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익범위] 단타와 장투는 어느 캔들봉으로??#타임프레임 #손익범위 #캔들봉 #Confluence
안녕하세요. 트레이더분! 토미입니다.
많은 트레이딩 입문자분들이 저에게 종종 이런 질문을 하곤 합니다. ‘이 종목은 어느 봉이 잘 맞아요?’, ‘이 지표는 몇 분봉에서 활용하는 것이 좋아요?’, ‘손절과 익절은 몇 퍼센트/틱으로 잡아야 해요?’ 오늘 이런 질문들에 대한 명확한 답변을 드리고자 합니다. 차트의 타임프레임 개념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게 되면 이런 의문이 생기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가 매일매일 구멍이 뚫리도록 보는 이 차트라는 도구는 2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차트는 X축에 가격과 Y축에 시간을 갖추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눈여겨보던 종목의 주가가 10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올랐다고 가정해봅시다. 과연 많이 오른 걸까요? 시간적 측면에서 한번 곰곰이 생각을 해봅시다. 만약 주가가 하루만에 뛰었다면, 분명히 큰 상승이겠지만 십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일어난 상승이라면, 상대적으로 크게 오른 게 아닐 겁니다. 이처럼 주가의 변동폭을 판단할 때 우리는 가격폭만이 아니라 시간폭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즉, 주가 변동은 특정한 기울기를 가지게 되며, 기준에 따라 가파를 수도 있고 완만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모호성을 해결하고자, 우리 트레이더 선배님들은 차트에 ‘타임프레임’ 혹은 ‘시간봉’이라는 객관적인 개념을 도입하였습니다.
이미 잘 알고 계시겠지만, 차트 세계에서의 타임프레임은 한 개의 캔들스틱이 생성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전 제 캔들스틱 교육자료에서 언급했듯이, 단순한 1차원 라인차트와는 달리, 시/고/저/종가들로 이루어진 캔들 차트는 보다 심도 있는 해석이 필요합니다. 더 높은 타임프레임일수록, 캔들의 종가는 더 큰 의미를 가지게 되며, 더 장기적인 시장 추세를 반영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주봉의 종가 마감은 한시간봉의 종가 마감보다 더 중요하게 간주해야겠죠. 다른 말로, 주요 고점/저점/천장/바닥을 한시간봉이 돌파하고 종가마감을 하는 것보다, 주봉이 돌파하고 종가마감할 때 더 큰 의미를 가집니다.
아래 좌측에 한시간봉 차트에서 그려진 하락채널이 있습니다. 채널 상단을 뚫어준 후에 한시간봉 캔들의 종가마감이 채널 밖에서 이루어졌기에, 우리는 채널이 상방돌파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두시간봉 차트로 넘어가 보면 어떨까요? 두시간봉상에서는 아직 캔들의 종가마감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타임프레임에서는 완벽한 상방돌파가 되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조금 더 흘러보니, 두시간봉에서도 종가마감이 채널 밖에서 이루어졌네요. 그렇다면 세시간봉, 네시간봉에서는 어떨까요? 이런 식으로 계속해서 타임프레임을 높여가면, 평생 채널을 상방돌파 하지 못하는 걸까요?
높은 봉일수록 캔들의 종가마감이 더 중요해지는 반면, 기존에 고려했던 채널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한시간봉 캔들 24개로 형성된 하락채널을 일봉 차트에서 보면, 달랑 한 개의 캔들스틱으로만 보여질 것입니다. 그럼 이런 경우에, 기존의 하락채널이 여전히 유의미할까요? 캔들스틱 한 개만 가지고는 의미 있는 채널을 작도할 수 없겠죠. 이렇듯 타임프레임이 높아질수록, 우리는 더 장기적인 관점에서, 더 큰 그림에서 도출된 채널을 고려해야 합니다. 참고로, 본문에서는 평행채널을 대표 예시로 들었지만, 이 개념은 추세선, 피보나치, 매물대 등 모든 기술적 이론과 보조 지표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자, 그러면 이제 Price Action에 대해서 이야기해볼 시간입니다. 기술적 분석의 세계에서, 보통 지지/저항구간은 사각형 박스로 표현됩니다. 이 2차원의 박스는 가격 범위와 기간 범위로 이루어져 있고, 범위가 넓어질수록 박사의 면적 또한 넓어집니다. 한시간봉 차트에서 찾은 지지구간의 면적(가격 범위 x 기간 범위)이 일봉 차트에서 보면 터무니없이 작을 것입니다. 반대로 일분봉 차트에서는 상당히 크겠죠? 이와 같이 각 타임프레임마다 적합한 Price Action의 크기가 존재합니다. 다시 말해, 지지/저항 구간의 가격 및 시간 범위는 낮은 봉일수록 좁아지고, 높은 봉일수록 넓어져야 합니다.
Price Action의 면적은 트레이딩 셋업을 디자인할 일종의 토대 혹은 기반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박스의 크기에 따라 손익범위, 손익비율, 그리고 진입 대기기간 등이 바뀔 수 있어, 이 모든 것을 잘 고려하여 전략을 세워나가야 합니다. 같은 타임프레임 내에서도 Confluence Zone(여러 기술적 요소들이 겹치는 구간)의 형성 방식에 따라 지지/저항 구간의 크기가 달라지며 가급적이면 면적이 작고 얇은 게 좋습니다. 제가 이전 글들에서 여러 차례 강조했듯이, 좋은 진입자리란 손절가를 명확하게 설정할 수 있는 구간입니다. 리스크, 즉 손절범위를 타이트하게 잡을 수 있다면, 손익비를 더 유동적으로 설계할 수 있습니다. 반면, 어쩔 수 없이 손절범위를 넓게 설정해야 한다면, 이에 따른 기대수익도 상응하게 늘려야 하므로 손익비를 설계하는 데 제한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아래 두 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Confluence Zone이 작게 잡힐 시 다양한 손익비율을 설계하거나, 심지어 손절범위를 넓혀 승률을 높이는 전략도 취해볼 수 있습니다. 한편 Confluence Zone을 크게 잡아야만 하는 경우라면, 익절범위도 그만큼 확장해야 합니다. 만약 차트 상황 상 그게 불가능하다면, 어쩔 수 없이 손익비율을 낮춰야 합니다. 예를 들어 바로 상단에 큰 저항 매물대가 있거나 중요한 추세선 리테스트 저항구간이 자리잡고 있는 경우, 익절가를 쉽게 올리기 어렵겠죠. 이렇게 진입구간 박스가 커질수록 손익범위도 함께 늘려야 하며, 익절가를 더 올릴 수 있는지 확인하려면 전체 트레이딩 설계 범위가 늘어난 만큼 더욱 장기적인 관점으로 차트를 봐야 합니다. 참고로 손익범위가 커질수록 진입기간 혹은 대기 시간도 길어진다는 점도 잊으면 안됩니다.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우리가 찾아낸 자리가 단타에 적합한지, 아니면 장투에 더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안목이 있어야 합니다. 높은 봉 차트일수록 Confluence Zone의 면적이 커져서, 그에 따라 손익범위도 넓어지고 진입기간도 길어지게 되죠. 결국, 스윙이나 장투에 더 가까운 트레이딩일테며, 장기적인 추세(더 넓은 가격 및 기간 범위)를 간주해야 합니다. 반대로 낮은 봉 차트는 단타에 더 가까운 트레이딩이겠죠, 이 때 주의해야 할 것은 장기적인 추세를 등한시하고 너무 단기적인 추세에만 머물러 있으면 안됩니다. 큰 그림에서 보지 못한 메이저 요소들을 놓치게 될 수 있거든요. 예상치 못한 장기 추세선이나 이평선, 매물대 등이 근방에 있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지도를 보듯이 차트도 항상 더 큰 그림, 즉 장기적인 추세와 요소들부터 높은 봉 차트로 파악하고, 그 후에 점차적으로 단기적인 관점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요즘 저는 차트와 우리 인생이 참으로 닮아 있다고 느끼곤 합니다. 우리 삶에서도 일상의 작은 파도에 정신 없이 휩쓸려 간혹 넓은 바다를 잊곤 합니다. 다들 큰 목표와 꿈을 보고 쫓아갈 수 있는 넓은 시야로 항상 현명한 판단을 내리는 트레이더가 되길 바라며, 저는 이만 마치겠습니다. 성투하세요.
