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p500
나스닥 X5배, SnP500 X5배 추종 상품 출시 매우 놀랐습니다.
모두가 최고의 수익률을 위해 욕심이 머리 끝까지 차있습니다.
마치 주식시장이 비트코인을 보는것 같습니다.
나스닥 추종지수 X5배
SnP500 추종지수 X5배
상품이 출시되었습니다.
이제 시간이 지나면 대중화가 되어서 상품이 팔릴것입니다. 벌써 삼성증권에 나와있네요.
X2배, X3배, X5배 이제 시간이 10년정도 더 지나면 X10배도 나오는겁니까?
정말 미친 상품입니다.
레버리지 파생상품은 절대적으로 위험합니다.
절대 투자하지마세요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행운을 빕니다.
미국 1위 기업 한국 1위 기업, 대중적 미국 ETF 비교알려드립니다.
ETF 투자할떄 수익률 차이 확인차 비교했습니다.
이전 차트는 년도별 그래프 포함, 이번 게시물은 압축 오른쪽에 있는 수익률만 보시면 깔끔합니다.
1. 종목: 애플,삼성전자,미국 22개 ETF 합계 24개 종목
2. 수익률 순서
3. 국내 투자 개별 세금 45%, 해외 투자 고정 세금 22%
4. 국내 ETF투자는 세금 메리트 없음 해외 ETF선택
5. 기준일 2011년1월3일 ~ 2021년 12월 17일 (10년)
ETF란? 단일 기업이 아닌 묶음으로 된 인덱스 추종지수 (EX 100개의 기업이면 100개의 평균치)
레버리지 파생상품 +X3 -X3은 제외
복리계산기
매달 150만원 연이율 20% 투자
10년 투자시 5억 6천만원
20년 투자시 40억
30년 투자시 250억
나스닥 추종지수 10년 연평균 상승율 20%
30살 청년이 매달 나스닥 추종지수에 150만원씩 30년 투자시 은퇴시 60살에 250억 자산가?
화면에 마우스를 클릭하여서 움직일수 있습니다.
수익률
1위 APPL 애플 (미국 1위)
2위 SOXX (반도체)
3위 SMH (반도체)
4위 VGT (정보기술)
5위 QQQ (나스닥추종)
6위 XLK (정보기술)
7위 SKYY (클라우드)
8위 VCR (소비재)
9위 SPYG (S&P500성장)
10위 IBB (바이오)
11위 ARKK (기술)
12위 XLV (헬스케어)
13위 QLCN (친환경)
14위 삼성전자 (한국 1위)
15위 VOO (S&P500추종)
16위 SPY (S&P500추종)
17위 VTI (미국시장)
18위 ITA (방위산업)
19위 DIA (다우존스추종)
20위 ARKG (바이오)
21위 XLF (금융)
22위 IMW (러셀2000추종)
23위 VYM (배당)
24위 VNQ (미국부동산)
25위 SPYD (미국배당)
대표 대중적 미국 13개 ETF 종류 _ 역사적 수익률 + (삼성전자)알려드립니다.
1. 모두 미국 ETF 입니다.
2. 13개의 ETF 입니다.
3. 수익률 순서로 정리했습니다.
4. 국내 투자 개별 세금 45%, 해외 투자 고정 세금 22%
5. 국내 투자는 세금에 대한 메리트가 없어서 해외 ETF로 집중적으로 했습니다.
번외 삼성전자 추가
ETF란? 단일 기업이 아닌 묶음으로 된 인덱스 추종지수 (EX 100개의 기업이면 100개의 평균치)
레버리지 파생상품 +X3 -X3은 제외 했습니다.
화면에 마우스를 클릭하여서 움직일수 있습니다.
