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와 저항 구간 : 35.71-38.93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AVAXUSDT 1M 차트)
MS-Signal (1M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고 51.54 지점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1D 차트)
35.71-38.93 구간은 추세적인 관점에서 볼 때,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 지지 받고 44.60 부근으로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고 35.71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1M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을 터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하게 된다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하락세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현재 상황에서는 35.71-38.93 구간에서 지지 받을 때 분할 매수를 진행하고 35.71 이하로 하락하였을 때는 매수하지 말고 상황을 지켜보는 것이 좋습니다.
단기 거래를 원하신다면 38.93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매수하고,
1차 : 41.31
2차 : 44.60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분할 매도하는 전략을 추천합니다.
-
어찌되었든 새로운 상승 파동을 만들기 위해서는 51.54 이상 상승해야 합니다.
따라서, 자신의 투자 스타일, 투자 기간에 맞게 설정하여 35.71-38.93 구간에서 어떻게 매수를 진행할 것인가를 선택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Tradingstrategy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Trend-Based Fib Extension) 도구 사용 방법의 예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Trend-Based Fib Extension) 도구를 사용할 때 선택 지점을 어떻게 선택해야 할지에 대한 질문이 있어 제가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여러분이 사용하는 방법과 다를 수 있습니다.
-
그전에 일반적인 피보나치 되돌림(Fib Retracement) 도구와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피보나치 되돌림(Fib Retracement) 도구는 선택한 구간 내에서의 되돌림되어질 비율로 피보나치 비율을 사용하는 것 입니다.
따라서, 최저점과 최고점이 선택 지점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왜 가능성이 높다고 말씀드리냐면, 어느 타임 프레임 차트에서 작도되었느냐에 따라 최저점과 최고점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이렇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는 차트 도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캔들의 배열을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캔들의 배열을 이해하고 있다면, 이를 구성하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작도할 수 있고 그 지지와 저항 지점의 중요도를 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보다 객관화시킨 것이 제가 사용하고 있는 HA-MS 지표입니다.
공개된 HA-MS 지표와 다르게 현재 몇 개가 추가된 상태입니다.
이 추가된 지표들의 수식을 아직 공개할 생각은 없습니다.
다만, 저의 아이디어를 공유받으면 언제든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현재의 피보나치 되돌림(Fib Retracement) 도구를 사용하기 위한 선택 지점은 손가락이 가리키는 지점 입니다.
즉, 1번 손가락은 저점이고, 2번 손가락은 고점입니다.
여기서 한가지 의문이 생길 수 있습니다.
왜 1번 손가락의 위치입니다.
그 이유는 현재의 파동이 시작한 지점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현재의 상승 파동에서의 되돌림 비율을 알 수 있게 됩니다.
사실상 피보나치 비율을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상 어느 정도의 파동을 이르키면서 움직임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하는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 좋기 때문입니다.
다만, 신고가(ATH)나 신저가(ATL)을 갱신하게 되었을 때 피보나치 비율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
피보나치 되돌림(Fib Retracement) 도구는 현재의 파동에서 되돌림되는 비율을 알아 보는 차트 도구였다면,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Trend-Based Fib Extension) 도구는 파동의 연장의 비율을 알아 보는 차트 도구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피보나치 되돌림(Fib Retracement) 도구는 2개의 선택 지점을 지정해야 하는 반면에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Trend-Based Fib Extension) 도구는 3개의 선택 지점을 지정해야 합니다.
그만큼 캔들의 배열을 이해하고 있는지가 중요해집니다.
위의 차트는 상승 파동의 연장 비율을 알아 보기 위해 작도의 예
위의 차트는 하락 파동의 연장 비율을 알아 보기 위해 작도의 예
예제 차트를 보시고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는지 이해하였나요?
-
위의 차트는 1번 손가락 지점을 선택하였을 때의 차트입니다.
위의 차트는 1-1번 손락 지점을 선택하였을 때의 차트입니다.
좀 더 낮은 타임 프레임 차트에서 작도할 때는 유의해야 하는 것은 캔들의 배열이 애매할 때 어느 지점을 선택할 것인가 입니다.
1번 손가락과 1-1번 손가락이 그 예입니다.
