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11만 달러, 이게 진짜 끝일까? 🚨“비트코인 11만 달러, 이게 진짜 끝일까? 🚨
1️⃣ 지금 비트코인은 고점 $124,000 대비 약 −11% 하락한 $110,000선이야. 그런데 과거 사이클에서 −52% 조정 후에도 신고가를 찍은 적 있다는 거, 기억해야 돼.📉
2️⃣ 만약 이번에도 −50% 급락이 온다면? $62,000 수준까지 열려 있어. 근데 이게 사이클 끝을 의미하지는 않아. 과거에도 똑같은 ‘심장 쫄깃’ 조정은 늘 있었거든.💡
3️⃣ 만약 $124,000이 진짜 천장이었다면? 이번 사이클은 역대 가장 빠른 고점 형성이라는 기록을 세워야 돼. 2017년엔 12월, 2021년엔 11월이었는데 지금은 너무 이르다는 거지.⏳ (이어서 계속👇)
4️⃣ 또, 사이클 끝에는 늘 ‘알트 불꽃놀이’가 있었어. 근데 지금 ETH는 고작 $4,300, 이전 고점 살짝 넘은 정도야. 알트코인 광란이 아직 안 왔다는 게 포인트🔥
5️⃣ 글로벌 M2 대비 비트코인 시총 비율을 보면, 지금은 단순히 스프레드가 벌어진 상태일 뿐. 이 지표가 가리키는 목표는 $180,000~$200,000까지야.📊
6️⃣ CZ가 2020년에 남긴 트윗 기억나? “BTC $101,000에서 $85,000 폭락 기사 기다린다.” → 결국 현실이 됐고, 지금도 똑같은 내러티브가 반복되는 중. 역사적 패턴은 사람 심리를 그대로 복제한다는 거지.🔁
7️⃣ 숫자로 보면 지금은 ‘위기’보다 ‘할인 판매’에 가까워. 한때 85K가 꿈같던 가격이었는데, 지금은 110K가 싸다고 느껴지는 시점이 올 거야.🤯
8️⃣ 특히 올해 말 예정된 Genius Act 통과와 401k 자금 유입은 게임 체인저야. 기관 머니가 강제로 흘러들어오는 구조라서, 사이클의 힘을 억지로라도 연장시켜.💵
9️⃣ 그래서 전략은 단순해. 현금(드라이파우더)을 가지고 자동매수 주문을 깔아두는 것. 패닉을 기회로 전환하는 건 결국 준비된 사람의 몫이지.🛒
🔟 결론: 11만 달러 하락은 사이클 붕괴의 신호가 아니라, 오히려 $200,000을 향해 가는 과정의 일부일 가능성이 훨씬 크다. 지금 겁내는 사람과 담담히 매수하는 사람, 2년 후 결과는 하늘과 땅 차이일 거야.🚀
이 패턴, 똑같이 반복돼. 숫자만 바뀔 뿐, 심리와 결과는 늘 같아.
👉 너라면 지금 겁을 낼 거야? 아니면 미래의 승자 포지션을 잡을 거야?
트렌드 어낼리시스
션타임 아카데미 - USDJPY(엔화) 추세 분석구독자 여러분 모두 반갑습니다.
개인적 의견 공유는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부스터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키 포인트
- 트럼프 미 대통령은 트루스 소셜을 통해 부당 주택담보대출 혐의를 받고 있는 리사 쿡 연준 이사에게 해임을 통보하는 내용의 서한을 공개,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에서 미국민은 정책 입안과 연준 감독을 맡긴 이사들의 정직성을 완전히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 금융 사안과 관련한 당신의 기만적이고 범죄일 수 있는 행동을 고려하면 미국민들은 당신을 신뢰할 수 없으며 난 당신의 진실성을 신뢰할 수 없다"라고 밝힘
- 잭슨홀 미팅에서 파월 연준 의장이 금리 인하를 시사한 가운데, 연내 남은 3 차례의 fomc 회의 동안 총 금리 인하 횟수의 컨센서스가 여전히 2회로 유지되고 있다는 점에서 연준이 강도 높은 금리인하 기조를 가져가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강해짐
- 현재 반대 여론이 80%를 넘는 등 벼랑 끝에 몰린 프랑스의 바이루 총리는 재정 긴축을 추진하기 위한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9월 8일 의회에 정부에 대한 신임 투표를 요청하겠다고 발표 함.
-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우에다 가즈오 총재는 일본 내 임금 상승세 확산을 언급하며 통화 정책 정상화 조건이 갖춰지고 있다라고 말하며 금리인상 사이클 재개에 대한 기대감을 키움
이번 주 주요 경제 일정
+ 8월 26일: 미국 8월 CB 소비자신뢰지수
+ 8월 28일: 미국 2분기 GDP
+ 8월 29일: 독일 8월 소비자물가지수, 미국 7월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USDJPY 차트 분석
최근 149 라인 부근까지 상승했지만, 결국 무너지면서 급락세를 보였습니다. 이후, 반등에 성공하며 148 라인까지 올라온 상황입니다. 아직은 상승 흐름이 완전히 꺾인 것은 아니기에 151 라인까지 상승 가능성이 하락보다는 우세해 보입니다. 다만, 만약 하락세로 전환될 경우 144 라인까지 내려올 가능성이 있어 경계할 필요는 있겠습니다.
비트코인 2.7십억 달러 ‘스위치’ vs 이더리움 사상 최고가… 이번 주 진짜 판 깐다비트코인 2.7십억 달러 ‘스위치’ vs 이더리움 사상 최고가… 이번 주 진짜 판 깐다
일요일 저녁, 24,000 BTC가 한꺼번에 Hyperliquid로 흘러들어가자 45분 만에 비트코인이 114,666→110,802달러로 -3,864달러 직선 낙하 📉
같은 시각, 이더리움은 4,955.90달러로 2021년 이후 첫 ATH를 찍고 도미넌스 14.66%까지 치고 올림 🚀
이건 그냥 ‘덤핑’이 아니라 구조적 회전의 시그널이다. 이어서 계속👇 (이어서계속)
1️⃣ 주말 유동성 한복판 공략 💥
일요일 19:31(UTC) 스타트, 얇은 호가·낮은 참여자 구간에 현물+파생을 겹쳐 누르니 가격 임팩트가 기하급수로 커졌고, 결과는 - $3,864 급락과 공포 확산—타이밍 자체가 ‘유동성 아비추레이지’였다는 얘기야.
2️⃣ 청산 도미노의 정석 📉🧨
1시간 롱 청산만 3억 달러+, 24시간 누적 8 ~9억 달러—Bybit 약 3.04억(그중 롱 87%), Binance 2.09억, OKX 1.17억 추정. 보이는 그대로야: 낙관 레버리지 쏠림이 주말 한 방에 털렸다.
