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02 BTC PUBLIC IDEA] REBOUND (반동 : 상승 그리고 기회에 대하여)-
Make a Move
※ PC 사용간 선행되는 Chart 가 정상적으로 노출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Mobile 정상 출력 확인) ※
반갑습니다. Crypto Makumup 입니다.
지난 공매도 관점인 "FINAL DESTINATION 2" 퍼블릭(공개) 아이디어의 종료 이후 오랜만에 다시 찾아뵙습니다.
먼저 최근 FTX 사태로 직접 또는 간접적인 피해를 입으신 투자자 분들에게 위로의 말씀을 전해드립니다.
마켓의 공포감과 상실감이 만연한 가운데, 공교롭게도 가장 알맞으며 보람 있는 고비에 대해 이야기를 함께 나눠 보고자 합니다.
많은 분들이 체감 하시듯, 크립토마켓 뿐만 아닌 글로벌 비지니스 제반 환경 또한 다소 긴 약세장이 꾸준히 전개되고 있습니다.
2021년 말부터 본인은 COVID19 발 양적 완화의 부작용으로 인플레이션 우려와 이에 따른 긴축 도구의 사용으로,
금융 전통 시장 및 크립토마켓의 약세와 붕괴를 꾸준히 과거 아이디어를 통해 시사하며 우려 해 왔습니다.
현재 일각에서는 제로에 가까운 저 성장과 침체기를 대표하는 뉴 노멀(New Normal)이 될 것이라고 보는 견해가 많습니다.
<뉴 노멀 : 저성장, 규제강화, 소비위축, 미국시장영향력 감소 등의 주요 흐름 속에 적응 된 저성장의 시대>
정확한 규정은 없지만 한계가 있거나, 한계가 그어지지 않은 기간을 시대라고 표현합니다.
지금 우리에게 직면한 이 시기들을 시대라고 표현 한다면, 잠시 붕괴된 시대에 적응과 순응이 공존하는 시기에 맞물려 있음을 안내하고 싶습니다.
역사적으로 어떤 표준에 의하여 구분 지은 특정한 구간에 우리가 무너지고 깨어지는 붕괴의 구간을 경험하고 있다면
붕괴의 반대 즉, 마켓의 재건을 위한 회복 가능성에 대해 여러분과 함께 확인하고자 기 아이디어를 개진하게 되었습니다.
해당 아이디어의 제목 "REBOUND"는 체육학에서 "반동"을 의미합니다.
통상 마켓에서의 "반등" 은 한시적인 상승을 일컫습니다.
하지만 "반동" 이라는 표현은 볼(공) 등이 튀어서 되돌아 오는 사물의 움직임을 표현한 것이며,
또한 되돌아 온 그 이후 까지의 상황을 유추하거나,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향후 마켓의 시가를 암묵적으로 여러분께 표현 하고자 해당 아이디어의 제목을 마켓의 가격에 비유하게 되었습니다.
마켓의 약세는 작년 11월 이후 오늘날까지 370날 이상 지속 되고 있습니다.
사실 약세장이 되면 실패한 투자자는 어떠한 조언도 듣기 싫게 되는 포기 상태에 이르게 됩니다.
그래서 비 자발적인 장기 투자자가 되는 경우가 매우 드물게 발생 합니다.
진부한 얘기가 될 수 있지만, 이런 상황에서 한번 쯤 지나간 역사를 되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조건부 확률에 대입하여 과거 가장 오래 기록된 하락장은 400여일간 진행되었습니다.
이러한 이벤트가 상호 베타적일 경우 두 가지의 조건이 공집합이 되어 다소 사전적인 확률 기반을 시장에서는 갖게 됩니다.
물론 통계와 확률을 기반으로 마켓의 모든 상황을 대변 할 순 없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도구들은 결정을 하기 위한 근거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전통적인 금융 이론에만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이러한 통계 기반이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투자자의 위험과 손익을 계산하는 최초의 텍스트가 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COVID19에 적응 되어있습니다. 약세장 또한 적응되어 스스로 선택적 추상화를 하고있는것은 아닌지, 스스로 되돌아 봐야 할 시기입니다.
선택적 추상화란 상황이나 사건의 주된 내용은 무시하고 자신의 실수나 단점, 부정적인 이미지 등 사상의 특정 일부 정보에만
주의를 기울여 전체의 의미를 해석하고 결론을 내리는 오류를 일컫습니다.
A. 선택적 추상화의 일반적인 오류 = "값비싼 물건은 가격에 상응하는 가치를 지닌게 확실"
B. 마켓의 선택적 추상화의 오류 = "물가는 여전히 높고 경제는 잿빛, 하락장이 길게 지속됨으로 크립토마켓은 꾸준히 붕괴될 것 이 확실"
이러한 선택적 추상화의 오류는 대부분 마켓의 상승 / 하락에 따른 이분법적 사고에서 비롯됩니다.
양극단으로만 생각하고 중간이나 타협점이 없는 사고방식이 이에 해당합니다.
지속되는 약세장으로 인하여 크립토 마켓만의 단일이슈 Terra(LUNA), 3AC, Celcius, FTX 파산 등
다양한 사건의 형태로 마켓의 재앙화 / 파국화가 심화 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사건들을 지나치게 걱정하고, 또 과장하여 항상 최악을 우선으로 수리하게 되며 이러한 두려움으로 인하여
아무것도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태 즉, 폭락장에서 흔히 겪는 인지오류인 파국화의 오류에 우리는 직면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 또한 선택적 추상화의 과잉 일반화, 정서적 추론의 오류에 골고루 빠진 잘못된 생각에 이를 수 있음을 인지 해야 합니다.
중요한 것은 폭락장에도 패닉에 빠지지 않으며, 항상 유연한 사고를 가지고 마켓에 적응해야 한다는 것이 주요 쟁점이 되겠습니다.
<약세장의 지속 원인 : 불 확실성 구성요소>
과거 퍼블릭(공개) 아이디어를 통하여 약세장의 원인에 대해 꾸준히 점검하고,
반복적인 수리를 통해 마켓의 상황을 여러분과 함께 조립하여 왔습니다.
현재 약세장의 가장 주 된 원인은 "COVID19 발 무제한 양적완화" 에 따른 부작용입니다.