1-1번과 1번은 작은 파동으로 해석하느냐 아니냐에 따라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낮은 타임 프레임 차트로 갈수록 이러한 선택의 어려움이 더 많아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가능하면 높은 타임 프레임 차트에서 작도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차트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즉, 거래하기 위해 작도하는 것이 아니라는 겁니다.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1M, 1W, 1D 차트에서 작도된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거래를 진행하게 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21673.4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차트 분석을 할 때 중요한 요소는
- 지지와 저항 지점
- StochRSI 지표
위의 두가지 요소가 있다면 간략하나마 빠르게 차트 분석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지와 저항 지점은 1M, 1W, 1D 차트에서 작도되어야 합니다.
이렇게 작도된 선을 기본적으로 1D 차트에서 StochRSI 지표의 움직임을 참고하면서 지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서 차트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고점 경계 구간으로 표시된 21673.4-22013.5 구간은 저항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런데,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으로 진입한 상태이므로 고점 경계 구간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즉, 고점 경계 구간이 저항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변동성 기간은 1월 29일경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상승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변동성 기간을 지났을 때 고점 경계 구간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결국 하락하게 될 것 입니다.
이때, 관심을 가지고 봐야 하는 것은 StochRSI 지표의 움직임입니다.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 오랜 기간 유지될수록 조금의 가격 하락이 발생하게 되면 StochRSI 지표는 큰 폭의 하락을 보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StochRSI 지표가 50 지점 부근이나 이하로 하락하였을 때, 21673.4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고점 경계 구간을 상향 돌파하는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단기 상승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21068.2-21321.9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
StochRSI 지표의 설정값은 14, 7, 3, 3 (RSI, Stoch, K, D) 입니다.
소스값은 ohlc4 입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저의 차트에 있는 StochRSI 지표와 비슷하게 움직임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추세 관점에서 중요한 구간 : 4350-4575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콤은 현재 추세적인 관점에서 중요한 구간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는 1W 차트의 M-Signal > 1M 차트의 M-Signal 인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지, 즉, 장기 이동평균선이 정배열로 전환될 수 있는지 하는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중요한 구간인 4350-4575 구간에서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 가격을 유지하는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4350 이하로 하락하게 된다면,
1차 : 3705-3790
2차 : 3300-3425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다만, 가격이 하락하면서 HA-Low 지표가 새롭게 생성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4575 이상 상승하게 된다면,
1차 : 4710
2차 : 5220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본격적인 상승세가 시작되기 위해서는 5220 이상 상승할 때 부터 시작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이러한 해석으로 거래 전략의 예를 들어 보자면,
1. 4350-4575 구간에서 분할 매수를 진행합니다.
2. 4290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일 때 손절합니다.
3. 4710 부근으로 상승하여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1차 분할 매도합니다.
4. 5.220 부근에서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일 때 2차 분할 매도합니다.
5. 가격이 4710이나 5220 부근을 터치하고 하락하게 되었을 때 1M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분할 매수 합니다.
위의 3번, 4번은 장기 투자가 아닌 분들이 대응하는 방법입니다.
장기 투자를 진행하시는 분들께서는 5220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9080 부근까지 홀딩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상승하다가 도중에 하락하였을 때, 5220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매도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차트를 해석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객관적인 정보가 필요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이번 하락으로 BW(100) 지표가 104556.23 지점에 생성되었습니다.
이에 따라서, 고점 경계 구간(high boundary section)은 101947.24-104556.23 구간이 됩니다.
아쉽게도 101947.24 이하로 하락하였기 때문에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 즉, 98892.0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단기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
제가 사용하는 StochRSI 지표의 설정값은 14, 7, 3, 3 (RSI, Stoch, K, D) 입니다.
소스값은 ohlc4 입니다.
위와 같이 설정하면 저의 차트에 있는 StochRSI 지표와 비슷한 움직임을 나타나게 됩니다.
StochRSI 지표가
-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할 때,
- 50 지점 부근에 위치해 있을 때,
- 과매도 구간에서 상승할 때,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맞는 대응 방안을 생각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StochRSI 지표의 움직임과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 간의 상화 관계를 확인함으로서 거래를 진행할 수 있는 시점을 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선택 지점을 산정할 수 있게 된다면,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게 거래 전략을 만들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추세나 파동으로 앞으로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것도 좋지만, 실제 거래를 진행할 수 있는 지점을 산정할 수 있다면 보다 나은 거래 전략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글을 길게 썼지만,
1.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하게 될 것인가,
2.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에서 지지를 받을 수 있는가,
3. 고점 경계 구간(high boundary section)으로 상승할 수 있는가,
위의 3가지를 집중적으로 살펴봐야 합니다.