수익률
1위 SOXX (반도체)
2위 SMH (반도체)
3위 VGT (정보기술)
4위 QQQ (나스닥추종)
5위 SPYG (S&P500성장)
6위 VCR (소비재)
7위 ARKG (바이오)
8위 VOO (S&P500추종)
9위 SPY (S&P500추종)
10위 삼성전자 (005930)
11위 DIA (다우존스추종)
12위 VYM (미국배당)
13위 VNQ (미국부동산)
14위 SPYD (미국배당)
대중적 대표적 미국 13개 ETF 종류 및 수익률 _ 공부용알려드립니다.
1. 모두 미국 ETF 입니다.
2. 13개의 ETF 입니다.
3. 수익률 순서로 정리했습니다.
번외 삼성전자 추가
ETF란? 단일 기업이 아닌 묶음으로 된 인덱스 추종지수 (EX 100개의 기업이면 100개의 평균치)
화면에 마우스를 클릭하여서 움직일수 있습니다.
수익률
1위 SOXX (반도체)
2위 SMH (반도체)
3위 VGT (정보기술)
4위 QQQ (나스닥추종)
5위 SPYG (S&P500성장)
6위 VCR (소비재)
7위 ARKG (바이오)
삼성전자 005930
8위 VOO (S&P500추종)
9위 SPY (S&P500추종)
10위 DIA (다우존스추종)
11위 VYM (미국배당)
12위 VNQ (미국부동산)
13위 SPYD (미국배당)
미증시 (S&P500/SPY) 3일봉 과거 패턴 참고해서 하락장 진행 후 상승장이 되기 위한 필요 조건들 공유1. 다음주 약 1프로 반등 후 최소 3일봉 볼밴 하단
( 현재 가격기준 -5.4 프로정도 밑 ) 까지
하락 후 쌍바닥 형성 후 상승 흐름
2. 다음주 약 1프로 반등 후 최대 -3일봉의 EMA 120
( 현재 가격기준 - 10.3 프로정도 밑 ) 까지
하락 후 쌍바닥 형성 후 상승 흐름
3. MA 50 이평 지지 ( -2.3 % )받고 상승 ( 2021년 10월 01 의 밑꼬리 지지 참고 )
- 하락 ABC 파동 카운팅 확인 필요 => 상승장이 오기까지 최소 기간 소요 근거
- 스토케스틱 RSI 의 쌍바닥이 필요 => 상승장이 오기까지 최소 기간 소요 근거
투자에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P500 3주봉 차트 분석 ( 미증시 SPX 과거 패턴 반복일 경우 미래 방향성 예상 )3주봉 일반 캔들 차트입니다.
3주봉의 하이킨 아시 캔들을 통해서 현재의 순간이
2018년 1월달의 모습과 유사한 점을 발견했고
그런 패턴이 반복이 될 때 예상해볼 수 있는 경로입니다.
일단 하락을 더 하든 옆으로 횡보를 하든 결국
3주봉의 EMA 13 이평선 밑으로는 가격이 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즉 하락 및 횡보 가능성을 염두합니다.
추후 볼린저 밴드 상단까지 가격이 상승한 후에
3주봉 EMA 50이평선을 만날 때까지의 큰 조정 후
스토케스틱 RSI 쌍바닥을 만들고 윌리엄스 %R -80
값을 찍고 다시 우상향을 하는 흐름 생각중입니다.
현재 가격 기준으로해서 각 중요 구간까지의 변동성을 차트에 퍼센테이지로 표시했습니다. 참고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S&P500 선물 3주봉 차트입니다. 미래 방향성 예상 공유3주봉에서 ADX이 추세 과열 구간으로 (S&P500 선물)
굉장히 부담스러운 상황입니다.
3일봉과 주봉에서도 스토케스틱 RSI 쌍고이상
쓰리고의 형태로 과열 구간인 상황으로
다시 3일봉 혹은 주봉의 쌍바닥이 될때까지
상승장이 오기는 시간적으로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과거 차트 패턴을 참고했을 때 3주봉의 EMA 13일선
밑으로 가격이 내려가야 상승 파동 시작이 될것을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미증시가 앞으로 약 -5.6프로의 추가적인 하락을 할 수 있다고 보고 있기때문에 무리한 비중의 투자 및 X3 ETF 비중을 크게하는건 조심하시길 권장합니다. X1 ETF 대응이 좋을때라고 판단합니다.
