 급증이나 대량 매집/분산을 감지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 지원 거래소 및 마켓
USDT 마켓:
* Binance, OKX, Bybit, Bitget, Gate.io
USD 마켓:
* Coinbase, Bitfinex, Bitstamp
KRW 마켓:
* Upbit, Bithumb
현재 차트 심볼:
* 차트에 표시 중인 심볼의 거래량도 포함
🧮 주요 작동 로직
1. 🧹 심볼 정제
* `1000`, `10000`, `100000`, `1M` 등 접두어 제거
* 거래소 간 심볼 매칭 오류 방지
> 예: `1000PEPEUSDT` → `PEPEUSDT`
2. 🌐 거래소별 거래량 요청
* `<기초자산><통화>` 형식 (예: `BTCUSDT`, `ETHUSD`, `BTCKRW`)으로 거래량 호출
* `존재하지 않는 심볼은 자동 무시
3. 🧠 자동 심볼 매핑
* 거래소별 포맷에 맞게 심볼 자동 조정하여 거래량 합산
* 한국 거래소(KRW 마켓)와의 호환성을 강화
* 업비트, 빗썸의 `BTCKRW`, `ETHKRW` 등 자동 처리
4. 🧮 총 거래량 계산
* `총 거래량 = 글로벌 USDT + USD + KRW 거래소 거래량 + 현재 심볼 거래량`
* 실제 시장 전반의 유동성을 하나의 수치로 제공
5. 📏 평균 거래량 비교
* 60기간 단순 이동평균(SMA)으로 평균 거래량 계산
* `총 거래량 ≥ 평균의 3배` 이상일 경우 특수 강조
6. 🎨 시각적 강조
* 밝은 녹색: 강한 매수 + 높은 거래량
* 밝은 빨간색: 강한 매도 + 높은 거래량
* 짙은 녹색 / 짙은 빨간색: 일반 거래량
* 컬러 막대를 통해 눈에 띄는 거래 급증을 빠르게 식별 가능
🚀 활용 방법
* 시장 전체에서 거래량 급등 감지
→ 한 종목에 여러 거래소에서 관심이 몰리는 순간 포착
* 단일 거래소와 글로벌 전체 거래소 볼륨 차이 비교
→ 시장 전체 볼륨 추세 파악
* 돌파 직전 패턴 확인
→ 거래량 증가를 통한 매매 진입 타이밍 검증
⚠️ 사용자 참고사항
* 일부 자산은 모든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지 않아 거래량이 0으로 표시될 수 있음
* 거래량 단위는 정규화되지 않았으며, 절대 거래량 기준으로 비교
* 정확한 계산을 위해 현재 차트 심볼이 기초자산과 일치하는지 확인 필요
ETH 완벽한 매수자리 찝어봤습니다.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항상 여러분들의 성공적인 투자를 응원합니다.
경기 침체속에서 시장에 참여하여 고군분투하는 우리 트레이더분들 모두 다시 한번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이더리움..
하늘색 =중요한 각도의 장기 추세선
검정색 =하늘색 라인을 위 아래로 보조해주는 추세선
검정색 위+하늘색+검정색 아래 이렇게 총 3개의 라인을 ZONE이라고 부릅니다.
관점1.
박스권을 하락돌파 할때 TRAP(속임수)을 예상했었습니다.
중파동기준 전저점을 뚫지 못했기 떄문에 BOX로 다시 들어와준다면 이건 확실히 TRAP일 것이다 라고 말이죠
현재는 박스권 TRAP 발생후 BOX 미들라인 까지 올렸지만 저항받고 있는 상태 입니다.
1W FVG와 상승추세ZONE이 기가 막히게 맞아 떨어지는 지점이 또 하필이면 BOX 하단 입니다.
저는 이 자리가 온다면 엄청난 매수 기회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등장하는 FVG는 무려 주봉에서 나온것으로 자리만 와준다면 엄청난 신뢰도를 갖게 됩니다.
그리고 ZONE의 시작점이 중요한데 큰 상승이 나오기 바로 직전 파동에서 이어진 ZONE으로 이것또한 신뢰도가 엄청나게 높습니다.
관점2.
다음은 장기 추세선 관점입니다.
차트에 대한 설명을 먼저 드리겠습니다.
하늘색 =장기 하락추세선
파란색 =단기 하락추세선
빨간색 =장기 하락추세 매물대
검정색 =장기 상승추세선
굵은 검정색 = 목표값이 되는 라인
먼저 모든 차트에서 중요한 각도의 추세선을 찾아 의미 있는 곳에 대입하는 방식으로 추세선 기술적 분석을 하고 있습니다.