여러분의 구독, 좋아요, 댓글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Tommytradingchannel
[바이킹 패턴] 요즘 단골 세력 패턴요즘 금융 시장은 날이 갈수록 별 괴상하고 난해한 패턴으로 우리를 당황시킬 궁리만 하는 것 같습니다. 궁극적으로 우리 트레이더들은 특정 확률로 발생하는 시장의 변동 모멘텀을 시간과 가격을 축으로 구조화해 추세와 Price Action을 도출합니다. 최근 자주 보이는 소위 스캠 무빙과 생소한 흐름들 역시 경향성이 일정 수준 존재하기 마련이며 이를 충분히 패턴화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제가 나름 최근 데이터 연구를 바탕으로 모델화한 패턴 하나를 간략하게 소개 드리고자 합니다. 근래에 매매를 꽤 해보신 분들은 아마 익숙하실 겁니다.
와이코프 이론(Wyckoff Theory)과 마스터 패턴(Master Pattern) 관점으로 해석해보자면, 결국 축적(Accumulation)과 분산(Distribution) 단계(Phases)들을 매물대로 단위화하고 이로 인한 Price Action을 파악하는 원리입니다. 크게 LVP(Low Volume Peak), HVP(High Volume Peak), 피보나치 확장(Extension & Projection), 시간 피보나치 확장, 추세선, 채널 등 다양한 기술적 요소들을 근거로 분석해봤습니다. 현재까지 습득한 인사이트 브리핑을 드리자면 본 패턴은 아래와 같은 단계로 진행됩니다.
1. 가장 먼저 유의미한 HVP(High Volume Profile)가 형성되면 첫번째 기준 매물대로 지정합니다. 이 매물대의 파동구조가 삼각수렴(어센딩, 디센딩, 시메트릭, 웻지 등), 평행 채널, 다이아몬드, 와이드닝 등 어떠한 패턴과 가장 유사한지 식별해줍니다. 그러면 매물대의 상단/하단이 수평선 LVP(Low Volume Peak) 혹은 추세선으로 도출이 됩니다. 그리고 위든 아래든 이탈 방향이 나오는 시점까지 기다립니다.
2. LVP(수평선)로 이루어진 상단/하단이 강하게 돌파될 때, 혹은 장대봉으로 뚫어줄 때 추세장 혹은 Distribution Phase로 돌입한다고 와이코프 이론은 말합니다. 이때는 수렴이나 횡보를 끝내고 높은 변동성이 나오는 단계입니다. 매물대의 파동 구조를 활용해 Projection 및 Extension 확장으로 의미 있는 레벨들을 타겟팅해볼 수 있지만 해당 레벨들에서의 카운터 트렌드 진입은 리스크가 높습니다. 참고로 제가 활용한 확장 레벨들은 1, 1.13, 1.272, 1.414, 그리고 1.618입니다.
3. 추세의 힘이 서서히 감소하다 결국 고/저점을 형성하고 새로운 HVP매물대가 다시 만들어집니다. 첫번째 기준 매물대의 위/아래에서 점차 새로운 바닥/천장이 만들어지겠죠. 만약에 이 매물대가 비교적 라운드(Rounded)하게, 다른 말로 Cup with Handle이나 Adam and Eve, 혹은 Head and Shoulder 형국으로 나온다면 바이킹 패턴을 더욱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두번째 매물대가 첫번째 기준 매물대보다 가격적으로도 기간적으로도 크기가 작은 편입니다.
4. 두번째 매물대의 상/하단이 뚫리고 첫번째 매물대를 향한 추세가 나옵니다. 전 매물대 LVP 리테스트를 받는 경우도 있지만 만약에 첫번째 매물대의 추세선과 LVP가 동시에 겹치는 Confluence Zone을 강하게 돌파해주는 흐름이 전개된다면 이후 높은 확률로 추가적인 추세가 나오며 우리는 이 Price Action을 활용해 트레이딩 셋업을 적용해볼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추세선과 전 바닥(LVP)이 겹치는 구간을 잠재적 추세 변환의 POR(Point of Recognition)로 지정 후 돌파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겁니다.
5. 첫번째 매물대의 기간적범위 기준 피보나치 타임존 확장 레벨을 적용해봤습니다. POR 돌파 시점이 웬만하면 2를 넘지 않는 현상을 확인해볼 수 있었습니다. 다른 말로 전 매물대보다 새로운 매물대가 더 연장된다면 출현 확률이 감소한다는 뜻입니다. POR 시점 타겟팅에 활용한 타임존 확장 레벨은 1.13, 1.272, 1.414, 1.618, 그리고 1.818입니다.
과거 사례들을 다양한 종목과 타임프레임에서 찾아봤습니다.
비트코인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
DXY 달러인덱스
에코프로
추가 고찰을 통해 향후 본 업데이트 더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여러분의 구독, 좋아요, 댓글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주가조작] 하따는 떨어지는 칼날?이번에 국내주식 주가조작 사건에 연루된 종목들입니다. 몇 일간 연속으로 하한가가 터졌음에도 불구하고 소식통에 의하면 이번에 수많은 개인들이 3~4천억 정도나 되는 물량을 주웠다고 합니다. 외부적인 요인으로 하락을 했지만 기업 펀더멘털 자체의 문제는 아니라는 점 때문에 많은 개미들, 특히 극한의 하이리스크와 카운터 트렌드 진입 타점을 좋아하는 분들이 꽤 많이 들어갔나 봅니다. 때문에 오늘은 객관적인 관점으로 본 종목들의 기술적분석을 해봤습니다.
참고로 본 게시글은 해당 종목들에 대한 매수 매도 추천이 절대 아니며 오히려 이런 리스크를 무릅쓰고 까닥 잘못 들어가면 봉변을 당할 수 있다는 경각심을 일깨워주기 위한 포스팅임을 알립니다. 아무리 해당 주식들이 현재 저평가 되어있다 하더라도 대대적인 사태인만큼 아직 악재 해소가 다 되지 않았으며 지금 줍는 건 리스크가 너무 크다고 생각합니다. 차라리 어느정도 유의미한 저점이 컨펌이 된 이후에 고려해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인위적인 차트들도 기술적 분석이 과연 먹힐까요? 가끔 본인의 전략, 기법, 지표, 이론 등을 검증해볼 겸 이러한 차트들 분석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허나 만약에 본인은 차트를 보고 있으면 저절로 손이 마우스로 간다? 분석하다보면 나도 모르게 막 들어가고 싶어진다? 이런 분들은 그냥 차트 쳐다도보지 않으시는 걸 권장드립니다.