양적완화의 부작용으로 높은 인플레이션이 점진적으로 대두 되며,
인플레이션은 일시적(Transitory)이라는 표현 아래 미국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는
정책의 실패를 공식적으로 작년 말 발표 하였습니다.
이후 경제의 안정화 연착륙을 목표로 점진적 금리인상을 시도하였으나,
지정학적 리스크(러,우 전쟁) 발발 등 추가 대 내외 변수로 인플레이션(물가)은 결국 해결되지 못했습니다.
마켓약세의 촉매 작용을 하는 해당 이슈들은 과거 약세를 예상했던 아이디어에서 헤아릴 수 없이 다루던 내용입니다.
2022년 4월경 개진된 "FINAL DESTINATION" 퍼블릭 아이디어 중 코멘트 내용을 첨언하여 현재의 상황과 대조 해 보겠습니다.
<2022-06-14 AM 10:20 Comment>
현재 미국의 인플레이션 문제는 작년부터 지속적으로 말씀드린 바 와 같이 심각한 상황입니다.
모든 전개가 달러로 측정 되고 전세계로 확장 중 이며,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 식료품 관련 섹터에서 높은 인플레이션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8.6% 수준이며, 기준금리 인상을 여러 차례 단행한다고 하나
종국에는 인플레이션을 2% 까지의 수준으로 되돌리기 힘들것이라 진단하고 있으며
해당 수준까지 인플레이션률이 하락 한다면, 심각한 경기 침체를 맞이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가 인지하고 있는 연준(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는 현재 진퇴양난의 상황에 놓여져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을 해소 할 만큼의 금리인상과 강도 높은 긴축을 시행하면서 경제를 침몰 시키거나,
포기하는 마음으로 금리를 동결 시키는 것. 2가지의 조건밖에 남지 않기 때문입니다.
한 세기에 걸쳐 발행된 30% 수준의 통화가 양적 완화를 통해 팬더믹 선포 이후 단기간 발행되었습니다.
이에 대한 부작용을 현재 겪고있는 것이며, 경기 침체는 잠정적으로 확정 되어있습니다.
해당 코멘트 이후로 5개월 정도의 시간이 흘렀습니다.
실제 연준은 강도높은 긴축을 진행하기위한 금리인상을 인플레이션 해소 도구로 적극 활용 했으며,
4차례의 자이언트스텝(Giant Step) 0.75bp(YoY)의 고강도 금리인상을 진행하는 동안
주식 외환 제반 시장뿐만 아닌 크립토 마켓 또한 급진적인 붕괴를 함께 맞이 해야 했습니다.
(A)높은 인플레이션, (B)러,우 전쟁관련 지정학적 리스크, (C)고 강도 금리인상, (D)리세션(recession) 경기침체
여전히 약세에 머무를 수 밖에 없는 구성 요소들이 해결 되지 않고 있는 것 처럼 느껴만 집니다.
하지만, 동이 트기전 가장 어두운 오늘. 불을 밝히기 위해 사용했던 등잔 밑을 함께 확인해야 할 시기가 도래함을 안내하고 싶습니다.
<글로벌 비지니스 제반 환경 : 등잔 밑을 확인해야 할 때>
본인의 모든 퍼블릭 아이디어는 매크로적(거시경제) 연계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지난 9월경 "FINAL DESTINATION2" 종료를 고지드리며 끝 맺음 말씀으로,
미국의 공격적인 금리인상기조는 결국 완화기조에 들어서는 국면이 있을 것 이라 안내 드렸습니다.
한시적으로 크립토마켓의 단일이슈(FTX 11장 파산 절차) 이후 글로벌 증시와 탈 동조화 된 양상을 보여준 반면,
실제 고강도 금리 인상을 4차례 진행하며, 최근 미국 인플레이션을 대표하는 소비자물가지수는 8.2%(YoY)->7.7%(YoY) 하락 하였습니다.
현재 마켓의 주요 이슈 메인스트림인 "금리 인상" 의 명목이 잠시 뚜렷함에서 흐릿함으로 전환되는 구간에 돌입한 것 입니다.
증시를 비롯하여 자산 시장은 급진적인 상승세를 보여주며, 회복 국면 즉, 숨고르기 장세의 양상을 꾸준히 지니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가오는 12월 진행되는 연중 마지막 금리 인상은 속도 조절이 진행 된 기조(0.5bp)가 잠정 확정되어 있음으로 진단 하고 있으며,
잠정 확정된 금리 인상의 속도 조절이 종국에는 비단 증시 뿐만 아닌, 기타 동조화가 진행되었던 마켓 또한 상승을 견인할 요소로 작용 하며,
긴 약세장에서 투자자들이 숨을 고를 수 있는 상승의 구간이 머지 않아 마련 될 것으로 판단 됩니다.
팬더믹 이후 크립토 마켓과 글로벌 비지니스 제반환경은 동조화 현상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동조화 현상을 등잔에 비유하였으며, 지금 여러분과 함께 확인하였습니다.
비트코인 마켓은 최근 FTX 사태관련 자체 이슈로 추가 약세의 국면에서 회복이 더딘 양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이슈는 단일 이슈에 국한 되며, 그간 모든 자산 시장과 동조화 된 크립토마켓의 섭리와 이치를 쉽게 위배 할 수 없을 것 입니다.
금번 사태로 인하여 중장기적으로는 규제 확립과 제도 보완의 자양분으로 활용되어, 암호 자산 생태계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 합니다.
BTC 전략을 노출 할 시간입니다.
하기의 구조 및 대응을 참고하시어 보다 큰 변동성에 대해 대비하며,
여러분과 함께 좋은 기회를 맞이할 수 있기를 기대 합니다.
- 구조 및 대응 -
1. 현 시간부로 BTC 16K~17K 부근에서의 보다 큰 상승 국면을 확인하십시오.
2. "1의" 조건에 충족한다면 차트에 표기된 상승 구간 중 가까운 매물 구간부터 순차적인 상승 점거 확인을 도모합니다.
3. 1의 조건과는 달리 "15K" 를 장시간 확정 이탈한다면, 방향성에 대한 괴리로 인지하시어
시장을 보다 보수적으로 바라보시며, 추가 구조 업데이트를 위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코멘트를 기다려 주십시오.