파란색 단기 하락추세선은 돌파 후 리테스트롱을 잡을 수 있는 각도의 추세선으로 현재 위치 돌파 후 아직 리테스트하기 전이기 때문에 관점1 에서 FVG의 위치에 신뢰도를 가질 수 있겠습니다.
빨간색 장기 하락추세 매물대를 상승돌파 후 봉마감 하게 되면 이제 상승의 시작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리테스트와 중파동의 저점을 올리는 형태를 보여주며 결국 검정색 라인에 닿게 될것입니다.
다시 관점1 로 돌아와보면 1W FVG의 갭을 채우러 온다면 박스권 하단+ZONE+FVG갭을 무시하고 하락하기는 힘들것이라고 판단합니다.
그래서 이곳을 기준으로 잡고 매수포지션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만약 FVG에 닿지 않고 바로 올리는 경우라면 어떻게 준비를 해야될까요?
저는 현재 위치에서 아래의 ZONE이 아닌 위의 ZONE을 뚫는다면 BOX 미들라인 까지 상승돌파로 보고 리테스트때 낮은봉 잉걸핑캔들이나 유동성을 해소시킨 조건을 판단하고 상승을 볼것입니다.
관점이 도움이 되셨을까요?
좋은 전략은 항상 미리 경우의 수를 두고 대응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중요한 각도의 추세선도 좋고 ZONE도 좋고 다 좋지만 기다림과 판단력도 겸비해야 되는것이라 또 다른 좋은 판단이 있을때 업로드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삼성전자 장기적 관점일반적으로 업계 기술 격차는 최소 3~5년 정도로 보여짐.
AI, 차세대 메모리, 고급 반도체 공정과 같은 기술에서는 5년 이상이 걸릴 수도 있음.
특히 삼성전자가 뒤처졌다고 평가받는 영역이라면, 5~7년 정도의 기술 개발 및 생산 능력 확보가 필요할 수 있음.
차트의 낙폭이 굉장히 직선적
삼성에 무언가 트러블이 있다는 걸 의미할 수도 있음.
격차를 좁히기 위해서는, (R&D) 투자와 더불어 혁신 기술 인수합병(M&A)을 통한 기술 확보가 필수적으로 보여짐.
현 시점에선 매수를 할만한 메리트가 없고, 리스크만 떠 안는 매매가 될 가능성 높아 보임.
하방관점 동일, 앞으로의 방향성 (전 아이디어 참고)현재차트
21년도 차트
21년도 차트는 저점을 완전히 부수고 완전한 하방으로 길을 열어주었는데
현재 개인 관점으로는 이번에 생긴 저점을 깨부수고 다시 상승을 이어가 줄 것이라 판단합니다.
(상승 사이클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시나리오)
전 아이디어를 참고하면 유사하게 흘러가 주고 있었는데
21년도 차트는 하락장 초입이라 상승세가 끝나서 결국 지하를 가버렸지만
현재 차트는 9월 10월의 방향성이 기대가 되어 상승 시나리오는 폐기하지 않았습니다.
그럼 앞으로의 방향성은 어떻게 되는지 설명해 보자면
저항선(가로선)에 대해 강력한 저항이 나올 것 이고(올라간다 한들)
지금 하방으로 움직이든, 저항선을 맞고 하방으로 움직이든 둘다 결국 하방관점입니다.
지지가격은 저점을 깨지는 곳을 지지가격으로 산출 할 것 인데
이건 내려오는 속도나 캔들, 또는 저항을 맞고 어떻게 움직이는지 보고나서 판단 할 것 같습니다.
지지가격은 추후에 아이디어 업데이트를 통해 올리겠습니다.
[익고]비트코인 스윕패턴. 긴 글이지만 엄청나게 중요할 글입니다.
꼭 끝까지 읽어주세요.
(팔로우와 부스트는 저에게 매우 큰 관심입니다. 좋은 관점으로 돌아오겠습니다. )
우선 제 관점, 이전 퍼블리쉬 아이디어 롱 관점들에서는
리테스트에서 재 매수 가능한 부분을 65700로 설정하였습니다.
하지만 현재 해당 저점은 깨진상태이고
원래의 해당 저점이 깨진 다면 추가적인 하락을 예상하고 대비해야하는것이 정상입니다.