---------------------------------
지지와 저항 지점을 그리는 방법은 캔들의 배열에 따라 그리게 됩니다.
이러한 방법은 사실상 주관적인 생각이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숙련되어야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가능하면, TradingView에 유료 회원으로 가입하여 저의 차트를 공유 받아 HA-MS_BW+v2 지표에 의해 1M, 1W, 1D 차트에 나타나는 HA-High, HA-Low, BW(100), BW(0), OBV, +100, -100 지표들을 수평선으로 표시하여 지지와 저항 지점으로 활용하기를 추천합니다.
그렇게 되면, 다른 사람이 차트를 보더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되고 서로의 투자 스타일에 따른 거래 전략에 대해서 의견을 나누기가 수월해 집니다.
이렇게 누구나 사용 가능한 지표를 활용함으로서 객관적으로 차트를 볼 수 있게 될 것 입니다.
다른 사람이 알려주는 내용으로 거래를 진행하는 것은 갑작스런 변동성이 발생하였을 때 빠른 대응을 할 수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거래 전략을 만들 때는 상승할 때와 하락할 때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한 대응 방안을 대략적이나마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능하면 자신의 차트에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기타 참고 자료를 작도해 두고 그에 따른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상책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StochRSI와 BW(100)의 움직임 확인 필요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기울기가 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이번 상승으로 인해 StochRSI 지표가 100 지점을 터치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머지않아 StochRSI 지표는 하락으로 전환될 것 입니다.
그러므로, StochRSI 지표가 하락세를 보일 때, 101947.24-106133.74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BW 보조 지표가 50 지점을 터치하면서 BW(100) 지표가 새롭게 생성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현재의 BW(100) 지표 지점인 106133.74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새롭게 생성되는 BW(100) 지표가 어느 방향으로 생성되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BW(100) 지표가 생성되기 위해서는 BW 보조 지표가 100 지점에서 하락해야 하기 때문에 BW(100) 지표가 생성되면 가격은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될 것 입니다.
현재 BW(100) 지표는 상승세를 보여 왔습니다.
이번에도 106133.74 이상에서 BW(100) 지표가 생성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BW(100) 지표와 BW(0) 지표는 쌍을 이루는 지표입니다.
BW(100) 지표가 생성되면서 하락하여 BW(0) 지표가 생성되었기 때문에 파동이 초기화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BW(0) 지표가 생성되면서 상승 중이기 때문에 이번에 BW(100) 지표가 새롭게 생성된다면, 파동이 초기화될 것 입니다.
이러한 파동은 BW(0) ~ BW(100) 구간에서 움직이는 박스 구간을 말합니다.
실제 파동이나 추세는 BW(0) ~ BW(100) 구간에서 벗어났을 때 시작됩니다.
HA-Low 지표와 HA-High 지표 또한 BW(0), BW(100) 과 같이 해석할 수 있습니다.
다만, HA-Low 지표와 HA-High 지표는 BW(0), BW(100) 지표보다 좀 더 넓은 움직임을 보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거래 전략을 만드는데 좀 더 유리합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볼 때, BW(0) 지표와 BW(100) 지표는 거래 전략에서 세부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지표라 할 수 있습니다.
-
HA-High 지표와 BW(100) 지표가 생성되면서 고점 경계 구간을 형성하였습니다.
이에 따라서, 101947.24-106.133.74 구간 이상 상승하여야 비로소 고점 구간으로 진입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새로운 상승 파동을 시작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반대로 HA-Low 지표와 BW(0) 지표가 생성되면 저점 경계 구간을 형성하게 됩니다.
-
모든 지표의 해석 방법에 맞게 언제가 가격이 움직이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실제 거래를 진행할 때, 매수나 매도를 진행할 수 있는 근거를 찾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뿐 입니다.
이러한 지표들의 움직임은 거래라는 망망대해에서 등대를 발견한 것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다음 변동성 기간은 1월 23일경-30일경 사이입니다.
이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BTC의 움직임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위에서 설명드린대로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이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STochRSI 지표가 하락세를 보이게 될지가 중요합니다.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가 97461.86 부근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단기 상승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240.54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SOLUSDT 1D 차트)
가격이 상승하면서 BW(100) 지표가 새롭게 생성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240.54 지점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기존의 고점 경계 구간은 240.54-256.90 입니다.
