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기회네요. 코로나 여파로 영화산업 붕괴 디즈니랜드 리조트 산업 붕괴로 계속 주가 하락 예상되네요. 코로나 전세계 절정 때 미국 주식 노린다면 애플, 디즈니 괜찮은 후보로 보여요. 제가 어벤져스 영화 마지막 개봉즈음, 스타워즈 디즈니랜드입성 호재로 주가가 100불대 초반에서 돈 있음 사고싶다 생각하고 그 후 140불 갔었는데! 지금 코로나 여파로 세계 여행산업 붕괴하며 디즈니더 실적 악화로 내려오겠네요. 근본적 문제가 아닌 전세계 단기 악재니 이때 바닥부근에서 매수해볼만 할 거 같습니다. 4월이 절정으로 보는데 바닥은 더이상 확진자 증가 없는 시점일 것이고 그게 이르게 잡힌다면 그 부근이 예상되는 3월 중순부터 슬슬 분할매수 해볼만 할 거...
장기관점에서의 관측 1. 엘리어트 5파동 이후 5파의 0.772 비율까지 A파 발생 2. 월봉상 단기이평선과 중기 이평선의 데드크로스 발생 가능성 존재 3.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당시 장기추세선에서 지지 받고 반등 (전체 엘리엇 파동을 0.772 비율로 되돌리는 자리) 장기 관점에서의 예측판단 1. 현 시점부터 대략 2363~2216의 이론적인 B 파동자리를 설정해볼 수 있음 2. B파의 완성여부를 떠나서 재차 하락이 발생할 때, 과거의 기록을 대입하여 보면 장기추세선 부근까지 하락할 가능성 높음(엘리어트 파동을 0.682 비율로 되돌리는 자리) 3. 하락사이클이 강하게 발생할 경우 0.772비율인 1296.82 부근까지 하락할 가능성...
암호화폐 분석에 이어 그 외연을 넓히고자 다양한 금융시장 분석을 연습하기 위한 자료입니다. 삼성전자 일봉차트 분석 "하모닉패턴" Postion: long TP1: 39500 (1:1 리스크) TP2: 40500 (2.5:1 리스크) TP3: 41500 (3:1 리스크) 손절가 37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