ㅡㅡㅡㅡ
이때의 롱 포지션은 - 역추세 매매를 하게되는 포지션이죠
저는 하락에 65500에서 롱 포지션으로 진입 하였고
해당 진입에 대한 근거는
- 스윕 패턴, SWEEP 즉 -
이전 저점을 한번 깸으로서 스탑로스들을 깔끔하게 털고가는 " 개미털기 "
패턴입니다.
저는 해당 패턴으로 보고 진입을 하였고
해당패턴으로 본 이유는 ,
큰 채널의 차트 상 아직 상방추세가 남아있다.
이더리움 ETF의 승인 날로써 이슈가 있는 날이니 변동성이 있을 수 있고
변동성 또한 비트코인보다, 이더리움이 컸다.
정도로 보고있습니다.
스윕의 구간은 65.3까지로 보고있으며 해당 패턴으로 다시 한번 상승추세에 올라타게 되면 개미는 완벽하게 털린 상승차트를 보일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공포에 매수하라"
추가적인 보조활용 데이터
/.현재 CVD 차트에서 노란개미들은 매수가 들어오지 않습니다.
반면 고래들은 다름 풀매수 받아내는 상태.
다들 항상 리스크를 관리하며 매매의 본질. 돈을 버는 행위를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팔로우와 부스트는 저에게 큰 힘이됩니다.
변동성으로 예측한 비트코인의 고점 57K
비트코인의 가격이 내려가려면 보조지표가 하락 다이버전스를 만들어야 합니다. 여기서 예로 든 것은 모멘텀(Momentum) 입니다.
1년 넘게 비트코인이 상승했기 때문에 과연 어디까지 상승할 것인가 고민할 때가 되었습니다.
52K 라는 가격은 과거의 고점으로 부터 쉽게 예측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하락 다이버전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한번 더 고점 갱신이 필요합니다. 과연 그 가격은 얼마가 될까요?
위 차트는 변동성이 매우 낮아질 경우 고점일 확률이 높다는 가설을 세우고 작성한 차트입니다.
보조지표는 ATR (Average True Range) , HV (Historical Volatility) 입니다. 모두 가격이 변하는 양을 보여주며 이것은 변동성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두 지표가 가장 낮은 값을 보여주는 시기와 비트코인의 가격을 연결시키면 대부분 고점에 해당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변동성이 크게 떨어질 때 가격은 고점에 가깝다는 가설을 세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시기의 가격을 보면 66K, 63K, 57K, 52K, 48K, 42K 등이 있습니다.
현재로 돌아와 위에서 언급한 가격대를 살펴보면 지지와 저항선으로서 의미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52K 의 다음 저항선은 57K 가 될 수 있으며 지지선은 48K 가 됩니다.
그렇다면 52K 가 고점일지 판단해보겠습니다. 가설에 따라 변동성 지표가 필요하고 논리를 강화하기 위해 하락 다이버전스가 나타나는지 관찰합니다.
아래와 같은 현상이 발견된다면 고점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1. 변동성 지표가 매우 떨어진다.
2. 각종 보조지표 (오실레이터) 의 하락다이버전스가 관찰된다.
현재 비트코인의 가격이 52K 인 시점에서 ATR, HV 지표는 과거 값과 비교했을 때 충분히 낮지 않고 Stoch (Stochastic) 지표도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 가격에 대한 지표는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적어도 변동성은 아직 충분히 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므로 52K 가 고점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없습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지금부터 나타날 움직입니다. 어느정도 조정이 필연적이라면 다음 고점이 어디가 될지가 중요합니다. 장기간 큰 조정없이 상승을 했기 때문에 다음에 보여주는 고점이 이번 상승의 최종적인 고점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조정없이 올라가기만 하는 차트는 없기 때문입니다.
현재 가장 확률이 높은 가격은 57K 입니다. 가설대로라면 57K 를 넘어 60K 이상 단번에 올라갈 확률은 낮습니다. 그리고 57K 에 이르렀을 때 차트를 분석한다면 그 가격이 고점인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최초에 과거 차트를 통해 52K 라는 목표값은 쉽게 유추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막상 이 가격에 도달하고 보니 고점이 아닌 것 같습니다.
단기간 예측은 비교적 쉽게 예상할 수 있지만 몇 개월 단위의 큰 움직임을 예측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57K 가 1년 넘게 이어온 상승의 끝이라면 그 다음에 많은 것들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고점을 예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으로 비트코인이 어떻게 움직일지 매우 기대됩니다.
