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없이 추락하는 미국 증시, 피보나치는 고점을 예견했다작년 9월 공유했던 아이디어
과거
- 2008년 금융위기 하락 이후
- 연준의 무차별 양적완화
- 엄청난 자금이 주식시장의 상승을 이끔
- 작년 9월 피보나치 4.236에 도달, 상방 이탈후 다시 돌아옴
현재
- 역대급 인플레이션을 잡으려면 세가지 방법이 있음
1) 공급 증가 (연준이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님)
2) 수요 하락 (수요 하락 = 소비 하락 = 기업 이익 하락 = 가구 소득 하락 = 소비 하락 => 경기 침체 악순환)
3) 화폐 가치 증가 (금리 인상을 통한 유동성 회수)
"인플레는 일시적이다" 라고 말했던 파월입니다.
연준은 인플레이션을 잡아야하나, 파월이 말한 "경기 연착륙"의 가능성은 매우 낮아보입니다.
인플레를 잡기위해서는 결국 화폐 가치를 높이고 수요를 하락 시켜야 합니다.
그리고 수요를 잡기 위해서는... 경기 침체를 피할 수가 없어 보입니다.
작년, 그리고 재작년 역대급 수익을 올리고 아마존, 테슬라, 페이스북, 펠로톤, 월마트 등 수 많은 CEO들이 주식을 내내 팔았습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인사이드 트레이드로 돈을 잘 벌던 미국 고위급 공직자들도 "윤리적 이유"를 논하며 주식을 거래하지 못하는 법안을 세우기 시작했습니다.
우연의 일치일까요?
1PERCENT팀은 높은 인플레이션과 급변하는 세계 정세의 수혜섹터를 빠르게 파악하고 이에 맞게 작년 2분기 부터 포트를 리밸런싱 했습니다.
힘든 나날의 연속이지만, 노력의 성과는 과실을 맺을것 입니다.
모두 힘내시길 바랍니다.
1PERCENT
Spy!
끝없이 추락하는 미국 증시, 피보나치는 고점을 예견했다 | S&P500, 비트코인, 금, 오일&가스, 우라늄 차트작년 9월 공유했던 아이디어
과거
- 2008년 금융위기 하락 이후
- 연준의 무차별 양적완화
- 엄청난 자금이 주식시장의 상승을 이끔
- 작년 9월 피보나치 4.236에 도달, 상방 이탈후 다시 돌아옴
현재
- 역대급 인플레이션을 잡으려면 세가지 방법이 있음
1) 공급 증가 (연준이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님)
2) 수요 하락 (수요 하락 = 소비 하락 = 기업 이익 하락 = 가구 소득 하락 = 소비 하락 => 경기 침체 악순환)
3) 화폐 가치 증가 (금리 인상을 통한 유동성 회수)
"인플레는 일시적이다" 라고 말했던 파월입니다.
연준은 인플레이션을 잡아야하나, 파월이 말한 "경기 연착륙"의 가능성은 매우 낮아보입니다.
인플레를 잡기위해서는 결국 화폐 가치를 높이고 수요를 하락 시켜야 합니다.
그리고 수요를 잡기 위해서는... 경기 침체를 피할 수가 없어 보입니다.
작년, 그리고 재작년 역대급 수익을 올리고 아마존, 테슬라, 페이스북, 펠로톤, 월마트 등 수 많은 CEO들이 주식을 내내 팔았습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인사이드 트레이드로 돈을 잘 벌던 미국 고위급 공직자들도 "윤리적 이유"를 논하며 주식을 거래하지 못하는 법안을 세우기 시작했습니다.
우연의 일치일까요?
1PERCENT팀은 높은 인플레이션과 급변하는 세계 정세의 수혜섹터를 빠르게 파악하고 이에 맞게 작년 2분기 부터 포트를 리밸런싱 했습니다.
S&P500 대비 금
금 대비 비트코인
S&P500 대비 오일 & 가스
우라늄 섹터 북미 대표 기업
힘든 나날의 연속이지만, 노력의 성과는 과실을 맺을 것 입니다.
모두 힘내시길 바랍니다.