[차놀자] 21-05-14 나스닥(Nasdaq) 경제지표는 좋다는데, 너는 왜내려?(**순수 롱 관점만 담음 주의)
안녕하세요 차트야놀자 차놀자입니다.
최근 코인 시장과 연관해 일론 머스크라는 인물을 빼놓을 수 없게 됐습니다.
과거 우지한과 로저버가 코인판을 좌지우지 하던 시절이 생각이 납니다.
도지코인과 시바, 진도지와 진도도지, 삽살도지 등...
과거 비트코인 캐시, 골드, SV, 다이아몬드, 플래티넘(한국 고등학생이 하드포크 찍은 코인) 들이 날뛰던 시절과 비슷하게 연상이 되는 시점이네요.
각설하고, 일론 머스크 하면 결국에는 테슬라를 빼 놓을 수 없죠,
테슬라는 과거 큰 상승을 하면서 동시에 기술주 중심의 지수인 나스닥을 움직이는데 핵심 역할을 했지만
(물론 아마존, 구글, 애플 등 공룡기업들도 한 몫씩 한 것도 있지만)
도지코인과 관련된 신뢰도 떨어지는 발언으로 코인시장도 흔들고, 본인 회사인 테슬라의 주가도 떨어뜨렸습니다.
(결국 가격은 시장 원리에 기반해 움직이지만, 외부 이슈가 끼치는 영향이 0은 아닐 거라고 생각됩니다.)
그러면서 나스닥도 동시에 조정장을 이어가고 있는데, 차트로 해석한다면 피보나치 상 0.382구간을 지지하면서
결국엔 건전한 조정이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일단은요.)
다만 체크할 부분은, 미 경제지표들이 호조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증시가 떨어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얼떨떨한 분들이 꽤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일반적으로 "경제 호조 -> 시장이 좋아지니까 주식이 올라가겠지!" 라고 생각을 많이 할 수 있지만,
그렇다면 경제학자들이나 경영학자들이 이미 시장의 돈들을 모두 쓸어갔어야겠죠?
항상 모든 자본시장은 예민하기 때문에 '선반영' 이라는 것을 합니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경제가 호전되기 전 '그럴 것이다' 라고 예상하고 시장이 먼저 올라가는 것이죠.
그리고 실제로 '좋다!' 라고 발표가 되면, 선반영 된 부분들을 감안하여 하락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해당 시장이 펀더멘탈적으로 훨씬 저평가 되어있어도, 일단 단기적으로는 하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거기다가 코인시장과도 얽히다보니(생각보다 비트나 이더의 시총이 엄청 커졌습니다.)
테슬라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고, 당연히 증시도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것이구요.
그래도 본인은 차트를 중시하는 입장이다 보니,
증시가 중장기적으로 하락하는 시나리오는 잠깐 제껴두고,
올라가는 경우에 어떤 식으로 올라가야 예쁠까? 를 생각하며
내 맘대로 차트를 그려놨습니다.
1 2 3 4 5는 엘리엇 파동이 아니라 그냥 흐름에 대해서 표기한 것이니 오해 마시구요,
기본적인 조정에서 0.382지점을 지지했을 때 계속해서 상승 다이버전스가 출현했던 것,
그리고 반등에 성공하여 다시 상승세를 가다듬는 것, 단기 추세 등을 고려했을 때 리테스트 지점 등을 고려하여
역헤드앤숄더의 예측 (헤드앤숄더 매매는 기본적으로 '확인' 매매입니다. '예측' 매매 아닙니다. 심심해서 그려놓은 것일 뿐)
피보나치 확장을 이용하여 잡아보았습니다. (N자형 상승)
해당 아이디어는.. 들여다보던 중 심심해서 끄적인 것이니 너무 깊게 보진 마세요 :)
오늘도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글에 대한 좋아요는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테슬라 고점에서 이격도를 해소하기위한 단기 음봉 출현 도래할 증권 시장의 엄청난 버블을 현재 시점에서 선도하고 있는 대표주자인 테슬라는 최근 또다시 장대양봉을 세우면서 강한 모멘텀을 재확인했습니다.