-
캔들의 배열상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은 211.64-222.61 입니다.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로 1W 차트의 HA-High 지표 지점(222.61)과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상승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
현재 저점 경계 구간은 182.87-194.46 입니다.
저점 경계 구간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한다면, 거래 전략상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고점 경계 구간 부근에서 저항 받고 하락한다면, 거래 전략상 매도 시기에 해당됩니다.
-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기울기가 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기존 고점 경계 구간인 240.54-256.90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관건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3.2983-3.3750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XRPUSDT 1D 차트)
큰 그림에서 작도된 피보나치 비율의 3.618 (3.2983) 지점이 마지막 지점에 해당됩니다.
이를 보완하고자 작은 그림에서 작도한 포보나치 비율를 추가하였습니다.
이에 따라서, 왼쪽 피보나치 비율 3.618 (3.2983) ~ 오른쪽 피보나치 비율 0.618 (3.3750) 구간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오른쪽 피보나치 비율 0.618 (3.3750)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된다면, 1 (4.2278) 부근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재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은 25102-2.6013 구간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큰 그림상 박스 구간 : 93576.0-106133.74
(제목) 큰 그림상의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서 벗어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
----------------------------------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 시장의 변동성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USDT, USDC가 어떠한 모습을 보이게 될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USDT나 USDC가 갭 상승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코인 시장으로 자금이 유입되었다는 의미입니다.
갭 하락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자금이 코인 시장에서 유출되었다는 의미입니다.
만일 USDT나 USDC가 갭 하락하였다면, 가격을 상승시키면서 자금을 유출하는 수익 실현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결국 코인 시장을 하락시키게 될 것 입니다.
(BTC.D 1D 차트)
BTC 도미넌스가 55.01 이하로 하락하여 유지되거나 하락세를 보인다면, 알트코인 상승장이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USDT.D 1M 차트)
USDT 도미넌스가 4.97 이상 상승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큰 하락폭을 보이면서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USDT 도미넌스가 하락하게 되면, 최대 2.84 부근까지 하락한 이후에 상승세를 보이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84 부근을 터치하고 상승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USDT 도미넌스가 상승한다는 의미는 코인 시장이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
(BTCUSDT 1D 차트)
97461.86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BTC는 단기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때, 저항 구간은
1차 : 101947.24
2차 : 106133.74
위의 1차, 2차 부근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101947.24-106133.74 구간은 고점 경계 구간에 해당됩니다.
-
(1M 차트)
앞서 말씀드린 단기 상승세는 사실 큰 그림에서는 의미가 없습니다.
93576.0 지점에 1M 차트의 BW(100) 지표이 생성되었기 때문에 93576.0 지점이 고점 경계 지점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93576.0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는 의미는 고점 구간에 위치해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93576.0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고점 구간에서 하락하게 되므로 큰 그림상에서 볼 때 하락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93576.0 지점 부근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
(1W 차트)
1W 차트의 HA-High 지표가 94742.35 지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1W 차트의 BW(100) 지표가 104463.99 지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94742.35-104463.99 구간은 1W 차트상에서 볼 때 고점 경계 구간에 해당됩니다.
그러므로,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94742.35-104463.99 구간 이상 상승하여야 됩니다.
그렇지 못하고 94742.35 이하로 하락한다면,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1W 차트의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에 위치해 있으므로 이번 주의 가격 상승으로 인해 StochRSI 지표가 상승으로 전환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StochRSI 지표의 해석 방법 중에 50 지점을 기준으로
- 50 이하에 위치할 때는 매수할 시기를 찾는데 집중해야 하고,
- 50 이상에 위치할 때는 매도할 시기를 찾는데 집중해야 합니다.
특히, 과매도 구간이나 과매수 구간에 진입하였을 때는 가격이 어느 지점 부근에서 지지와 저항을 보이는지 더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
위에서 말씀드린 내용을 종합해 보면, 큰 그림상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은 93576.0-94742.35 구간과 104463.99-106133.74 구간입니다.
이 두개의 구간에서 벗어나야 새로운 추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그전까지는 박스 구간 내 거래 방식을 취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1453.08 이하로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KRW 12M 차트)
환율은 이전부터 이미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1M 차트)
1439.94 이하로 하락한 다음 원으로 표시된 상승 채널을 하향 돌파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상승 추세선을 따라 상승할 수 있습니다.