모든 관점은 Black Sheep Wall Trading(Scenario)에 기반하여 상기 차트에 도출, 매매 전략을 구상합니다.
기 아이디어의 종료 시점까지 실시간 추가 코멘트로 지속적인 대응 방안을 제시하며 끝까지 여러분과 함께하고 있습니다.
분석이 도움 되신다면 자주 찾아주시고(좋아요/팔로우/댓글), 생산적인 대화는 요청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 Makumup -
기술적 분석
바캉 나스닥 분석 [KEY Level, 엘리엇, 하모닉] ― 23.01.31오늘까지 나스닥 장기 시나리오 설명 후 다음 글부터는 소, 중간 파동급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메인 시나리오 : 장기 Long
나스닥도 마찬가지 중간파동급 되돌림의 마지노선인 고점을 깨버렸습니다.
저점에서 나오는 형태가 그다지 좋지는 않지만 길고긴 1년짜리 하락 조정이 끝났을 확률이 높고,
최소 16000대부터 10000까지 내려온 파동의 되돌림 파동을 기대해볼만 합니다.
최저점 10431 에서 지난 상승장 볼륨노드와 Monthly 지지 피치팬 골드포켓 지지 받으며 가격을 더이상 낮추지 못하는 중입니다.
고점도 올려줬고, 13000대 숏키레벨에서 약간의 저항을 받은 후
최소 15000대까지는 올라와 주지 않을까 기대해봅니다.
지금 저점에서 파동이 형성된게 적으니 임펄스로 올라서 새로운 상승장의 시작이다? 아니면 조정장 속 되돌림의 시작이다?를 예측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다만 확실한건, 최소 15000대까지는 올라오고, 저점이 다나왔구나 판단하는 겁니다.
다음 나스닥 분석에서는 좀 더 낮은 프레임 시간대의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비트코인 단기 지지 저항구간은?#2023년1월31일
#비트코인
결정적인 한방이 부족합니다.
언제든 강력한 매수세가 유입된다면 고점을 높일 수 있겠으나 개인적으로는 조정 내지 눌림의 가능성을 조금 더 높게 보고 있습니다.
사족을 붙이면 고점을 올리는 기울기가 점차 낮아지고 있고 수렴하고 있습니다.
곧 방향성이 나올텐데 크게(10%내외) 움직일 가능성도 보입니다.
노란색 화살표 낙서는 낙서일 뿐입니다.
볼륨 분석에 근거했을 때 지지 저항구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저항구간
24881 - 24681
23718 - 23568
#지지구간
21000 - 20600
18936 - 18736
각각의 지지/저항 구간은 2회 터치까지만 유효하므로 여러번 진입하면 안 됩니다.
또한 지지구간에서 현물을 진입할 경우 급하게 매매할 필요가 없고 느긋하게 해도 좋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Joescrypto🐬] 12월 첫째 주 짧은 프리뷰 🚩 12월 첫째주 5분 프리뷰 by Joe
✅ 주봉
: 주봉 다이버전스 발생, 아직까지는 지켜주는 상황
: 지난 2주 간 도지캔들 출현했기 때문에 12/05 오전 9시 마감봉이 횡보권을 뚫어낼지가 중요.
뚫어낼 경우 하락보다는 단기 상승 가능성이 좀더 커지나, 강한 양봉이 아니기에 얼마든지 내려와서 마감할 수 있는 상황
: 주봉 다이버전스를 유지하며 계속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주 체크포인트
✅ 4시간 봉(일봉과 비슷)
: RSI상 다이버전스(주, 일, 4시간 동일) 확인.
: 가격 차트와 RSI 상승추세의 지속성 체크 필요.
✅ 파동과 피보나치 관점
: 하락 피보나치(흰색)과 반등 피보나치(주황) 겹쳐서 확인. 반등 피보나치(주황)는 고점을 0.618로 맞춰주어 추가 상승 시 저항값 체크 (17700대, 18400대)
-> 하락 피보나치(흰색) 에서 0.618과 0.5와 겹치는 것 확인 (신뢰도 상승)
: 엘리엇 파동상 조정 4파(수렴, 혹은 횡보 조정) 진행 중으로 해석 (개인마다 차이 있음)
: But 빠르게 상승할 경우 RSI상 하락 다이버전스 발생 확률 높음
: 추가 상승의 확률이 상승하기 위해선 우선 17300 가격단을 캔들 몸통으로 돌파하여 지켜주는 것이 가장 중요.
: 추가 상승시 흰색 피보나치인 0.618-0.5정도까지 상승 가능성
: 해당 가격대는 11월 7일 전저점 이탈 이후 최고 반등가격 및 이전 전저점 저항과도 일치.
: 이 지점에서 이슈에 따른 휩소를 주의하는 것이 필요.
✅ 결
: 주, 일, 4시간 상에서 캔들과 기술분석 모두 비트코인 17000대 가격에서의 움직임이 중요하게 작용할 가능성 높음.
: 이 구간에서 휩소가 주로 나올 수 있으므로, 너무 고배율 거래는 조심
: 현 상황만 고려할 때, 금주 안에 비트코인의 가격이 18300-18500선에 닿는다면 (한화 약 2400-2500만원) 분할매도 전략이 유리
위태위태한 비트코인, 현재 구간 엘리엇파동 분석현재 엘리엇파동상 가장 확률 높아보이는 카운팅입니다.
수렴 관점입니다.
15.5k 저점 지점부터 18.2k까지 수렴 A파로 보고 있습니다. 소파동은 abc로 쪼개지고, A값과 C값의 비율이 1:1.382로 딱 떨어집니다.
마찬가지로 abc로 내려온 것으로 보여집니다. b파는 수렴으로 출현했으며, 수렴 거래량 또한 충족했기 때문에 abc(b파 수렴이 성립되는 것 같습니다.
여기서 A값과 C값의 비율은 1:0.618로 딱 맞아떨어졌네요.(A값에 비해 C값이 짧은 경우)
현재 구간을 분석해보면, 큰 수렴 C파 abc 안에서 b 수렴이 나오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B-b와 마찬가지로 수렴 거래량이 충족되기 때문에 수렴으로 볼 수 있고, 수렴 추세라인도 잘 지켜주고 있습니다.