대성홀딩스 주봉 로그차트
삼천리 주봉 로그차트
서울도시가스 주봉 로그차트
하림지주 주봉 로그차트
세방 주봉 로그차트
선광 주봉 로그차트
다우데이타 주봉 로그차트
다올투자증권 주봉 로그차트
[어닝 시즌] 일년에 네번은 시즌권 끊어야됩니다#어닝시즌 #실적시즌 #기업실적
어느덧 23년 1분기 어닝시즌(Earning Season)이 다가왔습니다. 최근 고조된 금융 위기에 대한 우려로 이번 은행들의 실적은 그 어느때보다 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나름 기초 개념이면서 동시에 굉장히 중요한 경제 이벤트인 어닝시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들 뉴스나 경제 이슈에서 컨센서스, 어닝 서프라이즈, 어닝 쇼크, 비트, 미스, 그리고 미트 등의 용어들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게 다 기업들의 실적 발표에 관련된 용어들이며 특히 트레이딩과 투자를 하는 우리들은 이러한 경제 이벤트에 더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실적 시즌은 말 그대로 기업들의 각 분기별 실적 보고서를 공개적으로 발표하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통상적으로 1분기 실적은 4월 중순~5월 초, 2분기(+상반기) 실적은 7월 중순~8월 초, 3분기 실적은 10월 중순~11월초, 그리고 4분기 실적과 연간 사업/감사 보고서는 다음 해 1월 중순~2월 초에 발표됩니다. 현존하는 경제 지표와 마찬가지로 발표되는 기업의 실적들이 예상치와 크게 차이가 날 경우 시장 변동성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므로 대형주들의 영업 실적 발표는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꼭 모니터링 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핵심 개념인 컨센서스(Consensus)에 대해 알아봅시다. 금융 업계 및 정책에 자주 등장하는 단골 용어이죠. 어닝 시즌에서의 컨센서스는 실적이 발표되기 전, 여러 증권사와 애널리스트들이 생각하는 실적들을 평균 낸 수치입니다. 쉽게 말해 공식적인 기업 실적 예상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컨센서스는 시장 참가자들이 기업의 성과를 미리 예측하고 투자 전략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자, 그럼 이 컨센서스를 기준으로 실제 발표된 실적이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를 보는 겁니다. 예상치보다 상회했을 때를 비트(Beat) 혹은 어닝 서프라이즈(Earning Surprise), 하회했을 때를 미스(Miss) 혹은 어닝 쇼크(Earning Shock)라고 하며, 예상치 대로 나왔을 때를 미트(Meet)라고 합니다. 다른 말로, 예상보다 기업의 영업 실적이 좋게 나오면 비트, 나쁘게 나오면 미스입니다. 보편적으로 시장에 비트는 호재로, 미스는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미스가 나와도 불안감 해소로 인해, 비트가 나와도 기대보다 적은 괴리율로 인해 시장이 반대로 반응하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당연히 컨센서스와 실제 수치와 괴리율이 높을수록 시장에 더 큰 영향을 주겠죠?
참고로 어닝 쇼크는 주로 국내에 상용화되어 있는 용어로 해외에서는 많이 쓰지 않다고 합니다. 해외에서는 미스를 어닝 쇼크 보다는 마이너스 어닝 서프라이즈로, 반대로 비트는 플러스 어닝 서프라이즈라고 표현하는 게 더 관례적입니다. 또한 때때로 컨센서스와 실제 수치가 10% 이상 차이가 나야 서프라이즈 및 쇼크로 간주하는 곳도 있습니다. 기업 실적을 나타내는 재무 지표는 대표적으로 EPS(Earnings Per Share, 주당순이익), Revenue(매출), Gross Margin(매출총이익), Operating Margin(영업이익), Net Income(당기순이익), BPS(Book Value per Share, 주당순자산), PER(Price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PBR(Price to 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등 다양합니다.
오늘은 어닝 시즌의 기본 개념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봤습니다. 차트 분석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거시적인 경제 이벤트 및 스케줄 역시 잘 파악하고 있어야 시장의 큰 흐름과 장기적인 추세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요?!
[비트코인] 중요한 기로에 서있는 비트#비트코인 #주봉 #로그차트
- 비트코인 로그 차트 주봉입니다. 현재 큰 그림에서 기술적으로 매우 중요한 기로에 있다고 생각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 드리고자 합니다. 여러분의 다양한 의견 댓글에 남겨주세요.
- 가장 먼저 저를 포함한 전세계 많은 TA 애널리스트들이 눈여겨보고 있는 로그 장기 상승 추세선의 리테스트 저항 여부에 주목하셔야 합니다.
- 아래 차트 보시면 작년 10~11월에 해당 장기 추세선을 강하게 하향이탈을 해주고 이후 올해 2월달부터 외줄타기 하듯 추세선 주변을 웃돌고 있는 상황입니다.
- 물론 요즘 이탈 및 돌파한 추세선의 리테스트를 무시하고 다시 올라와주는 가격 흐름이 많이 나오는 추이지만, 그렇다고 무턱대고 여기서 추가 상승을 보고 무지성 신규 매수하기엔 리스크가 꽤 있어 보입니다.
- 참고로 현재 가격 저항을 유발할 수 있을 만한 기술적 요소로는 로그 추세선 뿐만 아니라, 강한 매물대(29k~35k)도 근접해 있습니다.
- 약간 위에 있긴 하지만 오렌지 하락 채널 상단 역시도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 평행 채널 형성 전략을 기반으로 저항을 어느정도 발생시킬 수 있는 요소입니다.
- 때문에 아래 차트에 표기한 바와 같이 현 구간에서 추가 상승이 나오던 조정을 한번 받고 상승을 하던 채널 상단 저항 여부를 당분간 확인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 엘리엇 파동 관점 상 69K부터 시작된 하락 파동을 초록색 조정 4파 진행 중으로 고려해본 카운팅을 아래에 작도해봤습니다.
- 첫번째 카운팅은 초록색 4파의 검정색 B파가 아직 진행 중으로 검정색 하락 C파를 조만간 기대해볼 수 있는 시나리오입니다.
- 두번째 카운팅은 초록색 4파가 이번 하락장에 끝나고 15.4K에서 시작된 반등 파동을 초록색 5파로 간주하는, 나름 Bullish한 시나리오입니다.
- 두 카운팅 모두 초록색 1파의 고점으로 고려한 13.8k을 하방이탈 시 무효화됩니다. 때문에 장기적으로 이 구간을 잘 지켜줄 수 있을지가 관건이네요.
초보 트레이더 Vs. 고수 트레이더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토미입니다.
제가 평소에 늘 잔소리처럼 내뱉는 말이 있습니다. 바로 ‘이쪽 시장의 불편한 진실이자 불변의 법칙은 개미 10명 중에서 겨우 1~2명만이 생존한다'라는 것입니다. 물론 초반에 초심자의 행운이라는 버프로 일시적인 수익을 낼 수는 있어도 지속적으로 누적 수익을 차곡차곡 쌓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이건 제 개인적인 견해가 아닌 통계가 말해주는 팩트입니다. 투자 세계는 그 어떤 산업보다 치열하고 잔혹합니다. 개나 소나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곳이었으면, 이미 모두가 부자가 되어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토피아와 현대 자본주의는 공존할 수 없는 게 현실입니다. 이런 가혹한 세상에서 살아남으려면, 꼼꼼한 연구, 지속적인 학습, 끈기, 그리고 엄격한 자기 통제력이 필수적입니다.
제 경험과 조사를 바탕으로, 이 시장에 막 입문한 뉴비 트레이더와 숙련된 고수 트레이더들 사이에서 매매 전략, 심리 관리, 그리고 거래 습관 등 다양한 실무적인 차이점을 살펴봤습니다. 참고로 차트분석에 대한 내용은 너무 상투적이라 이 글에서는 다루지 않겠습니다. 두 그룹 모두 차트보는 안목은 기본적으로 겸비하고 있다고 가정할게요. 본 글에서 언급하는 초보 트레이더는 차트는 볼 줄 알지만 경험이 아직 부족한 분들을 의미합니다. 차트조차 보지 못한다면 트레이더라는 타이틀을 붙이기가 조금 애매하네요.
가장 먼저 고수와 초보는 좋은 진입점을 판단하는 기준 자체가 서로 다릅니다. 차트 보는 안목이 어느정도 생기고 자신감이 한창 차오르는 시기에는 약간의 신호와 타점이 보이기만 하면 곧장 들어가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래도 나름 여러 기술적 요소들의 Confluence Zone인데 자리 놓치면 다시는 오지 않는다는, 이런 일희일비하는 사고 방식은 결국 독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숙련된 분들은 모든 기회에 따르는 리스크를 먼저 고려한 후 기대 수익을 살펴봅니다. 다시 말해, 고수분들은 철저하게 손익비를 따집니다. 그 아무리 좋은 시그널과 구간이라도 손절폭 대비 익절폭이 기준을 충족하지 않으면 냉철하게 보내주는 것이죠.