3️⃣ 고래의 진짜 의도는 ‘스위치’ ♻️
핵심은 현금화가 아니라 회전이야. 22,769 BTC를 472,920 ETH로 바꿨고, 그중 275,500 ETH는 스테이킹에, 또 다른 트랜치로는 Hyperliquid에서 약 135,2xx ETH 롱을 세웠지. 셋업 자체가 BTC→ETH 3단 콤보다.
4️⃣ 잔탄은 여전히 크다 🐋🧱
팔고도 남은 잔고가 152,874 BTC. 이번에 처분한 건 대략 보유분의 13% 수준. 즉, ‘전량 엑싯’이 아니라 ‘테마 로테이션’에 가깝고, 남은 물량이 향후 변동성의 촉매로 남는다는 뜻이야.
5️⃣ ETH가 강했던 이유를 수치로 🔧📊
ATH 4,955.90달러, 도미넌스 14.66% 근처, 스테이킹 락(누적 35 ~36M ETH, 공급의 약 30%)—여기에 현물 ETF 자금 유입 스토리와 ‘스테이킹 허용’ 이슈 기대감이 겹쳤다. 다만 네이티브 스테이킹 이자율은 본질적으로 ~3%대고, 10%+ 수익률은 레버리지·리-스테이킹을 섞은 ‘다른 게임’이라는 걸 잊지 말자.
6️⃣ DEX의 주연 등극: Hyperliquid 현상 🌊⚙️
스팟 거래량 하루 34억 달러, BTC 일일 15억 달러, 스테이블코인 유입 +2.56억 달러 급증—고래 트래픽이 DEX 마켓셰어를 끌어올리면서 가격·유동성 충격이 중앙화 거래소(CEX) 밖에서도 증폭되는 새 지형을 보여줬다.
7️⃣ 비트코인의 ‘충격 흡수력’은 예전과 다르다 🛡️
규모 27억 달러급 매도에도 낙폭이 -3~~4% 선에서 멈췄다는 건 ETF 도입 이후 현물·파생·기관 수요가 만든 완충 장치가 작동했다는 뜻. 2017~~18식 반토막 공포는 같은 강도로 재현되기 어렵다—대신 ‘짧고 굵은’ 변동성으로 형태가 바뀐 거지.
8️⃣ 하지만 주말 리스크는 구조적으로 남아 있다 ⏳🔻
얇은 호가+높은 레버리지=청산 연쇄 공식은 변하지 않았다. 특히 토·일·공휴일 밤엔 슬리피지와 강제청산이 빠르게 겹친다. 내 플레이북? 주말엔 레버리지 억제, 스탑로스 확정, 증거금 버퍼 넉넉히—살아남는 게 알파다.
9️⃣ 앞으로의 변수 체크리스트 🧭
고래 주소군 추가 이동(더 파느냐 멈추느냐), 청산 히트맵·OI 축소 추세, 펀딩레이트(음전환 지속 여부), ETH/BTC 레시오 추세, Hyperliquid 스테이블 유입 유지, 그리고 ETF ‘스테이킹 허용’ 규정변경 심사 타임라인—이 6가지가 다음 변동성의 방향을 결정한다.
🔟 내 결론과 전략적 해석 🧠🔥
이번 에피소드는 “BTC=디지털 금(저변확대+완충), ETH=수익형 플랫폼(스테이킹+네트워크 수요)”로 내러티브가 더 또렷해졌음을 증명했다. 단기엔 BTC 쇼크→알트 로테이션이 반복될 수 있지만, 진짜 성패는 데이터 준수에 달려 있어: 가격보다 중요한 건 포지션 관리, 레버리지 통제, 그리고 테마가 바뀌는 순간(ETH 도미넌스 유지/확대, ETF 관련 이벤트) 즉시 포지션을 회전할 준비가 돼 있느냐야.
이렇게 정리할게. 내 시야에선 “주말 밤의 드라마”는 끝이 아니라 4분기 로테이션의 프롤로그다—숫자는 이미 말해줬고, 다음 장면은 우리가 리스크를 어떻게 다루느냐로 결정된다.
빚은 굴레가 아니다, 비트코인 시대엔 불쏘시개다빚은 굴레가 아니다, 비트코인 시대엔 불쏘시개다”🔥
1️⃣ 글로벌 M2 통화량은 25년간 4.7조 → 94.7조 달러, 무려 +1920% 폭등📈 연평균 상승률만 따져도 11%, 위기 시기엔 단 2년 만에 +30% 치솟았어. 이건 돈의 가치가 매년 녹아내린다는 뜻이지.
2️⃣ 공식 CPI 물가상승률? 그건 장식품일 뿐이지. 실제 생활비 체감 물가는 연 15% 이상 올라. 세금, 교육, 의료, 주거 다 포함하면 “돈은 매년 증발”한다는 게 진짜 진실이야.
3️⃣ 자, 여기서 역설이 터져. 채무자는 시간이 갈수록 유리한 구조야. 빚은 녹아내리고 돈 가치는 떨어져. 즉, 빚은 독이 아니라 무기라는 거지. (이어서 계속👇)
4️⃣ 예를 들어 지금 5천만 원 빌리면, 10년 후 그 빚의 실질가치는 절반 이하로 녹아버려. 인플레가 알아서 빚을 갉아먹는 셈이야. 💸
5️⃣ 카드값도 마찬가지. 10만 원을 36개월 할부로 밀어버리면, 미래에 갚는 그 돈은 지금 가치로 치면 8만 원 → 5만 원 수준밖에 안 돼. 물가가 계속 오르니까 갚을수록 이득이지.
6️⃣ 그런데 비트코인을 얹으면 게임은 달라져. 2009년 이후 비트코인의 누적 상승률은 3,880만%, 연평균 수익률은 139.9% 😱 채무자의 무기 + 비트코인의 상승률 = 빚을 태워버리는 엔진.
7️⃣ 풀대출로 비트코인을 사면? 인플레가 빚을 녹이고, 비트코인은 구매력을 폭발적으로 키워. “빚으로 사는 자산”이 아니라 “빚이 자산을 키우는 시스템”이 되는 거야.
8️⃣ 여기서 중요한 건 세 가지. 첫째, 명확성: 돈은 매년 가치 하락, 빚은 녹는다, 비트코인은 오른다. 둘째, 용기: 남들 겁낼 때 빚으로 BTC 사는 담력. 셋째, 행동: 매달 묻지마 DCA, 절대 팔지 않기.
9️⃣ 부자와 빈자를 가르는 건 이 단순한 구조를 이해했느냐 아니냐야. 빚을 두려워하는 사람은 인플레 앞에 매번 지고, 빚을 활용하는 사람은 매년 더 자유로워져. 🔑
🔟 결국 답은 하나야. 빚은 굴레가 아니라 비트코인을 태우는 연료다. 인플레 시대, 채무자는 패자가 아니라 진짜 승자야. 지금 선택 안 하면? 기회는 그냥 증발한다. 🚀
👉 너라면, 아직도 카드값 조기상환하며 벌벌 떨래? 아니면 풀대출 땡겨서 비트코인 태워 부의 사다리를 탈래?