#2024년2월9일 #비트코인 #관점 업데이트#2024년2월9일
#비트코인
#관점 업데이트
#요약정리
1개월 정도는 지지저항에 따라 롱 숏 롱 숏 하면서 놀 생각
현물 매수는 아직 관심 없으나 나중에 매수받으면 69k위에서 팔 것
#장기 (6개월 이상)
- 2024년 상반기 매수 각이 나오는지 볼 생각
- 개인적으로 마음에 드는 자리는 23 ~ 20k
- 그 이하 15k, 10k 까지도 고려는 했으나 체크만 해두는 정도
- 마음에 들지 않으면 현물 진입 X
- 그러나 만약 현물 진입 했을 경우 목표가는 69k 이상
#중기 ( ~6월?)
- 결국 조정이 있을 것으로 판단
- 이때 유의미한 구간은 36 - 34.5k
- 해당 구간에 도달 후 어떤 모습을 보이는지 면밀히 살펴보고 다음 세부 그림을 분석할 예정
#단기 (~3월?)
- 최근 고점 49k 이곳을 갱신할 가능성 있는 것으로 판단
- 그러나 고점(49k)으로부터 +10% 와 같은 상승은 안 보임
- 대략 +2000~2500불 내외? 예상하지만 정확히는 알 수 없음
#개인매매
#타점
- 대략 3월까진 고점 횡보 가능성이 높아 보임
- 롱숏 단타하면서 놀다가 결정적인 순간 포착되면 숏 진입할 생각
- 타점은 트뷰에는 공개 안 할 것. 텔레그램에만 공개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01-09 유로달러(EURUSD) 차트분석 및 포지션 대응2024.01.09 유로달러(EURUSD) 차트분석 및 포지션 대응입니다.
① 매수(long) 1.09500 이익실현(TP) 120
→ 유로달러가 저점을 높여나가고 고점 수렴을 받고 있는 트라이앵글 형태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매물대 또한 중심에 위치해있어 상승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습니다. 매수 진입 후 1.09400~1.09350 부근까지 하락할 수도 있으나 재차 상승하여 방향을 돌릴 것으로 예상중입니다.
▶ 01.09 현재 대응중인 포지션
- 없음
▶ 01.09 현재 대기중인 포지션
- ① 매수(long) 1.09500 이익실현(TP) 120
▶ 청산 및 취소된 포지션
- 없음
▶ 01.09 주요 지표 및 이슈
- 없음
12-21 유로달러(EURUSD) 차트분석 및 포지션 대응2023.12.21 유로달러(EURUSD) 차트분석 및 포지션 대응입니다.
① 매수(long) 1.09500 이익실현(TP) 120
→ 유로달러가 최근 주요 고점을 넘은 상황에서 하락 후 다시 지지받는 모습입니다. 재차 하락할 수 있으나 현재는 반등이 더 강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해당 부근 아래에 지지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어 상승 가능성을 더 높게 보고 있습니다.
▶ 12.21 현재 대응중인 포지션
- ① 매수(long) 1.09500 이익실현(TP) 120
▶ 12.21 현재 대기중인 포지션
- 없음
▶ 청산 및 취소된 포지션
- 없음
▶ 12.21 주요 지표 및 이슈
- 22:30 미국 GDP
- 22:30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 22:30 미국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활동지수(12월)
12-19 유로달러(EURUSD) 차트분석 및 포지션 대응2023.12.19 유로달러(EURUSD) 차트분석 및 포지션 대응입니다.
① 매도(short) 1.09200 이익실현(TP) 120
→ 유로달러가 트라이앵글 패턴을 그리며 저점을 높여나가고 있습니다. 파동을 길게 보면 상승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으나 파동을 그리는 과정에선 박스권 저항에 맞고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변동성이 줄어드는 구간입니다.