그저께와 어제 장에서 출현한 장대음봉은 기사화거리로 충분한 만큼의 하락이 되겠지만
차트상에서 급등에 따른 이격도를 해소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음봉입니다.
강한 종목의 특징인 23.6%를 지켜주는 움직임을 충족시키면서 밑꼬리를 길게 달면서 반등하는 모습 보여주고 있습니다.
테슬라가 어디서 쉬고 어디서 멈출지는 이미 차트 분석을 벗어났기 때문에 예측이 불가합니다.
다만 중장기적 투자의견에서 신규 진입으로서는 일봉과 주봉과 월봉 모두에서 극심한 이격도를 벌리며 상승중이므로
보수적인 접근이 더욱 전략적일 것입니다.
UVXY ( 미국 증시 하락 ETF ) 과거 차트 비교 분석을 통한 미래 방향성 예상 - 꿈이큰아이-- 과거 2019년 4월 22일 부터 2019년 5월 13일 까지의 흐름을 염두하며
UVXY 상승 흐름에 매수 전략을 가지고 간다.
- 매매 전략 일봉의 하이킨 아시 캔들의 양봉의 밑꼬리 최저 가격에
매일 물량의 반을 스탑로스 걸고 최소 RSI (2일) 이 80이상 과매수가 될때까지
홀딩하고 최대 RSI (14일) 80이상으로 과매수 될때 모든 포지션을 현재가로
정리하는 목표가지고 매매한다.
- 특히 RSI (14일) 과매수 구간이 된 후 일봉의 하이킨 아시캔들이 음봉으로 전환 될 경우에는 반등에 모든 물량을 정리하고 증시 상승에 투자를 한다.
[차트봐주는형] 2019-09-05 SNP장기 상승쐐기
가격은 올라가고 있지만 모멘텀은 하락중
하락체널과 2940 가격대 돌파로 단기 상승이 보이지만
여러가지 강력한 저항으로 인해
10월초 미중 회담 약 3000 정도까지가 한계로 보임
2400~2600 선까지 조정 조정 자리는 시기에 따라 다를 수 있음
[번] 2016년도 S&P 500 분해(breakdown)이 차트에 서로 다른 모든 ETF 종목이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아래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www.sectorspdr.com
이미 다들 아래 종목들을 알고 계실 겁니다:
S&P 500 지수 ( SPY )
소비자 재량지수 ( XLY )
필수 소비재 ( XLP )
에너지 ( XLE )
파이낸셜 ( XLF )
건강 관리 ( XLV )
산업 ( XLI )
자재 ( XLB )
부동산 ( XLRE )
기술 ( XLK )
유틸리티 ( XLU )
이 차트를 보면 이제 3주밖에 안남은 2016년도에:
1. SPY 는 11.81% 올랐음
2. 다음 섹터는 SPY 보다 나은 성과를 냈음: 에너지, 파이낸스, 자재, 기술.
3. 다음 섹터는 SPY 보다 못한 성과를 냈지만, SPY 200 지수이평보다는 잘했음: 소비자 재량지수, 유틸리티
4. 다음 섹터는 SPY 보다 못한 성과를 냈으며, SPY 200 지수이평보다도 못했음: 필수 소비재, 부동산, 바이오텍
5.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낮았음
중기 포트폴리오 수립에 대한 생각들:
1. 에너지, 파이낸스, 자재, 기술쪽에서 롱을 찾아본다
2. 필수 소비재, 부동산, 바이오텍쪽에서 쇼트를 찾아본다
3. 헷지를 위해 장기 변동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