현재 구간은 C-b-e로 살짝 조정 후 C-c 상승이 가능한 구간입니다. (수렴 e파는 절단이 나올 수 있으니 숏 포지션은 주의)
이후 큰 수렴 D파, E파가 출현하며 수렴의 끝자락을 만들 것 같고, E파가 완성될 즈음에 한 방향으로 튀며 크게 방향성이 나올 것으로 예측 중입니다.
현재 구간에서는 C-b 상단 추세선을 돌파할 경우 롱 포지션을 진입하는 것이 가장 괜찮은 매매일 것 같네요!
여전히 시장에 부정적인 이야기들이 오가고 있습니다. 변수에 항상 주의하고 대응 위주로 매매합시다!
강하게 하락 중인 비트코인, 바닥이 어디일까 ?최근 오랫동안 저점이었던 17.6k가 아래로 뚫리며 비트코인이 아주 강하게 하락하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저점을 갱신하며 계단식 하락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일봉 규모의 큰 그림에서 비트코인 반등 지점을 찾아보겠습니다.
먼저 69k(신고점)부터 내려오는 일봉 하락 추세선입니다.
세 차례 저항을 맞았으나, 이후 하락추세선을 돌파하며 단기적으로 반등이 꽤 나왔습니다.
그 이후 현재 하락 중인 모습, 아직은 이 추세선보다 위쪽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혹시나 아주 강하게 하락한다면, 이 추세선이 지지선으로 작용할 것 같습니다. (추세선 각도가 너무 가파르기 때문에 아주 강한 하락이 아니라면 웬만하면 터치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됨)
*혹시나 이 추세선을 하방이탈할 경우 시장상황이 매우 안 좋게 흘러갈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일봉상 가장 강력한 매물대 라인입니다.
18.6k~18.8k라인인데요, 해당 구간이 원래는 지지구간으로 작용했지만 매물대 하방이탈 이후 현재는 저항구간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 구간을 뚫고 지지해준다면 그 이후 당분간은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상승이 나올 시 체크해야할 라인이 되겠네요.
만약 현재 상황에서 추가적인 저점갱신이 발생하고 크게 하락할 경우 12.4 ~ 12.6k에서 반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신고점부터 세 개의 파동으로 쪼개어(빨간색 박스 - 초록색 박스 - 빨간색 박스) 피보나치 확장값을 사용해보았을 때, A값과 C값이 1:1이 되는자리가 12.5k입니다.
그리고 2019년 - 2020년 형성했던 고점이 겹치는 자리입니다.
이 구간이 이전에는 고점으로 저항선으로 작용하였지만, 돌파했었기 때문에 현재 지지선으로 작용할 수 있겠습니다.
1:1자리와 이전에 형성했던 고점 지지선이 겹치는 자리이기 때문에 유의미한 구간으로 보여지네요!
FTX 이슈부터 시작해서 비트코인 시장의 신뢰도가 조금씩 흔들리고 있습니다. 장에 변측적인 요소도 너무 많이 작용하고 변동성도 강해져, 난이도가 매우 높습니다.
뇌동매매에 주의하시고, 부디 현명한 투자하시길 바랄게요!
2022년 11월 13일 나스닥 시황 관점 공유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나스닥 시황 관점 올립니다.
금리 인상 폭을 조정할 수도 있다는 기대 심리가 크게 작용했습니다.
'한국은 0.25 정도 올리고 금리 인상은 끝날 것이다'라는 낙관적인 소식이 달콤하게 들려오고 있습니다.
차트만 분석해서 매매하는 본인 입장에서는 모두 작은 소음으로 들릴 뿐이니, 그냥 그렇구나 하고 넘어가겠습니다.
CPI가 발표 전, 이미 차트는 TP1 부근에 도달했고, 4시간 상승 다이버전스를 보고 전 저점을 짧은 S/L로 롱 포지션을 진입하기 좋은 구간이였습니다.
캔들의 움직임을 보며, 반등을 기다리고 있었고 하락 추세선을 강하게 돌파는 모습을 보였네요.
곧, (검은색) 5일 이동 평균선이 (주황색) 20 이동 평균선을 올라타며 (보라색) 60 이평과 정배열 형태를 만들려고 하겠네요.
마지막 상승은 하모닉 Butterfly TP2, Bat pattern PRZ 0.886AD 부근(12000-12400)에서 투자자들은 이틈을 놓칠 세라, 수익을 실현 하고
하락 반전을 예상 합니다.
아직 강한 상승 장이라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세계 전반적으로 경기를 반등 시킬 추가적인 호재가 많이 부족 해 보입니다. 상승을 위해선 강한 재료들이 필요 합니다.
(국채 매입(=양적완화), 전쟁 종결, 무역 전쟁, 환율 저평가, GDP 성장, 무역수지 개선 등)
금리 상승은 -> 인플레이션 완화 시켜주지만, 장기적으로 GDP 성장을 악화 시키고 -> 재정 적자를 증가 -> 정부 지출 삭감, 세수 증가-> 소비 둔화->경기를 악화 시킴
인플레이션형 불황이냐 디플레이션 불황이냐 판단하기 어려운 딜레마에서 줄다리기를 할 것 같네요.
아무튼 경제 정책의 성공/ 실패에 따라 증시가 반응 하며 장기간 횡보 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합니다.
감사합니다.
기간값과 페레럴채널을 혼용한 분석
FOMC 금리 발표 직후 변동성이 강했었다가, 현재는 조금 진정된 모습입니다.
현재 차트에서 중요하게 체크해야할 라인들을 브리핑 드리겠습니다.
먼저 단기 15분상 단기 페레럴 채널입니다.
FOMC시간 때 큰 변동으로 상단선을 깼지만, 곧바로 페레럴 채널 안쪽으로 안착했기 때문에 저 부분은 페이크(휩쏘)로 간주하고 분석하겠습니다.
이 페레럴 채널은 상/하단선보다 중단선에 좀 더 주목하실 필요가 있겠습니다.