로버트 기요사키가 말한 진짜 위기와 기회... 답이 보인다로버트 기요사키가 말한 진짜 위기와 기회... 답이 보인다”🚨
세상이 이렇게 위험했던 적이 있을까? 글로벌 경제는 한 번도 이런 상황을 겪은 적이 없고, 이번엔 그냥 불황이 아니라 ‘글로벌 대공황’급이라고 한다. 하지만 위기는 동시에 최고의 기회이기도 하다.
💥 대부분 사람들은 아직 아무것도 모르고 즐겁게 살아가지만, 나는 숫자를 보면 소름이 돋는다. (이어서 계속👇)
1️⃣ 2008년 리먼 파산 전 6개월, 기요사키는 “리먼 무너진다” 경고했지만 아무도 듣지 않았다. 실제로 리먼은 파산했고, 이후 세계 금융위기 촉발 → 그는 위기 때 더 큰 돈을 벌었다는 사실이 포인트.
2️⃣ 2025년 현재, 미국은 1년에만 5천억 달러(약 680조 원)를 ‘리포시장 구제’ 명목으로 찍어냈다. 그런데 일반인 90%는 리포 시장이 뭔지도 모른다. 이게 ‘가짜 돈 시스템’의 실체라는 것.
3️⃣ 달러는 1971년 금 태환 폐지 이후 ‘빚=돈’ 체제로 바뀌었다. 빚을 무한정 찍어내는 구조라서 ‘달러 붕괴 → 세계 동반 침체’ 시나리오는 그냥 과장이 아니라 수학적으로 필연.
4️⃣ 은퇴자 문제: 미국 소방관 평균 연금 120만 달러 지급 약속, 그러나 실제 준비금 0. 이미 연금은 월가가 털어갔고, 다음 붕괴 때 피해자는 은퇴자·납세자·자녀 세대.
5️⃣ 호주, 30년 만에 불황 돌입. 아르헨티나 파탄, 일본·중국·이탈리아·독일 모두 재정 위기. 글로벌 고령화 속에서 10년 내 20억 명 은퇴, 부양 부담 폭발한다는 게 진짜 리스크.
6️⃣ 기요사키의 첫 투자: 1972년 50달러에 산 금화, 지금 2,000달러 가치. 단순 계산으로 40배 성장. 그래서 그는 여전히 ‘달러 대신 금·은’만 신뢰한다.
7️⃣ 실버(은화)는 지금 개당 20달러. 역사적 고점 50달러 대비 반토막 이하. 기요사키는 ‘지금 가장 저평가된 자산’이라고 말한다. 20달러 → 50달러 리턴은 단순히 2.5배.
8️⃣ 2008년 금융위기 때 그는 부채로 수백억 원 규모의 부동산을 매입해 평생 최고 수익을 올렸다. 요지는 위기 때 남들이 버린 ‘쓰레기 자산’을 줍는 자가 승자라는 것.
9️⃣ 버핏도 위기 때 현금 들고 대기, 폭락 후 헐값 기업 인수로 부를 불렸다. 현재 버핏은 현금 비중 확대 중 → 역사적으로 이는 “대폭락 직전”의 시그널일 가능성.
🔟 결론: 세계는 ‘모든 자산 버블(부동산·주식·채권)’ 사상 최대 단계에 진입했다. 붕괴는 공포겠지만, 기요사키는 “이건 평생 단 한 번 올 최대 기회”라고 단언한다.
👉 위기는 분명 오고 있다. 하지만 선택은 우리 몫이다. 누군가는 파산하고, 누군가는 평생 먹을 기회를 잡는다. 나는 지금이 “은·금·현금 확보 + 부채 활용 준비”를 할 마지막 순간이라고 본다.
비트코인, 왜 자꾸 눌리냐고? 글로벌 자산이 된 순간부터 게임의 룰이 달라졌다비트코인, 왜 자꾸 눌리냐고? 글로벌 자산이 된 순간부터 게임의 룰이 달라졌다”🔥
1️⃣ 📉 비트코인, 글로벌 자산 비중 1.7% 돌파 후 급락
달러·채권·주식과 같은 ‘관리 대상’ 자산 반열에 올랐다는 뜻이죠. 이제 가격은 단순 수요·공급이 아니라 정치·통화정책에 직접 연결돼 움직입니다.
2️⃣ 💵 워렌 버핏의 1,800억 달러 현금 vs 다빈치의 올인 비트코인
버핏은 항상 현금을 쥐면 S&P500을 언더퍼폼했고, 반대로 BTC 홀더는 인플레 시기에 자산가치를 방어했습니다. 현금과 비트코인 중 뭘 들고 있느냐가 미래 자산격차를 만듭니다.
3️⃣ 📊 빚이 달러 가치를 지탱한다 (이어서 계속👇)
비트코인 담보대출로 달러를 빌리면 결국 갚아야 하기에 달러 수요가 유지됩니다. 그래서 달러는 생각보다 오래 버티고, 그 사이 BTC는 점진적으로 자산 흡수율을 키워갑니다.
4️⃣ 🌀 빚 구조의 함정 = 통화량은 줄어들 수 없다
누군가 빚을 갚으면 통화가 사라지지만, 시스템은 항상 신규부채로 그 이상을 찍어냅니다. 결국 M2는 25년간 +1,920% 폭등(4.7조→94.7조 달러) 했고, 이 구조는 ‘무한팽창→붕괴’의 길로 갑니다.
5️⃣ 🎭 현금이 많을수록 가격을 ‘관리’한다
현금을 쥔 세력은 싸게 매수하려고 자산을 의도적으로 눌러버립니다. 특히 레버리지 홀더가 많을수록 청산유도로 손쉽게 가격을 낮출 수 있죠. BTC 주말 급락의 본질은 바로 이 ‘관리’입니다.
6️⃣ 📌 차트 시그널: 비트코인 약세, 알트코인 강세
BTC는 3번의 ‘하락 고점(lower high)’과 ‘하락 저점(lower low)’을 만들며 단기 베어마켓 구조. 반면 솔라나·카르다노·BSC 등은 돌파 패턴을 만들며 상대적 강세 흐름을 보였습니다.
7️⃣ 📈 솔라나: ‘파킹 가라지’ 패턴 돌파
솔라나는 연속적인 박스권(가라지)을 뚫으며 상방을 테스트 중. 컵앤핸들·더블바텀 패턴이 확인되면 다음 목표는 직전 상단 그린라인, 단기 트레이더들의 핵심 매도 구간입니다.
