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턴이해 #4] 쐐기형 패턴 (Wedge Pattern), 속속들이 알아보자!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지난 시간, 시리즈 에서는 지속형 패턴 (Continuation Pattern)의 한 종류인 "삼각 수렴 패턴" 을 이야기 하였습니다.
오늘 패턴이해 #4에서는, 삼각 패턴과 유사하지만 다른, 쐐기 패턴 (Wedge Pattern)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누구나 읽을 수 있도록 쉽게 작성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및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
------------------------------------------------------------------
< 목 차 >
I. Wedge pattern에 대한 이해
I-1. Wedge pattern의 기초 & 특징
I-2. 왜 쐐기 패턴은 기존 추세와는 반대 방향으로 형성 (반전) 되는가?
I-3. 상승 쐐기 패턴 (Upward, Rising wedge)
I-4. 하락 쐐기 패턴 (Downward, Falling wedge)
II. 사례 분석 & 고찰
II-1. 실제 사례 분석
II-2. 참고 연구 결과 & 단독 적용의 위험
-----------------------------------------------------------------
I. Wedge pattern에 대한 이해
Wedge Pattern 이란?
쐐기 패턴으로도 불리는 Wedge Pattern은 수렴형(Converging) 패턴의 일종으로, 상단 (Upper) + 하단(Lower) 두 추세선으로 이어져 시간 진행 방향으로 수렴하는 패턴을 의미합니다.
이전 시간에 다루었던 Triangular Pattern (삼각 패턴) 과의 차이점은, 두 추세선 (U & L) 의 기울기가 같은 방향 을 지닌다는 점입니다.
-----------------------------------------------------------------
1. Wedge pattern의 기초 & 특징
쐐기 패턴은 <상승 쐐기 (Upward, Rising wedge) & 하락 쐐기 (Downward, Falling wedge)> 2 종류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림과 같이, 상승 쐐기는 수렴의 막바지에서 하방 돌파를, 하락 쐐기는 상방 돌파를 이루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단순 쐐기 타입 만으로 롱 / 숏 포지션 결정하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
1) Wedge Pattern의 구성
① 각 추세선 당 “2개” 이상의 변곡점으로 이루어진 상단 + 하단 추세선으로 이루어집니다.
② 두 추세선의 경사도 (기울기) 는 같은 방향이어야 합니다.
③ 변곡점의 수가 많아질 수록 신뢰도가 상승합니다.
2) Wedge Pattern의 특징
①잠재적으로 Price Action이 반전 (Reversal)을 이룰 것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 상승 쐐기는 하방 이탈을, 하락 쐐기는 상방 이탈을 보일 가능성이 비교적 높습니다.
② 일반적으로 10~50 일¹에 걸쳐 수렴하며 형성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짧게는 며칠 만에, 강하게 나타나는 경우 3~6개월² 까지 연장될 수 있습니다.
③ 수렴의 말단에 가깝게 이탈이 발생할 수록, 그 세기가 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④ 패턴이 진행될 수록, 거래량은 점차 감소합니다.
⑤ 약 70~80% 수렴 진행 시 이탈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⑥ 돌파 후 움직임 범위 (L) 는 형성 시 높이 (L)와 비슷한 경우가 많습니다.
Footnote
¹ : Investopedia 기준, 정확히는 10-50 period of time (Trading Period) 로 제시
² : Scanz 기준, 수 일 ~ 수 개월로 포괄적이며, 강한 쐐기의 경우 3-6개월도 관찰된다고 제시
-----------------------------------------------------------------
2. 왜 쐐기 패턴은 기존 추세와는 반대 방향으로 형성 (반전) 되는가?
1) 왜 추세 “반전”이 일어나는가?
상승추세 (Uptrend) 였던 경우, 그 추세의 막바지에서 상승 쐐기가 나타나게 됩니다.
이는 상승세를 주도하던 개인 및 세력들의 보합세 전환을 의미합니다.
즉, 가격 상승에 따른 이익 실현 (매도) 세력과, 가격을 더욱 끌어올리려는 (매수) 세력이 대치 중인 셈이지요.
그러나 결국 특별한 이슈가 없는 이상 거래량 감소 (투자자들의 관심 감소) 가 동반되며 결국 하락 “반전”을 이루게 됩니다.
하락추세 (Downtrend) 였던 경우 등장하는 하락 쐐기는, 그 반대로 매도 세력과 매수 세력의 대치 결과 하락 모멘텀을 잃기 시작하면서 매수세가 등장함을 나타냅니다. 결국 상승 “반전” 이 일어나게 됩니다.
2) 꼭 “반전” 만 되는 걸까?
아닙니다!
상승세 도중 하락 쐐기가 나타나는 경우, 다시 상승세로 이어지는 연속형 (Continuation) 패턴으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하락세 도중 상승 쐐기는 하락세가 이어지기 위한 숨 고르기 구간일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바로 다음 장에서 알아볼까요?
-----------------------------------------------------------------
3. 상승 쐐기 패턴 (Upward, Rising Wedge)
쐐기 형성 후 하락의 가능성을 높게 생각할 수 있는 패턴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상승 추세 후반부에서 나타나지만, 하락 추세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① 패턴 이후 하락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음
② 급격한 상승 후 하락 반전, 또는 장기간 하락 후 추세 강화 기간 (연속) 에 형성될 수 있음
(주의 : 급격한 상승 후 상승 쐐기로 이어지면서 하락이 아닌, 오히려 ATH 갱신을 시도할 때가 종종 있음)
③ 즉, 하단 추세선이 돌파 시 숏 포지션 진입이 통상적
● 주의점
① 돌파 (Breakout) 전까지 관망 권장
② 삼각형 패턴과 달리 돌파 이후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Target Price 를 설정할 신뢰할 만한 근거가 약함
③ 큰 손실을 피하려면, 후행적 Stop Loss 설정이 중요
1) 반전형 : 상승 추세 (Uptrend) 에서 나타나는 상승 쐐기
2) 연속형 : 하락 추세 (Downtrend) 에서 나타나는 상승 쐐기
** 도식 상 EP / SL / TP 등은 대략적 설정 값으로 성향 및 타 지표를 고려해 변경할 수 있습니다.
----------------------------------------------------------------
4. 하락 쐐기 패턴 (Downward Pattern)
쐐기 형성 후 상승의 가능성을 높게 생각할 수 있는 패턴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하락 추세 후반부에서 나타나지만, 상승 추세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① 패턴 이후 상승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음
(상승 쐐기보다 하락 쐐기가 보다 신뢰도가 높다는 주장이 있음)
② 급격한 하락 후 상승 (반전), 또는 장기간 상승 후 추세 강화 기간 (연속) 에 형성될 수 있음
③ 즉, 상단 추세선이 돌파 시 롱 포지션 진입이 통상적
● 주의점 (상승 쐐기와 동일)
① 돌파 (Breakout) 전까지 관망 권장
② 삼각형 패턴과 달리 돌파 이후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Target Price 를 설정할 신뢰할 만한 근거가 약함
③ 큰 손실을 피하려면, 후행적 Stop Loss 설정이 중요
1) 반전형 : 하락 추세 (Downtrend) 에서 나타나는 하락 쐐기
2) 연속형 : 상승 추세 (Uptrend) 에서 나타나는 하락 쐐기
** 도식 상 EP / SL / TP 등은 대략적 설정 값으로 성향 및 타 지표를 고려해 변경할 수 있습니다.
-----------------------------------------------------------------
-----------------------------------------------------------------
II. 사례 분석 & 고찰
-----------------------------------------------------------------
1. 실제 사례 분석
쐐기 패턴은, 이전 #3에서의 삼각 수렴 패턴과 달리, 등장 빈도가 그리 높지 않은 편 입니다.