저는 개인적으로 좋은 진입구간이란 손절을 깔끔하게 잡을 수 있는 자리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위치에서는 상황에 맞게 손익비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간혹 손절가가 애매하게 잡히거나 (일반적으로 Confluence 박스가 클 때) 평소보다 길게 잡힐 때가 있습니다. 물론 익절폭을 그만큼 넓게 잡을 수 있다면 상관없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런 자리에서는 아무리 다수의 지표들과 기법들이 Buy 신호를 보내줘도 저는 쿨 하게 무시하는 편입니다. 예를 들어 100원에 매수하고 50원에 손절가를 정했다고 가정해봅시다. 1 이상의 손익비를 확보하려면 익절가를 최소한 150원 이상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그런데 만약 손절가를 90원까지 올릴 수 있는 상황이라면 익절가를 110원 이상으로만 잡으면 좋은 손익비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손절가는 타이트 해질수록 상황에 적합한 매매 전략을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약간은 테크니컬한 맥락으로 Price Action과 모멘텀의 특성 및 성향을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 역시 트레이더로서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같은 지지구간이라도 매수하기 좋은 자리가 있고, 뚫리면 손절하기 좋은 자리가 있으며, 숏을 익절하기 좋은 자리가 있기 마련입니다. 주가의 SR Flip과 돌파/이탈 메커니즘을 잘 이해할수록 분별력이 생길 겁니다. 이러한 부분들은 어느정도 경험치에서 묻어나는데 딱 정해진 정답은 없습니다. 각자 트레이딩 성향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에게 맞는 기준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이미지/링크들을 클릭해주세요.
당연한 소리지만 제일 핵심은 사전에 정한 손절가와 익절가를 준수하는 겁니다. 그 아무리 효율적인 셋업을 설계해도 지키지 않으면 무용지물입니다. 주가가 막상 근접할 때, 계획과 달리 손절가를 풀고 무분별하게 물을 탄다거나, 손절가를 내린다던가, 익절가까지 홀딩 안하고 일찍 나오는 버릇들을 고쳐야 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두번은 손실을 면하고 수익을 낼 수는 있지만 같은 행위를 100번 1000번 반복하면 어떻게 될까요? 점점 손익비가 낮게 수렴할 것입니다. 참고로 요즘 다들 손절의 중요성은 웬만하면 잘 인지하고 있지만, 홀딩의 중요성을 얕보는 분들이 많습니다. 아래 자료는 원칙매매와 뇌동매매(이른 익절) 각각 누적수익 시뮬레이션 결과로, 거래 횟수가 많아질수록 차이가 점점 벌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포지션 홀딩을 하다가 중간에 일찍 털고 ‘악항옳’을 외치는 버릇이 결국 거시적인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제가 구구절절 풀어 썼는데 위 내용들은 ‘뇌동매매’라는 한 단어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결국 이 분야에서의 숙련도는 감정 컨트롤이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초보분들은 수익이든 손실이든 감정 변화의 폭이 크고 일희일비하시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손실을 입거나 예상했던 수익을 놓칠 때 가슴 깊이 올라오는 아쉬움과 분노를 억누르고 조절하는 능력은 선천적인 부분도 있지만, 후천적인 부분이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심리적인 부분들을 보완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막연한 노력만으로는 부족하고, 더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특히 본인이 언제 뇌동나사가 잘 풀리는지 사전에 인식하고 있으면 큰 도움이 됩니다. 제 개인적인 경험, 주변 트레이더들, 그리고 많은 수강생분들로부터 도출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뇌동심리가 쉽게 올라오는 특정 상황들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봤습니다.
1. 손절 헌팅: 손절가만 딱 건드리고 올라가는 경우
2. 진입 미스: 진입가 바로 위에서 반등하는 경우
3. 익절 미스: 익절가 아주 근접하게 올라오고 다시 떨어지는 경우
4. 이른 익절: 익절했는데 더 올라가는 경우
5. 연속 손절: 연속으로 손절이 나는 경우
이 같은 상황에 직면하면 로봇이 아닌 이상, 아무리 유능한 트레이더라도 심리적인 데미지를 피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데미지로부터 불필요한 마우스 클릭까지 이어지지 않게끔 중간에 냉정하게 차단할 수 있는 본인만의 감정 관리법을 구축하는 것이 고수가 되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결국, 이쪽 세계에서의 생존법은 단순한 기술적인 능력보다는 또다른 자아가 튀어나오지 않게 내 몸속에 잘 가둘 수 있는 끈기와 인내입니다. 다소 고통스럽게 들린다고요? 네, 맞습니다. 원래 이 시장은 무한한 고통의 연속입니다. 괜히 금융산업의 행복지수가 가장 낮다는 통계 연구 결과가 나온 게 아닙니다. 하지만 인내가 쓸수록 결실의 열매는 아주 달콤한 법이지요. 여러분 모두 비록 지금 당장은 고달플지라도 언젠가 맛볼 달콤한 열매의 주인공이 되셨으면 합니다. 이 긴 글을 읽어주신 모든 분들, 꼭 성투하세요!
여러분의 구독, 좋아요, 댓글은 저에게 큰 동기부여가 됩니다^^
[실버게이트] 하락 전환의 신호인가?암호화폐 친화 은행인 실버게이트가 회계 보고서를 발표하지 못하는 등 경영난이 기정사실화되면서 규제 조사 및 법적 리스크가 증가했습니다. 앞서 실버게이트는 파산을 면하기 위해 증권을 시장가로 급매도한 후 지난해 4분기 10억 달러 상당의 손실을 보고한 바 있습니다. 또 지난 1, 2월에도 추가로 증권을 매각해 추가 손실을 예고하기도 했습니다.
이로 인해 뱅킹 파트너인 코인베이스와 제미니 등 암호화폐 거래소가 협력 중단을 선언하고, 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도 기업 등급을 하향 조정했습니다. 이러한 악재를 비트코인도 피하지 못하고 현재 급격한 하락세가 나오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차트 분석은 여기 많은 분들이 매일매일 해주시니 저는 실버게이트 차트를 한번 분석해봤습니다.
- 실버게이트 일봉 로그차트입니다. 주요 매물대와 저점들을 다 무시한 채 큰 갭과 함께 장대 음봉이 출현했습니다.
- 현재 노란색과 파란색 채널 하단까지 도달한 상황이며 추가하락이 나올 시 반등을 기대해볼 수 있을 만한 구간들은 $4.50~$4.90, $3.60~$3.90, 그리고 $2.85~$3.05 입니다.
- 단기적으로 전 저점인 $7.60의 리테스트 저항을 뚫고 올라올 수 있을지가 관건이며 강한 저항레벨은 $11.90~$12.90와 $17.80~$19.30입니다.
- 엘리엇 파동 관점에서는 반등이 지금 나와도 아래로 한 파동 더 남아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화이팅] 고달픈 트레이더의 험난한 여정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
오늘은 많은 산전수전과 시행착오를 겪고 계시는 여러분들의 매매 인생에 격려의 말씀과 동시에 냉철한 조언을 드리고자 본 자료를 준비했습니다. 그 누구보다도, 그 어느 때보다도 외롭고 지치고 힘들고 고독한 여정을 여기 계신 모든 분들이 하고 계실 겁니다. (그 마음 누구보다 잘 압니다. 토닥토닥) 하지만 또 그 어느 직종보다 달콤하면서 매력적이고 간지가 나는 커리어가 바로 트레이딩이 아닐까요? 저는 트레이딩을 독이 든 성배 혹은 달콤한 저주라고 비유하곤 합니다.