중단라인에서 위쪽에 차트가 위치해있을 때는 지지를, 아래쪽에 위치해있을 때는 저항을 몇 차례 보여주었습니다.
현재 기준으로는 차트가 중단라인보다 위쪽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중단라인이 지지선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페레럴 채널의 특성인 상단선 - 저항, 하단선 - 지지도 그대로 유효)
기간값 상으로 분석을 한 번 해보았는데요, 이 페레럴채널 근처에서 형성했던 고점 -> 저점 / 저점 -> 고점의 시간값이 2일 4시간으로 동일했습니다.
따라서 이번에 형성할 고점 -> 저점까지의 기간값도 2일 4시간일 확률이 있습니다.
시간값을 예측하는 이유는 페레럴 채널은 수평라인이 아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중요값이 변동됩니다.
따라서 2일 4시간 후에 어떤 자리가 중요한 라인인지 체크하기 위해서 기간 분석을 도입해봤습니다.
추가적으로, 엘리엇파동상 ABC(정확히 규명하자면 333 ABC, 즉 WXY 형태임)로 내려오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현재 구간이 B수렴이던, 지그재그이던 한 파동 더 내려오는 것이 파동상으로 깔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결국 이 분석들로 도출된 손익비 괜찮은 자리는 19.6k ~ 19.7k정도 라인이 되지 않을까 예측하고 있습니다.
저 자리에서 나오는 변동을 보고 롱 포지션을 노려본다면 괜찮을 것 같네요.
오늘도 관점 봐주신 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불타는 금요일, 다들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랄게요 ㅎㅎ
FOMC를 앞둔 현재, 엘리엇 파동으로 예측해보는 경로현재 구간에서 엘리엇 파동상 보이는 확률 높은 관점 두 가지입니다.
Route 1(경로 1), Route 2(경로 2)
두 경우 모두 18.1k 저점부터 카운팅 시작했습니다.
첫 번째, Route 1(경로 1)입니다.
18.1k부터 19.9k까지 A, 5개의 파동으로 상승했습니다.
그 이후 확연하게 보여지는 B(abc)파동, B파동의 특징을 짙게 띠고 있어, 18.6k까지 B파동으로 봤습니다.
18.6k부터 움직이는 파동이 어렵습니다.
Route 1과 Route 2 관점의 차이는 한 파동 상승이 더 남았느냐, 상승파동이 끝났느냐인데, Route 1은 상승파동이 종결되었다는 관점입니다.
A파와 C파의 비율이 1:1.382로 아주 깔끔하게 떨어졌습니다.
일반적으로 ABC에서 보여주는 비율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이대로 하늘색 페레럴 채널을 이탈한다면 이 관점일 확률이 높아지겠습니다.
두 번째, Route 2(경로 2)입니다.
18.1k부터 19.9k까지 A, 5개의 파동으로 상승했습니다.
그 이후 확연하게 보여지는 B(abc)파동, B파동의 특징을 짙게 띠고 있어, 18.6k까지 B파동으로 봤습니다.
Route 1과 이 관점까지는 동일하지만, C파를 어디까지 보느냐에서 차이가 발생합니다.
최근 상승세가 강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어제의 하락에서 하늘색 페레럴 채널을 하방이탈 하지 않았기 때문에 한 파동 상승이 더 남았다고 보고 있습니다.
C-3파라고 표기한 고점에서부터 내려온 파동도 abc로 끝난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 관점의 경우, C파가 A파의 1.618값이 되는 21.5k ~ 21.6k까지 한 파동 더 상승할 것으로 보여지고, 페레럴 채널 중단라인과 겹칠 것으로 보여집니다.
21.5k ~ 21.6k가 오면 숏 포지션이 손익비가 좋을 것 같네요.
하늘색 페레럴 채널을 이탈하면 Route1일 확률 up
하늘색 페레럴 채널을 이탈하지 않고 슬금슬금 올라간다면 Route2일 확률 up
비트가 움직이는 방향에 맞춰서 대응해봅시다~
11월 3일 FOMC 금리이슈가 예정되어있습니다.
올해 마지막 금리 발표이기 때문에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항상 FOMC 이슈 전에는 변측적인 움직임이 많이 나왔으니, 휩쏘(속임수) 무빙에 주의하시길 바랄게요!
[10/27]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오늘은 좀 색다른 관점에서 비트코인 분석을 해보았습니다.
이런 관점으로도 볼 수 있구나정도로 봐주세요~
첫 번째 사진은 2021년 1월입니다.
비트코인이 29000달러 근처에 위치해 있을 때인데요,
저점(28.2k) -> 고점(42k) 피보나치를 그어보면
"0.94(28.9k)" 구간이 저점이 되고, 그 이후 큰 상승이 나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저 당시에 아주 많은 사람들이 28.2k 저점 갱신을 봤지만, 저점 가까이는 갔지만, 갱신을 하지않고 이후에 큰 상승이 출현했죠.
두 번째 사진은 2021년 6월입니다.
비트코인이 29000달러 근처에 위치해 있을 때인데요,
저점(28.8k) -> 고점(36.6k) 피보나치를 그어보면
"0.94(29.3k)" 구간이 저점이 되고, 그 이후 큰 상승이 나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이 당시에도 많은 사람들이 저점 갱신을 생각하며 다수가 숏 포지션을 보유했었습니다. 결국 저점 가까이는 갔지만, 갱신을 하지않고 이후에 큰 상승이 출현했죠.
가장 중요한 현재 그림입니다.
저점(17.6k) -> 고점(25.2k) 피보나치를 그어보면
"0.94(18.1k)" 구간, 저점처럼 보여지는 구간이 정확하게 찍힙니다.
이후 갑자기 강한 상승이 출현하기 시작하고 있구요.
이러한 분석을 우리는 프렉탈(fractal)적 분석이라고 합니다.
과거의 움직임과 비슷한 양상으로 흘러갈 경우, 비트코인은 저점대비 100%이상(두 배) 상승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세계적인 경제상황(펀더멘탈적분석)은 저 두 지점과 전혀 다른 상황입니다.
*기술적분석상으로 이러한 관점이 있다정도로만 알아주세요!
[10/26]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비트코인 시황입니다.