8️⃣ ⚖️ 리스크·보상 비율 2:1 전략
솔라나 롱 포지션은 스탑로스를 추세선 아래에 두고, 수익 목표는 다음 저항선. 기대수익 대비 리스크를 2:1로 맞추면 단기 트레이드에선 가장 현실적인 전략이 됩니다.
9️⃣ 🔮 이더리움: 바트심슨 리스크
ETH도 단기상승 이후 ‘Bart Simpson’ 패턴(급상승→횡보→급락) 가능성 존재. BTC와 함께 관리 대상이 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단기 급락 리스크를 염두에 둬야 합니다.
🔟 🚨 결론: BTC는 이제 ‘글로벌 매크로 관리 대상’이다
달러·채권과 같은 자산처럼 눌리고, 조정받고, 다시 키워지는 사이클에 들어섰습니다. 앞으로 몇 년간 알트코인→BTC→다시 알트 순환장이 반복되며, 현금을 들고 있는 자와 BTC를 들고 있는 자의 격차는 점점 벌어질 겁니다.
비트코인, 함정에 빠지면 끝장난다… 진짜 반등은 이렇게 온다“비트코인, 함정에 빠지면 끝장난다… 진짜 반등은 이렇게 온다”🚨
1️⃣ 비트코인 주간 캔들 60%가 빨간색으로 마감됐다는 건 단순한 조정이 아니라, 시장이 반등 전 마지막 함정을 깔고 있다는 신호예요. 반등은 항상 가장 많은 불신 속에서 옵니다.
2️⃣ 110,500달러 저점 찍고 113,000달러 반등했지만, 주간 흐름은 여전히 약세였죠. 이건 단순한 반등이 아니라 유동성 테스트—즉, 큰 돈이 들어오기 전 “가짜 하락”일 수 있어요.
3️⃣ 이더리움은 오히려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고, 솔라나는 레인지 고점 돌파, 알트코인 도미넌스는 추세를 잃었어요. (이어서 계속👇)
4️⃣ 주간 차트 기준 BTC 도미넌스가 무너진 건 알트 시즌 개막 신호예요. 단기적으로 소폭 반등할 수 있어도 결국 50% 초반까지 빠질 가능성이 커요. 자금이 알트코인으로 이동한다는 뜻이죠.
5️⃣ RSI 리셋은 오히려 호재예요. 지난번 RSI 리셋 후 비트코인은 8만 → 12.3만 달러로 폭등했어요. 지금도 같은 패턴이 반복 중이고, 이번 목표는 14만~15만 달러 구간으로 보입니다.
6️⃣ ETH는 이미 $4,500 돌파, 다음 목표는 $5,800. 솔라나는 숏 스퀴즈로 $220~240 구간까지 급등할 수 있어요. 대형 알트의 추세 전환은 결국 중소형 알트·밈코인으로 불길이 번지죠.
7️⃣ 알트 전체 시가총액(Total 3)이 사상 최고치를 향하는 중이에요. 이건 단순한 차트 신호가 아니라, “광풍 모드”로 가기 직전이라는 뜻. 밈코인, 로또코인들이 뒤늦게 폭발하는 구간이 다가옵니다.
8️⃣ 단기적으로는 BTC 108,000~112,000 구간에 강력한 지지선이 깔려 있어요. 숏이 과도하게 쌓인 상태라, 이 자리는 폭발적 숏 스퀴즈(V자 반등)의 발화점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9️⃣ 카르다노(ADA), 도지(DOGE), 체인링크(LINK) 같은 토큰들은 지금 “숨 고르기” 중이에요. 하지만 DOGE는 이번 사이클에서 0.40달러까지 펌핑 가능성이 있다는 게 핵심.
🔟 결론은 단순합니다. 비트코인은 함정(트랩)을 만들어 불신을 키운 후 반등합니다. 함정에 빠지지 말고, 지지선 근처에서 인내심 있게 베팅하는 사람만 진짜 메가 사이클의 수익을 가져가요.
👉 핵심: “돈은 조급한 사람에게서 인내심 있는 사람에게로 이동한다.”
👉 지금은 ‘반등 전 불신의 시간’, 함정에 속지 않고 기다리는 자가 최종 승자입니다.
비트코인, 진짜 ‘천국의 계단’ 꺾였다… 이게 왜 무서운 신호인지 숫자로 까봤다🔥“비트코인, 진짜 ‘천국의 계단’ 꺾였다… 이게 왜 무서운 신호인지 숫자로 까봤다”🔥
이어서 계속👇
1️⃣ 24,000 BTC(약 2.7조 원) 한 방 매도 로 시장이 그대로 흔들렸어. 그냥 소문이 아니라 직접 오픈마켓에 던졌다는 게 핵심이야. 이게 바로 이번 하락의 ‘직격탄’이 된 거지. 📉
2️⃣ 차트 상 더블탑(Double Top) 패턴 이 완전히 무너졌어. 넥라인이 깨졌다는 건 단순한 흔들림이 아니라, 기술적으로 추세 전환 시그널 일 수 있다는 거야. ⚠️
3️⃣ 11.9만 달러(119k) 구간은 5월부터 철벽처럼 지켜온 지지·저항선인데, 여기서 무너지면 단순 조정이 아니라 ‘국면 전환’으로 갈 수도 있어. 🧱
4️⃣ 만약 오늘 일봉이 이 상태로 마감하면, 내일 반등이 없다면 확정적 하락 추세 로 인정해야 돼. 단순 테스트 후 다시 밀리는 그림은 시장 심리를 완전히 꺾어버려. ⏳
5️⃣ 다음 지지선은 10.5만 ~10.6만 달러 , 이건 Benjamin Cohen이 말한 Bull/Bear Market Support Band 랑 정확히 겹쳐. 이 라인 깨지면 진짜 긴 하락장이 열릴 수 있어. 🕳️
6️⃣ 지금 그 밴드가 베어리시 크로스 를 만들고 있어. 과거에도 이게 나오면 94k → 77k (-30%) 급락이 나왔어. 이번에도 같은 패턴이 반복될 수 있다는 경고 신호야. 🚨
7️⃣ 달력도 문제야. 9월은 전통적으로 비트코인의 최악의 달 이야. 통계적으로 8월 말 ~9월 초 조정은 거의 매번 반복됐지. 그래서 더 무서운 거야. 📅
8️⃣ 알트코인 시장도 같이 흔들렸어. Total3(이더 제외 알트 총합) 이 1.01조 달러까지 내려왔고, 대부분이 이미 바닥권이야. 역설적으로는 지금이 장기 매집 기회 일 수도 있지. 💎
9️⃣ 이더리움은 상대적으로 강해. 아직도 $4,000 ~ $4,300대 지지 를 유지하고 있어. BTC보다 강한 구조라서 결국은 ETH/BTC 페어가 상승 전환 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
🔟 결론은 간단해. 비트코인 단기 톱 가능성 이 점점 높아지고 있어. 하지만 구조적으로는 ‘대세 하락장’보다는 중기급 조정(-25 ~30%) 후 다시 상승 준비를 할 가능성이 커 보여. 지금은 방어적 포지션 을 유지하는 게 맞아. 🛡️
일해서는 절대 부자 못 된다… 자본만이 당신을 살린다 (비트코인·이더리움 리얼 데이터 분석)🔥“일해서는 절대 부자 못 된다… 자본만이 당신을 살린다 (비트코인·이더리움 리얼 데이터 분석)”🔥
이어서 계속👇
1️⃣ 직장인은 평생 30년을 갈아 넣어도 결국 세금·물가·대출 이자에 다 털려 . 9 to 5로는 절대 자본가의 게임에 못 끼는 구조야 📉
2️⃣ 미국 평균 주택 가격이 이미 100만 달러(약 14억 원) 이상 인데, 연봉 10만 달러로는 세금 빼면 남는 게 없어. “억대 연봉 = 부자”라는 환상은 끝난 지 오래야 💸