다들 처음에는 마냥 쉬운 돈벌이 수단이 될 수 있다는 무모한 기대심과 호기심으로 이 시장에 뛰어드셨을 겁니다. 달콤한 초심자 운에 취해 있다가 오래 못 가 바로 뒤통수를 세게 맞습니다. 아직도 기억이 생생히 나네요. 쥐뿔도 모르는 상태에서 이 트레이딩이라는 놈을 만만히 봤다가 난생 처음으로 막대한 손실이 났었던 날을. 머리에 떡이 진 채로 부르르 떨리는 손을 바라보며 애써 현실을 외면하는 내 자신을. 여러분들도 각자 그런 악몽 같은 날들의 기억 파편이 가슴 한 켠 깊숙이 박혀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기대와는 전혀 딴판인 이쪽 세계의 실상을 맛본 뒤 이제 더 이상 일확천금이 아닌 ‘본전만 건지자’를 외치게 되죠. 무한한 기승전결의 굴레를 거치면서 어느순간 투자가 아닌 도박을 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합니다. 결국 갈때까지 가버린 우리는 더 이상 이쪽 길이 답이 아니라는 걸 깨닫게 되고 여기서 보통 두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첫번째는 아예 이쪽 세계를 떠나는 부류입니다. 평생 해도 절대 안 되는 분들에게는 어찌 보면 현명한 판단일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까지 잃은 돈이 너무 아깝잖아요? 불행인지 다행인지는 모르겠지만 아마 이 글을 읽고 계시는 여러분들은 복수심에 불타올라 각 잡고 제대로 공부를 시작하는 바로 두번째 부류입니다.
뒤늦게야 공부(기술적분석 or 기본적분석)의 필요성을 어느정도 느끼게 되면 대부분 열심히 매진합니다. 유명한 유튜버도 찾아보고 평소에 읽지도 않았던 온갖 책들도 사보면서 그래도 나름의 방식대로 잘 발전해갑니다. 하루 종일 차트만 보고 이런저런 백테스팅들도 해보면서 본인만의 투자/매매 기법을 형성해가는데, 문제는 여기서 대다수가 괴상한 자만심에 빠지는 것도 모자라 매매중독이 됩니다. (참고로 필자는 매매에 중독된 사람 치고 매매로 성공한 사람을 본적이 없습니다) 공부만 한다고 성공하는 시장이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요? 결국 뼈저리게 느끼게 되죠. 기술적인 요소보다는 심리적인 요소의 비중이 훨씬 더 크다는 것을. 분석을 잘 하는 건 한낱 패시브에 불과하다는 것을.
이때부터는 멘탈 싸움입니다. 허무하게도 이쪽 세계는 알고 보니 세력도 아닌, 다른 개미들도 아닌, 자기 자신과의 끝없는 전쟁이었습니다. 그나마 다행히 여태껏 잘 수립한 매매법을 기반으로 손익비&승률, 리스크 헷징 등과 같은 전략적이고 원칙적인 부분에 더 치중하게 됩니다. 막상 잘 하다가 어쩌다 한번씩 무언가에 홀리듯 찾아오는 뇌동심리에 좌절하기도 하고 현타가 오기도 하지만 점점 본인만의 뇌동 방지법을 구축해갑니다. 아주 가끔씩 찾아오는 그 ‘한방’만 잘 막으면 된다고! 10번에 한번씩 오던 뇌동심리 주기는 50번에 한번, 100번에 한번, 1000번에 한번씩이 되고 빈도수가 점점 감소하면서 점차 해탈의 경지에 가까워집니다.
하지만 우리는 로봇이 아닌 인간으로 태어난 이상 감정이라는 놈을 항상 경계해야 합니다. 자칫 방심하는 순간, 우리의 정신과 영혼, 그리고 계좌를 겁탈합니다. 경지에 가까워진다고 했지 완전한 득도를 했다고 한 적 없습니다. 길고 나는 트레이더들도, 유명한 펀드사들도 잘 나가다가 갑자기 한방에 깡통차고 파산해버리는 게 이쪽 시장입니다. 전설의 트레이더 제시 리버모어도 4번의 파산신청 이후 스스로 생을 마감했습니다. 졸업? 솔직히 잘 벌고 졸업할 거라고 한 사람 치고 매매를 완전히 그만 두는 사람을 아직까지 본적이 없습니다. 인생사라는 게 어떻게 될지 한치 앞도 예상할 수 없습니다. 99살이 될 때까지 잘 지켜온 나의 투자 원칙을 100살에 갑자기 노망이 들어 어기고 전재산을 다 날려버릴 수 있는 게 바로 이 잔혹한 트레이딩입니다. 제가 앞 전에 독이 든 성배와 달콤한 저주에 빗대어 표현한 이유입니다.
우리는 차트를 볼 수 있는 ‘차륜안’이 생겼고 매매를 할 수 있는 능력을 얻었지만 아쉽게도 이 전의 상태로 돌아갈 수가 없습니다. 눈 앞에 떡하니 자리가 보이는데 어떻게 안 들어갑니까? 여러분들도 다 알다시피 리스크 없는 기대수익은 이 세상에 없습니다. 수익을 낼 수 있는 안목이 생겼다는 건 그만큼 손실의 위험을 감수해야 된다는 말과 다름없습니다. 이게 저주가 아니면 무엇이겠습니까? 하지만 한때 저주를 받은 줄 알았던 미운 오리새끼도 꿋꿋이 견뎌내 결국엔 아름다운 백조가 되었고, 잠자는 숲 속의 공주님도 저주를 극복하고 멋진 왕자님을 만났습니다. 천만 다행이도 우리는 유능한 휴먼입니다. 오랜 학습과 경험을 통해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는 인간은 이 저주를 잘만 다룬다면 언제든지 강력한 무기로 만들어버릴 수 있는 우월한 존재이죠.
따라서 우리는 언제나 시장 앞에서 겸손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건방을 떠는 순간 자본주의는 피도 눈물도 없이 모든 걸 한 순간에 앗아가 버립니다. 다른 말로 여러분들은 더더욱 앞으로 매매인생에 있어 떠안아야 하는 리스크를 철저하게 파악하고 때에 따라 피해야할 땐 욕심을 과감하게 버리셔야 합니다. 이 시장은 예측불가하기 때문에 안된다고요? 운이 따라주지 않으면 성공할 수 없다고요? 한두번은 그럴 수 있겠지요. 하지만 주사위를 더 많이 굴리면 굴릴수록 결국엔 확률싸움이 이길 수밖에 없다는 건 바보가 아닌 이상 다 아는 사실입니다. 고로 이성적이고 일관적인 판단(기대수익 대비 리스크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을 지속적으로 내릴 능력만 갖춘다면 궁극적으로 트레이딩은 우리에게 저주가 아닌 21세기 자본주의 세상에 존재하는 최고의 기술이 아닐까요?
다 같이 함께 이 힘든 시장 잘 견뎌냅시다. 파이팅!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만 마치겠습니다. 여러분의 구독, 좋아요, 그리고 댓글은 저에게 큰 동기부여가 됩니다.
[비트코인] 15.7k 지지 체크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 같아 보입니다.#크랙 #비트코인 #4시간
비트코인은 결국 16930-16960 구간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 채 하락하였습니다.
보라색 매물대의 하단선이자 20일 이후로 지속적인 지지를 해주었던 16765 지지를 깨주었으며 17일 이후 지지를 해오던 16590-16540 구간에서의 반등을 시도하는 모습입니다.
지난 23일에도 16590-16540 구간의 지지 체크를 하였지만 23일엔 급락과 함께 지지체크 이후 강한 반등이 동반되며 16765 구간 위로 다시 상승하며 16730-16960 구간의 박스를 형성 해 주었지만, 현재 진행 중인 하락에선 한차례 16590 반등후 16730-16765 구간의 저항을 체크 한 뒤 다시한번 16590-16540 구간의 지지를 체크하고 있는 모습으로 추가적인 하락의 가능성을 짙게 보이고 있는 모습입니다.
두차례 16590-16540 구간에 밑꼬리를 남기며 15일~20일 하락의 피보나치 되돌림 0.13레벨인 16646 위로 종가 마감을 해주고 있는 모습이긴 하지만 16730-16765 구간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하는 모습으로 단기적인 반등은 기대해 볼 만 하지만 매수 대응엔 리스크가 굉장히 높다고 보여집니다.
