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크
IDUSDT SHORT#IDUSDT
1. 피보나치 1.13과 샤크 패턴의 PRZ
피보나치 1.13은 하모닉 패턴 중 샤크 패턴의 PRZ(가격 반전 지역) 입니다. 현재 가격이 피보나치 1.13 까지 상승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2. 하락 되돌림 0.618 중첩
하락되돌림의 0.618 라인이 다른 기술적 지표와 중첩되고 있다는 것은 가격이 반전될 가능성을 더 강조합니다. 이것은 파동 흐름에서의 중요한 지지, 저항선을 나타낼 수 있으며, 가격이 이 라인 근처에서 반전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3. SR FLIP
SR(Support Resistance) Flip, 즉 지지와 저항이 바뀌는 라인이 될 수 있습니다.
UNFIUSDT LONG#UNFIUSDT
1. 피보나치 0.886과 샤크 패턴의 PRZ
피보나치 0.886은 하모닉 패턴 중 샤크 패턴의 PRZ(가격 반전 지역) 입니다. 현재 가격이 피보나치 0.886 까지 하락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2. 상승되돌림 0.707
상승되돌림 0.707 라인이 다른 기술적 지표와 중첩되고 있다는 것은 가격이 반전될 가능성을 더 강조합니다. 이것은 파동 흐름에서의 중요한 지지, 저항선을 나타낼 수 있으며, 가격이 이 라인 근처에서 반전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3. 주요 지지/저항 라인
수많은 지지와 저항이 나타난 라인은 중요한 기술적 지지/저항선으로 간주됩니다. 이 라인은 매물대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며, 저항(지지)가 충분히 나올 수 있는 구간으로 간주됩니다.
1월 마지막 비트코인 매매 계획
일봉 RSI 과매수구간 거래량 줄어들고 RSI도 하락다이버가 연속되는중
녹색 채널 이탈하면서 지금부터 하락하기를 이어 가주길 바라지만
지금도 충분히 반등이 가능한 구간인지라, 23300부근 숏진입한건 가격부근에서 익절 한번 나가고 아래까지 홀딩할 예정입니다.
비트코인은 이번에 다시 상승이 나오면 고점 갱신하고
23.8K ~24.2K 부근 숏 잡는게 나을듯하고 저배로 모아볼 예정
롱자리에 대해선 고민이 많았는데
이전 매물대 라인과 피보나치 0.382~0.5 구간인 21K~20K 구간에 스윙 개념으로 탑승해보겠습니다.
최종 TP는 AB=CD 목표가 28K 부근이지만 이는 롱추세가 이어질 때의 타겟가이고
숏관점에서
주봉상 오더블럭 EQ라인 저항 찍고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의 힘을 받아 저갱하는 이러한 시나리오도 아직은 가능하기 때문에
중간 중간 매물대마다 수익 챙기도록 하겠습니다.
[194480] 1년넘게 물린 애증의 데브시스터즈 우선 컵앤핸들에서 핸들 저항선이 돌파가 된 시점과 상방 가능성이 높인 지수에 따라 돌파매매도 나쁘지 않아보입니다.
sr flip 라인이 있는 64500가격대 근처에서 저항가능성이 있기에 작은 크랩을 하나 세팅 후 크랩이 컨펌되는 전제하에
또 다시 sr flip 라인인 동시에 컵앤핸들의 넥라인인 크랩의 TP1 382마디가 조정 후 다시 큰 샤크와 5-0패턴을 완성하러
상승하는 관점입니다. 이전 하락 파동들의 피보나치 마디가 중첩을 통해 저항과 지지를 예상해봅니다.
꽤 오래 바닥을 다져서 크랩은 무시된채 바로 컵앤핸들 샤크 5-0 패턴의 목표가까지 도달할 가능성도 있어보입니다.
하모닉 고민
문제 01) 중, 장기 추세선 긋는 경우를(산술n로그 둘 다 적용) 제외하고.. 최대한 로그차트로 고정시켜놓고 싶다. 귀찮쓰
//
문제 02 ) 특히 변동성이 심한 크립토에서는 중, 장기 T.F.에서..