3️⃣ 진짜 부자들은 일하지 않고, 자산이 연평균 30% 불어나는 구조 를 타. 비트코인이 지난 15년간 모든 ‘바이더딥’에서 100% 승률을 찍은 게 대표적 사례야 📊 (이어서 계속)
4️⃣ 이더리움은 이번 달에만 +23% 상승 했지만, 실상은 메이저 기업들의 금고 펌핑 으로 만든 ‘밈스탁 장세’에 가까워. GameStop, AMC랑 다를 게 없다는 거지 🃏
5️⃣ 온체인 데이터를 까보면, Base·Arbitrum·Polygon·Optimism 4개 합쳐도 최근 한 달 이더리움에 낸 가스비는 고작 20만 달러 수준 . 연간으로 200만 달러 남짓이면, 글로벌 체인치곤 처참한 숫자야 🔍
6️⃣ 스테이블코인 거래량 기준으로는 이더리움 점유율이 단 3% . 반면 트론·바이낸스·솔라나가 메인 무대를 먹고 있어. “ETH는 고스트 체인”이라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니야 👻
7️⃣ 반대로 비트코인은 단순해. 진입·청산 타이밍을 두 번 고민할 필요 없이 ‘그냥 사서 들고 있으면 됨’ . 알트는 매번 타이밍 싸움인데, 비트코인은 구조적으로 ‘시간이 돈’이야 ⏳
8️⃣ 지금 로빈후드 마진 이율이 5.55% , 만약 연 30% 수익률이 보장된다고 가정하면 레버리지를 쓰는 게 훨씬 합리적이지. 결국 핵심은 ‘노동’이 아니라 자본 레버리지 야 🏦
9️⃣ 역사적으로도 매년 9월 비트코인은 평균 하락했지만, 그 모든 하락은 다 ‘저가 매수 기회’였어. 트럼프 집권기 끝까지 유동성 공급이 이어진다면, 이번 사이클은 역대 최장·최대 강세장 이 될 수도 있어 🚀
🔟 결론은 간단해. 일은 절대 부를 못 만든다. 자본이 만든다. 직장을 붙잡는 대신 지금 당장 자본을 확보하고, 레버리지·자산 배분·비트코인 포지셔닝을 해야 살아남을 수 있어. 🛡️
8/26 미국 증시와 비트코인뉴욕증시는 하락 마감했습니다. 금리 인하 낙관론이 잦아들면서 시장 참여자들은 오는 27일 인공지능(AI) 칩 선두주자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를 주목하고 있습니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다소 가라앉으면서 이날 증시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됩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22일 잭슨홀 연례 심포지엄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으나 재개 시기나 속도에 대해선 신중함을 강조했습니다. 이에 시장에선 연내 금리 인하폭이 예상보다 작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은 오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82.8%로 보고 있습니다. 파월 의장의 발언 직후 90%를 넘었던 확률이 하향 조정됬습니다.
비트코인 가격은 110.5k 아래로 떨어지며 현재 109.5k 부근에서 가격 형성중입니다. 112k 위로 다시 안착한다면 추세전환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현재로서는 하락추세가 강해보입니다. 107k 까지는 열어놓고 대응이 필요해 보이며 107k에서 반등하면서 상승추세 나오거나 추세전환하지 못하고 하락할 수 있어서 107k 까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투자는 본인의 선택입니다.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차트무당 마코 8월 25일 월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8월 25일 월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요약 정리 입니다.
22일 금요일 비트코인 움직임을 간단히 캡쳐본으로 대체 하겠습니다.
25일 월요일 비트코인 움직임은 앞전에 설명 드렸던 내용을 요약 정리 하겠습니다.
1. 112,999 자리를 이탈하게 된다면 받쳐주는 음운들이 하방으로 열리게 되면서
강하게 쏟을 수 있으니 조심하셔야 하는 구간입니다.
2. 110,465 구간의 6일차트 중앙선의 지지구간이 있지만 최대 바텀구간인
108,992 구간까지 꼬치 칠 수 있는 가능성도 있습니다.
3. 주봉차트 중앙선 구간인 107,385 자리까지도 체크 하셔야 합니다.
4. 상승하기엔 다소 힘이 없는 구간이며 빠르게 상승한다면
과매수 후 과매도에 주의 하셔야 합니다.
앞전에 설명 드린 내용 요약 정리 하였습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이더리움의 뜨거운 상승, 아직 진행 중인가? 아니면 종료 신호인가?이더리움의 뜨거운 상승, 아직 진행 중인가? 아니면 종료 신호인가?
8월 말, 이더리움의 상승세가 뜨겁습니다.
지난 22일 잭슨홀 연설 이후, 2021년에 기록했던 고점을 새롭게 돌파하였고, 25일에는 직전 고점 대비 약 1.4% 추가 상승하며 다시 한 번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현재는 고점 대비 약 -7% 조정을 받은 상태입니다.
짧은 트레이딩 지식이지만, 눈에 띄는 몇 가지 포인트를 공유해 보고자 합니다.
상승 요인
1.상승 채널 유지
일봉 차트 상에서 상승 채널 내부에서 파동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뚜렷한 추세가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ETF 자금 유입 & 도미넌스 변화
ETF를 통한 자금 유입이 꾸준하며,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하락하는 반면 이더리움 도미넌스는 상승 중입니다. 이는 시장 내 이더리움의 영향력이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하락 요인
1. 피보나치 상단 구간 도달
지난 4월 저점부터 이어진 피보나치 상승 채널의 2 ~ 2.618 구간에 진입했습니다. 전형적으로 부담이 커지는 자리입니다.