만일 16590-16540 구간의 지지가 견고 하다면 16730-16765 구간까지의 상승은 기대해 볼 수 있지만, 이후 저항 돌파를 하지 못한다면 20일 저점 이었던 16270 구간까지 지지 테스트를 하기 위한 하락을 예상해 볼 수 있으며, 지난 브리핑에서도 말씀드렸듯 11월22일~12월15일 상승의 피보나치 되돌림 0.886레벨과 15일-20일새벽-20일야간 으로 이어지는 하락파동의 피보나치 추세확장 0.618이 위치한 15813-15746 구간과 장기상승채널 하단의 간극이 계속해서 좁혀지고 있기 때문에 해당 구간의 지지 확인을 위한 하락도 계속해서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보라색 매물대구간의 POC 라인인 16960 구간의 저항을 세 차례 돌파 시도 하였지만 하락하는 모습에선 15690-15815 구간의 지지확인 가능성을 조금 더 높게 볼 수 있을거라고 보여집니다.
다만 16730-16765 구간의 저항을 확인할 가능성은 충분히 남아있으니 해당 구간에서 저항이 출현 한다면 매도대응을 하는 것이 매수대응보다는 리스크가 낮게 보여지며, 이때 16765 상향 돌파 마감이 출현 한다면 16960 저항 확인을 위한 상승 가능성이 생기기 때문에 16765 상향 돌파 마감시에는 적절한 조취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여집니다.
[비트코인] 반등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아직 롱망회로는 이르다!?#크랙 #비트코인 #4시간
지난주 브리핑에 말씀드렸던 16718-16755의 지지 확인 이후 오늘 새벽부터 반등하며 노란색 단기 추세선을 돌파한 모습입니다.
하지만 직전 고점인 16953.13을 갱신하지 못한 채 눌림이 출현하고 있는 상황으로 노란색 단기 추세선의 리테스트, 지난 금요일부터 돌파시도를 하였던 저항구간, 그리고 단기 상승파동 피보나치 확장 0.382레벨이 위치한 16863-16848 구간의 지지가 성공 한다면 직전 고점인 16953.13을 갱신하려는 상승세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중장기적으로는 지난 브리핑들에서 지속적으로 말씀드린 중요한 저항들이 밀집된 16930-16960, 17041-17110, 17272-17375 구간들의 저항을 확인하기 위한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16863-16848 구간의 지지가 실패 할 경우에는 단기적으론 16720.98 저점의 갱신 여부가 중요하게 됩니다.
16720.98 직전 저점을 갱신하지 않은 채 반등한다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수렴의 확장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만일 16720.98 저점이 갱신되게 된다면 이전 저점인 16560.56 저점을 갱신하려는 하락세를 예상해 볼 수 있으나, 16560.56 저점이 갱신되지 않는다면 상술한것과 같이 수렴의 연장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노란색 추세선에서 확인할 수 있듯 고점이 지속적으로 낮아지기 때문에 16720.98 저점이 갱신 된다면 하락세의 가속 가능성도 존재하며, 이 경우에는 분홍색 장기상승채널 하단과 15746-15813 지지가능 구간의 간극이 좁혀지고 있기 때문에 해당 구간까지의 하락 가능성은 조금더 높아지게 됩니다.
16863-16848 구간의 지지가 실패하며 하락세로 돌아 설 경우에는 공격적인 매수대응보다는 15813-15746 구간까지의 하락 가능성을 염두에 둔 매매전략을 세우는 것이 안정적일거라고 생각됩니다.
[비트코인] 미국의 성장세에 급락했지만 하락세 회복한 모습! 618 반등 나왔으니 추가 상승을 기대할 수 있을까?#크랙 #비트코인 #4시간
어제 미국의 분기 GDP 및 신규실업수당 발표 이후 비트코인은 급락이 출현 하였습니다.
전일 브리핑에서 언급드렸던 16589-16544 구간의 지지가 받쳐주며 새벽중 급등하는 모습으로 발표 이후 하락세를 다 회복한 모습입니다.
새벽중 지지가 이루어진 16589-16544 구간은 11월말~12월중순까지 진행된 상승추세의 0.618레벨이 위치한 구간으로 새벽중 출현한 반등세가 꺽이지 않는다면 추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는 구간에서의 반등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12월20일 저점 이후 출현한 상승파동의 피보나치 확장 0.382 구간 및 며칠간 횡보하며 만든 매물대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하는 모습이지만 해당 매물대의 지지구간인 16718-16755의 지지가 받쳐 준다면 추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는 모습입니다.
상승이 이어진다면 중요한 것은 20일 저점형성 이후 반등에서 강하게 가로막힌 16930-16960 구간의 돌파이며, 해당 구간을 돌파 해 준다면 단기 상승파동 피보나치 확장 1레벨이 형성되었고 지난 브리핑들에서 계속 말씀드린 보라색 박스권 상단부인 17272-17375 구간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16718-16755 구간의 지지가 실패 한다면 결국 분홍색 장기 상승채널 하단선이 위치한 15813-15746 구간까지의 하락을 피할 순 없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비트코인] 16960 저항 돌파가 시급하다!!#크랙 #비트코인 #4시간
전일 브리핑 이후 어느정도 등락을 반복하며 고점과 저점을 지속적으로 낮춘 모습입니다.
현재 보라색 매물대 하단구간과 주황색 단기 매물대의 지지를 받으며 반등을 시도중인 모습으로 어제 만들어준 저점이 상승 이후 눌림의 마지막이라면 기존 상승추세를 이어갈 경우 전일 말씀드린 17075-17110 저항구간과 하늘색 점선인 단기 상승추세 피보나치 확장 0.5레벨이 겹치기 때문에 해당구간의 저항 돌파 여부가 굉장히 중요해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해당구간의 저항을 돌파 한다면 17272-17375 구간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으며, 해당 구간은 보라색 매물대 구간의 상단선, 파란색 상승추세 피보나치 되돌림 0.382 레벨, 노란색 하락추세 피보나치 되돌림 0.5레벨, 그리고 연노란색 상승파동 피보나치 확장 0.382 레벨의 저항들이 겹치는 구간이기 때문에 강한 저항을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연노란색 피보나치 확장 0.236레벨이 위치한 16930-16960 구간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해당 피보나치 확장 0.13레벨과 주황색 단기 매물대 하단이 겹치는 16646 구간의 지지확인을 위한 하락 가능성도 보여지고 있습니다.
이때 지지에 실패 한다면 전일 설명드린 15746-15813 구간까지의 하락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비트코인] 상승채널 중심선과 박스권 POC 돌파의 실패... 다시 15.8k 지지를 확인 하러 갈 가능성도...#크랙 #비트코인 #4시간
전일 오전부터 반등하며 단기 매물대의 상향돌파가 출현하며 좋은 상승세의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단기 매물대의 지지 이후 다시 상승세를 이어주었지만 11월11일 고점과 12월15일 고점을 기준으로 한 분홍색 상승채널의 중심선 저항 강하게 받으며 결국 보라색 박스의 POC와 11월22일부터 12월15일까지 진행된 하늘색 상승추세의 피보나치 되돌림 0.5레벨의 하향마감 하며 눌림이 출현 하는 모습입니다.
중요한 지지 구간은 전일 채팅방에서 말씀드렸던 보라색 매물대 하단과 노란색 하락추세 피보나치 되돌림 0.236레벨이 겹치며 주황색 단기 매물대의 상단인 16767-16764 구간으로 보여집니다.