▶ 12.19 현재 대응중인 포지션
- 없음
▶ 12.19 현재 대기중인 포지션
① 매도(short) 1.09200 이익실현(TP) 120
▶ 청산 및 취소된 포지션
-<12.15 매수진입> 매수(long) 1.09900 이익실현(TP) 120 → 이익실현
▶ 12.19 주요 지표 및 이슈
- 19:00 유럽 소비자물가지수
#애플 #2023년12월16일 업데이트#애플
#2023년12월16일 업데이트
#AAPL
#일봉 차트
#장기관점 (변동없음)
- 애플은 2008년 이후 큰 조정 없이 상승만 했던 종목
- 아주 긴 시간(수년 단위)에 걸쳐 하락 및 수렴 진행될 것으로 판단
- 애플이 무너지면 나스닥도 무너질 것
#단기관점 및 현황
- 지난 게시글에서 190 - 185 구간 터치할 것으로 보았고,
- 해당 구간이 저항으로 작용할 것이라 판단했으나 정거장 역할 정도만 하고 돌파되었음
- 전일 12월 15일자 폭발적인 거래량이 발생
- 이는 2023년 만들어진 일봉 중 2번째로 높은 거래량
- 가격 변동폭은 크지 않음
-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곰곰히 생각해보면 좋을듯
#지지구간
178 - 176 (신규)
171 - 168
162 - 160
- 필자는 계속 구경할 생각
리딩아닙니다. 어디까지나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12-14 유로달러(EURUSD) 차트분석 및 포지션 대응2023.12.14 유로달러(EURUSD) 차트분석 및 포지션 대응입니다.
① 매수(long) 1.08920 이익실현(TP) 120
→ 달러의 급락으로 인한 유로달러의 급등세가 매우 강한 상태입니다. 현재 저항대를 모두 돌파하여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파동 및 패턴상 재차 급등할 것으로 예상중입니다. 조정폭이 다소 깊더라도 상승할 가능성을 높게 보는 중입니다.
▶ 12.14 현재 대응중인 포지션
- 없음
▶ 12.07 현재 대기중인 포지션
① 매도(short) 1.08920 이익실현(TP) 120
▶ 청산 및 취소된 포지션
-없음
▶ 12.14 주요 지표 및 이슈
- 21:00 영국 금리결정
- 22:15 유로존 금리결정
- 22:30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12-15 유로달러(EURUSD) 차트분석 및 포지션 대응2023.12.15 유로달러(EURUSD) 차트분석 및 포지션 대응입니다.
① 매수(long) 1.09900 이익실현(TP) 120
→ 유로달러의 급등세가 연일 지속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과이격 구간으로 중기 대응으로는 매수에 리스크가 큰 자리입니다. 하지만 단기 대응으로는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어 매수 진입 대기중입니다. 전고점 돌파가 예상되지만 돌파 시점부터 저항이 매우 강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 12.15 현재 대응중인 포지션
- 없음
▶ 12.15 현재 대기중인 포지션
① 매수(long) 1.09900 이익실현(TP) 120
▶ 청산 및 취소된 포지션
-없음
▶ 12.15 주요 지표 및 이슈
- 17:30 독일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 18:00 유로존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 23:45 미국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
11-27 유로달러(EURUSD) 차트분석 및 포지션 대응2023.11.27 유로달러(EURUSD) 차트분석 및 포지션 대응입니다.
① 매도(short) 1.09600 이익실현(TP) 120
→ 유로달러가 전고 부근 상승 시도를 보이고 있으나 급락 후 급반등했기 때문에 전고점을 돌파하더라도 일부 하락한 후에 상승할 것으로 판단하여 매도 진입 대기중입니다. 다만 저항 매물이 세지 않아 손절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② 매수(long) 1.09200 이익실현(TP) 120
→ 파동상 전고 부근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나 조정 후 재차 상승할 것이라 판단됩니다. 이에 1.09200 매수진입 대기중입니다. 1.09100 부근이 지지대로 작용하고 있어 100포인트 이상 하락할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습니다.
③ 매수(long) 1.08700 이익실현(TP) 120
→ 중기 파동상 추세선을 깨지 않고 계단식 상승하고 있어 매수 진입 대기중입니다. 다만, 금일 주요 지표가 없어 매수 진입 가능성은 다소 낮은 편입니다.
▶ 11.27 현재 대응중인 포지션
- 없음
▶ 11.27 현재 대기중인 포지션
① 매도(short) 1.09600 이익실현(TP) 120
② 매수(long) 1.09200 이익실현(TP) 120
③ 매수(long) 1.08700 이익실현(TP) 120
▶ 청산 및 취소된 포지션
· <11.20 주문> 매도(short) 1.09400 이익실현(TP) 120 → 이익실현
· <11.20 주문> 매수(long) 1.08850 이익실현(TP) 120 → 이익실현
· <11.20 주문> 매수(long) 1.08300 이익실현(TP) 120 → 취소
▶ 11.27 주요 지표 및 이슈
- 없음
11-20 유로달러(EURUSD) 차트분석 및 포지션 대응2023.11.20 유로달러(EURUSD) 차트분석 및 포지션 대응입니다.