2. RSI 다이버전스 발생
일봉 기준으로 가격은 신고가를 기록했지만 RSI는 이를 따라가지 못하며 다이버전스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3. CME 갭 존재
하단 구간에 메우지 못한 CME 갭이 남아 있습니다. ($2853.5 ~ $2925)
4. 거시 경제 영향
비트코인이 조정세를 보이고 있으며, S&P500 및 나스닥 지수 역시 상승세가 둔화된 상황입니다.
결론
현재 이더리움은 상승 채널을 이탈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단정적으로 하락 전환을 논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금리 인하라는 강력한 재료를 제외하면 불확실성과 리스크 요인이 많습니다. 추가적인 상승 모멘텀 없이 현 구간을 소화한다면, 단기적으로는 조정이 나올 수 있는 자리라고 판단됩니다.
BTCUSD 8월 19일 비트코인 Bybit 차트분석입니다.안녕하세요
비트코인 가이드입니다.
"팔로워" 를 해두시면
실시간 이동경로 및 주요구간에서 코멘트 알림을 받을수있습니다.
제 분석글이 도움되는경우
하단에 부스터 버튼 하나씩 부탁드릴게요.
나스닥 30분차트입니다.
지표발표는 따로 없구요.
대략적으로
하늘색 손가락 숏->롱 스위칭 또는 하단에서 롱대기 전략입니다.
Bottom은 오늘의 메이저 지지라인이며 6+12 패턴 복구자리이구요.
하늘색 손가락 이동경로대로 움직임이 나오는경우
결과적으로 이후에는 6+12 구간을 다시 터치하러 내려올 가능성도있으니
참고해주세요.
그대로 비트코인에 대입시켜보았습니다.
비트코인 30분차트입니다.
나스닥은 우하향 횡보중이고
비트는 신고가 터치한뒤 수직하락이 계속되고있습니다.
*하늘색 손가락 이동경로시
숏->롱 스위칭 또는 바로 내려올경우 2번구간에서 롱대기
양방향 뉴트럴 전략입니다.
1. 116,568.4불 숏포지션 진입구간 / 주황색 저항선 돌파시 손절가
2. 114,959.5불 롱포지션 스위칭 / 보라색지지선 이탈시 손저락
3. 117,330.4불 롱포지션 1차타겟 / 116.5K 롱포지션 재진입 활용구간
이후에는 Top , Good , Great 순서대로 롱포지션 타겟가
상단에 1번구간은 오늘의 베스트 숏포지션 진입구간이며
1번터치전후로 하락경우 , 2번구간에서 롱대기
초록색지지선 이탈시 손절가
비트경우는 12+ 일봉패턴에서 캔들이 이탈중이라
하방이 열려있기때문에
Bottom구간유지시 중기상승추세가 깨지게되며
-> 112,315.4불을 이탈하는경우 중기하락추세가 연결될수있습니다.
(주봉차트 MACD 데드크로스)
나스닥에서 횡보만 해줘도 다행이고
하락하는경우 , 비트는 더 쎄게 하락할수있습니다.
참여율이 저조해서 이번주는 쉬기로했으나
시간여유가 생겨서 오랜만에 전체공개로 진행해드렸구요.
제 분석글은 단순히 참고 및 활용정도만 부탁드리고
원칙매매 , 손절가 필수로 안전하게 운영하시길 바랄게요.
감사합니다.
XAU/USD – Key Level 3400/3323: 금, FED & 지정학적 압력 속에서 조정 준비🟡 골드 플랜 25/08 – Captain Vincent ⚓
1. 시장 배경 🌍
러시아 – 우크라이나: 트럼프가 푸틴에게 2주 내 협상 압박. 평화 기대감은 있으나, 전쟁 격화 위험도 잠재. → 금은 여전히 안전자산 역할 유지.
FED – 파월 @ 잭슨홀: 매파적(hawkish) 발언 → 9월 금리 인하 기대치 3회 → 2회로 축소. 달러 강세 → 금 단기 조정 압력.
👉 종합: 정치 뉴스는 금을 지지, FED는 하락 압력. 시장은 혼조세 → 금은 방향 확정 전 조정 파동(유동성 흡수) 필요.
2. 기술적 분석 ⚙️
H4 캔들 하락 마감 → 매수세 약화, 매도세 기회 확대.
강한 반등 후 FVG 형성 → 유동성 확보 위한 pullback 가능.
오늘 전략: 매도 우선, 단기 지지선에서 스캘핑 매수 가능.
3. Key Levels – 캡틴 빈센트의 지도 🪙
저항
🌊 Storm Breaker (Sell Zone 3398 – 3400)
3376 (중간 저항, 반응 관찰)
지지:
🚤 Quick Boarding (Buy Scalp 3340 – 3342)
• SL: 3333
• TP: 3345 → 3349 → 3353 → 3357 → 33xx
🏝️ Golden Harbor (Buy Zone 3328 – 3326)
• SL: 3318
• TP: 3332 → 3336 → 3339 → 33xx
Higher Low – 3323
→ 추세 앵커 포인트, 하락 돌파 시 전체 매수 시나리오 재검토.
4. 매매 시나리오 📌
🔻 Sell @ Storm Breaker 🌊
Entry: 3398 – 3400
SL: 3408
TP: 3395 → 3390 → 3387 → 3384 → 33xx
🚤 Buy Scalp @ Quick Boarding
Entry: 3340 – 3342
SL: 3333
TP: 3345 → 3349 → 3353 → 3357 → 33xx
🏝️ Buy @ Golden Harbor (3328 – 3326)
SL: 3318
TP: 3332 → 3336 → 3339 → 33xx
5. ⚓ Captain’s Note
“오늘 금 시장은 여전히 파도치는 바다다: FED의 역풍과 정치적 순풍이 교차한다.
Storm Breaker 🌊를 잡은 자는 파도를 안전히 탈 수 있고, Golden Harbor 🏝️를 기다린 자는 평온한 항구에 닿을 것이다.
Quick Boarding 🚤은 좁은 구간에서 빠른 파도를 타려는 뱃사람을 위한 자리다.”
[이더리움] 고래에게 사랑받는 이더리움의 향후 전망은? (25.08.25)안녕하세요 전업 트레이더 Dusk입니다.
8년차 현역 트레이더 | 전 Tradingview Top Author
2025년 누적 수익률 35,000% 달성 | 월별 손실 X
“제가 만약 매매로 돈을 벌지 못한다면요?