해당구간의 지지가 실패 할 경우에는 하늘색 피보나치 되돌림 0.618레벨과 노란색 피보나치 되돌림 0.13레벨이 위치한 16589-16544 구간의 지지를 기대해 볼 수 있지만, 보라색 매물대의 POC 저항후 하락으로 인해 지지를 해주어도 단기 반등으로 끝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이후 하락추세가 지속 된다면 12월15일 이후 하락추세와 어제 새벽부터 시작된 반등추세의 피보나치 추세확장 0.618레벨과 하늘색 피보나치 되돌림 0.886레벨이 위치한 15813-15746 구간까지도 하락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하며, 이때 분홍색 상승채널의 하단까지도 하락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위에서 중요 지지 구간으로 말씀드린 16767-16764 구간에서 지지가 성공하며 반등 할 경우에는 보라색 매물대 POC 라인인 16960을 상향 돌파 마감 해주는것이 중요하며, 이후 보라색 매물대 변곡선과 노란색 피보나치 되돌림이 위치한 17110-17075 구간의 저항이후 16960의 지지가 지속되어야 추가적인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만일 16960 돌파 이후 지지로의 역할을 제대로 해준다면 보라색 매물대 상단과 하늘색 피보나치 0.382, 그리고 노란색 피보나치 0.5레벨이 위치한 17272-17324 구간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17.4k 또는 15.8k #크랙 #비트코인 #4시간봉
현재 비트코인은 지난주 금요일 브리핑에 말씀드린 11월 수렴들의 POC 라인, 그리고 저점을 기준으로 잡은 분홍색 하락채널의 중심선, 그리고 11월22일~12월15일 상승추세의 피보나치 되돌림(파란색 실선) 0.618레벨이 겹치는 구간에서 반등을 시도중인 모습입니다.
하지만 12월15일~12월17일 하락추세의 피보나치 되돌림(노란색 점선) 0.13레벨과 보라색 매물대의 하단선이 위치한 16771-16764 구간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하며 윗꼬리를 지속적으로 만들고 있는 상황입니다.
16771-16764 저항을 돌파해준다면 단기적으론 보라색 매물대의 POC 라인, 11월5일~11월22일 하락추세 피보나치 되돌림(붉은색 실선) 0.236레벨 그리고 파란색 피보나치 되돌림 0.5레벨, 또한 11월11일의 고점과 12월15일 고점을 기준으로 한 상승채널의 중심선이 겹치는 16897-16967 구간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이후 해당 저항의 돌파마저 진행 된다면 수많은 저항들과 12월16일 하향이탈 하였던 청록색 상승채널의 저항 리테스트도 겹치는 17236-17454 구간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 자리에서 지속적인 저항의 출현으로 상승 기대감 보다는 횡보 또는 추가 하락에 대한 불안감이 더욱 커지는 상황이며, 16649-16544 지지가 실패하며 하락이 한 차례 더 진행 된다면, 단기 하락추세의 피보나치 확장(하늘색 실선) 1레벨과 1.13레벨, 그리고 파란색 피보나치 되돌림 0.886레벨, 11월22일 단기 매물대가 위치한 15850-15721 구간까지의 하락도 가능할 것으로 보여지며, 이때 오버슈팅이 출현 할 경우에는 노란색 상승채널의 하단선 까지도 하락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단기적 저점인 16531.70을 하회 하더라도 이전 상승추세의 피보나치 되돌림 0.618 레벨 위로 종가를 지켜준다면 위에서 말씀드린 상승추세를 기대해 볼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저점이 깨진다고 하여 무작정 매도대응을 하는 것은 위험한 모습으로 보여집니다.
[비트코인] 중기 상승채널의 하향이탈 출현!!#크랙 #비트코인 #4시간봉
전일 브리핑에서 말씀드렸던 중요 지지구간인 초록박스구간의 하향 이탈이 출현 하고난 뒤 지속적인 하락추세로 말씀드린 지지 기대구간인 16960-16879 구간까지 하락한 뒤 반등을 시도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11월 11일 고점에서 15일 새벽 고점을 기준으로 잡은 대형 상승채널(노란색)을 그려볼 경우 현재 지지중인 구간은 해당 상승채널의 중심선이 위치한 구간으로 보라색 매물대 구간의 POC 라인과 장기 하락추세 피보나치 되돌림(붉은색) 0.236레벨이 겹치는 구간으로 중요한 반등 포인트가 될 수 있습니다.
이번 4시간 캔들 마감이 12일 저점에서 15일 고점을 기준으로 한 피보나치 되돌림 0.886레벨과 주황색 상승파동 피보나치 확장 0.236 레벨이 위치한 17045 구간 상회하며 마감 해 준다면 청록색 상승채널 하단선의 저항을 리테스트 하기 위한 반등을 기대해 볼 수 있지만, 16897-17045 사이에서 마감하게 된다면 단기간 횡보 또는 16897 지지 확인을 위한 지속적인 하락세를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16897의 지지가 실패하며 추가 하락 할 경우에는 보라색 박스권 하단과 저점이 위치한 16764-16693 구간의 지지를 기대해 볼 수는 있지만 박스권 POC 구간의 지지가 실패한 이상 지난 브리핑에서 말씀드렸던 기존 대형 하락채널(분홍색) 중심선과 11월 매물대들의 POC 레벨들이 겹치는 16649-16544 구간의 지지여부를 확인 한 뒤 반등추세를 기대 하는것이 더 안전해 보입니다.
[비트코인] 추세를 결정지을 중요한 지지 구간 테스트중?! #크랙 #비트코인 #4H
지난 13일 CPI의 예상치 하회 발표 이후 경제 회복 기대감에 비트코인은 강세를 보여주었습니다.
이후 오늘 새벽 FOMC 이후 급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차트상으론 분홍색 하락채널의 상단선을 돌파하였지만 11월09일 하락중 만들어주었던 추세 반대캔들, 그리고 청록색 상승채널, 중기 상승파동의 피보나치 확장 1.13레벨의 저항을 강하게 받으며 큰 낙폭을 보여주며 하락채널 내부로 재진입 한 모습입니다.
하락이 출현하며 11월 하락추세의 피보나치 되돌림(붉은색) 0.382레벨의 지지를 해주는듯 싶었지만, 오늘 오전 출현한 매도세에 0.382레벨의 하회 마감이 출현한 모습입니다.
또한 보라색 점선인 17726은 20년도 말 만들어준 매물대의 중요 변곡선이며 해당 선의 하회마감도 진행중인 모습입니다.
하지만 12월 고점들을 이은 하늘색 추세선과 청록색 상승채널 중심선의 지지 또한 버텨주고 있는 모습이며, 12일 오전부터 출현한 상승추세의 피보나치 되돌림 0.5레벨의 지지또한 시도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차트상 초록색 박스 구간은 단기적으로 중요한 지지 구간으로 보여집니다.
초록색 박스 구간의 지지가 성공하며 단기적으로 중요한 저항구간인 17772~17803의 저항을 돌파 할 경우에는 18290-18320 그리고 18480-18543 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만일 초록색 박스 구간의 지지가 실패 할 경우에는 청록색 상승채널 하단선과 12월 초 매물대의 Flip 레벨인 17110까지의 하락을 예상해 볼 수 있으며, 청록색 상승채널의 하회이탈이 출현 할 경우에는 16960-16897까지의 하락 가능성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박스권일까? 아니면 다이아몬드 패턴일까?#크랙 #비트코인 #4H
금일 오전부터 하락세가 진행되고 잇는 모습입니다.
현재 17320-16720 을 기준으로 큰 박스권의 가능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점을 높히다 낮추는 모습에서 굉장히 큰 다이아몬드 패턴의 가능성도 볼 수 있습니다.
12월 이후 진행된 박스권 움직임중 POC 라인은 16960으로 확인되며, 현재는 POC라인 하회하여 노란색 장기하락추세 피보나치 되돌림 0.236레벨의 지지를 받고있는 모습입니다.
12월 초 주황색 박스구간을 확인해보면 위에서 말씀드린 0.236레벨의 지지이후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강한 하락세의 출현과 하얀색 상승추세선의 하향이탈을 보았을 때 박스권 바닥인 16720 부근까지의 하락 지속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만일 이번 4시간봉 캔들이 0.236레벨인 16897을 지켜주며 마감한다면 반등세가 출현할 가능성은 높아보이지만 16960 또는 하얀색 장기상승추세선 리테스트 저항에서 반등세는 마무리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리테스트 저항들을 상향돌파 마감 할 경우에는 다시한번 매수추세를 기대해 볼수 있으며, 이때 기대해볼수 있는 저항구간은 17320으로 보여집니다.