낮은 시간 프레임 (1시간 봉 등) 에서 부터, 높은 프레임 (일봉, 주봉) 등으로 복합적으로 판단 후 쐐기 여부를 결정하여야 합니다.
-----------------------------------------------------------------
1) 상승 쐐기 : 연속형 I
- 카카오보통주 / 4시간 봉 / 추세선 : 캔들 꼬리 기준
- 진행 기간 : 2021-08-05 ~2021-09-07 (34일간)
- 이탈 구간 : 77.2 % 구간에서 발생
- 이탈 이슈 : 정치권 / 금융당국의 규제 예상으로 인한 하락
하락 추세가 상승 쐐기 이후 다시 이어지는 “연속형” 쐐기 패턴입니다. 규제 이슈와 맞물려 하방 이탈 후 며칠 간 하락세가 더 이어졌으나 이탈 직후의 낙차는 쐐기 패턴 초반 형성 높이 (① 변곡점 간의 높이) 와 유사하게 형성된 것이 특징적입니다.
2) 상승 쐐기 : 연속형 II
- 에이다 (ADA) USDT / 1일 봉 / 추세선 : 캔들 꼬리 기준
- 진행 기간 : 2022-07-13 ~2022-08-18 (36일간)
- 이탈 구간 : 62.0% 구간에서 발생
두번째로, 동일한 연속형 상승 쐐기 패턴입니다. 하락세가 길게 이어지지는 않았으나, 하방 이탈이 쐐기 형성 폭과 유사한 정도로 일어남을 알 수 있습니다. 단, 거래량 동반이 미약하여 명확한 상승 쐐기로 보기엔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따라서 보다 보수적으로 SL 구간을 설정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수익률은 높이고, 손실은 최소화 하는 것이 승률을 높이는 지름길이기 때문이지요.
3) 하락 쐐기 : 반전형
- 솔라나 (SOL) USDT / 1일 봉 / 추세선 : 캔들 몸통 기준
- 진행 기간 : 2022-01-12 ~2022-03-18 (65일간)
- 이탈 구간 : 75.2% 구간에서 발생
이번에는 하락 쐐기를 살펴보겠습니다. 60일 넘게 2달 간 지속된 패턴으로 전형적인 “반전형”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오랜 시간 수렴한 만큼, 상방 이탈 후 상승 추세 역시 1주 이상 지속되는 것이 확인됩니다.
마지막으로, 현재 진행 중인 차트를 같이 분석해보면서 과연 쐐기가 전형적인 모습을 그려줄 지 예측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4) 하락 쐐기 : “연속형”이 되어 상승세를 나타낼까? “반전” 되어 하락세가 나타날까?
- 셀트리온보통주 / -4시간 봉 / 추세선 : 캔들 꼬리 기준
- 진행 기간 : 2022-08-03 ~2022-09-20 경 이탈 가능성 (약 40~50일)
- 이탈 구간 : 약 70% 도달
→ 쐐기 패턴의 완성 여부 확인 후, TP, EP, SL 설정 및 진입 가능
마지막으로, 셀트리온을 확인해보겠습니다. 현재 하락 쐐기가 나타나고 있으며 거래량의 감소와 수렴 구간의 막바지에 다다르고 있어 이탈이 조만간 일어날 것으로 기대됩니다. 상승세에서 하락 쐐기로 연결된 만큼, 숨 고르고 다시 상방 이탈 (연속형)을 이룰지,
아니면 하락세를 맞이하여 추세 반전을 이룰지 궁금한 상황이네요!
만약 롱 포지션으로 진입 시 첫 변곡점 간의 거리를 추산하여 TP, EP, SL을 설정하는 것이 보다 도움이 될 것입니다.
----------------------------------------------------------------
2. 참고 연구 결과 & 단독 적용의 위험
1) 일부 연구에서는 쐐기 패턴의 끝에서 결국 추세 반전 (상승 쐐기의 하방 돌파 / 하락 쐐기의 상방 돌파)이 일어날 가능성이 2/3 이상 (약 66 %) 높다고 하였으며, 특히 하락 쐐기가 상승 쐐기보다 더 신뢰도가 높다 고 보고하였습니다.
- 출처 : Investopedia : Technical Analysis Basic Education-Wedge 중 발췌
2) 쐐기 패턴은 추세 반전을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지표이나, 단독 적용 시의 성공률은 그다지 높지 않습니다. 다음은 크립토 시장에서 쐐기 패턴 적용 시 성공률에 대한 연구이며 2년 동안의 후향적 (retrospective - 백테스트 개념) test 로 결과를 도출했습니다.
단독 쐐기 패턴 사용 시
Ascending/Descending Wedges – 38.2%
지지/저항 key level 분석을 같이 한 경우
Ascending/Descending Wedges – 58.6%
보시면 단독으로 지표를 적용할 경우 승률이 50%에 미치지 못하였으나,
다른 지표를 참고한 경우 20% 가량의 성공률 증가 양상을 보입니다.
- 출처 : Advanced Forex Blog : Popular Price Pattern Study and Their Success Rates 중 발췌
이처럼 쐐기 패턴은 반전 경향을 알려줌에 있어 다소 신뢰할 수 있으나, 단독 적용보다는 여러 보조 지표의 활용이 권장됩니다.
여러분들도 이러한 패턴에 여러 기술적 요소들을 적절히 활용하시어 보다 성공적인 투자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기술적 분석
[패턴이해 #3] 삼각 수렴 패턴 (Triangle Pattern), 어느 쪽으로 갈까요?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지난 번 패턴이해 #1에서는 Flag Pattern을, #2 에서는 반전 (Reversal) 패턴 중 Head and Shoulders & Inverse (reverse) pattern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오늘 패턴이해 #3에서는 삼각 수렴 패턴 (Triangle divergence pattern)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누구나 읽을 수 있도록 쉽게 작성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및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
< 목 차 >
I. Triangle pattern에 대한 이해
I-1. Triangle pattern의 기초 & 특징
I-2. 거래량과의 관계
I-3. Symmetrical Triangle (대칭 삼각) 패턴
I-4. Ascending Triangle (상승 삼각) 패턴
I-5. Descending Triangle (하락 삼각) 패턴
II. 사례 분석 & 고찰
II-1. 실제 사례 분석
II-2. Triangle pattern의 장점과 한계
II-3. 단독 적용의 위험성
-----------------------------------------------------------------
I. Triangle pattern에 대한 이해
삼각 수렴 패턴이란, 상단 + 하단 두 추세선으로 이어져 시간 진행 방향으로 수렴하는 패턴을 의미합니다. 차트 상 캔들이 수렴하면서 변동성(volatility)이 점차 줄어드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패턴은 주식, 크립토 시장을 막론하고 흔하게 찾을 수 있는 패턴인데요, 기술적 분석 지표에서는 “진행형 (continuation)” 패턴의 일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패턴 종료 시 추세가 상/하방 모두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양방향 (bilateral)” 패턴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삼각 수렴 패턴은 크게 3 종류로 나뉘는데요, 각각에 대한 구성 요소 및 key points 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1. Triangle pattern의 기초 & 특징
삼각 수렴은 <대칭 삼각 패턴(Symmetric Triangle), 상승 삼각 패턴(Ascending Triangle), 하락 삼각 패턴(Descending Triangle)> 3 종류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보통 상승 패턴은 수렴의 끝에서 상향 돌파를, 하락 패턴은 하방 돌파를, 대칭 패턴은 50 :50 의 확률로 진행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기술적 분석의 세계에서 확신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점을 유념하셔야 합니다.