-
(1W 차트)
1439.94 이하로 하락하여 상승 추세선 이하로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지지 구간은
1차 : 1422.72-1439.94
2차 : 1354.50-1372.40
하락이 진행된다면, 위의 1차나 2차 부근에서 지지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1D 차트)
단기 하락세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1453.08 지점에서 저항 받고 하락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1453.08 부근에서 저항 받고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만일 그렇지 못하고 상승하게 된다면,
1차 : 1468.42
2차 : 1494.70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저항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다음 변동성 기간 : 1월 22일경-25일경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 3265.0-3321.30 구간을 상향 돌파하였습니다.
단기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3438.16 지점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1M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하지 않았지만, 2895.47 부근을 터치하고 상승하였기 때문에 이번에 3438.16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지 못한다면,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3265.0-3438.16 구간에서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단기 상승세를 보이게 된다면, 3831.12-3996.22 구간이 저항 역할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3831.12-3996.22 구간은 고점 경계 구간에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다음 변동성 기간 : 1월 29일경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차트를 구성하는 것은 결국 자금의 흐름입니다.
따라서, 모든 이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전에 차트의 움직임을 먼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자금은 결국 모든 이슈들 보다 먼저 반응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점에서 저의 차트 설명에 이슈에 대한 얘기가 하나도 없는 이유입니다.
----------------------------------------
(NAS100USD 1M 차트)
NAS100USD가 21068.2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MS-Signal (M-Signal) 지표를 터치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락이 시작되었을 때 HA-High 지표가 새롭게 생성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HA-High 지표가 생성되었다는 의미는 고점 구간에서 하락하였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
(1W 차트)
HA-High (21321.9) ~ BW(100) (21744.0) 구간이 고점 경계 구간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21321.9-21744.0 구간을 상향 돌파하여야 상승세가 시작될 수 있습니다.
MS-Signal (M-Signal) 지표 부근으로 하락한 상태입니다.
따라서, 20357.0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한 다음 바로 하락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다시 과매수 구간으로 상승하고 그 이후에 하락세를 보인다면 하락 강도가 더 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번의 하락은 더 센 하락 강도를 나타낼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1W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1M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
(1D 차트)
이번 변동성 기간은 1월 13일까지 입니다.
이번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20703.6-21068.2 구간에서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1월 29일경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 : 3265.0-3321.30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서 하락하면서 1W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하였습니다.
이에 따라서, 3265.0-3321.30 부근으로 상승하여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결국 1M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30m 차트)
BTC 분석에서 말씀드린대로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즉, 3438.16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 3265.0-3321.30 구간 부근에 여러 지표가 지나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그만큼 중요한 구간에 해당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265.0-3321.30 이상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1M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므로, 현재의 가격 위치(3136.41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 : 93576.0-94742.35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 93576.0-94742.35 구간 부근에서 지지 받고 97461.86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단기 상승세 전환은 97461.86 이상 상승하여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지와 저항 구간은 원으로 표시해 두었습니다.
-
(30m 차트)
92792.05-97461.86 구간에서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 유지되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HA-Low 지표를 만나고 상승하게 되면, HA-High 지표를 만나면서 추세를 다시 결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BW(0) 지표와 BW(100) 지표와도 같습니다.
1D 차트의 5EMA > 1D 차트의 M-Signal 으로 전환된다면, 단기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기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97461.86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97461.86 부근은 저항 역할을 하게 될 것 입니다.
StochRSI 지표가 100 지점을 터치하였기 때문에 94742.35 이상 상승하여 지지 받을 수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94742.35 부근으로 1D 차트의 5EMA와 BW(100) 지표가 지나가고 있기 때문에 94742.35 부근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된다고 확인시켜 주고 있습니다.
94742.35 지점은 1W 차트의 HA-High 지표 지점입니다.
하락하게 되면, HA-Low 지표, BW(0) 지표, 93576.0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93576.0 지점은 1M 차트의 BW(100) 지표 지점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다음 변동성 기간 : 1월 23일경-30일경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W 차트)
주요한 3개의 상승 채널이 존재합니다.
HA-High 지표 지점인 94742.35 지점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
(1D 차트)
단기 하락 채널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이 단기 하락 채널에서 벗어나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 (93576.0-94742.35) 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BW(0) 지표 이하로 하락한다면, 87.8K-89K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단기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97461.86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StochRSI 지표의 기울기가 변하고 있기 때문에 93576.0-94742.35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BW, DOM 지표가 0 지점 이하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하락 강도가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 변동성 기간은 1월 11일까지입니다.