산술차트에서 구해진 하모닉 패턴 TP값 외,
로그차트에서 구해진 Fib. TP값들이 유의미한 변곡이 되는 경우들을 보게 된다.
물론 이 TP=변곡(로그차트 적용)으로부터의 다음 변곡(PRZ)예측은 하모닉 툴(산술차트가 적용된)로 잡아낸다.
헷갈리게 로그와 산술을 반복하여 클릭하지 않고...
로그 차트only로 고정 시켜서, 하모닉 패턴을 분석하고 싶다..
//
문제 03 ) 샤크와 싸이퍼 패턴 분석루틴에 대해 다시 정리하고 싶다.
.
.
.
* XB : BD
(= XA까지 올라간 파동에 대한 AB의 되돌림 비율 : BC만큼 올라간 파동에 대한 external 하락CD파동의 되돌림 비율)은
로그차트와 산술차트 둘 다에서,
하모닉 패턴 Tool자체에 고정된 값(산술차트 베이스)으로써 확인 가능하다.
.
이 점을 고려하여 샤크n싸이퍼 패턴 분석 루틴 을 간단히 정리하자면,
///
1) C point가 A point를 초과했으니, Shark or Cypher패턴으로 분류.
2) 로그 차트로 고정하여, 하모닉 툴에 적힌 XB : BD (.382 or .618 : 1.272/ 1.618/ 2.0/ 2.24/ 2.618 prz들을 기입.)
; A가 C point를 초과하는 패턴 등장 시, 샤크와 싸이퍼 루틴을 통합한 루틴으로 구함.
.
3) 기입된 prz들 => 경우의 수 줄이기. (XD값 확인, FCZ, NEo PRZ, prz를 써포트 하는 분석 루틴의 여타 컨펌리스트 참고)
.
4) 남은 prz를 Fix로 <= 이에 가까운 BC P. / XC .786, 886~1.13 prz 구하기. (그 외의 패턴의 경우..abc확장, abcd추가)
.
.
.
.
장점 01 ) 로그n 산술 차트에서의 Fib.값을 한 번에 분석하여 보면서, 이 둘의 비교 분석이 가능해짐.
.
; 피보나치를 중심에 둔 이론은 하모닉 패턴만 존재하는 게 아님.
=> E.W. or NEo 이론은 로그n산술차트를 융통성있게 사용함을 권장함.
; EW or NEo Trader 뿐만 아니라, 로그 차트를 기준으로 삼은 많은 분석가 & 트레이더들의 예측분석 타점을 참고할 수 있게 됨.
.
.
장점 02 ) 긴 시간 범위와 큰 가격 변동에 있어서, 시각적 왜곡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로그차트가 필요함.
(;큰 변동폭에도 왜곡 현상 없이 심리적 안정감을 가질 수 있어 트레이딩에 유리함. 변동성이 심한 크립토 환경...)
장점 03 ) FCZ를 본질에 두고 거래의 기준을 세울 거라면.. 산술차트에서 구하는 값과 로그차트에서 구해지는 값들이
최대한 뭉친곳(FCZ)을 거래의 기준으로 참고하면 좋을듯. (중장기 TF에선 각 차트의 0.5, .618 등 중요 Fibo 모두 보기)
.
장점 04 ) 산술차트에서의 TP값 만(.382 .618)을 고집하기에는 TP기준으로써 로직 빈약..
(당근..382 or .618과 크로스 되는 여타 근거 들이 필요하겠지만..)
; 큰 시간봉에서는 더욱이 많은 사람들이 로그차트를 기준으로 삼음..
.
; 산술차트 상의 AD .382도 .618도 아닌,
로그차트의 AD 0.618 부분이 => 여타 컨펌리스트들이 최대 중복된 곳이면 어쩔티비..
게다가 이 TP부분이 다음 하모닉연계의 B point로써 가장 잘 들어맞는다면?.. (X점을 다른 유의미한 곳으로 옮길수도 o)
.
.
(다른 패턴에서, 특히 중장기 TF에서, abc확장과 abcd패턴은 어찌할지 추후에 고민하도록...)