패턴을 적용 시 보조 지표와 지지/저항 Key level 등을 적절히 활용하여 Confluent Zone을 확보한 후 접근하는 것이 보다 승률을 높이는 방법이 될 것입니다.
1)지지선, 저항선에서 각각 2회 이상의 변곡이 있어야 합니다
→ 해당 추세선에 매치되는 변곡점이 많을 수록 신빙성 up
2) 수렴의 끝단에 가까워질 수록 (수렴할 수록) 이후 추세가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쐐기 (wedge) 패턴에 비해, 패턴이 진행되는 기간이 다소 길며 상단 추세가 수 일 이상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4) 이탈이 주로 수렴이 80% 정도 진행 (삼각형 꼭지점을 향해) 되었을 때 일어납니다.
5) 양방향으로 진행 가능한 패턴이기에, Bull / Bear 양측 모두를 염두하는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
2. 거래량과의 관계
패턴에 거래량의 변화가 동반된다면 해당 패턴의 신뢰도가 상승합니다.
1) 일반적으로, 수렴이 진행되면서 보합 경향이 나타나므로, 거래량은 점차 하락
2) 거래량의 감소 정도가 더욱 가파를 경우, 이후 찾아올 변동폭이 더 클 것으로 예상
3) 수렴의 막바지, 많은 거래량을 동반하면서 이탈하는 경우, 해당 추세의 신빙성이 높아짐
-----------------------------------------------------------------
3. Symmetrical Triangle (대칭 삼각) 패턴
대칭 삼각 패턴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두 추세선이 대칭적으로 모이는 모양을 나타냅니다.
상단 추세선의 경우, 가격 상승 시 매도세가 강해져 고점이 점점 낮아지는 추세를
하단 추세선의 경우, 가격 하락 시 매수세가 강해져 저점이 점차 높아지는 모습을 보입니다.
특히, 두 추세선의 기울기의 정도가 대칭에 가까울 수록 시장의 불확실성을 나타냅니다.
● 특징
1) 수렴 이후 이탈 시, 위·아래로 확산할 확률이 절반 (5:5)
2) 이탈 방향에 따라 포지션을 자유롭게 설정 가능
● 주의점
1) 완벽한 대칭이 나타나는 경우가 드묾 (작도 시 price action을 고려)
2) 상승 / 하락 패턴에 비해 추후 이탈 예측이 더욱 어려우므로 관망 기간이 길어질 수 있음
3) 양방향 모두로 오더를 거는 경우 보다 치밀한 stop loss & limit 설정이 필요
** 도식 상 목표가 / Entry / Stop loss 등은 대략적 설정 값으로 성향 및 타 지표를 고려해 변경할 수 있습니다.
----------------------------------------------------------------
4. Ascending Triangle (상승 삼각) 패턴
수렴 이후 위로 확산 (상승) 할 확률이 조금 더 높은 패턴입니다.
하단 추세선의 경우, 가격 하락 시 매수세가 뒷받침하여 저점이 점차 올라가지만,
상단 추세선의 경우 가격 상승 시 상대적으로 매도세가 적기 때문에 평행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줍니다.
상단은 매물대(이전 고점)에서 저항을 받아 수렴을 이어가므로 수렴 후 돌파 시 상방 이탈 가능성이 비교적 높습니다.
● 특징
1) 상승 삼각 수렴은 강세 전망 (매수세>매도세)
2) 고점은 오버헤드 저항 수준을 따라 평평한 추세를 나타냄
3) 저점은 시장의 상승세로 점차 더 높은 지지를 보임
4) 상방 돌파 시 롱 포지션 진입
● 주의점
1) 상방 이탈 후 재하락하는 속임수 (휩소 : Whipsaw) 경우가 있을 수 있음
2) 상방 이탈 매수 시, Stop loss 범위를 잘 설정하여야 손실 방지 가능
3) “하방 이탈 시 숏”보다는 “상승 이탈 시 롱” 포지션으로 접근하는 것이 보다 유리
(상승 삼각임에도 불구하고 하방 이탈이 일어난 경우 하락이 이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
** 도식 상 목표가 / Entry / Stop loss 등은 대략적 설정 값으로 성향 및 타 지표를 고려해 변경할 수 있습니다.
-----------------------------------------------------------------
5. Descending Triangle (하락 삼각) 패턴
수렴 이후 아래로 확산 (하락) 할 확률이 조금 더 높은 패턴입니다.
상승 삼각 패턴과 반대의 경우로
하단 추세선의 경우, 가격 하락 시 매물대 (이전 저점)의 지지를 받아 평행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나
상단 추세선의 경우, 상대적으로 매도세가 크기 때문에 고점이 점차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수렴 후 돌파 시 하방 이탈 가능성이 비교적 높습니다.
● 특징
1) 하락 삼각 수렴은 약세 전망 (매수세<매도세)
2) 저점은 지지 수준을 따라 평평한 추세를 나타냄
3) 고점은 시장의 하락세로 점차 더 낮아지는 저항을 보임
4) 하방 돌파 시 숏 포지션 진입
● 주의점
1) 상방 이탈 후 재하락하는 속임수 (휩소 : Whipsaw) 경우가 있을 수 있음
2) 상방 이탈 매수 시, Stop loss 범위를 잘 설정하여야 손실 방지 가능
3) “하방 이탈 시 숏”보다는 “상승 이탈 시 롱”하는 것이 보다 유리
(상승 삼각임에도 불구하고 하방 이탈이 일어난 경우 하락이 이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
** 도식 상 목표가 / Entry / Stop loss 등은 대략적 설정 값으로 성향 및 타 지표를 고려해 변경할 수 있습니다.
-----------------------------------------------------------------
II. 사례 분석 & 고찰
-----------------------------------------------------------------
1. 실제 사례 분석
1) 상승 삼각 패턴 → 하방 이탈 관찰 후 하락세로 전환
BTC 2022/08/10 ~ 2022/08/15 (1시간 봉 - 캔들 몸통 기준)
약 4-5일에 걸친 상승 삼각 패턴이 관찰됩니다. 거래량의 감소 역시 동반되었으나, 수렴 막바지 (80%) 부근에서
하방 이탈이 관찰되었고, 이후 일시 상승하였으나 상방 저항 구간을 뚫지 못하고 재하락하였으며
이후 하락세로 완전히 전환된 양상을 볼 수 있습니다.