어제 22시 30분, 나스닥이 개장 직전부터 강한 상승세를 보여주며 이더리움,비트코인도 상승했는데요,
특히 이더리움이 비트코인을 선행하며 아주 강하게 상승했습니다.
거래량까지 동반되며 비트코인이 20.4k고점을 형성하고 현재 구간에서 위아래로 조금씩 움직이고 있는데요,
18.2k 자리부터 본다면 A(18.2k ~ 19.9k)의 길이와 C(18.6k ~ 20.4k)의 길이가 1:1 비율로 같습니다. (상승폭이 같다는 뜻)
보통 ABC 파동에서는 1:1 자리에서 저항을 맞고 하락파동이 시작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기서 하락거래량이 꽤 붙어주며 20.4k 고점을 넘지 못하고 하락한다면 당분간은 하락에 유리할 것 같습니다.
C파동이 abc가 아니고 임펄스파동으로 출현할 경우 현재 구간에서 수렴 후 한 파동 더 추가 상승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20.4k 고점을 갱신하는.)
아직까지는 고점 근처에서 움직이고 있어서 애매한 상황이나, 이 고점에서 나오는 무빙을 보고 다음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겠습니다.
카톡방에서 실시간으로 계속 브리핑해드릴테니 움직이는걸 잘 보고 대응해봅시다! 지금 자리는 대응이 중요합니다.
[10/25]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비트코인 시황입니다.
어제 밤, 하락이 발생하면서 상승페레럴 채널을 이탈하였는데요, 현재 이 채널 위쪽으로 올리지 못하고 아래쪽에 위치해있습니다.
현재 시점에서 가장 유력한 관점은 수렴 관점입니다.
거래량 조건(수렴 내에서 거래량이 점차 감소해야함)도 충족하고 있고, 내부 소파동도 수렴 abcde 중 a파를 제외하고는 abc로 깔끔하게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수렴이 맞다면 현재 구간에서 D-c 하락이 발생할 것으로 보여지는데요, D-b가 D-a의 0.5 되돌림을 맞았고, 수렴 하단선 자리까지 간다면 D-a와 D-c가 1:1 비율로 깔끔하게 떨어질 것 같습니다.
수렴 하단선 자리는 18.9k정도가 될 것 같고 롱 손익비가 상당히 좋아보이는 구간입니다.
손절은 수렴 하단선이 깨졌다고 판단되는 18.8k정도로 잡으시면 좋을 것 같네요.
*어제 시황에서 파란색 시나리오도 아직 폐기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현재 자리에서 그냥 올라갈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에 숏을 기존에 보유하고 있지 않으신 분들은 무리해서 추격숏을 타시는건 비추천드립니다.
[10/24]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비트코인 시황입니다.
21일 18650 저점을 찍고, 오늘 새벽에 반등이 나오며 197부근까지 상승했습니다.
엘리엇 파동 상으로 3가지 방향이 보이는데, 첫 번째 빨간색 관점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빨 - C 미달
18.1k부터 ABC가 시작되었다고 봅니다. 18.1k부터 19.8k까지 A파동, 그리고 B파 하락 후에 C파가 A파의 0.618(61.8%)가까이 상승하였는데요,
매수세가 다른 지그재그파동보다 약해서 C파가 짧게 나왔을 수도 있을 것 같아 이 관점도 고려 중입니다.
이 관점의 경우 19.7k 고점을 시작으로 강한 하락파동이 시작될 수 있습니다.
*이 관점이 폐기되는 시점 - 19.7k를 다시 넘어설 경우 이 관점은 폐지!
정석 ABC 지그재그
18.1k ~ 19.8k : A
19.8k ~ 18.6k : B (abc)
18.6k부터 C파 상승이 진행 중.
이 경우, 새벽에 형성한 고점인 19.7k를 다시 뚫으러 갈 것이고, A와 C의 비율이 1:1이 되는 20.4k까지 상승 가능할 것 같습니다.
*이 관점이 폐기되는 시점 - 18650 뚫리면 폐기!
수렴 - abcde
18.1k부터 수렴하고 있다는 관점입니다.
삼각수렴의 거래량 조건(거래량이 점차 감소해야함)을 충족시키면서 삼각수렴 안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a,b,c가 출현하였고 d,e파 이후 방향이 나올 것 같다는 관점입니다.
19.7k를 뚫지못하고 19k 근처에서 반등을 한다면 수렴 관점이 유력할 것 같네요.
*이 관점이 폐기되는 시점 - 수렴 상하단 중 한 부분이 지지나 저항을 받지 못하고 바로 뚫려버리면 페기
+ 19k ~ 19.2k 구간은 요 며칠 계속 형성했던 매물대입니다.
오늘은 숏 위주로 대응해라, 롱 위주로 대응해라 등의 방향은 제시해드리지 못 할 것 같습니다.
방향을 모두 생각하구 차트가 움직이는대로 매매해봅시다~
[10/18]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비트코인 오전시황입니다.
주말동안 길었던 횡보가 끝나고, 어제 변동이 조금씩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어제 보여준 방향은 위였는데요, 나스닥이 거의 4%가량 상승하며 비트코인/이더리움이 따라 상승한 것 같습니다.
현재 시장은 CPI 발표지수보다 발표가 끝났다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 같습니다.
강하게 하락할 재료 소멸으로 받아들이고 상승이 나오는 것 같은데요, 이 상승랠리가 어디까지 진행될지 모릅니다.
현재 보이는 상황으로는 (파란색 삼각형 구간)삼각수렴이 진행 중인 것으로 보여집니다.
거래량도 수렴중이고 수렴파동의 끝을 향해 가고 있으니, 이 삼각수렴에서 꽤 의미있는 무빙이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기본적으로 삼각수렴 패턴에서는 상단선이 저항선이되고, 하단선이 지지선이 됩니다.
상단선을 돌파할 경우 위로 추가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하단선을 돌파할 경우 아래로 추가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예측이 많이 어려운 현재, 대응 위주로 매매를 진행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시황에 올려드린 엘리엇파동은 CPI때 형성한 저점부터 카운팅 한 것인데, 확률이 높지는 않습니다. 참고로만 봐주세요
[10/17]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비트코인 오전시황입니다.