1PERCENT
2000년도 닷컴 버블을 피 할 수 있는 차트적인 방법 공유2000년 도의 닷컴 버블만
아니면 지수 주종 X3 ETF 투자는
모두 시간이 지나면 사실상 1년내로는
모두 수익구간이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자 그럼 최악의 닷컴 버블을 피하는 방법만
알고 있다면 나의 투자는 1년 후에는 아주
높은 확률로 수익 마감이 된다는 건데요.
그럼 닷컴 버블을 피할 수 있는 그 방법 알려드리겠습니다.
2개월 7일 후에 시작하는
새로운 3개월 봉이 음봉으로 마감됐을 시
그 음봉의 저가를 이탈하면 탓컴 버블 시작
으로 최악의 경우 2년 동안 하락장이
될 것을 염두하고 모든 X3 ETF 정방향
포지션을 종료하면 되겠습니다.
미증시 (S&P500/SPY) 3일봉 과거 패턴 참고해서 하락장 진행 후 상승장이 되기 위한 필요 조건들 공유1. 다음주 약 1프로 반등 후 최소 3일봉 볼밴 하단
( 현재 가격기준 -5.4 프로정도 밑 ) 까지
하락 후 쌍바닥 형성 후 상승 흐름
2. 다음주 약 1프로 반등 후 최대 -3일봉의 EMA 120
( 현재 가격기준 - 10.3 프로정도 밑 ) 까지
하락 후 쌍바닥 형성 후 상승 흐름
3. MA 50 이평 지지 ( -2.3 % )받고 상승 ( 2021년 10월 01 의 밑꼬리 지지 참고 )
- 하락 ABC 파동 카운팅 확인 필요 => 상승장이 오기까지 최소 기간 소요 근거
- 스토케스틱 RSI 의 쌍바닥이 필요 => 상승장이 오기까지 최소 기간 소요 근거
투자에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P500 12시간봉 선물로 본 미증시의 단기 조정 염두 가능성 공유S&P500 선물차트
12시간봉 하이킨아시 캔들 입니다.
미증시가 단기적으로 20분봉에서
스토케스틱 RSI 쓰리고 상황이라 저항이 됩니다.
12시간봉 하이킨아시캔들에서 상승 5파동 후
음봉이 나오고 있어서
이제는 일봉의 EMA 50 이평선까지의 조정( 약 -3%)이
나와도 전혀 이상하지 않은 시점으로 보고 X1 ETF 및 현금을
늘리고 개별주 비중 축소 합니다.
VIX 지수 VXX UVXY 쪽도 지지력을 보이고 있다는 점도
하나 더 증시의 하락에 힘을 싣어주고있네요.
감사합니다.
S&P500 정점? TOP or NEW CYCLES&P500 미국 증시 인덱스가 2021년 9월 첫째주에,
2007-08년도 금융위기를 기준으로 그린 피보나치 확장 Fib 4.236을 찍고 2주 연속 하락 중입니다.
종종 말씀드리지만 Fib 4.236은 매우 중요한 확장선으로 보통 상승세의 정점을 암시합니다.
피보나치를 사용하시는 트레이더 분들은 평소에도 많이 보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난 17년도 가상화폐 불장 당시 이더리움과 라이트코인이 정확히 4.236 도달 후 90프로 이상 하락했었죠.
물론, S&P500이 90% 이상 하락할거라는 말이 아닙니다.
다만, 과거 데이터를 토대로 봤을때 여기서 두가지 시나리오가 나옵니다.
1. TOP is in
깊은 조정을 피해갈 수 없습니다.
상승분을 대폭 반납 후 다시 가벼운 몸으로 시작합니다.
2. NEW CYCLE begins
지난 2017년도 가상화폐 불장 당시 리플 또는 이번 불장에 도지코인과 같이 여러번의 상승 사이클을 도는 가능성도 있습니다.
혹시 그려둔 채널을 상승 돌파 한 이유가 이것..?
최근 중국 헝다그룹이 제2의 리먼브라더스 사태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 되며 헝다그룹이 이자를 지불해야 하는 23일이 고비가 될거라 합니다.
미래는 예측할 수 없지만 과거 데이터를 토대로 매우 조심해야 하는 구간임은 확실해 보입니다.
모두 성투하시길 바라며, 즐거운 명절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PERC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