해당 기간 크립토 시장은, 7월 CPI가 기대치를 하회하며 인플레이션 우려가 일시적으로 줄어듦에 따라 반등하였지만 결국 저항 구간을 뚫지 못하고 숨고르기에 접어든 것으로 보입니다.
이후 인플레이션 완화 정도가 예상보다 미약할 것으로 해석되면서, 미국 및 중국 경제지표의 악화 등을 연유로 하락장으로 접어들게 되었습니다.
2) 대칭 삼각 패턴 → 거래량 동반 상방 이탈 후 강한 상승세 형성
BTC 2022/07/06 ~ 2022/07/08 (1시간 봉 - 캔들 꼬리 기준)
약 2-3 일에 걸친 대칭 삼각 패턴과 거래량의 감소가 관찰됩니다.
대칭 형태가 거의 상승 패턴에 가깝게 형성되어, 상방 이탈 가능성이 비교적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수렴 막바지 (80%) 부근에서 거래량을 동반한 상방 이탈이 관찰되었으며,
(1) 변곡점에서 추산한 길이 만큼의 목표가를 달성, 해당 구간이 또다른 매물대가 됨을 확인하였습니다.
3) 하락 삼각 패턴 → 수렴 말단에서 일시적 상방 이탈 (Whipsaw) 후 하방 이탈 발생
ETH 2022/08/31 ~ 2022/09/082(1시간 봉 - 캔들 몸통 기준)
이번엔 ETH 차트를 살펴보겠습니다. 1시간 봉으로, 캔들 몸통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약 3일에 걸친 하락 삼각 패턴을 보이며, 수렴 끝부분에서 상방 이탈을 하는 듯 했지만, 결국 whipsaw 주고 하방 이탈이 일어난 모습입니다.
하방 이탈 정도는, 삼각 패턴의 상단 추세선 (3) 변곡점의 높이 만큼 이루어 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whipsaw 역시, (3) 이 저항 역할을 하면서 이를 뚫지 못하고 해당 레벨까지만 상승 후 재하락 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삼각 패턴을 적용 시, 각 변곡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분할하여 접근하면 보다 안전한 거래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Triangle pattern의 장점과 한계
(1) 장점
모든 시장에서 적용 가능
포착 시 진입 위치와 익절, 손절 위치를 결정하기가 쉬움
(2) 한계
Whipsaw, 패턴 실패 등으로 예측과 반대로 가는 경우가 많음
양방향 패턴이므로, 이탈 방향 추정의 근거가 다소 미약함
단독으로 적용하기보다 보조지표, key level 등을 동반하여야 성공률 상승
-----------------------------------------------------------------
3. 단독 적용의 위험성
삼각 수렴 패턴은 이처럼 간단하게 이탈 방향을 생각해볼 수 있는 지표이지만,
적용이 쉬운 만큼 단독 적용 시의 성공률은 그렇게 높지 않습니다.
이에 관해 “Advanced Forex Blog” 에서 진행한 연구 결과를 잠시 곁들이겠습니다.
크립토 시장에서 삼각 수렴 패턴 적용 시 성공률에 대한 연구인데요,
2년 동안의 후향적 (retrospective - 백테스트 개념) test 로 결과를 도출했습니다.
단독 삼각 수렴 지표 사용 시
Ascending/Descending triangles – 39.5%
지지/저항 key level 분석을 같이 한 경우
Ascending/Descending triangles – 59.1%
보시면 단독으로 지표를 적용할 경우 승률이 50%에 미치지 못하였으나,
다른 지표를 참고한 경우 20% 가량의 성공률 증가 양상을 보입니다,
물론, 대칭을 제외한 상승 / 하락 삼각 패턴을 사용한 경우이나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얼마나 무모할 수 있는 지 시사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들도 이러한 패턴에 여러 기술적 요소들을 적절히 활용하시어 보다 성공적인 투자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최고의 지표 설정 및 기간은 무엇입니까?기간 및 기술 지표 설정은 기술 분석가에게 유비쿼터스 개념이며, 어느 시점에서 상호 작용해야 할 두 가지 입니다. 특정 상인의 경우, 그들은 백만 달러의 질문의 일부를 합니다: "사용하기에 가장 좋은 기간은 무엇입니까?" "가장 좋은 지표 설정은 무엇입니까?" 여기서 "최고"는 가장 많은 수익으로 이어지는 기간/설정을 의미합니다. 두 질문 모두 매우 흥미롭고 대답하기가 매우 어렵지만 상인은 두 질문에 모두 대답하려고 노력했습니다.
1. 가장 적합한 기간은 무엇입니까?
기간은 가격이 차트에 플롯되는 빈도를 결정하고 1초에서 1개월까지 다양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가격 차트가 한 시간에서 서로 유사한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같은 불규칙한 측면과 동일한 패턴을 갖는, 이것은 시장 가격의 프랙탈 특성을 설명, 여기서 단기 변화는 더 높은 시간 프레임에서 발견 장기 변화의 구성.
이러한 특수성을 바탕으로, 트렌드의 시작/끝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은 선택된 시간대에 관계없이 동일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트레이더는 거래하려는 추세에 따라 시간 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주간 기간은 다른 시간대를 거래하는 동안 주요 추세를 거래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원하는 시간 프레임을 사용하여 특정 추세를 거래할 수 있지만 장기 추세 거래에 너무 낮은 기간을 사용하면 단기 추세 거래에 대한 높은 기간을 사용하면 정보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낮은 시간 프레임은 낮은 기간의 변동을 거래하면 마찰 프로세스, 특히 마찰 비용에 의해 상인이 더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더 낮은 시간 프레임의 가격 변화를 반환할 것이라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사용하기 에 가장 좋은 기간"은 트레이더가 거래하고자하는 추세에 따라 선택되어야하며, 적당한 양의 정보를 제공하여 목표 추세를 최적으로 거래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목표 추세는 당신의 상인 프로필에 따라 달라집니다 (위험 혐오, 거래 지평선 ... 등).
1.1 다중 기간 분석
일부 트레이더는 여러 기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관행은 다중 기간 분석이라고 하며 확인을 위해 더 높은 기간의 추세를 사용하는 동안 특정 시간 내에 항목을 가져오는 것으로 구성됩니다. 두 기간을 모두 선택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하나는 하부 의 추세가 더 높은 기간의 추세의 충동인 것을 선택하여 기간을 선택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2. 최고의 기술 지표 설정
기술 지표를 사용할 때, 채찍소 거래를 줄이는 것은 종종 더 나쁜 의사 결정 타이밍을 도입, 지연의 허용 금액을 유지하면서 채찍질 거래를 최소화 설정을 찾는 것은 간단한 작업이 아니다.
대부분의 기술 지표에는 사용자 설정이 있으며, 이는 수치, 리터럴 또는 부울수 있으며 트레이더가 지표의 출력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술 지표의 주요 설정은 장기 가격 변동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인은 기간을 선택할 때처럼 관심의 변화를 잡기 위해 지표 설정을 사용해야하므로, 그러나, 기술 지표 설정은 종종 조작의 더 큰 정도를 허용하고, 값의 넓은 범위를 가질 수있다, 이러한 설정 선택은 종종 다르게 수행됩니다.