모든 지표들이 다 하락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변동성 기간에는 가능하면 신규 거래를 진행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유는 생각했던 방향과 다른 움직임이 나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
다음 변동성 기간은 1월 23일경-30일경 입니다.
따라서, 이번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 (93576.0-94742.35)을 기준으로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
BW(100) 지표가 생성되면서 하락하여 BW(0) 지표를 만났다면 그 파동은 마감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BW(0) 지표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된다면, 다시 BW(100) 지표를 만나면서 파동을 마감짓게 될 것 입니다.
HA-High 지표가 생성되고 하락하게 되면, HA-Low 지표를 만나면서 파동을 마감되어집니다.
현재 HA-High 지표 부근에서 저항 받고 하락하였기 때문에 HA-High 지표 이상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결국 HA-Low 지표를 만나게 될 것 입니다.
차트에 표시 해둔 4개의 원 구간이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이 4개의 원 구간에서 벗어나야 추세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므로, 87.8K ~ 106133.74 구간에서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는지에 따라 앞으로의 추세가 결정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OBV 지표가 Lowest 이하로 하락하지 않는다면, BTC는 현재의 상승세를 유지하거나 횡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거래량의 분포를 해석하기 보다 OBV 지표로 거래량을 해석하는 것이 좀 더 편합니다.
OBV의 상승과 하락이 반드시 가격의 상승과 하락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이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이를 극복하고자 최신 고점이나 저점을 돌파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Highest, Lowest을 표시하여 관찰하기 편하게 만들었습니다.
지표는 하나의 지표로 해석하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고자 BW 지표나 DOM 지표를 만들었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3644.71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M 차트)
2개의 구간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
(1W 차트)
3644.71 부근에서 지지 받고 1M 차트의 HA-High 지표의 박스 상단 구간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3265.0-3321.30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
(1D 차트)
예전과 마찬가지로 3438.16 이하가 매수 시기에 해당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3265.0-3321.30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특히, 1W 차트의 M-Signal 지표가 3265.0-3321.30 부근으로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는 더 중요한 지지와 저항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고점 경계 구간은 3831.12-3996.22 구간입니다.
따라서, 이 고점 경계 구간이 저항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기울기의 변화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3644.71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지지 받지 못하고 하락한다면,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변동성 기간 : 1월 9일-11일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빠르게 97461.86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고 하락하게 된다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 93576.0-94742.35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만일 BW(0) 지표 지점인 92792.05 이하로 하락하게 된다면, HA-Low 지표가 생성되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
이번 변동성 기간은 1월 10일경(1월 9일-11일)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단기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97461.86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
일단 자금 흐름이 그리 나쁘지 않은 상태로 보입니다.
USDT는 갭 하락세를 멈추고 횡보 중이고, USDC는 갭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NAS100USD 1D 차트)
다만, 코인 시장에 영향을 주는 다른 이슈로 인해 하락하였기 때문에 더 큰 이슈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코인 시장은 가격 방어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XAUUSD 1D 차트)
(IBIT 1D 차트)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97461.86 이상에서 유지시 단기 상승세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차트)
주요한 3개의 상승 채널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2개의 상승 채널이 추세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BTCUSDT 1D 차트)
BTC는 가격 상승 후에 현째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면서 단기 상승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이로 인해 97461.86-98892.0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관건에 해당됩니다.
-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은 93576.0-94742.35 입니다.
고점 경계 구간은 101947.24-106.133.74 입니다.
따라서, 101947.24-106.133.74 구간은 저항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고점 경계 구간을 상향 돌파하게 된다면, 새로운 파동을 만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면, 현재의 움직임은 눌림목(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상승하였다고 해석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러므로, 눌림목(pull back) 패턴을 만들 때는 1M, 1W, 1D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M-Signal 지표 부근에서의 움직임을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
다음 변동성 기간은 1월 10일경(1월 9일-11일)입니다.
따라서, 1월 10일경을 지나면서 어느 지점에 위치해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
BW 지표가 0 지점을 터치하였고, DOM 지표가 0 이상 상승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98892.0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기울기 변화를 보임으로서 하락에 대한 압박을 받고 있는 모습이기 때문에 98892.0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 : 50.93-52.95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MNST 1W 차트)
HA-High 지표에서 하락하여 HA-Low 지표를 만나게 되면 파동이 초기화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HA-Low 지표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HA-Low 지표를 만났기 때문에 결국 바닥 구간을 형성하게 될 것 입니다.