CPI 발표 이후 예측하기 어려운 움직임을 많이 보여주고 있습니다.
예측이 비교적 어렵기 때문에 대응 위주로 매매를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오늘은 간단한 예측과 대응라인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그림에서 파란색 삼각형을 보시면 라이징웻지(상승쐐기)형태로 나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라이징웻지 하단선을 이탈하면서 전형적인 하락패턴이 완성되었는데요, 그 이후 강한 반등으로 라이징웻지 하단선까지 딱 맞고 하락했습니다.
이는 저항에 대한 리테스트라고 보고 있으며, 하락할 가능성에 힘을 실어주는 것 같습니다.
다음은 매물대입니다.
주환색깔 단기 매물대라인인데, 횡보가 많았던 구간으로 이 구간에서 지지를 받을 가능성이 있겠습니다.
다만, 깨지면 그 아래로는 매물대지지가 많지 않기 때문에 추가하락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체크하셔야할 라인.
다음은 항상 분석에서 빠지지 않는 69k부터 오는 추세선인데요,
저번 CPI 발표 후 69k 추세선을 아주 살짝 깨고 크게 반등했는데요, 혹시 큰 하락이 나온다면 잘 체크하셔야겠습니다.
강한 지지선으로 작용하긴하지만, 깨질 경우 강한 하락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중요 대응라인입니다.
그리고 큰 빨간색 삼각형, 디센딩 트라이앵글 패턴인데요, 하단선은 지지, 상단선은 저항으로 작용하고, 둘 중 한 곳이 뚫린다면, 해당 방향으로 갈 확률이 높습니다. (디센딩 트라이앵글은 통상적으로 하락할 확률이 조금 더 높은 패턴이긴합니다.)
이 큰 삼각수렴도 잘 체크하셔야해요!
장이 너무 어렵기 떄문에 예측이 어렵습니다. 차트를 보시면서 그 때 그 때 나오는 중요 무빙을 잘 체크하셔서 매매를 진행하시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ㅎㅎ
[10/13]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비트코인 분석입니다.
오늘은 엘리엇파동 관점에서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비트코인이 큰 관점에서 아주 큰 박스권에서 위아래로 움직이고 있는 상황이라 분석하기가 매우 어렵지만 가장 확률 높은 카운팅(분석)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먼저 파동의 시작은 고점인 20470으로 잡았습니다.
초록색 파동이 메인 파동입니다 204부터 188근처까지 임펄스파동이 진행되었다고 생각하는데요,
3-1파로 추정되는 부분에서 형성된 쐐기형태의 리딩 다이아고날, 3-3파에서 터진 강한 거래량, 4파에서 출현한 러닝 삼각수렴 등 잘 맞아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경우는 여기서 단기반등이 나옵니다. (ABC)
(단기반등 할 경우 19480까지가 유력)
하지만, 마지막 저점 갱신을 하며 어느정도 반등을 해주었지만, 다시 저점 근처에서 위아래로 왔다갔다 하며 수렴 형태를 그리고 있습니다.
수렴의 형태는 4파에서 대체적으로 많이 출현하는 패턴이기 때문에 한 파동 하락이 더 남았을 수도 있습니다.
또, 5파 연장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5파동이 비정상적으로 길게 출현하면서 강하게 파동이 형성된다는걸 뜻하는데, 이 그림에서는 갑자기 급격한 하락의 출현을 의미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락에 대한 의심을 계속 해봐야하고 단기 반등을 노리고 롱 포지션을 잡는 것보다 숏 포지션 위주의 대응을 추천드리고, 올라올 경우 숏 포지션을 잡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오늘 CPI발표가 있습니다.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나스닥(미국)시장이 매우 예민하게 받아들일 확률이 높습니다.
어제 ppi(생산자소비지수)발표가 있었는데, 어제는 생각보다 변동성이 크진 않았습니다.
다들 오늘 cpi를 주목하고 있으니 비중/배율 꼭 조절 잘 하시고 발표 전에는 포지션을 다 정리한 후, 상황을 보고 추격으로 포지션에 진입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10/12]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나스닥 분석입니다.
현재 하락 페레럴 채널을 타며 아래로 하락하고 있습니다.
어제는 저점이었던 10800지점을 갱신하면서 새로운 저점 10710을 형성햐였고, 저점갱신을 했으나 제대로 된 반등 없이 이 자리 근처에서 횡보하고 있습니다.
10월초 10830부터 11660까지 올라간 파동에 비해 더 강한 추세 파동으로 보여지며, 현재 구간에서 아래로 더 내려갈 경우, 당분간은 하락할 것으로 예측.
현재 구간에서 반등이 나와, 페레럴 채널 상단선을 돌파해주면 당분간은 상승할 것으로 예측할 것 같습니다.
매물대 저항은 11250정도에 위치해있으며, 저 구간까지 돌파해준다면 상승에 더욱 힘을 실어줄 것 같습니다.
결론은 지금 구간에서 변동을 잘 체크해야한다는건데요, 오늘과 내일 마침 중요한 이벤트가 있습니다.
나스닥이 아주 예민하게 반응하는 미국 ppi(생산자물가지수)와 미국 cpi(소비자물가지수)인데요, 이는 곧 금리관련이슈와 직결되는 발표이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시장에 큰 변동성을 가져다 줍니다.
변동이 크기 때문에 먹는 것도 많이 먹을 수 있지만, 그만큼 잃는 것도 크게 잃을 수 있습니다.
휩쏘(페이크) 무빙이 많은 이런 이벤트는 관망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매매를 해보고자 하시는 분들은 비중/배율을 평소보다 낮게 조절하여 큰 변동성에서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합시다.
[10/11]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비트코인 시황입니다.
20.4k 고점부터 보이는 파동에 대해 브리핑 드리겠습니다.
먼저 내려온 모양이 엄청나게 강하진 않고, 앞부분의 2파 되돌림이 너무 깊어서 임펄스일 확률이 그리 높아보이진 않습니다만 그나마 현재 구간에서 가장 확률이 높아보입니다.
총 5개의 파동으로 하락하는 파동이고, 3-1파가 리딩다이고날로 출현(해당 구간에서 거래량 또한 점차 감소), 3-3파에서 비교적 강한 거래량이 터지며 하락했습니다.