2.1 최적화의 표시기 설정
기술 지표를 사용하여 항목 규칙을 생성하는 경우 가장 많은 수익을 창출하는 설정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최적화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며 특정 소프트웨어는 모든 지표 설정에 대한 전략을 백테스트하여 무차별 힘을 사용합니다. 또한 유전 알고리즘 (GA)과 같은 고급 절차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GA는이 게시물의 범위를 벗어났지만 단순히 GA를 넣어 자연 선택을 모방 하는 검색 알고리즘이며 멀티 매개 변수 최적화 문제에 특히 적합 합니다. GA를 사용할 때 설정은 염색체의 유전자로.
이러한 선택 방법은 몇 가지 제한이 있으며, 가장 명백한 것은 최적의 설정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최적화는 또한 큰 데이터 집합을 통해 수행하거나 지표 설정의 큰 조합을 사용하는 경우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그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술 지표의 최적화 된 설정을 분석하고 시장 가격과의 관계를 찾기 위해 시도하는 것이 더 재미있을 수 있습니다.
2.2 선택 설정에 대한 지배적인 주기 기간
특정 기술 분석가들은 지배적 인 주기 기간이 고정 값 대신 기술 지표의 설정으로 사용되어야한다는 가설을 만들었습니다,이 방법은 J. Elhers 기술 지표에서 많이 사용되는 볼 수 있습니다. 지배적 인 기간을 설정으로 사용하는 대부분의 기술 지표는 지배적 인 주파수에 가까운 주파수를 보존하는 밴드 패스 필터입니다.
이러한 선택 방법에는 몇 가지 제한이 있으며, 첫째, 사용되는 지배적 인 사이클 기간 검출 알고리즘의 정확성과 속도에 많이 의존하며, 가격의 시끄러운 특성으로 인해 지배적 인 기간을 정확하게 측정하기가 매우 어렵고 적시에 보다 정확한 방법이 결과적으로 더 많은 지연을 갖게됩니다. 또 다른 단점은 보편적 인 솔루션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기술 지표는 다르게 시장 가격을 처리 할 수 있습니다.
3. 결론
이 게시물의 시작 부분에 강조 된 두 가지 질문에서 기술 지표와 관련된 질문은 대답하기가 가장 어려운 것으로 남아 있으며, 종종 "최고는 무엇입니까..."의 경우입니다. 질문의 종류. 확실한 것은 각 지표에 대한 보편적 인 설정이 없다는 것입니다, 특정 설정은 특정 시장 조건 (예 : 배열 또는 추세 조건)에 더 적응 될 수 있으며, 그 자체로 설정의 존재는 항상 상호 작용이 어떤 시점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지표 설정 이나 기간을 권장하는 것은 중요한 근거로 수행해야합니다.
기술 지표 - 무엇이 유용하고 | 않는 것 럭스 알고1. 소개
기술 지표가 도입된 이후, 학계는 기술적 지표가 수익성 있는 거래에 유용하고 결과가 혼합된 결론을 보여주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 상당한 양의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일부 연구는 기술 지표의 효과를 지원, 다른 사람은이 아이디어를 거부 하는 동안. 기술 분석에 대한 학자들의 태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게 바뀌었으며, 과거에는 이러한 태도가 종종 부정적이었으며 말키엘 (1981)은 종종 인용되었습니다.
"분명히, 나는 chartist에 편견이 있습니다. 이것은 개인적인 약탈일 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것입니다. 기술 분석은 학계에 대한 해부학입니다. 우리는 그것을 선택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우리의 괴롭힘 전술은 두 가지 고려 사항에 의해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 (1) 방법은 특허적으로 거짓입니다; (2) 쉽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런 미안한 대상을 선택하는 것은 조금 불공평한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기억하십시오': 우리가 저축하려고 하는 당신의 돈.
이러한 회의론은 효율적인 시장 가설(EMH)에 대한 믿음 때문이며, 과거 가격의 연구/처리에 의존하는 모든 방법이 비효율적이라는 것은 사실이며, 이는 기술 분석가가 비이성적이라는 것을 암시하지만, EMH는 수년에 걸쳐 열띤 논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연구는 기술 분석의 사용을 장려 할 시장 가격에 비효율성과 메모리를 발견했다. 거래에 이민자쉽게 기술 지표에 매료 될 수있다, 이것은 자신의 단순성과 인기에 기인하고, 그들은 비판하더라도, 그들은 종종 브로커에 의해 교육 게시물에 강조, 대부분의 거래 플랫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들은 주로 상인에 사용할 수있는 도구이기 때문에, 그들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2. 기술 지표의 진화
과거 가격은 타임 시리즈 분석 및 디지털 신호 처리를 위해 설계된 도구를 사용하여 과거 가격을 처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타임 시리즈/디지털 신호를 설명합니다. 대부분의 기술 지표는 이동 평균, 롤링 분산/표준 편차, 모멘텀 발진기 등과 같은 간단한 롤링 통계입니다. 컴퓨팅 기술의 발전과 모든 사용자가 과거 가격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능력으로 기술 지표의 생성 및 사용이 더욱 간단해졌습니다.
거래 플랫폼은 간단한 기술 지표를 포함하기 시작하여 거래자에게 가용성을 민주화했습니다. 기술 거래 도구 (예 : Pinescript)의 생성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프로그래밍 언어의 도입은 기술적 지표에 대한 중요한 전환점을 표시모든 상인은 더 쉽게 자신의 기술 지표를 만들 수있는 능력을 가지고, 뿐만 아니라 거래 커뮤니티와 공유 할 수있는. 이 시점에서, 우리는 더 복잡한 계산 및 그래픽 요소를 사용하는 더 복잡한 기술 지표의 모양을 볼 수 있습니다.
3. 기술 지표 실적
현재 기술 지표가 많이 있습니다. 이것은 새로운 것들의 생성이 매우 적극적인 관행임을 보여 주지만 입증 된 성과와 기술 지표의 미리 결정된 세트가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상인에 의해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것들은 간단한 / 지수 이동 평균, 모멘텀 발진기, 스토세스틱, 상대 강도 지수, 볼린저 밴드 등과 같은 오래된 지표를 유지 ... 이러한 기술 지표의 대부분은 카우프만 적응이동 평균(KAMA(1)), 프랙탈 적응이동 평균(FRAMA(2) 등과 같은 적응지표의 생성을 도입한 시장 가격의 변동 조건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적응성은 고정 길이 이동 평균 (3)에 비해 상당한 수익성 개선을 도입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한 가지 설명은 적응형 이동 평균에 여전히 하나의 사용자 설정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기술 지표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설정은 최적화가 필요하고 과거의 결과가 향후 결과를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큰 문제로 남아 있습니다. 최적의 설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기술적 지표가 최적의 것으로 간주될 다양한 설정 조합을 사용하여 긍정적 인 결과를 생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거의 경우되지 않습니다. 사용자 설정의 또 다른 흥미로운 측면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지표가 잠재적으로 다른 설정을 사용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신호를 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수익성있는 기술적 지표가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대답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불가능합니다. 더 현실적인 질문, 아직 여전히 복잡 한 "특정 시장 조건에서 최고의 기술 지표는 무엇입니까?".