리테스트 저항들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하락추세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16720까지의 하락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에는 다이아몬드 패턴의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하기 때문에 16720에서의 공격적인 매수대응은 손실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다이아몬드 패턴 이후 하락세가 지속 된다면 빨간색 장기 피보나치 레벨 0.886과 전저점 매물대의 POC 라인이 위치한 16254-16212 구간까지의 하락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비트코인] 중기 저점의 갱신... 여기서 반등 한다면 어디까지 상승 할 수 있을까?#크랙 #비트코인 #1H
전일 브리핑 이후 하락세가 이어지며 중기 저점이었던 16713.56을 하향갱신 하였습니다.
아직 상승채널 하단은 깨지지 않았지만, 저점 갱신 이후 출현한 반등세에도 단기 저항들이 위치한 구간의 저항을 강하게 받고 있는 모습입니다.
다시 지지 확인을 하기 위해 하락한다면 상승채널 하단선과 16722 장기변곡선이 겹치는 구간의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16722 지지에 성공 한다면 채널 하단선 지지 체크 이후 반등이므로 16900-17100 구간의 매물대 상향돌파를 위해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17100 저항 돌파에 성공 한다면 상승채널 상단선과 장기저항들이 겹치는 17678-17772 구간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만일 16722 지지에 실패 한다면 장기 피보나치 레벨과 장기 추세선이 위치한 16255 부근까지의 하락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단단한 지지층!! 과연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을까?#크랙 #비트코인 #4H
12월의 시작과 동시에 큰 박스권을 그려가고 있는 모습입니다.
현재 11월5일~11월20일까지 이어진 하락추세의 노란색 피보나치 되돌림 0.236레벨의 지지를 굳건하게 이어가고 있지만 그렇다 할 반등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아닌 상황입니다.
12월 이후로 단기적인 파동들에서 저점을 계속하여 높혀주며 고점도 모습으로 추가 상승의 가능성을 아직은 가져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저항받는 17090 부근에서 다시한번 저항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저점 이탈을 시도하려는 하락세가 충분히 나올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단기적인 방향성을 판단하기에는 힘든 구간입니다.
단기적으론 17090 저항의 돌파 여부가 중요해 보이며, 중기적으론 12월 이후 만들어진 하단 지지구간중 최저 저점인 16713.56의 지지 여부가 중요해 보입니다.
16713.56의 하향 갱신 없이 지속적으로 지지를 이어간다면 이후 상승채널 상단과 여러 저항선들이 겹치는 17678-17772 구간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향갱신이 출현 한다면 하얀색 상승지지선의 지지가 성공 하여도 이후 하락세로 변곡될 가능성을 봐야 하며 이때 중요한 지지 기대구간은 16254부근으로 보여집니다. 16254 부근의 지지가 실패 한다면 15999.01 저점을 하향갱신 하려는 움직임을 예상해 볼 수 있으며, 이때 15999.01 저점이 하향갱신 될 경우 15725-15483 구간의 지지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 비트와는 다르게 상승 기대치를 채워준 모습!!!#크랙 #이더리움 #4H
이더리움은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단기 눌림 이후 추가 상승을 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비트코인과 다르게 분홍색 피보나치 채널의 1레벨을 상회한 뒤 저항을 받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노란색 피보나치 추세확장 1 레벨 살짝 못미쳐 저항이 출현 하였기 때문에 이대로 추세가 꺽일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비트코인 브리핑에서 언급하였던 장기저항구간이 이더리움에선 1292.43-1288.86으로 확인되며 현재 해당구간의 지지가 실패한 모습으로 보여집니다.
이더리움은 추가 하락이 출현 할 경우 비트코인과는 다르게 1250 / 1230 구간까지의 하락 가능성이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비트코인이 장기저항구간에서 지지를 받을때 이더리움이 단기매물대인 1272.71-1265 구간의 지지가 이루어 진다면 비트코인의 채널 상단까지의 상승 기대감과 같이 이더리움도 피보나치 채널 1.13레벨과 노란색 피보나치 추세확장 1~1.13레벨이 위치한 1309-1330 구간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만일 이더리움이 하락변곡 되며 위에서 언급한 지지구간들의 지지가 실패 한다면 피보나치 채널 하단과 화요일 돌파하였던 하늘색 삼각수렴의 지지 리테스트를 위해 1180 부근까지의 하락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비트코인] 추가 상승 가능성을 보이는 비트코인!! 중요 지지 자리는 어디??#크랙 #비트코인 #4H
비트코인은 전일 브리핑 이후 16722.60의 지지를 확인한 뒤 상승하는 모습입니다.
16722.60 지지확인과 동시에 초록색 단기상승채널의 중심선 지지또한 확인한 모습으로, 전일 브리핑에 말씀드린 채널 상단과 노란색 피보나치 추세확장 1~1.13 레벨이 위치한 17320-17491까지의 추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당장 추가 상승 없이 눌림이 출현 한다면 장기저항구간인 17064-16986의 지지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해당 지지구간의 지지가 성공 할 경우에는 위에서 말씀드린 17320-17491까지의 상승 기대감은 계속 가져볼 수 있습니다.
만약 위 지지구간의 지지가 실패 한다면 초록색 단기 상승채널의 하단선 지지확인을 위한 하락추세로의 변곡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이더리움] 단중기 수렴의 상방돌파!! 상승추세를 이어갈 수 있을까?#크랙 #이더리움 #4H
이더리움은 전일 오후 하늘색 삼각수렴의 상향돌파 이후 상단선의 지지를 성공하며 추가 상승이 출현한 모습입니다.
현재 장기하락채널의 중심선(빨간색 점선)을 돌파한 상황이며 노란색 단기상승파동 피보나치 추세확장 0.618레벨 위로 올라온 상태입니다.
이더리움의 중요 지지구간은 장기하락채널 중심선과 여러 피보나치 레벨들이 겹치는 1250으로 보여지며, 강한 하락세에 휩쏘가 출현할 경우에는 1230부근까지의 지지확인 가능성도 보여집니다.
이후 지지에 성공 한다면 추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는 모습이며, 상승이 급하고 강하게 출현 한다면 피보나치 채널 1.414레벨과 중기 고점 저항대, 그리고 여러 피보나치 레벨이 겹치는 1330-1352 구간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급격한 상승 대신 눌림이나 횡보를 진행하며 시간이 흐른 뒤 상승추세가 진행 된다면 단기적으론 1309-1330 구간의 저항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만일 1230 지지가 실패 한다면 추가적인 지지 확인을 위하여 삼각수렴 상단선과 중기하락채널 중심선 그리고 장기 피보나치 레벨이 위치한 1180-1190 구간의 지지확인을 위한 하락추세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간단하게 단기 고점 매물대를 돌파해 주었습니다. 추가 상승이 어디까지 이어질 수 있을지 확인해 봅시다.#크랙 #비트코인 #4H
금일 오전 강력한 매수세와 함께 단기고점 매물대의 돌파와 장기 저항구간들을 돌파해준 모습입니다.
현재는 윗꼬리를 길게 만들어 놓은 모습으로 횡보움직임이 잦은 요즘장세에선 단중기적으로는 추가적인 횡보움직임을 진행할 가능성도 보여집니다.
횡보 움직임이 진행 된다면 전고점 매물대의 종가 저항라인이자 11월 중반 중기수렴추세에서 중요한 변곡라인을 해주었던 16722를 사이에 둔 채 횡보 움직임을 진행할 가능성이 높아 보이며 이 경우에 중요한 지지선은 16551까지로 확인됩니다.
횡보 움직임 이후 상승추세를 이어 간다면 단기 저점들로 이루어진 초록색 상승채널의 상단과 단기상승파동의 피보나치 추세확장 1~1.13레벨이 위치한 17320-17492 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17320-17492 구간또한 장기하락채널의 중심선이 위치한 구간이기 때문에 중요한 저항으로 보여집니다.
만일 현 시간 이후에 횡보 또는 상승 움직임이 진행되지 않고 하락변곡되며 16551.30의 지지가 실패 한다면 대하락추세 피보나치 추세확장 0.886 레벨과 초록색 상승채널의 하단이 위치한 16254 부근의 지지 재확인 하기 위한 하락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