그 후 19.2k 저점을 만들며 3파를 종결했으며 이 자리는 1파 길이의 1.618자리인데, 이는 엘리엇파동 이론에서 임펄스파동의 정석 비율입니다.
그 이후 4파 abc로 19.6k근처까지 상승하였고 현재 5파로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엘리엇 파동 이론에 의거하면 1파와 5파의 길이가 1:1이 나오는 경우가 많은데 그 경우 18.8k 부근까지 하락할 수 있겠습니다.
그 후에는 abc파동으로 상승할 확률이 높아보여요~
엘리엇파동에서 '임펄스파동'이란 총 5개의 지그재그 움직임을 나타내는데요, 각 지그재그를 1파,2파,3파,4파,5파라고 지칭합니다.
1파 x 1.618 = 3파
1파 = 5파
가 일반적인 비율인데,
현재 검정색 그림에서 보시면 1파 x 1.618 = 3파는 성립된걸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임펄스파동의 특성상 '3파'에서 거래량이 가장 강한데, 위 그림에서 3파부분에 강한 거래량이 터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 진행 중인 이 파동은 '임펄스 파동'일 확률이 높다고 판단했고, 이 파동은 하락파동이니깐 하락파동이 끝나는 지점을 찾아보려했습니다.
보통 일반적으로 5파는 1파의 길이와 똑같이 나오기 때문에 1파의 길이만큼 하락시켜보면 18.8k가 나옵니다.
저기가 하락 전체 파동 종결점이 될 수 있겠죠!
[10/07]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나스닥 분석입니다.
먼저 5월 22일 즈음부터 형성된 나스닥 페레럴채널을 찾을 수 있었는데요, 해당 채널은 상승채널으로, 천천히 우상향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하늘색 페레럴 채널)
하지만 9월말에 여러 악재가 터지면서 이 상승채널이 깨졌고, 그 이후 꽤 강하게 하락하며 11000포인트를 이탈했습니다.
결국 저점갱신을 했지만, 저점갱신을 한 후 노란색 하락 페레럴 채널 하단선에서 매수세가 급격하게 붙기 시작했고, 중단선을 훌쩍 뛰어넘어 버렸습니다.
현재는 상단선과 중단선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으며, 상단선을 이탈할 경우 추가 상승이 가능해 보입니다.
하지만 13750 고점부터 저점까지 아직 피보나치 0.382까지도 가지 못한 상황이고 여전히 증시는 좋지 않습니다.
장이 어렵고 변측적인 움직임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원래도 대응이 중요했지만 요즘 장은 더더욱 대응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시황에서 체크해드린 중요라인들 꼭 따라그려보시고 지지/저항 잘 체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옆에 빨간색 네모라인이 지지/저항 라인들 모음 표시해둔 것이니 참고하셔요~
[10/06]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비트가 결국 69k부터 내려오는 추세선에서 저항을 뚫어버리고 상승했습니다.
엄청나게 파격적인 상승이 출현한 것은 아니지만, 여러가지 근거(엘리엇 파동, 피보나치, 보조지표 등)가 뒷받침되는 하락할 자리에서 하락하지 않고 계속 버티고 있는 상황입니다.
저는 일단, 장기 하락 추세선인 69k를 돌파했기 때문에 당분간은 기술적반등이 출현할 확률이 조금 더 높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장이 어려우니 체크해야할 패턴들과 대응라인들을 말씀드릴게요!
1. 빨간색 라이징 웻지 패턴
조그만한 라이징 웻지가 보입니다.
하단선 이탈시 추가하락이 꽤 출현할 수 있겠습니다.
2. 위아래 주황색 추세선
하단선 - 지지 (강하진 않음)
상단선 - 저항 (강하진 않음)
3. 초록색 하락추세선
지난번 고점인 25.2k와 cpi 고점 22.8k를 이은 추세선으로 저항으로 작용합니다. 뚫을 시 상승에 매우 긍정
4. 파란색 매물대라인
매물대를 쌓은 구간으로, 현재 기준으로는 저항으로 작용합니다.
5. *검정색 하락추세선
69k(신고점)부터 내려오는 하락 추세선으로 현재 돌파한 상황입니다.
이 추세선 위쪽에 차트가 위치해 있는 동안은 롱 포지션이 좀 더 유리한 것 같습니다.
6. 17.5k & 18.1k
중요한 저점라인들입니다. 이탈시 추가하락 발생 위험 upup
[10/05]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비트코인이 어제부터 갑자기 강한 상승세를 보여주며 조정없는 상승을 하고 있습니다.
나스닥 또한 저점을 갱신한 이후로 강한 반등이 나오며 엄청나게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나스닥에 대해 브리핑 드리곘습니다.
나스닥 4시간 차트입니다.
6월 17일부터 형성한 상승추세선에서 두 번 지지 받은 후, 상승추세선이 깨졌고, 저항선으로 변경되며 두 번의 저항을 받았고 여전히 저항선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중요한 자리였던 전저점을 갱신한 후로 급격한 상승이 나오며 750포인트 가까이 올린 상황이고, 여전히 상승세가 강합니다.
스토캐스틱 보조지표 상으로는 4시간 (설정값 5 3 3) 지표가 고점에서 아래로 살짝 꺾이고 있습니다.
지표 상으로는 조정이 나올 확률이 높다는 것을 뜻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세계 경제 측면에서는 매우 부정적인 상황인데, 아주 많은 사람들이 하락을 바라보고 있어서 사람들이 예상하지 못하는 상승을 주고 있는 것 같습니다.
비트코인 같은 경우, 신고점(69k)부터 300일 넘게 이어오던 하락추세가 어제 깨진 상황입니다.
분석하기 나름이지만, 장기하락추세가 돌파되었기 때문에 조금 주의는 필요한 것 같습니다.
DXY(달러인덱스) 페레럴채널 하단선 깨지면 증시가 계속 상승세를 이어갈 확률 up
하단선에서 지지받고 달러인덱스가 다시 상승하면 증시 하락
체감상 장 자체가 난이도가 많이 높아진 것 같습니다. 어려운 장에서 모두들 현명한 대응하셔서 수익 나시길 바랄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