4. 인기 지표가 덜 인기있는 지표보다 더 나은가요?
기술 지표의 인기가 유용성을 잘 나타내는가? 논리적 인 대답은 '예'일 수 있지만, 우리는이것이 항상 그런 것은 아니며, 그 인기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모든 도구의 인기는 마케팅, 저자 인기 및 소비자 / 사용자 행동 등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결정 될 수있다 ...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기술적 지표가 완전히 디지털화되고 사용자에게 어필하기 위해 시각적 측면에 의존하기 때문에 기술 지표의 시각적 측면입니다. 색상의 심리학은 소비자 행동이 특정 색상에 어떻게 반응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연구되었으며, 특정 제품에 대한 사람들의 판단에 관해서는 색상이 중요한 역할을한다는 것이 나타났습니다.
시각적 복잡성이 더 많은 양의 정보가 표시될 것이라고 생각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반면, 더 다채로운 제품은 더 복잡하다고 볼 수 있으므로 더 나은 거래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기술 지표가 "제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모든 저자 /공급 업체가 인기를 높이기 위해 성능에 집중하는 대신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기능을 갖춘 기술적으로 간단한 지표에 집중하는 것이 더 편리 할 수 있습니다. 광고도 성공적인 옵션이지만, 잘 알려진 게시자/저널에서 강조한 지표는 반드시 긍정적인 성과를 거두는 것은 아니지만 여전히 거래 커뮤니티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5. 중복 정보
좋은 기술 지표의 목표는 표시기 설정과의 상호 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에게 유용하고 읽기 쉽고 쉽게 읽을 수 있으며 액세스하지 않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론적으로 는 둘 다 더 많은 상호 작용을 필요로하는 더 많은 정보와 상관 관계가 있어야합니다 (토글 / 드롭 다운 메뉴 등 사용). 이중화 문제는 좋은 지표의 이전에 설명된 모든 목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한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모멘텀 발진기를 예로 들어 봅시다:이 발진기는 많은 흥미로운 특성을 가지고, 그것은 현재추세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발산을 보여, 하지만 또한 같은 기간의 간단한 이동 평균에 변화의 표시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간단한 이동 평균의 변경 징후를 나타내는 지표는 더 많은 정보를 반환하고 계산속도가 빠른 모멘텀 발진기보다 덜 매력적일 것입니다. 중복될 가능성이 있는 기존 지표가 많이 있습니다. 리본은 과도한 중복 정보를 반환하는 지표의 좋은 예입니다. 리본은 서로 다른 기간을 사용하여 이동 평균의 여러 플롯으로 구성됩니다. 이동 평균 유형과 해당 기간을 선택한 방법에 따라 리본으로 반환되는 정보는 중복되고 분석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6. 다시 페인팅 및 비 인과 관계
우리는 앞서 지표의 시각적 측면이 인기를 향한 결정요인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으며, 매력적인 지표는 일반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상당한 이익을 받을 수 있지만, 여전히 트레이더로부터 가장 많은 이익을 창출할 우수한 진입점을 생성하는 지표입니다.
수년에 따라, 기술 지표의 특정 세트는 매우 매력적인 결과를 표시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 "다시 그리기"지표인. 다시 페인팅 표시기는 과거 값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지표를 참조하며, 지표가 향후 가격 데이터를 입력으로 사용하거나 기록 데이터가 제거될 때 다시 페인팅하여 지표를 다시 계산하여 잠재적으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시 그리기 표시기는 비 실시간 응용 프로그램에만 유용하며, 대부분은 가격을 추적하거나 과거 위치에서 일정 시간 후에 신호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진입점을 결정할 때 다시 그리기 표시기는 거의 유용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지연된 결정 타이밍의 대상이 됩니다. 이것은 지연이있는 다른 지표만큼 유용하게 만듭니다 (이것은 피벗에의존하는 많은 수평 지지및 저항 지표의 경우).
7. 결론
자동화된 기술 지표 기반 전략의 수익성을 지원하기어려울 수 있습니다. 추세 다음 전략은 가격이 고정 될 때 반대 전략이 더 나은 성능을 가질 것이다 동안 깨끗한 추세에서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가격이 이 두 조건 사이를 전환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지표가 일관성으로 수익성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있는 곳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술 지표의 가치는 그 자체로 돈을 벌 수있는 능력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습니다. 시장 가격 변동의 복잡성은 이 방법을 너무 어렵게 만들고 기술적 지표는 이러한 극단적 인 조건을 극복하기에 충분히 똑똑하거나 적응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일반적으로 의사 결정에 대한 지원 도구로 지표를 사용할 수있는 경험이 풍부한 상인의 경우아니다.
상인의 역할을 고려할 때, 우리는 지표의 유용성이 출력되지 않는 중복및 유용한 정보의 수량에 의해 결정되며, 달성하기 어려운 조기 정확한 진입점을 제공하는 능력에 의해 반드시 결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보편적"지표는 상인이 사용하는 방법론의 양을 고려하면 정보의이 양을 제공 할 수있는 지표를 달성하는 것은 여전히 도전 남아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보편적 인"지표는 사용하기 위해 가능한 한 쉽게 사용하는 것이 전체 지표 유용성에 역할을 할 것입니다.
8. 사용된 코드
//@version=4
study("Ribbon",overlay=true)
ma1 = ema(close,20)
ma2 = ema(close,40)
ma3 = ema(close,60)
ma4 = ema(close,80)
ma5 = ema(close,100)
ma6 = ema(close,120)
ma7 = ema(close,140)
ma8 = ema(close,160)
a = plot(ma1,transp=100)
b = plot(ma2,transp=100)
c = plot(ma3,transp=100)
d = plot(ma4,transp=100)
e = plot(ma5,transp=100)
f = plot(ma6,transp=100)
g = plot(ma7,transp=100)
h = plot(ma8,transp=100)
F(x)=>x>ma8?#0cb51a:#ff1100
fill(a,b,F(ma1),transp=80)
fill(b,c,F(ma2),transp=70)
fill(c,d,F(ma3),transp=60)
fill(d,e,F(ma4),transp=50)
fill(e,f,F(ma5),transp=40)
fill(f,g,F(ma6),transp=30)
fill(g,h,F(ma7),transp=20)
9. 참고 문헌
(1) 카우프만, P.J., 1995. 더 스마트한 거래. 맥그로 힐, 뉴욕.
(2) 엘러스, 존. "FRAMA-프랙탈 적응 이동 평균." 주식 및 상품의 기술 분석 (2005).
(3) 엘리스, 크레이그 에이, 사이먼 에이 파베리. "더 똑똑하나요? 적응형, 간단한 이동 평균 거래 전략의 비교." 국제 비즈니스 및 금융 연구 19.3 (2005): 399-411.
매매일지 쓰는거 귀찮아도 한번 써보세요!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토미입니다=)
오늘은 매매일지 작성 방법 및 중요성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려드리고 저희가 만든 매매일직 엑셀 파일 무료로 제공해드리겠습니다.
