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 플랜 25/08 – 캡틴 빈센트XAU/USD – 트럼프의 돌발 뉴스로 금 급등, 다음 시나리오는?
1. 뉴스 파동 🌍
트럼프가 갑작스럽게 연준(FED) 이사 L. Cook을 해임, 이유는 최근의 무책임한 금융 결정.
👉 이는 정치·통화 충격으로, 금 가격은 3350 – 3352 구간에서 단숨에 30달러 이상 급등. 투자자들은 연준 내부 불안으로 달러 약세를 우려.
피난처 수요(안전자산 매수)는 촉발되었으나, 금 가격이 일방적 직상승 하기는 어려움.
→ 보통 시장은 유동성 채우기(조정 파동) 를 거쳐야 명확한 방향성을 확정.
2. 기술적 분석 ⚙️
금은 Golden Harbor 🏝️ (Buy Zone 3350 – 3342) 에서 강하게 반등 – 핵심 지지선 확인.
현재는 Storm Breaker 🌊 (저항 3384 – 3400) 에 근접, 유동성이 집중된 자리 → 매도세 차익실현 위험.
H1 차트에서 FVG(3363, 3355) 출현 → 금이 단기적으로 갭 메우기 위해 하락 조정 가능성.
👉 오늘의 전략:
저항에서 매도 우선.
조정 시 Quick Boarding 🚤 (3342 – 3340) 에서 단기 매수 스캘핑 관찰.
3. 캡틴 빈센트의 지도 – Key Levels 🪙
🌊 Storm Breaker (메인 저항): 3384 – 3400
🚤 Quick Boarding (Buy Scalp): 3342 – 3340
• SL: 3333
• TP: 3345 → 3347 → 3350 → 33xx
🏝️ Golden Harbor (Buy Zone): 3350 – 3342
FVG 존: 3363, 3355 (단기 가격 흡인 지점)
4. 트레이딩 시나리오 📌
🔻 Sell @ Storm Breaker 🌊 (우선 시나리오)
Entry: 3400 – 3402
SL: 3408
TP: 3395 → 3390 → 33xx
🔺 Buy Scalp @ Quick Boarding 🚤
Entry: 3342 – 3340
SL: 3333
TP: 3345 → 3347 → 3350 → 33xx
5. ⚓ Captain’s Note
“트럼프의 돌발 뉴스는 금을 거센 역풍처럼 밀어 올렸다. 그러나 Storm Breaker 🌊 앞에서 거친 파도가 기다릴 수 있다. 현명한 이는 Golden Harbor 🏝️에 닻을 내리고, 빠른 파도를 타고 싶은 이는 Quick Boarding 🚤을 선택하라. 기억하라: 오늘의 금 바다는 결국 큰손(상어)의 노 젓기에 달려 있다.”
Smcconcepts
Gold Plan 22/08 – Captain Vincent ( KR )H1 차트에서 금은 여전히 3328 – 3350 박스권(sideway) 내에서 움직이며, 유동성을 반복적으로 흔들어 리테일 트레이더들이 뚜렷한 방향성을 잡기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현재 금은 NFP(FVG) 구간에서 충분히 유동성을 흡수한 상태로, 이후의 가격 움직임은 세력(큰손) 과 다가오는 뉴스 이벤트에 크게 좌우될 것입니다.
비록 전체적인 추세가 아직 뚜렷하지 않지만, 아래 Key Levels 를 통해 매매 시나리오를 세울 수 있습니다.
🪙 Key Levels
🌊 Storm Breaker (Sell Zone 3368 – 3370)
SL: 3376
TP: 3365 → 3360 → 3355 → 3350 → 33xx
🏝️ Golden Harbor (Buy Zone 3313 – 3315)
SL: 3305
TP: 3320 → 3325 → 3330 → 33xx
📌 분석 & 관점
큰 타임프레임에서는 여전히 매도세가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금은 주요 저항 구간을 다시 테스트하며 확인할 필요가 있음.
가격이 Storm Breaker 🌊 에 접근할 경우 → 반응을 확인 후 매도 진입 고려.
반대로 가격이 Golden Harbor 🏝️ 에 도달할 경우 → 단기 매수 포인트로 여전히 안정적인 지지 구간 역할.
⚓ 캡틴 빈센트 노트:
“큰손(상어)이 파도를 휘젓는 순간, 리테일은 흔들린다. 그러나 Key Level 지도를 가진 자는 언제나 안전한 항구를 찾을 수 있다.”
Rising Wedge & OTE & Bearish OB약 89K 부근에서 낮은 시간대의 구조 변화가 발생한다면 공매도 포지션에 도전해볼 수 있겠습니다.
현재 웻지 형태로 상단과 하단에 3개 이상의 접점이 연결된 추세선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해당 추세선을 하방으로 돌파할 경우, 돌파와 동시에 공매도 포지션을 도전해볼 수 있겠습니다.
돌파매매를 할 경우 해당 패턴의 목표가는 76.6K의 웻지 시작 지점이지만,
해당 저점은 78K의 유동성을 가져갈 때, Sweep의 형태로 꼬리를 남긴 채 반등했기 때문에
하방 추세 지속 여부에 대한 신뢰도는 다소 떨어집니다.
만약 해당 시나리오대로 흘러갈 경우, 81K 부근의 OTE 영역에서 일부 물량을 덜어낸 후,
이후 가격 반응을 관찰하여 포지션 홀드 또는 스위칭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겠습니다.
Unicorn Model 출현84.5K의 고점을 돌파하는 과정에서
강세 브레이커 블럭과 불균형캔들(IMB)이 출현 했고,
현재 4H FVG의 중간값(50%/CE)에서 가격 반응이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자세히 보면 브레이커블럭 영역과 FVG 영역이 겹치는 형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형태를 Unicorn Model이라고 합니다.
유니콘 모델은 통계적으로 약 80% 정도의 승률을 자랑하는데요.
즉, 현재 유니콘 모델의 진입 영역 안에서 가격 반응이 나오고 있으며,
유니콘 모델의 무효화 지점은 약 82.6K 부근입니다.
해당 모델이 무효화되지 않는다면, 계속해서 상승을 이어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즉, 82.6K가 상승 지속에 대한 기준이 될 수 있으며
작은 타임프레임에서 매수 기회를 노려볼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