그 순간 제 인생은 끝났다고 얘기할게요”
도움이 되셨다면 "팔로우" 와 "부스트" 그리고 "공유"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BINANCE:ETHUSDT
⚪최근 흐름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의 하락에도 꿋꿋히 자리를 지켜내고 있습니다
금일 새벽 4시 OG (고래) 의 비트코인 매도, 이더리움 매수가 진행되며
비트코인은 하락했지만 이더리움은 자리를 잘 지켜주는 모습입니다
🟠주요 레벨
박스하단 :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의 하락에도 꿋꿋히 박스를 지켜내고 있습니다
이 구간도 충분히 매수하기 매력적인 자리이긴 하지만
이는 비트코인의 하락폭이 깊지 않을때 매수를 받을 수 있는
자리로 비트코인의 움직임에 따라 달라질것으로 보여집니다
S : 1 ($4,450 ~ $4,400)
상승했던 파동의 0.382 구간입니다 2/3 구간이죠
항상 얘기했던 형성한 파동에서 갈림길에 놓이는 중요한 구간입니다
현재는 이더리움이 자리를 잘 버텨주고있지만
9월까지 미국의 주요일정들을 확인해보니 당분간
수급이 발생하는게 제약이 크지않을까라는 추측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박스하단을 벗어나 비트코인이 하락했을때
리테스트를 진행 한 뒤 방향을 설정 할 수 있는 주요 구간을 S : 1 으로 표기했습니다
S : 2 ($4,250 ~ $4,200)
패닉셀 발생을 대비한 두번째 구간입니다
일봉기준상 지지가 발생 할 수 있는 구간이기때문에
스윙으로 접근하기 적합한 자리입니다
15m 기준 상승이 시작되었던 파동의 초입부분으로 상승했던 캔들을
모두 장악한다면 이 구간까지 도달하여 리테스트를 진행하게 됩니다
비트코인의 방향성은 조금 더 지켜봐야 조금 더 명확해질것으로 보입니다
비트코인의 하락폭에 따라 이더리움 또한 움직임이 달라 질 수 있으나
가장 기본적인 리테스트 구간 상승 파동의 2/3 과 파동의 초입부분을 표기해두었습니다
8월중 PCE, 연준 의원들의 연설 등으로 시장에 유동성이 제한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최대한 단기 매매를 진행하며 9월 금리발표까지 스윙 포지션은
제한적으로 가져갈 예정입니다
해당 자리에 도달하게되면 추가 브리핑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ETC/USDT
역시나 구독 마지막 날이니 그냥 서둘러 적는 중
과연 ETC가 직전 ATH를 기점으로 하는 우상향 파동을 만들어 낼 수 있을지가 관건
지금 흰색소파동으로 카운팅해보자면 직전 ATH 매물대에 막혀서 그냥
횡보하는 그저그런 코인으로 역사속으로 사라질 가능성도 존재함
이 분위기 대로
여전할것인가, 역전할것인가
결과에 따라 다음 포트폴리오에 들어올지 말지 정하게 될 코인 중 하나
ATH를 깨지못하는 흰색 시나리오 1
우상향의 코인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 노란 시나리오 2
과연 결과는?
우선 서둘러 흰색 1파고점을 깨주는게 좋음
션타임 아카데미 - EURUSD(유로) 추세 분석구독자 여러분 모두 반갑습니다.
개인적 의견 공유는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부스터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키 포인트
-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 리스크는 상방, 고용 리스크는 하방으로 치우쳐 있어 어려운 상황"이라 말하며, "실업률과 기타 노동시장 지표의 안정성을 고려하면 정책 기조 변경을 신중히 검토할 수 있다"라고 덧붙이며 시장에 금리인하 기대감을 키움
-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푸틴 대통령은 정상회담 의제가 준비되면 젤렌스키 대통령과 만날 준비가 돼 있지만, 그 의제가 전혀 준비되지 않았다"라고 말하였으며, 트럼프 미 대통령은 "러시아 관련해서 2주 후에 어떤 조처를 할지 결정할 것"이라 말하였으며, 대규모 제재와 관세 등도 함께 거론
이번 주 주요 경제 일정
+ 8월 26일: 미국 8월 CB 소비자신뢰지수
+ 8월 28일: 미국 2분기 GDP
+ 8월 29일: 독일 8월 소비자물가지수, 미국 7월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EURUSD 차트분석
최근 움직임에서 1.16000 라인까지 하락한 이후 해당 구간에서 지지를 받아 올라서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시장을 움직이는 재료들이 달러를 하방으로 압박하고 있어, 유로는 상방 기대감이 크며, 단기적으로 전고점까지는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전고점을 돌파할 경우 1.20000 라인까지 상승폭을 키울 가능성이 높습니다만, 고점 저항을 돌파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확신하기가 어렵습니다. 해당 구간 도달 시 전략을 새롭게 수립하겠습니다.
[서버린] 2025년 8월 23일 비트코인 하락 관점 공유서버린은 예리한 통찰력과 정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비트코인 및 주요 자산에 대한 트레이딩 아이디어를 정기적으로 공유합니다.
🔔 팔로우하시면 관점이 업로드될 때마다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여러분의 부스트와 따뜻한 코멘트는 서버린에게 정말 큰 힘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서버린입니다.
8월 23일 비트코인 숏 포지션에 대한 제 관점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이번 아이디어의 근거는 두 가지입니다.
첫째,
118,684 ~ 117,435 구간의 상승 흐름이 임펄스로 보인다는 점입니다.
그 이유는 5파동이 1파동의 1.272배 길이 비율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둘째,
빨간색 추세선을 살펴보시면 하방 이탈이 시작되었음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락 관점을 갖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고 판단합니다.
이번 포지션의 목표가 평균가는 114,340입니다.