매매일지는 본인의 트레이딩 현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작성하는 일종의 일기입니다. 물론 이거 쓰는거 귀찮죠. 저도 맨날 써야지 써야지 하면서 쓰다가 나중에 귀찮아서 잘 안 쓰게 되는데 이게 생각 이상으로 원칙매매 및 뇌동매매 방지 목적에 있어서 정말 중요합니다. 저도 오늘부터 작성할거에요.
매매일지를 작성함으로써 본인의 평균 승률, 진입횟수, 손익비 등 트레이딩에 있어서 주요하게 고려해야할 전략 요소들을 더 자세하고 쉽게 파악하고 앞으로의 전략들을 어떻게 개선할지 수월하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미래의 매매계획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감을 제공할 뿐더러 원칙전략을 잘 지킬 수 있게끔 도와주는 역할도 합니다.
어렸을 적 일기 쓰는 거 정말 귀찮아 했고 맨날 한꺼번에 몰아서 썼는데 이건 그래도 돈 버는 일기라고 생각하고 한번 작성해보세요. “참 보람찬 하루였다~”라는 문장으로 일기를 마무리했다면 “참 수익 잘 챙길 수 있는 하루였다~”라는 느낌으로 매매일지를 작성하는 트레이더가 됩시다!
아래는 저희가 작성한 매매일지 포맷입니다. 회색 칸에다가 포지션, 물량, 진입가, 손절가, 익절가, 배율, 및 승/패 여부 기입하시면 알아서 나머지는 다 계산을 해준답니다. 참고로 해당 매매일지는 틱/핍이 아닌 퍼센티지 단위의 일지입니다.
bit.ly
그러면 이만 마치겠습니다.
다들 성투하세요~
여러분의 구독, 좋아요, 댓글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What is Technical Analysis? [프롤로그]- 금융시장에서 가격 예측에는 크게 두 가지 방법 이 있습니다
1) 특정 종목의 내재적 가치를 평가하여 투자하는 이른바 기본적 분석(Fundamental Analysis)이라는 방법 과
2) 주가의 변동가격 움직임 자체만을 연구하는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이라는 방법 입니다
But, 학계에서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것은 효율적 시장 가설(EMH)와 랜덤워크 이론으로, 이는 시장에서의 가격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났습니다
> 즉, 아무리 가격예측을 해보려고 애써도, 결국 확률이 다소 더 높은 위치에서 진입하는 확률배팅 일뿐, 가격 예측에 정답이 없다는 것으로 결론이 났습니다
> 이런 학계의 결론에도 불구하고, 실제 트레이딩에 대해서는 가격 움직임을 맞히려 애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1) 기본적 분석(fundamental analysis)은 주가움직임의 원인 에 대해서 다룹니다
> 가격이 상승한 원인과 가격이 하락한 원인에 대해서 논하는 것 입니다
> 암호화폐의 경우, 해당 종목의 백서 및 로드맵에 따른 미래전망 혹은, 각종 호재(Ex 하드포크, 메인넷 등등)등에 의한 주가움직임의 원인에 대해서 논하게 됩니다
> 미래 전망 및 각종 호재에 의한 수익성이 보임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상대적으로 낮다면, 주가는 해당 종목의 미래가치 만큼 움직일 것이라 기대할 수 있게 됩니다
> 기본적 분석은 이처럼 가격과 실제 가치의 괴리를 발견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 기본적 분석(fundamental analysis)의 투자방법으로 워렌 버핏이 유명합니다
2)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은 시장의 가격 그 자체에만 관심을 갖고, 가격 움직임의 원인에는 관심을 두지 않습니다
> 가격이 상승한 원인과 가격이 하락한 원인에 대해서 논하지 않습니다, 시장의 가격 그 자체움직임에 대해서 논하는 것 입니다
> 과거와 현재의 가격 움직임에 따라 미래의 가격이 어떻게 움직일지 예측하며, 과거 데이터를 통해 몇 가지의 경우의수와 대응책을 마련합니다
>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은 과학적으로 인정받는 이론적인 뒷받침은 없으며, 분석의 유효성은 과거의 시장 경험에 의존하게 됩니다
> '역사는 되풀이 된다', '과거 경험을 통한 학습과 대응' 이라는 투자적 접근 방식 입니다
> 오늘날, 컴퓨터 기술이 발전하면서 대규모 자료 처리가 가능해졌고(빅데이터), 수학적-통계적 방법에 따라 해당 분석기법이 크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 기관투자가들은 거의 대부분 기본적분석을 중심으로 시장을 대응하고 있으며, 개인투자자들은 주로 기술적 분석에 의거하여 시장에 참여하게 됩니다
> 개인투자자들은, 기관투자가들의 정보지식(각종 뉴스 및 호재, 악재)습득 속도가 뒤쳐질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 기술적 분석의 대표적인 인물
1) 18세기) 상인 혼마 무네히사 - 오사카 시장에서 쌀 가격을 예측하는데 '캔들스틱(candlestick)'을 고안
2) 19세기) 찰스 다우 - 월스트리트 저널의 설립자이며, 연재한 논설에서 '다우이론' 전개
> 추세의 기본개념이 여기에서 확립되며, 모든 기술적 분석의 근간을 이룹니다
3) 20세기) 엘리어트 - 독특한 '파동이론'을 정립
4) 20세기) 갠 - 주가움직임의 각도에 대한 개념을 정립 (추세의 개념이 여기서 크게 발전함)
5) 20세기) 그랜빌 - 이동평균선 및 거래량에 대한 개념을 정립
- 기술적 분석의 전제조건
1) 시장의 움직임은 모든 것을 반영한다
> 주가 움직임의 원인은(Ex 호재, 악재), 결국 시장의 가격에 선방영 되어 움직인다는 것을 의미
2) 가격은 추세를 이루며 움직인다
> 해당 경우는, 결국 갠의 각도론으로 설명됨
3) 역사는 되풀이 된다
> 기술적 분석의 가장 중요한 전제조건, 과거 움직임을 통한 현재를 대응 한다는 것
- What is Technical Analysis?