① 매도(short) 1.09400 이익실현(TP) 120
→ 유로달러가 최근 과이격 상태로 추세를 유지하며 상승하는 중입니다. 1.09400 피봇 1차저항(R1) 부근까지 상승하더라도 차익실현 물량 출회로 인한 하락 가능성이 있어 매도 진입 판단하였습니다.
② 매수(long) 1.08850 이익실현(TP) 120
→ 유로달러가 1.09400 부근까지 상승 후 조정 하락이 나오거나 현재 가격 근처에서 하락한 후1.08850에서 반등할 가능성이 있어 1.08850에 매도 진입 대기중입니다. 매물대가 주요지지 구간으로 자리잡고 있어 상승할 것으로 판단중입니다.
③ 매수(long) 1.08300 이익실현(TP) 120
→ 단기 1.08300까지 빠른 속도로 하락한다면 과매도로 판단하여 급반등이 나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최근 전저점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하락하기 전 반발매수세가 유입될 수 있어 매수 진입 대기중입니다.
▶ 11.20 현재 대응중인 포지션
- 없음
▶ 11.20 현재 대기중인 포지션
① 매도(short) 1.09400 이익실현(TP) 120
② 매수(long) 1.08850 이익실현(TP) 120
③ 매수(long) 1.08300 이익실현(TP) 120
▶ 청산 및 취소된 포지션
· <11.15 주문> 매도(short) 1.09000 이익실현(TP) 120 → 취소(1.08650 먼저 도달)
· <11.15 진입> 매수(long) 1.08650 이익실현(TP) 120 → 이익실현
· <11.15 주문> 매수(long) 1.08000 이익실현(TP) 120 → 취소
▶ 11.20 주요 지표 및 이슈
- 없음
11-15 유로달러(EURUSD) 차트분석 및 포지션 대응2023.11.15 유로달러(EURUSD) 차트분석 및 포지션 대응입니다.
① 매도(short) 1.09000 이익실현(TP) 120
→ 전일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로 유로달러가 박스 저항권을 모두 뚫고 폭등하였습니다. 그로 인해 현재 유로달러의 이격이 매우 커진 상태이며, 일부 추가상승 후에 하락으로 전환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② 매수(long) 1.08650 이익실현(TP) 120
→ 유로달러 급등 이후 현재 과이격 부근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저점을 다지고 일부 추가할 가능성이 있어 1.08650에 매수 진입 대기중입니다. 하지만 매수 진입 전 1.08900을 먼저 상승 돌파한다면 1.08650 매수 진입 포지션의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③ 매수(long) 1.08000 이익실현(TP) 120
→ 되돌림 파동으로 유로달러는 1.08100~1.07900까지 급락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해당 부근에서 반등 후 다시 재차 하락할 수 있어 매수 진입 대기중입니다.
▶ 11.15 현재 대응중인 포지션
- 없음
▶ 11.15현재 대기중인 포지션
① 매도(short) 1.09000 이익실현(TP) 120
② 매수(long) 1.08650 이익실현(TP) 120
③ 매수(long) 1.08000 이익실현(TP) 120
▶ 청산 및 취소된 포지션
· <11.14 진입> 매도(short) 1.07000 이익실현(TP) 120 → 손절
· <11.14 진입> 매도(short) 1.07850 이익실현(TP) 120 → 손절
▶ 11.15 주요 지표 및 이슈
- 22:30 미국 소매판매
- 22:30 미국 생산자물가지수
10-31 유로달러(EURUSD) 차트분석 및 포지션 대응2023.10.31 유로달러(EURUSD) 차트분석 및 포지션 대응입니다.
① 매수(long) 1.05900 이익실현(TP) 120
→ 전일 저항대로 작용하던 1.05950이 돌파되면서 지지대로 작용하는 중이며, 의미 있는 거래량까지 발생하여 추가 상승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다만, 금일 19시에 예정되어 있는 유럽 소비자물가지수의 발표로 변동성이 커질 수 있어 순간 급락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10.31 현재 대응중인 포지션
- 없음
▶ 10.31 현재 대기중인 포지션
① 매수(long) 1.05900 이익실현(TP) 120
▶ 청산 및 취소된 포지션
· <10.30 진입> 매도(short) 1.05950 이익실현(TP) 100 → 이익실현
· <10.30 진입 대기> 매수(long) 1.05350 이익실현(TP) 100 → 취소
▶ 10.31 주요 지표 및 이슈
- 19:00 유럽 소비자물가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