부디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향후 가격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추적하며, 본 아이디어를 업데이트하여 이후 동향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서버린 드림
블랙록, 진실을 숨기고 있다… 비트코인 가격이 멈춘 게 함정일 수도 있다!🚨“블랙록, 진실을 숨기고 있다… 비트코인 가격이 멈춘 게 함정일 수도 있다!”🚨
1️⃣ 대부분 사람들은 “내가 일찍 샀다” 착각하지만, 진짜 질문은 누구한테 샀냐 는 거야. 블랙록·피델리티 같은 기관들은 이미 조용히 쓸어담고 있었어. 🏦
2️⃣ 최근 주말 단 48시간 동안 8만 개 BTC(약 80억 달러) 가 매집됐는데도 가격은 옆으로 기었어. 이건 단순 정체가 아니라 전략적 억제 야. 📉
3️⃣ 기관 입장에서 코인베이스에서 10억 달러어치 매수? 차트 박살 나지. 그래서 ETF·OTC·채권 구조화 상품을 통해 티 안 나게 모으는 거야. 📊
4️⃣ 실제로 블랙록은 채권을 1%로 차입 → 4%로 발행 → 비트코인 매수 → 무기한 보유 전략으로 움직이고 있어. 리테일은 매도해야만 이들이 계속 살 수 있지. 💵➡₿
5️⃣ 지금 비트코인 시총은 약 2조 달러 , 글로벌 자산시장의 1%도 안 돼. 즉, 기관이 본격적으로 들어오면 수천조 달러 자본 이 밀려 들어올 수 있어. 🌍
6️⃣ 가격이 10만 달러 부근에서 멈춘 이유? “고점”이 아니라 유동성 말라가는 신호 . 매물이 안 나오면 진짜 불꽃은 그때부터 터진다. 🔥
7️⃣ 리테일 투자자는 차트 하루 두 번 보면서 “지루하다” 매도하지만, 그 순간 블랙록은 수십억 달러 매집 주문을 조용히 체결한다. 🕵️
8️⃣ 이건 단순한 시장 조작이 아니라 화폐 전쟁(Monetary Warfare) 이야. 누가 더 많은 BTC를 확보해 차세대 글로벌 담보자산(Global Collateral Layer)을 장악하느냐 싸움이지. ⚔️
9️⃣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메타플래닛, 소버린펀드까지 이미 뛰어들었고, 개인이 마지막에 흔들려 팔면 기관에 넘기는 구조 로 설계돼 있어. 🧩
🔟 결론 👉 비트코인은 지금 “가격 게임”이 아니라 “신뢰 게임”이야. 마지막 저항은 차트가 아니라 개인의 확신 이고, 그 순간이 무너지면 기관이 판을 가져간다. 🚀
비트코인, 인터넷 초창기랑 똑같다… 이 기차 놓치면 평생 후회한다🚨“비트코인, 인터넷 초창기랑 똑같다… 이 기차 놓치면 평생 후회한다!”🚨
1️⃣ 1994년 인터넷을 설명 못하던 시절이 있었듯, 2009년 비트코인도 똑같이 이해 못한 사람들이 대부분이었어. 근데 지금은 글로벌 시총 2조 달러 를 넘기며 금융판을 흔들고 있지. 🌍
2️⃣ 초창기 2010년, 피자 두 판에 쓰인 10,000 BTC = 당시 25달러 . 지금 가치로 환산하면 1,500억 원 이야. 🍕➡💎 (이어서 계속👇)
3️⃣ 2011년 1BTC = 1달러 돌파, 6월에 31달러 까지 치솟았다가 10월엔 다시 2달러 로 폭락. 롤러코스터 변동성이 이때부터 시작된 거야. 🎢
4️⃣ 2013년 키프로스 금융위기 때 은행이 예금 통째로 털리자, 비트코인은 “정부가 못 뺏는 돈”이라는 신뢰로 급등. 그 해 말엔 드디어 1,000달러 돌파 . 💣
5️⃣ 그러나 마운트곡스 해킹으로 8.5억 달러 증발 , 2014년에는 다시 추락. 이때 “비트코인은 끝났다”라는 기사가 수백 개 쏟아졌지만 결국 살아남았어. 🪦❌
6️⃣ 2017년에는 드디어 대중이 뛰어들며 20,000달러 돌파 . 하지만 곧바로 규제와 ICO 광풍에 무너져 2018년엔 3,000달러 까지 추락. 📉
7️⃣ 2020년 코로나 위기 속, 미국의 무제한 달러 찍기(양적완화)로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으로 자리 잡아. 2021년 사상 최고가 69,000달러 까지 폭등. 🏆
8️⃣ 이후에도 중국 채굴 금지, FTX 파산, 각종 위기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네트워크는 멈추지 않았어. 블록체인 업타임은 99.98% 유지 중. ⛓️
9️⃣ 오늘날 전 세계 비트코인 ATM은 3만 대 이상 , 활성 지갑은 1억 개 이상 , 일일 거래액은 수백억 달러 수준. 중앙은행보다 투명한 시스템이 실시간으로 돌아가고 있는 셈이야. 🏦
🔟 결론 👉 비트코인은 단순한 “투자자산”이 아니라 인터넷 이후 가장 큰 “프로토콜 혁명”. 은행·국가가 아닌 수학과 코드 가 지배하는 새로운 화폐 시스템이고, 이 흐름은 이제 시작일 뿐이야. 🚀
0.1 비트코인만으로 백만장자? 상상 아닌 숫자가 말해준다!🚨“0.1 비트코인만으로 백만장자? 상상 아닌 숫자가 말해준다!”🚨
이어서 계속👇
1️⃣ 0.1 BTC가 100만 달러가 되려면 비트코인 1개 가격이 1,000만 달러(약 136억 원) 이상이 돼야 함. 지금 가격(약 11,000달러)에서 보면 900배 이상 상승해야 하는 계산이야. 📈
2️⃣ 불가능할까? 월가 전문가 Matt Hougan(Bitwise CIO)은 앞으로 10년간 비트코인이 연평균 +30% 성장할 거라 예상. 복리로 계산하면 10년 뒤 지금보다 14배 이상 상승이지. 🔥
3️⃣ Michael Saylor는 더 과감해 — 비트코인이 결국 3,000만 달러(≈ 400억 원) 갈 거라 주장했어. 이 경우 0.1 BTC만으로도 30억 원 이상이 되는 거지. 💰
4️⃣ 단순 가격 기대치가 아니라, ‘돈의 본질’ 변화가 핵심. 공급량 21M 개로 고정, 발행정책 예측 가능, 누구도 추가로 찍어낼 수 없는 세계 최초의 고정형 화폐. ⛓️
5️⃣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실패하는 이유? 비트코인 두세 배 오르면 팔아버림. 실제로 $1에 사서 $30~$50에 팔고 지금까지 한 개도 없는 사람들이 대부분. 🥲
6️⃣ 진짜 부자들은 절대 자산을 팔지 않아. 그 대신 자산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 현금흐름을 만들고, 다시 투자해서 자산을 불려. 람보르기니보다 현금흐름이 먼저인 이유. 🚗❌ → 💵✅
7️⃣ 비트코인 가격은 오르내리지만, 장기적으로 달러 대비 모든 자산을 압도. 과거 15년간 음식·컴퓨터·스마트폰 등 대부분의 생활비용이 BTC 기준 지속 하락했어. 물가는 오르고 있는데 BTC로 보면 정반대. 🥩📱
8️⃣ 만약 비트코인이 글로벌 결제·저축 표준이 된다면? 달러·원화 같은 법정화폐는 계속 인플레이션에 갇히고, BTC만이 ‘하드 머니’로 살아남게 될 거야. 🌍
9️⃣ 그러면 0.1 BTC = 100만 달러는 단순 꿈이 아니라 ‘통화 패러다임 전환’이 현실화될 때 가능한 시나리오. 단, 오늘내일이 아니라 10~15년 장기 싸움. ⏳
🔟 결론 👉 지금 0.1 BTC(약 1,600만 원)를 쥐고 있다면? 그건 단순 투자보다 새로운 화폐 체제의 티켓일지도 몰라. 문제는 “언제 오르냐”가 아니라, 그날까지 버틸 수 있냐는 거지. 💎🤲
👉 너라면 지금 0.1 BTC를 묻어둘 용기 있겠어, 아니면 단타로 팔아치우겠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