그러므로, 50.93-52.95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
(1D 차트)
가능하면, 51.92-52.95 부근에서 지지 받고 53.77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50.93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48.80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53.77 부근에서 지지 받게 된다면, 55.32-55.96 부근에서 저항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97461.86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가 횡보 중일 때, USDC가 갭 상승하면서 코인 시장을 단기적으로 견인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알트코인 상승장이 시작되기 위해서는 BTC 도미넌스가 55.01 이하에서 유지되거나 하락세를 보여야 합니다.
USDT 도미넌스는 최대 2.84 부근을 터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84 부근을 터치하고 상승하기 시작하면 코인 시장은 하락세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USDT 도미넌스가 4.97 이상 상승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급락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 이후에 4.97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에 따라 코인 시장의 추세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NAS100USD 1D 차트)
NAS100USD가 지지 구간 이상 상승하여 유지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고점 경계 구간은 저항 구간으로 적용할 가능성이 높지만, 상향 돌파한다면 새로운 상승 파동을 만들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BTCUSDT 1D 차트)
97461.86 부근에서 지지 받는다면 단기 상승세로 전환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단, USDT가 갭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고 갭 하락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다시 하락하게 될 것 입니다.
BW 지표와 DOM 지표가 0 지점 이상 상승하고, 캔들의 Body 색상이 녹색으로 전환되는지도 살펴봐야 합니다.
지지 여부 확인은 최소 1일-3일 정도의 움직임을 확인해야 하는 지루하고 힘든 작업입니다.
-
다음 변동성 기간인 1월 10일경에 101947.24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하락한다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 93576.0-94742.35 구간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지지 구간 : 0.4024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XLMUSDT 1D 차트)
이번에 상승하면서 캔들의 Body 색상이 녹색(#42bda8, #00332a)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단기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 0.4024 부근이나 그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여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고 0.3747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0.3070 부근으로 하락할 수 있습니다.
-
고점 경계 구간이 0.4931-0.5362 구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구간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그러므로, 0.4024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이 확인되었을 때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단기 상승세 전환 구간 : 3438.16-3472.21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어찌되었든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 3265.0-3321.30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단기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3438.16-3472.21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3265.0-3321.30 부근이나 3438.16-3472.21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가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1W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1M 차트의 M-Signal 지표를 만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
BTC 분석에서 말씀드린대로 현재 USDT가 갭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코인 시장은 언제라도 하락을 보여도 이상할 것이 없는 상태입니다.
그러므로, 본격적인 매수는 USDT가 갭 상승세로 전환되었을 때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현재로서는 단기적으로 대응하면서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가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다음 변동성 기간 : 1월 10일경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1D 차트)
USDT는 갭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갭 하락은 코인 시장에서 자금이 유출되었다는 흔적입니다.
(USDC 1D 차트)
그나마 USDC가 갭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가격 방어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USDT가 지속적으로 갭 하락세를 유지할 때 USDC가 횡보하거나 갭 하락을 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큰 폭의 하락이 나올 수 있으므로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BTCUSDT 1D 차트)
USDT가 갭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락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상승하는 것과 같은 움직임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하락에 대한 대응 방안에 대해서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단기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95863.11-97461.86 구간이나 그 이상에서 지지 받아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고 결국 하락하게 될 것 입니다.
-
USDT는 코인 시장을 지탱해 주는 중요한 스테이블 코인 중 하나입니다.
USDT는 전세계에서 사용되는 스테이블 코인이기 때문에 코인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자금에 해당됩니다.
-
93576.0, 94742.35 지점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지점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93576.0-94742.35 부근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다면, USDT가 갭 상승하는 모습을 보일 때 코인 시장은 큰 폭의 상승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92792.05 지점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1차 : 87.8K ~ 89K
2차 : 1W 차트의 M-Signal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93576.0-94742.35 구간 이상으로 상승하여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 하더라도 고점 경계 구간인 101947.24-106133.74 구간 이상 상승하여야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다시 하락하게 될 것으로 이때, 93576.0-94742.35 구간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
앞서 말씀드린대로 바닥 구간을 형성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발전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HA-Low 지표를 만나야 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이 1월 10일경(1월 9일-11일)으로 예상되므로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HA-Low 지표가 생성되는지를 살펴봐야 겠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