> 기술적 분석은 결국,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분석 합니다
> 가격은 매도세와 반대되는 매수세의 반영을 의미 하는 것이며, 해당 수요와 공급에 따라 시장분위기 및 투자심리를 파악하며, 분석해나갑니다
> 기술적 분석은 많은 금융시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신뢰할 수 없는 방법으로 간주되기도 합니다
> 기술적 분석을 통해, 특정 가격대에서 지지선을 구축하며, 지지 받을 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 되었으나 해당 지지선은 어이없이 쉽게 무너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 기술적 분석은, 유동적으로 움직이는 시장 상황에 따라, 다수의 경우의수를 통한 대비책일 뿐 정답을 주지 않습니다
> 말 그대로, 확률이 1% 라도 더 높은 구간을 찾아 내는 것이라 보시면 됩니다
> 그러나, 많은 일반 투자자들은 확률이 더 높은 구간을 찾는게 아닌, 100% 확실히 오를 수 있는 위치와 자리를 찾기 때문에 기술적 분석에 대한 논란은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 Technical Analysis vs Fundamental Analysis
1) 기술적분석(Technical Analysis)의 핵심 전제는 시장 가격은 모든 근본적인 요소들이 결국 선반영된다는 것 입니다
> 기술적 분석은 조작 될 수 없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통해 구축됩니다
> 따라서, 과거의 가격에 대한 규칙성을 제공하며, 해당 규칙에 따른 체계성을 제시합니다
> But, 기술적분석의 한계라고 볼 수 있는 단점은 개인의 주관성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입니다
> 과거데이터는 거짓말을 하지 않지만, 과거데이터를 본인이 주관적으로 조작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 해당 경우는 본인이 곧 정답이라고 느끼며, 본인의 분석에 대한 편견이 강한 트레이더일수록 '자기합리화'를 통해 주관성의 영향을 받습니다
> 따라서, 기술적 분석의 트레이더는, 시장상황을 분석할 때 '객관성 있는 통찰력' 을 얼마나 지니고 있는가 ? 에 따라 성과가 크게 나뉩니다
2) 기본적분석(Fundamental Analysis)은 시장의 가격은 과거 데이터가 아닌, 내재적 가치에 달려 있다고 간주 합니다
> 해당 종목의 비지니스 로드맵(Business Roadmap), 시장 경쟁력, 미래 성장률, 미시-거시적 경제상황등을 바탕으로 해당 내재적 가치를 추정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 따라서, 기본적분석은 해당 종목의 시장가치와 잠재력에 따라, 해당 종목이 과대 평가되지 않았는지 판단하는 방법이며(내재적 가치보다 시장가치가 과대 평가 되었을 경우 투자 하지 않음), 해당 내재적 가치보다 시장가치가 낮을 경우 그 괴리감 만큼 상승 할 가능성에 배팅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기본적 분석은 어떤 현상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는 접근방식이며, 기술적 분석은 어떤 원인이 아닌, 현재 나타나 있는 '결과'만을 중시하는 분석 접근 방식이라 볼 수 있겠습니다
- 글을 마치며,
> 여러분은, 일기예보를 믿으십니까 ?
> 일기예보를 100% 믿지 않지만, 일기예보를 보면서 향후 날씨 변화에 대한 참조, 참고를 함으로써 대응 하는 것이겠지요
> 내일, 비가 올 수도 있겠구나 아는 것과 전혀 모르는 것은 차이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 즉, 금융시장에서 기술적 분석이란 일기예보와 같습니다
> 과거의 데이터를 통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서 논하는 기술 입니다
> 여기서 중요한 것은 '가능성' 입니다, 확률 1%라도 높은 구간에 진입과 청산을 반복 하는 것입니다
> 기술적 분석이, 트레이더로써 필요한 이유는 비가 올 확률이 있는지를 최소한 알 수 있고, 갑작스런 비가 내려도 그것에 대응을 하기 위함 입니다
> 많은 투자자들이 기술적 분석을 포기하는 가장 큰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아 분명, 일기예보에는 내일 날씨가 맑다고 했는데, 비가 내리네? 기상청은 사기다, 믿을게 못된다"
즉, 기술적 분석에 의거하면, 분명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위치였음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매도세가 쏟아지는 경우가 나올 수 있다는 것입니다
> 해당 경우가 펼쳐질 경우, 내가 오늘 비(손절) 맞았으니 기상청(기술적분석)정보를 다신 안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 기술적 분석은 확률적 접근과 대응이라는 개념을 이해를 못한 경우입니다
> 즉, 확률적 접근이 아닌, 100% 정확히 상승가능한 자리만 찾아 다니는 경우가 많습니다
> 많은 천재들이 금융시장의 수백년 역사동안, 금융 시장 움직임의 정답을 찾아 내려고 했으나, 모두가 실패하였으며, 예측 불가능하며, 정답은 없다라는 결론을 내었습니다
> 즉, 기술적 분석이라함은 '대응의 영역' 이며, 정답을 찾는것이 아닌, 가능성에 대해서 논하는 것임을 인지 하셔야 합니다
- 투자하기 앞서, 본인은 어떠한 트레이딩의 성향을 갖고 있는가 ?
> 기본적 분석 ? 기술적 분석 ? (두 분석의 장점만을 승화 시키는것이 가장 Best 입니다)
- 투자하기 앞서, 본인은 어떠한 분석도 없이 남들이 떠드는 소리에 투자를 하고 있지 않은가 ?
> 투자하는데 있어, 최소한의 원칙과 기준이 자리 잡고 있는가 ?
- 기술적 분석을 통해 접근한다면, 본인은 수백년 동안 풀지 못한 금융시장의 난제에 정답을 찾고자 도전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
> 본인이 주가 움직임에 대해서 정답을 찾고 있는지, 확률적 배팅에 의거하고 있는지 점검을 하실 것
오랜기간 동안, 입이 닳도록 교육드렸던 내용입니다
본인 투자성향과 상태를 다시 한번 점검해보시길 바랍니다
USD/JPY 달러/엔 Weekly 주 차트 분석USD/JPY 달러/엔 Weekly 주 차트 분석 입니다.
현재 아시아 시장에서 달러/엔은 꽤 중요한 포인트에서 최근 상승 지속 후, 조정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월 차트에서 보여지는 저점 고점간의 피보나치 23.60% 지점 /트라이앵글 Zone, 즉 삼각형 저항부근 / 일목 균형표 전환선과 기준선이 맞닿은 부근 (하락스팬 또한 저항) 에서 조정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런 중요한 구간에서 만약 하락의 조정이 없이, 유럽시장 및 미국시장 에서 상승세로 무난하게 지속된다면, 그 상승의 폭 및 가속은 더욱 심화 될것 이라 예상합니다.
현재 이러한 이유로 니케이225 지수 또한 계속 상승장으로 이끌고 있습니다.
제가 표기한 화살표 예상에 맞춰 진입, 청산, 리스크 및 수익, 손절 관리를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달러/엔과 니케이225 지수는 이전에 제가 몇번 언급을 했던, Correlation 즉, 상관관계 지수가 일 차트 에서 월 차트 기준 80-90% 정도의 + 양의 관계가 나옵니다. 즉 달러가 오르면 니케이 지수가 오르는 상관관계가 아주 크다는
걸 보여줍니다. 이 수치는 다른 국가 통화 대비 지수 치고는 아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 코스피지수 또한 국내 상장기업 수출, 무역업 특성 상 원 달러 상관관계지수에 밀접한 숫치를 보여줍니다.
쉽게 차트 상 에서 볼수 있도록, 트레이딩 뷰 차트 기능인 비교 툴에 니케이 225를 함께 넣으려 했지만, 차트 봉이 너무 좁아져서 넣지 않았으니, 차트에 한번 대입해 보시길 추천해 드립니다.
트레이딩및 투자가 요즘 알고리즘, 로보 어드바이저, HFT, 시스템 트레이딩 등 공학적, 숫자적인 트레이딩에 많이 치우쳐져 있지만 결국 이런 알고리즘 모두가 결국엔 창의력에 의해 개발 됩니다.
남의 말에 의존하여, 트레이딩 및 투자를 하기보다는 많은 여러 투자 아이디어를 공유 및 학습 개발을 하여 자기만의 트레이딩 및 투자 아이디어를 찾아 나가시길 바랍니다.
-Hush Trader of Hush Trading Analy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